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450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450B1
KR101965450B1 KR1020120092757A KR20120092757A KR101965450B1 KR 101965450 B1 KR101965450 B1 KR 101965450B1 KR 1020120092757 A KR1020120092757 A KR 1020120092757A KR 20120092757 A KR20120092757 A KR 20120092757A KR 101965450 B1 KR101965450 B1 KR 101965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air
condenser
dustproof cas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140A (ko
Inventor
미쯔루 다께나까
요시히로 다까야마
도시오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37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640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7747A external-priority patent/JP601634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3002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라디에이터의 냉각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콘덴서의 냉각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캐빈 내에서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적고 쾌적한 상태에서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방진 케이스(13)의 내부에서 라디에이터(52)의 외측의 상부에 병렬되는 위치에 콘덴서(55)를 배치하고, 이 콘덴서(55)와 라디에이터(52) 사이에 전동 팬(56)을 구비하였다. 이 전동 팬(56)은, 콘덴서(55)를 통과하는 송풍을 행함으로써, 방진 케이스(13)의 방진망(14)에 부착된 짚 등의 진애를 제거한다.
운전부(311)를 덮는 캐빈(312)의 천장부(348)의 전방부에 공조 장치(352)가 구비되고, 공조 장치(352)로부터 출력되어 덕트(354)를 통해 공급되는 급기를 캐빈(312) 내에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355, 356)가, 천장부(348)에 있어서의 전방부측 개소 및 횡측 개소에 형성되고, 전방부측 개소에 형성되는 전방부측 분출구(355)가, 공조 장치(352)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機體)에 구비한 엔진의 기체 외측에 라디에이터 팬과 라디에이터를 배치하고, 이 라디에이터에 냉각풍을 공급하는 방진 케이스의 방진망을 상기 라디에이터의 기체 외측 위치에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의 천장부의 전방부에 공조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급기를 상기 캐빈 내에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가, 상기 천장부에 있어서의 전방부측 개소 및 횡측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방진 케이스(문헌에서는, 엔진 커버)에 방진망(문헌에서는, 제진 커버)을 구비하고, 방진 케이스의 내부에 콘덴서와, 오일 쿨러와, 전동 팬이 배치되고, 또한 기체 중앙측에 라디에이터와 흡인 팬과 엔진을 배치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콘덴서와, 오일 쿨러와, 라디에이터는 측면에서 볼 때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동 팬은 콘덴서와 오일 쿨러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흡인 팬의 흡인력에 의해 방진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흡인한 공기를, 콘덴서, 오일 쿨러, 라디에이터 각각를 순차 통과시키는 형태로 각각의 냉각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콤바인에서는 제1 타이머의 시간이 경과하면 흡인 팬을 정지시키고, 전동 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오일 쿨러, 콘덴서의 순으로 공기를 기체 외측으로 송출하여 방진용 커버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제어가 행해진다.
종래의 콤바인에서는, 캐빈의 천장부에 있어서의 전방부측 개소에 형성되는 급기의 분출구가, 기체 횡폭 방향 중앙부 부근에 위치하여 후방부 하방을 향해 급기를 배출시키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22332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66865호 공보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에서는, 공조를 위한 에어 컨디셔너의 냉매의 방열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와, 유압계의 작동유의 냉각을 위한 오일 쿨러를 라디에이터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방진망을 통해 흡인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의 냉각 성능을 고려하면, 라디에이터의 열교환면의 전체면을 덮는 위치에 콘덴서를 배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는 않아, 콘덴서의 합리적인 배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디에이터의 냉각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콘덴서의 냉각을 행하는 콤바인을 구성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은, 공조 장치로부터 출력된 급기가 분출구로부터 캐빈 내로 분출됨으로써, 캐빈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하여 양호하게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조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급기로서는, 예를 들어 여름철이라면 외기보다 저온의 공기가 캐빈 내로 분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전방부측 개소에 형성되는 급기의 분출구가, 기체 횡폭 방향 중앙부 부근에 위치하여 후방부 하방을 향해 급기를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게다가 전방부측 개소에 형성되는 급기의 분출구는, 공조 장치보다도 하측 혹은 후방부측에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게 되므로, 그만큼 운전자에게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그 결과,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급기가 운전자를 향해 세차게 분사되는 경우가 있어,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빈 내에서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적고, 쾌적한 상태에서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주행 기체에 구비한 엔진의 기체 외측에 라디에이터 팬과 라디에이터를 배치하고, 이 라디에이터에 냉각풍을 공급하는 방진 케이스의 방진망을 상기 라디에이터의 기체 외측 위치에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방진 케이스의 내부에서, 기체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외측의 상부와 병렬되는 위치에 공조용 콘덴서를 배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라디에이터의 외측의 상부에 기체 폭 방향으로 병렬되도록 콘덴서가 배치되므로, 콘덴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라디에이터의 상부로 보내지게 되어, 이 콘덴서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라디에이터의 열교환면의 전체면으로 보내지는 문제가 억제된다. 또한, 콤바인에서는 공조용 기기가 캐빈 등, 방진 케이스보다 상방 위치에 배치되므로, 공조기와 콘덴서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배관의 치수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의 냉각 성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콘덴서의 냉각을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이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방진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외측이며, 상기 콘덴서의 하측에 오일 쿨러가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콘덴서와 오일 쿨러가 전체적으로 겹쳐지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는 구성에서는, 라디에이터에 공급되는 냉각풍이, 콘덴서와 오일 쿨러를 통과하게 되어 냉각풍의 흐름이 저해되게 되지만, 콘덴서와 오일 쿨러를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콘덴서를 통과한 냉각풍을 직접적으로 라디에이터에 공급하고, 또한 오일 쿨러를 통과한 냉각풍을 직접적으로 라디에이터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냉각풍을 양호하게 흘려 라디에이터의 냉각을 저해시키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라디에이터와 상기 콘덴서 사이에 전동 팬을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전동 팬이 흡기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이라도, 배기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이라도, 콘덴서에 공기를 공급하여 양호한 열교환을 실현한다. 특히, 전동 팬을 배기 방향으로 구동시킨 경우에는 방진 케이스의 방진망에 부착된 짚이나 진애 등을 풍압에 의해 날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방진 케이스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 방진 케이스에 상기 전동 팬이 지지되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방진 케이스를 개방 조작하였을 때에는, 방진 케이스와 함께 전동 팬이 이동하게 되어, 라디에이터의 근방을 크게 개방하여 라디에이터나 전동 팬 등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주행 기체에 구비한 언로더의 작동시에, 상기 방진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를 기체 외측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동 팬을 구동시키는 팬 제어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이것에 따르면, 언로더를 작동시킨 경우에는, 팬 제어 수단이 방진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를 기체 외측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전동 팬을 구동하게 되어, 방진망의 외면에 부착된 짚 등의 진애를 풍압에 의해 날려, 냉각 성능을 높게 유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의 천장부의 전방부에 공조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급기를 상기 캐빈 내로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가, 상기 천장부에 있어서의 전방부측 개소 및 횡측 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전방부측 개소에 형성되는 전방부측 분출구가, 상기 공조 장치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전방부측 분출구가, 공조 장치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공조 장치는, 캐빈의 천장부의 전방부에 구비되어 있고, 게다가, 공조 장치는 대형 장치이므로 기체 횡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을 점유하게 된다. 즉, 공조 장치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전방부측 분출구는, 천장부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단부에 가까운 위치, 바꾸어 말하면, 캐빈의 기체 횡폭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는 운전 좌석으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전방부측 분출구가 공조 장치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므로, 공조 장치의 후방측 개소에 있어서의 덕트 배치용 영역을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좁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그만큼 운전자의 상방측의 내부 공간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공조 장치로부터 출력되고 또한 덕트를 통해 공급되어 전방부측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급기는, 운전자를 향해 분사될 우려가 적은 것으로 되고, 게다가, 운전자의 상방측의 내부 공간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캐빈 내에서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적고 쾌적한 상태에서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공조 장치의 급기 출구로부터 기체 후방을 향해 배출되는 급기를 상기 전방부측 분출구에 공급하는 덕트가, 기체 횡폭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공조 장치의 급기 출구로부터 급기가 기체 후방을 향해 배출되지만, 덕트는, 그 공조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급기를 공조 장치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전방부측 분출구를 향해 공급하는 것이므로, 공조 장치의 급기 출구로부터 급기가 세차게 배출되어, 그 급기 출구 부근에서의 유동 속도가 커도, 그 급기는 덕트의 기체 후방측의 내벽면에서 일단 받아내어져 유속이 저하된 후, 기체 횡폭 방향 외측을 향해 안내되므로, 전방부측 분출구 부근에서는 유동 속도가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전방부측 분출구로부터 배출될 때에는 급기의 유동 속도가 저속으로 되어, 운전자를 향해 급기가 세차게 분사되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상기 덕트가, 상기 급기를 상기 전방부측 분출구에 공급하는 전방측 덕트 부분과, 상기 급기를 상기 횡측 개소에 형성되는 횡측 분출구에 공급하는 후방측 덕트 부분으로 분기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공조 장치의 급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급기가, 덕트에 있어서의 전방측 덕트 부분을 통해 전방부측 분출구에 공급되는 동시에, 덕트에 있어서의 후방측 덕트 부분을 통해 횡측 분출구에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덕트가 전방측 덕트 부분과 후방측 덕트 부분으로 분기 형성되는 것이므로, 전방부측 분출구에 공급하기 위한 전방부측의 전용 덕트와 횡측 분출구에 공급하기 위한 후방부측의 전용 덕트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는 구성에 비해, 설치 공간을 적게 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전방부측 분출구가, 상기 공조 장치의 기체 후방측 단부보다도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공조 장치의 기체 후방측 단부보다도 기체 전방부측이며 또한 공조 장치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개소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전방부측 분출구를 형성할 수 있어, 공조 장치보다도 기체 후방측 개소에 전후 방향으로 폭이 넓은 덕트 배치용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공조 장치보다도 기체 후방측 개소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폭이 넓은 덕트 배치용 공간이 불필요해지는 만큼 운전자의 상방측의 내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 운전자는 넓은 거주 공간에서 한층 더 쾌적한 상태로 수확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콤바인의 전방부의 우측면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4는 캐빈의 횡단 평면도.
도 5는 엔진 보닛과 방진 케이스의 부위의 단면도.
도 6은 방진 케이스의 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방진 케이스와 엔진 보닛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도 8은 개방 조작시의 엔진 보닛 등을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도 9는 하부 스텝의 자세 전환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하부 보조 스텝의 자세 전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전동 팬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회로도.
도 12는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13은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14는 콤바인의 평면도.
도 15는 운전부의 평면도.
도 16은 캐빈 장착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17은 캐빈의 천장부의 일부 절결 평면도.
도 18은 캐빈의 천장부의 일부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Ⅷ-Ⅷ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 기체(2)의 전단부에 예취부(3)를 유압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하는 동시에, 예취부(3)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물대가 공급되는 탈곡 장치(4)와, 이 탈곡 장치(4)로부터 보내지는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5)를 주행 기체(2)의 좌우 위치에 병렬적으로 배치하고, 그레인 탱크(5)에는 곡립을 배출하는 언로더(6)를 구비하고, 주행 기체(2)의 전방부 위치에 작업자가 탑승하는 운전부를 구성하는 캐빈(C)을 구비한 자탈형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자탈형 콤바인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며, 콤바인은 보통형의 것이라도 좋다.
이 콤바인에서는, 캐빈(C)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엔진(E)으로부터 예취부(3)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斷續)하는 예취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와, 엔진으로부터 탈곡 장치(4)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하는 탈곡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탈곡 장치(4)에는, 탈곡 장치(4)의 선별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그레인 탱크(5)에 공급하는 양곡(grain lifting) 장치(7)를 구비하고 있다.
그레인 탱크(5)에는 바닥 스크류(5S)를 구비하고 있다. 언로더(6)는, 바닥 스크류(5S)로부터의 곡립을 상방으로 보내는 세로 반송 오거(6A)와, 곡립을 횡방향으로 보내는 가로 반송 오거(6B)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세로 반송 오거(6A)와 가로 반송 오거(6B)의 내부에는 반송 스크류(6S)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 스크류(5S)와 세로 반송 오거(6A)의 반송 스크류(6S)와 가로 반송 오거(6B)의 반송 스크류(6S)는 연동되어 있고, 엔진(E)으로부터 바닥 스크류(5S)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단속하는 벨트 텐션식 배출 클러치(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콤바인으로 수확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취 클러치와 탈곡 클러치를 온(ON) 조작하여 엔진(E)의 구동력으로 예취부(3)와 탈곡 장치(4)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동하여 주행 기체(2)를 주행시키는 조작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예취부(3)에 의해 곡물대의 밑둥을 절단하여 곡물대의 예취를 행하고, 예취 곡물대를 탈곡 장치(4)로 반송하여 탈곡 처리를 행하고, 이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여, 양곡 장치(7)에 의해 그레인 탱크(5)에 저류하는 작동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그레인 탱크(5)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배출 클러치(8)를 온 조작하여 엔진(E)의 구동력을 그레인 탱크(5)의 바닥 스크류(5S)와 언로더(6)의 반송 스크류(6S)를 구동시킴으로써 그레인 탱크(5)에 저류된 곡립이 언로더(6)의 선단으로부터 송출된다.
〔캐빈 내부〕
캐빈(C)의 내부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주행 기체(2)의 전단부의 전방부 프레임(10)에 지지되는 탑승 스텝(11)이 형성되고, 이 탑승 스텝(11)의 후방 위치에는, 엔진(E)의 상방을 덮도록 좌우 방향과 하방으로 개방되는 구조의 엔진 보닛(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엔진 보닛(12)의 기체 외측 단부 위치에는, 엔진 보닛(12)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상면을 갖는 방진 케이스(13)가 구비되고, 이 방진 케이스(13)의 외면 위치에는 짚 등의 진애의 흡인을 저지하는 방진망(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빈(C)의 내부에는, 엔진 보닛(12)의 상면에 회전 브래킷(15)을 통해 운전 좌석(16)이 지지되고, 이 운전 좌석(16)의 전방의 프론트 패널(FP)에 스티어링 레버(17), 미터(18) 등을 구비하고, 운전 좌석(16)의 측방의 사이드 패널(SP)에는 주 변속 레버(19), 부 변속 레버(20), 배출 클러치 레버(21), 예취 클러치 레버(22), 탈곡 클러치 레버(2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운전 좌석(16)은 시트 베이스(16A)와 시트 백(16B)을 일체 형성한 구성을 갖고 있고, 회전 브래킷(15)은, 종방향 자세의 종축 코어 P를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 가능하게 운전 좌석(16)을 지지한다. 이에 의해 운전 좌석(16)을 종축 코어 P를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시트 백(16B)을 전방을 향하게 하는 자세로 설정할 수 있다.
스티어링 레버(17)는, 비조작 상태에서 중립 자세를 유지하도록 중립 가압 되고,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주행 기체(2)의 조향ㆍ선회를 행하고, 전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예취부(3)의 승강을 행한다. 주변속 레버(19)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연계되어 있고, 주행 기체(2)를 정차시키는 중립 위치와, 이 중립 위치로부터 전방측에 형성되는 전진 변속 영역과, 중립 위치로부터 후방측에 형성되는 후진 변속 영역에 있어서 무단계의 변속을 실현한다.
예취 클러치 레버(22)는, 예취 클러치의 단속 조작을 행하고, 탈곡 클러치 레버(23)는 탈곡 클러치의 단속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고, 예취 클러치 레버(22)와 탈곡 클러치 레버(23)의 조작에 의해 예취 클러치와 탈곡 클러치를 온 조작하여 예취부(3)와 탈곡 장치(4)에 엔진(E)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수확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배출 클러치 레버(21)는 배출 클러치(8)의 단속 조작을 행하는 것이고, 온 위치(도 11의「온」 위치)로 설정됨으로써 배출 클러치(8)를 온 상태로 하여 곡립의 배출을 실현하고, 오프(OFF) 위치(도 11의 「오프」 위치)로 설정됨으로써 배출 클러치(8)를 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캐빈〕
캐빈(C)은, 상부의 루프부(25)와, 전방부의 프론트 글래스(26)와, 후방부의 리어 글래스(27)와, 좌측부의 사이드 글래스(30)를 구비하는 동시에, 우측부에 개폐 가능하게 도어(28)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루프부(25)에는 공조 장치(2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론트 글래스(26)는, 좌우 양단부에 이어지는 종벽 형상의 프론트 사이드 글래스(26A)를 구비하고 있고, 리어 글래스(27)는, 좌우 양단부에 이어지는 종벽 형상의 리어 사이드 글래스(27A)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우측의 프론트 사이드 글래스(26A)와, 우측의 리어 사이드 글래스(27A)와, 폐쇄 자세에 있는 도어(28)는 종방향 자세로 되는 공통의 가상 평면 상에 배치되고, 이 가상 평면 상에 방진 케이스(13)의 기체 외측의 벽면이 배치된다. 또한, 프론트 글래스(26)와, 후방부의 리어 글래스(27)와, 좌측부의 사이드 글래스(30)는 투명 수지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캐빈(C)의 우측부의 전방부에는 루프부(25)로부터 탑승 스텝(11)에 도달하는 길이의 전방부 종프레임(31)을 구비하고, 후방부에는 루프부(25)로부터 방진 케이스(13)의 상부 위치에 도달하는 길이의 후방부 종프레임(32)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전방부 종프레임(31)과 후방부 종프레임(32) 사이의 공간에 도어(28)가 배치되어 있다. 이 도어(28)는 프레임 형상의 도어 프레임(28A)에 글래스판(28B)을 끼워 넣은 구조를 갖고 있고, 이 도어 프레임(28A)의 전방부를 전방부 종프레임(31)에 대해 힌지(33)를 통해 종방향 자세의 힌지 축심 Q를 중심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도어(28)의 후방부 위치에 도어 노브(3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도어 프레임(28A)의 후방부의 하측이 방진 케이스(13)의 외측 테두리를 따르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도어(28)의 외주에는 웨더 스트립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28)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도어 프레임(28A)의 외주의 웨더 스트립이 전방부 종프레임(31)의 내주면과, 후방부 종프레임(32)의 내주면과, 방진 케이스(13)의 상면에 밀착하여 빗물 등의 침입을 저지하고, 도어(28)를 개방한 경우에는 탑승 스텝(11)의 측방을 크게 개방하여 운전자의 승강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방진 케이스(13)의 상방을 노출시킨다.
이 콤바인에서는, 캐빈(C)의 루프부(25)의 후단부 부근에 프리클리너(36)가 구비되고, 이 프리클리너(36)에 지지 기둥 형상의 흡기 파이프(37)를 통해 접속되는 에어 클리너(38)가 운전 좌석(16)의 후방 위치에 배치되고, 이 에어 클리너(38)로부터의 공기를 하부 흡기 호스(39)를 통해 엔진(E)의 흡기계에 공급하는 흡기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보조 스텝〕
탑승 스텝(11)은 전방부 프레임(10)의 상면에 구비되므로, 비교적 높은 위치에 형성되게 되고,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탑승 스텝(11)에 탑승할 때에 발을 올리기 위한 상부 보조 스텝(41)과 하부 보조 스텝(42)이 전방부 프레임(10)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하부 보조 스텝(42)에는 전후 한 쌍의 아암(42A)을 갖고, 이 한 쌍의 아암(42A)이 전후 방향 자세의 요동 지지축(4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부 프레임(10)에 지지됨으로써, 도 9의 (b),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 단부가 측방으로 돌출되는 사용 자세와, 도 9의 (a),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 단부가 상방을 향하는 격납 자세로 전환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캐빈(C)의 도어(28)가 개방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하부 보조 스텝(42)을 사용 자세로 설정하고, 캐빈(C)의 도어(28)가 폐쇄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 하부 보조 스텝(42)을 격납 자세로 설정하는 연동 기구(L)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 기구(L)는, 도어(28)의 개폐시에 힌지 축심 Q와 동 축심에서 회전하는 힌지 축(44)의 회전력을 전후 방향 자세의 축심 주위에서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베벨 기어 기구(45)와, 이 베벨 기어 기구(45)로부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전후 방향 자세의 중간축(46)과, 이 중간축(46)과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중간 아암(47)과, 이 중간 아암(47)의 요동력을 하부 보조 스텝(42)에 전달하는 조작 로드(4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벨 기어 기구(45)는 전방부 프레임(10)의 외측부의 지지 브래킷(40)에 지지되고, 상부 보조 스텝(41)은 전방부 프레임(10)의 외측면에 직접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캐빈(C)의 도어(28)를 개방 자세로 조작한 경우에는, 이 조작에 연계되어 하부 보조 스텝(42)이 사용 자세로 설정되고, 운전자가 용이하게 발을 올려 캐빈 내로의 탑승이나, 캐빈(C)으로부터 지면으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캐빈(C)의 도어(28)가 폐쇄 자세로 조작된 경우에는, 이 조작력을 연동 기구(L)가 하부 보조 스텝(42)에 전달함으로써, 이 하부 보조 스텝(42)이 격납 자세로 설정되어, 하부 보조 스텝(42)이 직립 곡물대나 두렁에 접촉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엔진 보닛의 개폐 구조〕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 프레임(10)의 기체 외측 위치에서, 전후 방향 자세의 개폐 축심 R의 축심 상에 한 쌍의 브래킷(49)이 구비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49)에 대해, 방진 케이스(13)의 기체 외측의 하부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지지 구성에 의해, 엔진 보닛(12)의 상부를 기체 외측으로 인출하는 형태로 엔진 보닛(12)과 방진 케이스(13)와 운전 좌석(16)이 일체적으로 개폐 축심 R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여, 엔진(E)의 상방을 크게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 보닛(12)을 개방할 때에는, 운전 좌석(1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캐빈(C)의 도어(28)가 개방되고, 엔진 보닛(12)을 개방하는 조작시에 운전 좌석(16)의 시트 백(16B)이, 캐빈(C)의 후방부 종프레임(32)에 접촉하지 않도록, 종축 코어 P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켜, 시트 백(16B)을 전방을 향하게 하는 자세로 설정된다.
〔방진 케이스의 내부 구조〕
엔진(E)는, 수랭식 디젤 엔진이 사용되고, 크랭크축을 기체 좌우 방향으로 설정한 자세에서 주행 기체(2)에 대해 고무 등의 방진 마운트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진 케이스(13)는 방진망(14)을 갖는 넓은 흡기면에서 흡인한 냉각풍을, 엔진 보닛(12)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덕트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엔진 보닛(12)의 내부이며 기체 외측 위치에는 엔진(E)의 냉각수가 워터 호스(51)에 의해 급배되는 라디에이터(52)가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52)와 엔진(E) 사이에는 엔진(E)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무단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라디에이터 팬(53)이 배치되고, 라디에이터 팬(53)의 외주를 둘러싸는 위치에 슈라우드(54)가 배치되고, 이 슈라우드(54)는 라디에이터(52)에 지지되어 있다. 라디에이터(52)를 기준으로 하여 기체 외면측의 상부 위치에는, 기체 폭 방향에서 라디에이터의 상부와 병렬되는 콘덴서(55)가 배치되고, 이 콘덴서(55)와 라디에이터(52) 사이에는, 전동 모터(56M)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전동 팬(5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콘덴서(55)의 하방에는, 기체 폭 방향에서 라디에이터(52)의 하부와 병렬되는 오일 쿨러(57)가 배치되고, 이 오일 쿨러(57)는 콘덴서(55)보다 라디에이터(5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55)와 오일 쿨러(57)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대략 동등하고, 측면에서 볼 때 라디에이터(52)의 상측의 대략 절반의 영역에 콘덴서(55)가 병렬되고, 하측의 대략 절반에 오일 쿨러(57)가 병렬되고, 콘덴서(55)의 하부의 일부와, 오일 쿨러(57)의 상부가 측면에서 볼 때 겹쳐지는 위치에 각각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콘덴서(55)의 하방의 공간에 오일 쿨러(57)를 배치함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 콘덴서(55)와 오일 쿨러(57)가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이 배치한 구성에서는, 콘덴서(55)와 오일 쿨러(57)의 기체 외측으로의 돌출량을 작게 하여 방진 케이스(13)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콘덴서(55)는 전술한 공조 장치(29)로부터 공급되는 열매체의 방열을 행하도록 열매체 배관(58)에 의해 공조 장치(29)에 접속되어 있고, 오일 쿨러(57)는 전술한 무단 변속 장치 등에 사용되는 오일의 냉각을 행하도록 오일 배관(59)에 의해 유로계에 접속되어 있다.
콘덴서(55)는 상부 브래킷(55A)에 의해 방진 케이스(13)의 내면에 지지되고, 전동 팬(56)은 콘덴서(55)에 대해 팬 슈라우드(56A)를 통해 지지되는 형태로 방진 케이스(13)의 내면에 지지되고, 오일 쿨러(57)는 하부 브래킷(57A)에 의해 방진 케이스(13)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콘덴서(55)와 전동 팬(56)과 오일 쿨러(57)가 방진 케이스(13)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엔진 보닛(12)이 개폐 축심 R을 중심으로 하여 개방될 때에, 방진 케이스(13)와 일체적으로 외측으로 요동한다. 이 개방을 실현하도록 열매체 배관(58)의 일부와 오일 배관(59)의 일부에 가요성 재료인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오일 쿨러(57)를 라디에이터(52)에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클러치 레버(21)가 「온」 위치로 조작된 것을 검출[배출 클러치 레버(21)가 「오프」 위치에서는 비검출]하는 배출 레버 센서(61)를 구비하고, 이 배출 레버 센서(61)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고, 전동 팬(56)의 전동 모터(56M)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62)(팬 제어 수단의 일례)를 구비하여 제진 제어계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진 제어계에서는, 배출 클러치 레버(21)가 온 위치로 조작된 것을 제어 장치(62)가 판별한 경우에 전동 팬(56)의 전동 모터(56M)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 형태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진 제어계에서는, 바닥 스크류(5S)가 회전한 것을 판별하는 회전 센서 등, 언로더(6)의 작동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에 의해 언로더(6)의 작동을 검출한 경우에, 전동 팬(56)을 구동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라디에이터 팬(53)은, 엔진(E)의 가동시에 항상 냉각풍을 흡인하는 방향으로 회전을 행하도록 작동 방향이 설정되고(도 5를 참조), 전동 팬(56)이 구동되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는, 방진망(14)을 통해 방진 케이스(13)의 내부에 흡인된 상부의 냉각풍이 콘덴서(55)와 전동 팬(56)을 통과하여, 라디에이터(52)의 상부에 공급된다. 또한, 방진 케이스(13)의 내부에 흡인된 하부의 냉각풍은 오일 쿨러(57)를 통과하여, 라디에이터(52)의 하부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콘덴서(55)와 오일 쿨러(57)와 라디에이터(52)에 냉각풍을 공급하여, 이들의 냉각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 클러치 레버(21)가 온 위치로 조작되어, 언로더(6)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이 조작을 배출 레버 센서(61)가 검출하여 제어 장치(62)가 전동 팬(56)을 작동시킴으로써, 라디에이터 팬(53)의 흡기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저항하여, 방진 케이스(13)의 내부의 공기를 기체 외측으로 보내게 된다. 이로 인해, 기체 외측으로 보내지는 공기가 콘덴서(55)를 통과하여, 방진망(14)으로부터 기체 외측으로 송출되게 되어, 방진망(14)의 외면에 부착된 짚 등의 진애를 풍압으로 날려, 방진망(14)의 공기의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또한, 언로더(6)의 작동에 의해 곡립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다량의 진애가 발생하므로, 언로더(6)의 작동시에는 계속해서 전동 팬(56)을 작동시킴으로써, 곡립의 배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진애가 방진망(14)에 부착되는 문제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라디에이터(52)의 외측의 상부에 병렬되어 콘덴서(55)가 배치되므로, 콘덴서(55)에서 가열된 공기가 라디에이터(52)의 냉각면의 전체면에 보내지는 문제를 저지한다. 또한, 공조 장치(29)가 캐빈(C)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이 콘덴서(55)를 라디에이터(52)의 하부에 배치하는 것과 비교하면, 공조 장치(29)와 콘덴서(55) 사이에 배치되는 열매체 배관(58)의 길이의 단축도 실현된다.
또한, 이 콤바인에서는, 오일 쿨러(57)에 대해 오일을 보내는 유압 기기가 주행 기체(2)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예를 들어 오일 쿨러(57)를 라디에이터(52)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과 비교하면, 오일 배관(59)의 길이의 단축도 실현된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a) 라디에이터(52)의 상부에 병렬되는 위치에 전동 팬(56)을 배치하고, 콘덴서(55)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한다. 즉, 캐빈(C)을 구비하지 않는 콤바인을 구성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를 구비함으로써, 방진망(14)에 부착된 짚이나 진애 등을 전동 팬(56)으로부터의 바람으로 날리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b) 전동 팬(56)을 라디에이터(52)의 외면측에 지지하고, 콘덴서(55)만을 방진 케이스(13)에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엔진 보닛(12)과 방진 케이스(13)가 개방 조작된 경우에, 전동 팬(56)과 콘덴서(55)를 크게 이격시켜, 이 전동 팬(56)과 콘덴서(55)의 대향하는 면의 메인터넌스나 점검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c) 전동 팬(56)과 콘덴서(55)를 라디에이터(52)에 지지하고, 오일 쿨러(57)만을 방진 케이스(13)에 구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엔진 보닛(12)과 방진 케이스(13)가 개방 조작된 경우에, 콘덴서(55)의 하측과 오일 쿨러(57)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크게 개방하여 메인터넌스나 점검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d) 전동 팬(56)을 구동하기 위한 인위 조작형의 전용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전용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임의의 타이밍에 전동 팬(56)을 구동시켜 방진망(14)에 부착된 짚이나 진애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e) 방진 케이스(13)의 외면에 형성된 방진망(14)의 외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와이퍼와 마찬가지로 작동하는 제거 부재를 구비하고, 도어(28)의 개폐 조작에 연계하여 하부 보조 스텝(42)을 요동시키는 연동 기구(L)의 작동력을 제거 부재에 전달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어(28)의 개폐 조작에 연계하여 방진망(14)의 외면에 부착된 짚이나 진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301)의 구동에 의해 주행 기체(302)가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주행 기체(302)의 전방부에, 농지면의 직립 곡물대를 예취하고, 예취한 곡물대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부(303)가 횡축 코어 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303)는, 예취 대상 곡물대를 분초(分草)하는 분초구(304), 도복 자세의 직립 곡물대를 기립 자세로 일으키는 기립 장치(305), 직립 곡물대의 밑둥을 절단하는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306) 및 예취 곡물대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세로 반송 장치(30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302)는 예취부(303)에 의해 예취된 예취 곡물대를 수취하여 탈곡 및 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308)와, 탈곡 장치(308)에서 탈곡 및 선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309)가 기체 프레임(310)에 탑재되는 동시에, 기체 프레임(310)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곡립 탱크(309)의 전방 개소에 운전부(311)가 설치되고, 운전부(311)의 상방을 덮는 캐빈(312)이 구비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부(311)는, 운전 좌석(313)의 전방측에 운전부 스텝(314)으로부터 기립 설치하는 상태로 조종탑(315)이 설치되고, 이 조종탑(315)의 상부에는, 조종 레버(316)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317) 등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318)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313)의 좌측에는, 변속 레버(319) 그 밖의 조작구를 구비한 사이드 패널(320)이 설치되고, 이 사이드 패널(320)의 하방측의 우측면은 벽체(321)에 의해 기체 내부와 구획되어 있고, 운전 좌석(313)의 하측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엔진 보닛(322)의 전방측 커버부(322A)에 의해 원동부 내부와 구획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313)의 후방부측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와 구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운전부(311)는 상방이 캐빈(312)에 의해 덮이고, 운전부(311)에는 외부 공간과 구획되는 상태에서 폐색된 공간인 운전실(R1)[캐빈(312)의 내부 공간에 상당]이 형성되어 있다.
운전 좌석(313)의 후방측에는, 엔진(323)에 있어서의 연소 공기 흡기계에 접속되는 에어 클리너(324)를 구비한 급기부(R2)가 구획벽(329)에 의해 운전실(R1)과 구획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에어 클리너(324)에 흡기 호스(325)를 통해 연통 접속된 프리클리너(326)가 에어 클리너(324)의 상방측의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기체 상방의 진애가 적은 외기가 프리클리너(326) 및 에어 클리너(324)에서 정화되어 엔진 연소 공기로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324)는 기체 프레임(310)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지지 프레임(327)에 브래킷(328)을 통해 지지되어 있고, 프리클리너(326)는 캐빈(312)의 상부의 후단부에 장착 지지되어 있다.
운전부(311)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313)의 하방에는 원동부(330)가 설치되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동부(330)는 엔진(323), 냉각풍 발생용 팬(332), 엔진(323)을 둘러싸는 엔진 보닛(322) 및 도시하지 않은 냉각용 라디에이터나 방진망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캐빈(31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도 13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캐빈(312)은, 상부측일수록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형성되는 전방부 글래스면(340) 및 그 좌우 양측에 이어지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 형상인 측부 글래스면(341)을 구비한 전방면부(342), 운전 좌석(313)의 좌측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식 창부(343)를 구비한 좌측면부(344), 운전 좌석(313)의 후방에 위치하고, 좌우 양측의 원호 형상의 글래스면(345) 및 평면 형상의 글래스면(346)을 구비한 후방면부(347) 및 상방의 전체면을 덮는 대략 판 형상의 천장부(348) 각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캐빈(312)의 우측부에는 승강용 개구(350)가 형성되고, 이 승강용 개구(350)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승강용 개구(350)를 형성하는 개방 상태에 걸쳐, 기체 전방부측의 종방향 축심 Y1 주위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도어(35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천장부(348)의 전단부에는, 조명등(370)이 설치되고, 캐빈(312)의 천장부(348)의 전방부에 운전실(R1)의 내부를 공조하기 위한 공조 장치(352)가 구비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조 장치(352)에는, 공조 처리된 후의 급기(예를 들어, 냉기)를 기체 후방을 향해 배출시키도록 기체 후방부 측면에 급기 출구(3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급기 출구(353)로부터 배출되는 급기를 안내 공급하는 덕트(354)가 구비되고, 공조 장치(352)로부터 출력되어 덕트(354)를 통해 공급되는 급기를 캐빈(312) 내에 분출하기 위한 복수의 분출구(355, 356)가, 천장부(348)에 있어서의 전방부측 개소 및 횡측 개소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덕트(354)는 공조 장치(352)의 후방부측에 위치하여 기체 횡폭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덕트(354)에는, 공조 장치(352)의 기체 후방부측에 위치하여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 횡방향 덕트 부분(357)가 구비되고, 횡방향 덕트 부분(357)의 기체 전방부 측벽부에 형성된 통과 구멍(358)을 통해 공조 장치(352)의 급기 출구(353)로부터 배출되는 급기가 덕트(354) 내에 배출되도록 횡방향 덕트 부분(357)과 공조 장치(352)가 연통 접속되어 있다.
천장부(348)에 있어서의 전방부측 개소에 형성되는 전방부측 분출구(355)가, 공조 장치(352)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또한 공조 장치(352)의 기체 후방측 단부(L)보다도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덕트(354)는 횡방향 덕트 부분(357)의 기체 횡폭 방향 양 측부에 있어서, 급기를 전방부측 분출구(355)에 공급하는 전방측 덕트 부분(359)과, 급기를 천장부(348)에 있어서의 횡측 개소에 형성되는 횡측 분출구(356)에 공급하는 후방측 덕트 부분(360)으로 분기 형성되어 있다.
즉, 덕트(354)는 횡방향 덕트 부분(357)과, 좌우 양측의 전방측 덕트 부분(359)과, 좌우 양측의 후방측 덕트 부분(360)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들 덕트 부분(357, 359, 360)이 일련으로 이어지는 상태로 일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354)는, 횡방향 덕트 부분(357)의 기체 전방부 측벽부(357a)에서 공조 장치(352)의 급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급기를 받아낸 후, 횡방향 덕트 부분(357)의 기체 횡폭 방향 양측 외측으로부터 좌우 양측의 전방측 덕트 부분(359)을 통해 좌우 양측의 전방부측 분출구(355) 각각을 향해 급기를 유동 안내시키고, 또한 횡방향 덕트 부분(357)의 기체 횡폭 방향 양측 외측으로부터 좌우 양측의 후방측 덕트 부분(360)을 통해 좌우 양측의 횡측 분출구(356)를 향해 급기를 유동 안내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방부측 분출구(355)가, 공조 장치(352)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조 장치(352)의 기체 후방측의 덕트 배치용 공간을 기체 전후 방향으로 협폭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기체 후방측의 덕트 배치용 공간과 운전 좌석(313)의 상방 공간을 구획하도록, 캐빈(312)의 내부 공간[운전실(R1)]의 천장면을 형성하는 이너 루프(366)로 형성되는 종벽 부분(371)을, 기체 전방에 치우친 상태로 형성할 수 있어, 운전자의 상방 공간을 넓게 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측 분출구(355) 및 횡측 분출구(356) 각각에는, 급기의 배출 방향을 변경 조정 가능한 주지 구조의 풍향 조정구(361)가 구비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지는 않지만, 이 풍향 조정구(361)는 외형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지지부(362)가 회전 조작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지지부(362)의 내부에 풍향을 규제하기 위한 복수의 풍향 안내판(363)이 구비되어, 지지부(362)에서 지지되는 풍향 안내판(363)에 의한 안내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덕트(354)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덕트(354)의 횡방향 덕트 부분(357)은 공조 장치(352)의 후방부측에 일체적으로 연속 설치되는 상태로 장착하여 지지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조 장치(352)는 천장부(348)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구비된 프레임(364)으로부터 고정 연장 설치된 좌우 양측의 브래킷(365)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조 장치(352)가 배치되는 배치용 공간은, 상기 이너 루프(366)와, 천장부(348)의 상방을 덮는 상태로 구비되는 루프 커버(367)에 의해 구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354)의 좌우 양측의 후방측 덕트 부분(360)은, 루프 커버(367)와 프레임(364)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후방측 덕트 부분(360)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는 상태에서 3개소에 횡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설편(舌片)(36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설편(368)을 루프 커버(367)와 프레임(364)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천장부(348)에 덕트(354)의 좌우 양측의 후방측 덕트 부분(360)을 조립 장착할 때에는, 각 설편(368)을 프레임(364)의 상면에 적재 지지시켜, 덕트(354)의 좌우 양측의 후방측 덕트 부분(360)을 프레임(364) 상에 임시 배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루프 커버(367)를 장착하여, 루프 커버(367)와 프레임(364)을 도시하지 않은 연결 부재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덕트(354)를 고정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루프 커버(367)에는, 설편(368)이 들어가는 오목부(369)가 형성되어 있고, 루프 커버(367)와 프레임(354)을 연결 고정하면, 덕트(354)가 전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되는 일이 없는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장치(352)가 급기를 기체 후방을 향해 배출시키도록 기체 후방부 측면에 급기 출구(353)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공조 장치(352)가 기체 전방부측을 향해 배출시키는 급기 출구(353)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거나, 횡측을 향해 배출시키는 급기 출구(353)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354)가, 급기를 전방부측 분출구(355)에 공급하는 전방측 덕트 부분(359)과, 급기를 횡측 개소에 형성되는 횡측 분출구(356)에 공급하는 후방측 덕트 부분(360)으로 분기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급기를 전방부측 분출구(355)에 공급하기 위한 전용의 전방부 덕트(도시하지 않음)와, 급기를 횡측 분출구(356)에 공급하기 위한 전용의 후방부 덕트(도시하지 않음)를 각각 별도로 독립시킨 상태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부측 분출구(355)가, 공조 장치(352)의 기체 후방측 단부보다도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전방부측 분출구(355)가 공조 장치(352)의 기체 후방측 단부보다도 기체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방진 케이스와, 공조용 콘덴서를 구비한 콤바인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의 천장부의 전방부에 공조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2 : 주행 기체
6 : 언로더
13 : 방진 케이스
14 : 방진망
52 : 라디에이터
53 : 라디에이터 팬
55 : 콘덴서
56 : 전동 팬
57 : 오일 쿨러
62 : 팬 제어 수단(제어 장치)
E : 엔진
311 : 운전부
312 : 캐빈
348 : 천장부
352 : 공조 장치
353 : 급기 출구
354 : 덕트
355 : 전방부측 분출구
356 : 횡측 분출구
359 : 전방측 덕트 부분
360 : 후방측 덕트 부분
L : 기체 후방측 단부

Claims (10)

  1. 주행 기체에 구비한 엔진의 기체 외측에 라디에이터 팬과 라디에이터가 배치되고, 이 라디에이터에 냉각풍을 공급하는 방진 케이스의 방진망이 상기 라디에이터의 기체 외측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방진 케이스 내부이며, 기체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외측의 상부와 병렬되는 위치에 공조용 콘덴서가 배치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콘덴서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콘덴서용 전동 팬 및 상기 전동 팬을 덮는 팬 슈라우드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방진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라디에이터 팬의 회전 축심과 겹쳐지는 동시에 상기 라디에이터와 상기 팬 슈라우드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오일 쿨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오일 쿨러의 상단부는 상기 팬 슈라우드의 하단부와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는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오일 쿨러의 하단은 상기 라디에이터의 하단보다 상방의 높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콘덴서는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방진 케이스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오일 쿨러는 브래킷에 의해 상기 방진 케이스에 지지되고,
    상기 전동 팬은 상기 팬 슈라우드를 통해 상기 콘덴서에 지지되고,
    상기 방진 케이스는 기체 전후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에 지지되어, 기체 내방측의 닫힌 자세와 기체 외방으로 요동한 개방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와 상기 콘덴서 사이에 전동 팬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체에 구비한 언로더의 작동시에, 상기 방진 케이스의 내부의 공기를 기체 외측으로 배출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동 팬을 구동하는 팬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케이스 중 상기 콘덴서보다 상방의 부분에 상기 방진망이 설치되고,
    상기 방진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라디에이터 상방에, 상기 방진 케이스가 상기 닫힌 자세로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진 케이스와 상기 라디에이터에 걸치는 벽부가 마련되고,
    상기 팬 슈라우드와 상기 벽부 사이에, 상기 방진망에서의 냉각풍이 상기 라디에이터에 대해 유통 가능한 냉각풍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92757A 2011-08-25 2012-08-24 콤바인 KR101965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83740 2011-08-25
JP2011183740A JP5764012B2 (ja) 2011-08-25 2011-08-25 コンバイン
JP2011187747A JP6016341B2 (ja) 2011-08-30 2011-08-30 コンバイン
JPJP-P-2011-187747 2011-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140A KR20130023140A (ko) 2013-03-07
KR101965450B1 true KR101965450B1 (ko) 2019-04-03

Family

ID=4817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757A KR101965450B1 (ko) 2011-08-25 2012-08-24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6796B2 (ja) * 2014-03-26 2017-11-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032A (ja) * 2001-02-28 2002-09-1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後部用カバー装置
JP2009179157A (ja) * 2008-01-30 2009-08-13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JP2010220532A (ja) * 2009-03-23 2010-10-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6865A (ja) 2009-01-23 2010-08-05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223325A (ja) 2009-03-23 2010-10-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032A (ja) * 2001-02-28 2002-09-1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後部用カバー装置
JP2009179157A (ja) * 2008-01-30 2009-08-13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JP2010220532A (ja) * 2009-03-23 2010-10-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140A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6341B2 (ja) コンバイン
CA2779475C (en) Windrower tractor with parallel heat exchangers for cooling of engine and associated fluids
KR101965450B1 (ko) 콤바인
JP5667950B2 (ja) コンバイン
KR101770247B1 (ko) 콤바인
KR20170034790A (ko) 콤바인
JP6669232B2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CN202722038U (zh) 联合收割机的驾驶部结构
JP6447939B1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2007308032A (ja) 作業車の空調構造
JP4897455B2 (ja) 草刈機
JP2017109685A (ja)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内換気装置
JP5764012B2 (ja) コンバイン
JP7381441B2 (ja) コンバイン
JP3857447B2 (ja) 農作業機の冷・暖房装置
JP2007308030A (ja) 作業車の空調構造
JP2007255228A (ja) コンバインの吸気装置
JP4863019B2 (ja) コンバイン
JP3633786B2 (ja) 移動収穫機のキャビン冷却装置
JP2019054799A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4748262B2 (ja) コンバイン
JPH08163916A (ja)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JP5326563B2 (ja)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冷却装置
WO2019208541A1 (ja) コンバイン
JP2019062744A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