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61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61B1
KR101978661B1 KR1020120123487A KR20120123487A KR101978661B1 KR 101978661 B1 KR101978661 B1 KR 101978661B1 KR 1020120123487 A KR1020120123487 A KR 1020120123487A KR 20120123487 A KR20120123487 A KR 20120123487A KR 101978661 B1 KR101978661 B1 KR 10197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air conditioner
drain
frame
ca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118A (ko
Inventor
이츠키 도이
타케시 하기야마
코지 오치
타카유키 카지와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9Air conditioning, e.g. de-watering, in 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35Mounting or fastening of the hous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6855Vehicle

Abstract

[과제]
원활한 배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 차량의 공조 구조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트랙터(1)의 공조 구조에, 트랙터(1)가 갖는 캐빈(1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컨 유닛(71)과, 에어컨 유닛(71)의 배수부(78)에 접속되어 배수부(78)로부터 배수된 물이 내측을 흐름과 아울러 트랙터(1)의 전후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드레인 호스(80)와, 드레인 호스(80) 내를 흐른 물을 배수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트랙터(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의 위치보다도 전후 양측에 위치하는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공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포장(圃場)에서의 작업을 행하는 농업용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 중에는 캐빈용의 에어컨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 차의 공조 구조에서는 공조 유닛을 캐빈의 루프부의 후방부에 배치하고, 공조 유닛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드레인 호스를 루프부의 후방부로부터 차량 밖으로 인출하고 있다. 이로써, 운전자의 전방 상방에 대한 시야가 공조 유닛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08030호 공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드레인 호스를 루프부의 후방부로부터 인출한 경우 드레인 호스는 루프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끌리게 된다.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경사면 등을 주행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작업 차량의 자세에 따라서는 드레인 호스 내의 물이 흐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활한 배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 차량의 공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은,
캐빈을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캐빈의 후방 상부에 에어컨 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에어컨 유닛의 배수부에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수된 물이 흐르는 드레인 호스를 접속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에어컨 유닛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배치 함과 아울러 그 전후 양측부에 상기 드레인 호스 내를 흐르는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 호스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컨 유닛은 외측을 커버로 덮고,
상기 캐빈은 상하 방향을 향해서 세로 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에 있어서의 상기 에어컨 유닛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세로 지주의 내부를 통과하여 전방측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가 상기 캐빈의 하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에 있어서의 상기 에어컨 유닛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측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가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의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커버(6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드레인 호스(80)는 상기 작업 차량(1)에 있어서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의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71)의 상기 배수부(78)와 상기 드레인 호스(80)는 배수 부재(86)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드레인 호스(80)는 상기 배수 부재(86)에 대하여 상기 작업 차량(1)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2방향으로 분기되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의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80)와 상기 배수 부재(86)의 접속 부분에는 상기 배수 부재(86) 내의 물을 상기 드레인 호스(80)측으로 압송하는 펌프(12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은 드레인 호스 배수구가 에어컨 유닛의 전후좌우의 위치에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어컨 유닛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작업 차량의 경사 상태에 관계없이 어느 한 쪽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로부터 배수할 수 있고, 또한, 에어컨 유닛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양이 많은 경우라도 복수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로부터 배수할 수 있다. 이로써, 원활한 배수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전후 2 방향으로 분기하는 조인트를 통해 상기 작업 차량의 전후 방향의 2 방향으로 전방측 드레인 호스, 후방측 드레인 호스를 각각 연결하기 때문에, 작업 차량의 경사 상태에 관계없이 원활한 배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 하부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조인트 및 드레인 호스는 전방 아래를 향하여 경사지므로, 에어컨 유닛에서 배출되는 물의 대부분을 전방측 드레인 호스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로부터 배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공조 장치의 구동 시에 에어컨 유닛에서 배출된 물이 드레인 호스로부터 배수되는 때에 외부에서 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확실하게 원활한 배수와 미관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 구조를 구비한 트랙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캐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캐빈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프레임을 다른 방향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에어컨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E-E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F-F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에어컨 설치부에 에어컨 유닛을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하는 트랙터에 구비된 공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하는 트랙터의 에어컨 설치부 부근의 루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에어컨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G-G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에어컨 하부 커버를 제거한 경우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 구조의 변형예이며, 리어 윈도우측에 선바이저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선바이저를 내린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하는 선바이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하는 선바이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 구조의 변형예이며, 펌프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고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실시형태)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 구조를 구비한 트랙터의 개략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 구조에 의한 공조 장치(70)(도 12 참조)가 구비된 트랙터(1)의 통상의 사용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을 각 부위에 있어서도 각각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포장 등에서 작업을 행하는 작업 차량이며, 본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 구조에 의한 공조 장치(70)가 구비된 트랙터(1)는 조타용 차륜으로서 설치된 전륜(3)과, 구동용 차륜으로서 설치된 후륜(4)을 갖고 있다. 이 중 후륜(4)에는 기체 전방부의 본네트(6) 내에 탑재되는 엔진(도시 생략)에 의해 발생된 회전 동력을 변속 장치(7)에 의해 적절히 감속해서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고, 후륜(4)은 이 회전 동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 변속 장치(7)는 엔진에 의해 발생된 회전 동력을 필요에 따라 전륜(3)에도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경우는 전륜(3)과 후륜(4)의 4륜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변속 장치(7)는 2륜 구동과 4륜 구동의 스위칭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후륜(4)의 상방으로부터 전방에 걸친 위치에는 후륜(4)을 덮음으로써 후륜(4)에 의해 끌어 올려진 흙의 비산을 억제하는 펜더(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1)의 기체 후방부에는 로터리(도시 생략) 등의 작업 기계를 장착 가능한 연결 장치(8)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캐빈의 사시도이다. 트랙터(1)는 운전자가 트랙터(1)의 조종시에 승차하는 캐빈(10)을 갖고 있다. 이 캐빈(10)은 상부에 루프(12)를 갖고 있고, 또한 캐빈(10)을 구성함과 아울러 트랙터(1)의 상하 방향을 향해 형성된 세로 지주인 필러를 복수개 갖고 있다. 즉, 캐빈(10)은 복수의 필러로서 프런트 필러(15)와, 센터 필러(16)와, 리어 필러(17)를 갖고 있고, 이들 필러는 각각 트랙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1개씩이 배치되어 있다.
이 중 프런트 필러(15)는 트랙터(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루프(12) 전단 부근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고, 리어 필러(17)는 루프(12)의 후단 부근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 필러(16)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프런트 필러(15)와 리어 필러(17)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루프(12)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캐빈(10)은 투명한 유리 등이 이들 필러에 부착됨으로써 폐쇄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면서 내측으로부터 외부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좌우의 프런트 필러(15) 사이에는 프런트 윈도우(26)가 부착되어 있고, 좌우의 리어 필러(17) 사이에는 리어 윈도우(27)(도 13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센터 필러(16)와 리어 필러(17) 사이에는 리어 사이드 윈도우(2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필러(15)와 센터 필러(16) 사이에는 개폐 도어(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개폐 도어(20)는 힌지(21)에 의해 센터 필러(16)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개폐 도어(20)는 센터 필러(16) 부근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 회동에 의해 프런트 필러(15)와 센터 필러(16) 사이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개폐 도어(20)에는 사이드 윈도우(22)가 설치되어 있어 개폐 도어(20)도 사이드 윈도우(22)를 통해 내측에서 외부를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폐 도어(20)의 하방에는 캐빈(10)에 대하여 출입할 때에 발을 걸치는 스텝(31)이 배치되어 있고, 개폐 도어(20)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필러(15)에는 트랙터(1)의 후방을 볼 때에 이용하는 사이드 미러(3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1)에는 캐빈(10)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장치(70)가 구비되어 있고, 루프(12)의 후단에는 공조 장치(70)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어컨 유닛(71)(도 3 참조)을 내부에 설치한 에어컨 설치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컨 설치부(13)는 캐빈(10)의 상방에 위치하는 루프(12)에 있어서 캐빈(1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에어컨 유닛(71)은 캐빈(1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C-C 단면도이다. 캐빈(10)의 상방이고 또한 캐빈(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에어컨 유닛(71)에는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배치된 공조 덕트(38)가 접속되어 있다. 즉, 공조 덕트(38)는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캐빈(10) 내의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 공조 덕트(38)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캐빈(10) 내의 양단 부근의 2개소에 루프(12)를 따라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전방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공조 덕트(38)에는 공조 덕트(38) 내를 흐르는 공기를 캐빈(10) 내로 취출하는 취출구(39)가 공조 덕트(38)의 하면 측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빈(10) 내에는 트랙터(1)의 운전자(100)가 착석하는 운전석(105)의 전방에 에어컨 유닛(71)의 운전 조작을 행하는 에어컨 조작부(3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에어컨 조작부(35)는 캐빈(10) 내에 있어서의 운전석(105)의 전방에서 루프(12) 부근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빈(10) 내에는 오디오 유닛(36) 등의 운전자(100)의 운전시에 있어서의 쾌적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캐빈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프레임을 다른 방향으로 본 사시도이다. 캐빈(10)은 프레임(40)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프레임(40)은 세로 지주인 필러의 골격이 되는 필러 프레임(41)를 복수개 갖고 있다. 즉, 프레임(40)은 필러 프레임(41)으로서 프런트 필러(15)를 구성하는 프런트 필러 프레임(42)과, 센터 필러(16)를 구성하는 센터 필러 프레임(43)과, 리어 필러(17)를 구성하는 리어 필러 프레임(44)을 갖고 있다.
이들 프런트 필러 프레임(42)과 센터 필러 프레임(43)과 리어 필러 프레임(44)은 프런트 필러(15), 센터 필러(16), 리어 필러(17)와 동일하게 각각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1개씩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필러 프레임(41) 중 프런트 필러 프레임(42)과 리어 필러 프레임(44)은 내측이 공동으로 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센터 필러 프레임(43)은 센터 필러 프레임(43)의 연장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형상, 즉, 상하 방향에서 센터 필러 프레임(43)을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형상이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러 프레임(41)은 상단 부근이 다른 부재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즉,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프런트 필러 프레임(42)의 상단끼리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런트 크로스 멤버(46)가 배치되고, 2개소의 프런트 필러 프레임(42)은 모두 상단 부근이 이 프런트 크로스 멤버(46)에 접속되어 있다. 동일하게,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끼리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크로스 멤버(47)가 배치되고, 2개소의 리어 필러 프레임(44)은 모두 상단 부근이 리어 크로스 멤버(47)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프런트 크로스 멤버(46)와 리어 크로스 멤버(47)는 각각 프런트 필러 프레임(42)이나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 부근에 있어서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런트 필러 프레임(42)의 상단 부근과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 부근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멤버(48)가 배치되어 있다. 프런트 필러 프레임(42)과 리어 필러 프레임(44)은 모두 상단 부근이 이 사이드 멤버(4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멤버(48)에는 프런트 필러 프레임(42)과 리어 필러 프레임(44)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필러 프레임(43)도 상단이 접속되어 있고, 이 사이드 멤버(48)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접속 중 사이드 멤버(48)와, 프런트 필러 프레임(42) 및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접속은 프런트 필러 프레임(42)과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 부근에 있어서의 측면에 사이드 멤버(48)가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프런트 필러 프레임(42)과 리어 필러 프레임(44)은 상단이 개구되어 있다. 이에 대해, 사이드 멤버(48)와 센터 필러 프레임(43)의 접속은 사이드 멤버(48)의 측면에 센터 필러 프레임(43)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리어 크로스 멤버(47)의 후방측에는 에어컨 유닛(71)의 하방을 덮는 에어컨 커버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에어컨 커버부(50)는 트레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리어 필러 프레임(44)끼리 사이에 있어서의 리어 크로스 멤버(47)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어 크로스 멤버(47)의 상방에는 리어 크로스 멤버(47)와 동일하게 사이드 멤버(48)의 후단부끼리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래킷 설치 프레임(51)이 리어 크로스 멤버(47)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리어 크로스 멤버(47)는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보다 조금 하방의 위치에 접속되어 있고, 브래킷 설치 프레임(51)은 리어 필러 프레임(44)보다도 상측의 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 브래킷 설치 프레임(51)에는 에어컨 유닛(71)을 부착하는 브래킷(52)이 접속되어 있다. 이 브래킷(52)은 복수가 브래킷 설치 프레임(51)으로부터 브래킷 설치 프레임(5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복수의 브래킷(52)은 모두 에어컨 커버부(5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40)에는 펜더(33)가 배치되는 위치에 펜더 프레임(55)이 배치되어 있다. 이 펜더 프레임(55)은 펜더(33)를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륜(4)이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후륜(4)의 상방으로부터 전방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펜더 프레임(55)도 필러 프레임(41)과 동일하게 파이프 형상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펜더 프레임(55)은 후륜(4)이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후륜(4)의 상방으로부터 전방에 걸쳐서 배치되도록 후륜(4)의 상방 부근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륜(4)의 전방 부근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파이프 형상의 부재가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펜더 프레임(5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후단이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하단 부근의 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리어 필러 프레임(44)에 있어서의 펜더 프레임(55)의 접속 부분은 개구되어 있고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내측과 펜더 프레임(55)의 내측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펜더 프레임(55)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하단은 스텝(31)을 부착하는 부분인 스텝 프레임(58)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텝 프레임(58)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의 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의 상단이 접속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스텝(31)은 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부착된다. 즉, 스텝(31)은 스텝 프레임(58)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스텝(31)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인 부착 부재(32)(도 2 참조)가 끼워져 고정된다.
펜더 프레임(55)은 이 스텝 프레임(58) 중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접속되어 있고, 스텝 프레임(58)에 있어서의 펜더 프레임(55)의 접속 부분은 개구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텝 프레임(58)의 내측과 펜더 프레임(55)의 내측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도 8은 에어컨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E-E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에어컨 유닛(71)은 공기를 흡입해서 송풍하는 블로어(72)를 갖고 있고, 블로어(7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는 이 공기와 공조 장치(70)에서 이용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이배퍼레이터(73)와, 블로어(7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와 엔진의 냉각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히터 코어(74)와, 이배퍼레이터(73)나 히터 코어(74)에서 열교환을 한 후의 공기를 공조 덕트(38)측으로 취출하는 유닛 취출구(75)를 갖고 있다. 또한, 이배퍼레이터(73)은 팽창 밸브를 내장하고 있어 팽창 밸브에서 기화한 냉매와 블로어(7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배퍼레이터(73)와 히터 코어(74)는 블로어(7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행하기 위해 블로어(72)의 하류측과 유닛 취출구(7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배퍼레이터(73)의 하방에는 이배퍼레이터(73)에서의 열교환에 의한 공기의 온도의 저하에 의해 응축된 공기 중의 수분을 모으는 집수부(77)를 갖고 있고, 집수부(77)에는 집수부(77) 내의 물을 에어컨 유닛(71)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7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부(78)는 짧은 관 형상이며 집수부(77)에 대하여 2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2개소의 배수부(78)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서 돌출되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이 2개소의 배수부(78)는 모두 유닛 취출구(75)가 개구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에어컨 유닛(71)은 에어컨 조작부(35)에 대한 조작에 따라 블로어(72)가 구동되고 유닛 취출구(75)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은 도 4의 F-F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에어컨 설치부에 에어컨 유닛을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의 하면도이다. 에어컨 유닛(71)은 브래킷(52)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에어컨 설치부(13)에 설치된다. 그 방향은 유닛 취출구(75)가 트랙터(1)의 전방을 향해서 개구됨과 아울러 집수부(77)측이 하방에 위치되고, 집수부(77)에 설치되는 2개소의 배수부(78)가 트랙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좌방향 또는 우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브래킷(52)에 부착된다.
에어컨 유닛(71)의 하방측에 위치해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2개소의 배수부(78)에는 배수 부재인 배수부 호스(86)가 각각의 배수부(78)에 접속되어 있다. 이 배수부 호스(86)는 모두 일단이 배수부(78)에 접속되고 타단측이 브래킷(52)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에어컨 유닛(71)의 트랙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가 위치하는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즉, 배수부 호스(86)는 배수부(78)로부터 트랙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소의 배수부(78)는 에어컨 유닛(71)의 단부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배수부(78)에 접속되는 배수부 호스(86)의 길이도 배수부 호스(86)가 접속되는 측의 배수부(78)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다.
배수부 호스(86)에 있어서의 배수부(78)에 접속되어 있는 측의 단부의 반대측의 단부에는 3방향의 접속부를 갖는 T형 조인트(88)가 접속되어 있다. 이 T형 조인트(88)는 3개의 접속부 중 2개의 접속부는 직선상에 있어서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나머지 1개는 다른 2개의 접속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형성되어 있다. 배수부 호스(86)의 단부에는 이 T형 조인트(88)의 3개의 접속부 중 다른 2개의 접속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는 접속부가 접속된다. 또한, T형 조인트(88)는 다른 2개 접속부가 트랙터(1)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배수부 호스(86)의 단부에 접속된다.
이 T형 조인트(88)의 3개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배수부 호스(86)에 접속되는 단부 이외의 2개의 접속부에는 배수부(78)로부터 배출된 물을 트랙터(1)의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 호스(80)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 호스(80)가 접속되는 T형 조인트(88)의 2개의 접속부는 트랙터(1)의 전후 방향을 향하는 방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접속부에 접속되는 드레인 호스(80)도 T형 조인트(88)로부터 트랙터(1)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이, T형 조인트(88)에 접속되는 드레인 호스(80) 중 전방측에 배치되는 드레인 호스(80)는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로 이루어져 있고 후방측에 배치되는 드레인 호스(80)는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로 이루어져 있다. 즉, 드레인 호스(80)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로 이루어져 있고, 드레인 호스(80)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로 이루어져 있다.
배수부 호스(86)와 드레인 호스(80)는 이와 같이 T형 조인트(88)를 통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드레인 호스(80)는 배수부 호스(86)에 대하여 트랙터(1)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2방향으로 분기되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71)의 배수부(78)에는 배수부 호스(86)가 접속되고 드레인 호스(80)는 이 배수부 호스(86)에 접속되어 있는 T형 조인트(88)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환언하면 배수부(78)와 드레인 호스(80)는 배수부 호스(86)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T형 조인트(88)나 드레인 호스(80)는 트랙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위치하는 배수부 호스(86)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나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도 트랙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하는 트랙터에 구비된 공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트랙터(1)에 구비된 공조 장치(70)는 주로 에어컨 유닛(71)과, 유체의 경로를 통해 에어컨 유닛(71)에 접속되는 기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공조 장치(70)를 구성하는 에어컨 유닛(71)에는 이배퍼레이터(73)에서의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 이용하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 유로인 쿨러 배관(90)과, 히터 코어(74)에서의 공기의 열교환을 위해 이용하는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열매체 유로인 히터 배관(94)이 접속되어 있다.
이 중, 쿨러 배관(90)에는 공조 장치(70)가 갖는 각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즉, 쿨러 배관(90)에는 예를 들면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으로 구동함으로써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91)와, 압축함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냉매와 대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함으로써 냉매를 냉각하고 가스 상태의 냉매를 액화하는 응축기인 콘덴서(92)와, 냉매 중의 액체와 기체를 분리하고 또한 냉매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리시버 드라이어(93)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컴프레서(91)나 콘덴서(92), 리시버 드라이어(93) 등의 기기는 기체 전방부의 본네트(6)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71)에는 이배퍼레이터(73)나 히터 코어(74)에서 열교환을 행하기 전의 냉매나 냉각수가 흐르는 쿨러 배관(90) 및 히터 배관(94)과, 열교환 후의 냉매나 냉각수가 흐르는 쿨러 배관(90) 및 히터 배관(94)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에어컨 유닛(71)은 쿨러 배관(90)에 의해 유입된 냉매나 히터 배관(94)에 의해 유입된 냉각수와, 캐빈(10) 안으로 흐르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이배퍼레이터(73)나 히터 코어(74)로 행함으로써 캐빈(10) 안으로 흐르는 공기의 냉각이나 가열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에어컨 유닛(71)에 열교환 전후의 쿨러 배관(90)이 각각 접속되고 열교환 후의 냉매가 다시 컴프레서(91) 등의 기기측으로 흐르도록 배치됨으로써 냉매의 순환 경로는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컴프레서(91) 등의 각 기기는 본네트(6) 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네트(6) 내에는 엔진 등의 동력원 장치도 배치되어 있어 이들 동력원 장치는 구동시에 온도가 높아진다. 특히,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감소시키는 필터인 DPF(Diesel Particulate Filter)(96)는 고온이 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쿨러 배관(90)에 있어서의 DPF(96)의 근방을 통과하는 부분은 DPF(96)의 열영향을 회피하기 위해서 DPF(96)를 회피해서 배치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쿨러 배관(90)에 있어서의 DPF(96) 근방을 통과하는 부분은 DPF(96)를 유지하는 DPF 브래킷(97)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콘덴서(92)는 냉매와 대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기 위해 외기에 노출되기 쉽도록 본네트(6) 내에 있어서의 비교적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쿨러 배관(90)은 본네트(6) 내에 있어서의 전방 부근의 위치로부터 에어컨 유닛(71)이 위치하는 캐빈(10)의 후방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본네트(6) 내에서 좌우 방향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본네트(6) 내에 배치되는 쿨러 배관(90)과 동일하게 본네트(6) 내에 배치되는 DPF(96)는 본네트(6) 내에 있어서의 비교적 후방 부근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PF(96)는 이 위치에서 DPF 브래킷(97)에 의해 유지되어 있지만 DPF 브래킷(97)은 DPF(96)를 실제로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DPF 브래킷(97)의 본네트(6) 내로의 부착 부분인 부착부를 갖고 있다. 이 중 부착부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부분이 유지부로 유지하는 DPF(96)보다도 본네트(6) 위치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네트(6) 내에 배치되는 쿨러 배관(90) 중 좌우 방향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부분은 DPF 브래킷(97)의 후방을 통과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 쿨러 배관(90)과 DPF(96) 사이에는 DPF 브래킷(97)의 부착부가 개재되어 있어 고온이 되는 DPF(96)로부터의 방사열은 DPF 브래킷(97)의 부착부에 의해 차단된다. 환언하면, DPF 브래킷(97)은 쿨러 배관(90)에 대하여 DPF(96)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71)에 접속되어 있는 드레인 호스(80)는 2방향으로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드레인 호스(80)의 단부에 위치하는 개구부이며, 드레인 호스(80) 내를 흐른 물을 배수 가능한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는 트랙터(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의 위치보다도 전후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2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는 드레인 호스(80) 중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는 T형 조인트(88)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비교적 짧은 길이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는 에어컨 유닛(71)의 근방에서 트랙터(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의 위치보다도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에어컨 유닛(71)의 전방에 위치하는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리어 필러 프레임(44) 내로 들어가 있다. 즉,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트랙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의 단부가 위치하는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배수부 호스(86)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에 있어서의 T형 조인트(88)에 접속되어 있는 부분도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의 단부가 위치하는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이 위치부터 전방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T형 조인트(88)에 접속되어 있는 위치부터 리어 필러 프레임(44)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이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리어 필러 프레임(44) 내로 들어가 있다. 또한,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하단 부근으로부터 이 리어 필러 프레임(44)에 대하여 내측끼리가 관통하고 있는 펜더 프레임(55) 내로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펜더 프레임(55) 내로 들어가 있는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단부가 펜더 프레임(55) 내에 위치한 상태로 또는 펜더 프레임(55) 내의 내측과 연통하고 있는 스텝 프레임(58)의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스텝 프레임(58) 내에 대하여 개구되어 있다. 즉,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리어 필러 프레임(44) 내로부터 펜더 프레임(55) 내에 걸쳐서 배치되고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스텝 프레임(58) 내에 대하여 개구되어 있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하는 트랙터의 에어컨 설치부 부근의 루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하는 에어컨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루프(12)는 프레임(40)이 갖는 사이드 멤버(48) 등에 루프 커버(60)가 부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루프(12)의 후단에는 에어컨 설치부(13)가 설치되어 있고, 에어컨 설치부(13)에는 에어컨 설치부(13)에 있어서의 상면측의 커버인 에어컨 상부 커버(61)와, 에어컨 하부 커버(62)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에어컨 유닛(71)은 외측이 에어컨 상부 커버(61)와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쌍방의 커버로 덮혀져 있다. 이들 커버 중 에어컨 상부 커버(61)는 루프(12)에 대하여 또는 프레임(4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에어컨 유닛(71)은 루프(12)로부터 에어컨 상부 커버(61)를 제거함으로써 점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루프(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에어컨 상부 커버(61)와 루프 커버(60) 등의 에어컨 상부 커버(61)의 접합 부분은 패킹 등을 이용하여 방수 구조가 설비되어 있다.
또한, 루프(12)는 에어컨 설치부(13)를 제외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고 있어 에어컨 설치부(13)의 직전 부근이 가장 넓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루프(12)에 있어서의 에어컨 설치부(13)의 직전 부근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의 폭이 넓게 되어 있는 부분의 내부에는 에어컨 유닛(71)의 구동시에 있어서 외기를 흡인할 때에 외기의 티끌이나 먼지를 제거하는 외기 필터(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71)은 외기를 흡인할 때는 이 외기 필터로 티끌이나 먼지를 제거한 외기를 흡인한다.
도 15는 도 14의 G-G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착탈 가능한 에어컨 상부 커버(61)에 대하여 에어컨 하부 커버(62)는 용이하게는 제거할 수 없도록 에어컨 설치부(13)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컨 하부 커버(62)는 하면측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트랙터(1)가 주행하는 노면의 방향에 대하여 약 5°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에어컨 유닛(71)의 하방에는 배수부 호스(86)나 드레인 호스(80) 등이 배치되어 있지만 드레인 호스(80)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나 배수부 호스(86)는 에어컨 하부 커버(62)에 의해 덮혀져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후방측으로부터는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후단 근방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즉,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는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후단으로부터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에 있어서 이와 같이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은 후단 근방이 하방을 향해서 만곡됨으로써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에 있어서의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은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하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에어컨 하부 커버를 제거한 경우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에어컨 하부 커버(62)는 하면측이 전방측이 하방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지만 드레인 호스(80) 중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드레인 호스(80)도 트랙터(1)에 있어서의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인 호스(80)에 있어서의 에어컨 하부 커버(62)로 덮혀져 있는 부분은 T형 조인트(88)에 접속되어 있지만 T형 조인트(88)는 후방측 드레인 호스(82)가 접속되는 접속부측으로부터 전방측 드레인 호스(81)가 접속되는 접속부 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로 인해, T형 조인트(88)의 이들 접속부에 접속되는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는 T형 조인트(88)에 접속되어 있는 부분 부근이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로써, 에어컨 하부 커버(62) 내에 배치되는 드레인 호스(80)는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하면측의 경사와 동일하게 앞쳐짐 경사가 된다.
또한,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T형 조인트(88)의 경사각은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하면측의 경사각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하면측의 경사각이 5°인 경우는 T형 조인트(88)의 경사각은 트랙터(1)가 주행하는 노면의 방향에 대하여 10°정도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트랙터(1)의 공조 구조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트랙터(1)의 운전시는 운전자(100)는 캐빈(10) 내에서 핸들 조작이나 각종 레버의 조작, 페달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트랙터(1)의 주행이나 연결 장치(8)에 접속되는 작업기의 운전 조작을 행한다. 또한, 트랙터(1)에는 공조 장치(70)가 구비되어 있지만 공조 장치(70)는 캐빈(10) 내에 배치되는 에어컨 조작부(35)를 조작함으로써 작동된다.
에어컨 조작부(35)의 조작으로써 공조 장치(70)에 의해 캐빈(10) 내의 온도를 하강시킬 경우에는 우선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으로써 공조 장치(70)의 컴프레서(91)가 구동된다. 이로써, 컴프레서(91)는 쿨러 배관(90) 내의 냉매를 흡인해서 압축하고 냉매는 이 압축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다. 이렇게 온도가 상승한 냉매는 쿨러 배관(90)에 의해 컴프레서(91)로부터 콘덴서(92)로 흐른다. 콘덴서(92)로 흐른 냉매는 전동 팬(도시 생략)의 구동 등에 의해 콘덴서(92)를 통과하는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함으로써 온도가 저하된다. 이로써, 컴프레서(91)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압력이 높아진 냉매는 온도가 저하하고 가스 상태의 냉매는 콘덴서(92)에 의해 액화된다.
액화된 냉매는 리시버 드라이어(93)에 의해 또한 기체와 액체로 분리되어 수분이 제거된 후 액체의 냉매만이 쿨러 배관(90)을 통과해서 에어컨 유닛(71)으로 흐른다. 에어컨 유닛(71)으로 유입된 냉매는 에어컨 유닛(71)이 갖는 이배퍼레이터(73)로 흐른다. 이배퍼레이터(73)로 흐른 냉매는 팽창 밸브에 의해 기화되고 냉매는 그 때에 온도가 저하된다.
한편, 공조 장치(70)의 구동시는 에어컨 유닛(71)의 블로어(72)가 구동하고, 이배퍼레이터(73)의 방향을 향해서 공기를 송풍한다. 이배퍼레이터(73)는 상기 이배퍼레이터(73)의 외측을 흐르는 이 공기와 내측을 흐르는 저온의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배퍼레이터(73)에 의해 온도가 저하된 공기는 유닛 취출구(75)로부터 취출되어 공조 덕트(38)로 흐르고 공조 덕트(38)에 형성되는 취출구(39)로부터 캐빈(10) 내로 취출된다. 이로써, 캐빈(10) 내에는 온도가 낮은 공기가 흘러 캐빈(10) 내의 온도가 저하된다. 또한, 이배퍼레이터(73)에 의해 열교환을 행한 냉매는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유출되어 쿨러 배관(90)을 통과하여 다시 컴프레서(91)로 흐른다.
이에 대해, 에어컨 조작부(35)의 조작으로써 공조 장치(70)에 의해 캐빈(10) 내의 온도를 상승시킬 경우에는 히터 배관(94)에 의해 엔진의 냉각수가 에어컨 유닛(71)으로 흐른다. 즉, 난기(暖機) 운전 완료 후의 엔진의 냉각수는 외기온과 비교해서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캐빈(10) 내의 온도를 올릴 경우에는 이 냉각수를 열매체로서 이용함으로써 온도를 상승시킨다.
히터 배관(94)에 의해 에어컨 유닛(71)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에어컨 유닛(71)이 갖는 히터 코어(74)로 흐른다. 공조 장치(70)의 구동시에는 히터 코어(74)에는 블로어(72)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흘러 히터 코어(74)는 상기 히터 코어(74)의 외측을 흐르는 이러한 공기와 내측을 흐르는 고온의 냉각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히터 코어(74)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는 유닛 취출구(75)로부터 취출되어 공조 덕트(38)로 흘러 공조 덕트(38)에 형성되는 취출구(39)로부터 캐빈(10) 내로 취출된다. 이로써, 캐빈(10) 내로는 온도가 높은 공기가 흘러 캐빈(10) 내의 온도가 상승한다. 또한, 히터 코어(74)에서 열교환을 행한 냉매는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유출되어 히터 배관(94)을 통해 다시 엔진의 방향으로 흐른다.
공조 장치(70)를 구동시킴으로써 캐빈(10) 내의 온도를 조절할 경우에는 이와 같이 캐빈(10) 내로 송풍하는 공기의 온도를 냉매에 의해 저하시키는 것과, 냉매에 의해 상승시키는 것을 조합시킴으로써 소망의 온도로 조절한다.
공조 장치(70)는 이와 같이 냉매와 냉각수를 이용하여 캐빈(10) 내로 취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지만 이배퍼레이터(73)에 의해 이배퍼레이터(73)의 외측을 흐르는 공기와 내측을 흐르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킨 경우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저하된다. 이로써, 공기 중의 수분은 응축되어 액체가 되기 쉬워져 액체가 된 수분은 물이 되어 이배퍼레이터(73)에 부착되어 점차 하방으로 흐른다. 이배퍼레이터(73)의 하방에는 집수부(7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배퍼레이터(73)로부터 하방으로 흐른 물은 집수부(77)에 저류된다. 집수부(77)에 저류된 물은 집수부(77)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부(78)로부터 배수되어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유출된다.
배수부(78)로부터 배수된 물은 배수부(78)에 접속되어 있는 배수부 호스(86)로 흐르고 또한 배수부 호스(86)로부터 T형 조인트(88)를 통해 드레인 호스(80)로 흐른다. 이 드레인 호스(80)는 T형 조인트(88)에 의해 2방향으로 분기됨으로써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로 분리되어 있지만 드레인 호스(80)에 있어서의 에어컨 하부 커버(62)로 덮혀져 있는 부분은 앞처짐의 경사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트랙터(1)가 평탄한 노면 등 전륜(3)의 접지면과 후륜(4)의 접지면에서 높이의 변화가 적은 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 배수부 호스(86)로부터 드레인 호스(80)로 흐른 물은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의 방향으로 흐른다.
이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리어 필러 프레임(44) 내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의 방향으로 흐른 물은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에 있어서의 리어 필러 프레임(44) 내에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도달한 경우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를 따라 하방으로 흐른다.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에 있어서의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하단 부근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까지 도달한 물은 또한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에 있어서의 펜더 프레임(55) 내에 들어가 있는 부분으로 흐른다. 이 펜더 프레임(55)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스텝 프레임(58) 내에 대하여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에 있어서의 이러한 부분으로 흐른 물은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수되어 스텝 프레임(58) 내로 흐른다.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수된 물은 스텝 프레임(58)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 내로 흐르고, 이 물은 또한, 스텝 프레임(58)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흐른다. 스텝 프레임(58)의 이 부분에는 스텝(31)의 부착 부재(32)가 끼워져 있어 쌍방의 내측은 연통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텝 프레임(58) 내로 흐른 물은 스텝(31)의 부착 부재(32) 내로 흘러 이 부착 부재(32)의 하방으로 유출된다.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로 흐른 물은 이와 같이 스텝(31)의 하방으로부터 배수된다.
이들에 대하여, 전륜(3)의 접지면이 후륜(4)의 접지면보다도 높은 상태가 되어 트랙터(1) 전체가 뒤처짐이 됨으로써 에어컨 하부 커버(62) 내의 드레인 호스(80)도 뒤처짐의 상태가 된 경우 배수부 호스(86)로부터 드레인 호스(80)로 흐른 물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방향으로 흐른다.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는 후단이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후단으로부터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방향으로 흐른 물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수된다.
또한, 트랙터(1)의 경사의 방향에 관계없이 배수부 호스(86)로부터 드레인 호스(80)로 흐르는 물의 양이 많은 경우 배수부 호스(86)로부터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쌍방의 드레인 호스(80)로 분리되어서 흐른다. 이로써, 드레인 호스(80)로 흐르는 다량의 물은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쌍방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수된다.
이상의 트랙터(1)의 공조 구조는 캐빈(1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는 에어컨 유닛(71)의 배수부(78)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드레인 호스(80)를 좌우 양측에 배치하고, 드레인 호스(80)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를 트랙터(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71)의 위치보다도 전후 양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로써, 공조 장치(70)의 운전시에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트랙터(1)의 경사의 상태에 관계없이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수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는 복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양이 많을 경우라도 복수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수할 수 있다. 이 결과 원활한 배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내측으로부터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내측을 통과함으로써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캐빈(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보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는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내측에 배치되고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는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후단으로부터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도 외부로부터 보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는 모두 외부로부터 보기 어렵게 되어 있어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원활한 배수와 미관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드레인 호스(80)는 앞처짐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배출된 물의 대부분을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수할 수 있다. 이로써, 공조 장치(70)의 구동시에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드레인 호스(80)로부터 배수될 때에 외부로부터 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확실하게 원활한 배수와 미관의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호스(80)는 에어컨 유닛(71)의 배수부(78)에 접속되어 있는 배수부 호스(86)에 대하여 T형 조인트(88)를 통해 접속됨으로써 2방향으로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 드레인 호스(80)로 흐르는 것이 가능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확실하게 원활한 배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에 있어서의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하면보다도 상방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에어컨 설치부(13)의 하면측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보다 확실하게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컨 상부 커버(61)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에어컨 유닛(71)의 점검시는 에어컨 상부 커버(61)를 제거하여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이 결과,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도 17은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 구조의 변형예이며, 리어 윈도우측에 선바이저를 설치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선바이저를 내린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은 도 18에 도시하는 선바이저의 사시도이다. 또한, 상술한 공조 구조에서는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는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형성되는 후단이 에어컨 하부 커버(62)로부터 노출되어 있어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로부터의 배수는 비교적 높은 위치로부터 행하여지지만 이 배수가 작업자에게 튀지 않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7,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어 윈도우(27)의 후방측에 리어 윈도우(27)로부터 캐빈(10)으로의 태양광의 진입을 막는 선바이저(110)를 설치하여 이 선바이저(110)를 이용하여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로부터의 배수가 작업자에게 튀지 않도록 해도 좋다.
자세하게는 선바이저(110)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1개의 변의 양단에 이 변을 따른 방향이 축방향이 되는 회전축(111)을 갖고 있다. 이 선바이저(110)는 캐빈(10)의 후방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에어컨 설치부(13)의 하면측에 있어서의 후단 부근의 위치에 회전축(111)이 위치하는 상태로 에어컨 설치부(13)의 하면측에 배치한다. 회전축(111)은 축방향이 트랙터(1)의 좌우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있고, 선바이저(110)는 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에어컨 설치부(13)의 하면측에 배치한다.
또한, 선바이저(110)에는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선바이저(110)가 에어컨 설치부(13)의 하면에 중첩되도록 에어컨 설치부(13)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하면측에 2개의 홈부(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12)는 양단에 회전축(111)이 위치하는 변으로부터 이 변에 대향하는 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단에 회전축(111)이 위치하는 변 상에 있어서의 2개의 홈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는 에어컨 설치부(13)의 후단에서 에어컨 하부 커버(62)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2개의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에 있어서의 위치와 대략 같은 위치가 되어 있다. 즉, 에어컨 설치부(13)의 후단에는 2개의 홈부(112)의 각각의 일단과 2개의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위치하고 있지만 홈부(112)의 일단과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는 트랙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대략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홈부(112)의 타단측은 2개의 홈부(112)의 간격이 2개의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의 간격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즉, 2개의 홈부(112)는 회전축(111)이 위치하는 측의 변으로부터 이 변에 대향하는 변을 향함에 따라 홈부(112)끼리의 간격이 넓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선바이저(110)의 불사용시는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선바이저(110)가 에어컨 설치부(13)의 하면에 중첩되어 에어컨 설치부(13)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한다(도 17). 이로써, 캐빈(10) 내로부터 리어 윈도우(27)을 통해 외부를 볼 경우 캐빈(10) 안과 외부 사이에 차단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운전자(100)는 외부를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선바이저(110)의 사용시는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선바이저(110)에 있어서의 상단 부분에 회전축(111)측의 변이 위치하는 정도까지 선바이저(110)를 내린다(도 18). 이로써, 후방으로부터 태양광은 선바이저(110)에 의해 차단되어 리어 윈도우(27)에 도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태양광은 캐빈(10) 내에 진입하기 어려워져 운전자(100)는 눈부심을 느끼기 어렵게 된다.
여기에서, 선바이저(110)의 홈부(112)는 트랙터(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의 위치와 대략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 상태로 공조 장치(70)를 구동함으로써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수가 있을 경우 이러한 물은 선바이저(110)의 홈부(112)로 흐른다.
홈부(112)로 흐른 물은 홈부(112)를 따라 흘러 회전축(111)측의 변에 대향하는 변의 방향으로 흘러 홈부(112)의 단부로부터 배수된다. 이로써,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로부터 배출된 물은 선바이저(110)의 좌우 양측으로 확산되어 배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연결 장치(8)에 대하여 작업기의 착탈 작업을 행할 경우에 작업자에 대하여 물이 튀기 어려워진다.
또한, 연결 장치(8)에 대하여 작업기의 착탈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해서 선바이저(110)를 후방으로 올려도 좋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하는 선바이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즉,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해서 선바이저(110)를 후방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111)로부터 후방으로 수평보다도 약간 뒤처짐의 상태가 되어 연장되는 정도까지 선바이저(110)를 후방으로 올린다.
이 상태로 공조 장치(70)를 구동하여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출된 물이 선바이저(110)의 홈부(112)로 흐른 경우 이 물은 홈부(112)를 따라 후방으로 흐르면서 좌우 양측으로 확산되어 홈부(112)의 단부로부터 배수된다. 이로써,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로부터 배출된 물은 에어컨 설치부(13)로부터 후방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좌우 양측으로 확산되어 배수된다. 이로 인해, 연결 장치(8)에 대하여 작업기의 착탈 작업을 행할 때에 캐빈(10)의 바로 뒤부근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선바이저(110)를 올림으로써 작업자에 대하여 물이 튀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연결 장치(8)에 대하여 작업기의 착탈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작업의 상태에 따라서 선바이저(11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로부터 배출된 물이 작업자에 대하여 튀기 어려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공조 구조에서는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배출된 물은 물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배수부 호스(86)로부터 드레인 호스(80)로 흐르지만 이러한 물을 강제적으로 배수부 호스(86)로부터 드레인 호스(80)로 보내는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도 21은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 구조의 변형예이며 펌프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설명도이다. 배수부 호스(86)로부터 드레인 호스(80)로 보내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 호스(80)와 배수부 호스(86)의 접속 부분에 배수부 호스(86) 내의 물을 드레인 호스(80) 측으로 압송하는 펌프(120)가 배치되어도 좋다.
즉, T형 조인트(88) 대신에 T형 조인트(88)와 동일한 3개의 접속부를 갖는 배수부 호스(86)와 2개의 드레인 호스(80)가 접속됨과 아울러 배수부 호스(86) 내의 물을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와 후방측 드레인 호스(82)로 압송하는 펌프(120)를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배수부 호스(86)와 드레인 호스(80)의 접속 부분에 펌프(120)를 배치함으로써 공조 장치(70)의 구동시에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트랙터(1)의 경사 상태에 관계없이 드레인 호스(80)로 흐르게 하여 배수할 수 있다. 이 결과,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펌프(120)를 배치할 경우 펌프(120)는 전방측 드레인 호스(81) 및 후방측 드레인 호스(82)와 배수부 호스(86)의 접속 부분이 아니라 배수부 호스(86)에 배치해도 좋다. 배수부 호스(86)에 펌프(120)를 배치한 경우라도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펌프(120)에 의해 드레인 호스(80)측으로 압송함으로써 트랙터(1)의 경사 상태에 관계없이 배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펌프(120)를 배치할 경우에는 펌프(120)의 구동은 물의 흐름 상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배수부 호스(86)에 상기 배수부 호스(86) 내로 물이 흐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배수부 호스(86) 내로 물이 흐르고 있는지 있는 것을 이 센서에 의해 검지하고 있을 경우에 펌프(120)가 구동되도록 해도 좋다. 이로써,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의 배수시는 펌프(120)가 구동함으로써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에어컨 유닛(71)으로부터의 배수가 없을 경우는 펌프(120)를 정지함으로써 펌프(120)의 공전이나 불필요한 구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배수성을 향상시키면서 펌프(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공조 구조에서는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리어 필러 프레임(44)의 상단의 개구 부분으로부터 리어 필러 프레임(44) 내로 들어가 있지만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리어 필러 프레임(44) 이외로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센터 필러 프레임(43)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의 개구 부분이 노출되어 있을 경우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이 파이프 형상의 센터 필러 프레임(43) 내로 들어가게 해도 좋다.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에어컨 하부 커버(62)의 내측으로부터 필러 프레임(41)의 내측을 통과함으로써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캐빈(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고, 전방측 드레인 호스(81)가 내측을 통과하는 필러 프레임(41)은 리어 필러 프레임(44)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공조 구조에서는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드레인 호스 배수구(85)가 스텝 프레임(58) 내에 대하여 개구되어 있어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출된 물은 스텝(31)의 부착 부재(32)로부터 배수되지만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로부터 배출된 물은 스텝(31) 이외로부터 배수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펜더 프레임(55)이 접속되는 스텝 프레임(58)을 관통하여 노면에 대하여 직접 개구됨으로써 전방측 드레인 호스(81)의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의 배수는 직접 노면에 대하여 행하여지도록 해도 좋다. 전방측 드레인 호스(81)는 드레인 호스 배수구(85)로부터 배출된 물이 에어컨 유닛(71)보다도 전방측의 하방에서 배수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면 배수 부분의 경로는 실시형태에 의한 공조 구조에서의 배수 부분의 경로 이외의 형태라도 좋다.
1: 트랙터(작업 차량) 6: 본네트
10: 캐빈 12: 루프
13: 에어컨 설치부 15: 프런트 필러
16: 센터 필러 17: 리어 필러
33: 펜더 40: 프레임
41: 필러 프레임(세로 지주) 42: 프런트 필러 프레임
43: 센터 필러 프레임 44: 리어 필러 프레임
55: 펜더 프레임 61: 에어컨 상부 커버
62: 에어컨 하부 커버 70: 공조 장치
71: 에어컨 유닛 78: 배수부
80: 드레인 호스 81: 전방측 드레인 호스
82: 후방측 드레인 호스 85: 드레인 호스 배수구
86: 배수부 호스(배수 부재) 88: T형 조인트
90: 쿨러 배관 96: DPF
97: DPF 브래킷 110: 선바이저
120: 펌프

Claims (5)

  1. 전륜, 후륜, 상기 후륜의 상방으로부터 전방을 덮는 펜더와, 캐빈을 갖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캐빈의 후방 상부에 에어컨 유닛을 배치하고,
    상기 에어컨 유닛의 배수부에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수된 물이 흐르는 드레인 호스를 접속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배수부에 대해 전후 2 방향으로 분기하는 조인트를 통해 상기 작업 차량의 전후 방향의 2 방향으로 전방측 드레인 호스와 후방측 드레인 호스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드레인 호스는 상기 에어컨 유닛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드레인 호스의 전후 양측부에 상기 드레인 호스 내를 흐르는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 호스 배수구를 설치하고,
    상기 에어컨 유닛은 외측을 커버로 덮고,
    상기 조인트와 상기 커버 내의 상기 전방측 드레인 호스와 상기 후방측 드레인 호스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고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자세이고,
    상기 후방측 드레인 호스의 상기 드레인 호스 배수구가 상기 커버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상하 방향을 따라 세로 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전방측 드레인 호스는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후방측의 상기 세로 지주의 내부를 통해서 또한 상기 펜더를 따르는 형상의 팬더 프레임의 내부를 통해서, 상기 전방측 드레인 호스의 상기 드레인 호스 배수구를 상기 캐빈의 하방에 있는 출구용의 스텝을 지지하는 스텝 프레임에 접근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23487A 2011-11-29 2012-11-02 작업 차량 KR101978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60703A JP5678872B2 (ja) 2011-11-29 2011-11-29 作業車両
JPJP-P-2011-260703 2011-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118A KR20130060118A (ko) 2013-06-07
KR101978661B1 true KR101978661B1 (ko) 2019-05-15

Family

ID=4726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487A KR101978661B1 (ko) 2011-11-29 2012-11-02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16338B2 (ko)
EP (1) EP2599652B1 (ko)
JP (1) JP5678872B2 (ko)
KR (1) KR101978661B1 (ko)
CN (1) CN103129345B (ko)
AU (1) AU2012258463B2 (ko)
TW (1) TWI5237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4768B2 (ja) * 2012-09-27 2015-03-1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14166810A (ja) * 2013-02-28 2014-09-11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キャビン
US10259287B2 (en) * 2013-07-18 2019-04-16 Orvell B. Reynold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open motorized vehicle
JP6151119B2 (ja) * 2013-07-24 2017-06-21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ー
KR20200092427A (ko) * 2014-03-28 2020-08-03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JP2016030559A (ja) *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KR101594738B1 (ko) 2015-09-10 2016-02-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농용 작업차량용 캐빈
CN106184101B (zh) * 2016-07-27 2019-04-19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防滚架和具有其的车辆
US20220204098A1 (en) * 2020-12-24 2022-06-30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WO2023126719A1 (en) * 2021-12-30 2023-07-06 Kubota Corporation Modularly attachable cabin for tra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8031A (ja) * 2006-05-18 2007-11-29 Kubota Corp 作業車の外気導入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1326A (ja) * 1988-11-21 1990-05-30 Iseki & Co Ltd 乗用農機のキャビンにおけるエアコン排水装置
US5826440A (en) 1996-05-30 1998-10-2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Construction machine
US8033899B2 (en) * 2005-08-31 2011-10-11 Kubota Corporation Cabin for a work vehicle
JP4681501B2 (ja) 2006-05-18 2011-05-1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4404874B2 (ja) * 2006-05-18 2010-01-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空調構造
US8056355B2 (en) 2008-04-24 2011-11-15 Deere & Company HVAC drain system
US8240168B2 (en) * 2008-11-24 2012-08-14 Dometic Llc Condensation pump for roof-top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8031A (ja) * 2006-05-18 2007-11-29 Kubota Corp 作業車の外気導入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58463B2 (en) 2015-01-22
EP2599652A1 (en) 2013-06-05
CN103129345A (zh) 2013-06-05
CN103129345B (zh) 2017-03-01
TW201321248A (zh) 2013-06-01
NZ603920A (en) 2014-02-28
EP2599652B1 (en) 2016-11-16
JP5678872B2 (ja) 2015-03-04
TWI523783B (zh) 2016-03-01
AU2012258463A1 (en) 2013-06-13
JP2013112191A (ja) 2013-06-10
US20130139921A1 (en) 2013-06-06
KR20130060118A (ko) 2013-06-07
US9316338B2 (en) 201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61B1 (ko) 작업 차량
JP2013112191A5 (ko)
WO2016189939A1 (ja) 作業車
US20200122547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work vehicle
JP6361307B2 (ja) トラクタ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2007062575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00087392A (ja) 走行車両のエアコン装置
JP2004268799A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6453709B2 (ja) トラクタ
JP6449719B2 (ja) 作業車
JPH11310938A (ja) バックホーの冷却装置
JP4681522B2 (ja) 作業車
JP6475089B2 (ja) 作業車
JP2016145038A (ja) 作業車
JP2008080873A (ja) 作業車の防水シール構造
NZ603920B (en) Working vehicle
JP2000096619A (ja) 走行車両のエアコン装置
JP6333169B2 (ja) 作業車
JP2011046380A (ja) 作業車
JP2013126875A (ja) 作業車
KR20150035357A (ko) 자탈형 콤바인, 콤바인 및 작업차
JP2004268800A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JP2013126876A (ja) 作業車
JP2013126875A5 (ko)
JP2005028963A (ja) 作業車両における空調装置の配管配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