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750A - 깁스용 양말 - Google Patents

깁스용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750A
KR20190072750A KR1020170173786A KR20170173786A KR20190072750A KR 20190072750 A KR20190072750 A KR 20190072750A KR 1020170173786 A KR1020170173786 A KR 1020170173786A KR 20170173786 A KR20170173786 A KR 20170173786A KR 20190072750 A KR20190072750 A KR 20190072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sock
casting
skin
ventil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진
Original Assignee
김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진 filed Critical 김윤진
Priority to KR1020170173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2750A/ko
Publication of KR2019007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61F13/043Shoe-like cast covers; Cast soc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61F13/046Incorporated ventilation or coo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4Bandage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개시되는 깁스용 양말은, 환자의 환부와 접촉하며, 피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성 섬유를 적어도 2 종류 이상 혼용하여 제직하되, 그물망 형태의 마름모꼴형 망사 구멍이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피부 보호대; 상기 피부 보호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깁스 사이에 땀이나 노폐물을 흡수하는 내면 지지깁스와, 내면 지지깁스의 외측면을 감싸며,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내측 통풍채널과, 깁스의 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밀착 보강부와, 깁스용 양말의 1차 강성을 제공하는 내측 강성 보강부가 구성된 내측 지지깁스; 및 상기 내측 지지깁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수경성 경화액이 함침되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 통풍채널과, 이 외측 통풍채널(310)과 연결 구성되어 소정의 신축력을 제공하는 밀착 보강부가 형성되며, 외측 일면에는 커터날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커터부와, 커터부의 양측에 구성되어 깁스용 양말의 2차 강성을 제공하는 외측 강성 보강부가 형성된 외측 지지깁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강성 보강부는 그 양측으로 내측 통풍채널 및 내면 지지깁스와 고정되도록 내측 몰딩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깁스용 양말{Socks for medical cast}
본 발명(Disclsoure)은, 깁스용 양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2층 구조로 이루어진 깁스용 양말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골절환자의 깁스 시술은 피부와의 접촉부위에 피부보호용천(스타키넷)을 씌우고 그 위에 솜붕대를 감은 후 석고붕대나 수경화형 캐스팅 테이프 등을 수회 감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처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깁스 시술의 경우 피부보호용천 위에 솜붕대가 일정두께로 수차례 중복하여 나선모양으로 감겨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떨어지면서 환부에서 발생되는 땀의 배출이 원활치 못하는 등 환자는 가려움중이나 답답함을 느끼게 되고, 피부 짓무름 및 수포 등의 2차 감염의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깁스 시술은 깁스 면사를 이용하여 대부분 얇은 태입형 유리섬유나 폴리에스텔사에 경화액을 함침시켜 환부에 여러겹으로 겹침으로 인하여, 시술자의 시술방법에 따라 감기는 압력이나 두께가 불규칙적으로 감기게 되어 환자가 고른 압박이 아닌 부분적으로 다른 압박을 받아 혈액순환의 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으며, 시술이 복잡하고 피부보호대로는 스타키넷과 솜붕대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피부와의 통풍성이 거의 없으므로 가려움증과 갑갑함, 불청결, 심한 악취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93221호 (2007.03.05.)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깁스의 피부 보호대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독립된 셀을 갖는 동시에 폴리우레탄 폼을 사이에 두고 위아래 무공형 필름과 다공형 필름이 적층되는 시트형태를 기본 바탕으로 하면서 신체 환부의 굴곡형상에 맞는 자루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시트형태를 기본 바탕으로 하는 자루형태는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네손가락을 각각 끼울 수 있는 동시에 양단부가 뚫려 있고 손목 부위를 감싸면서 손등 및 팔꿈치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길다란 장갑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깁스용 양말은 시술 후, 통풍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환자가 가려움으로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고, 장기간 깁스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깁스 부위로부터 발생하는 땀 등의 수분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심각한 악취와 피부 발진 등의 상처가 동반됨은 물론, 신체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면서 깁스의 표면층이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하여 깁스의 치료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3221호
본 발명(Discloure)은, 2중으로 구성된 스타킹 타입으로 제조함으로써, 깁스의 시술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시술 정확도를 향상시켜 깁스용 양말의 시술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환부와 무관하게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깁스용 양말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깁스용 양말은, 환자의 환부와 접촉하며, 피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성 섬유를 적어도 2 종류 이상 혼용하여 제직하되, 그물망 형태의 마름모꼴형 망사 구멍이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피부 보호대; 상기 피부 보호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깁스 사이에 땀이나 노폐물을 흡수하는 내면 지지깁스와, 내면 지지깁스의 외측면을 감싸며,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내측 통풍채널과, 깁스의 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밀착 보강부와, 깁스용 양말의 1차 강성을 제공하는 내측 강성 보강부가 구성된 내측 지지깁스; 및 상기 내측 지지깁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수경성 경화액이 함침되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 통풍채널과, 이 외측 통풍채널(310)과 연결 구성되어 소정의 신축력을 제공하는 밀착 보강부가 형성되며, 외측 일면에는 커터날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커터부와, 커터부의 양측에 구성되어 깁스용 양말의 2차 강성을 제공하는 외측 강성 보강부가 형성된 외측 지지깁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강성 보강부는 그 양측으로 내측 통풍채널 및 내면 지지깁스와 고정되도록 내측 몰딩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통기성을 가지도록 통기채널이 형성되어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고, 특수 면사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우수한 투과성을 제공할 수 있어 X-Ray 투과성을 향상시켜 미세한 골 유합의 진행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체의 각 관절 및 굴곡 부분에 접힘 현상이 없도록 강력한 밀착력을 제공하고, 지지체 및 피부 보호대에 강성 보강수단이 구성되어 신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깁스용 양말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깁스 제거시 커팅날에 의해 환자의 피부에 발생하는 상처 및 깁스용 양말와 피부와의 직접적인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상처를 방지하여 2차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킹 타입으로 제조되는 깁스용 양말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무늬 및 색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의 착용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의 착용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깁스용 양말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의 착용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의 착용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깁스용 양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깁스용 양말은 신체 부위 중 팔이나 다리의 골절 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피부 보호대(100) 및 내측 지지깁스(200)와, 외측 지지깁스(300)로 이루어진 깁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부 보호대(100)는 시술이 이루어지는 신체 부위 중 손목, 또는 발목과 같은 관절부위의 신축성을 향상시키고, 피부와의 밀착력을 극대화하고, 수분의 흡수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통풍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텔사와 스판 카바링사,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사, 코아텍스, 올린핀사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적어도 2 종류 이상 혼용하여 제작하되, 그물망 형태의 마름모꼴형 망사 구멍이 형성되도록 제조함으로써, 균일한 통풍구를 확보함과 동시에 혈행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성 및 복원성을 가지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피부 보호대(100)는 섬유 표면에 미세 박테리아가 서식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전술한 기능성 섬유와 살균제 및 향균제를 배합하고, 방수 코팅제를 혼합함으로써, 섬유 자체에 살균 및 항균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피부 보호대(100)는 내겹(110)과 외겹(120)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내겹(110)은 사용자 즉,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외겹(120)은 깁스의 내측 지지깁스(200), 또는 외측 지지깁스(300) 중 어느 하나의 내면을 이루는 면사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내겹(110)에 의해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고, 외겹(120)으로부터 규손열에 의한 충격을 커버함과 동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내측 지지깁스(200)는 피부 보호대(100), 또는 환자의 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피부 보호대(100)가 환자의 피부에 더욱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깁스의 1차 강성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발명의 내측 지지깁스(200)는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면 지지깁스(202)와, 외면 지지깁스(204)로 구성되어 내면 지지깁스(202)는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외면 지지깁스(204)는 깁스용 양말의 외측 지지깁스(300)의 내면을 이루는 면사와 접하도록 구성되어 내측 지지깁스(200)의 내면을 이루는 내면 지지깁스(202)가 피부 보호대(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이 피부 보호대(100)의 역할을 동시해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깁스용 양말은 피부 보호대(100)를 환자의 환부 위치, 또는 골절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시술의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내측 지지깁스(200)의 내면 지지깁스(202)는 깁스 사이에 땀이나 노폐물이 남이 있지 않도록 하여 환부에 잡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각종 염증, 가려움증, 붉은 반점 및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깁스(200)의 외면 지지깁스(204)는 내면 지지깁스(20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측 통풍채널(210)이 형성되며, 환자의 관절 부분에는 깁스의 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밀착 보강부(240)가 적어도 2개 이상 복수 구성된다.
여기서, 내측 통풍채널(210)은 그물망 형태의 마름모꼴형 망사 구멍으로 형성되며, 망사 구멍의 넓이는 0.6mm의 넓이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외면 지지깁스(204)의 상측 및 하측 단부에는 스판사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 압력을 제공하여 내측 지지깁스(200)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환부, 또는 피부 보호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시보리 단부(250)가 구성된다.
또한, 외면 지지깁스(204)의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깁스용 양말의 1차 강성을 제공하는 내측 강성 보강부(220)가 구성되고, 이 내측 강성 보강부(220)는 양측으로 내측 몰딩부(230)를 통해 내측 통풍채널(210) 및 내면 지지깁스(202)와 고정된다.
즉, 내측 통풍채널(210)는 내측 지지깁스(200)를 이루는 내면 지지깁스(202)와 외면 지지깁스(204)를 일체로 구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고탄성력을 가지는 내측 강성 보강부(220)를 고정시켜 환자의 환부, 관절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특히, 환자의 환부가 발목, 다리와 같은 신체의 하중을 집중되는 부위인 경우, 내측 몰딩부(230)에서 내측 강성보강부(220)를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이 내측 강성 보강부(220)를 통해 환자의 환부측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환부가 더욱 신속하게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측 지지깁스(200)는 환자의 인체 구조에 따라 파이프형, 통발식형, 사다리꼴형, 항아리형, 부채꼴형, 튜브형, 팔, 다리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외측 지지깁스(300)는 내측 지지깁스(200)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수경성 경화액을 함침시켜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둘레면을 따라 외측 통풍채널(310)이 형성되며, 이 외측 통풍채널(310)과 연결 구성되어 소정의 신축력을 제공하여 환자의 관절부가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밀착 보강부(340)가 외측 통풍채널(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1개 이상 복수 구성된다.
여기서, 외측 통풍채널(310)은 폴리에스텔사와 스판 카바링사,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사, 코아텍스, 올린핀사와 같은 기능성 섬유를 적어도 2 종류 이상 혼용하여 제직하며, 그물망 형태의 마름모꼴형 망사 구멍으로 형성하되, 망사 구멍의 넓이는 0.2mm ~ 0.5mm의 넓이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측 지지깁스(300)에는 내측 지지깁스(200)와 마찬가지로 상측 및 하측 단부에 깁스용 양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시보리 단부(350)가 구성된다.
아울러, 외측 지지깁스(300)의 외측 일면에는 깁스용 양말을 제거하기 위해 커터날이 접촉되며, 이 커터날의 진행방향을 안내하여 깁스용 양말을 제거할 때 환자의 피부, 또는 환부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터부(360)가 형성되고, 이 커터부(360)의 양측으로는 외측 지지깁스(300)의 강성을 보강하는 한편, 깁스용 양말의 2차 강성을 제공하는 외측 강성 보강부(320)와, 이 외측 강성 보강부(320)를 몰딩 처리하는 외측 몰딩부(330)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외측 지지깁스(300)는 내측 지지깁스(2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환자의 인체 구조에 따라 파이프형, 통발식형, 사다리꼴형, 항아리형, 부채꼴형, 팔, 다리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외측 지지깁스(300)의 외면에는 외측 통풍채널(310)의 제조시,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다양한 색상을 입히거나, 다양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문구 및 장식구를 직조하여 보다 미려한 깁스용 양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깁스용 양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보호대(100), 또는 내측 지지깁스(200)가 환자의 환부를 감싸면서 착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후 외측 지지깁스(300)를 2중으로 내측 지지깁스(200)의 외측부를 감싸듯이 펴면서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깁스용 양말의 시술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환부와 무관하게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깁스용 양말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깁스(200)와 외측 지지깁스(300)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를 가지면서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내측 지지깁스(200)의 상단부에 구성된 시보리 단부(250)와, 외측 지지깁스(300)의 상단부에 구성된 시보리단부(35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410)을 통해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서로 대칭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시술시, 내측 지지깁스(200)를 외측 지지깁스(300)의 내면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2중으로 구성된 깁스용 양말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이를 환자의 환부, 또는 피부 보호대(100)의 외측으로 말아 올리듯이 착용시켜 깁스용 양말의 시술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골절 부위가 하체측 다시말해 무릎, 발목, 발가락 등에 발생한 경우, 깁스의 착용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목부분 및 발뒤꿈치 부분이 일체로 구성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그 형상이 양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자의 골절부의 보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발목부분과 발뒤꿈치 부분의 깁스 조직형상을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직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내측 지지깁스(200)와 외측 지지깁스(300)가 서로 겹치는 것을 방지하여 깁스의 시술이 간편하여 더욱 편리하게 착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측 지지깁스(200) 또는 외측 지지깁스(300) 중 어느 하나에는 탈착부(510)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탈착부(510)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관하나, 본 발명에서는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되어 환자의 환부를 감싸듯이 착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깁스용 양말의 시술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환부와 무관하게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탈착부(510)가 내측 지지깁스(200)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환자의 환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환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제공하여 편안하게 깁스를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의 각 관절 및 굴곡 부분에 접힘 현상이 없도록 강력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측 지지깁스(300)에 탈착부(510)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깁스용 양말의 시술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환부와 무관하게 균일한 압력을 제공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깁스용 양말은 피부 보호대(100)의 제작시, 환자 피부와의 접촉 부분에 먼지세균, 아토피성피부염을 발생시키는 공기 부유세균, 병원성 세균, 돌연변이성 박테리아가 서식하는 것을 차단하여 피부 가려움증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치료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도록 원적외선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피부 보호대(100)의 제작이 완료되면, 이 피부 보호대(100)를 원적외선 발생기에 투입하거나, 무기광물질을 미세분말화, 또는 액상화하여 피부 보호대(100)에 투입시켜, 원적외선이 피부 보호대(100)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환자가 제품 착용시에 골절 부위의 접합, 각종 상처 및 질병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피부 보호대(100)의 표면에 2㎛ ~ 5㎛ 입자 크기를 가지는 합성 제올라이트(Synthetic Zeolite)와, 이산화티타늄(TiO2), 루틸(Rutil), 아나타제(Anatase), 부루카이트(Brookite), 칼슘(Ca) 천연미네랄(Natural mineral) 세리사이트(Serici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합성 광 촉매제를 일정 중량으로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 조성물의 도포하여 원적외선의 방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혼합 조성물은 총 중량에 있어서, 합성 제올라이트 10 ~ 40중량%, 이산화티타늄 5 ~ 8중량%, 루틸 8 ~ 10중량%, 아나타제12 ~ 17중량%, 부루카이트15 ~ 20중량%, 칼슘7 ~ 14중량%, 천연미네랄5 ~ 8중량%, 세리사이트8 ~ 13중량%를 혼합한 혼합 조성물로 구성된다.
또한, 합성 광 촉매제(Synthetic Photo Catalysts)는 0.2㎛ ~ 0.3㎛ 로 박분화하여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여 합성 제올라이트와 혼합이 이루어지며, 혼합이 완료되면, 이 합성 조성물을 원적외선 발생기에 투입하여 도포 및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합성 제올라이트, 합성 광 촉매체 및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깁스용 양말에 있어서,
    환자의 환부와 접촉하며, 피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성 섬유를 적어도 2 종류 이상 혼용하여 제직하되, 그물망 형태의 마름모꼴형 망사 구멍이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피부 보호대;
    상기 피부 보호대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깁스 사이에 땀이나 노폐물을 흡수하는 내면 지지깁스와, 내면 지지깁스의 외측면을 감싸며,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내측 통풍채널과, 깁스의 신축성을 향상시키는 밀착 보강부와, 깁스용 양말의 1차 강성을 제공하는 내측 강성 보강부가 구성된 내측 지지깁스; 및
    상기 내측 지지깁스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수경성 경화액이 함침되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 통풍채널과, 이 외측 통풍채널(310)과 연결 구성되어 소정의 신축력을 제공하는 밀착 보강부가 형성되며, 외측 일면에는 커터날의 진행방향을 안내하는 커터부와, 커터부의 양측에 구성되어 깁스용 양말의 2차 강성을 제공하는 외측 강성 보강부가 형성된 외측 지지깁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강성 보강부는 그 양측으로 내측 통풍채널 및 내면 지지깁스와 고정되도록 내측 몰딩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양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통풍채널은 그물망 형태의 마름모꼴형 망사 구멍으로 형성되며, 망사 구멍의 넓이는 각각 0.6mm 및 0.2mm ~ 0.5mm의 넓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양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깁스의 상측 및 하측 단부에는 스판사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 압력을 제공하는 시보리 단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양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강성 보강부는 그 양측으로 외측 통풍채널 및 커팅부와 고정되도록 외측 몰딩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양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지지깁스의 표면에는 색상, 문구 또는 장식구 중 적어도 둘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양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깁스와 외측 지지깁스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를 가지도록 연결라인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서로 대칭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양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깁스 또는 외측 지지깁스 중 어느 하나에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는 탈착부가 구성되어 환자의 환부를 감싸듯이 착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양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깁스 및 외측 지지깁스는 환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 파이프형, 통발식형, 사다리꼴형, 항아리형, 부채꼴형, 튜브형, 팔, 다리형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용 양말.
KR1020170173786A 2017-12-18 2017-12-18 깁스용 양말 KR20190072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86A KR20190072750A (ko) 2017-12-18 2017-12-18 깁스용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786A KR20190072750A (ko) 2017-12-18 2017-12-18 깁스용 양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750A true KR20190072750A (ko) 2019-06-26

Family

ID=6710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786A KR20190072750A (ko) 2017-12-18 2017-12-18 깁스용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27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186A (ko) 2021-07-08 2023-01-17 윤다혜 Diy 석고보드 방향제
KR20230009183A (ko) 2021-07-08 2023-01-17 장은수 Diy 석고보드 방향제
KR20230030872A (ko) 2021-08-26 2023-03-07 김상윤 Diy 석고보드 방향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221B1 (ko) 2005-01-06 2007-03-14 주식회사 티앤엘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221B1 (ko) 2005-01-06 2007-03-14 주식회사 티앤엘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186A (ko) 2021-07-08 2023-01-17 윤다혜 Diy 석고보드 방향제
KR20230009183A (ko) 2021-07-08 2023-01-17 장은수 Diy 석고보드 방향제
KR20230030872A (ko) 2021-08-26 2023-03-07 김상윤 Diy 석고보드 방향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682B1 (ko)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AU2013280222B2 (en) Wound care articles
US20060206047A1 (en) Bandage with splint
US5415622A (en) Easily removed tubular cast assembly and method for removing a cast
US6478761B2 (en) Rollable body part protector
KR20190072750A (ko) 깁스용 양말
US8110717B2 (en) Carboxymethylated cellulosic wound dressing garment
KR101079173B1 (ko) 끼움식 피부보호 붕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2252B1 (ko)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KR100989427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US20080103424A1 (en) Pediatric Digital Wrap
CN109068763B (zh) 短袜
KR20200013396A (ko) 골절 환자 치료용 부목 및 이를 이용한 반깁스 시술방법
KR100693221B1 (ko)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KR200346054Y1 (ko) 깁스 시술용 피부보호대
US11123215B2 (en) Pressure relief apparatus for wound
KR102259084B1 (ko)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KR101578399B1 (ko) 깁스용 피부보호대
KR101077265B1 (ko) 자가점착 및 기능성 피부보호 붕대
US20110245746A1 (en) Medical cast and skin protector
JP3089202U (ja) ギブス用皮膚保護サポータ
KR102148908B1 (ko) 골절 환자용 깁스 및 이를 이용한 깁스 시술방법
KR100861993B1 (ko) 정형 외과용 부목
JP6227126B2 (ja) 股関節スパイカギプス包帯及び股関節スパイカギプス包帯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下着
JP2012065934A (ja) 吸収性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