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749B1 - 차량 도어 손잡이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손잡이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749B1
KR101971749B1 KR1020137033898A KR20137033898A KR101971749B1 KR 101971749 B1 KR101971749 B1 KR 101971749B1 KR 1020137033898 A KR1020137033898 A KR 1020137033898A KR 20137033898 A KR20137033898 A KR 20137033898A KR 101971749 B1 KR101971749 B1 KR 101971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inertial
damping
rotation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755A (ko
Inventor
기욤 르쉬외르
비토리오 지아꼬네
안토니오 로치
Original Assignee
유-신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신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유-신 이탈리아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4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 손잡이용 안전 장치, 특히 측면 충돌 시나리오 동안에 상기 도어의 요구되지 않은 개방을 회피하기 위한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는, 감쇠 관성 시스템(17)으로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의 기계적 수단(29)이 개방 기구(9)와 간섭하여 도어 손잡이(1)의 작동을 방지하는 로킹 위치 도메인(β)과, 도어 손잡이(1)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도메인(α) 사이에서 회전축(A) 주위로 회전 이동가능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 및 가속도의 부재시에 감쇠 관성 시스템(17)을 다시 감쇠 관성 시스템(17)의 휴지 위치 도메인(α)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수단(21)을 포함하며, 여기서 감쇠 관성 시스템(17)은, 회전축(A) 상에 힌지결합된 원통형 몸체(23), 원통형 몸체(23)에 고정되고, 회전축(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25), 및 상기 아암(25)의 자유 단부에서 지지되는 관성 질량(27)으로서,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가속도로 인한 관성력이 상기 관성 질량(27)에 가해질 때 관성 시스템(17)을 로킹 위치로 움직이게 하도록 구성된, 상기 관성 질량(27)을 포함하며, 감쇠 관성 시스템(17)은 회전축(A) 주위에 원통형 몸체(23) 내에 통합된 회전 댐퍼(37)를 더 포함하며, 회전 댐퍼(37)는 로킹 위치 도메인(β)으로부터 휴지 위치 도메인(α)으로의 관성 시스템(17)의 복귀를 지연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손잡이용 안전 장치{SAFETY DEVICE FOR VEHICLE DOOR HANDLE}
본 발명은 차량 도어 손잡이용 안전 장치, 특히 측면 충돌 시나리오 동안에 상기 도어의 요구되지 않은 개방을 회피하기 위한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측방향 충돌을 겪을 때, 손잡이 부품의 관성은 도어 래치(door latch)의 작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 경우의 주요 위험은 도어의 개방이며, 이는 승객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반면, 고정되지 않은 물체가 차량 밖으로 던져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차량 도어의 개방을 회피하기 위해 손잡이를 로킹하는, 종종 수십 g의 중대한 가속도에 의해 작동되는, 이동 방지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상기 이동 방지 장치는 차단 위치에 진입하기 위해 관성의 변화에 의해 이동되는 관성 질량을 사용한다. 상기 차단 위치에서, 기계적 수단이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래치 또는 손잡이 기구와 맞물린다.
공지의 이동 방지 장치는 2개의 주요 카테고리, 즉 일시적 차단 및 영구적 차단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시적 차단 장치는 가속도가 적정한 값을 넘어 감소되자마자 관성 질량을 비-차단 위치로 되돌리는 스프링과 같은 복귀 수단을 사용한다. 영구적 차단 장치는 관성 질량을 비-차단 위치로 되돌리는 수단을 갖지 않으며, 종종 충돌 후속 가속도가 사라진 후에도 기계적 수단을 래치 또는 손잡이 기구와 맞물린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시적 차단 장치는, 일단 차량 자체가 안정되면 차량의 승객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것, 또는 구조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해 승객을 밖으로 끌어낼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일시적 차단 장치에 관한 문제는, 차량의 되튐 또는 이차 충돌로 인한 진동 및 관성 변화가 이동 차단 장치를 손잡이 기구로부터 자유롭게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영구적 차단 장치는 충돌 동안에 도어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한다는 점에서 보다 효과적이지만, 래치 또는 손잡이는 도어가 다시 안전하게 개방될 수 있는 때에도 로킹된 상태로 차단된 채로 남아 있는다.
감쇠 관성 시스템은 일시적 차단 구성을 사용하며, 여기서 회전 댐퍼(damper)가 이동 방지 장치의 비-차단 위치로의 복귀를 선택적으로 지연시킨다. 감쇠 관성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동 방지 장치는 영구적 차단 장치와 일시적 차단 장치 둘 모두의 이점을 조합한다. 충돌 동안에, 이동 방지 장치는 위험 시간 구간 동안 차단 위치에 유지되고, 후에 비-차단 위치로 복귀하여, 차량의 용이한 소개(evacuation)를 허용한다.
그러나, 공지의 감쇠 관성 시스템은 공간 소모가 큰데, 그 이유는 감쇠 수단이 종종 비-차단 위치로의 복귀 동안에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어 변속 기구 또는 피스톤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목적을 위해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를 가지며, 이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는,
- 감쇠 관성 시스템으로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의 기계적 수단이 개방 기구와 간섭하여 도어 손잡이의 작동을 방지하는 로킹 위치 도메인(locking position domain)과, 도어 손잡이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도메인(rest position domain) 사이에서 회전축 주위로 회전 이동가능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 및
- 가속도의 부재시에 감쇠 관성 시스템을 다시 휴지 위치 도메인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은,
- 회전축 상에 힌지결합된 원통형 몸체,
- 원통형 몸체에 고정되고,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arm), 및
- 상기 아암의 자유 단부에서 지지되는 관성 질량으로서,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가속도로 인한 관성력이 상기 관성 질량에 가해질 때 관성 시스템을 로킹 위치로 움직이게 하도록 구성된, 상기 관성 질량을 포함하며,
감쇠 관성 시스템은 회전축 주위에 원통형 몸체 내에 통합된 회전 댐퍼를 더 포함하며, 회전 댐퍼는 로킹 위치 도메인으로부터 휴지 위치 도메인으로의 관성 시스템의 복귀를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는 콤팩트하고 용이하게 취급되는 장치를 형성한다. 이 장치는 다수의 차량 도어에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중량 및 요소 길이와 같은 도어 손잡이 특성에 좌우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장치는 또한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해진, 하기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 댐퍼는 로킹 위치 도메인으로부터 휴지 위치 도메인으로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관성 시스템의 회전을 늦추도록 구성된다.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는 손잡이에 고정되고 회전축을 형성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회전 댐퍼는 샤프트로부터 관성 시스템으로 감쇠된 반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샤프트를 둘러싼다.
회전 댐퍼는 회전 오일 댐퍼이다.
기계적 수단은 감쇠 관성 시스템이 감쇠 관성 시스템의 로킹 위치 도메인 내에 있을 때, 도어 개방 기구 레버의 쇼울더(shoulder)와 협력하여 상기 도어 개방 기구 레버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는 핀(pin)을 포함하며, 쇼울더는 감쇠 관성 시스템이 감쇠 관성 시스템의 로킹 위치 도메인 내에 있는 동안 도어 손잡이의 작동시 감쇠 관성 시스템을 극단 로킹 위치(extremal locking position)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탄성 수단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코일 스프링은 회전축을 둘러싼다.
코일 스프링은 회전 댐퍼의 일부분을 둘러싼다.
코일 스프링은 원통형 몸체 내에 둘러싸인다.
탄성 수단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코일 스프링은 아암에 부착된다.
관성 질량은 상기 관성 질량의 중량을 조정하기 위한 핀을 수용하기 위해 소켓을 포함한다.
로킹 위치 도메인 및 휴지 위치 도메인은 개구각(angular aperture)이 각각 약 12° 및 10°이다.
댐퍼는 0.5초 내지 1.5초 사이에 관성 시스템을 로킹 위치 도메인으로부터 휴지 위치 도메인으로 움직이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련 차량 도어 손잡이이며, 이 차량 도어 손잡이는,
- 작동시에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기구,
- 움직이게 되었을 때 개방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도어 손잡이는, 또한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는,
- 감쇠 관성 시스템으로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의 기계적 수단이 개방 기구와 간섭하여 도어 손잡이의 작동을 방지하는 로킹 위치 도메인과, 도어 손잡이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도메인 사이에서 회전축 주위로 회전 이동가능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 및
- 가속도의 부재시에 감쇠 관성 시스템을 다시 휴지 위치 도메인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은,
- 회전축 상에 힌지결합된 원통형 몸체,
- 원통형 몸체에 고정되고, 회전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및
- 상기 아암의 자유 단부에서 지지되는 관성 질량으로서,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가속도로 인한 관성력이 상기 관성 질량에 가해질 때 관성 시스템을 로킹 위치로 움직이게 하도록 구성된, 상기 관성 질량을 포함하며,
감쇠 관성 시스템은 회전축 주위에 원통형 몸체 내에 통합된 회전 댐퍼를 더 포함하며, 회전 댐퍼는 로킹 위치 도메인으로부터 휴지 위치 도메인으로의 관성 시스템의 복귀를 지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이 첨부된 도면의 하기 설명을 읽고서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는 도어 손잡이의 분해도,
도 2는 관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상이한 각도로 도시된 도 2의 관성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동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어 손잡이 요소 중 일부와 함께 작동하는 관성 시스템의 개략도,
도 7은 측면 충돌 시나리오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관성 시스템의 위치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에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방지 장치(3)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1)의 여러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손잡이(1)는 브래킷(bracket)(7)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레버(5)를 포함한다. 레버(5)는 차량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레버 스완 넥부(lever swan neck)(51)의 관절부를 중심으로 한 레버(5)의 회전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손잡이(1)를 개방한다.
손잡이(1)는 개방 기구(9)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 기구(9)는 이 실시예에서 주 레버(11), 여기서는 코일 스프링인 레버 스프링(13), 보든 케이블(bowden cable)(15) 및 이동 방지 장치(3)를 포함한다.
개방 기구(9)는 브래킷(7) 내에 포함된다. 사용자가 레버(5)를 작동시키면, 레버 스완 넥부(51)의 반대편의 레버(5)의 측에 배치된 레버 칼럼(lever column)(3)이 주 레버(11)를 움직이게 한다. 주 레버(11)는 결국 보든 케이블(15)을 작동시킨다. 이어서 보든 케이블(15)은 도어 내에 위치된 래치(latch)에 이 작동을 전달한다. 레버 스프링(13)은 주 레버(11)가 후에 초기 위치에 복귀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동 방지 장치(3)는 감쇠 관성 시스템(17), 관성 시스템 샤프트(19), 및 관성 시스템 스프링(21)을 포함한다. 샤프트(19)는 브래킷(7)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감쇠 관성 시스템(17) 내부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 댐퍼에 또한 고정된다.
감쇠 관성 시스템이 도 2에 보다 상세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감쇠 관성 시스템(17)은 원통형 몸체(23), 상기 원통형 몸체(23)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arm)(25), 및 아암(25)의 더 멀리 있는 단부에 있는 통합형 관성 질량(27), 및 원통형 몸체(23)의 다른 측에 있기 때문에 도 2에서는 보이지 않는, 원통형 몸체(23)로부터 또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핀(pin)(29)을 포함한다.
아암(25)의 단부에 있는 통합형 관성 질량(27)은 소켓(31)을 포함한다. 이동 방지 장치(3)의 요구되는 맞물림 시간에 따라 적절하게 관성 질량 총 중량을 증가 및/또는 조정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는 추가의 중량체를 상기 소켓(31) 내에 삽입하는 것이 예상된다. 관성 질량 중량 값을 조정하는 것은, 단지 소켓(31) 내에 삽입된 중량체 핀을 변경하면서, 훨씬 더 많은 손잡이에서 관성 시스템(17)의 독특한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허용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관성 스프링(2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링(21)의 단부(35)만이 보이도록 커버(33) 아래에 원통형 몸체(23) 내에 통합된다. 스프링(21)은 회전 댐퍼(37)를 둘러싼다. 도 2에서, 회전 댐퍼(37)는 관형이며, 장착된 때 샤프트(19)와 접촉한다. 회전 댐퍼(37)는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샤프트(19)와 회전 댐퍼 원통형 몸체(23)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 댐퍼는 오일 감쇠 기구와 같은 감쇠 기구를 통해 샤프트(19)로부터 관성 시스템(17)으로 반력을 전달하며, 오일 감쇠 기구에서 챔버 사이에서 순환하는 오일은 운동 에너지를 소산시킨다. 이는 관성 시스템(17)의 로킹 위치로부터 비-로킹 또는 휴지(rest) 위치로의 복귀를 지연시키도록 허용한다.
도 3에서, 샤프트(19)가 원통형 몸체(23)의 중심 회전축(A)을 따른, 원통형 몸체의 중심에, 그것의 최종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핀(29)이 또한 도 2에서 보이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원통형 몸체(23)의 다른 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 3에 완전한 이동 방지 장치(3)가 나타나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장치(3)는 콤팩트하며, 단지 샤프트(19) 단부를 손잡이(1)의 브래킷(7)에 부착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샤프트(19)는 브래킷(7)과 협력하여 관성 시스템(17)을 회전축(A) 주위의 제위치에 유지한다.
도 4 및 도 5는 관성 시스템 스프링(21)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관성 시스템(1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스프링(21)은 회전 댐퍼(37)의 돌출 부분을 둘러싸며, 이에 따라 원통형 몸체(23)의 일부가 아니다. 대안적으로, 스프링(21)은 샤프트(19)만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핀(29)을 볼 수 있다.
도 5에서, 스프링(21)은 아암(25)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스프링(21)은 상기 스프링(21)이 반경방향 압축으로 작용하는 이전의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축방향 압축으로 작용한다.
다른 탄성 수단을 사용하는 다른 실시예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기술된 바와 같은 관성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회전축(A)을 따라 본 관성 시스템(17), 레버(5) 및 주 레버(1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관성 시스템이 3개의 상이한 각방향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3개의 각방향 위치는 개구각(angular aperture)(α, β) 형태의 2개의 위치 도메인(domain)을 한정한다.
2개의 극단 위치는 휴지 또는 디폴트 위치(R) 및 최대 맞물림 또는 로킹 위치(L)에 대응한다. 휴지 위치(R)는 관성 변위의 부재시에 가정되는 위치이다. 로킹 위치(L)는 측면 가속도로 인한 힘이 관성 시스템 스프링(21)의 저항력을 극복한 때에 가정된다.
관성 시스템(17)이 개구각(β) 내에 있는 동안, 주 레버(11)는 차량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다. 관성 시스템(17)이 개구각(α) 내에 있는 동안, 핀(29)은 주 레버(11)의 쇼울더(39)의 경로 상에 있다. 따라서, 관성 시스템이 개구각(α) 내에 있다면, 도어 레버(5)의 작동이 발생할 때마다, 쇼울더(39)는 핀(29)과 접촉하게 되며, 도어 레버(5)에 가해지는 힘은 관성 시스템을 핀(29) 내지 쇼울더(39)를 통해 극단 로킹 위치(L)에서 접촉하는 상태에 이르게 하며, 여기서 상기 관성 시스템(17)은 주 레버(11)의 이동, 및 이에 따라 도어 손잡이(1)의 개방을 차단한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α에 대한 값은 약 10°이고, β에 대한 값은 약 12°이다. α로부터 β로의 천이를 표시하는, 도 6에 나타낸 위치는 중간 위치(I)로 불린다.
일단 도어 레버(5) 상의 작동력이 감소되면, 원통형 몸체(23) 내의 회전 댐퍼(37)가 관성 시스템(17)의 휴지 위치(R)로의 복귀를 지연시킨다. 상기 지연은 관성 시스템(17)을 소정량의 시간 동안 개구각(α) 내에 유지한다. 관성 시스템 스프링(21)과 비교해 회전 댐퍼 기구(37)를 조정함으로써, 관성 시스템을 임의의 사전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 개구각(α) 내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전결정된 양의 시간을 0.5초 내지 1초로 선택함으로써, 되튐 또는 진동 효과로 인한 도어 개방의 위험이 회피되는 반면, 일단 차량이 안정되면 도어가 여전히 개방될 수 있다.
도 7에, 측면 충돌 시나리오에서의, 시간의 함수로서의 관성 시스템의 회전각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각은 휴지 위치(R)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그래서 0°는 상기 휴지 위치(R)를 나타내고, 0° 내지 12°는 관성 시스템(17)이 개구각(β) 내에 있음을 나타내고, 12° 내지 22°는 관성 시스템(17)이 개구각(α) 내에 있음을 나타낸다. 22°는 로킹 위치(L)에 대응한다.
순간 t = 0에서, 충돌이 발생한다. 즉시, 관성 시스템이 극단 로킹 위치(L)로 움직이게 되고, 0.5초 후에, 가속도가 감소되고, 관성 시스템은 관성 시스템 스프링(21)에 의해 다시 휴지 위치(R)로 복귀되고: 회전각이 회전 댐퍼(37)에 의해 결정된 소정 속도로 감소된다. 1초 후 t = 1.5s에서, 관성 시스템(17)은 중간 위치(I)에 도달하고, 도어 레버는 다시 자유롭다. 관성 시스템(17)은 이어서 휴지 위치(R)로 천천히 복귀한다. 휴지 위치로의 복귀에 대한 바람직한 값은 1.5초이지만, 1초 내지 5초의 값이 또한 적합하다.
처음의 1.5초 동안에, 도어는 그 결과 차단되고, 후에 자유로우며, 이는 되튐 또는 진동 효과가 도어 개방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충돌 후 짧은 시간 구간 동안에, 이동 방지 장치(3)가 도어 개방을 방지함을 의미한다. 상기 시간 구간 직후에 도어는 다시 자유로우며, 차량이 소개될 수 있거나 승객을 돌볼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 댐퍼(37)를 관성 시스템 원통형 몸체(23)에 통합함으로써 감쇠 관성 시스템(17)을 사용하는 간단하고 콤팩트한 이동 방지 장치(3)를 생성하도록 허용한다. 그 결과, 얻어진 장치(3)는 다양한 도어 손잡이 구성으로 용이하게 구현가능하다.

Claims (13)

  1.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에 있어서,
    감쇠 관성 시스템(17)으로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의 기계적 수단(29)이 개방 기구(9)와 간섭하여 도어 손잡이(1)의 작동을 방지하는 로킹 위치 도메인(locking position domain)(α)과, 상기 도어 손잡이(1)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도메인(rest position domain)(β) 사이에서 회전축(A) 주위로 회전 이동가능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 및
    가속도의 부재시에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을 다시 상기 휴지 위치 도메인(β)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수단(21)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은,
    상기 회전축(A) 상에 힌지결합된 원통형 몸체(23),
    상기 원통형 몸체(23)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arm)(25), 및
    상기 아암(25)의 자유 단부에서 지지되는 관성 질량(27)으로서, 상기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가속도로 인한 관성력이 상기 관성 질량(27)에 가해질 때 상기 관성 시스템(17)을 로킹 위치로 움직이게 하도록 구성된, 상기 관성 질량(27)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은 회전축(A) 주위에 상기 원통형 몸체(23) 내에 통합된 회전 댐퍼(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댐퍼(37)는 상기 로킹 위치 도메인(α)으로부터 상기 휴지 위치 도메인(β)으로의 상기 관성 시스템(17)의 복귀를 지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성 질량(27)은 상기 관성 질량(27)의 중량을 조정하기 위한 핀을 수용하기 위해 단일 소켓(31)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댐퍼(37)는 상기 로킹 위치 도메인(α)으로부터 상기 휴지 위치 도메인(β)으로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관성 시스템(17)의 회전을 늦추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는 상기 손잡이(1)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A)을 형성하는 샤프트(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댐퍼(37)는 상기 샤프트(19)로부터 상기 관성 시스템(17)으로 감쇠된 반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샤프트(19)를 둘러싸고,
    상기 샤프트(19)의 회전축(A)은 상기 손잡이(1)의 도어 개방 기구 레버(11)의 회전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댐퍼(37)는 회전 오일 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수단은,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이 로킹 위치 도메인(α)에 있을 때, 도어 개방 기구 레버(11)의 쇼울더(shoulder)(39)와 협력하여 상기 도어 개방 기구 레버(11)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으로 방지하는 핀(pin)(29)을 포함하며, 상기 쇼울더(39)는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이 로킹 위치 도메인(α)에 있는 동안 상기 도어 손잡이(1)의 작동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을 극단 로킹 위치(extremal locking position)(L)로 밀어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21)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A)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회전 댐퍼(37)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원통형 몸체(23)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21)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아암(2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위치 도메인(α) 및 상기 휴지 위치 도메인(β)은 개구각(angular aperture)이 각각 12° 및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0.5초 내지 1.5초 사이에 상기 관성 시스템(17)을 상기 로킹 위치 도메인(α)으로부터 상기 휴지 위치 도메인(β)으로 움직이게 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
  13. 작동시에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기구(9), 및
    움직이게 되었을 때 상기 개방 기구(9)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레버(5)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에 있어서,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는,
    감쇠 관성 시스템(17)으로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의 기계적 수단(29)이 상기 개방 기구(9)와 간섭하여 상기 도어 손잡이(1)의 작동을 방지하는 로킹 위치 도메인(α)과, 상기 도어 손잡이(1)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도메인(β) 사이에서 회전축(A) 주위로 회전 이동가능한,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
    가속도의 부재시에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을 다시 상기 휴지 위치 도메인(β)으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 탄성 수단(21)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은,
    상기 회전축(A) 상에 힌지결합된 원통형 몸체(23),
    상기 원통형 몸체(23)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25), 및
    상기 아암(25)의 자유 단부에서 지지되는 관성 질량(27)으로서, 상기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가속도로 인한 관성력이 상기 관성 질량(27)에 가해질 때 상기 관성 시스템(17)을 로킹 위치로 움직이게 하도록 구성된, 상기 관성 질량(27)을 포함하며,
    상기 감쇠 관성 시스템(17)은 회전축(A) 주위에 상기 원통형 몸체(23) 내에 통합된 회전 댐퍼(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댐퍼(37)는 상기 로킹 위치 도메인(α)으로부터 상기 휴지 위치 도메인(β)으로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관성 시스템(17)의 회전을 늦추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성 질량(27)은 상기 관성 질량(27)의 중량을 조정하기 위한 핀을 수용하기 위해 단일 소켓(31)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도어 손잡이 이동 방지 장치는 상기 손잡이(1)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A)을 형성하는 샤프트(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댐퍼(37)는 상기 샤프트(19)로부터 상기 관성 시스템(17)으로 감쇠된 반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샤프트(19)를 둘러싸고,
    상기 샤프트(19)의 회전축(A)은 상기 손잡이(1)의 도어 개방 기구 레버(11)의 회전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손잡이.
KR1020137033898A 2011-06-21 2012-06-21 차량 도어 손잡이용 안전 장치 KR101971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1A001130 2011-06-21
IT001130A ITMI20111130A1 (it) 2011-06-21 2011-06-21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una maniglia di portiera di veicolo.
PCT/EP2012/061945 WO2012175599A1 (en) 2011-06-21 2012-06-21 Safety device for vehicle door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755A KR20140040755A (ko) 2014-04-03
KR101971749B1 true KR101971749B1 (ko) 2019-08-13

Family

ID=4455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898A KR101971749B1 (ko) 2011-06-21 2012-06-21 차량 도어 손잡이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723958A1 (ko)
JP (1) JP6018190B2 (ko)
KR (1) KR101971749B1 (ko)
BR (1) BR112013032545B1 (ko)
IT (1) ITMI20111130A1 (ko)
RU (1) RU2604450C2 (ko)
WO (1) WO2012175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12B1 (ko) * 2013-09-09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JP6549357B2 (ja) * 2014-07-02 2019-07-24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ハンドル装置
KR101573627B1 (ko) 2014-09-03 2015-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손잡이용 레버장치
KR101628499B1 (ko) 2014-10-17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 및 그 방법
DE102015101630A1 (de) 2015-02-05 2016-08-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ürgriffeinrichtung
EP3106594A1 (en) * 2015-06-16 2016-12-21 U-Shin Italia S.p.A. Handle for a vehicle door
CN107620531A (zh) * 2017-10-17 2018-01-23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降低手柄快速回位与相关环境件干涉碰撞的内拉手机构
EP3556975A1 (en) * 2018-04-17 2019-10-23 U-Shin Italia S.p.A.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CN109505469B (zh) * 2019-01-04 2023-12-26 麦格纳汽车镜像(上海)有限公司 用于汽车门把手的惯性保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670A (ja) * 2003-06-12 2005-01-06 Honda Lock Mfg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20090044378A1 (en) * 2007-08-14 2009-02-19 Jankowski Krystof Peter Safety Device for Vehicle Door Latch Systems
JP2010209648A (ja) * 2009-03-12 2010-09-24 Alpha Corp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3575A (en) * 1997-01-27 1998-04-28 Adac Plastics, Inc. Fluid-damped automotive door latch actuator
DE19901279B4 (de) * 1999-01-15 2012-01-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Crasphsperre an einem Türschloß oder Türgriff eines Fahrzeugs
JP4509585B2 (ja) * 2004-01-26 2010-07-21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及びこのダンパを備えたドアハンドル
US7210716B2 (en) * 2004-06-03 2007-05-01 Illinois Tool Works Inc. Movement prevention device
ITRM20060660A1 (it) * 2006-12-06 2008-06-07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veicoli con dispositivo di sicurezza
US8967682B2 (en) * 2007-08-14 2015-03-03 Magna Closures Inc. Vehicle door latch with motion restriction device prohibiting rapid movement of opening lever
US8814231B2 (en) * 2009-03-17 2014-08-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aptive door handles
DE102009056538A1 (de) * 2009-12-03 2011-06-0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Handhabe für eine Schließ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670A (ja) * 2003-06-12 2005-01-06 Honda Lock Mfg Co Ltd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20090044378A1 (en) * 2007-08-14 2009-02-19 Jankowski Krystof Peter Safety Device for Vehicle Door Latch Systems
JP2010209648A (ja) * 2009-03-12 2010-09-24 Alpha Corp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32545B1 (pt) 2021-01-05
EP2723958A1 (en) 2014-04-30
JP2014522925A (ja) 2014-09-08
RU2604450C2 (ru) 2016-12-10
RU2014101602A (ru) 2015-07-27
ITMI20111130A1 (it) 2012-12-22
JP6018190B2 (ja) 2016-11-02
KR20140040755A (ko) 2014-04-03
WO2012175599A1 (en) 2012-12-27
BR112013032545A2 (pt)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749B1 (ko) 차량 도어 손잡이용 안전 장치
KR101993492B1 (ko) 차량 도어 핸들용 안전 장치
US11072947B2 (en) Motor vehicle lock
US8840156B2 (en) Handle for a door leaf of an automobile
KR102034333B1 (ko) 차량 도어 손잡이를 위한 안전 장치
US10829963B2 (en) Actu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EP3067493B1 (en) Motor vehicle lock
US9109381B2 (en)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US11536056B2 (en)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070120382A1 (en) Coupling drive from an actuator to a mechanism
US10280654B2 (en) Vehicle door closure system including speed-based latch release
JP2014535016A (ja) 車両の閉鎖装置を作動させる作動装置および作動方法
EP3636864B1 (en) Vehicle door lock device and vehicle door lock set
KR100683227B1 (ko) 돌출형 글로브 박스의 개폐장치
JP6306490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9506277B2 (en) Door locking device for truck
US20170074004A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EP4198227A1 (en) Inertial safety system for a vehicle door handle
KR101807127B1 (ko) 관성력에 의한 도어 열림 방지구조
KR20130139507A (ko) 슬라이딩도어용 오픈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