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896B1 -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0896B1 KR101970896B1 KR1020170144208A KR20170144208A KR101970896B1 KR 101970896 B1 KR101970896 B1 KR 101970896B1 KR 1020170144208 A KR1020170144208 A KR 1020170144208A KR 20170144208 A KR20170144208 A KR 20170144208A KR 101970896 B1 KR101970896 B1 KR 101970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eel
- parts
- water
- broth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41000132536 Cirsi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44000124853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218201 Ranuncul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020518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294411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5090 marinad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5
- 244000098338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claims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2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claims 1
- LGZXYFMMLRYXLK-UHFFFAOYSA-N mercury(2+);sulfide Chemical compound [S-2].[Hg+2] LGZXYFMMLRYXLK-UHFFFAOYSA-N 0.000 claims 1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abstract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3
- 241000143060 Americamysis bahia Species 0.000 abstract 1
- 240000008881 Oenanthe javanic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0365 Oenanthe javanic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MBMBGCFOFBJSGT-KUBAVDMBSA-N all-cis-docosa-4,7,10,13,16,19-hex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MBMBGCFOFBJSGT-KUBAVDMB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VFLDPWHFBUODDF-FCXRPNKRSA-N curcumin Chemical compound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VFLDPWHFBUODDF-FCXRPNKR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4
- JAZBEHYOTPTENJ-JLNKQSITSA-N all-cis-5,8,11,14,17-icosapentae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O)=O JAZBEHYOTPTENJ-JLNKQSITSA-N 0.000 description 4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669 docosahex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40090949 docosahexaen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673 eicosapentaen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60005135 eicosapentaeno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4
- JAZBEHYOTPTENJ-UHFFFAOYSA-N eicosapenta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JAZBEHYOTPTEN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XOCANRBEOZQNAQ-KBPBESRZSA-N alpha-turmerone Natural products O=C(/C=C(\C)/C)C[C@H](C)[C@H]1C=CC(C)=CC1 XOCANRBEOZQNAQ-KBPBESRZSA-N 0.000 description 3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3 pungent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75 Curcum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148 curcu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754 curcu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109262 curcu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JIJQKFPGBBEJNF-UHFFFAOYSA-N curlone Chemical compound CC(C)=CC(=O)CC(C)C1CCC(=C)C=C1 JIJQKFPGBBEJ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38 cu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VFLDPWHFBUODDF-UHFFFAOYSA-N diferuloylmethane Natural products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VFLDPWHFBUO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96 poison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UXYWXYOBMKGIN-UHFFFAOYSA-N trimyristi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O)OCC(OC(=O)CCCCCCCCCCCCC)COC(=O)CCCCCCCCCCCCC DUXYWXYOBMKGI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AAJVHHFAXWBOK-ZDUSSCGKSA-N (+)-(S)-ar-turmerone Chemical compound CC(C)=CC(=O)C[C@H](C)C1=CC=C(C)C=C1 NAAJVHHFAXWBOK-ZDUSSCGKSA-N 0.000 description 1
- UEPVWRDHSPMIAZ-IZTHOABVSA-N (1e,4z,6e)-5-hydroxy-7-(4-hydroxy-3-methoxyphenyl)-1-(4-hydroxyphenyl)hepta-1,4,6-trien-3-one Chemical compound C1=C(O)C(OC)=CC(\C=C\C(\O)=C\C(=O)\C=C\C=2C=CC(O)=CC=2)=C1 UEPVWRDHSPMIAZ-IZTHOABV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27 Alzheim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2087 Anguill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2073 Anguill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623 Carcinogene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631 Choler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9173 Cirsium japo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8436 Coriandr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7 Coriandr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JTVQHVGMGKONQ-LUZURFALSA-N Curcumin II Natural products C1=C(O)C(OC)=CC(\C=C\C(=O)CC(=O)\C=C\C=2C=CC(O)=CC=2)=C1 HJTVQHVGMGKONQ-LUZURFALSA-N 0.000 description 1
- JIJQKFPGBBEJNF-KBPBESRZSA-N Curlone Natural products CC(C)=CC(=O)C[C@H](C)[C@@H]1CCC(=C)C=C1 JIJQKFPGBBEJNF-KBPBESRZ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445 Mout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EBFKMXJBCUCAI-UHFFFAOYSA-N NSC 227190 Natural products C1=C(O)C(OC)=CC(C2C(OC3=CC=C(C=C3O2)C2C(C(=O)C3=C(O)C=C(O)C=C3O2)O)CO)=C1 SEBFKMXJBCUC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813 Naus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53 Skin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64 Soybean Me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386 Typhoi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43445 Vallisneria spir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99 Zingib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3263 Zos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02 analges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0 anti-muta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XADJWCRESPGUTB-UHFFFAOYSA-N apigenin Natural products C1=CC(O)=CC=C1C1=CC(=O)C2=CC(O)=C(O)C=C2O1 XADJWCRESPGU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14 apige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ZNIFHPLKGYRTM-UHFFFAOYSA-N apigenin Chemical compound C1=CC(O)=CC=C1C1=CC(=O)C2=C(O)C=C(O)C=C2O1 KZNIFHPLKGYRT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7893 apigenin Drugs 0.000 description 1
- XOCANRBEOZQNAQ-KGLIPLIRSA-N ar-turmerone Natural products C[C@H](CC(=O)C=C(C)C)[C@@H]1CC=C(C)C=C1 XOCANRBEOZQNAQ-KGLIPLIR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JYTVKRNTTALBBZ-UHFFFAOYSA-N bis demethoxycurcumin Natural products C1=CC(O)=CC=C1C=CC(=O)CC(=O)C=CC1=CC=CC(O)=C1 JYTVKRNTTALB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RBFEAZFHRHFFQ-ZFWWWQNUSA-N bisacumol Natural products CC(C)=C[C@H](O)C[C@H](C)C1=CC=C(C)C=C1 NRBFEAZFHRHFFQ-ZFWWWQNUSA-N 0.000 description 1
- NRBFEAZFHRHFFQ-UHFFFAOYSA-N bisacumol Chemical compound CC(C)=CC(O)CC(C)C1=CC=C(C)C=C1 NRBFEAZFHRHF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REBVFJICNPEKM-YDWXAUTNSA-N bisdemethoxycurcumin Chemical compound C1=CC(O)=CC=C1\C=C\C(=O)CC(=O)\C=C\C1=CC=C(O)C=C1 PREBVFJICNPEKM-YDWXAUTN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52 cancer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04 carcinogenes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887 co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72 col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742 colon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MRUIRRIQNAQEB-UHFFFAOYSA-N demethoxycurcumin Natural products OC(=CC(C=CC1=CC(=C(C=C1)O)OC)=O)C=CC1=CC=C(C=C1)O NMRUIRRIQNAQ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YXAKCQIIROBKOP-UHFFFAOYSA-N di-p-hydroxycinnamoylmethane Natural products C=1C=C(O)C=CC=1C=CC(=O)C=C(O)C=CC1=CC=C(O)C=C1 YXAKCQIIROBK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1205 diast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848 dysente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60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LDDIKRKFXEWBK-AWEZNQCLSA-N gingerol Chemical compound CCCCC[C@H](O)CC(=O)CCC1=CC=C(O)C(OC)=C1 NLDDIKRKFXEWBK-AWEZNQCLSA-N 0.000 description 1
- JZLXEKNVCWMYHI-UHFFFAOYSA-N gingerol Natural products CCCCC(O)CC(=O)CCC1=CC=C(O)C(OC)=C1 JZLXEKNVCWMY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0 ging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4 hematocr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83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3 hepato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6 immunosuppr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WDZOUNAPSSOEL-UHFFFAOYSA-N kaempferol Natural products OC1=C(C(=O)c2cc(O)cc(O)c2O1)c3ccc(O)cc3 MWDZOUNAPSSO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987 lip and oral cavity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RDGATPGVJTWLJ-UHFFFAOYSA-N luteolin Natural products OC1=CC(O)=CC(C=2OC3=CC(O)=CC(O)=C3C(=O)C=2)=C1 LRDGATPGVJTWL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98 luteol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QPNAANSBPBGFQ-UHFFFAOYSA-N luteol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C=1OC=2C1=CC=C(O)C(O)=C1 IQPNAANSBPBG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61 mammalian embryo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1 medic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01 medicin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93 nause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24 neuro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6 non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UEPVWRDHSPMIAZ-UHFFFAOYSA-N p-hydroxycinnamoyl feruloylmethane Natural products C1=C(O)C(OC)=CC(C=CC(O)=CC(=O)C=CC=2C=CC(O)=CC=2)=C1 UEPVWRDHSPMIA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PQLHGCIAUEJQK-UHFFFAOYSA-N pectolinarigenin Chemical compound C1=CC(OC)=CC=C1C1=CC(=O)C2=C(O)C(OC)=C(O)C=C2O1 GPQLHGCIAUEJQ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YDJXCOQYUPOKW-UHFFFAOYSA-N pectolinarigenin Natural products COc1c(O)cc2OC(=CC(=O)c2c1O)c3ccc(C)cc3 KYDJXCOQYUPOK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KOXKGNSUHTUBV-UHFFFAOYSA-N racemic zingiber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1CC=C(C)C=C1 KKOXKGNSUHTU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EBFKMXJBCUCAI-HKTJVKLFSA-N silibinin Chemical compound C1=C(O)C(OC)=CC([C@@H]2[C@H](OC3=CC=C(C=C3O2)[C@@H]2[C@H](C(=O)C3=C(O)C=C(O)C=C3O2)O)CO)=C1 SEBFKMXJBCUCAI-HKTJVKLF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245 silym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700 silym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849 ski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55 soybean me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97 typhoid fe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663 wound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KOXKGNSUHTUBV-LSDHHAIUSA-N zingibe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H](C)[C@H]1CC=C(C)C=C1 KKOXKGNSUHTUBV-LSDHHAIU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1895 zingibere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XOCANRBEOZQNAQ-UHFFFAOYSA-N α-turmerone Chemical compound CC(C)=CC(=O)CC(C)C1CC=C(C)C=C1 XOCANRBEOZQN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황가루와 밀가루를 혼합 반죽한 수제비와, 엉겅퀴가 첨가된 장어육수와, 물에 무, 파, 다시마, 양파, 멸치, 홍고추를 넣어 제조된 일반육수 및 양념장을 각각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장어육수와 일반육수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한 매운탕육수에 양념장을 넣고 끓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매운탕육수가 끓기 시작하면 무 및 감자를 차례로 넣고 끓이는 제3단계와; 상기 3단계를 수행한 다음 들기름에 볶은 민물장어의 몸통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준비된 수제비를 상기 매운탕육수에 넣고 끓이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의 수제비가 익으면 청양고추, 대파, 양파, 민물새우 및 들깨가루를 넣고 끓이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수행한 전부를 장어육수가 데워진 뚝배기에 넣고, 1~2분간 끓이다가 미나리줄기를 매운탕 위에 올린 다음 30~40초간 더 끓여 민물장어 매운탕을 완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장어육수와 별도로 적당한 크기로 자른 다음 들기름에 볶은 민물장어의 몸통부분을 매운탕 제조시 넣음으로써, 민물장어의 본형이 유지됨에 따라 소비자의 신뢰 및 상품 가치를 높여주고, 매운탕 본연의 매운맛과 함께 강황을 사용한 수제비와 엉겅퀴가 첨가된 장어육수를 통하여 민물장어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민물장어를 비롯한 강황 및 엉겅퀴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매운탕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운탕 본연의 매운맛과 함께 강황을 사용한 수제비와 엉겅퀴가 첨가된 장어육수를 통하여 민물장어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민물장어의 건강기능효과와 함께 강황 및 엉겅퀴의 건강기능효과가 가미된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민물장어 또는 뱀장어(Anguilla japonica, EEL)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서 장어류 가운데 유일하게 바다에서 태어나 강으로 올라가 생활하는 회류성 어류이다. 다양한 서식환경과 염분농도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때로는 일생을 강이나 바다 한쪽에서만 보내는 경우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민물장어는 전통적으로 보양식으로 알려져 왔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민물장어는 성질이 차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상처가 나고 헐은 곳을 치료하며 여러 가지 균을 죽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민물장어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칼로리도 높으면서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이나 허약체질, 원기 회복 등에 최고의 식품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스태미너 식품으로 특히 남성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다.
또한, 민물장어는 비타민A가 매우 풍부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비타민A는 발육촉진, 시력회복, 피부와 점막의 건강유지, 정력제 등의 효능이 있다. 이 외에도 머리가 좋아지고, 치매예방, 암 억제 등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진 DHA(Docosahexaenoic Acid) 및 EPA(Eicosapentaenoic Acid) 함량이 타 어종보다 월등히 높다.
이와 같이 민물장어는 영양식품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진통이나 상처치료 및 살균효과도 갖는 기능적인 식품으로서 다양한 활용가치가 있으나 종래 장어의 이용은 자양강장식품으로서만 이용되는 경향이 있어 요리방법의 대부분은 양념하여 구워 먹거나 죽을 쑤어 먹는 등 극히 단순하며, 일부 장어에 각종 한약재를 첨가하여 탕으로 제조하여 복용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2755호(2017. 06. 08)의 한약재를 이용한 장어탕의 제조방법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5730호(2017. 04. 04)의 안전 양식 민물장어탕 및 그 제조방법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63603호(2000. 11. 06)의 즉석 장어매운탕국밥의 제조방법이 각각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 제안된 민물장어를 이용한 탕요리 제조기술들은 조리과정에서 민물장어의 살과 뼈를 갈아서 넣거나, 장어육수를 만드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장어의 형태가 남아 있지 않아 함유된 재료가 장어인지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해 소비자들의 신뢰와 상품가치가 떨어지고, 부가적인 건강기능효과가 미미한 채로 민물장어의 건강기능 효과에만 그치며, 또한 위 제안된 기술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장어탕 제조방법만으로는 장어탕에서 나는 비린맛과 느끼한 맛을 해소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강황을 사용한 수제비와 장어육수에 엉겅퀴를 첨가하고, 민물장어의 몸통이 유지되도록 하는 전혀 새로운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어육수와 별도로 적당한 크기로 자른 다음 들기름에 볶은 민물장어의 몸통부분을 매운탕 제조시 넣음으로써, 민물장어의 본형이 유지됨에 따라 소비자의 신뢰 및 상품 가치를 높여주고, 매운탕 본연의 매운맛과 함께 강황을 사용한 수제비와 엉겅퀴가 첨가된 장어육수를 통하여 민물장어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민물장어의 건강기능효과와 함께 강황 및 엉겅퀴의 건강기능효과가 가미된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강황가루와 밀가루를 혼합 반죽한 수제비와, 엉겅퀴가 첨가된 장어육수와, 물에 무, 파, 다시마, 양파, 멸치, 홍고추를 넣어 제조된 일반육수 및 양념장을 각각 준비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장어육수와 일반육수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한 매운탕육수에 양념장을 넣고 끓이는 제2단계(S200)와; 상기 제2단계에서 매운탕육수가 끓기 시작하면 무 및 감자를 차례로 넣고 끓이는 제3단계(S300)와; 상기 3단계를 수행한 다음 들기름에 볶은 민물장어의 몸통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준비된 수제비를 상기 매운탕육수에 넣고 끓이는 제4단계(S400)와; 상기 제4단계의 수제비가 익으면 청양고추, 대파, 양파, 민물새우 및 들깨가루를 넣고 끓이는 제5단계(S500)와; 상기 제5단계를 수행한 전부를 장어육수가 데워진 뚝배기에 넣고, 1~2분간 끓이다가 미나리줄기를 매운탕 위에 올린 다음 30~40초간 더 끓여 민물장어 매운탕을 완성하는 제6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의 수제비는, 강황가루와 밀가루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24시간 냉장보관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황가루는, 세척된 강황뿌리를 증숙기 및 건조기를 통하여 구증구포(九蒸九曝) 방식으로 증숙 및 건조를 차례로 9번 반복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의 장어육수는, 민물장어의 내장을 제거하고, 몸통, 머리 및 뼈로 분리한 다음 상기 머리 및 뼈를 24시간 동안 물에 담가두면서 피를 빼는 제1-1단계(S110)와, 상기 제1-1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민물장어의 머리 및 뼈, 생강 및 엉겅퀴를 포함한 육수를 센 불에 25~35분 끓인 다음 약 불에 5~6시간 더 끓이는 제1-2단계(S120)와, 상기 제1-2단계를 수행한 다음 육수에 떠있는 기름 및 상기 민물장어의 뼈를 제거하여 완성하는 제1-3단계(S130)를 통해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단계(S120)는, 상기 민물장어의 머리 및 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0~2200 중량부, 생강 40~50 중량부, 엉겅퀴 4~5 중량부로 혼합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단계(S120)는, 상기 민물장어의 머리 및 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엉겅퀴 추출물 2000 중량부, 생강 40~50 중량부로 혼합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엉겅퀴 추출물은, 물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엉겅퀴의 꽃, 잎, 줄기, 뿌리 조각 혼합물 200 중량부로 혼합하여 24시간 끓인 다음 상온에서 자연냉각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의 일반육수는, 물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무 100 중량부, 대파 20 중량부, 다시마 10 중량부, 양파 100 중량부, 멸치 20 중량부, 홍고추 5 중량부, 생강 40 중량부로 혼합하여 60분~70분을 끓인 다음 건더기를 제거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의 양념장은, 된장 2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장 80 중량부, 고추가루 20 중량부, 마늘 80 중량부, 생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6단계(S600)를 통해 완성된 민물장어 매운탕은, 매운탕육수 2000 중량부에 대하여 양념장 70~100 중량부, 무 100~120 중량부, 감자 180~200 중량부, 민물장어의 몸통 600~700 중량부, 수제비 200~220 중량부, 청양고추 20~25 중량부, 대파 80~90 중량부, 양파 100~110 중량부, 민물새우 20~30 중량부, 들깨가루 20~30 중량부, 장어육수 30~40 중량부, 미나리줄기 20~3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은, 첫째 장어육수와 별도로 적당한 크기로 자른 다음 들기름에 볶은 민물장어의 몸통부분을 매운탕 제조시 넣음으로써, 민물장어의 본형이 유지됨에 따라 소비자의 신뢰 및 상품 가치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둘째, 매운탕 본연의 매운맛과 함께 강황을 사용한 수제비와 엉겅퀴가 첨가된 장어육수를 통하여 민물장어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민물장어를 비롯한 강황 및 엉겅퀴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매운탕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강황을 구증구포(九蒸九曝) 방식으로 증숙 및 건조를 차례로 9번 반복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한 가루를 수제비의 재료로 사용하고, 엉겅퀴의 꽃, 잎, 줄기, 뿌리 조각 혼합물을 물과 함께 24시간 끓인 엉겅퀴 추출물을 장어육수에 사용함으로써, 강황 및 엉겅퀴의 유용한 성분이 매운탕에 더욱 깃들여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체 플로워 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제1단계의 장어육수 제조과정에 대한 플로워 챠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실시예 중 제1단계의 장어육수 제조과정에 대한 플로워 챠트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수제비, 장어육수, 일반육수 및 양념장을 각각 준비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장어육수 및 일반육수를 혼합한 매운탕육수를 끓이는 제2단계(S200)와, 상기 매운탕육수에 수제비 및 장어를 비롯한 각종 재료를 차례로 넣으면서 민물장어 매운탕을 완성하는 제3단계(S300) 내지 제6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계(S100)는 강황가루와 밀가루를 혼합 반죽한 수제비와, 엉겅퀴가 첨가된 장어육수와, 물에 무, 파, 다시마, 양파, 멸치, 홍고추를 넣어 제조된 일반육수 및 양념장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S100)의 수제비는, 후술할 제4단계(S400)에서 쫄깃한 식감과 함께 민물장어의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운탕육수에 적당한 크기로 떼어서 넣기 위한 것으로서, 강황 특유의 향과 유용한 성분이 포함되도록 강황가루와 밀가루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반죽형태로 24시간 냉장보관하여 준비된다.
상기 강황가루는, 건조된 강황의 뿌리를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것으로서, 강황(薑黃; Curcuma longa L.)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강황속(Curcuma)으로 분류되는 다년생 식물로 인도가 원산지이고, 열대 아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되며, 강황의 다른 명칭으로는 울금(鬱金), 심황(深黃), 도금(都金), 을금(乙金), 걸금(乞金), 옥금(玉金), 왕금(王金) 등이 있다. 강황의 용도로는 근경(根莖)을 식용, 한약재, 향신료 등으로 사용한 예가 알려진 바 있으며, 특히 카레의 원료로서 카레의 노란 색상을 띠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강황의 주성분은 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과 같은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색소 성분과 ar-turmerone, curlone, α-turmerone, β-turmerone, bisacumol, zingiberene과 같은 휘발성 정유 성분 및 전분이다. 이 중 강황의 노란색의 주성분인 커큐민은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과 같은 생리활성이 밝혀지고 있다(Food Chem, Toxicol 2002 Aug:40(8):1091-7, Surh YJ.). 항암활성에서는 암세포 증식을 억제(The J. Laborstory&Clinical medicine 1997:576-583, Hanif, R. et al.)와 쥐에서의 피부, 대장, 구강암에서의 예방효과도 나타났다(Carcinogenesis, 2000, 21(2):331-335, Chayng,S.E. et al). 또한 자유라디칼 소거능과 간장보호 효과도 밝혀지고 있다(Planta Med 2001 Dec:67(9):876-7, Song EK et al.). 이외에도 근래에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효과, 콜레스테롤 저해활성(Indian J Physiol Pharmacol 1992 Oct;36(4):275-3, Soni KB, KuttanR.) 도 밝혀지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속속 밝혀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의학에서 강황의 뿌리줄기(근경)는 성질이 온(溫)하여 기혈약(氣血藥)으로 쓰여지며, 중국 약초학의 고전인 이시진의 본초강목에서는 나쁜피를 제거하고 혈압, 요혈, 금창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강황가루는, 전술한 강황의 유용한 성분의 약성이 더 높아지도록 세척된 강황뿌리를 증숙기 및 건조기를 통하여 구증구포(九蒸九曝) 방식으로 증숙 및 건조를 차례로 9번 반복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준비될 수 있다.
구증구포(九蒸九曝)란 홍삼을 제조할 경우 인삼을 찌고 말리는 과정을 아홉 번 반복하는 것으로부터 구증구포라고 하며, 한약재의 독성을 제거하고 약성을 높이기 위해 약재의 특성에 따라 다루는 방식 즉, 포제법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한의학에서는 어떤 약재는 물에 한번 삶아서 독성을 제거한 후 사용하기도 하고, 또 어떤 약재는 건조하거나 볶아서 독성을 제거 한 후 사용하기도 한다. 숙지황이나 홍삼은 옛날부터 찌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하여 독성을 제거하고 약성을 높여서 사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제비의 재료로 사용되는 강황가루에 있어 전술한 강황의 유용한 성분의 약성을 높이도록 구증구포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의 장어육수는, 후술할 제2단계(S200)에서 매운탕육수를 제조하기 위한 육수 중 하나로서, 민물장어의 내장을 제거하고, 몸통, 머리 및 뼈로 분리한 다음 상기 머리 및 뼈를 24시간 동안 물에 담가두면서 피를 빼는 제1-1단계(S110)와, 상기 제1-1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민물장어의 머리 및 뼈, 생강 및 엉겅퀴를 포함한 육수를 센 불에 25~35분 끓인 다음 약 불에 5~6시간 더 끓이는 제1-2단계(S120)와, 상기 제1-2단계를 수행한 다음 육수에 떠있는 기름 및 상기 민물장어의 뼈를 제거하여 완성하는 제1-3단계(S130)를 통해서 준비된다.
여기서, 민물장어(혹은 뱀장어 Anguilla japonica, EEL)는 전통적으로 보양식으로 알려져 온 민물고기로서, 동의보감에 의하면 성질이 차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상처가 나고 헐은 곳을 치료하며 여러 가지 균을 죽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실제로 민물장어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칼로리도 높으면서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이나 허약체질, 원기 회복 등에 최고의 식품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스태미너 식품으로 특히 남성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다. 또한, 민물장어는 비타민A가 매우 풍부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비타민A는 발육촉진, 시력회복, 피부와 점막의 건강유지, 정력제 등의 효능이 있다. 이 외에도 머리가 좋아지고, 치매예방, 암 억제 등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진 DHA(Docosahexaenoic Acid) 및 EPA(Eicosapentaenoic Acid) 함량이 타 어종보다 월등히 높다. 또한, 한방의서에서 장어의 뼈는 대장염, 이질, 붕루(崩漏), 대하 등에 효험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효능이 있는 민물장어가 매운탕의 육수로서 잘 우러나도록 상기 1-1단계 내지 1-3단계를 거쳐 민물장어가 포함된 장어육수를 제조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2단계(S120)는, 상기 민물장어의 머리 및 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0~2200 중량부, 생강 40~50 중량부, 엉겅퀴 4~5 중량부로 혼합하여 육수를 제조하거나, 상기 엉겅퀴가 육수에 더욱 잘 우러나도록 상기 민물장어의 머리 및 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엉겅퀴 추출물 2000 중량부, 생강 40~50 중량부로 혼합하여 육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은, 물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엉겅퀴의 꽃, 잎, 줄기, 뿌리 조각 혼합물 200 중량부로 혼합하여 24시간 끓인 다음 상온에서 자연냉각시켜 제조된다. 즉, 상기 엉겅퀴는 건조된 꽃, 잎, 줄기, 뿌리 조각 혼합물을 민물장어, 생강과 함께 물에 넣어 장어육수를 제조하거나, 물에 건조된 꽃, 잎, 줄기, 뿌리 조각 혼합물을 넣고 24시간 끓여 제조된 추출물에 민물장어 및 생강을 넣고 장어육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엉겅퀴의 효능이 높아지도록 장어육수 제조시 물 대신에 선행하여 엉겅퀴를 포함하는 액상의 추출물 형태로 만든 것에 다른 재료를 넣어 장어육수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엉겅퀴는 학명이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이며,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독성이 없으며, 쓴맛과 단맛이 차례로 나타나고, 한방에서는 지상부 또는 지하부(뿌리)를 대계라하여 약용으로 활용해왔다. 즉, 잎, 줄기, 꽃과 씨 등 지상부는 개화시기에서 씨가 여무는 5~6월에 채취하고 뿌리는 가을에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열수 또는 알코올 추출에 의한 약성분을 토혈, 혈뇨, 대하, 간염 및 고혈압 등 치료에 활용해왔다. 엉겅퀴 잎과 꽃은 생리활성이 우수한 아피제닌, 루테올린, 미리세틴, 캄페롤, 펙토리나린, 5,7-디하이드록시-6,4'-디메톡시플라본, 히스피둘린-7-네오-헤스페리오시드 등의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풍부하여 항염증, 항암, 항돌연변이, 항진균, 신경보호 및 면역 증진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항산화작용 및 간기능 개선에 우수한 실리마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효능이 있는 엉겅퀴를 매운탕의 육수 제조시 첨가함으로써, 매운탕을 섭취하면서 건강기능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의 일반육수는 물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무 100 중량부, 대파 20 중량부, 다시마 10 중량부, 양파 100 중량부, 멸치 20 중량부, 홍고추 5 중량부, 생강 40 중량부로 혼합하여 60분~70분을 끓인 다음 건더기를 제거하여 준비된다. 여기서, 홍고추는 풋고추(청고추)가 익어서 붉은색으로 변한 것을 말하며, 멸치는 육수용 대멸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의 양념장은 된장 2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장 80 중량부, 고추가루 20 중량부, 마늘 80 중량부, 생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된다. 상기 일반육수 및 양념장은 상기 수제비와 함께 민물장어 특유의 비린내와 느끼한 맛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운탕 제조시 첨가되도록 한다.
상기 장어육수, 일반육수 및 양념장 각각에 모두 첨가되는 생강은 향신료로서, 맵싸한 맛으로 민물장어의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생강에 함유된 디아스타아제와 단백질 분해효소가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장운동을 촉진시키며 구역질과 설사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고, 생강의 맵싸한 성분인 진저롤과 쇼가올은 각종 병원성 균, 특히 티푸스균이나 콜레라균 등에 대해 강한 살균작용이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단계(S200)는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장어육수와 일반육수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한 매운탕육수에 매운맛이 나도록 양념장을 넣고 끓이는 단계이고, 상기 제3단계(S300)는 상기 제2단계에서 매운탕육수가 끓기 시작하면 무 및 감자를 차례로 넣고 끓이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매운탕육수를 장어육수와 일반육수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이유는 조리업계에 종사하는 출원인의 다양한 중량비 테스트 결과 육수로서 장어육수에 포함된 민물장어의 고소함과 담백함이 지나치게 과하면 느끼하고, 비린맛이 높아지기 때문에 무 및 다시마를 포함하는 시원한 맛을 내는 일반육수가 장어육수의 진한 맛을 중화시켜 낮춰주면서 민물장어의 고소함과 담백함을 유지시켜주고, 장어육수에 포함된 엉겅퀴의 쓰면서 달달한 맛 역시 유지시켜 주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양념장은 매운탕 본래의 매운맛이 나도록 첨가되고, 상기 제3단계(S300)의 무는 국물맛이 시원하도록 첨가되고, 감자는 후술할 제4단계(S400)에 넣어지는 수제비의 쫀득함과 감자의 부드러운 맛이 어우러지도록 첨가된다.
또한, 상기 제4단계(S400)는 상기 3단계를 수행한 다음 들기름에 볶은 민물장어의 몸통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준비된 수제비를 상기 매운탕육수에 넣고 끓이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민물장어의 몸통은 상기 제1단계(S100)의 장어육수 준비시에 머리 및 뼈와 함께 손질해둔 것으로 적당한 크기로 자른 다음 들기름에 볶아 상기 매운탕육수에 넣음으로써, 몸통의 겉살이 익은 상태로 매운탕에 넣어져 민물장어의 본형이 유지됨에 따라 소비자의 신뢰 및 상품 가치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제비는 민물장어의 비린맛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수제비 본래의 쫄깃한 식감과 함께 항암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건강기능효과를 갖는 강황이 포함됨에 따라 매운탕 및 수제비를 먹으면서 건강기능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5단계(S500)는 상기 제4단계의 수제비가 익으면 청양고추, 대파, 양파, 민물새우 및 들깨가루를 넣고 끓이는 단계이고, 상기 제6단계(S600)는 상기 제5단계를 수행한 전부를 장어육수가 데워진 뚝배기에 넣고, 1~2분간 끓이다가 미나리줄기를 매운탕 위에 올린 다음 30~40초간 더 끓여 민물장어 매운탕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제5단계(S500)의 청양고추, 대파, 양파, 민물새우는 매운탕육수의 매운맛과 시원한 맛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고, 들깨가루는 매운탕의 매운맛 및 시원한 맛과 함께 고소한 맛과 향이 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민물새우는 민물에 서식하는 새우로서, 계란보다 적은 콜레스테롤 양을 갖고, 저칼로리 고단백질 식품으로써 키토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칼슘함유량이 생선 이상으로 많고, 특히 새우 단백질에는 필수 아미노산 글리신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항암효과, 골다공증, 면역력 강화에 효능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민물새우(혹은 건새우)를 넣거나 살아있는 민물새우(혹은 생새우), 냉동새우가 넣어진다.
또한, 상기 제6단계(S600)의 미나리줄기는 향긋하고 상큼한 맛을 내기 위한 것으로 그 맛과 향이 유지되도록 매운탕육수에 위에 올린 다음 30~40초간 끓인다. 미나리는 습지와 물가에 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강장, 이뇨, 해열, 고혈압을 낮춰주는 효능이 있다.
또한, 상기 제6단계(S600)에서 매운탕의 내용물을 뚝배기로 옴겨 담는 이유는, 매운탕이 식지않고 고온상태로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상기 제2단계(S200) 내지 제5단계(S500)는 매운탕의 빠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열전달이 높은 금속재 등의 일반적인 냄비에 넣고 끓이는데 냄비는 빨리 끓는 만큼 빨리 식기 때문에 매운탕이 완성될 쯤 사전에 데워진 뚝배기에 옴겨담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6단계(S600)를 통해 완성된 민물장어 매운탕은, 매운탕육수 2000 중량부에 대하여 양념장 70~100 중량부, 무 100~120 중량부, 감자 180~200 중량부, 민물장어의 몸통 600~700 중량부, 수제비 200~220 중량부, 청양고추 20~25 중량부, 대파 80~90 중량부, 양파 100~110 중량부, 민물새우 20~30 중량부, 들깨가루 20~30 중량부, 장어육수 30~40 중량부, 미나리줄기 20~30 중량부이다. 여기서, 장어육수 30~40 중량부는 상기 제6단계에서 뚝배기에 미리 데워진 장어육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은, 첫째 장어육수와 별도로 적당한 크기로 자른 다음 들기름에 볶은 민물장어의 몸통부분을 매운탕 제조시 넣음으로써, 민물장어의 본형이 유지됨에 따라 소비자의 신뢰 및 상품 가치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둘째, 매운탕 본연의 매운맛과 함께 강황을 사용한 수제비와 엉겅퀴가 첨가된 장어육수를 통하여 민물장어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민물장어를 비롯한 강황 및 엉겅퀴의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매운탕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강황을 구증구포(九蒸九曝) 방식으로 증숙 및 건조를 차례로 9번 반복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한 가루를 수제비의 재료로 사용하고, 엉겅퀴의 꽃, 잎, 줄기, 뿌리 조각 혼합물을 물과 함께 24시간 끓인 엉겅퀴 추출물을 장어육수에 사용함으로써, 강황 및 엉겅퀴의 유용한 성분이 매운탕에 더욱 깃들여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 강황가루와 밀가루를 혼합 반죽한 수제비와, 엉겅퀴가 첨가된 장어육수와, 물에 무, 파, 다시마, 양파, 멸치, 홍고추를 넣어 제조된 일반육수 및 양념장을 각각 준비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제1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장어육수와 일반육수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한 매운탕육수에 양념장을 넣고 끓이는 제2단계(S200)와;
상기 제2단계에서 매운탕육수가 끓기 시작하면 무 및 감자를 차례로 넣고 끓이는 제3단계(S300)와;
상기 3단계를 수행한 다음 들기름에 볶은 민물장어의 몸통과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준비된 수제비를 상기 매운탕육수에 넣고 끓이는 제4단계(S400)와;
상기 제4단계의 수제비가 익으면 청양고추, 대파, 양파, 민물새우 및 들깨가루를 넣고 끓이는 제5단계(S500)와;
상기 제5단계를 수행한 전부를 장어육수가 데워진 뚝배기에 넣고, 1~2분간 끓이다가 미나리줄기를 매운탕 위에 올린 다음 30~40초간 더 끓여 민물장어 매운탕을 완성하는 제6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00)의 수제비는,
강황가루와 밀가루를 2: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24시간 냉장보관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가루는,
세척된 강황뿌리를 증숙기 및 건조기를 통하여 구증구포(九蒸九曝) 방식으로 증숙 및 건조를 차례로 9번 반복한 다음 분쇄기로 분쇄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00)의 장어육수는,
민물장어의 내장을 제거하고, 몸통, 머리 및 뼈로 분리한 다음 상기 머리 및 뼈를 24시간 동안 물에 담가두면서 피를 빼는 제1-1단계(S110)와,
상기 제1-1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민물장어의 머리 및 뼈, 생강 및 엉겅퀴를 포함한 육수를 센 불에 25~35분 끓인 다음 약 불에 5~6시간 더 끓이는 제1-2단계(S120)와,
상기 제1-2단계를 수행한 다음 육수에 떠있는 기름 및 상기 민물장어의 뼈를 제거하여 완성하는 제1-3단계(S130)를 통해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단계(S120)는,
상기 민물장어의 머리 및 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2000~2200 중량부, 생강 40~50 중량부, 엉겅퀴 4~5 중량부로 혼합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단계(S120)는,
상기 민물장어의 머리 및 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엉겅퀴 추출물 2000 중량부, 생강 40~50 중량부로 혼합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엉겅퀴 추출물은,
물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엉겅퀴의 꽃, 잎, 줄기, 뿌리 조각 혼합물 200 중량부로 혼합하여 24시간 끓인 다음 상온에서 자연냉각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00)의 일반육수는,
물 1000 중량부에 대하여 무 100 중량부, 대파 20 중량부, 다시마 10 중량부, 양파 100 중량부, 멸치 20 중량부, 홍고추 5 중량부, 생강 40 중량부로 혼합하여 60분~70분을 끓인 다음 건더기를 제거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00)의 양념장은,
된장 20 중량부에 대하여 고추장 80 중량부, 고추가루 20 중량부, 마늘 80 중량부, 생강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S600)를 통해 완성된 민물장어 매운탕은,
매운탕육수 2000 중량부에 대하여 양념장 70~100 중량부, 무 100~120 중량부, 감자 180~200 중량부, 민물장어의 몸통 600~700 중량부, 수제비 200~220 중량부, 청양고추 20~25 중량부, 대파 80~90 중량부, 양파 100~110 중량부, 민물새우 20~30 중량부, 들깨가루 20~30 중량부, 장어육수 30~40 중량부, 미나리줄기 20~3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4208A KR101970896B1 (ko) | 2017-10-31 | 2017-10-31 |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4208A KR101970896B1 (ko) | 2017-10-31 | 2017-10-31 |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0896B1 true KR101970896B1 (ko) | 2019-04-22 |
Family
ID=6628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4208A KR101970896B1 (ko) | 2017-10-31 | 2017-10-31 |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089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2661B1 (ko) * | 2020-01-16 | 2020-12-17 | 신의재 | 통장어탕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9880B1 (ko) * | 2005-10-21 | 2007-03-09 | 김순봉 | 장어 육수 김치 칼국수 또는 수제비 및 그 제조 방법 |
KR20120090229A (ko) * | 2011-02-07 | 2012-08-17 | 여병선 | 곰 장어탕 제조방법 |
KR101725730B1 (ko) * | 2016-06-24 | 2017-04-14 | 사비생물연구소 영어조합법인 | 안전 양식 민물장어탕 및 그 제조방법 |
KR101757112B1 (ko) * | 2016-04-07 | 2017-07-11 | 문병삼 | 파김치 장어전골 및 그 제조방법 |
-
2017
- 2017-10-31 KR KR1020170144208A patent/KR1019708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9880B1 (ko) * | 2005-10-21 | 2007-03-09 | 김순봉 | 장어 육수 김치 칼국수 또는 수제비 및 그 제조 방법 |
KR20120090229A (ko) * | 2011-02-07 | 2012-08-17 | 여병선 | 곰 장어탕 제조방법 |
KR101757112B1 (ko) * | 2016-04-07 | 2017-07-11 | 문병삼 | 파김치 장어전골 및 그 제조방법 |
KR101725730B1 (ko) * | 2016-06-24 | 2017-04-14 | 사비생물연구소 영어조합법인 | 안전 양식 민물장어탕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2661B1 (ko) * | 2020-01-16 | 2020-12-17 | 신의재 | 통장어탕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73386B1 (ko) |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능이버섯 세갈비 양념소스를 이용한 양념갈비 및 그 제조방법 | |
KR100371778B1 (ko) | 한방 삼계탕 | |
CN105581132A (zh) | 一种香辣香菇鸡肉酱及其制作方法 | |
KR100883639B1 (ko) | 닭두루치기 또는 닭도리탕용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이용한 닭두루치기의 조리방법 | |
KR100715148B1 (ko) | 바지락 해장국 | |
KR100692970B1 (ko) | 닭육수와 장어육수를 이용한 장어탕 제조방법 | |
KR101591082B1 (ko) | 해장국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970896B1 (ko) | 민물장어 매운탕의 제조방법 | |
CN104305123A (zh) | 一种鱼头火锅底料及制备方法 | |
KR101590503B1 (ko) | 붕장어 포의 제조방법 및 그 붕장어 포 | |
KR101644935B1 (ko) | 오리 닭발 곰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오리 닭발 곰탕 | |
KR102170950B1 (ko) | 추어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추어탕 | |
KR102390363B1 (ko) | 연자육 성분을 포함하는 콜라겐묵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69932B1 (ko) | 황태 곤드레나물 밥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4172054A (zh) | 一种米粉的卤水 | |
KR101459544B1 (ko) | 오색오향 비빔장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90119734A (ko) | 고추다대기 제조방법 | |
KR101972396B1 (ko) | 해초 죽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99972B1 (ko) | 한방 동태탕의 제조방법 | |
CN106036529A (zh) | 一种魔芋啤酒鸭的制备方法 | |
CN105831590A (zh) | 桄榔保健面条及其生产方法 | |
CN104256466A (zh) | 一种米粉的卤水的制备方法 | |
CN109105869A (zh) | 一种酸辣田螺肉酱及其制备方法 | |
KR101540265B1 (ko) | 사자발약쑥이 함유된 건강쑥밥의 제조방법 | |
KR101354999B1 (ko) | 김밥과 김밥용 겨자소스 및 이들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