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567A - 깁스 구조체 - Google Patents

깁스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567A
KR20190111567A KR1020180033883A KR20180033883A KR20190111567A KR 20190111567 A KR20190111567 A KR 20190111567A KR 1020180033883 A KR1020180033883 A KR 1020180033883A KR 20180033883 A KR20180033883 A KR 20180033883A KR 20190111567 A KR20190111567 A KR 20190111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air
velcro
user
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갑
Original Assignee
김진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갑 filed Critical 김진갑
Priority to KR1020180033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1567A/ko
Publication of KR2019011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5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16Inflatable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2Adjustable pressure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성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며 목욕 등의 이유로 신체로부터 탈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골절 부위에만 최소 접촉면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환자 맞춤형으로 골절 부위에 따라 길이를 연장시켜 접촉 면적을 확대하거나 부위별로 축소시킬 수 있는 연결방식으로 구성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깁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깁스 구조체{GIPS STRUCTURE}
본 발명은 깁스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풍성이 우수하고 부피 팽창이 가능하도록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며 목욕 등의 이유로 신체로부터 탈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환자의 골절 부위 또는 노약자의 운동시 보호하고자 하는 부위에만 최소 접촉면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환자 맞춤형으로 골절 부위에 따라 길이를 연장시켜 접촉 면적을 확대하거나 부위별로 축소시킬 수 있는 연결방식으로 구성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깁스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깁스는 염좌, 탈구 등 골절된 환부를 석고 캐스트(cast)로 고정하여 환부의 변형을 막고 회복하도록 한다.
상기 깁스는 먼저 내피를 환자의 피부에 대고 상기 내피 주위를 탈지면 등으로 감는다. 그리고 다시 상기 탈지면 위에 통칭 캐스팅 테이프(Casting tape) 또는 깁스붕대라 부르는 석고 재료가 도포된 붕대를 감게 된다.
상기 깁스붕대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경화되게 되어 환자의 치료부위는 단단하게 고정되어 완치될 때까지 안전하게 되는 것이다.
부언해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골절 환자에게 시술되는 깁스는 소석고(燒石膏)의 분말에 물을 가하면 신속하게 굳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서 주로 정형 외과 분야의 치료에 사용된다.
이러한 깁스 시술은 붕대에 분말 석고를 묻혀 두고, 사용하기 이전에 소명반(燒明礬)을 가한 온수에 담근 후 신체의 골절된 부위에 약 0.5cm 두께로 감은 상태로 대기 중에 약 20분이 경과하면 붕대가 단단하게 굳는데, 이것을 '깁스 붕대'라고 한다.
이러한 깁스 붕대는 크게 직접 몸에 감는 깔개 없는 깁스 붕대와 미리 깔개로 솜이나 헝겊을 감아서 직접 몸에 닿지 않도록 하는 깔개 있는 깁스 붕대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전자인 깔개 없는 깁스 붕대는 골절 부위를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안 되는 경우에 사용하고, 일반적으로는 후자인 깔개 있는 깁스 붕대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깁스는 환자의 피부를 완전히 감싸 통풍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장시간 깁스를 하고 있는 경우에는 답답함 및 가려움증을 느끼게 되며, 특히 깔개 없는 깁스 붕대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석고와 피부가 장시간 접해 있음으로 인해 수포(Blister) 등의 2차 피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석고는 초기 환부에 맞춰서 경화될 때 고온이 발생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으며, 부피가 크고 무거워 일상생활을 소화하기에 무리를 준다. 또한, 석고 소재의 특성상 통풍이 안되고 수분에 취약하므로 위생 및 청결을 유지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장기간 석고 캐스트를 착용시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피부 손상 및 세균 감염의 우려가 있으며, 심한 경우 석고 캐스트에 신경 혈관이 눌러 지각이상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불편함을 유발한다.
석고 캐스트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환부에 스타키넷(stokinet)을 감고 그 위에 솜 붕대를 감아서 완충을 시킨 다음, 그 위에 석고 붕대나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casting tape) 등을 일정 두께로 수회 감아서 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경화시키는 깁스 시술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도, 스타키넷 위에 솜 붕대나 석고 붕대 또는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가 감겨 있기 때문에 외부와의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환부에서 발생하는 땀 등으로 인해 가렵고 답답할 뿐 아니라, 피부염 등의 2차 감염 우려가 있으며, 장시간 깁스시 환부의 피부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석고 캐스트, 수경화성 석고붕대나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를 이용한 깁스 시술은 한 번 시술하면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기존 깁스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83922호 "분리형 기브스"(공개일자 : 2017.07.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석고 기브스에 있어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석고로 이루어져 환부를 보호하고 고정하는 기브스몸체, 상기 기브스몸체의 내부에 손을 삽입할 수 있게 원통형으로 형성한 손삽입부, 손삽입부의 내벽에 환부 대상에 밀착하고 기브스 몸체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 밀착튜브, 밀착튜브의 일측에 밀착튜브로 공기를 주입하고 밀착튜브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주입구로 구성한 것이다.
기존 깁스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9427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등록일자 : 2010.10.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어 골절 부위의 상부에 덮히는 상부깁스와 골절부위의 하부에 덮히는 하부깁스로 구성되며, 상기 깁스는 직접 골절 부위의 피부와 맞닿아 피부를 보호하는 내피층와, 최상층에 위치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는 캐스트층과, 상기 내피층과 캐스트층의 중앙에 위치하여 인체에 충격을 완화해주는 쿠션층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기존의 깁스 구조체는 강한 경도의 석고 소재를 이용함에 따라 통풍이 용이하지 못하고, 무게가 무거워 환자 중 노약자의 경우에는 거동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탈,부착시 밀착튜브의 내부공기를 빼낸 후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탈,부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깁스 구조체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 및 골절 정도에 따라 신체 부위별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지, 하지로 크게 구분하여 고정되므로 골절부위외의 다른 신체 부위에도 접촉되어 억지로 고정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깁스 구조체는 환자의 골절부위에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에게 운동시 완충 보호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83922호 "분리형 기브스"(공개일자 : 2017.07.1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9427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등록일자 : 2010.10.1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풍성이 우수하고 부피 팽창이 가능하도록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며 목욕 등의 이유로 신체로부터 탈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깁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절 부위에만 최소 접촉면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환자 맞춤형으로 골절 부위에 따라 길이를 연장시켜 접촉 면적을 확대하거나 부위별로 축소시킬 수 있는 연결방식으로 구성된 깁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약자의 운동시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시켜 외부 충격으로부터 완충 보호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깁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 주입시 부피가 팽창하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는 양측 단부를 서로 결속할 수 있도록 결속수단이 구비되는 튜브 몸체와; 상기 튜브 몸체에 내부와 밀폐되도록 천공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내측과 상기 내측의 반대쪽인 외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 및 상기 튜브 몸체의 공간부 내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벨크로부재와, 상기 튜브 몸체의 타측 단부에 고정끈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벨크로부재에 탈부착 가능한 제2벨크로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의 일측 단부에 제1결속끈으로 연결되는 암버클부재와, 상기 튜브 몸체의 타측 단부에 제2결속끈으로 연결되고 상기 암버클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록킹 결합되는 후크 타입의 수버클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가압 펌핑력으로 에어를 공간부 내부로 주입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튜브 몸체의 외측에 마련되어 공간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밸브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의 외부에 상기 공간부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튜브 몸체의 단부에 사용자의 신체 접촉부위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튜브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보조 튜브 몸체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연결벨크로와, 상기 튜브 몸체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보조 튜브 몸체의 단부에 연결끈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벨크로에 탈부착 가능한 제2연결벨크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부피 팽창 및 축소 복원이 가능하도록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고 환자의 환부 부위 둘레를 따라 결합된 튜브 몸체(100)의 팽창력으로 환부 부위를 고정시켜 깁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과 아울러, 목욕 등의 이유로 신체로부터 탈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부위 상태(골절 정도)에 따라 공간부 내에 충진되는 에어의 압력을 임의 조절하여 튜브 몸체(100)의 압박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통공(110)은 튜브 몸체(100)의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가 튜브 몸체(100)에 의해 감싸져 있는 사용자의 환부 부위에 전달되어 공기 통풍의 영향으로 가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푼 상태의 튜브 몸체(100)의 외측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환부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인 환자가 목욕 등의 이유로 본 발명의 깁스 구조체를 신체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 내에 충진된 에어를 에어밸브(350)를 개방시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신체와의 구속상태를 해제시켜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욕이 끝난 후에는 다시 튜브 몸체(100)가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결합시킨 후에 튜브 몸체(100)의 일측과 타측을 결속수단(200)으로 연결하여 깁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결속수단(200)은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 내에 에어가 충진된 상태에서도 제1,2벨크로부재(210,220)의 결속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튜브 몸체(100)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의 접촉을 해제하여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깁스 구조체는 노약자의 운동시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넘어질 경우의 외부 충격시 튜브 몸체(100) 내의 에어 충진으로 인한 쿠션력을 이용하여 충격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깁스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튜브 몸체의 공간부 내에 에어가 충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결속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에어주입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깁스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깁스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에어 주입시 부피가 팽창하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는 양측 단부를 서로 결속할 수 있도록 결속수단(200)이 구비되는 튜브 몸체(100)와; 상기 튜브 몸체(100)에 내부와 밀폐되도록 천공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내측과 상기 내측의 반대쪽인 외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10); 및 상기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 내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튜브 몸체(100)는 내부의 공간부 내에 에어가 주입됨에 따라 부피가 팽창되는 소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신체부위(손목, 발목, 목 부위)를 감쌀 수 있는 폭과 길이를 가지며, 좌,우 측 양측 단부가 결속수단(200)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튜브 몸체(10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는 접촉 길이를 넓힐 수 있으면서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의 통공(11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튜브 몸체(100)는 펼친 상태에서 테두리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 내에 에어주입수단을 이용하여 에어를 주입할 경우, 통공(110)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부풀면서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상기 튜브 몸체(100)는 부피 팽창 및 축소 복원이 가능하도록 무게가 가벼운 소재(예를 들어 비닐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수단(200)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좌,우 양측 테두리 단부를 결속시킬 수 있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 몸체(10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벨크로부재(210)와, 상기 튜브 몸체(100)의 타측 단부에 고정끈(225)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벨크로부재(210)에 탈부착 가능한 제2벨크로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벨크로부재(210)는 튜브 몸체(100)의 일측(도 1에서의 좌측)단부 테두리 부위에 재봉으로 일체로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벨크로부재(220)는 튜브 몸체(100)의 타측(도 1에서의 우측)단부 테두리 부위에 재봉으로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끈(225)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끈(225)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가압 펌핑력으로 에어를 공간부 내부로 주입하는 에어펌프(300)와, 상기 튜브 몸체(100)의 외측에 마련되어 공간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밸브(35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 내에 펌프 본체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수차례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펌핑동작됨에 따라 에어를 공간부 내에 충진시킬 수 있는 에어펌프(300)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주입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외측으로 에어밸브(35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에어밸브(350)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눌러서 공간부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개방시킬 경우 공간부 내의 에어압력과 대기압력차를 이용하여 공간부 내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에어의 외부 배출시 튜브 몸체(100)의 부피가 다시 원래 부피대로 얇아지면서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튜브 몸체(100)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결속수단(200)의 다른 변형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수단(200)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일측 단부에 제1결속끈(235)으로 연결되는 암버클부재(230)와, 상기 튜브 몸체(100)의 타측 단부에 제2결속끈(245)으로 연결되고 상기 암버클부재(230)가 착탈 가능하게 록킹 결합되는 후크 타입의 수버클부재(2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2결속끈(235,245)은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결속수단(200)의 다른 변형예는 후크 타입의 수버클부재(240)가 암버클부재(230)에 록킹 결합됨에 따라 튜브 몸체(100)의 일측과 타측 단부를 결속시켜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암버클부재(230)와 수버클부재(240)의 결합 해제는 암버클부재(230)에 결합된 수버클부재(240)의 상,하 후크를 상,하측에서 눌러서 후크 결합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암버클부재(230)와 수버클부재(240)의 결합상태를 간편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 결속수단(200)은 앞서 설명한 제1,2벨크로부재(210,220)의 탈부착방식이나 버클의 록킹 결합방식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튜브 몸체(100)의 일측과 타측을 결속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깁스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깁스 구조체를 구성하는 튜브 몸체(100)를 사용자의 신체중 골절 등의 환부 부위에 감싸는 형태로 접촉시킨 후에, 결속수단(200)을 이용하여 튜브 몸체(100)의 일측과 타측을 결속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이후에, 에어주입수단인 에어펌프(300)에 가압 펌핑력을 가하여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내에 에어를 충진시켜 튜브 몸체(100)의 부피를 팽창시키면, 사용자인 환자의 환부 부위 둘레를 따라 결합된 튜브 몸체(100)의 팽창력으로 환부 부위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깁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결속수단(200)은 제1,2벨크로부재(210,220)의 접착 방식을 채택하거나 암버클부재(230)와 수버클부재(240)의 록킹 결합방식을 채택하여 튜브 몸체(100)의 일측과 타측을 결속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피 팽창 및 축소 복원이 가능하도록 무게가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고 환자의 환부 부위 둘레를 따라 결합된 튜브 몸체(100)의 팽창력으로 환부 부위를 고정시켜 깁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과 아울러, 목욕 등의 이유로 신체로부터 탈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부위 상태(골절 정도)에 따라 공간부 내에 충진되는 에어의 압력을 임의 조절하여 튜브 몸체(100)의 압박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통공(110)은 튜브 몸체(100)의 내측과 외측이 연통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가 튜브 몸체(100)에 의해 감싸져 있는 사용자의 환부 부위에 전달되어 공기 통풍의 영향으로 가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푼 상태의 튜브 몸체(100)의 외측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환부 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인 환자가 목욕 등의 이유로 본 발명의 깁스 구조체를 신체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 내에 충진된 에어를 에어밸브(350)를 개방시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신체와의 구속상태를 해제시켜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욕이 끝난 후에는 다시 튜브 몸체(100)가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결합시킨 후에 튜브 몸체(100)의 일측과 타측을 결속수단(200)으로 연결하여 깁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결속수단(200)은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 내에 에어가 충진된 상태에서도 제1,2벨크로부재(210,220)의 결속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튜브 몸체(100)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의 접촉을 해제하여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깁스 구조체는 노약자의 운동시 신체 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넘어질 경우의 외부 충격시 튜브 몸체(100) 내의 에어 충진으로 인한 쿠션력을 이용하여 충격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완충 보호할 수 있는 안전 보호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 에어주입수단의 다른 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주입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외부에 상기 공간부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300A)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주입구(300A)는 튜브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로서, 공간부의 내부와 외부를 개폐하는 마개를 구비한다.
상기한 에어주입수단은 앞서 설명한 에어펌프와 사용자의 입을 통한 공기주입방식외에 주입구(300A)를 통해 외부 펌핑기구를 연결시켜 외부에서 공간부 내에 에어를 주입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튜브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사용자인 환자의 신체 접촉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연결수단(500)에 의해 튜브 몸체(100)와 연결되는 보조 튜브 몸체(100A)를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500)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연결벨크로(510)와, 상기 튜브 몸체(100)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보조 튜브 몸체(100A)의 단부에 연결끈(525)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벨크로(510)에 탈부착 가능한 제2연결벨크로(52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500)은 제1,2연결벨크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버클을 이용한 록킹 결합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튜브 몸체(100A)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손목이나 발목 혹은 목 부위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보조 튜브 몸체(100A)가 튜브 몸체(100)의 상측이나 하측 단부측에 연결수단(500)으로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접촉 부위의 길이를 길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환부 길이에 따라 맞춤형으로 길이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환자의 신체 부위중 환부와는 관계없는 부위에 튜브 몸체(100) 또는 보조 튜브 몸체(100A)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튜브 몸체(100)나 보조 튜브 몸체(100A)의 내측에 초음파를 주입할 수 있는 가느다란 관을 삽입시켜 골절된 뼈를 치료할 수 있는 초음파 치료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튜브 몸체 100A : 보조 튜브 몸체
110 : 통공 200 : 결속수단
210 : 제1벨크로부재 220 : 제2벨크로부재
225 : 고정끈 230 : 암버클부재
235 : 제1결속끈 240 : 수버클부재
245 : 제2결속끈 300 : 에어펌프
300A : 주입구 350 : 에어밸브
500 : 연결수단 510 : 제1연결벨크로
520 : 제2연결벨크로 525 : 연결끈

Claims (7)

  1. 에어 주입시 부피가 팽창하도록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는 양측 단부를 서로 결속할 수 있도록 결속수단(200)이 구비되는 튜브 몸체(100)와;
    상기 튜브 몸체(100)에 내부와 밀폐되도록 천공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내측과 상기 내측의 반대쪽인 외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110); 및
    상기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 내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200)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벨크로부재(210)와,
    상기 튜브 몸체(100)의 타측 단부에 고정끈(225)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벨크로부재(210)에 탈부착 가능한 제2벨크로부재(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200)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일측 단부에 제1결속끈(235)으로 연결되는 암버클부재(230)와,
    상기 튜브 몸체(100)의 타측 단부에 제2결속끈(245)으로 연결되고 상기 암버클부재(230)가 착탈 가능하게 록킹 결합되는 후크 타입의 수버클부재(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공간부 내에 설치되어 가압 펌핑력으로 에어를 공간부 내부로 주입하는 에어펌프(300)와,
    상기 튜브 몸체(100)의 외측에 마련되어 공간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밸브(3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외부에 상기 공간부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300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 몸체(100)의 단부에 사용자의 신체 접촉부위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연결수단(500)에 의해 상기 튜브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보조 튜브 몸체(100A)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500)은 상기 튜브 몸체(100)의 단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1연결벨크로(510)와,
    상기 튜브 몸체(100)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보조 튜브 몸체(100A)의 단부에 연결끈(525)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벨크로(510)에 탈부착 가능한 제2연결벨크로(5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구조체.
KR1020180033883A 2018-03-23 2018-03-23 깁스 구조체 KR20190111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883A KR20190111567A (ko) 2018-03-23 2018-03-23 깁스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883A KR20190111567A (ko) 2018-03-23 2018-03-23 깁스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567A true KR20190111567A (ko) 2019-10-02

Family

ID=6842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883A KR20190111567A (ko) 2018-03-23 2018-03-23 깁스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156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427B1 (ko) 2010-06-25 2010-10-28 (주)한동알앤씨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KR20170083922A (ko) 2016-01-11 2017-07-19 조규현 분리형 기브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427B1 (ko) 2010-06-25 2010-10-28 (주)한동알앤씨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KR20170083922A (ko) 2016-01-11 2017-07-19 조규현 분리형 기브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7998A (en) Walking brace
JP5415074B2 (ja) 骨折ブレイス
EP1804742B1 (en) Fracture brace
US5695453A (en) Limb immobilizer having reinforcing wire members embedded therin
CA1303927C (en) Soft-goods type, formable orthopaedic cast
JPH11503346A (ja) 手に施す医療用具
CN107349043A (zh) 一种自散热型骨折护理夹板
KR100551470B1 (ko) 골절환자용 깁스
KR100989427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깁스
JP3371378B2 (ja) 四肢の包囲固定装置
KR20190111567A (ko) 깁스 구조체
US20140257161A1 (en) Ankle Splint
CN200960197Y (zh) 骨科外固定束带
US9782285B1 (en) Elbow-forearm anti-rotation orthosis
KR101309636B1 (ko) 의료용 부목
US7828757B2 (en) Air flow sleeve system and cast structure incorporating air flow sleeve system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JPH0998997A (ja) 骨折用プロテクター
KR102533846B1 (ko) 압박패드부를 포함하는 응급처치용 압박모자
KR102390084B1 (ko)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욕창 방지용 부목
KR102352168B1 (ko) 욕창 방지용 부목
KR20150061263A (ko) 의료용 투명성 부목 부재
KR101983089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20220015953A1 (en) An adjustable limb stabilization device
GB2319963A (en) An anatomical restra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