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427B1 -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 Google Patents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427B1
KR100989427B1 KR1020100060444A KR20100060444A KR100989427B1 KR 100989427 B1 KR100989427 B1 KR 100989427B1 KR 1020100060444 A KR1020100060444 A KR 1020100060444A KR 20100060444 A KR20100060444 A KR 20100060444A KR 100989427 B1 KR100989427 B1 KR 10098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velcro
layer
pile
fracture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주)한동알앤씨
한국신기술산업(주)
에스씨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알앤씨, 한국신기술산업(주), 에스씨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주)한동알앤씨
Priority to KR1020100060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는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어 골절 부위의 상부에 덮히는 상부깁스와 골절 부위의 하부에 덮히는 하부깁로 구성되며, 상기 깁스는 직접 골절 부위의 피부와 맞닿아 피부를 보호하는 내피층와, 최상층에 위치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는 캐스트층과, 상기 내피층과 캐스트층의 중앙에 위치하여 인체에 충격을 완화해주는 쿠션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깁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깁스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파일(Pile)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파일벨크로(Pile Velcro)가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깁스에는 상기 하부깁스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고리 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상부 고리벨크로(Hook Velcro)가 반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층은 실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1/100~1/150 배인 극세사인 폴리에스테르 재질이 사용되며, 상기 캐스팅층은 폴리우레탄 레진이 중량비 5~30% 함유된 유리섬유 재질이 사용되고, 상기 쿠션층은 3~7mm 두께의 우레탄형 스펀지 재질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는 상부깁스와 하부깁스로 분리될 수 있어, 통풍이나 치료가 필요 시 언제라도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며, 결합 시에는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고, 완전 고정이 불필요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골절부위(염좌, 좌상, 단순골절) 및 활동성을 가지는 운동선수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Gip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본 발명은 골절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깁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전 고정이 불필요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골절부위(염좌(sprains), 좌상(strains), 단순골절(minor fractures)등) 및 활동성을 가지는 운동선수에게 적용하거나, 1차 완전 고정 후 약 1~2달이 경과한 후 완전 고정 깁스를 해체하고 2차 깁스 시 필요한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각종 사고 등에 의하여 뼈 부분에 골절이 일어나면 그 부분을 치료하고 부목을 대어 치료부위가 고정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깁스를 하게 된다.
상기 깁스는 먼저 내피를 환자의 피부에 대고 상기 내피 주위를 탈지면 등으로 감는다. 그리고 다시 상기 탈지면 위에 통칭 캐스팅 테이프(Casting tape) 또는 깁스붕대라 부르는 석고 재료가 도포된 붕대를 감게 된다.
상기 깁스붕대는 일정시간이지난 후 경화되게 되어 환자의 치료부위는 단단하게 고정되어 완치될 때까지 안전하게 되는 것이다.
부언해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골절 환자에게 시술되는 깁스는 소석고(燒石膏)의 분말에 물을 가하면 신속하게 굳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서 주로 정형 외과 분야의 치료에 사용된다.
이러한 깁스 시술은 붕대에 분말 석고를 묻혀 두고, 사용하기 이전에 소명반(燒明礬)을 가한 42~43℃의 온수에 담근 후 신체의 골절된 부위에 약 0.5cm 두께로 감은 상태로 대기 중에 약 20분이 경과하면 붕대가 단단하게 굳는데, 이것을 '깁스 붕대' 라고 한다.
이러한 깁스 붕대는 크게 직접 몸에 감는 깔개 없는 깁스 붕대와 미리 깔개로 솜이나 헝겊을 감아서 직접 몸에 닿지 않도록 하는 깔개 있는 깁스 붕대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전자인 깔개 없는 깁스 붕대는 골절 부위를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안 되는 경우에 사용하고, 일반적으로는 후자인 깔개 있는 깁스 붕대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깁스는 환자의 피부를 완전히 감싸 통풍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장시간 깁스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답답함 및 가려움증을 느끼게 되며, 특히 깔개 없는 깁스 붕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석고와 피부가 장시간 접해 있음으로 인해 수포(Blister) 등의 2차 피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깁스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붕대를 촘촘히 감는 기술이 필요하여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숙달된 전문가만이 시술 가능하다. 따라서, 병원이 없는 오지나 낙도에서 골절상을 입은 경우에는 깁스 시술이 어렵게 되어 환자의 상태가 더욱 악화되거나 통증이 더욱 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깁스를 하고 있는 시간은 2달 이상의 상당한 기간을 요하게 된다. 또한, 깁스로 감싼 부분에 대해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여름철과 같이 특히 땀이 많이 나게 되고 가려움증 등이 발생하게 된다. 심지어 피부와 깁스붕대 사이에 이와 같은 해충이 발생되어 환자의 건강을 해치기도 한다.
또한, 통상의 정형외과용 경질 캐스팅 테이프는 날카로운 에지로 인해 피부에 찰상을 일으키거나 옷이 걸려 찢어질 수 있으므로 피부와 캐스팅 테이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에지에 패딩 재료를 사용해야만 하며, 시술후 캐스트 쏘(cast saw)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으며, 완전 고정이 불필요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골절부위(염좌, 좌상, 단순골절) 및 활동성을 가지는 운동선수에게 적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완전 고정이 필요없는 골절 부위나 완전 고정 후 1~2달 이후에 2차 깁스를 할 때 상부깁스와 하부깁스로 분리될 수 있고, 통풍이나 치료가 필요 시 언제라도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며 결합 시에는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는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는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어 골절 부위의 상부에 덮히는 상부깁스와 골절 부위의 하부에 덮히는 하부깁스로 구성되며, 상기 깁스는 직접 골절 부위의 피부와 맞닿아 피부를 보호하는 내피층와, 최상층에 위치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는 캐스트층과, 상기 내피층과 캐스트층의 중앙에 위치하여 인체에 충격을 완화해주는 쿠션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깁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깁스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파일(Pile)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파일벨크로(Pile Velcro)가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깁스에는 상기 하부깁스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고리 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상부 고리벨크로(Hook Velcro)가 반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피층은 실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1/100~1/150 배인 극세사인 폴리에스테르 재질이 사용되며, 상기 캐스트층 폴리우레탄 레진이 중량비 5~30% 함유된 유리섬유 재질이 사용되고, 상기 쿠션층은 3~7mm 두께의 우레탄형 스펀지 재질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는 상부깁스와 하부깁스로 분리될 수 있어, 통풍이나 치료가 필요 시 언제라도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며, 결합 시에는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고, 완전 고정이 불필요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골절부위(염좌, 좌상, 단순골절) 및 활동성을 가지는 운동선수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의 상부깁스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깁스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깁스 사시도 밀 일부 단면도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는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어 골절 부위의 상부에 덮히는 상부깁스(1)와 골절 부위의 하부에 덮히는 하부깁스(2)로 구성된다.
상기 깁스(G)는 직접 골절 부위의 피부와 맞닿아 피부를 보호하는 내피층(G1)와, 최상층에 위치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는 캐스트층(G3)과, 상기 내피층(G1)과 캐스트층(G3)의 중앙에 위치하여 인체에 충격을 완화해주는 쿠션층(G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깁스(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깁스(1)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파일(Pile)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파일벨크로(21)(Pile Velcro)가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깁스(1)에는 상기 하부깁스(2)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고리 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가 반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깁스(1)와 하부깁스(2)의 결합력과 골절 부위의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깁스(2)의 상기 파일벨크로(21)(Pile Velcro) 하부의 동일 선상에 반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하부 고리벨크로(22)(Hook Velcro)가 형성되며, 상기 파일벨크로(21)(Pile Velcro)는 상기 하부 고리벨크로(22)(Hook Velcro)까지 감쌀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파일벨크로(21)(Pile Velcro)는 리벳 압착부재(31)를 사용하여 상기 하부깁스(2)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 및 하부 고리벨크로(22)(Hook Velcro)는 1차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 후 양단을 상기 리벳 압착부재(31)로 상기 상부깁스(1) 및 하부깁스(2)에 부착되는 고정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내피층(G1)은 실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1/100~1/150 배인 극세사인 폴리에스테르 재질이 사용되며, 상기 캐스트층(G3)은 폴리우레탄 레진이 중량비 5~30% 함유된 유리섬유 재질이 사용되고,상기 쿠션층(G2)은 3~7mm 두께의 스펀지 재질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의 상부깁스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깁스 사시도 및 일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깁스 사시도 밀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는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어 골절 부위의 상부에 덮히는 상부깁스(1)와 골절 부위의 하부에 덮히는 하부깁스(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깁스의 제조는 1차 완전 고정을 위한 깁스가 아니고 2차 깁스 때필요한 제품이거나 완전 고정을 위한 골절 부위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골절 부위의 본을 떠서 캐스팅하여 제조하든지, 형태는 환자마다 대동소이하므로 환자의 체형과 부위별로 여러가지 사이즈로 프리캐스팅하여 미리 제작할 수 있다.
도 2, 3, 4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깁스(G)는 직접 골절 부위의 피부와 맞닿아 피부를 보호하는 내피층(G1)와, 최상층에 위치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는 캐스트층(G3)과, 상기 내피층(G1)과 캐스트층(G3)의 중앙에 위치하여 인체에 충격을 완화해주는 쿠션층(G2)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피층(G1)은 피부와 직접 닿으므로 피부에 접촉감이 좋고 수분도 더 잘 흡수하는 실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1/100~1/150 배인 극세사인 폴리에스테르 재질이 사용한다.
상기 캐스트층(G3)은 폴리우레탄 레진이 중량비 5~30% 함유된 유리섬유 재질을 사용한다.
폴리우레탄 레진이 중량비 5~30% 함유된 유리섬유 재질은 가볍고 튼튼하며 뛰어난 몰딩효과를 가지고 탁월한 통풍성과 X-Ray 투과성을 환자에게 편리함과 부드러움 느낌을 제공한다.
상기 쿠션층(G2)은 3~7mm 두께의 우레탄형 스펀지 재질이 사용되어 인체에 충격을 완화시켜줘야 한다.
상기 깁스에는 다수 개의 파일벨크로(21)(Pile Velcro)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깁스(1)과 하부깁스(2)를 결합하거나 분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벨크로의 박리강도는 0.1kgf/㎠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상부깁스(1)는 골절 부위의 상부에 덮히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깁스(1)에는 상기 하부깁스(2)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고리 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가 반원주 방향으로 부착되며,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의 수량은 적어도 3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는 강도 확보와 취급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를 위해 폭이 3cm ~ 6cm 인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는 상기 상부깁스(1)의 반원주 전체를 다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깁스(1)에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의 부착 방법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 후 양단을 상기 리벳 압착부재(31)로 고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벳 압착부재(31)는 상부에 압침과 같은 둥근 머리 부분이 있고 삽입하여 눌러서 압착하면 하부 부분이 넓어져서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방법의 부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상기 리벳 압착부재(31)가 직접 인체에 닿지 않게 상기 캐스트층(G3)에만 리벳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한 상기 하부깁스(2)는 골절 부위의 하부에 덮히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깁스(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깁스(1)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파일(Pile)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파일벨크로(21)(Pile Velcro)가 띠 형상으로 원주 방향으로 마주 보고 부착되며, 상기 상부깁스(1)의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와 일직선 상에 부착되어 일직선상에서 결합되도록 해야 하고 상술한 것 같이 강도 확보와 취급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를 위해 폭이 3cm ~ 6cm 인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는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 길이의 1/2 이 되어 양쪽에서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에 결합되어야 한다.
상기 파일벨크로(21)(Pile Velcro)의 부착 방법은 리벳 압착부재(31)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벳 압착부재(31)는 상부에 압침과 같은 둥근 머리 부분이 있고 삽입하여 눌러서 압착하면 하부 부분이 넓어져서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방법의 부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상기 리벳 압착부재(31)가 직접 인체에 닿지 않게 상기 캐스트층(G3)에만 리벳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한 상기 하부깁스(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깁스(1)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파일(Pile)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파일벨크로(21)(Pile Velcro)가 띠 형상으로 원주 방향으로 마주 보고 부착되며, 추가로 상기 상부깁스(1)와 하부깁스(2)의 결합력과 골절 부위의 고정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깁스(2)의 상기 파일벨크로(21)(Pile Velcro) 하부의 동일 선상에 반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의 하부 고리벨크로(22)(Hook Velcro)가 부착되며, 상기 파일벨크로(21)(Pile Velcro)는 상기 하부 고리벨크로(22)(Hook Velcro)까지 감쌀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파일벨크로(21)(Pile Velcro)를 상기 하부깁스(2)에 부착하는 방법은 리벳 압착부재(31)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벳 압착부재(31)는 상부에 압침과 같은 둥근 머리 부분이 있고 삽입하여 눌러서 압착하면 하부 부분이 넓어져서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방법의 부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상기 리벳 압착부재(31)가 직접 인체에 닿지 않게 상기 캐스트층(G3)에만 리벳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고리벨크로(22)(Hook Velcro)를 상기 하부깁스(2)에 부착하는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접착제를 사용한 후 양단을 상기 리벳 압착부재(31)로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며, 상기 리벳 압착부재(31)로 고정하는 방법도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다.
전술한 것 같이 본 발명의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에 따르면 상부깁스와 하부깁스로 분리될 수 있어, 통풍이나 치료가 필요 시 언제라도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며, 결합 시에는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고, 완전 고정이 불필요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골절부위(염좌, 좌상, 단순골절) 및 활동성을 가지는 운동선수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G : 깁스 G1 : 내피층
G2 : 쿠션층 G3 : 캐스트층
1 : 상부깁스 11 : 상부 고리벨크로
2 : 하부깁스 21 : 파일벨크로
22 : 하부 고리벨크로 31 : 리벳 압착부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깁스(G)에 있어서,
    상기 깁스(G)는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어 골절 부위의 상부에 덮히는 상부깁스(1)와 골절 부위의 하부에 덮히는 하부깁스(2)로 구성되며,
    상기 깁스(G)는 직접 골절 부위의 피부와 맞닿아 피부를 보호하는 내피층(G1)와, 최상층에 위치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는 캐스트층(G3)과, 상기 내피층(G1)과 캐스트층(G3)의 중앙에 위치하여 인체에 충격을 완화해주는 쿠션층(G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깁스(2)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깁스(1)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파일(Pile)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파일벨크로(21)(Pile Velcro)가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깁스(1)에는 상기 하부깁스(2)와의 결합 및 해체를 위하여 고리 모양의 보풀이 있는 다수 개의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가 반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피층(G1)은 실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1/100~1/150 배의 극세사인 폴리에스테르 재질이 사용되며,
    상기 캐스트층(G3)은 폴리우레탄 레진이 중량비 5~30% 함유된 유리섬유 재질이 사용되고,
    상기 쿠션층(G2)은 3~7mm 두께의 우레탄형 스펀지 재질이 사용되며,
    상기 파일벨크로(21)(Pile Velcro)는 리벳 압착부재(31)를 사용하여 상기 하부깁스(2)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Hook Velcro)는 1차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 후 양단을 상기 리벳 압착부재(31)로 상기 상부깁스(1)에 부착되는 구조이며,
    상기 파일벨크로(21) 및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에 사용되는 벨크로의 박리강도는 0.1kgf/㎠ 이상인 것이고,
    상기 파일벨크로(21) 및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의 폭은 3cm ~ 6cm이며,
    상기 파일벨크로(21) 및 상기 상부 고리벨크로(11)에 상기 리벳 압착부재(31)를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 리벳 압착부재(31)가 직접 인체에 닿지 않게 상기 캐스트층(G3)에만 리벳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KR1020100060444A 2010-06-25 2010-06-25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KR100989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44A KR100989427B1 (ko) 2010-06-25 2010-06-25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444A KR100989427B1 (ko) 2010-06-25 2010-06-25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427B1 true KR100989427B1 (ko) 2010-10-28

Family

ID=4313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444A KR100989427B1 (ko) 2010-06-25 2010-06-25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4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221B1 (ko) * 2014-08-06 2015-12-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환부 고정용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94805B1 (ko) * 2016-05-31 2017-01-10 김충환 다리 보호대
KR101694798B1 (ko) * 2016-02-29 2017-01-11 김충환 다리 보호대
KR20170107885A (ko) * 2016-03-16 2017-09-26 김충환 다리 보호대
CN108433858A (zh) * 2018-03-20 2018-08-24 王栋 一种骨科临床使用的多功能夹板
KR20190111567A (ko) 2018-03-23 2019-10-02 김진갑 깁스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5565A (en) * 1973-12-05 1976-05-11 Johnson Jr Glenn W Orthopedic apparatus
JPH1147185A (ja) * 1997-08-05 1999-02-23 Noritake Co Ltd 医療用ギプス
KR19990015871A (ko) * 1997-08-11 1999-03-05 백정호 신체고정용 부목재
KR100693221B1 (ko) * 2005-01-06 2007-03-14 주식회사 티앤엘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5565A (en) * 1973-12-05 1976-05-11 Johnson Jr Glenn W Orthopedic apparatus
JPH1147185A (ja) * 1997-08-05 1999-02-23 Noritake Co Ltd 医療用ギプス
KR19990015871A (ko) * 1997-08-11 1999-03-05 백정호 신체고정용 부목재
KR100693221B1 (ko) * 2005-01-06 2007-03-14 주식회사 티앤엘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221B1 (ko) * 2014-08-06 2015-12-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환부 고정용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94798B1 (ko) * 2016-02-29 2017-01-11 김충환 다리 보호대
KR20170107885A (ko) * 2016-03-16 2017-09-26 김충환 다리 보호대
KR102472598B1 (ko) 2016-03-16 2022-11-29 김충환 다리 보호대
KR101694805B1 (ko) * 2016-05-31 2017-01-10 김충환 다리 보호대
CN108433858A (zh) * 2018-03-20 2018-08-24 王栋 一种骨科临床使用的多功能夹板
KR20190111567A (ko) 2018-03-23 2019-10-02 김진갑 깁스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427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KR101417682B1 (ko)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TW553740B (en) Curable adhesive splints and methods
CN205515077U (zh) 一种下肢皮牵引防旋丁字一体鞋
US7914476B2 (en) Pediatric digital wrap
US20120004586A1 (en) Elbow Brace
US8852132B2 (en) Device and method for analgesic immobilization of fractured ribs
US20100004576A1 (en) Finger Splint Device for Preventing Contractures and the Lik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90072750A (ko) 깁스용 양말
KR200444034Y1 (ko) 손가락 보조기
KR200464890Y1 (ko) 환부긁음을 방지하기 위한 환자 손목고정구
ITFI20150009U1 (it) Tutore per la mano
JP2014503245A (ja) 成形可能な損傷治療器具及び方法
CN206896436U (zh) 脑外科康复辅助器
US20230172761A1 (en) Self-adhesive flexible bandages for joints
KR200363845Y1 (ko) 지지판이 구비된 의료용 복대
CN210521278U (zh) 一种针对重症监护病人专用的上肢垫
KR101584326B1 (ko) 애완견의 다리 골절 치료용 피복
CN214511524U (zh) 一种头颅创伤术后伤口治疗头套
KR20230149116A (ko) 의료용 부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부목 어셈블리
US20160193071A1 (en) Pressure sor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CN203089543U (zh) 医用加压包扎带
CN210384175U (zh) 医用防滑冰袋套
KR200458432Y1 (ko) 팔꿈치 부위에 적용되는 리해빌리 테이핑 키트
KR200351239Y1 (ko) 의료용 복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