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801B1 -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 Google Patents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801B1
KR102271801B1 KR1020190146678A KR20190146678A KR102271801B1 KR 102271801 B1 KR102271801 B1 KR 102271801B1 KR 1020190146678 A KR1020190146678 A KR 1020190146678A KR 20190146678 A KR20190146678 A KR 20190146678A KR 102271801 B1 KR102271801 B1 KR 102271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t
orthopedic
integrated
fix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346A (ko
Inventor
하경호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앤에프 filed Critical (주) 에스앤에프
Priority to KR1020190146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8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는, 수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스프린트와, 통기구멍이 형성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린트가 안착되며 환부를 감싸는 몸체와, 일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에 안착된 스프린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와 점착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An integral Splint for orthopedic}
본 발명은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스프린트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하는 몸체에 안착되고, 일면에 점착성을 갖는 보호부재로 스프린트를 차폐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술시 스프린트만 물에 함침함으로써 머금은 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시술시 감성불만을 최소화하고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께를 최소화하여 착용감 및 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 및 인대파열 환자의 치료를 위해 정형외과에서는 깁스(cast)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깁스(Cast)는 석고 또는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가 적용되며, 석고 또는 깁스 시술 전에는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타키넷과 솜붕대를 시술하게 된다.
스타키넷은 부드러운 올리핀 원사를 주재료로 하고 튜브모양으로 직조되어 신축성을 가지는 것으로, 환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신체 표면에 마치 양말을 신듯이 착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타키넷의 외측에는 전술한 솜붕대를 시술하게 그 위에 면을 소재로 만든 솜 붕대를 감은 후 석고붕대 또는 합성수지형 캐스팅테이프를 물에 적신 후 환부에 감아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 따라 시술하는 경우 오랜 시술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4438호에는 폴리에스텔, 유리섬유 및 부직포압축섬유 중의 어느 하나와 촉 매제로 구성되어 물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경화성 내피와, 이 내피를 감싸는 부직포 재질의 상,하지 외피로 구성된 의료용 스플린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스플린트는 골절부위에 씌워진 상태에서 경화되는 중에 시술부위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모양을 잡아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압박붕대를 권취하게 된다.
압박붕대를 권취하는 작업은 다수의 시술자가 요구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시술자의 시술 능력에 따라 압박 정도가 상이하여 감성불만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박붕대는 결속력이 낮아 쉽게 풀리므로 스플린트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3724호에는 스플린트에 탄성복원력을 가진 고정부재를 일체로 형성한 "의료용 부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스플린트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므로 스플린트의 단부에는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로 이루어진 기재가 노출되어 긁힘이나 찔림 등의 상처를 입을 수 있어서 안전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스플린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오염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스플린트에 직접적으로 전해지므로 환부 보호 기능에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2577호에는 도 1과 같이 수경화성 캐스팅 테이프를 구비한 스플린트(110)를 내부에 수용하되 기재(112)의 양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수용부(122)를 구비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 완화 기능을 가지며, 다수 고정부재(140)가 구비되어 스플린트(11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수용부(122)에 삽입 고정되는 스플린트(110)가 기재(112)와 상지(114)와 하지(1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에 담가 경화하고자 할때 머금은 물의 양이 상당하여 몸체(120)에 스며들게 되므로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감성불만을 야기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스플린트(110)의 두께가 두꺼워 몰딩 성형성이 저하되며, 착용감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많은 물을 머금은 상태를 오랜시간 유지하게 되므로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야기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스프린트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하는 몸체에 안착되고, 일면에 점착성을 갖는 보호부재로 스프린트를 차폐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시 스프린트만 물에 함침함으로써 머금은 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시술시 감성불만을 최소화하고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께를 최소화하여 착용감 및 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는, 수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스프린트와, 통기구멍이 형성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린트가 안착되며 환부를 감싸는 몸체와, 일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에 안착된 스프린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와 점착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부직포 또는 에어매쉬원단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일측에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연장되고 단부에 구비된 부착부가 몸체 일측과 부착되어 스프린트 및 몸체가 일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고정부재를 관통시킴으로써 몸체와 부착부가 서로 부착되었을 때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인장고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면적을 감소시켜 몸체의 접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접힘안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외면은 부착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에는, 수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스프린트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하는 몸체에 안착되고, 일면에 점착성을 갖는 보호부재로 스프린트를 차폐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시술시 스프린트만 물에 함침함으로써 머금은 물의 양을 최소화하여 시술시 감성불만을 최소화하고 습진 등의 피부질환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두께를 최소화하여 착용감 및 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스프린트의 노출이 완전히 차단되어 피부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긁힘이나 찔림 등의 상처 유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2577호에 게시된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에서 고정부재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이하 '일체형 스프린트(100)'이라 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100)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스프린트(100)는 스프린트(도 3의 도면부호 110)를 내장한 상태로 환부를 두름으로써 스프린트(110)와 환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면서 환부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압박붕대 등을 이용하여 시술하는 방법보다 시술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간소한 과정만으로 시술이 완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린트(110)의 내/외측에는 몸체(120)와 보호부재(130)가 구비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환부와 스프린트(110)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게 되며, 상기 스프린트(110)는 수경화성수지가 함침되어 있어 물과 접촉후 인체의 굴곡을 따라 성형됨으로써 환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린트(110)는 수경화성수지가 함침되어 있으므로 공기중의 수분과 접촉시 경화될 수 있으므로, 밀봉된 상태로 보관되며, 사용시 개봉하여 물에 함침하고 짜낸 후 상기 몸체(120)에 안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몸체(120)는 에어매쉬원단으로 제작되어 통기성을 가지며, 소정의 쿠션을 가져 외부 충격으로부터 환부를 보호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20)에는 고정부재(122)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22)는 스프린트(110)가 위치한 반대방향의 환부를 둘러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몸체(120)와 일체로 연장되고 단부에 구비된 부착부(도 4의 도면부호 123)가 몸체(120) 일측과 부착되어 스프린트(110) 및 몸체(120)가 일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20)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22)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측 단부에는 인장고리(124)가 구비된다.
상기 인장고리(124)는 고정부재(122)를 관통시킴으로써 몸체(120)와 부착부(123)가 서로 부착되었을 때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부착부(123)는 본 발명에서 벨크로테이프가 채택되었으며, 상기 고정부재(122)의 단부 외면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이고, 몸체(120)의 외면과 미세한 돌기들이 걸림 결합함으로써 환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일체형 스프린트(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10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일체형 스프린트(100)는 몸체(120)와 스프린트(110) 및 보호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린트(110)는 몸체(120)에 안착되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보호부재(130)는 스프린트(110)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120)에 점착함으로써 상기 스프린트(1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130)의 후면에는 점착층이 구비되며, 보호지가 부착된 상태에서 보호지를 벗겨 점착성능을 발휘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20)에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부재(130)는 피부와 직접 접촉하면서도 경화된 스프린트(110)로부터 피부가 상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20)의 대략 중앙부에는 접힘안내부(126)가 구비된다. 상기 접힘안내부(126)는 몸체(120)의 일부를 절제(切除)하여 팔꿈치 등의 접힘 부위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체형 스프린트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100)에서 고정부재(122)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환자의 발에 일체형 스프린트(100)를 시술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몸체(120)와 스프린트(110) 및 보호부재(130)를 각각 하나씩 준비하게 된다.
상기 몸체(120)는 모두 펼쳐진 상태이며, 스프린트(110)는 밀봉을 해제하여 물에 함침한 후 몸체(120) 전면에 안착하게 된다.
이후 상기 보호부재(130)의 보호지를 제거한 다음 상기 스프린트(110)가 보이지 않게 몸체(120) 전면을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린트(110)는 경화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환부에 일체형 스프린트(100)를 갖다대어 성형하게 되며, 접힘안내부(126)는 팔목에 위치하도록 하여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부재(122)는 인장고리(124)를 관통한 후 몸체(120)의 후면에 부착부(123)에 의해 걸림 결합 방식으로 부착되며, 다수의 고정부재(122)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함으로써 시술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힘안내부(126)는 삼각형 모양으로 서로 마주보게 절제하였으나, 환부의 위치, 형상에 따라 형상 및 형성 위치의 변경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110. 스프린트
120. 몸체 122. 고정부재
123. 부착부 124. 인장고리
126. 접힘안내부 130. 보호부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수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스프린트와,
    통기구멍이 형성된 부직포 또는 에어매쉬원단으로 제작되고 상기 스프린트가 안착되며 환부를 감싸는 몸체와,
    일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에 안착된 스프린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와 점착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 일측에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연장되고 단부에 구비된 부착부가 몸체 일측과 부착되어 스프린트 및 몸체가 일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구비되어 고정부재를 관통시킴으로써 몸체와 부착부가 서로 부착되었을 때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인장고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면적을 감소시켜 몸체의 접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접힘안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은 부착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KR1020190146678A 2019-11-15 2019-11-15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KR102271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678A KR102271801B1 (ko) 2019-11-15 2019-11-15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678A KR102271801B1 (ko) 2019-11-15 2019-11-15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46A KR20210059346A (ko) 2021-05-25
KR102271801B1 true KR102271801B1 (ko) 2021-07-01

Family

ID=7614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678A KR102271801B1 (ko) 2019-11-15 2019-11-15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758B1 (ko) 2022-08-03 2022-12-27 주식회사 두빛나래바이오 핑거 스프린트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핑거 스프린트용 고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975B1 (ko) * 2021-06-25 2023-09-18 (주) 에스앤에프 흉부 압박보호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30Y1 (ko) 2001-08-01 2002-02-19 이영찬 의료용 부목
KR101309636B1 (ko) 2011-09-27 2013-09-17 (주)에스앤에프 의료용 부목
KR101332577B1 (ko) * 2013-04-16 2013-11-25 (주)에스앤에프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KR101757456B1 (ko) 2016-12-09 2017-07-12 정은희 의료용 스플린트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740B1 (ko) * 2002-09-28 2006-05-08 김기성 핫멜트를 이용한 깁스의 구조 및 깁스착용시 형태고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30Y1 (ko) 2001-08-01 2002-02-19 이영찬 의료용 부목
KR101309636B1 (ko) 2011-09-27 2013-09-17 (주)에스앤에프 의료용 부목
KR101332577B1 (ko) * 2013-04-16 2013-11-25 (주)에스앤에프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KR101757456B1 (ko) 2016-12-09 2017-07-12 정은희 의료용 스플린트 보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758B1 (ko) 2022-08-03 2022-12-27 주식회사 두빛나래바이오 핑거 스프린트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핑거 스프린트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346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859B1 (ko) 의료용 부목
KR102271801B1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AU2002257099B2 (en) Sealed edge orthopaedic casting technique
KR20030024875A (ko) 경화성 접착 부목 및 방법
AU2002257099A1 (en) Sealed edge orthopaedic casting technique
KR20060107481A (ko)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US11331733B2 (en) Total contact cast system and methods for safe and easy removal thereof
KR20140000615A (ko) 정형외과용 경화성 부목
KR101332577B1 (ko) 정형외과용 스플린트 보호대
KR20200013396A (ko) 골절 환자 치료용 부목 및 이를 이용한 반깁스 시술방법
KR101409235B1 (ko) 골절환자용 깁스
KR101309636B1 (ko) 의료용 부목
US20040147859A1 (en)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KR101578399B1 (ko) 깁스용 피부보호대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03132B1 (ko) 의료용 부목
JP5974015B2 (ja) 多段階整形外科的システム及び取外し可能なギプス
KR20110006100A (ko) 골절 환자용 깁스부재 및 이를 이용한 깁스 시술방법
KR101052918B1 (ko) 캐스팅 테이프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US20110245746A1 (en) Medical cast and skin protector
KR20210115162A (ko) 정형외과용 플라스틱 스플린트
JP2017012713A (ja) トータルコンタクトキャスト
JP7271847B2 (ja) 医療用固定材
KR102148908B1 (ko) 골절 환자용 깁스 및 이를 이용한 깁스 시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