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357A - 자탈형 콤바인, 콤바인 및 작업차 - Google Patents

자탈형 콤바인, 콤바인 및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357A
KR20150035357A KR20140030125A KR20140030125A KR20150035357A KR 20150035357 A KR20150035357 A KR 20150035357A KR 20140030125 A KR20140030125 A KR 20140030125A KR 20140030125 A KR20140030125 A KR 20140030125A KR 20150035357 A KR20150035357 A KR 20150035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door
driver
ai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0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시 사코
유우스케 미가키
미츠루 다케나카
도시오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0270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560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02706A external-priority patent/JP62572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0270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3935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035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캐빈 내에서의 기체 전방의 시계성이 향상되는 자탈형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에어컨 유닛에 공급하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에 대해서, 청정한 차가운 외기를 흡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캐빈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또는 외부로부터 내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는 것이다.
캐빈(5) 내에,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17)과,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향 레버(18)와, 계기류(19)가 배치된 계기판(20)이 설치되고, 캐빈(5)의 전방면에, 캐빈(5)의 루프부부터 운전 좌석(17)의 하면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는 앞유리(13)가 설치되고, 계기판(20)과 조향 레버(18)는 캐빈(5) 내에서의 좌우 일측과 좌우 타측으로 할당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45)은 캐빈(5)의 루프부(12A)에서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캐빈(5)의 루프부(12A)에, 기체 가로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부(44)가 설치되고, 덮개부(44)에, 에어컨 유닛(45)에 공급하는 외기를 흡입하는 외측 흡입구(4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5)과, 캐빈(5)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도어(14)와, 도어(14)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창부(68)를 구비하고, 창부(68)는 도어(14)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탈형 콤바인, 콤바인 및 작업차{HEAD-FEEDING COMBINE, COMBINE AND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을 구비하는 자탈형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캐빈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탈형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탈형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탈형 콤바인에서는, 캐빈 내에,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과,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향 조작구(조향 레버)와, 계기류가 배치된 계기판(미터 유닛)이 설치되고, 캐빈의 전방면에, 앞유리(전방면 유리)가 설치되어 있다. 계기판과 조향 조작구는 프론트 패널에 장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 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콤바인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에어컨 유닛이 캐빈(운전 캐빈)의 루프부(천장부)에서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차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작업차가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작업차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도어(승강용 도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운전자가 도어로부터 캐빈에 승강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9529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54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37307호 공보
여기에서, 자탈형 콤바인에 의한 작업에서는, 줄 맞추기를 행하거나, 베어낸 자국이나 예취곡간의 반송 상황을 확인하거나 하는 곳, 운전자의 시선이 전방 하방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앞유리가 캐빈의 루프부부터 운전 좌석의 상면의 높이 위치 정도까지밖에 연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캐빈 내로부터의 기체 전방 하방의 시계가 좋지 않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계기판 및 조향 조작구를 구비한 프론트 패널이 설치되어 있으면, 계기판 및 조향 조작구나 프론트 패널 자체가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바로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기체 전방의 시계성이 저하된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캐빈 내에서의 기체 전방의 시계성이 향상되는 자탈형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콤바인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컨 유닛이 루프부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바, 에어컨 유닛에 공급하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에어컨 유닛의 근방, 즉, 루프부의 후방부에 설치한 경우, 루프부의 후방부의 부근은, 그 전방이 캐빈에 차단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작업 주행 시의 바람의 흐름이 좋지 않다. 이로 인해, 흡입구가 캐빈의 주위에 퇴적된 먼지(벼 등)나 엔진의 열기를 흡입하기 쉽다. 이것은 에어컨 유닛의 냉각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로부터 흡입구에 액세스하기 어려우므로, 흡입구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에어컨 유닛에 공급하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에 대해서 청정한 차가운 외기를 흡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운전자가 도어로부터 캐빈에 승강할 때에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예를 들어, 도어의 변형, 도어의 키의 고장이나 분실 등) 경우, 도어를 열기 위하여 어떠한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지만, 반드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캐빈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또는 외부로부터 내부에 액세스할 수 있는 콤바인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을 구비하는 자탈형 콤바인이며,
상기 캐빈 내에,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과,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향 조작구와, 계기류가 배치된 계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의 전방면에, 상기 캐빈의 루프부부터 상기 운전 좌석의 하면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는 앞유리가 설치되고,
상기 계기판과 상기 조향 조작구는, 상기 캐빈 내에서의 좌우 일측과 좌우 타측으로 할당되어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캐빈의 전방면이 캐빈의 루프부부터 운전 좌석의 하면보다도 하방의 위치까지 앞유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체 전방 하방의 시계가 좋아진다. 따라서, 줄 맞추기가 용이하고, 베어낸 자국 및 예취곡간의 반송 상황의 확인도 용이하다. 또한, 계기판 및 조향 조작구가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바로 전방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프론트 패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운전 좌석의 전방에 기체 전방의 시계를 방해하는 것이 없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캐빈 내에서의 기체 전방의 시계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조향 조작구와 상기 계기판의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하방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조향 조작구와 계기판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운전자가 기체 전방 하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체 전방 하방의 시계가 좋아진다.
또한, 상기 캐빈 내의 좌우 일측부에 사이드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계기판은, 상기 사이드 패널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계기판의 하방에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기판의 하방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하방에서의 좌우 일측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계기판의 하방의 공간을 통해서 운전자가 기체 전방 하방에서의 좌우 일측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체 전방 하방에서의 좌우 일측의 시계가 좋아진다.
또한, 상기 캐빈의 전방부에, 상기 캐빈의 루프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가 설치되고,
상기 조향 조작구는 좌우 한 쌍의 상기 전방 지주 중 좌우 타측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조향 조작구를 강성이 높은 전방 지주에 확실히 지지시키면서 조향 조작구의 하방에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 조작구의 하방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하방에서의 좌우 타측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조향 조작구의 하방의 공간을 통해서 운전자가 기체 전방 하방에서의 좌우 타측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체 전방 하방에서의 좌우 타측의 시계가 좋아진다.
또한, 상기 앞유리는, 상기 캐빈의 바닥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캐빈의 전방면이 캐빈의 루프부부터 캐빈의 바닥부까지 앞유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체 전방 하방의 시계가 좋아진다.
또한, 식립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상기 예취부의 후방에서의 좌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예취부는, 예취곡간을 좌우 타측에서 좌우 일측으로의 경사 후방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갖고,
상기 캐빈의 전방면 중 좌우 일측에서의 상기 계기판의 하방 부위에 상기 반송 장치가 인입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에 반송 장치가 인입되므로, 반송 장치와 캐빈의 전방면이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앞유리와 이어지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앞유리와의 일체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앞유리와 이어지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식립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는, 식립곡간을 일으키는 인기 장치를 갖고, 또한 상기 캐빈의 전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앞유리는, 그 상하 중간부가 후방측으로 팽출하도록 굴곡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앞유리의 굴곡 부분에 인기 장치가 인입되므로, 인기 장치와 앞유리가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컨 유닛은, 상기 캐빈의 루프부에서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빈의 루프부에, 기체 가로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부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에, 상기 에어컨 유닛에 공급하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흡입구가 바람의 흐름이 좋은 위치에 있는 점으로부터, 캐빈의 주위에 퇴적된 먼지나 엔진의 열기를 흡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흡입구가 청정한 차가운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가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로부터 흡입구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이 상기 루프부에서의 전방부에 존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캐빈 내의 위쪽 전방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자가 운전 좌석에서 일어나서 기체 전방 하측을 들여다볼 때, 캐빈 내의 천장면에 헤드부를 부딪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캐빈의 전방면 하부에, 상기 캐빈 내의 운전자가 상기 캐빈의 전방을 투시 가능한 투시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투시부를 통하여 운전자가 기체 전방 하측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때, 운전자가 앞으로 구부리게 되어도 에어컨 유닛이 루프부의 후방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에어컨 유닛이 루프부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캐빈 내의 위쪽 전방부 공간이 넓고, 보다 앞으로 구부린 자세에서 기체 전방 하측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빈 내의 천장면에서의 전방부에, 상기 에어컨 유닛을 조작하기 위한 에어컨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에어컨 조작부가 운전자의 헤드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에어컨 조작부에 액세스하기 쉽다. 따라서, 에어컨 조작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빈의 루프부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로부터의 외기를 상기 에어컨 유닛에 공급하는 급기로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캐빈의 루프부의 내부를 급기로로서 이용함으로써, 급기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캐빈의 루프부 중, 좌우 방향에서 상기 도어와 동일한 쪽, 또한 전후 방향에서 상기 도어의 존재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흡입구가 도어의 헤드 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운전자가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승강구를 넓게 개방하고, 캐빈의 바닥부를 발판으로 하여 사다리 등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안정된 자세에서 흡입구의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컨 유닛으로부터의 배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상기 캐빈을 지지하는 주 프레임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배수관에 의해 배수가 기체가 낮은 위치까지 안내되므로, 기체가 배수로 더럽혀지기 어렵다.
또한, 상기 에어컨 유닛으로부터의 냉기를 상기 캐빈 내에 송풍하는 송풍로가, 상기 캐빈의 전방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송풍로와 중복하도록 라디오가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송풍로에 의해 에어컨 유닛으로부터의 냉기가 캐빈의 전방부까지 안내되므로, 캐빈 내를 균일하게 공조할 수 있다. 또한, 라디오의 상하 공간을 이용하여 송풍로와 라디오를 평면적으로 위치 어긋남 한 상태에서 구비하는 것에 비하여 송풍로를 평면적으로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빈의 루프부에, 기체 가로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부가 설치되고,
상기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운전자가 승강할 때에 사용하는 난간이 설치되고,
상기 난간은, 상기 덮개부보다도 기체 가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난간이 덮개부를 방호하는 기능을 완수하므로, 덮개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부는, 상기 도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창부를 도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도, 도어나 키를 파괴하지 않고 운전자가 캐빈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또는 외부로부터 내부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창부가 끼워 넣어지고,
상기 개구부는 운전자가 빠져 나가기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창부를 개구부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개구부를 통하여 운전자가 캐빈에 대하여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부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도어의 절반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창부가 크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창부를 도어로부터 제거하여 캐빈에 대하여 승강할 때에 승강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도어와 상기 창부의 사이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창 시일재가 설치되고,
상기 창 시일재를 제거하여 조작하기 위한 제거 조작부가, 상기 캐빈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창 시일재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거 조작부에 의해 창 시일재를 제거함으로써, 창부를 도어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캐빈 내에서 제거하여 조작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캐빈 내에 있을 때에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도 캐빈으로부터 용이하게 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및 상기 창부는 투명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캐빈 내에서 도어 및 창부를 통하여 기체 외부를 투시할 수 있으므로, 캐빈 내에서의 시계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도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주에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보강 프레임에 의해 도어의 외주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주에,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빈의 사이를 시일하는 도어 시일재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 시일재는, 상기 도어의 외주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삽입부에 도어의 외주 단부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도어 시일재를 도어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도어 시일재를 도어에 설치하는 데에 있어서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주에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도어 시일재를 기체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보강 프레임에 의해 도어 시일재가 숨겨지므로, 도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주에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캐빈 내에서 고정구에 의해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고정구가 캐빈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도어의 외관 품질이 향상된다.
도 1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캐빈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캐빈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캐빈을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캐빈을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루프부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b)는 와이퍼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8은 루프부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9는 캐빈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루프부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루프부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 전방 사시도이다. (b)는 루프부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의 XII-XII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서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14는 루프부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배수 호스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b)는 배수 호스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6은 캐빈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어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8의 (a)는 댐퍼를 도시하는 평면 단면도이다. (b)는 댐퍼를 도시하는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어 시일재 및 보강 프레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서의 XX-XX 단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앞유리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2의 (a)는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에어컨 유닛의 분출구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b)는 동일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는 자탈형 콤바인을 도시하고 있다. 콤바인에서의 전방부에는 식립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1)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1)의 후방에는 기체를 주행시키는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장치(2)의 상부에는 기체 프레임(3)이 설치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3) 상에서의 좌측에는 예취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프레임(3) 상에서의 우측의 전방부에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5) 및 엔진(E)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5)은 예취부(1)의 후방에서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E)의 프리클리너(102)가 캐빈(5)의 루프부(12A)의 후방 우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프레임(3) 상에서의 우측의 후방부에는, 곡물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6)가, 탈곡 장치(4)와 좌우로 배열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6)에는 그레인 탱크(6) 내의 곡물을 취출하기 위한 언로더(7)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
예취부(1)는 캐빈(5)의 전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취부(1)는, 유압 실린더(도시 생략)에 의해 좌우 방향의 축심 방향으로 요동됨으로써, 하강한 예취 작업 위치와, 상승한 비예취 작업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예취부(1)는, 식립곡간을 분초하는 분초구(8)와, 식립곡간을 일으키는 인기 장치(9)와, 일으켜진 식립곡간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10)와, 예취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반송 장치(11)를 갖고 있다. 반송 장치(11)는, 예취곡간을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경사 후방에 반송하는 것이며, 예취부(1)의 우측에 위치하여 우측 2줄분의 예취곡간의 비트를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경사 후방에 반송하는 우측 반송 장치(11A)(본 발명에 관한 「반송 장치」에 상당)를 갖고 있다.
〔캐빈〕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5)의 전방면에는 앞유리(13)가 설치되어 있다. 캐빈(5)의 우측부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4) 및 백미러(8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캐빈(5)의 전방부에는 루프부(12A)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15)가 설치되어 있다. 캐빈(5)의 후방부에는 루프부(12A)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16) 및 도어 프레임(56)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후 방 지주(16)의 사이에는 리어 유리(88)의 후방 창틀(89)이 설치되어 있다. 후방 창틀(89)에는 프리클리너(102)가 스테이(102A)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캐빈(5) 내에는,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17)과,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향 레버(18)(본 발명에 관한 「조향 조작구」에 상당)와, 계기류(19)가 배치된 계기판(20)과, 사이드 패널(21)이 설치되어 있다. 계기판(20)과 조향 레버(18)는, 캐빈(5) 내에서의 좌측과 우측으로 할당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빈(5) 내에는, 운전 좌석(17)의 전방의 공간인 중간 공간(S1), 운전 좌석(17)의 우측으로 경사진 전방 하방의 공간인 우측 공간(S2), 운전 좌석(17)의 좌측으로 경사진 전방 하방의 공간인 좌측 공간(S3)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
사이드 패널(21)은 캐빈(5) 내의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패널(21)에는 시프트 레버(24), 클러치 레버(25), 사이드 조작 패널(26), 언로더 리모콘(27)이 배치되어 있다. 시프트 레버(24)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 생략)의 변속 조작을 하기 위한 것이다. 클러치 레버(25)는, 탈곡 장치(4)에의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도시 생략)의 전환 조작, 예취부(1)에의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도시 생략)의 전환 조작을 하기 위한 것이다. 언로더 리모콘(27)은 언로더(7)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조향 레버〕
조향 레버(18)는 캐빈(5) 내에서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조향 레버(18)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15) 중 우측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15) 중 우측에 파워 스티어링 유닛부(28)가 고정되고, 조향 레버(18)가 파워 스티어링 유닛부(28)에 십자 방향(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부(28)에는 키 스위치(29), 콤비네이션 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조향 레버(18)를 조작하는 운전자의 손목을 두는 암레스트(31)가 설치되어 있다.
〔계기판〕
계기판(20)은 캐빈(5) 내에서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계기판(20)은 사이드 패널(21)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기판(20)은 사이드 패널(21)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사이드 패널(21)에서 전방 우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계기판(20)에는, 계기류(19)로서, 예를 들어 중앙부에 실제의 작업 차속을 표시하는 작업 속도계(19A)가 배치되고, 그 양쪽에 엔진 회전계(19B)나 연료계(19C)가 배치되어 있다.
〔앞유리〕
앞유리(13)는 1장의 유리로 구성되어 있다. 앞유리(13)는 루프부(12A)부터 운전 좌석(17)의 하면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유리(13)는 캐빈(5)의 바닥부(12B)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앞유리(13)의 하부에, 캐빈(5) 내의 운전자가 캐빈(5)의 전방을 투시 가능한 투시부(1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유리(13)의 상부에는 와이퍼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유리(13)의 상단부는 루프부(12A)의 상부 프레임(121)(전방 상부 프레임(121A))에 지지되어 있다. 앞유리(13)의 하단부는 바닥부(12B)의 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앞유리(13)의 좌측 단부는 좌측의 전방 지주(15)와 좌측의 전방 프레임(151)으로 끼워 넣어 지지되어 있다. 앞유리(13)의 우측 단부는 우측의 전방 지주(15)와 우측의 전방 프레임(151)으로 끼워 넣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앞유리(13)는, 측면에서 볼 때, 캐빈(5)의 바닥부(12B)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으로 팽출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유리(13)는, 측면에서 볼 때, 앞유리(13)의 상부측 부분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1)쪽이, 앞유리(13)의 하부측 부분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θ2)보다도 크고, 또한 하단부에 접근할수록 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으로 팽출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유리(13)는, 평면에서 볼 때, 그 좌우 양단부만큼 후방에 위치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앞유리(13)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하는 3차원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또한, 캐빈(5)의 전방면 중 좌측에서의 계기판(20)의 하방의 부위에는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는 반송 장치(11) 중 우측 반송 장치(11A)가 인입하는 것이다. 오목부(23)는 투명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23)는, 앞유리(13)와 이어지는 유리로 구성하거나, 앞유리(13)와 이어지는 수지로 구성하거나 할 수 있다. 오목부(23)는 앞유리(13)와 일체로 구성해도 별개로 구성해도 된다. 오목부(23)를 앞유리(13)와 별개로 구성할 경우, 오목부(23)와 앞유리(13)의 사이에 시일을 설치하면 된다.
〔중간 공간〕
중간 공간(S1)은 조향 레버(18)와 계기판(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 공간(S1)은, 운전 좌석(17)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서 계기판(20)의 우측 단부와 파워 스티어링 유닛부(28)의 좌측 단부(도 5에서는 암레스트(31)의 좌측 단부)에 걸치도록 존재하고, 상하 방향에서 앞유리(1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걸치도록 존재하고 있다. 즉, 운전 좌석(17)과 앞유리(13)의 사이에 있어서, 중간 공간(S1)에는 시계에 방해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서 운전 좌석(17)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및 전방 하방의 시계가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암레스트(31)의 좌측 단부가 파워 스티어링 유닛부(28)의 좌측 단부보다도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도 5에 있어서, S1의 우측의 경계를 암레스트(31)의 좌측 단부 근방에 선을 그었지만, 파워 스티어링 유닛부(28)의 형상이나 암레스트(31)의 형상 및 암레스트(31)의 파워 스티어링 유닛부(28)에의 설치 방법 또는 암레스트(31)의 유무에 따라서는 S1의 우측의 경계의 선을 긋는 것은 다소 변경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운전자가 자세P1의 상태에 있어서, 중간 공간(S1)을 통하여 예취부(1)의 전단부(분초구(8)의 전단부)나 전방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자세P2의 상태에 있어서, 중간 공간(S1)을 통하여 베어낸 자국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발 거치대(104)에 발을 올려서 앞으로 구부린 자세에서 전방 하방를 들여다봄으로써, 중간 공간(S1)을 통하여 베어낸 자국을 확인할 수 있다.
〔우측 공간〕
우측 공간(S2)은 조향 레버(18)(파워 스티어링 유닛부(28))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우측 공간(S2)은, 운전 좌석(17)에 착석한 운전자의 발 밑에 있어서, 캐빈(5) 내에서의 우측에 존재하고 있다. 운전 좌석(17)과 앞유리(13)의 사이에 있어서, 우측 공간(S2)에는 시계에 방해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서 운전 좌석(17)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하방에서의 우측(전방 우측 하방)의 시계가 확보된다. 따라서, 운전 좌석(17)에 착석한 운전자는 우측 공간(S2)을 통하여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분초구(8)를 볼 수 있으므로, 분초구(8)에 의한 줄 맞추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좌측 공간〕
좌측 공간(S3)은 계기판(20)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좌측 공간(S3)은, 운전 좌석(17)에 착석한 운전자의 발 밑에 있어서, 캐빈(5) 내에서의 좌측에 존재하고 있다. 운전 좌석(17)과 앞유리(13)의 사이에 있어서, 좌측 공간(S3)에는 시계에 방해되는 것이 아무것도 없어서 운전 좌석(17)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하방에서의 좌측(전방 좌측 하방)의 시계가 확보된다. 따라서, 운전 좌석(17)에 착석한 운전자는 좌측 공간(S3)을 통하여 우측 반송 장치(11A)를 볼 수 있으므로, 우측 반송 장치(11A)에 의한 예취곡간의 반송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의 S1, S2, S3의 범위는 설명을 위한 예시이며, S1, S2, S3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인성에 대해서〕
자탈형 콤바인에 의한 작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취부(1)의 줄 맞추기를 행하거나, 베어낸 자국이나 예취곡간의 반송 상황을 확인하거나 하므로, 운전자의 시선이 전방 하방으로 되는 경우가 많아짐과 동시에, 운전자가 앞유리(13)의 1점을 응시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앞유리(13)를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앞유리(13)에 대한 운전자의 전방 하방의 시선이 조금이라도 직각에 가까우므로, 시선과 앞유리(13)가 직각과는 크게 동떨어져 있는 것에 비해 상의 왜곡이 적어져서 운전자의 눈이 피곤해지기 힘들어진다. 따라서, 앞유리(13)는 왜곡이 없는 만곡 형상으로 고정밀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유리(13)가 왜곡되어 있으면, 운전자의 눈이 피곤해지기 쉬워지는 바, 앞유리(13)의 왜곡의 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좌우 방향의 만곡을 중지하고 상하 방향의 만곡만의 2차원 곡면 형상의 유리를 채용해도 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보통형 콤바인은 자탈형 콤바인과는 예취부의 구성이 상이하므로(긁어들임 릴을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보통형 콤바인에 의한 작업에서는, 운전자의 시선이 전방 하방이 되는 빈도가 자탈형 콤바인보다도 적어서 운전자가 앞유리의 넓은 범위를 바라보는 경우가 많다(앞유리의 1점을 응시하는 경우가 적다).
〔와이퍼 장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퍼 장치(22)는 와이퍼 모터(32)와 와이퍼(33)를 갖고 있다.
와이퍼 모터(32)는 와이퍼(33)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와이퍼 모터(32)는 캐빈(5) 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너 루프(40)와 구획벽(41)의 사이에 수용부(84)가 형성되고, 수용부(84)에 와이퍼 모터(32)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와이퍼 모터(32)는 와이퍼 축(32a)을 갖고, 와이퍼 축(32a)이 앞유리(1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앞유리(13)에는 와이퍼 축(32a)을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와이퍼 축(32a)의 전단부에는 와이퍼(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와이퍼 모터(32)는 제1 스테이(34) 및 제2 스테이(35)를 개재하여 프레임(36)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 스테이(34)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테이(34)는 프레임(36)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테이(34)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제1 장공(34a)이 2개 형성되고, 제1 장공(34a)에 제1 볼트(37)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1 스테이(34)는 제1 볼트(37)와 제1 너트(37a)에 의해 프레임(3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볼트(37)를 프레임(36)에 용접해도 된다.
제2 스테이(35)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테이(35)는 제1 스테이(34)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스테이(35)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제2 장공(35a)이 2개 형성되고, 제2 장공(35a)에 제2 볼트(38)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2 스테이(35)는 제2 볼트(38)와 제2 너트(38a)에 의해 제1 스테이(3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너트(38a)를 제1 스테이(34)에 용접해도 된다. 또한, 제2 스테이(35)에는 와이퍼 모터(32)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스테이(34)의 고정 위치를, 제1 장공(34a)의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면, 와이퍼 모터(32)를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스테이(35)의 고정 위치를, 제2 장공(35a)의 범위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면, 와이퍼 모터(32)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다.
〔루프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부(12A)는, 캐빈(5) 외측의 아우터 루프(39)와, 캐빈(5) 내측의 이너 루프(40)를 갖고 있다. 아우터 루프(39)와 이너 루프(40)의 사이에는 구획벽(41)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루프부(12A)는 상부 프레임(12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21)은 전방 상부 프레임(121A)과 좌측 상부 프레임(121B)과 우측 상부 프레임(121C)을 갖고 있다.
또한, 루프부(12A)의 내부에는, 외기를 에어컨 유닛(45)에 공급하는 급기로(4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너 루프(40)와 구획벽(41)의 사이에는 에어컨 유닛(45)으로부터의 냉기를 캐빈(5) 내에 송풍하는 송풍관(43)(본 발명에 관한 「송풍로」에 상당)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루프부(12A)의 우측부에는 기체 가로 외측(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외측 덮개부(44)(본 발명에 관한 「덮개부」에 상당)가 설치되고, 루프부(12A)의 좌측부에는 기체 가로 내측(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내측 덮개부(47)가 설치되어 있다.
〔급기로〕
급기로(42)는 외측 흡입구(44a)(본 발명에 관한 「흡입구」에 상당) 및 내측 흡입구(47a)로부터의 외기를 에어컨 유닛(45)에 공급하는 것이다. 급기로(42)는, 아우터 루프(39)와 구획벽(41)의 사이에 있어서, 루프부(12A)의 외주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급기로(42) 중 좌측의 급기로의 도중 부분과 우측의 급기로의 도중 부분이 좌우 방향의 급기로에 의해 연통 접속되어 있다. 상기 좌우 방향의 급기로 내의 구획벽(41)에는 개구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급기로(42)의 외기가 개구부(41a)로부터 에어컨 유닛(45)에 공급된다.
〔에어컨 유닛〕
에어컨 유닛(45)은 루프부(12A)에서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루프(40)와 구획벽(41)의 사이에 수용부(49)가 형성되고, 수용부(49)에 에어컨 유닛(45)이 수용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45)은 증발기, 히터, 팬을 갖고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45)의 후방 하부는 커버(99)에 의해 덮여 있다. 커버(99)의 전단부(99b)는, 후방 창틀(89)의 고정부(89b)에 하측으로부터 할당된 상태에서 볼트(10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커버(99)의 후단부(99a)는 구획벽(41)의 후단부의 요입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45)은 좌측 상부 프레임(121B)의 후단부와 우측 상부 프레임(121C)의 후단부에서 끼워 넣어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에어컨 유닛(45)의 우측부는 우측 스테이(9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우측 스테이(91)는 우측 상부 프레임(121C)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스테이(91)에는 에어컨 유닛(45)의 우측부가 볼트(9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99)의 우측 부분이 볼트(100)에 의해 우측 스테이(9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45)의 좌측부는 제1 좌측 스테이(92) 및 제2 좌측 스테이(9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 좌측 스테이(92)는 좌측 상부 프레임(121B)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좌측 스테이(92)에는 에어컨 유닛(45)의 좌측 전방 부분이 볼트(9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방 창틀(89)의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89a)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좌측 스테이(93)는 후방 창틀(89)의 절곡부(89a)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좌측 스테이(93)에는 에어컨 유닛(45)의 좌측 후방 부분이 볼트(9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45)의 좌측부와 우측부의 사이는 중간 스테이(9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중간 스테이(94)는 절곡부(89a)에 지지되어 있다. 중간 스테이(94)에는 에어컨 유닛(45)의 중앙 부분 전후 2군데가 볼트(9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99)의 좌측 부분이 볼트(101)에 의해 중간 스테이(9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루프부(12A)에는 에어컨 유닛(45)의 외기 도입과 내기 순환을 전환하는 셔터(103)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103)는 횡방향의 축심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외기를 도입하는 위치와 내기를 순환하는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셔터(103)에 의해 급기로(42)의 개구부(40a)가 폐쇄됨으로써, 급기로(42)를 통해서 에어컨 유닛(45)에 외기가 공급된다. 또한, 셔터(103)에 의해 구획벽(41)의 개구부(41a)가 폐쇄됨으로써, 에어컨 유닛(45)에 내기가 공급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컨 유닛(45)을 조작하기 위한 에어컨 조작부(50)가 캐빈(5) 내의 천장면에서의 전방부, 구체적으로는 전방부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8 참조). 에어컨 조작부(50)에는,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 외기 도입과 내기 순환을 전환하기(셔터(103)를 전환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포함되어 있다. 에어컨 조작부(50)는, 캐빈(5) 내의 천장면에서의 전방부, 구체적으로는 전방부의 우측에 설치하거나, 사이드 패널(21)에 설치하거나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리모콘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송풍로〕
송풍관(43)은 에어컨 유닛(45)으로부터의 냉기를 캐빈(5) 내에 송풍하는 것이다. 송풍관(43)은 이너 루프(40)와 구획벽(41)의 사이에 형성되고, 캐빈(5)의 전방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송풍관(43)은 분배부(43A)와 좌측 송풍관(43B)과 우측 송풍관(43C)을 갖고 있다.
분배부(43A)는 상기 냉기를 좌측 송풍관(43B)측과 우측 송풍관(43C)측에 분배하는 것이다. 분배부(43A)의 후방부는 에어컨 유닛(45)에 접속되고, 분배부(43A)의 좌측부에 좌측 송풍관(43B)이 접속되고, 분배부(43A)의 우측부에 우측 송풍관(43C)이 접속되어 있다.
좌측 송풍관(43B)은 상기 냉기를 캐빈(5) 내의 좌측에 송풍하는 것이다. 좌측 송풍관(43B)의 전단부는, 평면에서 볼 때 캐빈(5)의 좌우 방향의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 좌측 송풍관(43B)과 중복되도록 좌측 송풍관(43B)의 상측에 라디오(48)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라디오(48)는 좌측 송풍관(43B)의 전단부(상기 절곡되어 있는 부분)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송풍관(43B)에는 상기 냉기가 캐빈(5) 내에 분출하는 좌측 분출구(43Ba)가 복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좌측 분출구(43Ba)에는 그릴(43Bb)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 송풍관(43C)은 상기 냉기를 캐빈(5) 내의 우측에 송풍하는 것이다. 우측 송풍관(43C)의 전단부는, 평면에서 볼 때 캐빈(5)의 좌우 방향의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우측 송풍관(43C)에는 상기 냉기가 캐빈(5) 내에 분출하는 우측 분출구(43Ca)가 복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우측 분출구(43Ca)에는 그릴(43Cb)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 흡입구〕
외측 흡입구(44a)는 에어컨 유닛(45)에 공급하는 외기를 흡입하는 것이며, 외측 덮개부(44)에 설치되어 있다. 외측 흡입구(44a)는 루프부(12A) 중 좌우 방향에서 도어(14)와 동일한 측(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흡입구(44a)는 루프부(12A) 중 전후 방향에서 도어(14)의 존재 범위 내, 구체적으로는 창부(68)의 존재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외측 흡입구(44a)는 외측 덮개부(44)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하도록 개구하고 있다. 외측 흡입구(44a)에는 펀칭 메탈 형상의 커버(44b)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캐빈(5)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우측부)에는 운전자가 승강할 때에 사용하는 난간(46)이 설치되어 있는 바, 외측 덮개부(44)는 난간(46)보다도 기체 가로 외측(우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즉, 난간(46)은 외측 덮개부(44)보다도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측 흡입구〕
내측 흡입구(47a)는 에어컨 유닛(45)에 공급하는 외기를 흡입하는 것이며, 내측 덮개부(47)에 설치되어 있다. 내측 흡입구(47a)는 루프부(12A) 중 좌우 방향에서 도어(14)와 반대측(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내측 흡입구(47a)는 내측 덮개부(47)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하도록 개구하고 있다. 내측 흡입구(47a)에는 펀칭 메탈 형상의 커버(47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컨 유닛(45)에는 2개의 히터 호스(51), 2개의 에어컨 호스(52), 2개의 배수 호스(53)(본 발명에 관한 「배수관」에 상당)가 접속되어 있다. 히터 호스(51)와 에어컨 호스(52)는 캐빈(5)의 좌측부와 우측부로 할당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 호스(51) 및 하니스(54)(전원계, 제어계의 하니스)가 캐빈(5) 내의 좌측 후방 코너부를 상하 방향으로 통하고 있다. 히터 호스(51) 및 하니스(54)는 실내 커버(55)에 의해 덮여 있다.
에어컨 호스(52)는 도어(14)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56) 내를 상하 방향으로 통하고 있다. 에어컨 호스(52)(석션)는 압축기(57)에 접속되고,에어컨 호스(52)(리퀴드)는 리시버(58)에 접속되어 있다(도 3 참조).
도 9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 호스(53)는 에어컨 유닛(45)으로부터의 배수를 배출하는 것이다. 배수 호스(53)는 에어컨 유닛(45)의 저부로부터 좌측과 우측으로 나뉘어져서 연장되어 있다. 배수 호스(53)는 후방 지주(16) 내를 상하 방향으로 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후방 창틀(89)의 하부를 지지하는 후방 횡프레임(90)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캐빈(5)을 지지하는 주 프레임(3A)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백 모니터〕
여기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5) 내에는 백 모니터(59)이 설치되어 있는 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15) 모두 백 모니터(59)를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백 모니터(59)용의 하니스(54A)가, 캐빈(5) 내의 좌측 후방 코너부에서 루프부(12A)의 내부의 좌측부를 통하여 캐빈(5)의 전방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백 모니터(59)용의 하니스(54A)를 캐빈(5)의 전방부에서의 좌우 중앙부에서 캐빈(5) 내에 취출함으로써, 백 모니터(59)용의 하니스(54A)를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쪽에도 배선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15) 모두 볼트 구멍(15a)이 형성되고, 볼트 구멍(15a)에는 탭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백 모니터(59)는 스테이(60)에 고정되고, 스테이(60)가 볼트(61)에 의해 전방 지주(15)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4)는, 그 후방부가 상하 2개의 힌지(62)를 개재하여 도어 프레임(56)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빈(5)과 도어(14)의 사이에는 댐퍼(63)가 개재 설치되고, 댐퍼(63)에 의해 도어(14)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도어(14)의 전방부에는, 도어(14)를 폐쇄한 상태에서 캐빈(5)에 고정하기 위한 도어록(64)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14)에서의 캐빈(5) 내측의 측면에는 그립(65)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14)의 외주에는 도어 시일재(66), 보강 프레임(6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14)는 다음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어(14)는, 그 전방부에 전방으로 팽출하는 만곡 형상의 전변부(14A)를 갖고 있다. 전변부(14A)의 상단부에 거의 수평인 상변부(14B)의 전단부가 접속하고, 또한 전변부(14A)의 하단부에 거의 수평인 하변부(14C)의 전단부가 접속하고 있다. 상변부(14B)의 후단부에 거의 수직인 후방 세로변부(14D)의 상단부가 접속하고, 또한 하변부(14C)의 후단부에 하단부에 접근할수록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후방 빗변부(14E)의 하단부가 접속하고 있다. 후방 세로변부(14D)의 하단부와 후방 빗변부(14E)의 상단부가, 도어(14)의 상하 방향의 중심(Ch)보다도 하방의 위치에서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어(14)는 투명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14)는 합성 수지(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등)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14)에는 개폐 가능한 창부(68)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14)에 개구부(14a)가 형성되고, 개구부(14a)에 창부(68)가 끼워 넣어져 있다.
〔댐퍼〕
댐퍼(63)는 가스 스프링식의 댐퍼이다. 댐퍼(63)의 기단부측은, 캐빈(5)측의 상하 방향의 요동축(69)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댐퍼(63)의 선단부측은 도어(14)측의 상하 방향의 요동축(7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테이(71)를 개재하여 도어(14)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71)는 캐빈(5) 외부로부터 볼트(72)에 의해 도어(14)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14)에서의 스테이(71)가 고정되는 부위는 도어(14) 중 샤시(7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14)에서의 스테이(71)가 고정되는 부위는, 도어(14) 중 전후 방향에서 샤시(73)의 존재 범위와 중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14)에서의 댐퍼(63)를 고정하는 부위의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도어록〕
도어록(64)은 도어록 플레이트(74)를 개재하여 도어(14)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록 플레이트(74)에는 그립(65)의 전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어록(64)은 캐빈(5)측의 스트라이커(75)(예를 들어, 환봉 부재 등)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스트라이커(75)는, 측면에서 볼 때 파워 스티어링 유닛부(28)와 중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자가 캐빈(5)에 승강할 때, 스트라이커(75)가 방해되기 어렵다. 또한, 스트라이커(75)는, 상하 2개의 힌지(62) 중 하측의 힌지(62)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스트라이커(75)와 하측의 힌지(62)을 연결하는 선은, 도어(14)의 상하 방향의 중심(Ch)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트라이커(75)가 도어(14)의 상하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도어(14)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14)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쪽에도 간극이 발생하기 어렵다. 즉, 스트라이커(75)가 도어(14)의 상부 또는 하부의 한쪽에 치우쳐서 위치하고 있으면, 도어(14)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14)의 상부 또는 하부의 다른 쪽에 간극이 발생하기 쉽지만, 이러한 경우가 없다. 또한, 하측의 힌지(62)와 스트라이커(75)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도어(14)를 폐쇄한 상태에서 힌지(62)의 요동축이 비틀어지기 어려워서 힌지(62)에 부하가 걸리기 어렵다. 즉, 하측의 힌지(62)에 대하여 스트라이커(75)의 상하 위치가 크게 이격되어 있으면, 도어(14)를 폐쇄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75)의 조임에 기초하는 전방측으로의 인장력이, 힌지(62)의 요동축에 대하여 경사 방향의 상태에서 힌지(62)에 작용하여 힌지(62)에 부하가 걸리기 쉽다. 그러나, 상기 구성이면, 힌지(62)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의 힌지(62)와 스트라이커(75)가 도어(14)의 상하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바, 이들의 근방에서 그립(65)이 도어(14)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걸쳐서 설치되고, 또한 그립(65)의 전단부가 도어록 플레이트(7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구조적으로 일체화됨으로써, 도어(14)의 강성이 향상된다.
〔도어 시일재〕
도어 시일재(66)는 도어(14)와 캐빈(5)의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도어 시일재(66)는 도어(14)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도어 시일재(66)는, 캐빈(5)에 밀착되는 시일 본체부(66a)와, 도어(14)의 외주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66b)를 갖고 있다.
〔보강 프레임〕
보강 프레임(67)은 알루미늄제의 중공 부재이다. 보강 프레임(67)은 도어(14)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67)은 힌지(62)를 걸치듯이, 도어(14)에서의 캐빈(5) 외측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67)은, 캐빈(5) 내로부터 고정구(76)(예를 들어, 사라비스, 리벳 등)에 의해 도어(14)에 고정되어 있다. 보강 프레임(67)은 도어(14)의 외주 단부면보다도 외주측으로 돌출되고, 도어(14)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 시일재(66)를 기체 가로 외측(우측 방향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즉, 보강 프레임(67)과 도어(14)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A)이 형성되고, 간극(A)에 도어 시일재(66)의 삽입부(66b)가 인입되어 있다. 또한, 보강 프레임(67)의 상변부에는, 댐퍼(63)의 스테이(7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결부(67a)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
힌지(62)는 캐빈(5) 내로부터 볼트(77)에 의해 도어(14)에 고정되어 있다. 도어(14)에서의 힌지(62)가 고정되는 부위는, 도어(14)에서의 외주(보강 프레임(67))와 샤시(7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개구부〕
개구부(14a)는 운전자가 빠져 나가기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개구부(14a)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4a)의 높이(Hw)는 도어(14)의 높이(Hd)의 절반 이상의 길이이다. 개구부(14a)의 폭(Bw)은 도어(14)의 하변부(14C)의 폭(Bd)보다도 길다. 개구부(14a)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도어(14)의 전후 방향의 중심은 모두 Cb에서 일치하고 있다. 개구부(14a)는 도어(14)의 상하 방향의 중심(Ch)에 대하여 상방쪽에 배치되어 있다.
〔창부〕
창부(68)는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운전 좌석(17)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후 방향의 중심 상에 창부(68)의 전후 방향의 중심(Cb)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창부(68)는 측면에서 볼 때 도어(14)의 절반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창부(68)는 투명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창부(68)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창부(68)의 외주에는 샤시(73)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14)와 창부(68)(샤시(73))의 사이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트림(78)(본 발명에 관한 「창 시일재」에 상당)이 창부(68)(샤시(73))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창부(68)는 고정식의 고정 창(68A)과 가동식의 가동창(68B)을 갖고 있다. 또한,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창부(68)는 도어(14)로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고정창(68A)은 샤시(73)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창(68B)은 샤시(73)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창(68B)의 상부에는 가동창(68B)을 샤시(7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79)가 설치되어 있다.
〔트림〕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림(78)에는, 도어(14)가 삽입되는 삽입 홈(78a)과, 샤시(73)가 삽입되는 삽입 홈(78b)과, 쐐기(80)가 끼워 넣어지는 쐐기 홈(78c)이 트림(78)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쐐기 홈(78c)은 트림(78)에서의 캐빈(5) 내의 측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쐐기 홈(78c)에는 쐐기(80)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트림(78)에는 트림(78)을 제거하여 조작하기 위한 링(81)이 캐빈(5)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트림(78)에 설치되어 있다.
〔링〕
링(81)은 쐐기(80)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81)은 쐐기(80)에 끼워 통과되어 있다. 또한, 링(81)은 트림(78) 중 상변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81)은 트림(78)의 상변에서의 전후 방향의 중심(Cb) 상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창부의 착탈 방법〕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쐐기(80)가 쐐기 홈(78c)에 끼워 넣어져 있는 상태에서는, 창부(68)가 도어(14)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링(81)을 인장함으로써, 쐐기(80)가 쐐기 홈(78c)으로부터 분리되면, 창부(68)를 샤시(73)마다 도어(14)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쐐기(80)가 쐐기 홈(78c)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창부(68)를 인장하면, 트림(78)이 탄성 변형하여 창부(68)가 샤시(73)마다 도어(14)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앞유리(13)는 1장의 유리로 구성되어 있지만, 복수장의 유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앞유리(13)는 전방으로 팽출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앞유리는, 그 상하 중간부가 후방측으로 팽출하도록 굴곡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유리(113)를 상하 2분할식으로 구성해도 된다. 앞유리(113)는 상부 유리(113A)와 하부 유리(113B)를 갖고 있다. 상부 유리(113A)와 하부 유리(113B)는 직접 연결해도 되고, 상부 유리(113A)와 하부 유리(113B)의 사이에 중간 부재를 설치하여 당해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상부 유리(113A)와 하부 유리(113B)를 연결해도 된다.
(2)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앞유리(13)는 캐빈(5)의 바닥부(12B)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캐빈(5)의 바닥부(12B)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아도 운전 좌석(17)의 하면과 캐빈(5)의 바닥부(12B)의 사이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3)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계기판(20)이 캐빈(5) 내에서의 좌측에 배치되고, 또한 조향 레버(18)가 캐빈(5) 내에서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계기판(20)이 캐빈(5) 내에서의 우측에 배치되고, 또한 조향 레버(18)가 캐빈(5) 내에서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4)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패널(21)은 캐빈(5) 내의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캐빈(5) 내의 우측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5)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덮개부(44) 및 내측 덮개부(47)가 설치되어 있지만, 외측 덮개부(44)만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6)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흡입구(44a) 및 내측 흡입구(47a)가 설치되어 있지만, 외측 흡입구(44a)만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7)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수 호스(53)는 2개이지만, 1개이어도 3개 이상이어도 된다.
(8)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라디오(48)는 송풍관(43)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송풍관(43)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9)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컨 유닛(45)에, 좌측 분출구(43Ba) 및 우측 분출구(43Ca)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좌측 분출구(43Ba) 및 우측 분출구(43Ca)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2개의 좌측 분출구(43Ba) 및 우측 분출구(43Ca)를 1개로 집약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분출구(43Ba) 및 우측 분출구(43Ca)에 패킹(85)이 설치되어 있다. 패킹(85)에 개구부(85a)가 형성되고, 개구부(85a)에 구획판(86)이 설치되어 있다. 구획판(86)에 개구부(86a)가 형성되고, 개구부(86a)에 그릴(87)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냉기의 풍속 증가에 의한 드래프트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10)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구부(14a)는 운전자가 빠져 나가기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지만, 개구부(14a)의 크기는 이것보다도 작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개구부(14a)는 운전자의 팔이 인입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11)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링(81)이 캐빈(5)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트림(78)에 설치되어 있지만, 캐빈(5) 밖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트림(78)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2)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어(14)는 폴리카르보네이트로 구성되어 있지만, 아크릴이나 유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창부(68)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지만, 폴리카르보네이트나 아크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6조식의 자탈형 콤바인 이외에, 2조 내지 5조식의 자탈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이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이외에, 보통형 콤바인, 트랙터 등의 농업 작업차, 건설 작업차에도 이용 가능하다.
1 : 예취부
3A : 주 프레임
5 : 캐빈
9 : 인기 장치
11A : 우측 반송 장치(반송 장치)
12 : 루프부
13 : 앞유리
13a : 투시부
14 : 도어
14a : 개구부
15 : 전방 지주
17 : 운전 좌석
18 : 조향 레버(조향 조작구)
19 : 계기류
20 : 계기판
21 : 사이드 패널
23 : 오목부
42 : 급기로
43 : 송풍관(송풍로)
44 : 외측 덮개부(덮개부)
44a : 외측 흡입구(흡입구)
45 : 에어컨 유닛
46 : 난간
48 : 라디오
50 : 에어컨 조작부
53 : 배수 호스(배수관)
66 : 도어 시일재
66b : 삽입부
67 : 보강 프레임
68 : 창부
76 : 고정구
78 : 트림(창 시일재)
81 : 링(제거 조작부)
S1 : 공간
S2 : 공간

Claims (29)

  1.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을 구비하는 자탈형 콤바인이며,
    상기 캐빈 내에, 운전자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과,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향 조작구와, 계기류가 배치된 계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의 전방면에, 상기 캐빈의 루프부부터 상기 운전 좌석의 하면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는 앞유리가 설치되고,
    상기 계기판과 상기 조향 조작구는, 상기 캐빈 내에서의 좌우 일측과 좌우 타측으로 할당하여 배치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구와 상기 계기판의 사이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하방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내의 좌우 일측부에 사이드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계기판은, 상기 사이드 패널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기판의 하방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하방에서의 좌우 일측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전방부에 상기 캐빈의 루프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가 설치되고,
    상기 조향 조작구는, 좌우 한 쌍의 상기 전방 지주 중 좌우 타측에 외팔보 지지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구의 하방에, 상기 운전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하방에서의 좌우 타측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유리는 상기 캐빈의 바닥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립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캐빈은, 상기 예취부의 후방에서의 좌우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예취부는, 예취곡간을 좌우 타측으로부터 좌우 일측에의 경사 후방에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갖고,
    상기 캐빈의 전방면 중 좌우 일측에서의 상기 계기판의 하방의 부위에, 상기 반송 장치가 인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앞유리와 이어지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앞유리와 이어지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립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부는, 식립곡간을 일으키는 인입 장치를 갖고, 또한 상기 캐빈의 전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앞유리는, 그 상하 중간부가 후방측으로 팽출하도록 굴곡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
  12.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 내를 공조하는 에어컨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컨 유닛은, 상기 캐빈의 루프부에서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빈의 루프부에, 기체 가로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부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에, 상기 에어컨 유닛에 공급하는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전방면 하부에, 상기 캐빈 내의 운전자가 상기 캐빈의 전방을 투시 가능한 투시부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내의 천장면에서의 전방부에, 상기 에어컨 유닛을 조작하기 위한 에어컨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루프부의 내부에, 상기 흡입구로부터의 외기를 상기 에어컨 유닛에 공급하는 급기로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캐빈의 루프부 중, 좌우 방향에서 상기 도어와 동일한 쪽, 또한 전후 방향에서 상기 도어의 존재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으로부터의 배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이, 상기 캐빈을 지지하는 주 프레임보다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콤바인.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유닛으로부터의 냉기를 상기 캐빈 내에 송풍하는 송풍로가, 상기 캐빈의 전방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송풍로와 중복하도록 라디오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루프부에, 기체 가로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부가 설치되고,
    상기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운전자가 승강할 때에 사용하는 난간이 설치되고,
    상기 난간은, 상기 덮개부보다도 기체 가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콤바인.
  20.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기체 가로 외측의 측부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부는, 상기 도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창부가 끼워 넣어지고,
    상기 개구부는, 운전자가 빠져 나가기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창부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도어의 절반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작업차.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창부의 사이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창 시일재가 설치되고,
    상기 창 시일재를 제거하여 조작하기 위한 제거 조작부가, 상기 캐빈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창 시일재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및 상기 창부는 투명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주에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작업차.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주에,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빈의 사이를 시일하는 도어 시일재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 시일재는, 상기 도어의 외주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있는, 작업차.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주에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도어 시일재를 기체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고 있는, 작업차.
  29. 제20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주에 보강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캐빈 내에서 고정구에 의해 상기 도어에 고정되어 있는, 작업차.
KR20140030125A 2013-09-27 2014-03-14 자탈형 콤바인, 콤바인 및 작업차 KR201500353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2707A JP6456016B2 (ja) 2013-09-27 2013-09-27 収穫機
JPJP-P-2013-202707 2013-09-27
JPJP-P-2013-202705 2013-09-27
JP2013202706A JP6257246B2 (ja) 2013-09-27 2013-09-27 コンバイン
JPJP-P-2013-202706 2013-09-27
JP2013202705A JP6139359B2 (ja) 2013-09-27 2013-09-27 自脱型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357A true KR20150035357A (ko) 2015-04-06

Family

ID=5303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30125A KR20150035357A (ko) 2013-09-27 2014-03-14 자탈형 콤바인, 콤바인 및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53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215A3 (ko) * 2021-07-15 2023-03-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215A3 (ko) * 2021-07-15 2023-03-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4420B1 (en) Cabin system
US7913505B2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work vehicle
US7677646B2 (en) Vehicle frame for work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3358857B (zh) 工程机械
US8695722B2 (en) Bulldozer with improved visibility
KR101978661B1 (ko) 작업 차량
JP4443485B2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6139359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12100610A (ja) コンバイン
JP6150722B2 (ja) 収穫機
US20070063549A1 (en) Tractor cabs
JP6456016B2 (ja) 収穫機
JP6257246B2 (ja) コンバイン
JP2015122975A (ja) 収穫機
KR102140429B1 (ko) 작업 차량
KR20150035357A (ko) 자탈형 콤바인, 콤바인 및 작업차
KR20160036651A (ko) 콤바인
CA2804021C (en) A ventilation system for a power machine
JP2017123881A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2007062575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6238865B2 (ja) コンバイン
KR20190002309A (ko) 콤바인
JP2009255919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6346001B2 (ja) トラクタ
JP6309363B2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