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665B1 - 썬바이저 - Google Patents

썬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665B1
KR101956665B1 KR1020170014500A KR20170014500A KR101956665B1 KR 101956665 B1 KR101956665 B1 KR 101956665B1 KR 1020170014500 A KR1020170014500 A KR 1020170014500A KR 20170014500 A KR20170014500 A KR 20170014500A KR 101956665 B1 KR101956665 B1 KR 101956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late
retainer
plate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766A (ko
Inventor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7001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6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5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차량 내부의 리테이너 구조의 일체화 및 리테이너에 결합되는 차양부의 구조변경을 통해 내구성 및 제작편의성을 개선한 썬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썬바이저는 차량에 결합되고 하부는 끝단이 후방 상부를 향해 고리형태로 절곡되어 회동공간을 형성하며, 끝단 및 끝단과 동일 수직선상의 상부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걸림턱 및 상부걸림턱들 각각이 형성되는 리테이너 및 플레이트 형태의 차양판 및 상기 차양판 일측에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공간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끼움유닛을 포함하는 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들 각각의 일부가 함몰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끼움판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썬바이저{SUN VISO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차량으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썬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사방에는 창문이 배치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지만 낮에는 직사광선으로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고 탑승자의 시야를 불편하게 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에 썬바이저를 설치하여 빛이 차량 내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썬바이저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차량의 실내에 밀착 배치되고 직사광선이 차량의 내부로 입사되는 경우 회동을 통해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회동구조의 내구성 및 제작편의성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7797호는 자동차의 실내 천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썬바이저 조립체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56240호는 썬바이저의 각도 이하로 햇빛이 반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량용 썬바이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햇빛의 반사를 개선하는 기능은 개시하고 있지만, 회동하는 썬바이저의 내구성 개선 및 제작편의성을 개선하는 기술은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한 구조를 통해 내구성 및 제작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발명을 필요로 한다.
차량 내부의 리테이너 구조의 일체화 및 리테이너에 결합되는 차양부의 구조변경을 통해 내구성 및 제작편의성을 개선한 썬바이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썬바이저는 차량에 결합되고 하부는 끝단이 후방 상부를 향해 고리형태로 절곡되어 회동공간을 형성하며, 끝단 및 끝단과 동일 수직선상의 상부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걸림턱 및 상부걸림턱들 각각이 형성되는 리테이너 및 플레이트 형태의 차양판 및 상기 차양판 일측에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공간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끼움유닛을 포함하는 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들 각각의 일부가 함몰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끼움판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끼움유닛은 상기 끼움판들을 상기 상부 및 하부걸림턱들과 밀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끼움판들 사이에 형성된 곡면이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판의 상부면은 상기 차양판의 수평선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유닛은 상기 끼움판들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회동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판이 회동하여 전방을 커버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판들 각각은 상기 하부걸림턱 및 상기 상부걸림턱과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 후방의 측면돌기 사이에 각각 밀착 배치되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양판이 회동하여 차량의 내부와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판들 각각은 상기 상부걸림턱 및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 하부의 하부돌기와 상기 측면돌기 사이에 각각 밀착 배치되어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테이너의 회동공간에 형성되는 상하부의 걸림턱들은 리테이너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작편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하부의 걸림턱들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길이는 회동공간에 삽입되는 차양부의 끼움유닛의 끼움판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차양부를 특정 각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리테이너의 회동공간에 끼움유닛을 삽입시킨 후에는 차양부를 회동하는 동안 차양부가 리테이너와 쉽게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동공간의 내부에는 걸이부에서 회동공간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들이 형성되고, 끼움유닛이 특정각도로 회동하면 돌기들과 걸림턱들 사이에 끼움유닛이 배치되어 회동이 제한되므로 차량 주행 중에 차양부가 안정적으로 리테이너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걸이부의 하부에는 끼움유닛에 형성된 자석과 반대 극성을 띄는 자석이 배치되어 끼움유닛이 회동공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특정 각도로 회동된 끼움유닛이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도록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썬바이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썬바이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 및 5들은 도 2의 썬바이저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
도 6 및 7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썬바이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썬바이저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썬바이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썬바이저(10)는 차량의 내부에서 회동을 통해 햇빛을 차단하거나 실내로 햇빛을 통과시키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차양부(11) 및 차양부(11)의 일측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테이너(12)로 구성된다.
그리고 리테이너(12)는 차량 내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서포트커버(13), 서포트커버(13)의 하부에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체결부(14) 및 체결부(14)의 상단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하부로 일부가 돌출되고 상부를 향해 가압하면 하부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가진 가압부(15)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썬바이저(10)의 구조는 구성이 복잡하고 가압부(15)의 반복되는 구동으로 제작편의성 및 내구성이 낮으며 정비가 필요한 경우 리테이너(12)를 탈착시켜 정비하거나 교체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썬바이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썬바이저(100)는 리테이너(200) 및 차양부(600)를 포함한다.
썬바이저(100)는 차량 내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을 통해 외부의 빛을 반사하거나 실내로 통과시키며 리테이너(2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조 및 정비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리테이너(200)는 차량의 내부에 결합되고 하부는 끝단이 후방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고리형태로 양측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회동공간(20)을 형성하며, 리테이너(200)의 끝단 및 끝단과 동일 수직선상의 상부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200)는 걸이부(210), 체결부(220) 및 고정부(250)를 포함한다.
걸이부(210)는 체결바디(211), 고리유닛(212), 하부돌기(213) 및 측면돌기(214)를 포함한다.
걸이부(210)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회동공간(20)을 형성하는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체결바디(211)는 걸이부(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체결부(220)와 결합되며 하부를 향해 축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고리유닛(212)은 체결바디(211)에서 고리 형태로 절곡 연장되어 원통형의 회동공간을 형성하며, 회동공간(20)에 삽입되는 차양부(600)의 일측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측면돌기(213)는 고리유닛(212)의 측면에서 회동공간(20)을 향해 돌출되고, 회동공간(20)에서 고리유닛(212)의 내측면을 따라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하부돌기(213)는 고리유닛(212)의 하부에서 회동공간(20)을 향해 돌출되고, 회동공간(20)에서 고리유닛(212)의 내측면을 따라 일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체결부(220)는 제1 체결부재(230) 및 제2 체결부재(240)를 포함하고, 제2 체결부재(240)는 체결봉(241) 및 이탈방지턱(242)을 포함한다.
체결부(220)는 걸이부(21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차량 내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걸이부(210) 및 차양부(600)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1 체결부재(230)는 걸이부(210)의 상부 전방에 상하부로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체결부재(240)는 걸이부(210)의 상부 후방에서 나사형태로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체결봉(241)은 원통 형태로 걸이부(210)의 후방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이탈방지턱(242)은 체결봉(241)의 측면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날개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내부에 결합되면 리테이너(200)의 고정력을 증가시킨다.
고정부(250)는 하부걸림턱(251) 및 상부걸림턱(252)을 포함한다.
고정부(250)는 도 1의 종래의 썬바이저(10)의 가압부(15)와 대응되는 구조로써, 상하부로 탄성 구동되는 가압부(15)와 달리 리테이너(200)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구성 및 제작편의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하부걸림턱(251)은 걸이부(210)의 끝단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걸림턱(252)은 하부걸림턱(251)의 동일 수직선상 상부에 위치하고 걸이부(210)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차양부(600)는 차양판(610), 차양판홈(620) 및 끼움유닛(630)을 포함한다.
차양판(610)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차양판(610)의 일측에는 후방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된 차양판홈(620)이 형성되며, 차양판홈(620)에는 차양판홈(620)을 가로질러 차양판(610)의 일측을 연결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회동공간(2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끼움유닛(630)이 형성된다.
끼움유닛(630)은 끼움홈(631), 끼움판(632) 및 회동판(633)을 포함한다.
끼움홈(631)은 끼움유닛(63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의 일부가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끼움판(632)은 끼움홈(631)에서 서로 평행하게 플레이트 형태로 끼움유닛(63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회동판(633)은 끼움판(632)들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형태로 형성되며, 회동공간(20)에서는 고리유닛(212)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끼움판(632)들 사이에 형성되는 회동판(633)들의 길이는 하부돌기(213)와 측면돌기(214)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회동판(633)이 하부돌기(213) 및 측면돌기(214)와 밀착한 상태에서는 회동판(633)의 곡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하부돌기(213)와 측면돌기(214) 사이에 배치되므로 하부돌기(213)와 측면돌기(214) 사이에 배치되는 회동판(633)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끼움판(632)의 표면은 차양판(610)의 수평선상과 전방 하부를 향해 소정의 삽입각도(50)로 회전된 상태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끼움판(632)들 사이의 거리는 하부걸림턱(251)과 상부걸림턱(252)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길이(40)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차양판(610)의 상부에 손바닥을 밀착시키고 엄지손가락은 차양판(610)의 하부를 밀착시키는 안정적인 파지상태에서 끼움유닛(630)을 회동공간(20)에 삽입할 수 있다.
전방에 위치한 회동판(633)이 측면돌기(214)과 접촉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는 끼움유닛(630)과 차양판(610)이 결합되는 끼움유닛(630)의 양측면 중앙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회동축(30)을 축으로 끼움유닛(630)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끼움유닛(630)의 회동 중에는 서로 마주보는 회동판(633)들이 고리유닛(212)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회전하고 삽입길이(40)보다 끼움판(632)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끼움유닛(630)이 고리유닛(212)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전방의 회동판(633)의 중앙부분이 측면돌기(214)와 접촉된 특정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해당 사용자가 차양판(610)을 파지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끌어당겨 차양부(600)를 리테이너(200)에서 탈착할 수 있고, 차양부(600)가 리테이너(200)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차양부(600)가 쉽게 리테이너(2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양부(600)의 회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차양판(610)과 끼움판(632)의 수평선상들이 이루는 삽입각도(50)는 체결부(220)와 결합되는 차량 내부의 형태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5들은 도 2의 썬바이저의 구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는 차양판(610)을 잡고 회동축(3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차양판(610)을 소정의 각도(45~55도)로 회전시키면 후방에 위치한 회동판(633)은 하부걸림턱(251)을 지나 하부돌기(213)와 밀착되며, 끼움판(632)들은 측면돌기(214) 및 상부걸림턱(252)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어 차양판(61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의 빛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끼움유닛(630) 전방의 회동판(633)은 측면돌기(214)와 상부걸림턱(252)으로 이동하면서 전방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며 고정되므로 해당 사용자는 차양판(6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위치를 손의 감각으로 편리하게 느낄 수 있고, 차량의 주행 중 차양판(6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끼움유닛(630)은 고리유닛(212), 하부걸림턱(251) 및 상부걸림턱(252)에 의해 회동공간(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차양판(61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는 차양판(610)을 잡고 회동축(30)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차양판(610)을 소정의 각도(45~55도)로 회전시켜 차양판(610)을 차량 내부에 밀착되도록 하고 빛을 실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의 회동판(633)은 상부걸림턱(252)과 밀착되고, 측면돌기(214)와 하부돌기(213) 사이에 끼움유닛(630) 전방의 회동판(633)이 배치되어 끼움유닛(630)이 상부걸림턱(252)과 측면돌기(214) 및 하부돌기(213) 사이에 강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썬바이저(100)의 차양판(610)은 차량 내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끼움유닛(630)과 고리유닛(212)의 결합구조를 통해 강하게 고정되므로 차량의 구동 또는 충격에 의한 진동에 의해 차양판(610)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빛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편리하게 차양판(610)을 잡고 회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7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썬바이저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썬바이저(120)는 회동판(633a, 633b)들 및 가이드판(212a)을 제외하면 도 2 내지 5들의 썬바이저(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유닛(630)은 회동판(633a, 633b)들을 포함하고, 고리유닛(212)은 가이드판(212a)을 포함한다.
가이드판(212a)은 회동공간(20)에서 측면돌기(214)와 하부걸림턱(251)의 사이에 배치되고, 극성을 가지는 자석으로 형성된다.
회동판(633a, 633b)들은 서로 동일한 극성의 자석들로 형성되고, 가이드판(212a)은 끼움유닛(630)의 회동판(633a, 633b)들과 반대의 극성의 자석으로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차양판(610)이 차량 내부의 천장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는 회동판(633a)이 가이드판(212a)과 자성력을 통해 서로의 위치를 유지하려는 결합력이 증가하여, 차양부(600)가 쉽게 리테이너(2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차양판(610)이 빛을 차단하는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회동판(633b)이 가이드판(212a)과 입접하도록 배치되어 회동판(633b)와 가이드판(212a)의 자성력에 의해 회동된 상태의 차양판(610)의 위치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회동판(633a, 633b)들 및 가이드판(212a)의 자성을 통해 차양판(610)의 회동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동판(633a 633b)들 각각은 서로 같은 극성의 자석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리유닛(212)의 가이드판(212a)은 회동공간(20)에서 측면돌기(214)에서 하부돌기(213)를 지나 하부걸림턱(251)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썬바이저 200: 리테이너
600: 차양부

Claims (8)

  1. 차량 내부에서 회동을 통해 빛을 반사 또는 통과시키는 썬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결합되고 하부는 끝단이 후방 상부를 향해 고리형태로 절곡되어 회동공간을 형성하는 걸이부 및 상기 걸이부의 끝단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하부걸림턱과 상기 하부걸림턱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리테이너;
    플레이트 형태의 차양판 및 상기 차양판 일측에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공간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끼움유닛을 포함하는 차양부; 및
    상기 걸이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차량 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들 각각의 일부가 함몰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걸림턱 및 상부걸림턱들 사이의 삽입길이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끼움판들 및 상기 끼움판들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형태의 회동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 걸이부 및 고정부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썬바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유닛은,
    상기 끼움판들을 상기 상부 및 하부걸림턱들과 밀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끼움판들 사이에 형성된 곡면이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썬바이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의 상부면은 상기 차양판의 수평선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어 전방 하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썬바이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이 회동하여 전방을 커버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판들 각각은 상기 하부걸림턱 및 상기 상부걸림턱과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 후방의 측면돌기 사이에 각각 밀착 배치되어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썬바이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이 회동하여 차량의 내부와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판들 각각은 상기 상부걸림턱 및 상기 리테이너의 내측면 하부의 하부돌기와 상기 측면돌기 사이에 각각 밀착 배치되어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썬바이저.
  7. 삭제
  8. 삭제
KR1020170014500A 2017-02-01 2017-02-01 썬바이저 KR101956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500A KR101956665B1 (ko) 2017-02-01 2017-02-01 썬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500A KR101956665B1 (ko) 2017-02-01 2017-02-01 썬바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66A KR20180089766A (ko) 2018-08-09
KR101956665B1 true KR101956665B1 (ko) 2019-03-12

Family

ID=6325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500A KR101956665B1 (ko) 2017-02-01 2017-02-01 썬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8982B (zh) * 2019-07-02 2024-04-02 福州市规划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可进行光导照明及自然通风的建筑智能遮阳系统
CN112440689A (zh) * 2020-11-04 2021-03-05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遮阳板固定座预安装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857A (ja) 1999-10-13 2001-04-17 Neoex Lab Inc 脱着式サンバイザの取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731B1 (ko) * 2001-07-02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구조
KR20060060341A (ko) * 2004-11-30 2006-06-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선바이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5857A (ja) 1999-10-13 2001-04-17 Neoex Lab Inc 脱着式サンバイザの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66A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8945B2 (ja) サンバイザーホルダー
KR101956665B1 (ko) 썬바이저
JPH0752646A (ja) 車両サンバイザのための旋回支承ブロック
JPWO2011058615A1 (ja) ヒンジ装置
JP2001247015A (ja) ワイパアームを構成するアームヘッドのヘッドカバー
JP2010126950A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2827482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ホルダ取付構造
WO2020085181A1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5198895B2 (ja) 扉用ハンドル
JPS6231657B2 (ko)
JPH01247679A (ja) ヒンジ
JP2601494Y2 (ja) ネジ固定型ホルダー
CN108146199A (zh) 一种便于安装式汽车遮阳板
CN220465193U (zh) 防眩目遮阳板
CN220687075U (zh) 一种自动旋转的门挡
JPH0641066U (ja) ケーブル固定機構
US11130390B2 (en) Vehicle sun visor
JP4318190B2 (ja) 棒状体連結具
JP3164942U (ja) ハンドル装置
KR200141382Y1 (ko) 차량용 보조 선바이저
JP3637115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の保持構造
KR200184258Y1 (ko) 보조 선바이저 장치
JP3095423U (ja) 車両用日除けカバー
JP2004122985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101627599B1 (ko)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