KR101878266B1 -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266B1
KR101878266B1 KR1020160088846A KR20160088846A KR101878266B1 KR 101878266 B1 KR101878266 B1 KR 101878266B1 KR 1020160088846 A KR1020160088846 A KR 1020160088846A KR 20160088846 A KR20160088846 A KR 20160088846A KR 101878266 B1 KR101878266 B1 KR 10187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support
user
protector
waist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601A (ko
Inventor
배진우
Original Assignee
비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266B1/ko
Priority to TW105141818A priority patent/TW201801688A/zh
Priority to JP2016248410A priority patent/JP2018008004A/ja
Publication of KR2018000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측면은 사용자의 등쪽 허리 부위를 지지하고, 외측면에는 지지체 삽입 공간부가 형성된 허리 지지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는 제1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착탈 가능한 외측 허리밴드; 상기 외측 허리밴드의 내측에 구비되되, 한 쌍을 이루며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는 제2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착탈 가능한 내측 허리밴드; 및 상기 지지체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성형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허리밴드와 내측 허리밴드에 의해 상기 허리 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가압될 시, 상기 성형 지지체는 가압되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로 경화되어 사용자의 척추 양측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WAIST PROTECTOR AND METHODS FOR USE}
본 발명은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성형된 성형 지지체를 갖는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 보호대는 신체의 허리부위 및 척추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허리 보호대는 대개 허리 및 척추에 질병을 갖고 있는 환자나 허리의 근력이 약한 노약자들이 치료 및 보호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허리 보호대는 에어 튜브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타입과 압박 벨트를 이용하여 조여주는 타입이 있다. 그러나, 공기 주입 타입 또는 압박 벨트 타입의 허리 보호대는 사용자 개개인의 체형에 맞춰진 맞춤 형태의 허리 보호대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기 주입 타입 또는 압박 벨트 타입의 허리 보호대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허리 보호대의 형태가 변형되어 허리 보호대의 지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예로, 공기 주입 타입의 경우, 허리 보호대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에어 튜브로부터 공기가 점차 빠져나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허리 보호대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착용될 경우, 허리 보호대가 사용자의 허리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용자의 허리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4514호 (선행문헌 1)에는 에어 튜브가 구비된 허리 보호대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환자 개개인의 체형별로 맞춰진 맞춤 형태의 허리 보호대에 관한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4514호(2006.04.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성형된 성형 지지체를 갖는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측면은 사용자의 등쪽 허리 부위를 지지하고, 외측면에는 지지체 삽입 공간부가 형성된 허리 지지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는 제1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착탈 가능한 외측 허리밴드; 상기 외측 허리밴드의 내측에 구비되되, 한 쌍을 이루며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는 제2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착탈 가능한 내측 허리밴드; 및 상기 지지체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성형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허리밴드와 내측 허리밴드에 의해 상기 허리 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가압될 시, 상기 성형 지지체는 가압되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로 경화되어 사용자의 척추 양측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허리 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 지지체는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이 함침된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가 함유된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이고, 상기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이 함침되는 섬유재는 부직포, 폴리에스터 직물, 면 직물, 메쉬원단, 유리섬유원단, 폴리프로필렌 직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 허리밴드는, 일측부는 상기 허리 지지부와 연결되는 연장 날개부; 및 상기 연장 날개부의 타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가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는 하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허리 지지부와 연장 날개부의 연결부위에는 제1 지지바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 날개부와 고정부의 연결부위에는 제2 지지바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허리 지지부는, 사용자의 등쪽 허리부위를 지지하는 몸체부; 미리 정해진 폭으로 상기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척추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척추 보호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척추 보호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지지체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덮개부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몸체부와 착탈 가능한 제3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허리밴드의 내측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성형 지지체가 밀봉된 케이스를 개방한 후, 상기 성형 지지체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성형 지지체의 표면에 수분이 균일하게 흡수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성형 지지체를 함께 마는 단계; 수분이 흡수된 상기 성형 지지체를 지지체 삽입 공간부에 삽입한 후, 상기 성형 지지체를 허리 지지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허리 지지부를 등쪽 허리부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내측 허리밴드를 사용자의 몸에 맞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내측 허리밴드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 허리밴드를 사용자의 몸에 맞게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지지체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화되며, 사용자의 척추 양측을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리 보호대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허리 보호대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성형 지지체가 구비된다. 이러한 성형 지지체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경화되어 사용자의 척추 양측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성형 지지체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성형되어 사용자의 척추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성형 지지체가 구비된 허리 보호대는 오직 사용자 한 사람만을 위한 맞춤형 허리 보호대로, 사용자가 장시간 허리 보호대를 착용하더라도 성형 지지체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 허리밴드의 고정부 내부에는 하드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드 플레이트는 외측 허리밴드의 결합시, 사용자의 복부(腹部)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허리 앞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허리 보호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성형 지지체는 사용자의 허리 뒷부분을 지지하고, 하드 플레이트는 사용자의 허리 앞부분을 지지하게 되어, 사용자는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허리 지지부와 연장 날개부의 연결부위에는 제1 지지바가 구비되고, 연장 날개부와 고정부의 연결부위에는 제2 지지바가 구비되어, 척추와 허리의 지지력을 높이고, 허리 보호대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허리밴드의 내측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구비되어 허리 보호대의 착용 후, 뒤틀림이나 흘러내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 허리밴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체 삽입 공간부에 성형 지지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사용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 허리밴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체 삽입 공간부에 성형 지지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허리 보호대(1000)는 허리 지지부(100), 내측 허리밴드(200), 외측 허리밴드(300) 및 성형 지지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허리 보호대(1000)는 내측 허리밴드(200)와 외측 허리밴드(300)의 이중 밴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허리 지지부(100)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배부(背部), 즉 사용자의 등쪽 허리 부위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허리 지지부(100)의 외측면에는 성형 지지체(400)가 삽입되는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가 형성된다.
이러한 허리 지지부(100)는 몸체부(110), 척추 보호부(120) 및 지지체 덮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사용자의 등쪽 허리 부위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신축성이 없는 미세한 크기의 제1 메쉬(mesh) 원단과 제1 메쉬 원단보다는 그물망의 크기가 큰 제2 메쉬 원단이 이중으로 맞붙은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몸체부(110)는 신축성이 없는 제1 메쉬 원단과 제2 메쉬 원단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허리 보호대(1000)를 착용할 경우,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함을 물론 통기성을 제공하게 된다.
척추 보호부(120)는 허리 지지부(100)의 중앙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허리 보호대(1000)를 착용하였을 시, 성형 지지체(400)가 척추를 직접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배치된다. 즉, 척추 보호부(120)는 미리 정해진 폭으로 몸체부(110) 사이에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척추 보호부(120)는 허리 지지부(100)의 중앙 상부에서 하부까지 수직선상으로 위치되어, 성형 지지체(400)가 척추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척추 보호부(120)는 몸체부(1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의 외측면에는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를 형성하는 지지체 덮개부(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체 덮개부(130)는 척추 보호부(1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척추 보호부(120)와 연결 형성된 지지체 덮개부(130)의 일측 테두리부와 하측 테두리부는 몸체부(110)와 봉제 결합이 이루어져, 지지체 덮개부(130)는 몸체부(11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 덮개부(130)의 타측 테두리부에는 몸체부(110)와 착탈 가능한 제3 결합부재(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3 결합부재(140)는 벨크로(velcro)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 지지체 덮개부(130)의 타측 테두리부에는 제3 갈고리부(141)가 구비될 수 있고, 몸체부(110)에는 지지체 덮개부(130)의 제3 갈고리부(141)와 결합되는 제3 걸이부(142)가 구비되어, 지지체 덮개부(130)의 타측 테두리부는 몸체부(110)와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3 결합부재(140)는 지지체 덮개부(130)에 제3 걸이부(142)가 구비되고, 몸체부(110)에 제3 갈고리부(141)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지지체 덮개부(130)의 타측 테두리부에는 몸체부(110)와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3 결합부재(140)가 구비됨에 따라 성형 지지체(400)는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로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에 성형 지지체(400)를 삽입할 경우, 사용자는 지지체 덮개부(130)의 타측 테두리부를 몸체부(110)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성형 지지체(400)를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에 삽입한 후, 지지체 덮개부(130)의 테두리부를 다시 몸체부(110)에 붙이면 되기에 성형 지지체(400)의 삽입이 수월함은 물론 성형 지지체(4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3 결합부재(140)가 지지체 덮개부(130)의 타측 테두리부에만 구비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제3 결합부재(140)는 지지체 덮개부(130)의 상측 테두리부에도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지지체 덮개부(130)도 몸체부(11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성형 지지체(400)는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성형 지지체(400)는 외측 허리밴드(300)와 내측 허리밴드(200)에 의해 허리 지지부(10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가압될 시, 가압되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로 경화가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허리 보호대(1000)를 처음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1회에 한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내에서 형상 변화 및 경화가 이루어지는 성형 지지체(400)를 자신의 체형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성형 지지체(400)는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이 함침된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성형 지지체(400)에 수분이 접촉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경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허리 보호대(1000)를 처음으로 착용하는 사용자는 성형 지지체(400)에 수분을 공급한 상태에서 수분이 공급된 성형 지지체(400)를 허리 지지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에 삽입한 후, 외측 허리밴드(300)와 내측 허리밴드(200)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결합하게 되면, 성형 지지체(4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형상 변화가 일어나며 경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성형 지지체(400)는 사용자의 몸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로 척추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의 허리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때, 성형 지지체(400)는 척추 보호부(120)의 양측에 배치된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성형 지지체(400)는 척추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지 않고, 척추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성형 지지체(400)가 직접적으로 척추에 접촉되어 통증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 지지체(400)를 구성하는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함유한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일 수 있다. 그리고,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이 함침되는 섬유재는 부직포, 폴리에스터 직물, 면 직물, 메쉬원단, 유리섬유원단 및 폴리프로필렌 직물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이 함침되는 섬유재는 반드시 상기 소재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성형 지지체(400)는 소량의 수분과 이산화탄소가 반응의 개시제로 사용되어 순환반응을 통해 경화를 신속히 진행시키는 수산화칼슘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성형 지지체(400)에 수산화칼슘이 더 포함된 경우에는 수산화칼슘이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분을 자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에 소량의 수분으로도 성형 지지체(400)의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분과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개시제로 작용될 수 있으므로 성형 지지체(400)의 내부까지 경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성형 지지체(400)는 흰색, 검정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외측 허리밴드(300)는 한 쌍을 이루며 허리 지지부(1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외측 허리밴드(300) 단부에는 제1 결합부재(330)가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외측 허리밴드(30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싼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허리밴드(300)는 연장 날개부(310) 및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날개부(310)는 일측부는 허리 지지부(100)와 연결된다. 이러한 연장 날개부(310)는 외측 허리밴드(30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경우, 허리의 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연장 날개부(310)는 허리 지지부(100)와 고정부(320)를 연결함에 있어,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연장 날개부(310)는 3 ~ 5mm 두께의 네오프렌(neoprene) 원단으로 이루어져 신체 밀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선택적인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고정부(320)는 연장 날개부(310)의 타측부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부(320)는 외측 허리밴드(30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경우, 사용자의 복부(腹部)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320)에는 제1 결합부재(330)가 구비되어, 한 쌍의 외측 허리밴드(300)는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결합부재(330)는 상술된 제3 결합부재(140)와 같이 벨크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는 도면 상태로 설명을 하면 좌측에 위치되는 고정부(320)의 내측면 단부에는 반원 형태의 제1 갈고리부(331)가 구비되고, 우측에 위치되는 고정부(320)의 외측면 중앙부에는 고정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걸이부(33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을 이루는 외측 허리밴드(30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싼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320)의 내부에는 하드 플레이트(321)가 구비된다. 이러한 하드 플레이트(321)는 한 쌍의 외측 허리밴드(300)가 결합될 시,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허리 앞부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드 플레이트(321)는 좌측에 위치되는 고정부(320)의 내부와 우측에 위치되는 고정부(32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의 고정부(320)가 벨크로 결합될 시, 2개의 하드 플레이트(321)는 겹쳐지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사용자의 허리 앞부분은 고정부(320)의 내부에 구비된 하드 플레이트(321)에 의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리 보호대(1000)의 성형 지지체(400)는 사용자의 허리 뒷부분을 지지하고, 하드 플레이트(321)는 사용자의 허리 앞부분을 지지함으로써, 허리 보호대(1000)를 착용하는 사용자는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320)는 몸체부(110)와 같이, 제1 메쉬 원단과 제2 메쉬 원단이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외측 허리밴드(300)에는 제1 지지바(301)와 제2 지지바(30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바(301)는 허리 지지부(100)와 연장 날개부(310)의 연결 부위에 구비되되, 허리 지지부(100)와 연장 날개부(310)가 연결되는 부위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지지바(302)는 연장 날개부(310)와 고정부(320)의 연결 부위에 구비되되, 연장 날개부(310)와 고정부(320)가 연결되는 부위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지지바(301)와 제2 지지바(302)는 허리 보호대(1000)의 형태를 유지시킴은 물론, 허리 보호대(100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척추 및 허리의 지지력을 높이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지지바(301)와 제2 지지바(302)는 연성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내측 허리밴드(200)는 외측 허리밴드(30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내측 허리밴드(200)는 외측 허리밴드(300)와 같이 한 쌍을 이루는 구성으로, 내측 허리밴드(200)의 일측부는 허리 지지부(100)와 연결된다. 즉, 한 쌍을 이루는 내측 허리밴드(200)는 허리 지지부(1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내측 허리밴드(200)의 타측부에는 제2 결합부재(210)가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내측 허리밴드(200)는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결합부재(210)는 상술된 제1 결합부재(330) 또는 제3 결합부재(14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내측 허리밴드(200)는 외측 허리밴드(300)와 함께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는 허리 보호대(1000)를 착용함에 있어, 1차적으로 내측 허리밴드(200)를 허리에 고정시킨 후, 2차적으로 외측 허리밴드(300)를 내측 허리밴드(200)를 덮으며 허리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내측 허리밴드(200)는 신축성이 있는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진다. 즉, 내측 허리밴드(200)는 신축성이 우수하고, 얇으며, 통기성이 좋은 스판덱스(spandex)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측 허리밴드(200)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내측 허리밴드(200)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내측 허리밴드(200) 간의 밀착성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에 수용된 성형 지지체(4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성형된 상태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내측 허리밴드(200)의 내측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돌기(22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내측 허리밴드(200)를 착용함에 있어, 뒤틀림이나 흘러내림이 방지될 수 있다.
예로, 일반적으로 허리 보호대는 얇은 티셔츠와 같은 옷 위에 착용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허리 보호대는 착용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허리 보호대가 돌아가거나 흘러내리게 되어 재착용을 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허리 보호대에 어깨끈이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쪼임 벨트 등을 추가로 장착하는 경우도 있으나, 허리 보호대가 심플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허리 보호대(1000)에는 내측 허리밴드(200)에 미끄럼 방지 돌기(220)가 구비됨에 따라 옷과의 마찰력을 높여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허리 보호대(1000)가 돌아가거나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랜 시간 착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허리 보호대(1000)에는 별도의 어깨끈이나 쪼임 벨트의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허리 보호대(1000)의 구조가 심플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 보호대의 사용 순서도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지칭되는 구성들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성형 지지체(400)가 밀봉된 케이스(1)를 개방한 후, 성형 지지체(400)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분무기를 이용하여 성형 지지체(400)의 표면에 10~15회 정도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S100)
다음으로, 성형 지지체(400)의 표면에 수분이 균일하게 흡수되도록 케이스(1)와 성형 지지체(400)를 함께 말게 된다. 이렇게 성형 지지체(400)를 말게 되면 성형 지지체(400)에 수분이 균일하게 흡수됨은 물론 성형 지지체(400)의 표면에만 수분이 과도하게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200)
다음으로, 수분이 흡수된 성형 지지체(400)를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에 삽입한 후, 성형 지지체(400)를 허리 지지부(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성형 지지체(400)는 지지체 덮개부(130)에 의해 지지체 삽입 공간부(131)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 (S300)
다음으로, 사용자는 허리 지지부(100)를 등쪽 허리부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내측 허리밴드(200)를 사용자의 몸에 맞게 쪼임 상태로 결합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내측 허리밴드(200)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내측 허리밴드(200) 간의 공극(空隙)이 최소화된 상태로 결합하게 된다. (S400)
다음으로, 내측 허리밴드(200)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 허리밴드(300)를 사용자의 몸에 맞게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외측 허리밴드(300)에는 제1 지지바(301)와 제2 지지바(302)가 구비되어, 허리 보호대(1000)의 형태를 유지시킴은 물론, 허리 보호대(100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척추 및 허리의 지지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외측 허리밴드(300)에는 하드 플레이트(321)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 앞부분은 하드 플레이트(321)에 의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S500)
다음으로, 성형 지지체(4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화되며, 사용자의 척추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허리 보호대(10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성형 지지체(400)는 경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로, 사용자는 천장을 바라보도록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성형 지지체(400)를 경화시킬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는 곧게 서 있는 상태에서 요추의 4번과 5번 부위를 양손으로 누르며 올려주는 형태로 성형 지지체(400)를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허리 통증 감소 및 곧은 자세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S600)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허리 지지부 110: 몸체부
120: 척추 보호부 130: 지지체 덮개부
131: 지지체 삽입 공간부 140: 제3 결합부재
200: 내측 허리밴드 210: 제2 결합부재
220: 미끄럼 방지 돌기 300: 외측 허리밴드
301: 제1 지지바 302: 제2 지지바
310: 연장 날개부 320: 고정부
321: 하드 플레이트 330: 제1 결합부재
400: 성형 지지체 1000: 허리 보호대

Claims (7)

  1. 내측면은 사용자의 등쪽 허리 부위를 지지하고, 외측면에는 지지체 삽입 공간부가 형성된 허리 지지부;
    한 쌍을 이루며,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는 제1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착탈 가능한 외측 허리밴드;
    상기 외측 허리밴드의 내측에 구비되되, 한 쌍을 이루며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단부에는 제2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착탈 가능한 내측 허리밴드; 및
    상기 지지체 삽입 공간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성형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 지지부는,
    사용자의 등쪽 허리부위를 지지하는 몸체부;
    미리 정해진 폭으로 상기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척추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척추 보호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척추 보호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지지체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 덮개부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몸체부와 착탈 가능한 제3 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내측 허리밴드의 내측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허리밴드와 내측 허리밴드에 의해 상기 허리 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가압될 시, 상기 성형 지지체는 가압되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태로 경화되어 사용자의 척추 양측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허리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지지체는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이 함침된 섬유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가 함유된 수경화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이고, 상기 수경화성 폴리우레탄이 함침되는 섬유재는 부직포, 폴리에스터 직물, 면 직물, 메쉬원단, 유리섬유원단, 폴리프로필렌 직물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허리밴드는,
    일측부는 상기 허리 지지부와 연결되는 연장 날개부; 및
    상기 연장 날개부의 타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결합부재가 구비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는 하드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허리 지지부와 연장 날개부의 연결부위에는 제1 지지바가 구비되며, 상기 연장 날개부와 고정부의 연결부위에는 제2 지지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대.
  5. 성형 지지체가 밀봉된 케이스를 개방한 후, 상기 성형 지지체에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성형 지지체의 표면에 수분이 균일하게 흡수되도록 상기 케이스와 성형 지지체를 함께 마는 단계;
    허리 보호대의 제3 결합부재에 형성된 제3 갈고리부를 상기 허리 보호대의 몸체부에 형성된 제3 걸이부로부터 탈착시켜 상기 허리 보호대의 척추 보호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체 삽입 공간부를 개방하는 단계;
    수분이 흡수된 상기 성형 지지체를 상기 척추 보호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체 삽입 공간부에 각각 삽입한 후, 상기 성형 지지체를 허리 지지부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제3 결합부재의 제3 갈고리부를 상기 몸체부의 제3 걸이부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허리 지지부를 등쪽 허리부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내측 허리밴드의 미끄럼 방지 돌기를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고정시키고, 내측 허리밴드를 사용자의 몸에 맞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내측 허리밴드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 허리밴드를 사용자의 몸에 맞게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 지지체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화되며, 사용자의 척추 양측을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리 보호대의 사용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60088846A 2016-07-13 2016-07-13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 KR101878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846A KR101878266B1 (ko) 2016-07-13 2016-07-13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
TW105141818A TW201801688A (zh) 2016-07-13 2016-12-16 護腰帶以及其使用方法
JP2016248410A JP2018008004A (ja) 2016-07-13 2016-12-21 腰プロテクター及びその使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846A KR101878266B1 (ko) 2016-07-13 2016-07-13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01A KR20180007601A (ko) 2018-01-23
KR101878266B1 true KR101878266B1 (ko) 2018-07-16

Family

ID=6099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846A KR101878266B1 (ko) 2016-07-13 2016-07-13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8008004A (ko)
KR (1) KR101878266B1 (ko)
TW (1) TW2018016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080B1 (ko) * 2018-09-11 2020-12-01 천종명 허리보호 교정용 벨트 및 그 제조방법
CN113853221B (zh) * 2019-10-02 2022-10-25 裴乐科技公司 利用空气中的二氧化碳来固化的矫形夹板
KR102481810B1 (ko) * 2019-10-02 2022-12-28 비엘테크 주식회사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경화하는 정형외과용 부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948U (ja) * 1996-02-14 1996-08-20 株式会社ミムロ 腰バンド
KR200267790Y1 (ko) * 2001-11-21 2002-03-13 정정자 허리 보호대
JP3370709B2 (ja) * 1992-11-04 2003-01-27 アルケア株式会社 腰痛帯
KR20130000452U (ko) * 2012-12-17 2013-01-18 유태우 허리보호대
KR20150001157U (ko) * 2013-09-09 2015-03-18 이광은 자세 교정용 허리밴드
KR101531760B1 (ko) * 2013-10-21 2015-06-25 장호석 이중 허리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4514A (ko) 2004-10-19 2006-04-24 류실근 에어 튜브가 부착된 허리보호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0709B2 (ja) * 1992-11-04 2003-01-27 アルケア株式会社 腰痛帯
JP3027948U (ja) * 1996-02-14 1996-08-20 株式会社ミムロ 腰バンド
KR200267790Y1 (ko) * 2001-11-21 2002-03-13 정정자 허리 보호대
KR20130000452U (ko) * 2012-12-17 2013-01-18 유태우 허리보호대
KR20150001157U (ko) * 2013-09-09 2015-03-18 이광은 자세 교정용 허리밴드
KR101531760B1 (ko) * 2013-10-21 2015-06-25 장호석 이중 허리 보호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3027948 U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01688A (zh) 2018-01-16
JP2018008004A (ja) 2018-01-18
KR20180007601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9477A (en) Knee sleeve
CA2121342C (en) Adjustable knee support
US9387111B2 (en) Wrist brace and method and components for securing the same
US5160314A (en) Wrist support
US5139476A (en) Orthotic knee wrap
US5393303A (en) Attachment for leg and foot joint
KR101878266B1 (ko)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
CN111511315B (zh) 用于使关节固定的矫形器
US20150150709A1 (en) Orthosis
US11259947B2 (en) Ankl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434000B2 (en) Joint-support device
CA1133349A (en) Ankle brace
KR20160059130A (ko) 허리 보호대용 의료기구
KR200332838Y1 (ko) 척추 교정용 에어 벨트
KR20090063297A (ko) 목 보조기
KR101883805B1 (ko) 의료용 부목
US20130317404A1 (en) Ankle joint orthosis
KR102354144B1 (ko) 허리 보호대
KR102415595B1 (ko) 허리 보호대 시스템
KR200197588Y1 (ko) 요추 골절 및 이탈 고정용 허리 보조기
KR100954440B1 (ko) 무릎 보호대
JP2017064089A (ja) ルームシューズ
KR20100005467A (ko) 허리지지용 에어 고정장치
KR20090017102A (ko) 휜다리 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