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792B1 - 부목 구조 - Google Patents

부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792B1
KR100385792B1 KR10-2000-0079464A KR20000079464A KR100385792B1 KR 100385792 B1 KR100385792 B1 KR 100385792B1 KR 20000079464 A KR20000079464 A KR 20000079464A KR 100385792 B1 KR100385792 B1 KR 100385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
hardening
skin
sha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6563A (ko
Inventor
문영훈
Original Assignee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문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문영훈 filed Critical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792B1/ko
Publication of KR20010016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66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wrists, hands, fingers or thu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7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절부와 인대 파열부와 같은 경미한 환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감싸주는 데 사용되는 부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등과 같은 부위에 골절이나 인대의 신장과 같은 경미한 손상을 입었을 때 부분적으로 간단히 부착하여 시술을 편리하게 하고 부목이 들뜨지 않도록 환부에 밀착되게 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부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부를 감싸 보호하고 지지하는 부목에 있어서,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등에 부분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한 내피와 외피; 베이스 소재의 내외면에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로 된 경화용액이 도포되어 상기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삽입되는 경화용 심재로 이루어진 부목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부목 구조{A splint structure}
본 발명은 골절부와 인대 파열부와 같은 경미한 환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감싸주는 데 사용되는 부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등과 같은 부위에 골절이나 인대의 신장과 같은 경미한 손상을 입었을 때 부분적으로 간단히 부착하여 시술을 편리하게 하고 부목이 들뜨지 않도록 환부에 밀착되게 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부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형외과용 부목은 뼈가 골절되거나 금이 간 경우 및 인대의 신장과 파열시 다친 관절과 근육조직의 지지 및 고정을 위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단단히 감아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부목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굴곡진 손상부위의 모양을 쉽게 성형하기 위해 유연성이 있어야 하고 성형하기 위한 응고시간이나 작업시간이 적절해야 하며 다루기 쉬워야 하고 경화후에는 그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가 충분히 커야 한다. 이와같은 요건을 갖춘 구조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석고재료가 도포된 붕대를 다친부위에 감는 방법이다. 석고붕대는 경화전 유연성이 뛰어나 굴곡진 손상부위의 모양을 쉽게 성형할 수 있으며 응고시간이나 작업시간이 적절하며, 경화후 기계적 강도가 높아 부목재료로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석고붕대는 충분한 두께로 환부를 감아야 하므로 붕대를 감는 데 상당한 시간을 요하게 되고 특히 손가락, 발가락 등에 경미한 손상을 입었을 때 부분적으로 시술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서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등에 경미한 손상을 입었을 때 시술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사출 성형하여 스폰지의 내피를 부착한 부목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그 형태가 환부에 부착할 수 있는 대략적인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시술시에는 부목을 환부에 밀착시키기 위해 부목을 오븐에 넣어 약 90℃의 온도에서 연질화시켜 환부에 대고 환부의 굴곡면을 따라 손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성형 작업을 하게 되는 데 이와같이 성형하는과정에서 열에 의해 연질화 된 열가소성 수지의 부목이 식게 되므로 한번에 환부에 완전하게 밀착시킬 수 없어 대개 부목을 한번이상 오븐에 넣어 연질화시키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고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약 20분정도의 완전 냉각시간을 가져야 되는 시술상의 번거러움과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되는 등 실용성이 좋지 않은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있는 것으로 부목을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등에 부착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서 시술형태와 같이 성형하여 시술을 매우 편리하게 하고 부목이 들뜨지 않게 환부에 밀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조의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부를 감싸 보호하고 지지하는 부목에 있어서,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등에 부분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한 내피와 외피; 베이스 소재의 내외면에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로 된 경화용액이 도포되어 상기 내피와 외피의 사이에 삽입되는 경화용 심재로 이루어진 데 특징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을 전개한 실시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부를 단면한 사용상태 예시도
도 4 의 (a)(b)(c)(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사용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과구멍 2 : 요입부 3 : 내피
4 : 외피 5 : 심재 100 : 부목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목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부목(100)은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등에 부분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소형의 크기와 형상으로서 손가락 통과구멍(1) 또는 요입부(2) 등이 형성된 시술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부목(100)은 내피(3)와 외피(4)의 사이에 경화용 심재(5)가 내삽되어 일체로 된 구조로 되어 있다. 내피(3)는 환부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부직포나 면 또는 스폰지로 이루어지고 외피(4)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내구성을 가지는 부직포나 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경화용 심재(5)는 부직포나 면, 유리섬유, 합성성유 편직물로 된 베이스 소재를 습기경화형(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나 석고액과 같은 경화용액의 내부에 침지시켜 내외면에 일체로 도포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경화용 심재(5)는 내피(3)와 외피(4)의 사이에 간삽되어 내피(3)와 외피(4)의 외주연의 접착으로 일체가 되는 데 상기 외주연의 접착은 봉착하거나 테이프를 접착하는 방법외에 열용착하여 접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부목(100)은 경화용 심재(5)에 도포한 경화용액이 건조되지 않도록 기밀되게 진공 포장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부목(100)은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 등에 부분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소형의 크기와 형상으로서 그 형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통과구멍(1)이 형성된형상과, 도 4의 (b)(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입부(2)가 형성된형상 또는형상과, 도 4의 (c)에도시한 바와 같이와 같은 타원형상으로 시술형태와 같이 만들어져 도시된 사용예시와 같이 손목과 손가락 및 손바닥, 손등의 환부에 부분적으로 간단히 밀착되도록 부착하게 되는 데, 그 구조가 부직포나 면 또는 스폰지로 구성한 내피(3)와 외피(4)의 사이에 석고붕대나 습기경화형(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한 경화용 심재(5)를 일체로 삽입하고 내피(3)와 외피(4)의 외주연을 접합하여 일체로 구성하고 이를 기밀되게 진공 포장한 것이므로 부목(100)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먼저 기밀 포장된 진공 포장을 개봉하여 부목(100)을 물속에 담근 후 물이 충분히 내부에 침투되게 한 상태에서 물기를 짜내고 수건으로 물기를 닦아 환부에 부목(100)을 대고 골절부의 각도에 맞추어 환부가 위치한 신체 형상을 따라 손으로 각도를 약간 조절하고 형태를 잡게 되면 환부에 간단히 밀착시킬 수 있게 되는 바 본 발명의 부목 (100)은 시술상태를 완성하는 형태와 매우 유사하게 미리 성형되어 있으므로 환부에 간단히 부착시킬 수 있어 시술이 매우 용이하고 편리한 잇점이 있다. 이와같이 부목 (100)의 착용이 끝나면 고탄력 붕대로 부목(100)의 외면을 감아 고정시키면 몇분후에 경화용 심재(5)가 내외면에 도포된 경화용액에 의해 견고하게 경화되어 고정 성형되므로 골절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어 시술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부목(100)의 형태는 도 4에 도시한 여러 형태 이외에도 신체의 골절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부목은 부직포나 면으로 된 내피(3)와 외피(4)의 사이에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한 경화용 심재(5)를 삽입하여 손목, 발목, 손가락, 발가락 등에 부분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형태의 소형크기로 구성된 것이므로 인대의 신장과 같은 경미한 손상을 입은 환부에 부분적으로 간단히 부착하여 환부를 고정시킬 수 있어 시술이 매우 편리하고 또한 부목이 들뜨지 않도록 환부에 밀착되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2)

  1. 환부를 감싸 보호하고 지지하는 부목에 있어서, 손가락, 발가락, 손목, 발목등에 부분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서 손가락 통과구멍(1) 또는 요입부(2) 또는 타원형상으로 성형한 내피(3)와 외피(4);
    베이스 소재의 내외면에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로 된 경화용액이 도포되어 상기 내피(3)와 외피(4)의 사이에 삽입되는 경화용 심재(5)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3)와 외피(4)의 사이에 경화용 심재(5)가 삽입되어 외주연의 접합으로 일체가 되게 구성된 부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내피(3)와 외피(4)는 부직포나 면 또는 스폰지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베이스 소재는 석고붕대 또는 부직포, 유리섬유, 합성섬유 편직물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목구조.
KR10-2000-0079464A 2000-12-21 2000-12-21 부목 구조 KR100385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464A KR100385792B1 (ko) 2000-12-21 2000-12-21 부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464A KR100385792B1 (ko) 2000-12-21 2000-12-21 부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563A KR20010016563A (ko) 2001-03-05
KR100385792B1 true KR100385792B1 (ko) 2003-06-02

Family

ID=1970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464A KR100385792B1 (ko) 2000-12-21 2000-12-21 부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7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44B1 (ko) * 2014-06-26 2015-07-22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5199474A1 (ko) * 2014-06-26 2015-12-30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6006848A1 (ko) * 2014-07-11 2016-01-14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KR101983089B1 (ko) 2018-10-31 2019-05-29 정은희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46762B1 (ko) 2019-04-25 2019-11-20 정은희 생분해성 수지(Poly Lactic Acid)를 이용한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KR20200116050A (ko) 2019-03-27 2020-10-08 주식회사 제이피메딕 마사지 기능이 적용된 부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859B1 (ko) * 2001-08-01 2004-05-31 이영찬 의료용 부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8428A (ja) * 1985-05-22 1986-11-27 Chiku Asano プラスチツク整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複合材
KR880009619A (ko) * 1987-02-18 1988-10-04 도날드 밀러 셀 정형용부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75640A (ko) * 1998-03-23 1999-10-15 최용호 정형용 부목재
KR20010016562A (ko) * 2000-12-21 2001-03-05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절곡부목과 그 제조방법
KR100319261B1 (ko) * 1999-09-18 2002-01-05 허승욱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8428A (ja) * 1985-05-22 1986-11-27 Chiku Asano プラスチツク整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複合材
KR880009619A (ko) * 1987-02-18 1988-10-04 도날드 밀러 셀 정형용부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75640A (ko) * 1998-03-23 1999-10-15 최용호 정형용 부목재
KR100319261B1 (ko) * 1999-09-18 2002-01-05 허승욱 정형용 부목재 및 보조기
KR20010016562A (ko) * 2000-12-21 2001-03-05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절곡부목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44B1 (ko) * 2014-06-26 2015-07-22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5199473A1 (ko) * 2014-06-26 2015-12-30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5199474A1 (ko) * 2014-06-26 2015-12-30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US11344441B2 (en) 2014-06-26 2022-05-31 Woori Material Inc. Thermoplastic cast having excellent deformability and rigid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6006848A1 (ko) * 2014-07-11 2016-01-14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KR101983089B1 (ko) 2018-10-31 2019-05-29 정은희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6050A (ko) 2019-03-27 2020-10-08 주식회사 제이피메딕 마사지 기능이 적용된 부목
KR102046762B1 (ko) 2019-04-25 2019-11-20 정은희 생분해성 수지(Poly Lactic Acid)를 이용한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563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790B1 (ko) 절곡부목과 그 제조방법
Hung et al. Early controlled active mobilization with dynamic splintage for treatment of extensor tendon injuries
WO2002043629A3 (en) Custom molded tennis elbow pad assembly
KR100446555B1 (ko) 골절고정을 위한 부목겸용 깁스부재
JPS6282957A (ja) 整形外科用ギブス品
WO2004078068A2 (en) Custom-moldable wrist splint
KR101916033B1 (ko) 환자용 부목
KR100385792B1 (ko) 부목 구조
WO2002013735A2 (en) Curable adhesive splints and methods
AU673228B2 (en) Self-adhesive prefabricated bandage
KR20080029024A (ko) 관통구가 형성된 의료용 부목
KR200444034Y1 (ko) 손가락 보조기
KR20140030590A (ko) 손가락용 부목
KR200226290Y1 (ko) 절곡부목의 구조
KR101309636B1 (ko) 의료용 부목
KR102070654B1 (ko)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02671A1 (en) Orthopedic cast or splint
SE0000373D0 (sv) Förband för ortopediskt bruk
KR200240812Y1 (ko) 신체 정형용 부목
KR101983089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531909A (zh) 弯折夹板装置及其制作方法
KR200321951Y1 (ko) 의료용 부목
KR200278832Y1 (ko) 샌드위치형 직물을 이용한 부목
KR200268250Y1 (ko) 골절고정을 위한 부목겸용 깁스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