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474B1 - 의료용 부목 - Google Patents

의료용 부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474B1
KR101649474B1 KR1020150058221A KR20150058221A KR101649474B1 KR 101649474 B1 KR101649474 B1 KR 101649474B1 KR 1020150058221 A KR1020150058221 A KR 1020150058221A KR 20150058221 A KR20150058221 A KR 20150058221A KR 101649474 B1 KR101649474 B1 KR 10164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yarn
core layer
polyester
spl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천구일
임상현
최윤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to KR102015005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와 접촉하는 하지층, 외부에 노출된 상지층 및 상기 하지층 및 상지층 사이에 심재층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심재층은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경사로 1:3 내지 1:4의 중량비율로 구성되며,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위사로 구성되어 제직된 편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부목 {Splint for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의료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섬유와 같은 유해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강도와 밀착성이 우수한 의료용 부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골절 및 근육의 손상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석고 붕대와 합성 붕대류가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합성 부목(splint) 등의 다양한 방법들에 의한 고정 방법들이 발전되어 왔다. 정형외과용 부목은 팔, 다리 등의 골절부와 같이 신체의 일부를 일정기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의료용품의 하나이다.
부목류는 골절환자가 발생했을 때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고정 방법으로 초기에는 석고를 이용하여 부목을 제조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석고가 너무 무거워 활동에 무리를 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석고의 중량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섬유 및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편직물을 지지체로 하고 수경화성 합성수지를 경화재료로 하여 지지체에 함침시킨 합성 부목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합성 부목류는 경화 재료를 보호하면서 손쉽게 환자에 적용하기 위해 지지체를 패딩으로 감싸서 사용되고 있다.
이제까지 개발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목(splint)은 피부를 보호하는 하지층과 외부에 노출된 상지층이 양쪽 측부를 따라 접합되고, 그 사이에 심재층이 삽입된 3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부목에서 하지층과 상지층은 그 사이에 있는 심재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환부에 적용될 때 하지층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다. 하지층과 상지층은 모두 부직포로 제조되지만, 하지층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부드럽고 부피감이 있는 두께 3∼4 ㎜ 정도의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다. 상지층에 스펀레이스와 폴리에스터 본딩 원단을 사용하는 이유는 제품의 전체 두께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데 의미가 있다. 그런데 상지층을 얇게 할 경우 발생되는 문제 중 하나인 심재층에 함침되어 있는 수지가 상지층으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고 빠져나온 수지는 시술 마지막에 스프린트 제품을 감는 탄력붕대와 붙어버려 추후 탄력붕대 제거 시 제품과 붙어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지층으로 빠져나오는 수지를 방어하기 위해 폴리에스터 원단에 발수처리를 하며, 폴리프로필렌 스펀레이스는 폴리프로필렌으로된 하지층과 초음파 접착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부목에서는 하지층과 상지층 사이에 삽입되는 심재층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심재층에는 수경화성 수지가 도포되어 물을 흡수하여 경화된다. 즉 부목을 골절부에 적용할 때, 심재층이 물을 흡수하도록 한 후 골절부에 적용시키면, 일정한 형상으로 경화되는 것이다.
부목의 심재층은 통상 그 폭이 2∼6 인치의 범위이고, 그 길이는 통상 10∼45 인치이지만, 그 이상 4∼5 m정도까지 긴 경우도 있다. 하지층과 상지층은 그 내부에 심재층을 수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심재층보다 그 폭이 더 커야 한다. 부목에 사용하기 위한 심재층 소재로 이제까지 여러 가지 소재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유리섬유 편직물과 부직포라 할 수 있다.
유리섬유 편직물인 경우에는 여러 겹, 통상 8 겹의 유리섬유 편직물을 겹쳐서 심재층 소재로 사용하여 왔다. 이 유리섬유 소재는 강도와 통기성이 양호하고 신축성이 양호한 장점을 갖고 있다. 부목은 일정 기간 피부에 접촉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통기성이 양호해야 하고, 환부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자유롭게 경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신축성이 양호해야 한다. 그러나 유리섬유 소재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 중량감이 있으며, 절단시에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부목은 환부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절단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유리섬유 편직물을 절단하면 한올 한올의 유리섬유가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유리섬유는 피부에 손상을 입히게 되게 된다. 유리섬유 소재의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부직포 소재라 할 수 있다.
부직포를 심재층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는 유리섬유에 비하여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절단시에 위험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부직포는 통기성이 불량하고, 몰딩성(molding) 또한 불량하여 형상굴곡이 원활하지 못하며, 유리섬유에 비하여 강도가 약한 결점을 갖고 있다.
기타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섬유 편직물을 여러 겹을 겹쳐서 심재층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절단성이 불량(절단시 절단면에 가시가 발생함)하여 크게 상업화되지 못하였다. 부목은 환부의 위치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그 환부에 적합하도록 가위와 같은 절단 수단을 이용하여 절단한 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부목은 절단성이 양호해야 사용상 문제가 없게 되므로 절단성이 양호하면서, 층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의료용 부목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3-070193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0138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시 가시 발생이 없으며, 층분리도 발생하지 않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도가 우수하며 발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와 접촉하는 하지층, 외부에 노출된 상지층 및 상기 하지층 및 상지층 사이에 심재층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심재층은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경사로 1:3 내지 1:4의 중량비율로 구성되며,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위사로 구성되어 제직된 편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는 300 내지 400 데니어이며,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는 900 내지 120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직물은 3 내지 5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심재층에 경화제로 코팅하는 데, 상기 경화제는 폴리우레탄 프로폴리머 96~99.1중량%, 안정제 0.1~1.0중량%, 촉매제 0.7 ~1.5중량% 및 소포제 0.1~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정제로는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riethyl phospate) 또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hyl phospate)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심재층에서 편직물 및 경화제의 혼합비율은 35:65 내지 45:55 중량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지층 및 상지층은 상기 부직포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목은 심재층의 절단시 가시 발생이 없으며, 층분리도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부목은 경화제를 잘 흡수할 수 있으며 강도 및 밀착성이 우수하며 발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사시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 중 심재층의 편직물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의료용 부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와 접촉하는 하지층, 외부에 노출된 상지층 및 상기 하지층 및 상지층 사이에 심재층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심재층은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경사로 1:3 내지 1:4의 중량비율로 구성되며,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위사로 구성되어 제직된 편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의 사시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부목 중 심재층의 편직물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부목은 피부와 접촉하는 하지층, 외부에 노출된 상지층 및 상기 하지층 및 상지층 사이에 심재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심재층은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제직된 편직물로 구성되는 데, 상기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경사로 1:3 내지 1:4의 중량비율로 구성되며, 위사로는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제직된 편직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편직물이 경사로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적절하게 배치됨으로 인해 절단시 절단면에 가시가 발생하지 않으며, 발열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편직물의 경사로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가 포함됨으로써 심재층에 포함되는 경화제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편직물에 경화제로 코팅하더라도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로 인해 경화제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상기 경화제가 거의 없을 정도로 느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는 300 내지 4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DTY의 굵기는 수지 함침량과 관련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데니어가 높아질수록 수지 함침양이 많아진다. 폴리에스터 DTY가 300데니어 미만일 경우 수지 함침량이 적어져 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400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수지 함침량이 많아져 강도는 좋아질 수 있지만 수지가 경화하며 발생되는 열이 많아져 자칫 약한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심재층이 단겹이 아닌 여러겹인 경우 충분한 수지가 함침되어야 여러겹이 서로 붙은 상태로 경화되어 충분한 강도가 발현될 수 있다. DTY사의 경우 수지를 함침시킬수 있는 양이 많기 때문에 적은 수지양을 함침시켰을 때 DTY가 수지를 다 흡수하여 밖으로는 나오지 않아 심재층끼리 붙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심재층을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많은 수지를 함침시켰을 때는 심재는 서로 떨어지지 않고 붙은 상태로 경화될 수 있지만 수지양이 많아 경화시 발열이 높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는 900 내지 1200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900데니어 미만일 경우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1200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심재층이 뻣뻣해져 제품 몰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심재층의 편직물은 3겹 내지 5겹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재층의 편직물이 3겹 내지 5겹일 때 환부 보호가 잘 이루어지며, 강도가 우수하고, 절단면 가시도 거의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층분리도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심재층이 강도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끼리 붙어서 강도가 발휘되어야 한다. 즉,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끼리 잘 붙기 위해 경화제를 사용하는 데, 경화제를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면 발열이 발생한다. 또한 너무 적게 사용하면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끼리 잘 붙지 않아 강도가 약해지게 되어 심재층의 편직물이 3겹 내지 5겹으로 하고 경화제를 사용하여 강도 발휘 및 발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3겹 미만일 경우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5겹을 초과할 경우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 몰딩성이 떨어지며, 제품 무게가 무거워 환자가 착용하여 생활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경사로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동일한 개수로 배열되어 제직될 수 있다. 즉,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나란히 제공되어 제직된다.
경사로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를 공급하게 됨으로써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끼리 잘 붙게 되어 강도가 우수하게 되며, 절단시 가시발생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심재층의 편직물은 경화제를 코팅함에 따라 심재층의 내구성이 좋아지며, 절단시에 가시 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경화제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액상의 코팅액에 심재층 소재를 침지하거나 또는 액상의 수지를 심재층 소재 표면에 반복하여 도포함으로써 심재층을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심재층 코팅을 위한 경화제 성분은 폴리우레탄 프로폴리머, 안정제, 촉매제 및 소포제로 구성될 수 있다.
경화제의 조성비율을 살펴보면 폴리우레탄 프로폴리머 96~99.1중량%, 안정제 0.1~1.0중량%, 촉매제 0.7 ~1.5중량% 및 소포제 0.1~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로폴리머는 물과 잘 반응하는 수경화성 수지로 이를 이용하여 심재층을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코팅시 조기에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안정제로는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riethyl phospate) 또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hyl phospate)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민계, 금속계 및 몰포린계 촉매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는 데, 몰포린계로서 디몰포리노에틸에테르(DMDE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는 작업시 발포를 억제하고 소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실리콘계 소포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재층에 코팅하는 경우 편직물 및 코팅액의 혼합비율은 35:65 내지 45:55 중량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비율로 코팅이 이루어질 경우 코팅액이 편직물에 적절하게 배합되어 내구성이 좋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심재층 상하로 상지층 및 하지층이 적층되는 데, 부직포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지층 및 상지층은 상기 부직포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이루어진 바람직하다.
상기 하지층으로 이용되는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및 폴리에스터 단섬유로 이는 물을 흡수하지 않는 소수성이다. 따라서, 하지층에 이용되는 부직포는 아무런 2차 가공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지층은 소수성 또는 친수성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는 데, 소수성의 경우는 상기 하지층과 마찬가지로 2차가공 없이 소수성 부직포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상지층을 친수성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소수성 부직포에 친수성 원료를 코팅하여 이용하는 데, PEG 계열 원료를 이용하여 코팅을 통해 친수성 부직포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는 시술 과정에서 상지층으로 물을 쉽게 침투시켜 부목제품이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상지층을 소수성 부직포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두겹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겹은 폴리프로필렌 스펀레이스, 나머지 한 겹은 폴리에스터 원단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원단은 발수처리를 하여 폴리프로필렌 스펀레이스와 본딩 가공을 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스펀레이스는 하지층의 부직포와 초음파 접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수처리는 불소계, 실리콘계, 탄소계 등이 있는 데, 본 발명에서는 발수력이 좋은 불소계 발수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지층의 두께는 정형용 부목재 또는 보조기를 적용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데 0.5 내지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너무 얇으면 심재층의 경화제가 상지층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보호하기 힘들고 너무 두꺼우면 적용 신체부위와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지층의 두께는 3 내지 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3mm미만의 두께일 경우 심재층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막아주기 어렵고 딱딱해진 심재층이 피부에 닿아 불편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쿠션역할을 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심재층의 제조를 위해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경사로 1:3의 중량비율로 구성되도록 하며,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 300데니어,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 900데니어로 동일한 개수로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교대로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하였으며, 위사로는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를 공급하여 제직에 의한 편직물을 제조한다.
하지층 및 상지층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를 이용한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상지층의 경우는 두겹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한겹은 폴리프로필렌 스펀레이스, 나머지 한 겹은 폴리에스터 원단으로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폴리에스터 원단은 발수처리를 하여 폴리프로필렌 스펀레이스와 본딩 가공을 하였다.
상기 심재층은 3겹으로 하여 하지층, 심재층, 상지층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부목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심재층 편직물에 경화제로 코팅을 실시하였는 데,
폴리우레탄 프로폴리머 96중량%, 안정제 1.0중량%, 촉매제 1.5중량% 및 소포제 1.5중량%로 하였으며, 상기 안정제로는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riethyl phospate)를, 촉매제로는 몰포린계로서 디몰포리노에틸에테르(DMDEE)를, 소포제로는 실리콘계 소포제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경화제의 조성을 폴리우레탄 프로폴리머 97.5중량%, 안정제 0.5중량%, 촉매제 1.0중량% 및 소포제 1.0중량%로 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경화제의 조성을 폴리우레탄 프로폴리머 99.1중량%, 안정제 0.1중량%, 촉매제 1.7중량% 및 소포제 0.1중량%로 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만으로 경사와 위사를 제공하여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만으로 경사와 위사를 제공하여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4 및 비교예 1 ~ 비교예 2의 발열상태, 강도, 절단면 가시, 층분리 상태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발열온도(℃) 강도 절단면 가시 층분리
실시예 1 35 5 없음 없음
실시예 2 37 6 없음 없음
실시예 3 36 7 없음 없음
실시예 4 37 7 없음 없음
비교예 1 37 4 있음 있음
비교예 2 41 3 없음 있음
※ 측정방법
1. 발열온도 측정
발열 온도는 상지층, 하지층의 부직포가 있는 제품 상태로 측정하는 데, 일정 길이로 자른 부목을 물에 10초 담갔다 빼고 물기를 제거한 후 지름 5cm 정도되는 원통형 막대에 솜붕대를 감고 온도계를 대고 의료용 부목을 올린다. 그 상태를 유지한 채 탄력붕대로 감아주고, 온도계에서 최고 온도를 측정한다.
2. 강도 측정
부목을 flat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데,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물에 담갔다 빼내어 물기를 제거한 후 일정 무게의 roll로 앞뒤로 수 회 굴리며 부목을 몰딩한다. 물에 담근 후 1시간이 되는 시점에 UTM 장치로 강도를 측정한다. 측정방법은 3point bending 방법으로 한다.
3. 절단면 가시 및 층분리 측정
부목 test시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품을 절단할 때와 경화된 제품에서 잔가시 여부를 눈으로 확인한다.
층분리는 제품 상태에서 상지층과 하지층을 잡고 벌렸을 때 여러겹의 심재층이 서로 벌어지지 않고 붙어있는 가를 확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피부와 접촉하는 하지층, 외부에 노출된 상지층 및 상기 하지층 및 상지층 사이에 심재층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심재층은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경사로 1:3 내지 1:4의 중량비율로 구성되며,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가 위사로 구성되어 제직된 편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DTY(Draw Textured Yarn)사는 300 내지 400 데니어이며,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는 900 내지 120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은 3 내지 5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층에 경화제로 코팅하는 데, 상기 경화제는 폴리우레탄 프로폴리머 96~99.1중량%, 안정제 0.1~1.0중량%, 촉매제 0.7 ~1.5중량% 및 소포제 0.1~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로는 트리에틸 포스페이트(triethyl phospate) 또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hyl phospate)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층에서 편직물 및 경화제의 혼합비율은 35:65 내지 45:55 중량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층 및 상지층은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로 형성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부목.
KR1020150058221A 2015-04-24 2015-04-24 의료용 부목 KR10164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21A KR101649474B1 (ko) 2015-04-24 2015-04-24 의료용 부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221A KR101649474B1 (ko) 2015-04-24 2015-04-24 의료용 부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474B1 true KR101649474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221A KR101649474B1 (ko) 2015-04-24 2015-04-24 의료용 부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839A (ko) 2017-12-20 2019-06-28 정동대 의료용 쿠션 패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701931A (ko) 1990-10-03 1993-09-08 디이 크렌트 에드워드 신체 보호용 기구
KR19980031088A (ko) * 1996-10-31 1998-07-25 김윤 캐스팅 테이프용 폴리에스터 지지체
KR20030001386A (ko) 2001-01-24 2003-01-06 제옥스 에스. 뻬. 아. 인체가 호흡할 수 있는 의류 통풍 장치, 및 의류 통풍장치의 제조 방법
KR200326641Y1 (ko) * 2003-06-19 2003-09-17 장휴창 의료용 부목
KR100859879B1 (ko) * 2007-05-29 2008-09-24 (주)조인엔터프라이즈 정형외과용 부목
KR20110052009A (ko) * 2009-11-12 2011-05-18 주식회사 티앤엘 탄력성 및 통풍성이 개선된 의료용 압박붕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701931A (ko) 1990-10-03 1993-09-08 디이 크렌트 에드워드 신체 보호용 기구
KR19980031088A (ko) * 1996-10-31 1998-07-25 김윤 캐스팅 테이프용 폴리에스터 지지체
KR20030001386A (ko) 2001-01-24 2003-01-06 제옥스 에스. 뻬. 아. 인체가 호흡할 수 있는 의류 통풍 장치, 및 의류 통풍장치의 제조 방법
KR200326641Y1 (ko) * 2003-06-19 2003-09-17 장휴창 의료용 부목
KR100859879B1 (ko) * 2007-05-29 2008-09-24 (주)조인엔터프라이즈 정형외과용 부목
KR20110052009A (ko) * 2009-11-12 2011-05-18 주식회사 티앤엘 탄력성 및 통풍성이 개선된 의료용 압박붕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839A (ko) 2017-12-20 2019-06-28 정동대 의료용 쿠션 패드
KR102098373B1 (ko) * 2017-12-20 2020-04-08 정동대 의료용 쿠션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7295A (en) Medical articles
EP1838254B1 (en) Cast assembly with breathable double knit type padding
EP1776493B1 (en) Tubular spacer fabric
CA1151960A (en) Water-activated casting material
US11285033B2 (en) Breathable and customized cast for immobilization of fractured limb
JP4875631B2 (ja) 低密度医療用包帯基材、医療用包帯及び医療用包帯製品
GB2261821A (en) Orthopaedic aids and body protectors
JP2004533286A (ja) エッジがシールされた整形外科用ギブス包帯技術
KR101649474B1 (ko) 의료용 부목
US8337439B2 (en) Splint for orthopedic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3132B1 (ko) 의료용 부목
KR101984228B1 (ko) 열가소성수지 원단을 이용한 부목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16877A (ko) 정형외과용 부목
KR102271801B1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US10415181B2 (en) Knit fabric for orthopedic support material
KR100859879B1 (ko) 정형외과용 부목
KR101309636B1 (ko) 의료용 부목
KR102098373B1 (ko) 의료용 쿠션 패드
JP2010520769A (ja) 整形用副子及び同副子の製造方法
KR102458912B1 (ko) 수경화형 반경질 수지를 이용한 의료용 캐스트
JP7271847B2 (ja) 医療用固定材
KR200434012Y1 (ko) 정형외과용 부목
JP2016220959A (ja) 医療用固定材
WO2005102228A1 (en) Roll form medical bandaging product, medical bandage material, method of constructing same, and bandaging method
KR20100096760A (ko) 정형외과용 부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