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247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247B1
KR101770247B1 KR1020117028617A KR20117028617A KR101770247B1 KR 101770247 B1 KR101770247 B1 KR 101770247B1 KR 1020117028617 A KR1020117028617 A KR 1020117028617A KR 20117028617 A KR20117028617 A KR 20117028617A KR 101770247 B1 KR101770247 B1 KR 10177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transmission
width direction
pulley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655A (ko
Inventor
류스케 나카시마
요시타카 심보
신야 코마쯔
유타카 모리카와
타쯔야 미즈하타
코이찌 카지와라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으로부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을 통해서 예취부에 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하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엔진이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의 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엔진에는 배기계로부터 흡기계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과 상기 엔진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상기 배기계의 배기 통로와 상기 흡기계의 흡기 통로를 연통하는 연통 수단이 배치된 콤바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콤바인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이면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의해 재순환되는 가스를 냉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HARVESTER}
본 발명은 엔진에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설치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기계로부터 흡기계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설치된 엔진은 공지가 되어 있고, 농업기계나 건설기계 등의 작업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부착된 상기 엔진을 이용함으로써 환경 부하 물질의 감소 및 연료 소비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구비한 상기 엔진에 있어서도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의해 재순환되는 재순환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면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그을음 등의 환경 부하 물질이 증가되고 또한 연료 소비율이 악화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엔진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 수단을 설치하고, 이 냉각 수단을 이용하여 재순환 가스를 냉각하고, 재순환 가스 온도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상기 작업 차량이 콤바인일 경우, 탑재되는 엔진은 고속 회전수 및 고토크의 영역에서 운전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용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의 단위 시간당의 흡기 유량이 증가되고, 이 증가에 따라 재순환해야 할 최적의 재순환 가스량도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콤바인에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부착된 엔진이 구비되는 경우이여도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상기 냉각 수단을 갖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의해 재순환되는 재순환 가스의 온도 상승을 충분하게는 억제할 수 없고, 그 결과, 환경 부하 물질이 증가되고 또한 연료 소비율이 악화된다는 경향을 충분하게는 개선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 콤바인에 구비되는 상기 엔진의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상기 냉각 수단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재순환 가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반면, 상기 냉각 수단의 설치에 의해 상기 콤바인의 설계 자유도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예컨대,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를 이용해서 상기 재순환 가스를 냉각시키는 것일 경우에는 상기 냉각수를 상기 재순환 가스의 유로에 안내하기 위한 배관 등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고, 상기 냉각 수단이 대형화 및 복잡화되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구비한 상기 엔진의 설치에 의해 설계 자유도가 손상되게 된다.
또한,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해서 주행부로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예취 입력축을 통해서 예취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에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적용할 때에는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트랜스미션으로의 전동 구조 및 상기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으로의 전동 구조의 대형화 및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상기 엔진에 부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에 착안한 종래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5607호 공보
본원은 이러한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부착된 엔진을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간단한 구조이면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의해 재순환되는 재순환 가스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콤바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엔진으로부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을 통해서 예취부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의 측방에 상기 엔진을 배치하고, 상기 엔진에 그 배기계로부터 흡기계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과 상기 엔진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상기 배기계의 배기 통로와 상기 흡기계의 흡기 통로를 연통하는 연통 수단을 배치한 콤바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의 구동에 따라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이 회전하면 이 회전에 의해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과 상기 엔진 사이의 공간의 공기가 교반,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상기 연통 수단 부근에서 난기(暖氣)가 체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이면서 재순환 가스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상기 엔진에 대한 설치성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부착된 상기 엔진의 주행기체에 대한 설치성이 악화될 일도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상기 연통 수단을 통과하는 재순환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냉각 수단에 의해 상기 연통 수단을 흐르는 재순환 가스를 냉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재순환 가스의 온도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에 의해서도 재순환 가스의 온도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냉각 수단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상기 엔진에 대한 설치성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부착된 상기 엔진의 주행기체에 대한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각종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에 상기 연통 수단을 통과하는 재순환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팬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냉각 팬으로부터 상기 연통 수단을 향해서 송풍을 행하여 상기 연통 수단을 흐르는 재순환 가스를 냉각해서 더 나은 저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팬에 의해 재순환 가스를 냉각하기 위해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상기 냉각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냉각 수단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상기 엔진에 대한 설치성 및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부착된 상기 엔진의 주행기체에 대한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은 예취 입력축과, 이 예취 입력축에 고정 설치되는 예취 입력 풀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예취 입력 풀리는 보스부와 림부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리브부 사이에 가설된 날개 형상의 팬부를 가지며, 상기 팬으로서도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통 수단을 냉각하는 상기 팬을 공간 절약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팬을 풀리와 별체로 할 경우에 비해서 상기 팬을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주행기체의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에 지지된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엔진의 전방에 배치된 트랜스미션을 통해서 주행부로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출력되는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예취 입력축을 통해서 예취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으로서,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트랜스미션으로의 전동 구조 및 상기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으로의 전동 구조의 대형화 및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상기 엔진에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의해 환류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콤바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주행기체의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에 지지된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엔진의 전방에 배치된 트랜스미션을 통해서 주행부로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출력되는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예취 입력축을 통해서 예취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상기 엔진에는 배기측으로부터 흡기측으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키는 연통 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입력축은 상기 엔진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에 있어서 차량 폭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엔진은 실린더 블록 및 실린더 헤드를 포함하는 엔진 본체와,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엔진 본체에 지지된 엔진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출력축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에는 상기 엔진 출력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트랜스미션의 트랜스미션 입력축을 향해서 출력하기 위한 엔진측 출력 풀리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예취 입력축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의 단부에는 상기 트랜스미션에 있어서의 작업기계 출력축으로부터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입력하기 위한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엔진 본체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측면과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와 상기 엔진측 출력 풀리에 의해 구획되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상기 콤바인에 의하면, 상기 엔진으로부터 상기 트랜스미션으로의 전동 구조 및 상기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으로의 전동 구조의 대형화 및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상기 엔진에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부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의 상기 엔진 출력축에 지지된 상기 엔진측 출력 풀리 및 상기 예취 입력축에 지지된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연통 수단 근방에 난기가 체류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의해 환류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통 수단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바라봤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트랜스미션 케이스와,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로부터 차량 폭방향 타방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과,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에 입력된 회전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기구와, 상기 변속 기구에 의해 변속된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부를 향해서 출력하는 주행계 출력축과, 상기 주행계 출력축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동력에 동조한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상기 작업기계 출력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측 출력 풀리는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트랜스미션측 입력 풀리에 무단 벨트를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는 상기 트랜스미션측 입력 풀리보다 차량 폭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업기계 출력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트랜스미션측 구동 풀리에 무단 벨트를 통해서 연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상기 콤바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상기 콤바인의 엔진부 부근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설치한 엔진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5는 냉각 수단을 갖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구비한 엔진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 1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의 상기 엔진 및 예취 구동 입력 수단 근방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에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이 구비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콤바인의 엔진 근방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한 상기 팬으로서도 작용하는 예취 입력 풀리를 구비한 변형예에 따른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의 모식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에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이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팬으로부터의 냉각풍을 가이드하기 위한 풍향판이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콤바인의 엔진 근방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 2에 따른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형태 2에 따른 콤바인의 전동 모식도이다.
도 13은 크롤러, 엔진 및 트랜스미션이 기체 프레임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실시형태 2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의 프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상기 프리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상기 프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형태 2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의 상기 엔진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상기 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상기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6~도 19에 나타내는 상기 엔진의 모식 평면도이다.
도 20(a)~도 20(c)는 각각 상기 실시형태 2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의 상기 트랜스미션의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상기 트랜스미션의 전동 모식도이다.
도 22는 상기 실시형태 2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의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의 모식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1
이어서,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1A)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콤바인(1A)은 주행기체의 기체 프레임(2)을 포함하는 주행기체와, 주행부(3)와, 예취부(4)와, 탈곡부(5)와, 선별부(6)와, 곡립 저류부(7)와, 짚 배출 처리부(8)와, 엔진부(9)와, 미션부(10)와, 조종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행부(3)는 상기 기체 프레임(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부(3)는 좌우 1쌍의 크롤러를 갖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12) 등을 갖고, 크롤러식 주행 장치(12)에 의해 상기 주행기체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예취부(4)는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전단부에 상기 주행기체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예취부(4)는 분초구(13)나 일으킴 장치(14)나 절단 장치(15)나 반송 장치(16) 등을 갖고 있고, 상기 분초구(13)에 의해 포장(圃場)의 곡간을 분초하고, 상기 일으킴 장치(14)에 의해 분초 후의 곡간을 일으키고, 상기 절단 장치(15)에 의해 일으킴 후의 곡간을 절단하고, 상기 반송 장치(16)에 의해 절단 후의 곡간을 탈곡부(5)측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5)는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좌측 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예취부(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5)는 반송 장치(17)나 급동(18)이나 수망 등을 갖고 있고, 상기 예취부(4)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곡간을 상기 반송 장치(17)에 의해 이어받어서 상기 짚 배출 처리부(8)측으로 반송하고, 그 반송 도중에 있어서 상기 급동(18) 및 수망에 의해 곡간의 탈곡 처리를 행하고, 그 탈곡물을 누하(漏下)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별부(6)는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좌측부이고 또한 상기 탈곡부(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별부(6)는 요동 선별 장치나 풍 선별 장치나 곡립 반송 장치나 짚 부스러기 배출 장치 등을 갖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상기 탈곡부(5)로부터 낙하되는 탈곡물을 곡립과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으로 요동 선별하고, 상기 풍 선별 장치에 의해 요동 선별 후의 것을 또한 곡립과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으로 풍 선별하고, 상기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선별 후의 곡립을 상기 곡립 저류부(7)로 반송하는 한편, 상기 짚 부스러기 배출 장치에 의해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곡립 저류부(7)는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우측 후방부이고 또한 상기 탈곡부(5) 및 상기 선별부(6)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곡립 저류부(7)는 곡립 탱크(21)나 곡립 배출 장치(22) 등을 갖고 있고, 상기 곡립 탱크(21)에 의해 상기 선별부(6)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곡립을 저류하고, 상기 곡립 배출 장치(22)에 의해 저류 중인 곡립을 배출구로 반송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짚 배출 처리부(8)는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좌측 후방부이고 상기 탈곡부(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짚 배출 처리부(8)는 배출 짚 반송 장치나 배출 짚 절단 장치 등을 갖고 있다. 상기 배출 짚 반송 장치는 상기 탈곡부(5)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탈곡 완료된 곡간을 이어받어서 이것을 배출 짚으로서 외부 또는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로 반송한다. 상기 배출 짚 절단 장치는 배출 짚을 절단하고나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엔진부(9)는 상기 곡립 저류부(7)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우측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엔진부(9)는 엔진(31) 등을 갖고 있다. 상기 엔진(31)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은 이것을 구동원으로 하는 각 부의 장치에 적절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엔진(31)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각 부의 장치가 구동된다.
상기 미션부(10)는 상기 엔진부(9)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우측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미션부(10)는 트랜스미션(25) 등을 갖고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25)은 상기 엔진부(9)의 상기 엔진(31)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입력해서 변속하고, 상기 주행부(3)나 상기 예취부(4) 등의 각 장치를 향해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종부(11)는 상기 엔진부(9) 및 상기 미션부(1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우측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종부(11)는 조종석(26)이나 스티어링 핸들(27)을 포함하는 조작구류(操作具類) 등을 갖고 있고, 조종자가 상기 조종석(26)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구류에 의해 각 부의 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콤바인(1A)은, 상기 조종부(11)의 상기 조작구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엔진부(9)의 상기 엔진(31)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각 부의 장치에 공급하거나 해서 상기 주행부(3)에 의해 상기 주행기체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예취부(4)에서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고, 상기 탈곡부(5)에서 상기 예취부(4)로부터 보내져 오는 곡간을 탈곡하고, 상기 선별부(6)에서 상기 탈곡부(5)로부터의 탈곡물을 선별하여 상기 곡립 저류부(7)에서 상기 선별부(6)로부터의 곡립을 저류함과 동시에, 상기 짚 배출 처리부(8)에서 상기 탈곡부(5)로부터의 배출 짚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엔진부(9)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엔진부(9)의 상기 엔진(31)은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우측 전방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엔진부(9)는 상기 엔진(31)을 둘러싸는 엔진룸(30)과, 상기 엔진룸(30) 내에 있어서 상기 엔진(31)의 우측에 우향의 상태로 배치된 라디에이터(32)와, 상기 엔진(31) 및 상기 라디에이터(32) 사이에 설치된 냉각 팬(31d)을 갖고 있다.
상기 냉각 팬(31d)은 상기 엔진(31)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는 출력축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은 상기 엔진(31)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는 크랭크축(31a)에 풀리나 벨트를 통해서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엔진(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31)에는 냉각수 펌프나 교류 발전기 등도 부설되어 있고, 이들 부재도 상기 냉각 팬(31d)과 마찬가지로 상기 엔진(31)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라디에이터(32)의 우측에는 엔진 커버(45)가 설치되고, 상기 엔진 커버(45)에는 외기 도입구(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엔진룸(30) 내의 상기 냉각 팬(31d)이 회전 구동되면 그 흡인력에 의해 엔진 냉각용 상기 외기가 외기 도입구(60)로부터 상기 엔진룸(30) 내로 받아들여져 냉각풍으로서 상기 엔진(31)을 향해 보내지고, 그 후에 상기 엔진룸(30)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출된다.
상기 엔진부(9)는 에어 클리너(34), 머플러(36) 및 배기가스 재순환(EGR) 장치(37)를 더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에어 클리너(34)는 상기 엔진(31)의 실린더 블록(31b)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 헤드(31c)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중 화살표는 흡기, 배기가스, 재순환 가스의 흐름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에어 클리너(34)는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우측 후방부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 클리너(34)는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후면측에 구비되는 흡기 매니폴드(31e)에 흡기 통로(33)를 통해서 접속되고, 프리 클리너(42)에 흡기 덕트(43)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프리 클리너(42)는 상기 조종부(11)와 상기 곡립 저류부(7) 사이이고, 또한, 상기 곡립 저류부(7)의 상기 곡립 탱크(21)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머플러(36)는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상방에 설치된다. 상기 머플러(36)는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앞면측에 구비되는 배기 매니폴드(31f)에 배기 통로(35)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머플러(36)의 배기 배출측에는 테일 파이프(49)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테일 파이프(49)는 뒤쪽 상방을 향해서 굴곡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테일 파이프(49)는 상기 탈곡부(5)보다 높고 또한 상기 프리 클리너(42)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프리 클리너(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구된 하류측 단부를 갖고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엔진(31)의 흡기계에 있어서는 상기 프리 클리너(42)를 통해 상기 에어 클리너(34)에 흡입된 외기가 상기 에어 클리너(34)에 의해 정화된 후에 상기 흡기 매니폴드(31e)를 통해서 상기 실린더 블록(31b) 내부의 연소실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엔진(31)의 배기계에 있어서는 상기 연소실로부터 상기 배기 매니폴드(31f)로 배출된 배기가스가 상기 머플러(36)를 경유해서 상기 테일 파이프(49)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는 배기계로부터 흡기계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는 상기 실린더 헤드(31c)[상기 엔진(31)]와 동일한 정도의 높이에서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좌측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는 배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통 수단(38)과, 전자 밸브로 이루어지는 제어 밸브(EFR 밸브)(39)를 갖고 있다.
상기 연통 수단(38)은 상기 배기 통로(35) 및 상기 흡기 통로(33)를 유체 접속하도록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좌측면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상기 연통 수단(38)은 배기 도입측의 단부가 상기 배기 통로(35)의 도중부에 접속되고, 또한, 배기 배출측의 단부가 상기 흡기 통로(33)의 도중부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기 통로(35) 및 상기 흡기 통로(33)를 연통하는 상기 연통 수단(38)에 의해 상기 배기 통로(35) 중의 배기가스의 일부가 상기 흡기 통로(35)로 환류된다.
상기 제어 밸브(39)는 상기 연통 수단(38)의 중도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 밸브(39)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의해 엔진 회전수나 냉각수 온도 등에 따라 개도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제어 밸브(39)에 의해 상기 연통 수단(38)을 통해서 환류되는 재순환 가스량이 조정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기체는 상기 엔진부(9)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좌측 전방부 상에 지지된 좌우 1쌍의 지지 프레임(2a)을 갖고 있다.
상기 좌우의 지지 프레임(2a)의 상부 사이에는 파이프 형상의 회동 지점 부재(28)가 가설되고, 이 회동 지점 부재(28)에 상기 예취부(4)의 예취 프레임(29)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지점 부재(28)에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은 예취 입력축(20a) 및 예취 입력 풀리(20b) 등을 갖고 있다.
상기 예취 입력축(20a)은 상기 엔진(31)의 상기 실린더 헤드(31c)와 동일한 정도의 상하 높이에서 축선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회동 지점 부재(28)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는 상기 예취 입력축(20a)의 엔진(31)측인 우측의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예취 입력축(20a)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예취 입력축(20a)은 상기 크랭크축(31a)에 있어서의 상기 엔진(31)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는 단부에 풀리나 벨트를 통해서 연동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예취 프레임(29)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예취 전달 축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엔진(31)으로부터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이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으로부터 상기 예취 전달 축을 포함하는 연동 기구를 거쳐 상기 예취부(4)(의 각 장치)로 동력이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의 상기 연통 수단(38)은 상기 엔진(31)의 좌측이고 또한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의 우측에 배치되게 된다. 즉, 상기 연통 수단(38)은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과 상기 엔진(3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통 수단(38)은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과 동일한 정도의 상하 높이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의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와 좌우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콤바인(1A)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31)으로부터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을 통해서 상기 예취부(4)로 동력이 전달되고, 또한,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의 측방에 배치된 상기 엔진(31)에는 배기계로부터 흡기계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키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가 설치되고, 배기계의 상기 배기 통로(35) 및 흡기계의 상기 흡기 통로(33)를 연통하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의 상기 연통 수단(38)이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과 상기 엔진(3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콤바인(1A)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3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 특히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가 회전하면 이 회전에 의해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과 상기 엔진(31) 사이의 공간의 공기가 교반 및 유동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의 상기 연통 수단(38) 부근에서의 난기의 체류가 억제되고, 상기 연통 수단(38)을 흐르는 재순환 가스의 온도를 간단한 구조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의 설치에 관한 설계 자유도가 악화될 일도 없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에 냉각 수단(EGR 쿨러)(4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각 수단(40)은 상기 냉각 팬(31d)으로부터의 냉각풍이나 엔진 냉각수를 이용해서 상기 연통 수단(38)을 흐르는 재순환 가스를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 수단(40)은, 예컨대 상기 연통 수단(38)의 중도부를 덮고 또한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1A)에 있어서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에 상기 연통 수단(38)을 통과하는 재순환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상기 냉각 수단(4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각 수단(4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통 수단(38)을 흐르는 재순환 가스를 냉각해서 온도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콤바인(1A)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에 의한 재순환 가스 온도의 저감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상기 냉각 수단(4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 수단(40)의 존재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의 설치에 관한 설계 자유도가 손상될 일도 없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에 팬(5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팬(50)은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보다 상기 엔진(31) 부근에 위치하도록 상기 예취 입력축(20a)의 우측 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게다가, 상기 팬(50)은 그 회전 중심의 연장선이 상기 연통 수단(38) 또는 상기 냉각 수단(40)과 교차한 상태에서 상기 연통 수단(38)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엔진(3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예취 입력축(20a)이 회전될 때에 상기 팬(50)도 회전되고, 이 팬(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팬(50)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연통 수단(38)을 향해서 바람이 공급되어 상기 연통 수단(38)을 흐르는 재순환 가스가 냉각되게 된다. 즉, 상기 팬(50)이 상기 연통 수단(38)의 냉각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콤바인(1A)에 있어서는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에 상기 연통 수단(38)을 통과하는 재순환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상기 팬(5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상기 콤바인(1A)에 있어서는 상기 팬(50)으로부터 상기 연통 수단(38)을 향해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연통 수단(38)을 흐르는 재순환 가스가 더욱 유효하게 냉각된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에 상기 냉각 수단(40)을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에 상기 팬(50)을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팬(50)에 의한 재순환 가스의 냉각 효과에 의해 상기 냉각 수단(4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 수단(40)을 구비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의 상기 주행기체 또는 상기 엔진(31)에 대한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팬(50)은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와는 별체로서 상기 예취 입력축(20a)에 고정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팬(50)과 마찬가지로 상기 연통 수단(38)의 냉각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팬 구조를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에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를 팬을 겸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는 보스부(51)와, 외주부에 벨트를 권회하기 위한 링형상의 림부(52)와, 복수의 날개 형상의 팬부(5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스부(51)는 상기 예취 입력축(20a)의 우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림부(52)는 그 중심부가 상기 보스부(51)와 일치하고 또한 상기 보스부(51)의 외주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기 보스부(51)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팬부(53)는 상기 보스부(51) 및 상기 림부(52)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림부(52)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림부(52)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면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에 의하면, 회전 동력을 입력하는 작용에 추가해서 팬 작용을 발휘할 수 있고, 그 회전시에 상기 연통 수단(38)을 향해서 송풍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콤바인(1A)에 있어서는,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은 상기 예취 입력축(20a)과, 상기 예취 입력축(20a)에 고정 설치되는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가 상기 보스부(51)와 상기 림부(52) 사이로 연장되는 날개 형상의 상기 팬부(53)를 갖고, 상기 연통 수단(38)을 냉각하는 팬을 겸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에 있어서의 상기 엔진(31)과 대향하는 측의 측면에 날개판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예취 입력 풀리(20b)에 일체적으로 팬 구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상기 콤바인(1A)에 의하면, 상기 연통 수단(38)을 냉각하는 팬을 공간 절약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수단(38)을 냉각하는 팬을 상기 풀리와는 별체로 구비하는 구성, 즉, 상기 팬(50)을 구비하는 구성에 비해서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에 팬 구조를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수단(38)을 냉각하는 팬을 구비하는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통 수단(38)을 형성하는 배관을 주름 상자 형상 및/또는 사행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통 수단(38)을 흐르는 재순환 가스에 대한 상기 팬에 의한 냉각 효율을 높여서 재순환 가스 온도의 더 나은 저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통 수단(38)을 냉각하는 팬의 송풍 방향은 상기 연통 수단(38)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을 반대 방향으로 해서 상기 냉각 팬(31d)의 송풍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통 수단(38)을 냉각하는 상기 팬(50,53)을 구비하는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과 상기 엔진(31) 사이의 공간에 풍향판(54)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풍향판(54)은 상기 팬(50,53) 및 상기 연통 수단(38)을 전후 양측으로부터 덮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측 단부가 상기 팬(50,53)의 외주 부근에 위치하고, 우측 단부가 상기 엔진(31)의 외주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팬(50,53)에 의한 냉각풍이 상기 풍향판(54)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상기 연통 수단(38)에 집중적으로 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팬(50,53)에 의한 냉각풍의 소산(消散)이나 감쇠가 억제되고, 상기 연통 수단(38)까지 확실하게 냉각풍을 안내해서 상기 연통 수단(38)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콤바인(1A)에 있어서는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20)과 엔진(31) 사이의 공간에 상기 팬(50,53)에 의한 냉각풍을 상기 연통 수단(38)을 향해서 가이드하기 위한 상기 풍향판(54)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상기 콤바인(1A)에 있어서는 상기 풍향판(54)에 의해 상기 팬(50,53)에 의한 냉각풍을 상기 연통 수단(38)을 향해서 효과적으로 향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연통 수단(38)을 흐르는 재순환 가스의 효율적인 냉각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풍향판(54)은 상기 팬(50,53)에 의한 냉각풍의 일부 또는 전부를 편향시키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풍향판(54)에 의해 상기 팬(50,53)에 의한 냉각풍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연통 수단(38)뿐만 아니라 그 주변을 향해서 행해지게 되고, 예컨대 상기 연통 수단(38) 근방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나 전기배선(55) 등이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각각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콤바인(1B)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2에 상기 콤바인(1B)의 전동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콤바인(1B)은 기체 프레임(2)을 포함하는 주행기체와, 상기 기체 프레임(2)에 연결된 좌우 1쌍의 크롤러(12)의 형태를 이루는 주행부(3)와,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전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기체 프레임(2)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 예취부(4)와, 상기 예취부(4)에 의해 예취된 곡간에 대해서 탈곡 처리를 행하는 탈곡부(5)와, 상기 탈곡부(5)에 의해 탈곡된 탈곡물에 대해서 선별 처리를 행하는 선별부(6)와, 상기 선별부(6)에 의해 선별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저장부(7)와, 상기 탈곡부(5)에 의해 탈곡 처리된 후의 배출 짚을 처리하는 짚 배출 처리부(8)와, 동력원이 되는 엔진(31)을 포함하는 엔진부(9)와, 상기 엔진(31)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 동력을 변속하는 트랜스미션(25)을 포함하는 미션부(10)와, 운전석(26) 및 스티어링 핸들(27)을 포함하는 조종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예취부(4)는,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의 곡간을 분초 하는 분초구(13)와, 상기 분초구(13)에 의해 분초 된 곡간을 일으키는 일으킴 장치(14)와, 상기 일으킴 장치(14)에 의해 일으켜진 후의 곡간을 절단하는 절단 장치(15)와, 상기 절단 장치(15)에 의해 절단된 후의 곡간을 상기 탈곡부(5)를 향해서 반송하는 예취 반송 장치(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예취부(4)는 상기 기체 프레임(2)에 대해서 후술하는 예취 입력축(400)의 축선 주위에서 승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탈곡부(5)는 상기 예취부(4)로부터 예취해 곡간을 이어받도록 상기 예취부(4)의 후방측이고 또한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좌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5)는,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 내에 배치된 급동(18)과, 상기 예취 반송 장치(16)로부터 예취 곡간을 이어받고 또한 상기 예취 곡간의 이삭 끝측을 상기 급실 내에 삽입시키면서 후방으로 반송하는 탈곡 반송 장치(17)와, 상기 급동(18)의 하방에 배치된 수망(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상기 선별부(6)는 상기 탈곡부(5)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좌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별부(6)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망으로부터 유하되는 탈곡물에 대해서 요동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 장치(61)와, 상기 탈곡물에 대해서 풍 선별을 행하는 풍 선별 장치(62)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61) 및 상기 풍 선별 장치(62)에 의해 선별된 곡립을 상기 곡립 저장부(7)로 반송하는 곡립 반송 장치(63)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61) 및 상기 풍 선별 장치(62)에 의해 탈곡물로부터 제거된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의 불필요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짚 부스러기 배출 장치(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상기 곡립 저장부(7)는 상기 조종부(11)의 후방측이고 또한 상기 탈곡부(5) 및 상기 선별부(6)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우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곡립 저장부(7)는,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곡립을 저류시킬 수 있는 곡립 탱크(21)와, 상기 곡립 탱크(21) 내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곡립 배출 장치(22)를 갖고 있다.
상기 짚 배출 처리부(8)는 상기 탈곡 반송 장치(17)로부터 보내져 오는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이어받도록 상기 탈곡부(5)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짚 배출 처리부(8)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탈곡 반송 장치(17)로부터 보내져 오는 탈곡 처리 후의 배출 짚을 이어받어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짚 반송 장치(81)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짚 배출 처리부(8)는 상기 배출 짚을 절단하는 배출 짚 절단 장치(82)를 더 가질 수 있다.
도 13~도 15에 각각 상기 크롤러(12), 상기 엔진(31) 및 상기 트랜스미션(25)이 상기 기체 프레임(2)에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프리 어셈블리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31)은 상기 곡립 저장부(7)(도 10 및 도 11 참조)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2)의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에 지지되어 있다.
도 16~도 18에 각각 상기 엔진(31)의 전방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9에 상기 엔진의 모식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31)은 실린더 블록(31b) 및 실린더 헤드(31c)를 포함하는 엔진 본체(310)와,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엔진 본체(310)에 지지된 엔진 출력축(3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엔진 출력축(320)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에는, 도 12~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 출력축(320)의 회전 동력을 상기 트랜스미션(25)의 트랜스미션 입력축(210)을 향해서 출력하기 위한 엔진측 출력 풀리(330)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 출력축(320)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에는 또한, 상기 엔진 구동측 풀리(330)보다 차량 폭방향 타방측에 제 2 엔진 구동측 풀리(335)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 2 엔진 구동측 풀리(335)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탈곡부(5), 상기 선별부(6) 및 상기 짚 배출 처리부(8)를 향해서 회전 동력을 출력한다.
상기 엔진부(9)는 상기 엔진(31)에 추가해서 라디에이터(32) 및 냉각 팬(31d)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16~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라디에이터(32)는 상기 엔진 본체(310)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냉각 팬(31d)은 상기 엔진 출력축(320)에 의해 작동적으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라디에이터(32)와 상기 엔진 본체(31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엔진 출력축(320)은 차량 폭방향 일방측의 단부도 상기 엔진 본체(3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냉각 팬(31d)은 상기 엔진 출력축(320)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의해 풀리 전동 기구(340)를 통해서 작동적으로 구동되고 있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32)의 차량 폭방향 외측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커버(45)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 커버(45)에는 상기 냉각 팬(31d)의 외기 도입구(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진부(9)는, 도 10~도 11 및 도 13~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31)의 흡기측에 유체 접속된 에어 클리너(34) 및 프리 클리너(42)를 갖고, 또한, 배기측에 유체 접속된 머플러(36)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엔진 본체(310)는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흡기측 및 배기측에 각각 유체 접속된 흡기 매니폴드(31e) 및 배기 매니폴드(31f)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흡기 매니폴드(31e)는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상기 배기 매니폴드(31f)는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앞면측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클리너(34)는 출구측이 흡기 통로(33)를 통해서 상기 흡기 매니폴드(31e)에 유체 접속되고 또한 입구측이 흡기 덕트(43)를 통해서 상기 프리 클리너(42)에 유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34)는 상기 실린더 헤드(31c)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우측)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리 클리너(42)는 상기 조종부(11) 및 상기 곡립 저장부(7) 사이에 있어서 상기 곡립 저장부(7)의 상기 저류 탱크(21)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36)는 입구측이 배기 통로(35)를 통해서 상기 배기 매니폴드(31f)에 유체 접속되고 또한 출구측에는 테일 파이프(49)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테일 파이프(49)의 하류측 단부는 상기 탈곡부(5)보다 높고 또한 상기 프리 클리너(42)보다 낮은 위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리 클리너(42)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개구된다.
도 13~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31)에는 배기측으로부터 흡기측으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가 더 구비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는 상기 엔진 본체(310)의 배기측 및 흡기측을 유체 접속하는 연통 수단(38)과, 상기 연통 수단(38)을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차단시키는 제어 밸브(39)를 갖고 있다.
상기 연통 수단(38)은, 예컨대 상기 배기 통로(35) 및 상기 흡기 통로(33)의 사이를 유체 접속하는 배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수단(38)의 설치 위치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어 밸브(39)는, 예컨대 상기 연통 수단(38)에 끼워 삽입되는 전자 밸브로 되고, 엔진 컨트롤러(도시 생략)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연통 수단(38)을 선택적으로 연통 또는 차단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는 상기 연통 수단에 의해 상기 엔진(31)의 배기측으로부터 흡기측으로 환류되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4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냉각 수단(40)은 상기 엔진(31)을 냉각하기 위한 엔진 냉각수를 이용해서 상기 연통 수단(38)을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랜스미션(25)은 상기 엔진(3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엔진(31)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부(3)를 향해서 출력함과 아울러,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상기 예취부(4)를 향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a)~도 20(c)에 각각 상기 트랜스미션(25)의 정면도, 평면도 및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1에 상기 트랜스미션(25)의 전동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13~도 15 및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미션(25)은 트랜스미션 케이스(200)와,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200)로부터 차량 폭방향 타방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2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210)과,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210)에 입력된 회전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기구(220)와, 상기 변속 기구(220)에 의해 변속된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부를 향해서 출력하는 주행계 출력축(230)과, 상기 주행계 출력축(230)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동력에 동조한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작업기계 출력축(240)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변속 기구(220)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속 기구로서 작용하는 주행용 HST(221)와, 부변속 기구로서 작용하는 기어식 변속 기구(22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미션(25)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 1쌍의 크롤러(12) 사이에 속도차를 생기게 하기 위한 선회용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선회용 HST(250)와, 상기 변속 기구(220)로부터의 회전 동력 및 상기 선회용 HST(250)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합성해서 좌우 1쌍의 주행계 출력축(230)에 출력하는 좌우 1쌍의 유성 기어 기구(260)를 갖고 있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선회용 HST(250)를 2개소에 있어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변속 기구(220)로부터의 회전 동력은 동일한 회전 방향 또한 동일한 회전 속도로 상기 1쌍의 유성 기어 기구(260)에 전달되고, 상기 선회용 HST(250)로부터의 회전 동력은 동일한 회전 속도이지만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된 상태에서 상기 1쌍의 유성 기어 기구(260)에 전달된다.
도 13~도 15 및 도 20~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210)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에는 트랜스미션측 입력 풀리(215)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측 입력 풀리(215)는 무단 벨트(216)(도 12 참조)를 통해서 상기 엔진측 출력 풀리(33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선회용 HST(250)의 펌프 축이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210)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상기 작업기계 출력축(240)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용 HST(221)의 모터 축에 작동 연결되어 있고, 또한, 도 13~도 14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200)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2~도 14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기계 출력축(240)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에는 상기 예취부(4)로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출력하기 위한 트랜스미션측 구동 풀리(245)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3 및 도 2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기계 출력축(240)은 상기 트랜스미션측 입력축(21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상기 트랜스미션측 입력 풀리(215)보다 차량 폭방향 타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스미션측 구동 풀리(245)는 상기 트랜스미션측 입력 풀리(215)보다 차량 폭방향 타방측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계 출력축(240)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트랜스미션측 구동 풀리(245)는, 도 12~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입력축(400)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에 무단 벨트(246)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입력축(400)은 상기 엔진(31)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좌측)에 있어서 차량 폭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기체는 상기 엔진(31)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체 프레임(2)에 세워서 설치된 예취 지지 프레임(2a)을 갖고 있다.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a)의 상부에는 파이프 형상의 회동 지점 부재(도시 생략)가 설치되고, 상기 예취 입력축(400)은 상기 회동 지점 부재에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내부 삽입되고, 상기 예취부(4)의 예취 프레임(29)(도 10 참조)이 상기 회동 지점 부재 주위에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다.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입력축(400)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의 단부에는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가 상기 무단 벨트(246)(도 12 참조)를 통해서 상기 트랜스미션측 구동 풀리(245)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한 상기 콤바인(1B)에 있어서 상기 연통 수단(38)은, 도 13~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 본체(310)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측면과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와 상기 엔진측 출력 풀리(330)에 의해 구획되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S)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엔진 본체(310)의 배기측 및 흡기측을 유체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엔진 출력축(320)으로부터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210)으로의 전동 구조 및 상기 작업기계 출력축(240)으로부터 상기 예취 입력축(400)으로의 전동 구조의 대형화 및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상기 엔진(31)에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를 부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측 출력 풀리(330) 및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연통 수단(38)의 근방에 난기가 체류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37)에 의해 환류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통 수단(38)은 차량 폭방향을 따라 바라봤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의 회전 동작에 의한 상기 연통 수단(38)의 냉각 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로부터 상기 연통 수단(38)을 향해서 효율적으로 바람이 보내지도록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405)는 상기 예취 입력축(400)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스부(405a)와, 상기 보스부(405a)를 둘러싸고 또한 상기 무단 벨트(246)가 감아 돌려지는 림부(405c)와, 상기 보스부(405a) 및 상기 림부(405c)를 연결하도록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405b)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405b) 각각이 날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1A,1B : 콤바인 3 : 주행부
4 : 예취부 5 : 탈곡부
6 : 선별부 20 : 예취 구동 입력 수단
20a : 예취 입력축 20b : 예취 입력 풀리
25 : 트랜스미션 31 : 엔진
31b : 실린더 블록 31c : 실린더 헤드
33 : 흡기 통로 35 : 배기 통로
37 :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38 : 연통 수단
40 : 냉각 수단 50 : 팬
51 : 보스부 52 : 림부
53 : 팬부 54 : 풍향판
200 : 트랜스미션 케이스 210 : 트랜스미션 입력축
215 : 트랜스미션측 입력 풀리 216 : 무단 벨트
220 : 변속 기구 221 : 주행용 HST
225 : 기어식 변속 기구 230 : 주행계 출력축
240 : 작업기계 출력축 245 : 트랜스미션측 구동 풀리
246 : 무단 벨트 310 : 엔진 본체
320 : 엔진 출력축 330 : 엔진측 출력 풀리
400 : 예취 입력축 405 :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

Claims (7)

  1. 엔진으로부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을 통해서 예취부에 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의 측방에 상기 엔진을 배치하고,
    상기 엔진에 상기 엔진의 배기계로부터 흡기계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키기 위한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과 상기 엔진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상기 배기계의 배기 통로와 상기 흡기계의 흡기 통로를 연통시키는 연통 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예취 구동 입력 수단은 예취 입력축과 상기 연통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예취 입력축에 고정 설치된 예취 입력 풀리를 구비하고,
    상기 예취 입력 풀리는 보스부와 림부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림부 사이를 연결하는 날개 형상의 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엔진과 상기 예취 입력 풀리 사이의 공간에 있어서 차량 폭방향을 따라 봤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예취 입력 풀리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에 상기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의 상기 연통 수단을 통과하는 재순환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삭제
  4. 삭제
  5. 주행기체의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에 지지된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엔진의 전방에 배치된 트랜스미션을 통해서 주행부로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출력되는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예취 입력축을 통해서 예취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콤바인으로서, 상기 엔진에는 배기측으로부터 흡기측으로 배기가스의 일부를 환류시키는 연통 수단을 포함하는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입력축은 상기 엔진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에 있어서 차량 폭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엔진은 실린더 블록 및 실린더 헤드를 포함하는 엔진 본체와,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엔진 본체에 지지된 엔진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출력축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에는 상기 엔진 출력축의 회전 동력을 상기 트랜스미션의 트랜스미션 입력축을 향해서 출력하기 위한 엔진측 출력 풀리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예취 입력축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의 단부에는 상기 트랜스미션에 있어서의 작업기계 출력축으로부터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입력하기 위한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연통 수단은 상기 엔진 본체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측면과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와 상기 엔진측 출력 풀리에 의해 구획되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에 있어서 차량 폭방향을 따라 바라봤을 때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는 자기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연통 수단을 향해 바람을 보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는 상기 예취 입력축의 차량 폭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를 둘러싸고 또한 무단 벨트가 감아 돌려지는 림부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림부를 연결하도록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의 각각이 날개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트랜스미션 케이스와,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로부터 차량 폭방향 타방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과,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에 입력된 회전 동력을 변속하는 변속 기구와, 상기 변속 기구에 의해 변속된 회전 동력을 상기 주행부를 향해서 출력하는 주행계 출력축과, 상기 주행계 출력축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동력에 동조한 차속 동조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상기 작업기계 출력축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측 출력 풀리는 상기 트랜스미션 입력축의 차량 폭방향 타방측의 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트랜스미션측 입력 풀리에 무단 벨트를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예취 입력측 종동 풀리는 상기 트랜스미션측 입력 풀리보다 차량 폭방향 타방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업기계 출력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트랜스미션측 구동 풀리에 무단 벨트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17028617A 2009-10-23 2009-12-08 콤바인 KR101770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4158 2009-10-23
JP2009244158A JP5595007B2 (ja) 2009-10-23 2009-10-23 コンバイン
PCT/JP2009/070524 WO2011048710A1 (ja) 2009-10-23 2009-12-08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55A KR20120085655A (ko) 2012-08-01
KR101770247B1 true KR101770247B1 (ko) 2017-08-22

Family

ID=4389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617A KR101770247B1 (ko) 2009-10-23 2009-12-08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95007B2 (ko)
KR (1) KR101770247B1 (ko)
CN (1) CN102469764B (ko)
WO (1) WO2011048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4197B (zh) * 2012-07-27 2016-10-21 Iseki Agricult Mach Combine harvesters
KR20150137955A (ko) * 2014-05-29 2015-12-0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6209137B2 (ja) * 2014-07-24 2017-10-0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689126B2 (ja) * 2016-04-26 2020-04-2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制御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610A (ja) * 2004-03-26 2005-10-06 Kubota Corp 過給機付きエンジン
JP2008067634A (ja) 2006-09-13 2008-03-2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099593A (ja) * 2006-10-18 2008-05-0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461U (ko) * 1987-09-17 1989-03-22
JP2002235607A (ja) * 2001-02-09 2002-08-23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排気ガス再循環クーラ
WO2006011210A1 (ja) * 2004-07-29 2006-02-02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4891705B2 (ja) * 2006-08-28 2012-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8196315A (ja) * 2007-02-08 2008-08-28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610A (ja) * 2004-03-26 2005-10-06 Kubota Corp 過給機付きエンジン
JP2008067634A (ja) 2006-09-13 2008-03-27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8099593A (ja) * 2006-10-18 2008-05-0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55A (ko) 2012-08-01
JP2011087524A (ja) 2011-05-06
CN102469764B (zh) 2014-11-12
CN102469764A (zh) 2012-05-23
JP5595007B2 (ja) 2014-09-24
WO2011048710A1 (ja)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01055C (zh) 建筑机械
CN1069735C (zh) 发动机冷却装置及建筑机械
CN106465604B (zh) 联合收割机
KR101770247B1 (ko) 콤바인
JP2006246749A (ja) サイドディスチャージモーア
KR101506520B1 (ko) 콤바인
JP5139928B2 (ja) エンジンの吸気構造
JP2001199251A (ja) 作業車の原動部冷却構造
KR20170034790A (ko) 콤바인
JP2019054800A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CN110651592B (zh) 联合收割机的原动部构造
JP6447939B1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3774030B2 (ja) コンバイン
JP2014233214A (ja) コンバイン
JPH106796A (ja) コンバイン
JP2004237953A (ja) 草刈機の冷却構造
KR101965450B1 (ko) 콤바인
JP2019054799A (ja)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JP2010071154A (ja) コンバイン
JP2007046569A (ja) エンジン冷却装置
JP2014128207A (ja) コンバイン
JP2006254798A (ja) コンバイン
JP3705209B2 (ja) コンバインの通気構造
JP4716475B2 (ja) 農作業機
JP2006254800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