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205B1 - 가정용 세척기계 특히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가정용 세척기계 특히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205B1
KR101969205B1 KR1020167003025A KR20167003025A KR101969205B1 KR 101969205 B1 KR101969205 B1 KR 101969205B1 KR 1020167003025 A KR1020167003025 A KR 1020167003025A KR 20167003025 A KR20167003025 A KR 20167003025A KR 101969205 B1 KR101969205 B1 KR 10196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ispenser
walls
lid
li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552A (ko
Inventor
코스탄조 가디니
다니엘레 세루티
Original Assignee
엘텍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텍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엘텍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6004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09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by tipping containers or opening their lids, e.g. with the help of a programm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세척을 위한 기계, 특히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 디스펜서로서, 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리셉터클(12)을 가진 디스펜서 몸체(11), 상기 리셉터클(12)의 밀폐위치 및 개방 위치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에 대해 안내되도록 장착된 덮개 몸체(21)를 가진 적어도 한 개의 덮개(20) 및,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사이에 위치한 미끄럼 안내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미끄럼 안내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제1 안내 요소(31) 및 제1 안내되는 요소(41)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2 벽(11c)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2 벽(21c)이 가지는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제2 안내 요소(32) 및 제2 안내되는 요소(42)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 및 제2 벽(11c)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 및 제2 벽(21c)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벽(11b,21b)들의 측부들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2 벽(11c,21c)들의 측부들에 대해 평행한 것이 선호된다.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 중 적어도 한 개는, 상기 제1 벽(11b,21b) 및 상기 제2 벽(11c,21c)에 대해 추가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속요소(11e,21e)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요소는 상기 안내 요소(31,32)들에 대하여 상기 안내되는 요소(41,42)의 이동을 상기 미끄럼 안내부(31+41, 32+42)에 의해 결정되는 덮개(20)의 미끄럼 운동 방향(X)에 대해 횡 방향인 방향으로 한정하도록 미리 배열된다.

Description

가정용 세척기계 특히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 디스펜서{WASHING-AGENT DISPENSER FOR HOUSEHOLD WASHING MACHINES, IN PARTICULAR DISHWASHERS}
본 발명은, 세척용 가전제품, 특히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고 적어도 한 개의 슬라이딩 덮개(sliding lid)를 가진 디스펜서와 관련하여 개발되었다.
세척을 위한 일부 가전제품 특히 식기 세척기들은, 적어도 한 개의 세제를 분배하도록 구성되고 세척제를 분배하는 장치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치들은, 동일한 식기 세척 사이클의 서로 다른 순간들에서 전형적으로 고체 형태(분말 또는 태블릿(tablet) 형태)의 세제 및 액체 헹굼 첨가제(rinsing additive)로서 대표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세척제들을 분배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고체 형태 또는 액체 형태를 가진 단일 세척제를 분배하기 위한 디스펜서들이 알려져있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하면, 식기 세척기용 디스펜서들은 열가소성 재료의 몰딩에 의해 형성되는 주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 몸체는 (가전제품의 세척 탱크를 한정하는 수직 벽들 중 한 개와 연결되며(상기 세척 탱크의 내부를 향하는 가전제품의 전방 도어(front door)의 내부 쉘(shell)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상기 벽내에 제공된 개구부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체 밀봉되도록 설치(set in)된다. 상기 디스펜서의 주 몸체가 가지는 전방 영역내에 세척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고 일반적으로 분말 또는 태블릿 형태를 가진 세척제, 세척제를 포함하는 리셉터클(receptacle)이 형성된다. 상기 리셉터클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각 몸체를 가진 밀폐 덮개를 가진다. 상기 덮개를 각각의 개방 위치로 가압하는 탄성 수단 및 상기 덮개의 차단/구속해제를 위한 시스템이 상기 디스펜서의 몸체 및 상기 덮개의 몸체사이에서 작동한다. 세척 사이클 과정 동안, 상기 차단/구속해제 시스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가전제품의 프로그램(programer) 또는 타이머에 의해 상기 덮개의 개방작용이 적절하게 제어된다. 상기 차단/구속해제 시스템은, 가전제품이 작동하지 않을 때,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를 사용자가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알려진 방법에 의하면, 상기 덮개의 몸체는 상기 디스펜서의 몸체에 미끄럼가능하게 구속되어 밀폐위치 및 개방위치사이에서 사실상 선형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지거나 구부러진 경로를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펜서의 몸체 및 상기 덮개의 몸체사이에서 상호작용하는 해당 미끄럼 안내부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가 기초하는 문헌 제 US5884821 A호 및 제 DE 102005004098 A호에 상기 형태의 장치들이 공개된다.
상기 문헌 제 US5884821 A호에 따른 방법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공지된 디스펜서가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로 표시되고 상기 디스펜서 및 덮개의 몸체들이 각각 도면부호 2 및 3으로 표시된다. 상기 덮개의 몸체(2)는, 상기 덮개의 미끄럼 운동방향(여기서 도면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인)과 평행하고 서로 평행한 벽(2a,2b)들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마주보는 부분들을 가진다. 상기 디스펜서의 몸체(3)는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의 몸체(2)의 상기 벽(2a,2b)과 평행하고 서로 평행하며 마주보는 두 개의 부분들 또는 벽(3a,3b)들을 가지고, 상기 각 벽(2a,2b)들의 내측부는 해당 벽(3a,3b)의 외측부를 향한다. 적어도 한 개의 돌출요소(2a',2b')들이 상기 각 벽(2a,2b)의 내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해당 벽(3a,3b)의 외측부에 형성된 안내 그루브(3a',3b') 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된다.
동일하게, 상기 문헌 제 DE 102005004098 A호를 따르는 방법에 의하면 상기 덮개의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의 몸체에 형성된 부분 또는 벽들의 쌍들에 의해 형성된 배열이 제공되고, 상기 벽들의 쌍은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의 미끄럼 운동방향과 평행하고 서로 평행하다. 도 2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상기 공지 방법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도면부호들과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이미 설명한 구성요소들과 기술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펜서의 몸체(3)의 해당 벽(3a,3b)의 내측부를 향하는 것은 상기 덮개의 몸체(2)에 형성된 각 벽(2a,2b)의 외측부이며, 적어도 한 개의 돌출 요소(2a',2b')가 상기 각 벽(2a,2b)의 외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몸체(3)의 해당 벽(3a,3b)의 내측부에 형성된 안내 그루브(3a',3b')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문헌에 공개된 방법에 따라 제공된 디스펜서들은 특히 치수 제조 허용 오차에 특히 민감하여, 무엇보다도 미끄럼 안내부들(그루브들 및 돌출구조의 양각 구조(reliefs)를 가진 벽들사이에 미리 설정된 허용 오차들이 정해진 값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정하지만 ±0.1mm의 최대 공차를 가지면 해당 덮개가 막혀버리거나 흔들리는 위험이 야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 몸체 및 해당 덮개 몸체를 열가소성 재료로 몰딩하기 위해, 해당 부품들의 공칭 치수보다 큰 치수를 가진 공동 및 임프레션(impression)을 포함한 몰드(mould)들이 이용된다. 실제로, 상기 공동들은 일부러 "오버사이즈(oversized)"를 가지며 상기 열가소성 재료의 예상되는 수축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이러한 수축은 몰딩 단계 이후에 열가소성 재료의 냉각 및 경화작용에 기인한 열가소성 재료의 치수가 감소하는 변화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수축은, (재료의 특성은 원재료(row material)의 생산기계(producer)로부터 다른 생산기계마다 어느 정도 다를 수 있는) 재료의 형태 및 광범위한 요인(예를 들어, 대기 온도, 압출 속도 등)에 기인하여 잠재적으로 변화하는 다른 공정 매개변수들에 따라 변화한다.
상기 공지 방법을 고려할 때, 상기 도 1은 문헌 제US5884821호를 따르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최종 제품이 가지는 최적 공칭 치수 즉 변형 없이 열가소성 재료가 가지는 예상된 수축을 가질 때 최적 공칭 치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러나 상기 열가소성 재료의 과도한 수축은 공칭 폭보다 작은 덮개 몸체의 최종 폭을 발생시켜서 자체로서 상기 안내 그루브내에서 돌출구조의 부분들이 정확하게 미끄럼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러한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3을 참고할 때, 상기 부분들을 조립한 후에 상기 덮개(2) 몸체의 요소(2a',2b') 및/또는 벽(2a,2b)들은, 상기 디스펜서의 그루브(3a',3b')들 및/또는 해당 벽(3a,3b)들에 대해 각각 가압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덮개가 막혀버리거나 운동하는 동안 과도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운동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 상기 열가소성 재료의 불충분한 수축은 공칭 값에 비해 과도한 덮개 몸체(2)의 최종 폭을 결정할 수 있어서, 상기 요소(2a',2b')는 상기 그루브(3a',3b')들을 횡 방향으로 흔들게 된다. 이러한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4를 참고할 때, 조립된 후에 상기 요소(2a',2b')들은 상기 그루브(3b)내에서 과도하게 느슨한 상태로 있어서 결과적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동안 상기 덮개 몸체는 과도하게 횡 방향으로 이탈하게 된다. 상기 덮개의 몸체(2)가 가지는 과도하거나 불충분한 수축은, 상기 디스펜서의 몸체(3)가 가지는 재료의 불충분하거나 과도한 반대 현상과 불리하게 결합되어 추가로 상기 덮개가 막히거나 흔들리는 운동 상태를 두드러지게 만든다.
상기 결과와 유사한 결과들이 문헌 제DE102005004098A호를 따르는 디스펜서를 생산할 때 열가소성 재료의 이례적인 수축(anomalous shrinkage)에 있어서도 발생한다. 도 2는 제품의 최적 공칭 치수, 즉 열가소성 재료의 예상된 수축시 형성되는 최적 공칭 치수를 도시하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재료의 이례적인 수축을 가지는 경우를 표시한다. 상기 덮개 몸체(2)의 재료가 과도한 수축을 가지는 경우가 도 5에 도시되고, 조립 후에 상기 요소(2a',2b')들이 상기 그루브(3a',3b')로부터 과도하게 느슨한 상태를 가져서 상기 덮개의 몸체(2)가 과도하게 횡 방향으로 이탈하고, 상기 열가소성 재료가 불충분하게 수축된 경우가 도 6에 도시되며, 조립 후에 상기 몸체(2)의 요소(2a',2b') 및/또는 벽(2a,2b)들이 상기 몸체(3)의 그루브(3a',3b') 및/또는 벽(2a,2b)들에서 가압되어 막히거나 모든 경우에서 과도한 마찰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가 과도하게 횡 방향으로 이탈하거나 막히기 때문에 발생하는 상기 오류는 상기 요소(2a',2b')들을 지지하는 벽들의 뒤틀림과 같은 구조체의 변형으로 이어질 수 있는 추가적인 치수 공차에 의존할 수 있고, 상기 치수공차는 또한 예상값과 다른 플라스틱 재료의 수축에 따른 공차를 증가시킨다.
상기 덮개의 횡 방향 이탈은 디스펜서의 적절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허용될 수 있지만 최종 사용자에게 매우 불량한 품질로 인식된다. 상기 디스펜서의 몸체 및 상기 덮개사이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마찰 또는 막힘을 가질 수 있는 디스펜서들은 시장에 유통될 수 없는 것이 분명하며 최종 배척되며 재작업을 필요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최종 제품이 조립된 후에 상기 덮개가 미끄럼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덮개가 이탈하거나 과도하게 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험이 제거되거나 적어도 상당하게 감소되는 세제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제2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최종 제품이 조립된 후에 상기 디스펜서의 몸체 및 상기 덮개사이에 과도하게 마찰이 발생하거나 막히는 위험이 제거되거나 적어도 상당하게 감소되는 세제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펜서의 부분들 특히 디스펜서의 덮개 및/또는 해당 안내부들이 몰딩 및/또는 조립되는 것을 용이하도록 설계된 구조를 가진 세제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앞으로 더욱 명확하게 설명되는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에 제시된 특징들을 가진 세제의 디스펜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 형태의 디스펜서를 포함한 세척용 기계 특히 식기 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선호되는 형태에서, 본 발명을 따르는 세제의 디스펜서는,
열가소성 재료의 몰딩에 의해 구해지고 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리셉터클,
열가소성 재료의 몰딩에 의해 구해지는 덮개 몸체를 가지고 상기 리셉터클의 밀폐위치 및 개방 위치사이에서 상기 디스펜서 몸체상에서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개의 덮개 및, 상기 디스펜서 몸체에 대해 상기 덮개 몸체를 구속하기 위한 미끄럼 안내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를 차단 및/또는 구속해제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의 제1 벽 및 제2 벽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며 상기 덮개 몸체의 제1 벽 및 제2 벽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상기 제1 벽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서로 평행하고 제2 벽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과 평행하며,
상기 미끄럼 안내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의 제1 벽 및 상기 덮개 몸체의 제1 벽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적어도 한 개의 제1 안내 요소 및 적어도 한 개의 제1 안내되는 요소를 각각 포함하고,
특히 상기 디스펜서 몸체의 제2 벽 및 상기 덮개 몸체의 제2 벽이 가지는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상기 제1 안내 요소 및 상기 제1 안내되는 요소에 대해 마주보는 위치에서 적어도 한 개의 제2 안내 요소 및 적어도 한 개의 제2 안내되는 요소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안내되는 요소 및 상기 제2 안내되는 요소는 상기 제1 안내 요소 및 상기 제2 안내 요소와 각각 미끄럼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 및 덮개 몸체의 제1 벽 및 제2 벽들 및/또는 상기 안내 요소 및 안내되는 요소에 추가되는 제3 벽과 같은 적어도 한 개의 구속 요소 또는 추가의 안내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요소는 상기 미끄럼 안내부들에 의해 결정되는 덮개의 미끄럼 운동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상기 안내 요소들에 대해 상기 안내되는 요소들의 이동을 제한 및/또는 더욱 양호하게 상기 덮개를 안내하기 위해 제공된다.
아래에서 더욱 명확해지는 것처럼, 적어도 한 개의 구속요소가 형성되면, 특히 몰딩 재료의 수축 또는 비정상적인 치수 형성(settling) 때문에 발생하는 디스펜서 몸체에 대한 과도한 마찰 또는 막힘의 위험뿐만 아니라 상기 덮개 몸체에 대한 과도한 횡 방향 이동 또는 이탈의 위험이 상당하게 감소되거나 제거되도록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상기 디스펜서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벽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이 상기 디스펜서 몸체의 제1 벽의 외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의 제1 벽의 내측부이고,
상기 제2 벽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의 제2 벽의 내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의 제2 벽의 외측부이다.
아래에서 더욱 명확해지는 것처럼, 상기 방법은 상기 특징에 대해 선택적이거나 보조적으로, 몰딩 재료의 비정상적인 수축과 관련한 위험 및/또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와 덮개 몸체사이에서 과도한 마찰 또는 막힘이 발생하는 위험이 감소되거나 제거되고 디스펜서의 부품들이 용이하게 몰딩되고 조립되도록 디스펜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예에 의해 제공되는 첨부된 개략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된다.
도 1 및 도 2는, 공지되는 방법을 따르는 디스펜서의 횡 방향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공지된 형태를 가진 제1 디스펜서의 부분들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이례적인 수축 상태를 예로서 도시하고 도 1의 횡 방향 섹션과 유사한 횡 방향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공지된 형태를 가진 제2 디스펜서의 부분들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이례적인 수축 상태를 예로서 도시하고 도 2의 횡 방향 섹션과 유사한 횡 방향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각각, 각각의 덮개가 밀폐 상태 및 개방 상태를 가질 때 본 발명을 따르는 디스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상기 덮개가 제거될 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디스펜서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덮개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상기 덮개가 부분적으로 분할될 때 도 7 및 도 8의 도면과 유사하고 확대된 스케일로 도시된 사시도.
도 15는, 해당 덮개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평면도.
도 16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배면도.
도 17 및 도 18은, 도 15의 선 XVII- XVII 및 선 XVIII- XVIII을 따라 본 부분 개략도.
도 19 및 도 20은, 도 18을 확대하여 도시한 세부도면.
도 21은, 본 발명을 따르는 디스펜서의 부분들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최적 수축 상태를 도시하고 도 1 및 도 2와 유사한 개략 횡 단면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을 따르는 디스펜서의 상기 부분들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이례적인 수축 상태를 도시하고 도 21과 유사한 개략적인 횡 단면도.
도 24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변형예들을 도시하고 도 21과 유사한 개략적인 횡 단면도.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서 "어떤 실시예" 또는 "하나의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 구조, 구성 또는 특징이 적어도 한 개의 실시예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세한 설명의 여러 부분들에서 제공될 수 있는 상기 "어떤 실시예" 또는 "하나의 실시예" 등이 반드시 하나의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구조, 구성 또는 특징은, 심지어 제공된 실시예들과 다를 수 있는 한 개이상의 실시예들에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편의를 위해 제공되며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의 범위 또는 권리범위를 정의하지 않는다.
본 출원 및 청구범위에서, 디스펜서 몸체 및 덮개 몸체의 일부분, 벽 또는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내측부"는, 예를 들어, 세제를 포함한 리셉터클이 개방되는 사실상 디스펜서의 중간 영역을 향하는 상기 부분, 벽 또는 구성요소의 측부, 면 또는 표면을 표시하며, 상기 영역은 덮개의 몸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는 것이 선호된다. 그 결과, 디스펜서 몸체 및 덮개 몸체의 일부분, 벽 또는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외측부"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부분, 벽 또는 구성요소의 "내측부"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부분, 벽 또는 구성요소의 측부, 면 또는 표면을 의미한다.
우선, 도 7 및 도 8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고 세제를 분배(dispensing)하기 위한 장치가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된다. 디스펜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몰딩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선호되는 디스펜서 몸체(11)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는, 세탁 탱크내에 위치하거나 세탁 탱크내부를 향하도록 설계된 전방 조각 또는 부분(11') 및 상기 탱크 벽의 개구부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선호되는 후방 조각 또는 부분(11"')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11',11")들은 서로 개별적으로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몰딩되고 다음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편리하다. 상기 디스펜서는 모든 경우에서 다르게 형성되어 구해지는 부분(11',11")들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 이어서,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이 제공되며, 본 발명에 속하는 특징들은 기본적으로 적어도 한 개의 미끄럼 덮개를 가진 디스펜서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전방 부분(11')에 관한 것이라고 간주한다.
반드시 수평벽은 아니지만 수평벽인 것이 선호되고 몸체 자신의 전방에 형성된 벽(11a)을 포함하는 디스펜서(10) 몸체의 영역(A)내에 리셉터클(12)이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은 분말 또는 태블릿(tablet) 형태(액체 또는 겔(gel)과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진 세탁 제재를 포함하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를 가진 고형 세제와 같은 세제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리셉터클(12)의 개구부는, 여기서 벽(11a)으로부터 일어나는 돌출구조의 변부 또는 립(lip)에 의해 둘러싸인다. 전체적으로 20으로 표시된 덮개가 상기 몸체(1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A)에 위치하고, 상기 덮개는 예를 들어, 탤컴(talcum) 또는 유리섬유와 같은 충진제가 추가된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를 구성하는 재료와 유사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몰딩되어 구해진 덮개 몸체(21)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몸체(11)상에서 안내경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미끄럼운동하여, 상기 덮개(20)는 도 7 및 도 8에 각각 도시된 것처럼 상기 리셉터클(12)의 밀폐 위치 및 개방 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덮개 몸체(21)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미끄럼 가이드(sliding guide)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에 대해 구속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리셉터클(12)이 형성되는 디스펜서 몸체(11)의 영역(A)을 따라 커버(15)가 연결되고, 상기 커버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해당 연결/구속해제 장치(15a)를 가진다. 상기 커버(15)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와 힌지(hinge) 연결되어 수평축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시에 상기 커버는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5)는, 예를 들어, 헹굼제(rinsing agent)와 같은 액체 제재와 같은 제2 세제를 위한 (눈에 보이지 않는) 저장요소의 입구가 위치하는 해당 영역을 덮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커버(15)에 의해 덮이는 동일한 영역에 상기 액체 세제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배출구 개구부가 제공되고, 상기 목적을 위해 상기 커버(15)의 몸체는, 상기 액체 세제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세척기계의 세탁 탱크 내부를 향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 개구부 또는 통로들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계속해서, 상기 디스펜서(10)는 예를 들어, 도어(door)에 의해 형성된 벽과 같이 상기 탱크를 한정하는 벽에 고정된다고 가정한다.
액체 세제를 분배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및 해당 저장요소 및 커버(15)가 구성되는 것이 반드시 본의 실시와 관련되는 것은 아니어서 이러한 부품들은 심지어 생략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커버(15)는, 예를 들어, 하기 설명되는 것과 같은 동일한 형태를 가진 미끄럼 가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에 미끄럼가능하게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덮개 몸체(21)는,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12)의 개방 상태로 가압되는 것이 선호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세척기계의 프로그램장치에 의해 제어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덮개(20)의 차단/구속해제를 위한 시스템이, 상기 덮개 몸체(21) 및 디스펜서 몸체(11)사이에 설정된다.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를 통과하는 축을 포함한 연결 장치(16)를 가진 상기 시스템의 일부분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다.
도 9 내지 도 10 및 도 13 내지 도 15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리셉터클(12)이 배열되고 상기 덮개(20)가 이동할 수 있는 영역(A)은, 사실상 상기 벽(11a)에 의해 표시되는 전체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디스펜서 몸체(11)의 일부분들에 의해 한정된다. 사실상 서로 평행한 것이 선호되고 상기 덮개의 미끄럼 운동방향(X)과 평행하며 이격된 상태로 설정되거나 일반적으로 마주보는 두 개의 부분 또는 벽(11b,11c)들이 상기 영역(A)내에 제공된다. "벽들"로서 정의된 상기 마주보는 부분(11b,11c)들이, 예를 들어, 상기 영역(A)의 평면 또는 상기 리셉터클(12)의 입구 평면에 대해 양각 구조(in relief)를 가지고 상기 덮개(20)의 마주보는 두 개의 벽들 또는 측부들과 사실상 근접하게 배열된 디스펜서 몸체(11)의 적어도 두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벽(11b)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로부터 양각구조를 형성하는 측부 단부벽이고, 상기 벽(11c)은 상기 기울어질 수 있는 커버(15)에 의해 덮여지는 영역 및 영역(A)사이에서 분리를 위해 양각구조를 형성하는 중간 벽이다. 그러나 상기 벽(11c)은 상기 디스펜서(10)의 전방에 위치한 단부 벽이고 상기 벽(11b)은 중간벽일 수 있다.
상기 덮개 몸체(21)는 주요 벽(21a)을 가지고, 상기 주요 벽의 내측부는 일반적으로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a)을 향하며, 실시예에서 상기 벽(21a)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벽(11a)을 향하는 일련의 벽들을 가진다. 좀 더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 몸체(21)는, 서로 평행한 것이 선호되고 상기 덮개(20)의 미끄럼 운동방향(X)과 평행하며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b,11c)들과 사실상 평행한 것이 선호되는 도 7, 도 8,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적어도 두 개의 횡 방향 측부들 또는 벽(21b,21c)들을 가진다.
도 9 내지 도 10 및 도 11 내지 도 12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특별한 관심을 가지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의 여러 부분들이 서로 다른 모습으로 명확하게 도시되고, 상기 부분들은 적어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b,11c)들 및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덮개 몸체(21)의 벽(21b,21c)들에 의해 도시된다.
도 9를 참고할 때 상기 벽(11c)의 내측부 및 벽(11b)의 외측부가 도시되고, 도 10을 참고할 때 상기 벽(11b)의 외측부가 명확하게 도시되며, 상기 벽(11c)의 외측부는 덮개(15)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직접 볼 수는 없다. 대신에, 도 11은 상기 덮개 몸체(21)의 벽(21c)이 가지는 내측부 및 상기 벽(21b)이 가지는 외측부를 명확하게 도시하고, 다음의 도 12는 상기 벽(21b)의 내측부 및 상기 벽(21c)의 외측부를 도시한다.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에 대하여 상기 덮개 몸체(21)를 구속하는 미끄럼 가이드들이 한편으로 상기 벽(11b,21b)들 및 상기 벽(11c,21c)들사이에서 작동한다. 상기 미끄럼 가이드들은, 상기 벽(11b,21b)들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적어도 한 개의 제1 안내 요소 및 한 개의 제1 안내되는 요소를 포함한다. 다음에, 상기 미끄럼 가이드들은 상기 벽(11c,21c)들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적어도 한 개의 제2 안내 요소 및 한 개의 제2 안내되는 요소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자체적으로 본 발명을 따르는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벽(11b,21b)들의 상기 측부들은 상기 벽(11b)의 외측부 및 상기 벽(21b)의 내측부이고, 상기 벽(11c,21c)들의 상기 측부들은 상기 벽(11c)의 내측부 및 상기 벽(21c)의 외측부이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몰딩 장비 및 몰딩 작업의 단순화와 관련하여 그리고 상기 덮개 몸체(21) 및 디스펜서 몸체(11)의 몰딩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허용된 치수허용 오차와 관련하여 중요한 장점들이 구해질 수 있다.
예로서 제시된 실시예와 같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개의 안내 요소 또는 각각의 안내 요소들은, 여기서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b,11c)들의 외측부 및 내측부로서 표시된 해당 벽들의 해당 측부에 형성되고 종 방향으로 연장된 안내 그루브(31,32)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한 개의 안내되는 요소 또는 각각의 안내되는 요소들은, 여기서 덮개 몸체(21)의 벽(21b,21c)들의 외측부 및 내측부로서 표시된 해당 벽들의 해당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 그루브와 연결될 수 있는 미끄럼 요소(41,42)들을 포함한다.
예로서 제시된 실시예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벽(11b,11c)들의 외측부 및 내측부에 제공된 안내 요소들은 각각, 상기 덮개(20)의 미끄럼 운동 방향을 따라 사실상 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 선호되는 상기 두 개의 그루브(31,32)들을 포함하고, 상기 벽(21b,21c)들의 외측부 및 내측부에 제공된 안내되는 요소들은 각각, 해당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핀들 선호적으로 원통형 핀들로서 형성되는 한 쌍의 미끄럼 요소(41,42)들을 포함한다. 각 쌍의 핀(41,42)들이 상기 해당 벽(21b,21c)의 단부 영역내에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덮개 몸체(21)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그루브(31,32)들을 가지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미끄럼 요소(41,42)들을 가진 미끄럼 안내부들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마주보는 배열이 가능하다. 그루브(31,32)들 및 요소(41,42)들은 상기 몸체들(11,21)들의 열가소성 재료를 몰딩한 후에 상기 몸체들에 의해 일체 구조로 형성되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몸체(11,21)들사이에 설정된 부분들이 상기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한번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할 때,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선호되는 가스켓(50)이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에 따라 상기 벽(21b,21c)들사이에 포함되는 (벽(21a)의 내측부에 해당하는) 상기 덮개 몸체(21)의 하부면 영역내에 장착되는 방법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덮개 몸체(21)의 횡 방향 벽(21d)까지 형성되어 상기 덮개(20)를 개방하는 행정의 마지막에 쿠션(cushioning)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후방 연장부(51)를 가진다. 특히, 상기 연장부(51)의 단부 부분(51a)은 상기 벽(21d)을 통과하고 상기 벽의 외측부를 지나 돌출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덮개(20)가 실제로 개방 행정운동이 종료할 때 상기 연장부(51)의 돌출 부분(51a)들은- 후방에서 상기 영역(A)을 한정하는- 디스펜서 몸체(11)의 횡 방향 벽(11d)과 접촉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 상기 가스켓(50)이 탄성 및 항복가능한(yieldable)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 부분(51a)에 의해 상기 벽(21d,11d)들사이에서 충격이 감쇠될 수 있다. 가능한 변형예에서, 상기 감쇄 수단은 상기 벽(21d) 또는 벽(11d)과 연결된 상기 가스켓(50)에 대해 구분된 부분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50)이 상기 덮개(20)가 개방위치로부터 밀폐위치로 이동하는 최종 단계에서만 상기 리셉터클(12)의 변부(12a)와 접촉하도록 미끄럼 안내부들 및 특히 그루브(31,32)들이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도 17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각 그루브는 상기 그루브의 나머지 주요 부분(31b)이 연장되는 높이와 다른 높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한 개의 부분(31a)을 가진다. 상기 부분(31a)은, 상기 주요 부분(31b)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에서 연장되고 기준으로서 가스켓(50)이 유체 밀봉된 상태로 배열되는 리셉터클(12)의 변부를 가지는 상기 그루브의 단부 부분이다. 도 17에서, 상기 축(X)은 사실상 상기 덮개(20)의 주요 미끄럼 운동 방향과 일치는 상기 그루브(31)의 주요 부분(31b)의 연장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과 같이, 상기 그루브(31a)의 일부분들이 아래를 향해 기울어져서 상기 덮개(20)가 밀폐위치를 향해 미끄럼 운동하는 최종 과정 동안 상기 핀(41)과 연결되는 각각의 스텝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 몸체(21)의 주요 벽(21a)으로부터 아래를 향하는 운동을 결정하며 상기 덮개(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50)의 직사각형 부분은 상기 리셉터클(12)의 변부(12a)에 대해 가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미끄럼 안내부 각각이 상기 벽(11b,11c)에서 축 방향으로 정렬된 한 쌍의 그루브(31,32)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그루브는 각각의 단부 부분(31a)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쌍의 두 개의 그루브들을 대체하는 연속적인 단일 그루브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연속적인 그루브는 31a로 표시된 것과 유사한 단부 부분을 제공하고 또한 중간 부분, 31a로 표시된 것과 유사한 중간 부분을 제공한다.
도 17은 상기 요소(41)을 가진 그루브(31) 만을 도시하지만, 요소(42)를 가진 그루브(32)들의 제공은 유사하다. 또한, 여기서 원통형 핀으로 표시된 미끄럼 요소(41,42)들은 예로서 제공된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안내 요소는 심지어- 다수의 정렬된 그루브들 또는 단일의 연속적인 그루브에 의해 형성되건 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이거나 아치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분적인 섹션으로 도시된 도 13 및 도 14에 의하면, 상기 미끄럼 안내부들의 다양한 요소들사이의 연결 상태가 도시되고 해당 그루브(31,32)들내에 연결된 일부 핀(41,42)들이 도시된다. 상기 도면들에 의하면, 상기 벽(11b,21b)들의 다양한 측부들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벽(11c,21c)들의 측부와 평행한 방법들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서 해당 쌍의 핀들의 단일 핀(41,42)이 각 그루브(31,32)내에 결합되는 방법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면, 도 17에서 알 수 있듯이 덮개 몸체(21)의 후방 변부가 아래를 향해 전환될 때, 상기 후방 변부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 오목부(depression)가 상기 벽(11b)의 상측 면 또는 측부에 선호적으로 제공되는 방법이 이해된다.
상기 덮개의 막힘/구속해제를 위한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 미리 배열된 상기 디스펜서(10)의 작동 시스템 일부가 도 16에 부분적으로 개략 도시되고, 상기 작동 시스템은 연결 장치(16)(앞서 설명한 관통축이 부분적으로 도시됨) 및 부분적으로 도시되며 도면부호 18로 표시되고 액체 세제를 분배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시스템은 산업분야에 공지된 모든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결 장치(16)의 작동에 의해 상기 덮개(20)를 개방할 수 있고 시스템(18)에 의해 액체 세제를 분배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시간에 작동하는 단일 액추에이터(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자석과 같은 전기 액추에이터 또는 열적 액추에이터인 것이 선호된다.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의 서로 연결되는 부분들이 도 18의 횡 단면 및 특히 도 19 및 도 20의 해당 세부구성으로 도시된다. 도 19는, 상기 벽(21c)의 외측부에 제공되고 상기 벽(11c)의 내측부에 형성된 해당 미끄럼 그루브(32)내에 연결된 핀(42)들 중 한 개를 명확하게 도시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 20에서, 핀(41)은 벽(21b)의 내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벽(11b)의 외측부에 형성된 해당 그루브(31)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10)는 적어도 한 개의 구속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요소는 핀(41,42)들로 대표되는 상기 안내되는 요소들의 일부 변위를 그루브(31,32)들로 대표되는 상기 안내요소들에 대하여 상기 미끄럼 안내부들에 의해 정해지고 상기 덮개(20)의 미끄럼 운동 방향(X)에 대해 횡 방향인 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해 미리 배열된다.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구속 요소가 상기 다양한 벽(11b,11c,21b,21c)들에 대해 추가되고 상기 벽내에 일체구성된 미끄럼 안내부들의 부품에 대해 추가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배열은 매우 유리한 데, 상기 덮개(20)의 횡 방향 이탈 또는 과도한 마찰 및 막힘과 같은 상기 덮개 몸체(21) 및/또는 디스펜서 몸체(11)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이례적인 수축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몰딩 허용 오차가 미리 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구속 요소는 덮개의 변위 정밀도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추가적인 안내 요소로서 이해될 수도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구속요소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 중 한 개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 중 다른 한 개를 향해 분리된다. 도면(특히, 도 11 내지 도 14, 도 18 및 도 20을 참고할 때)에 도시된 선호되는 경우에 의하면, 도면부호 21e로 표시된 구속요소가 상기 덮개 몸체(21) 및 특히 벽(21a)의 내측부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를 향해 특히 벽(11a)을 향해 분리되고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 몸체(21)의 벽(21b)의 내측부를 향하고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b)의 내측부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의 표면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 요소(21e)는, 일반적으로 상기 벽(21b,21c)들과 평행한 것이 선호되고 상기 벽들 중 한 개와 상대적으로 가까운(따라서 벽(21b)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덮개 몸체(21)의 또 다른 부분 또는 벽으로 구성된다. 상기 추가적인 벽(21e)이 도 11 및 도 12에 명확하게 도시된다. 아래에 설명되는 것처럼, 상기 구속 요소의 기능이 불연속적인 벽들, 국소적인 양각구조, 돌출구조의 핀들 등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면,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구속 요소는 반드시 도시된 선호되는 경우와 같이 연속적인 벽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도 20에서 알 수 있듯이, 덮개 몸체(21)의 벽(21e)은 벽(21b) 및 벽(21a)의 일부분과 함께 일종의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세 개의 측부들 및 특히 외측부, 상측부 및 내측부에서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b)을 둘러싸거나 붙잡는다(embrace). 일종의 레일(rail)을 형성하는 벽(11b)이 상기 하우징내에 연결된다. 상기 핀(41)들이 해당 그루브(31)와 연결된다는 사실과 함께 상기 배열에 의하면, 아래에 설명하는 것처럼, 심지어 재료가 이례적으로 수축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20)의 운동이 매우 정밀하게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열에 의해 해당 그루브(31,32)내에서 핀(41,42)들이 미끄럼 방향(X)에 대해 횡 방향으로 과도하게 횡 방향 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운동하는 동안 상기 덮개(20)의 횡 방향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벽(21e)에 의해 상기 핀(41,42)들은 상기 횡 방향을 따라 해당 그루브(31,32)들로부터 횡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21을 참고할 때, 몰딩하는 동안 열가소성 재료가 이례적으로 수축하지 않고 어떠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때, 최적 치수를 가진 즉, 해당 재료가 미리 정해진 수축 또는 예상된 수축을 가지며 상기 덮개 몸체(21)가 몰딩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을 따르는 디스펜서(10)가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구속요소(21e)가 제공되는 방법에 의하면, 공지된 기술과 비교하여 제품 허용오차(tolerance)를 증가시킬 수 있고 즉 설계 단계에서 미끄럼 안내부(31-41, 32- 42)들을 지지하는 벽들사이에서 이격 거리 또는 간극을 증가시키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사이에서 조립작업 후에 상기 디스펜서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이격거리 또는 간극을 증가시키는 작업이 제거되는 장점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21 및 종래기술의 디스펜서에 해당하는 도 1과 도 2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설계단계에서 상대적으로 큰 허용오차를 제공하고 즉, 상기 덮개 몸체(21)가 모든 경우에서 상기 구속 요소(21e)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양호하게 안내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상기 미끄럼 안내부(31-41, 32- 42)들이 연결되는 상기 벽들의 측부들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이격 거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2는 상기 덮개 몸체(21)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재료의 과도한 수축에 따른 이례적인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단지 핀(42)들은 각각 안내 그루브(32)내에 느슨한 상태로 있고, 상기 덮개 몸체(21)는 상기 구속 벽(21e)에 의해 마주보는 측부들상에서 고정되고 양호하게 안내될 수 있다. 대신에 도 23은 상기 열가소성 재료가 불충분하게 수축하는 이례적인 상태를 도시한다. 설계 단계에서 허용된 상대적으로 큰 허용 오차 또는 벽들사이에 형성되는 상대적으로 큰 이격거리에 의해, 모든 경우에서, 상기 덮개 몸체(21)의 벽(21b,21c)들과 핀(41,42)들은 어떤 경우에도 상기 안내 그루브(31,32)내에 가압되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b)에 대해 가압된다.
상기 특징이 가지는 장점을 이해하기 위해, 상기 덮개 몸체(21)의 전체 폭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증가된 수축 및/또는 변형에 비하여, 상기 벽(21b) 및 구속 벽(21e)사이에 포함되는 제한 영역에서 열가소성 재료의 수축 및/또는 변형은 감소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약 2%의 수축이 예상되는 재료로 제조된 덮개 몸체(21) 및 디스펜서 몸체(11)이 고려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실제로 다양한 요인들 때문에 수축 및/또는 구조적 변형 백분율의 이례적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비정상을 고려할 때 상기 디스펜서 몸체 및 덮개 몸체에 대하여 ±0.5% 내지 ±1%에 이르는 치수 허용오차가 구해질 수 있다. ±1%의 변화를 고려할 때, +1%의 허용오차(낮은 수축)를 가진 덮개 몸체(21) 및 -1%의 허용오차(상대적으로 큰 수축)를 가진 디스펜서 몸체를 가진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가 발생하여, 경우에 따라 상기 덮개의 막힘 또는 이탈을 야기할 수 있는 허용오차의 조합으로 주어지는 두 개의 해당 몸체들사이의 결합 허용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덮개 몸체(2)내에서 예를 들어 상기 벽(2b,2c)들의 내측부(도 1) 및 외측부(도 2)는 서로로부터 80mm에 있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3)내에서 상기 벽(3b,3c)들의 외측부(도 1) 및 내측부(도 2)는 상기 80mm보다 약간 더 큰 예를 들어, 80.5mm의 거리에 있다.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이격 거리(clearance)가 형성되고 2%의 총 허용오차를 고려할 때, 상기 덮개 몸체(2)는 약 1.6mm의 치수 변화를 가지며, (상기 덮개 몸체의 벽(2b,2c)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거리에 있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의 벽(3b,3c)들이 상대적으로 더 작은 거리에 있는) 어떤 경우에서 상기 치수 변화는 상기 덮개 몸체의 막힘을 발생시키고, (상기 덮개 몸체의 벽(2b,2c)들이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에 있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의 벽(3b,3c)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거리에 있는) 반대의 경우에서 상기 치수변화는 운동 행정(stroke) 과정동안 상기 덮개의 횡 방향 이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계단계의 모든 경우에서 상기 덮개의 미끄럼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속 요소(21e)가 존재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상기 미끄럼 안내부(31-41 및 32-42)들을 형성하는 상기 벽들의 측부들사이에 상대적으로 큰 제조 허용 오차 즉, 상대적으로 큰 이격 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벽(21b) 및 구속 벽(21e)사이에 포함된 덮개 몸체(21)의 일부분을 고려한다. 상기 덮개를 안내하는 두 개의 벽들사이에는 설계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적정한 거리 예를 들어, 약 3.3mm가 형성될 수 있고, 그 사이에 배열된 벽(11b)의 두께는 3mm( 0.3mm의 상대적인 거리 또는 이격 거리)를 가진다.
3.3mm의 상기 거리는 상기 덮개 몸체가 가지는 전체 폭(80mm의 공칭길이)의 약 1/24이며, 따라서 2%의 변화는 두 개의 해당 벽(21b,21e)들사이의 거리에서 단지 0.066mm의 치수 변화에 해당할 수 있다. 유사한 고려사항이 3mm인 상기 벽(11b)의 두께에 적용될 수 있고, 2%의 변화는 단지 0.06mm의 두께 치수변화에 해당할 수 있다. 비록 감소되었지만 상기 덮개 몸체(21)의 벽(21e,21b)들 및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b)사이에 0.3mm의 거리 또는 간격을 고려할 때, 0.066mm 및 0.06mm의 최대 치수 변화 또는 허용 오차가 총 0.126mm에 대해 추가되는 최악의 경우에서도, 상기 덮개의 미끄럼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0.174mm의 벽들사이의 거리 또는 이격 거리가 구해질 것이다.
비록 공지된 치수변화가 전체 덮개 몸체내에 존재하더라도, 제안된 방법은 모든 경우에서 상기 덮개(20)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하는 영역에서 치수변화의 감소를 보장하여 상기 덮개 자체의 운동에 역효과를 주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하여, 설계 단계에서 상기 벽(11b,21b, 11c,21c)들이 가지는 측부들사이에는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훨씬 더 큰 거리가 형성될 수 있어서, 관련 부품들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재료가 수축되는 가장 불리한 상태에서도 막히거나 이례적으로 횡 방향으로 운동하는 모든 위험이 방지된다.
상기 벽(11b)의 외측부 및 상기 벽(21b)의 내측부사이에 한 개의 미끄럼 안내부(31-41)가 제공되고 상기 벽(11c)의 내측부 및 상기 벽(21c)사이에 다른 한 개의 미끄럼 안내부(32-42)가 제공되는 방법이 이용될 때, (상기 벽(21b,21c)들이 상대적으로 큰 거리를 가지고 상기 벽(11b,11c)들이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가지거나 상기 벽(21b,21c)들이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가지고 상기 벽(11b,11c)들이 상대적으로 큰 거리를 가지는) 가장 불리한 몰딩 상태에서도 막힘 또는 이탈이 방지된다는 점에서, 설계 허용오차가 추가로 증가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펜서의 적어도 일부의 부분들을 몰딩을 수행 및/또는 몰드 생산의 단순화와 관련한 장점을 가진다. 본 출원의 서두에서 소개된 종래기술의 방법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몰드의 해당 부분들 및 몰드의 이용을 암시한다. 이것은 특히, 종래기술의 방법에서 덮개를 위한 미끄럼 안내부들에 속하는 그루브들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어야 하는 캐리지(carriages)들에 의해 이동해야 하는 몰드의 소위 "슬라이드(slides)"과 관련된다. 종래기술의 방법에서, 상기 그루브들은 디스펜서 몸체의 마주보는 벽들이 가지는 외측부(문헌 제US5884821A호) 또는 내측부(문헌 제DE102005004098호)에 형성된 언더컷(undercut)내에 구성되어야 하는 것을 고려할 때, 해당 몰딩 설비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해당 캐리지들에 의해 이동하는 두 개의 슬라이드들을 이용해야 하고, 상기 슬라이드들은 특성상 복잡하며 언더컷의 값은 상대적으로 작게 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그루브(31,32)들이 한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슬라이드 및/또는 해당 캐리지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대적으로 단순해진다.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그루브(31,32)를 형성하는 단일 슬라이드를 이용할 수도 있어서 해당 캐리지를 가진 몰드의 단지 한 개의 부분이 이동하게 된다.
도 24 내지 도 28은, 이전의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목적, 예를 들어, 덮개를 더욱 양호하게 안내 및/또는 과도한 횡 방향 이탈 또는 운동을 방지 또는 디스펜서의 용이한 설계 및/또는 생산 및 열가소성 재료의 서로 다른 수축에 따른 비정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해 구체적으로 상기 구속요소의 배열과 관련한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구속요소를 제공하는 벽(21e)의 표면, 여기서 상기 벽의 내부 표면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벽(11c)의 외측부를 향하도록 상기 벽(21e)은 상기 덮개 몸체(21)내에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 벽(21e)은 상기 덮개 몸체(21)의 측부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 실시예는 (도 24에서 볼 때 좌측에 위치한) 벽(21e)을 따라 앞서 설명한 커버(15)와 같은 장애 요소들이 제공되거나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내에서 상기 구속 요소(21e)가 미끄럼 운동하기 위한 시트(seat)가 제공되는 것을 암시한다.
도 25는, 여기서 벽(11e)으로 대표되는 구속 요소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내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로부터 상기 덮개 몸체(21)를 따라 상승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서처럼, 상기 벽(11e)은 상기 덮개 몸체(21)의 벽(21b)의 외측부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의 표면 또는 측부 여기서 내측부를 가진다.
도 26에서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e)으로 대표되는 구속 요소가 도 25의 경우와 반대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 몸체(21)에 덮여지는 영역(즉 상기 벽(21b,21c)들에 대해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외측부는 상기 덮개 몸체(21)의 벽(21c)의 내측부를 향한다.
도 27에 도시되고 본 발명을 따르는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사에 제공된 미끄럼 안내부들은 적어도 한 개의 제3 안내 요소를 포함하고, 적어도 한 개의 제3 안내되는 요소가 상기 제3 안내 요소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핀(41,42)들과 동일한 형태를 가진 한 개 또는 두 개의 핀(43)들을 포함한 상기 제3 안내되는 요소는 상기 구속 벽(21e)의 외측부에 위치하고 즉,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벽(11b)의 내측부를 향하는 측부에 위치하고, 예를 들어, 안내 그루브(31,32)들과 동일한 형태를 가진 한 개 또는 두 개의 안내 그루브(33)들로서 대표되는 제3 안내 요소가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덮개 구조는 비록 디스펜서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거리 또는 미리 정해진 허용 오차를 가지더라도 도 2에 도시된 공지된 구조와 유사하게 제공되며, 덮개(2) 상의 구속 벽은 사실상 상기 벽(2a,2b)에 대해 외측부에 위치하고 즉 상기 덮개 몸체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속 벽의 내측부는 상기 벽(3a,3b)의 외측부를 향하며(따라서, 도 27의 구조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구속 벽의 내측부와 관련한 안내되는 요소를 위해 제3 안내 그루브는 상기 벽(3a,3b)의 외측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본 발명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상기 구속 벽이 추가되어 상기 독일 종래기술 문헌에 따른 방법의 개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덮개의 측벽(21b,21c)들은 각각 각각의 벽(11b,11c)의 외측부를 향하는 내측부를 가지고, 구속 벽(21e)이 상기 두 개의 벽(21b,21c)들에 대해 중간 영역에 위치하며, 구속 벽의 외측은 상기 벽(11b)의 내측부를 향한다. 이 경우, 상기 벽(21e)은 외측부에서 제3 안내되는 요소(43)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3 안내되는 요소는 상기 벽(11b)의 내측부에 제공된 해당 안내 그루브(33)내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조는 상기 본 발명의 장점을 달성할 수 있는 추가의 구속 또는 중간- 안내부 벽을 추가하여 앞서 설명한 미국 종래기술 문헌에 따른 방법(도 1을 참고)을 개선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덮개 몸체 및 상기 디스펜서 몸체위에 상기 구속 벽 및/또는 미끄럼 안내부들을 대표적으로 제시된 것들에 대하여 위치설정을 조합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고, 이러한 조합들 중 일부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되며 이러한 조합들 중에는 상기 덮개(20)위에 적어도 한 개의 구속 벽을 가지고 상기 디스펜서(10)의 몸체위에 적어도 한 개의 구속 벽을 가지는 장치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속 요소(21e,11e)들은 반드시 상기 몸체(21,11)들의 연속적인 부분들 또는 벽들에 의해 구성될 필요는 없고, 구속요소들은 중간의 중단부분들을 가지는 벽들로 구성되거나 예를 들어, 핀 또는 돌출부와 같은 형태를 가진 한 개이상의 국소 요소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41,42)들을 지지하는 벽(21b,21c)들은 불연속적인 벽들일 수 있고, 각각 해당 핀(41,42)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개별 벽 부분들이 서로 떨어져 설치된다. 상기 핀 또는 안내부들을 지지하는 상기 벽들 및/또는 구속요소에 관한 상기 구조는, (세척제 분말의 입자들 또는 오염 잔류물과 같은) 이물질들이 포착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고 특히 상기 이물질들의 방출을 위한 개방 또는 적절한 중단을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예로서 설명된 디스펜서와 관련된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다수의 변형예들이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발명의 보호범위내에서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본 발명은, (그루브(31,32)들과 같은) 상기 덮개(20)의 미끄럼 안내부들의 부분들 및/또는 (벽(21e)과 같은) 적어도 한 개의 구속 요소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와 같은) 디스펜서(10)의 정지된 몸체 또는 상기 덮개 몸체(21)위에 제공되는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되었다. 설명되지 않은 가능한 변형예들에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작동하는 적어도 한 개의 구속 요소 및/또는 상기 안내부의 적어도 일부분(그루브 또는 핀들)이 상기 디스펜서의 정지된 몸체 및 덮개사이에 설정된 한 개이상의 부재들 예를 들어, 크랭크 요소와 같이 상기 정지된 몸체에 관절연결되고 이동가능한 전달 또는 연결 요소들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설명 및 청구범위의 여러 부분들에서 제시되는 "디스펜서 몸체"의 정의에서, 예를 들어, 상기 정지된 부분에 대해 덮개 자체의 운동을 구속하거나 안내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의 정지된 부분 및 덮개사이에 설정되어 작동하는 이동식 또는 고정식 요소들이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디스펜서 몸체,
12.....리셉터클,
20.....덮개,
21.....덮개 몸체,
11b,21b,11b,21e..... 제1 벽
11c,21c,11c,21e..... 제2 벽
31.....제1 안내 요소,
41.....제1 안내되는 요소.

Claims (15)

  1.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 디스펜서로서, 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리셉터클(12)을 가진 디스펜서 몸체(11), 상기 리셉터클(12)의 밀폐위치 및 개방 위치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에 대해 안내되도록 장착된 덮개 몸체(21)를 가진 적어도 한 개의 덮개(20) 및,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사이에 위치한 미끄럼 안내부(31+41,32+42)들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 및 제2 벽(11c)은 서로에 대해 마주보게 위치하고,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21e) 및 제2 벽(21c,21e)은 서로에 대해 마주보게 위치하며, 서로를 향하는 상기 제1 벽(11b,21b,11b,21e)들의 측부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제2 벽(11c,21c,11c,21e)들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과 평행하며,
    상기 미끄럼 안내부(31+41,32+42)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제1 안내 요소(31) 및 제1 안내되는 요소(41)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2 벽(11c)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2 벽(21c)이 가지는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상기 제1 안내 요소(31) 및 상기 제1 안내되는 요소(41)에 대해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2 안내 요소(32) 및 제2 안내되는 요소(42)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안내되는 요소(41) 및 상기 제2 안내되는 요소(42)는 상기 제1 안내 요소(31) 및 상기 제2 안내 요소(32)와 각각 미끄럼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세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 중 적어도 한 개는, 상기 제1 벽(11b,21b) 및 상기 제2 벽(11c,21c)에 대해 추가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속요소(11e,21e)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요소는 상기 미끄럼 안내부(31+41, 32+42)에 의해 형성되는 덮개(20)의 미끄럼 운동 방향(X)에 대해 횡 방향인 방향으로 상기 안내 요소(31,32)들에 대한 상기 안내되는 요소(41,42)의 이동을 한정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11b,21b)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의 외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의 내측부이며,
    상기 제2 벽(11c,21c)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2 벽(11c)의 내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2 벽(21c)의 외측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요소(11e,21e)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 중 한 개로부터 상기 덮개 몸체(21) 및 디스펜서 몸체(11) 중 다른 한 개를 향해 분리되고,
    상기 구속 요소(21e)는 상기 덮개 몸체(21)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의 내측부 및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2 벽(11c)의 외측부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의 표면을 가지며,
    상기 구속 요소(11e)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의 외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2 벽(21c)의 내측부를 향하는 적어도 한 개의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요소(11e,21e)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의 제1 벽(11b,21b) 및 제2 벽(11c,21c)들 중 적어도 한 개와 평행한 덮개 몸체(21) 및 디스펜서 몸체(11)의 또 다른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요소(21e)는 상기 덮개 몸체(2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 또는 제2 벽(21c)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 또는 제2 벽(21c)에 대해 횡 방향으로 배열되고 인접한 덮개 몸체(21)의 상측 벽 부분(21a)과 함께 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세 개의 측부들에서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 제2 벽(11c)을 둘러싸고,
    상기 구속 요소(11e)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 또는 제2 벽(11c) 및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 또는 제2 벽(11c)에 대해 횡 방향으로 배열되고 인접한 디스펜서 몸체(11)의 상측 벽 부분(11a)과 함께 하우징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세 개의 측부들에서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 제2 벽(21c)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안내부는 적어도 한 개의 제3 안내되는 요소(43)가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3 안내 요소(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안내요소(33) 및 상기 제3 안내되는 요소(43)는,
    상기 구속 요소(11e,21e)와 관련되는 제3 안내 요소(33) 또는 제3 안내되는 요소(43),
    상기 덮개 몸체(21)로부터 분리되고 제3 안내 요소(33)가 제공된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의 내측부를 향하는 구속요소(21e)의 표면에 위치한 제3 안내되는 요소(43),
    상기 덮개 몸체(21)로부터 분리되고 제3 안내 요소(33)가 제공된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의 외측부를 향하는 구속요소(21e)의 표면에 위치한 제3 안내되는 요소(43),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로부터 분리되고 제3 안내되는 요소(43)가 제공된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의 외측부를 향하는 구속요소(11e)의 표면에 위치한 제3 안내 요소(33),
    상기 디스펜서 몸체(11)로부터 분리되고 제3 안내되는 요소(43)가 제공된 덮개 몸체(21)의 제2 벽(21c)의 내측부를 향하는 구속요소(11e)의 표면에 위치한 제3 안내 요소(33) 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안내 요소 또는 각각의 안내요소는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해당 벽(11b,11c)의 해당 측부에 형성되고 돌출구조를 가진 미끄럼 요소(41,42;41,42,43) 및 종 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31,32; 31,32,33) 중 한 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한 개의 안내되는 요소 또는 각각의 안내되는 요소는 상기 덮개 몸체(21)의 해당 벽(21b,21c)의 해당 측부에 형성되고 종 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31,32; 31,32,33) 및 양각구조의 미끄럼 요소(41,42; 41,42,43) 중 다른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안내 요소 또는 각각의 안내요소는 두 개의 종 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31,32; 31,32,33) 및 두 개의 돌출구조를 가진 미끄럼 요소(41,42;41,42,43) 중 한 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한 개의 안내되는 요소 또는 각각의 안내되는 요소는 두 개의 돌출구조를 가진 미끄럼 요소(41,42;41,42,43)들 중 한 개와 두 개의 종 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31,32; 31,32,33)들 중에서 다른 한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의 그루브(31,32; 31,32,33) 또는 각각의 그루브는, 동일한 그루브의 주요 부분(31b)이 연장되는 높이와 상이한 높이에서 연장되는 그루브 부분(31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몸체(21)의 하부 면(21a)에 가스켓(50)이 장착되고,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구속 요소(11e,21e)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 또는 제2 벽(21c)사이에 포함된 상기 하부 면(21a)의 영역에 장착되거나
    상기 덮개(20)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밀폐 위치로 이동하는 최종 단계 동안 상기 가스켓(50)이 상기 리셉터클(12)의 상측 변부(12a)와 접촉하도록 상기 미끄럼 안내부(31+41, 32+42; 31+41, 32+42; 33+43)들이 구성되거나
    상기 가스켓(50)은 상기 밀폐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상기 덮개(20)의 적어도 한 개의 행정 종료 감쇄 요소(51,51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11b,21b)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의 외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의 내측부이고,
    상기 제2 벽(11c,21e)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2 벽(11c)의 외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2 벽(21e)의 내측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11e,21b)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의 내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의 외측부이고,
    상기 제2 벽(11c,21e)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2 벽(11c)의 내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2 벽(21e)의 외측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14.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 디스펜서로서, 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리셉터클(12)을 가진 디스펜서 몸체(11), 상기 리셉터클(12)의 밀폐위치 및 개방 위치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에 대해 안내되도록 장착된 덮개 몸체(21)를 가진 적어도 한 개의 덮개(20) 및,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사이에 위치한 미끄럼 안내부(31+41,32+42)들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 및 제2 벽(11c)은 서로에 대해 마주보게 위치하고,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21e)은 서로에 대해 마주보게 위치하며, 서로를 향하는 상기 제1 벽(11b,21b,11b,21e)들의 측부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제2 벽(11c,21c,11c,21e)들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과 평행하며,
    상기 미끄럼 안내부(31+41,32+42)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제1 안내 요소(31) 및 제1 안내되는 요소(41)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2 벽(11c)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2 벽(21c)이 가지는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에서 상기 제1 안내 요소(31) 및 상기 제1 안내되는 요소(41)에 대해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2 안내 요소(32) 및 제2 안내되는 요소(42)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안내되는 요소(41) 및 상기 제2 안내되는 요소(42)는 상기 제1 안내 요소(31) 및 상기 제2 안내 요소(32)와 각각 미끄럼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세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제1 벽(11b,21b)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1 벽(11b)의 외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1 벽(21b)의 내측부이며,
    상기 제2 벽(11c,21c)의 서로를 향하는 측부들은 상기 디스펜서 몸체(11)의 제2 벽(11c)의 내측부 및 상기 덮개 몸체(21)의 제2 벽(21c)의 외측부이고,
    상기 디스펜서 몸체(11) 및 덮개 몸체(21) 중 적어도 한 개는, 상기 제1 벽(11b,21b) 및 상기 제2 벽(11c,21c)에 대해 추가되는 적어도 한 개의 구속요소(11e,21e)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요소는 상기 제1 및 제2 안내되는 요소(41,42)가 상기 미끄럼 안내부(31+41, 32+42)에 의해 형성되는 덮개(20)의 미끄럼 운동 방향(X)에 대해 횡 방향인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안내 요소(31, 32)로부터 측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디스펜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세제 디스펜서를 포함한 세척을 위한 가전기계.
KR1020167003025A 2013-07-04 2014-07-03 가정용 세척기계 특히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 디스펜서 KR101969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562A ITTO20130562A1 (it) 2013-07-04 2013-07-04 Dispensatore di agenti di lavaggio per macchine di lavaggio domestiche, particolarmente lavastoviglie
ITTO2013A000562 2013-07-04
PCT/IB2014/062827 WO2015001511A1 (en) 2013-07-04 2014-07-03 Washing-agent dispenser for household washing machines, in particular dishwash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552A KR20160040552A (ko) 2016-04-14
KR101969205B1 true KR101969205B1 (ko) 2019-08-13

Family

ID=4903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025A KR101969205B1 (ko) 2013-07-04 2014-07-03 가정용 세척기계 특히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55848B2 (ko)
EP (1) EP3016570B1 (ko)
KR (1) KR101969205B1 (ko)
CN (1) CN105813535B (ko)
ES (1) ES2656193T3 (ko)
IT (1) ITTO20130562A1 (ko)
PL (1) PL3016570T3 (ko)
WO (1) WO2015001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76983B1 (en) * 2014-07-24 2022-05-11 Whirlpool EMEA S.p.A. A substance dispenser for dishwashers
EP3960062A1 (en) 2015-06-18 2022-03-02 Eltek S.p.A. Washing agent dispenser for household washing machines, in particular dishwashers
US10034596B2 (en) 2015-12-29 2018-07-3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a dispenser having a soft close
IT201600121779A1 (it) 2016-12-01 2018-06-01 Elbi Int Spa Erogatore di agente di lavaggio per una macchina lavatrice, in particolare una lavastoviglie.
US10660500B2 (en) * 2016-12-15 2020-05-26 Illinois Tool Works Inc.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with reduced noise
DE102016125843A1 (de) * 2016-12-29 2018-07-05 Sanhua Aweco Appliance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Abgabe von Reinigungsmitteln
CN207220778U (zh) * 2017-01-24 2018-04-13 李明龙 一种滑盖式水槽洗碗机
IT201700051959A1 (it) * 2017-05-12 2018-11-12 Eltek Spa Dispensatore di agenti di lavaggio per macchine di lavaggio domestiche, particolarmente lavastoviglie
DE102017114794A1 (de) * 2017-07-03 2019-01-03 Sanhua Aweco Appliance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Abgabe von Reinigungsmittel
PL423109A1 (pl) * 2017-10-09 2019-04-23 Bitron Polan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Urządzenie dozujące środek myjący, w szczególności do zmywarki do naczyń
PL234975B1 (pl) * 2017-10-09 2020-05-18 Bitron Polan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Urządzenie dozujące środek myjący, w szczególności do zmywarki do naczyń
WO2019101165A1 (zh) * 2017-11-23 2019-05-31 三花亚威科电器设备(芜湖)有限公司 洗涤剂分配器
CN109825986A (zh) * 2017-11-23 2019-05-31 三花亚威科电器设备(芜湖)有限公司 洗涤剂分配器
KR20200000088U (ko) * 2018-07-02 2020-01-13 경수 예 식기세척기 세제 분배기
KR20200000474U (ko) 2018-08-21 2020-03-03 경수 예 식기세척기의 세제투입장치
KR20200001120U (ko) 2018-11-22 2020-06-01 경수 예 2단 힌지식 식기세척기 디스펜서
WO2021004159A1 (zh) * 2019-07-05 2021-01-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分配器及洗涤电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0139B2 (ja) * 1989-06-01 1997-06-11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100443459B1 (ko) * 1995-12-21 2004-10-02 보쉬-지멘스 하우스게레테 게엠바하 식기세척기용세제첨가장치
CN1656996B (zh) * 2004-01-29 2010-07-28 埃尔比国际有限公司 分配清洗剂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11103A1 (it) * 2001-11-26 2003-05-26 Eltek Spa Dispositivo dispensatore,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lavastoviglie.
ITTO20040529A1 (it) * 2004-07-29 2004-10-29 Eltek Spa Dispositivo dispensatore di agenti di lavaggio per macchine lavastoviglie.
DE102006043973A1 (de) * 2006-09-19 2008-03-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Reinigungsmitteldosiersystem
GB0710231D0 (en) * 2007-05-30 2007-07-11 Reckitt Benckiser Nv Refill device for multi-dosing detergent delivery device
US8206512B2 (en) * 2009-08-10 2012-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and manual detergent type identification to select a wash algorithm based on detergent ty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0139B2 (ja) * 1989-06-01 1997-06-11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100443459B1 (ko) * 1995-12-21 2004-10-02 보쉬-지멘스 하우스게레테 게엠바하 식기세척기용세제첨가장치
CN1656996B (zh) * 2004-01-29 2010-07-28 埃尔比国际有限公司 分配清洗剂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1511A1 (en) 2015-01-08
CN105813535B (zh) 2018-11-06
CN105813535A (zh) 2016-07-27
EP3016570A1 (en) 2016-05-11
ES2656193T3 (es) 2018-02-26
US20160192820A1 (en) 2016-07-07
EP3016570B1 (en) 2017-10-25
US9955848B2 (en) 2018-05-01
ITTO20130562A1 (it) 2015-01-05
KR20160040552A (ko) 2016-04-14
PL3016570T3 (pl)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205B1 (ko) 가정용 세척기계 특히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제 디스펜서
KR102612670B1 (ko) 가정용 세탁기 특히 식기 세척기를 위한 세척제 디스펜서
WO2011155493A1 (ja) 射出成形による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装置
KR101339032B1 (ko) 금형 내 구조적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를 갖는 이중사출금형
EP2570250A1 (en) Injection molding die device for producing cabinet of thi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abinet of thin display device
KR100899232B1 (ko) 밀폐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460255Y1 (ko) 소형 제품 언더컷 처리용 금형장치
JP4806043B2 (ja) 射出成形金型
CN110913742B (zh) 用于用来洗涤的家用机器尤其是洗碗机的洗涤剂分配器
KR102131208B1 (ko)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KR101813677B1 (ko) 사출 성형 장치
KR101568701B1 (ko) R2k 사출 금형 및 방법
WO2017149936A1 (ja) 樹脂成型品、成形装置、成形方法及び金型
KR101327745B1 (ko) 협소공간에 설치 가능한 부품 단순화 언더컷 처리 금형
KR101193420B1 (ko) 공간부에 리브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
KR100582818B1 (ko) 이중 각도의 언더컷 빼기용 슬라이드코어 구조
KR200474586Y1 (ko) 금형의 가스 배출 장치
KR20090023323A (ko) 밀폐케이스 제조용 금형장치
JP5777396B2 (ja) インサート成形方法
CN107685417B (zh) 用于生产多个不同注塑成型品的注塑成型机
KR101171081B1 (ko) 금형용 슬라이드
JP4226991B2 (ja) 化粧料容器の成形方法
JP6270577B2 (ja) 成形金型
JP2014233870A (ja) 容器の製造方法、及び、容器製造に使用される金型装置
KR100710457B1 (ko) 슬러리 성형장치와 그에 마련되는 개폐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