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812Y1 - 신체 정형용 부목 - Google Patents

신체 정형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812Y1
KR200240812Y1 KR2020010009731U KR20010009731U KR200240812Y1 KR 200240812 Y1 KR200240812 Y1 KR 200240812Y1 KR 2020010009731 U KR2020010009731 U KR 2020010009731U KR 20010009731 U KR20010009731 U KR 20010009731U KR 200240812 Y1 KR200240812 Y1 KR 200240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lint
shape
yarns
elastic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훈
Original Assignee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9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812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절부와 인대 파열부와 같은 환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정형하는 데 사용되는 신체 고정용 부목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로 편직한 탄력성 섬유 및 우레탄 탄력사, 고무사 등과 같은 탄력사를 천연사나 합성사가 함께 제직 또는 편직한 탄력성 섬유에 습기경화형 1액형 폴리우레탄의 경화용 수지를 함침시켜서 되는 대(袋)상의 정형용 부목을 환부의 형상과 굵기에 맞추어 대소 직경으로 성형하여 시술시 신체와 부목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분적인 압박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환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신체 정형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체 정형용 부목{Splint for body orthopedic}
본 고안은 골절부와 인대 파열부와 같은 환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정형하는 데 사용되는 신체 고정용 부목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로 편직한 탄력성 섬유 및 우레탄 탄력사, 고무사 등과 같은 탄력사를 천연사나 합성사가 함께 제직 또는 편직한 탄력성 섬유에 습기경화형 1액형 폴리우레탄의 경화용 수지를 함침시켜서 되는 대(袋)상의 정형용 부목을 환부의 형상과 굵기에 맞추어 대소 직경으로 성형하여 시술시 신체와 부목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분적인 압박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환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신체 정형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뼈가 골절되거나 금이 간 경우 및 인대의 신장과 파열시 다친 관절과 근육조직의 지지 및 고정을 위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단단히 감아 움직이지 않도록 정형하는 데 사용되는 부목은 석고붕대와 섬유에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수지를 도포한 붕대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는 경화전 유연성이 뛰어나 굴곡진 손상부위의 모양을 쉽게 성형하고 응고시간이나 작업시간이 적절하여 부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시술시 환부를 4∼6회 중복하여 나선모양으로 감아주게 되므로시술하는 데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특허 제232801호와 같이 대(袋)상의 신축성을 갖는 망상의 경화망을 경화성 합성수지유액에 함침시켜 팔이나 발등에 양말을 착용하듯이 시술하여 경화시키는 보다 편리한 부목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으로 된 상기 특허의 부목은 내부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권취상태로 판매되므로 사용시 시술할 길이 만큼을 절단하여 물에 약 4∼5초 담구고 가볍게 물을 짜내어 착용한 후 신체의 형태와 굵기에 맞추어 고정하는 과정에서 신축성의 한계로 인해 신체의 체형이 넓고 굵기가 굵은 부위는 강한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반면에 가는 부위는 신체와 밀착되지 않고 들떠 간격이 크게 형성되므로서 부목을 다친 부위를 따라 긴밀하게 감싸주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성형성이 저하되어 환부의 치료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로 편직한 탄력성 섬유 및 우레탄 탄력사, 고무사 등과 같은 탄력사를 천연사나 합성사가 함께 제직 또는 편직한 탄력성 섬유에 습기경화형 1액형 폴리우레탄의 경화용 수지를 함침시켜서 되는 대(袋)상의 정형용 부목을 성형함에 있어, 신체의 형상과 굵기에 대응하는 형태로 성형하므로서 부목이 들뜨지 않으면서 압박감을 느끼지 않는 상태로 환부에 긴밀히 밀착되는 신체 정형용 부목을 제공코저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목 1 : 탄력성 섬유 2 : 경화용 수지
3 : 대경부 4 : 소경부 5 : 융기부
6 : 절곡부 7 : 구멍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본 고안의 부목 (100)은 일반적인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로 편직한 탄력성 섬유 및 우레탄 탄력사, 고무사 등과 같은 탄력사를 천연사나 합성사가 함께 제직 또는 편직한 탄력성 섬유(1)에 습기경화형 1액형 폴리우레탄의 경화용 수지(2)를 함침시켜서 되는 대(袋)상의 정형용 부목으로서 대경부(3)와 소경부(4) 및 융기부(5) 그리고 절곡부(6)와 구멍(7)등이 형성된 신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모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부목(100)은 경화용 수지(2)를 함침시킨 탄력성 섬유 (1)를 소망하는 신체의 형상과 모양으로 성형하여 밀봉 포장하게 되는 데 이를 시술할 때에는 먼저 환부에 피부보호대(미도시)를 착용하고 개봉하여 대기중에 노출시킨 부목(100)을 물에 담그거나 그 상태로 피부보호대의 외면에 덧씌워 일정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탄력성 섬유에 함침된 경화용 수지(2)가 경화되어 환부에 밀착상태로 부착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부목은 일반적인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로 편직한 탄력성 섬유 및 우레탄 탄력사, 고무사 등과 같은 탄력사를 천연사나 합성사가 함께 제직 또는 편직한 탄력성 섬유(1)에 습기경화형 1액형 폴리우레탄의 경화용 수지(2)가 함침된 대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자체내에서 탄력성을 가지게 되어 착용시 양말이나 장갑과 같이 착용하게 되면 탄력성에 의해 무리없이 시술이 이루어지는 데 특히 신체의 형상 모양에 대응하는 대경부(3)와 소경부(4) 및 융기부(5) 그리고 절곡부(6)와 구멍(7) 등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환부를 압박하거나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예를 들어 부목(100)을 도 1과 같이 다리의 형상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하게 되면 시술시 환부로 부터 들뜨지 않고 압박감을 주지 않으므로 환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되고 도 3과 같이 팔에 착용하는 부목은 손가락을 노출시키는 구멍(7)과 손목부위를 보다 가늘게 형성하게 되면 팔에 착용시 밀착상태로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부목은 신체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하는 형태로서 형성된 것이므로 환부에 들뜨지 않고 압박감을 주지 않는 상태로 착용시킬 수 있어 환부의 고정을 확실하게 하여 치료효과를 높이고 환자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1)

  1. 일반적인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로 편직한 탄력성 섬유 및 우레탄 탄력사, 고무사등과 같은 탄력사를 천연사나 합성사가 함께 제직 또는 편직한 탄력성 섬유(1)에 습기경화형 1액형 폴리우레탄의 경화용 수지(2)를 함침시켜서 되는 대(袋)상의 정형용 부목에 있어서, 대경부(3)와 소경부(4) 및 융기부(5) 그리고 절곡부(6)와
    구멍(7)등이 형성된 신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모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정형용 부목.
KR2020010009731U 2001-04-07 2001-04-07 신체 정형용 부목 KR200240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731U KR200240812Y1 (ko) 2001-04-07 2001-04-07 신체 정형용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731U KR200240812Y1 (ko) 2001-04-07 2001-04-07 신체 정형용 부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812Y1 true KR200240812Y1 (ko) 2001-10-11

Family

ID=7309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731U KR200240812Y1 (ko) 2001-04-07 2001-04-07 신체 정형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8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642A (ko) * 2002-03-06 2003-09-19 최영하 체결식 깁스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체결식 깁스를이용한 시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642A (ko) * 2002-03-06 2003-09-19 최영하 체결식 깁스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체결식 깁스를이용한 시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457B2 (en) Orthopedic cast or splint
US6478761B2 (en) Rollable body part protector
KR101916033B1 (ko) 환자용 부목
WO2002017840A1 (en) Bandage for treatment of pressure sores, bedsores and similar ailments
KR101573221B1 (ko) 환부 고정용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US6716186B1 (en) Curable adhesive splints and methods
KR20010016562A (ko) 절곡부목과 그 제조방법
JP2004533286A (ja) エッジがシールされた整形外科用ギブス包帯技術
AU673228B2 (en) Self-adhesive prefabricated bandage
JP3062676B2 (ja) 外反拇指矯正用テープ
US6475174B1 (en) Dorsal compartment brace
KR102271801B1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KR200240812Y1 (ko) 신체 정형용 부목
KR100385792B1 (ko) 부목 구조
KR101309636B1 (ko) 의료용 부목
JP5974015B2 (ja) 多段階整形外科的システム及び取外し可能なギプス
US20040002671A1 (en) Orthopedic cast or splint
KR102605729B1 (ko) 공기압이 조절되는 팔꿈치 보호대
KR102525054B1 (ko)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수지 기반의 의료용 부목
US11278438B2 (en) Cushion for orthopedic casts
KR102070654B1 (ko)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1630B1 (ko) 일체형 스플린트
KR101912301B1 (ko) 엄지 고정 스플린트
KR101983089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278832Y1 (ko) 샌드위치형 직물을 이용한 부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