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084B1 -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 Google Patents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084B1
KR102259084B1 KR1020190067219A KR20190067219A KR102259084B1 KR 102259084 B1 KR102259084 B1 KR 102259084B1 KR 1020190067219 A KR1020190067219 A KR 1020190067219A KR 20190067219 A KR20190067219 A KR 20190067219A KR 102259084 B1 KR102259084 B1 KR 10225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sheet
sheet portion
fixing mea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523A (ko
KR102259084B9 (ko
Inventor
안승규
Original Assignee
(주)닥터서플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닥터서플라이 filed Critical (주)닥터서플라이
Priority to KR102019006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08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084B1/ko
Publication of KR10225908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08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25Strips of substantially planar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흡한 속건사 섬유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다수개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메쉬시트와, 상기 메쉬시트의 상부 및 하부면에 적층 구성되는 통기시트를 포함하는 내측 시트부; 상기 내측 시트부의 일면에 구성되며, 보호대를 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내측 시트부의 상부면으로 적층되며, 스판 섬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원단으로 구성되고, 보호대의 길이 및 폭에 대한 면적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외측 시트부; 상기 외측 시트부의 일면에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수단; 및 상기 내측 시트부와 외측 시트부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고, 재봉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접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Breathable Medical Protector}
본 발명은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견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흡한 속건 섬유 및 스판 섬유와 같은 고강력사 원단을 통해 환부 주변으로 균일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환부의 통증이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환부와의 밀착력을 극대화시키면서 환부와 보호대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환부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장시간 보호대를 착용한다 하더라도 2차 감염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환자의 깁스 시술은 피부와의 접촉부위에 피부보호용천(스타키넷)을 씌우고 그 위에 솜붕대를 감은 후 석고붕대나 수경화형 캐스팅 테이프 등을 수회 감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처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깁스 시술의 경우 피부보호용천 위에 솜붕대가 일정두께로 수차례 중복하여 나선모양으로 감겨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떨어지면서 환부에서 발생되는 땀의 배출이 원활치 못하는 등 환자는 가려움중이나 답답함을 느끼게 되고, 피부 짓무름 및 수포 등의 2차 감염의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93221호 (20070305)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깁스의 피부 보호대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독립된 셀을 갖는 동시에 폴리우레탄 폼을 사이에 두고 위아래 무공형 필름과 다공형 필름이 적층되는 시트형태를 기본 바탕으로 하면서 신체 환부의 굴곡형상에 맞는 자루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시트형태를 기본 바탕으로 하는 자루형태는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네손가락을 각각 끼울 수 있는 동시에 양단부가 뚫려 있고 손목 부위를 감싸면서 손등 및 팔꿈치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길다란 장갑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깁스는 시술 후, 통풍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환자가 가려움으로 고통을 겪을수 밖에 없고, 장기간 깁스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깁스 부위로부터 발생하는 땀 등의 수분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심각한 악취와 피부 발진 등의 상처가 동반됨은 물론, 신체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면서 깁스의 표면층이 손상 또는 파손이 발생하여 깁스의 치료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20-0286160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인견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흡한 속건 섬유 및 스판 섬유와 같은 고강력사 원단을 통해 환부 주변으로 균일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환부의 통증이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부와의 밀착력을 극대화시키면서 환부와 보호대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환부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장시간 보호대를 착용한다 하더라도 2차 감염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 부위별로 다양하게 디자인하여 적용함으로써, 환부의 위치와 무관하게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한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한 속건사 섬유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다수개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메쉬시트와, 상기 메쉬시트의 상부 및 하부면에 적층 구성되는 통기시트를 포함하는 내측 시트부; 상기 내측 시트부의 일면에 구성되며, 보호대를 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내측 시트부의 상부면으로 적층되며, 스판 섬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원단으로 구성되고, 보호대의 길이 및 폭에 대한 면적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외측 시트부; 상기 외측 시트부의 일면에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수단; 및 상기 내측 시트부와 외측 시트부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고, 재봉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접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호대가 적용되는 환부에 따라 벨크로 타입, 밴드 타입, 또는 벨트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에는 상기 외측 시트부와 간편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시트부의 외면에는 벨크로 타입의 고정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루프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대는 팔, 팔목, 어깨, 가슴, 허리, 등, 발목, 허벅지, 엉덩이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견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흡한 속건 섬유 및 스판 섬유와 같은 고강력사 원단을 통해 환부 주변으로 균일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환부의 통증이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환부와의 밀착력을 극대화시키면서 환부와 보호대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환부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장시간 보호대를 착용한다 하더라도 2차 감염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신체 부위별로 다양하게 디자인하여 적용함으로써, 환부의 위치와 무관하게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의 시트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의료용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가 환부별로 디자인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의 시트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의료용 보호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부에 밀착되며, 우수한 통기성 및 신축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다공성 시트로 이루어지고, 환부에 위치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착용시 환부의 전체면에 대한 균일한 압력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내면부를 이루며 환부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내측 시트부(100)와, 내측 시트부(100)의 외면부에 구성되며, 보호대의 신축성 및 고정력을 제공하는 외측 시트부(200)로 구성된다.
내측 시트부(100)는 환부의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깁스가 이루어질 환부로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는 메쉬시트(110)와, 메쉬시트(110)의 상부면에 적층 구성되고, 신축사로 이루어져 보호대의 착용시 소정의 신축성을 제공하는 신축시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쉬시트(110)는 환부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의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다공성 시트로 구성되는 것으로,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소정의 신축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보호대를 착용할 때 압력의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메쉬시트(110)는 망상체와 같은 그물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흡한 속건사 섬유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흡한속건 섬유 소재는 땀의 흡수력 및 배출력이 뛰어나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땀을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서, 땀으로 인해 느끼는 불쾌감을 해소하고, 건조한 느낌을 제공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섬유로서, 섬유 집합체에 의한 모세관에 의해 물(땀)의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흡수된 물을 확산시켜 쉽게 증발되도록 한다.
흡한속건 섬유 소재는 원사의 단면이 일반적인 원형이 아닌 십자, 쌍십자, 네잎 클로버, 더블유자 등의 이형단면화, 표면형태의 변형, 중공사화 등을 통해 섬유의 공극율을 최대한 높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수성을 높여 주고나, 화학적 가공에 의해 친수성을 증가시켜 수분의 흡수, 확산, 증발 속도를 높인 섬유로서, PET, 또는 Nylon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메쉬시트(110)는 신체의 모양, 피부 굴곡에 따라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완전히 밀착을 이루도록 소정의 신축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쉬시트(110)는 그 상부 및 하부면으로 스타키넷 소재,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연질 PVC,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탄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통기시트(12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통기시트(120)는 메쉬시트(110))의 외면부를 보호하고, 상기 메쉬시트(110)와 함께 공기 순환, 압력 분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일 예로, 상기 메쉬시트(110)는 흡한속건 섬유를 이루는 다수개의 원사들을 엮어 소정의 지지력 및 탄성력을 가지는 기둥의 형태로 형성한 후, 복수의 통기시트(120) 사이에 접합하거나, 재봉 박음질 등과 같은 방식을 통해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메쉬시트(110)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내측 시트부(100)에는 일면에 보호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40)이 더 구성된다.
고정수단(140)은 통상의 벨크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외측 시트부(200)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140)은 내측 시트부(100)의 일측이나 타측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측면 모두에 메쉬시트(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고정수단(140)은 밴드 타입으로 구성되어 내측 시트부(100)의 일면에 재봉 박음질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밴드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140)의 경우, 내측 시트부(100)의 일측이나 타측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측면 모두에 구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에 벨크로 등을 구성하여 외측 시트부(100)를 감싸면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수단(140)은 보호대가 적용되는 부위(예를 들어 어깨 부분)에 따라 벨트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벨트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벨트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벨트 조절수단(미도시)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정수단(140)은 벨크로 타입, 밴드 타입 및 벨트 타입 중 어느 하나로만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타입이 내측 시트부(100)에 혼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정수단(140)은 외면부에 손잡이(220)를 더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20)를 잡은 상태에서 외측 시트부(200)와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고 간편하게 본 발명의 보호대를 착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측 시트부(100)는 폭이 30mm~150mm의 범위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린아이나 손가락, 발가락 등과 같은 깁스할 환부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도 쉽고 간편하게 누구나 깁스를 할 수 있으며, 성인의 팔, 다리와 같은 넓은 면적의 환부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외측 시트부(200)는 메쉬시트(110)의 상부면, 또는 통기시트(120)의 상부면에 적층 구성되며, 재봉 박음질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보호대의 고정시 소정의 신축성을 부여하여 보호대의 길이 및 폭에 대한 면적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정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부의 특정 부위에 대해서만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외측 시트부(200)는 내측 시트부(100)에 구성되는 고정수단(14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탈착수단(240)이 더 구성된다.
탈착수단(240)은 고정수단(140)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탈착수단(240) 역시 고정수단(140)과 마찬가지로 벨크로 타입, 밴드 타입 및 벨트 타입 중 어느 하나로만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타입이 외측 시트부(200)에 혼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탈착수단(240)이 벨크로 타입으로 형성되는 경우, 외측 시트부(200)의 외면 전체, 또는 일부면이 벨크로 타입의 고정수단(140)과 대응하는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측 시트부(200)는 스판 섬유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신축성을 가지는 원단으로 제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외측 시트부(200)는 외면에 상기 원단을 이루는 원사들을 이용하여 루프를 생성함으로써, 벨크로 타입의 고정수단(140)이 탈착수단(240) 뿐만 아닐, 외측 시트부(200)의 전체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외측 시트부(200)는 내측 시트부(200)의 외면에 재봉에 의해 결합되며, 환부에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접촉시트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접촉시트는 피부와 밀착되게 접촉되어 환부와 보호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판 섬유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신축성을 가지는 원단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내측 시트부(100)와 외측 시트부(200)가 접합커버(210)에 의해 테두리 부분이 밀착되고, 이후 재봉 박음질을 통해 접합커버(210)를 재봉하여 밀착된 상태의 내측 시트부(100)와 외측 시트부(20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내측 시트부(100)와 외측 시트부(200)가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 접합커버(210)에 의해 테두리가 감싸진 상태에서 재봉 박음질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보호대는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의 착용이 이루어질 환부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보호대는 팔, 팔목, 어깨, 가슴, 허리, 등, 발목, 허벅지, 엉덩이 등 신체의 부위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시 우수한 밀착감 및 통기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내측 시트부 110: 메쉬시트
120: 통기시트 140: 고정수단
200: 외측 시트부 210: 접합커버
220: 손잡이 240: 탈착수단

Claims (5)

  1. 흡한속건 섬유를 이루는 다수개의 원사들을 엮어 소정의 지지력 및 탄성력을 가지는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메쉬시트와, 상기 메쉬시트의 상부 및 하부면에 적층 구성되는 통기시트를 포함하고, 폭이 30mm~150mm의 범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깁스할 환부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도 깁스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내측 시트부;
    상기 내측 시트부의 일면에 구성되며, 보호대를 환부에 고정시키되, 상기 보호대가 적용되는 환부에 따라 벨크로 타입, 밴드 타입, 또는 벨트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외측 시트부와 간편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성되는 고정수단;
    상기 내측 시트부의 상부면으로 적층되며, 스판 섬유,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원단으로 구성되고, 보호대의 길이 및 폭에 대한 면적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외측 시트부;
    상기 외측 시트부의 일면에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수단; 및
    상기 내측 시트부와 외측 시트부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고, 재봉 박음질에 의해 결합되는 접합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시트부의 외면에는 벨크로 타입의 고정수단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루프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는 팔, 팔목, 어깨, 가슴, 허리, 등, 발목, 허벅지, 엉덩이 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KR1020190067219A 2019-06-07 2019-06-07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KR10225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19A KR102259084B1 (ko) 2019-06-07 2019-06-07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19A KR102259084B1 (ko) 2019-06-07 2019-06-07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23A KR20200140523A (ko) 2020-12-16
KR102259084B1 true KR102259084B1 (ko) 2021-06-01
KR102259084B9 KR102259084B9 (ko) 2022-01-17

Family

ID=7404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219A KR102259084B1 (ko) 2019-06-07 2019-06-07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950B1 (ko) * 2021-08-23 2023-07-19 사단법인 여성과나눔 친환경 면 생리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76Y1 (ko) * 2006-04-17 2006-06-29 김맹호 의료용 관절 보호대 시트
KR200464890Y1 (ko) 2012-07-27 2013-01-25 노경국 환부긁음을 방지하기 위한 환자 손목고정구
KR101509445B1 (ko) * 2014-12-01 2015-04-08 오현주 관절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160Y1 (ko) 2002-01-19 2002-08-22 김승대 발걸레
US8016779B2 (en) * 2007-04-09 2011-09-13 Tyco Healthcare Group Lp Compression device having cooling capabi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76Y1 (ko) * 2006-04-17 2006-06-29 김맹호 의료용 관절 보호대 시트
KR200464890Y1 (ko) 2012-07-27 2013-01-25 노경국 환부긁음을 방지하기 위한 환자 손목고정구
KR101509445B1 (ko) * 2014-12-01 2015-04-08 오현주 관절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23A (ko) 2020-12-16
KR102259084B9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6493B1 (en) Tubular spacer fabric
JP2818209B2 (ja) 被覆装具とその製造方法
CN110167374B (zh) 腰带构造、形成腰带支撑片料的方法和服装的支撑片料
US5948707A (en) Non-slip, waterproof, water vapor permeable fabric
CN105722481B (zh) 医疗用石膏绷带及皮肤保护带
KR102008557B1 (ko) 땀 배출 기능성을 갖는 압박 의류
US20020128619A1 (en) Laminate material
KR102259084B1 (ko) 통기성이 향상된 의료용 보호대
KR100693221B1 (ko)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US8240311B2 (en) 3D ventilation device for separating body skin from clothes
KR102259077B1 (ko) 통기성 및 시술성이 향상된 의료용 캐스트
JP3122851U (ja) 保護用パッドである医療用包帯製品とパッド収納部を有する衣類
CN214910478U (zh) 督灸治疗系统
US20220192902A1 (en) Post-Operative Carpal Tunnel Surgery Glove
US20230172761A1 (en) Self-adhesive flexible bandages for joints
CN215779301U (zh) 一种多功能网拍式约束带以及约束使用者手部的约束床
CN211658444U (zh) 一种17根鱼鳞钢骨矫形护腰带
US20230346050A1 (en) Support garments
CN2352200Y (zh) 一种药物护膝
TW574042B (en) A garment for use in absorbing bodily wastes
AU2015200014B2 (en) Compression garment with perspiration relief
JP3052238U (ja) 腰部固定ベルト
CN103228240B (zh) 男性卫生装置
JP2002201513A (ja) スパッツ
WO2019060311A1 (en) SUPPURED HYDRADENITE WOUND CA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