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599B1 -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599B1
KR101627599B1 KR1020140152194A KR20140152194A KR101627599B1 KR 101627599 B1 KR101627599 B1 KR 101627599B1 KR 1020140152194 A KR1020140152194 A KR 1020140152194A KR 20140152194 A KR20140152194 A KR 20140152194A KR 101627599 B1 KR101627599 B1 KR 10162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late
hinge
fixing memb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207A (ko
Inventor
윤정빈
Original Assignee
(주)이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룸텍 filed Critical (주)이룸텍
Priority to KR102014015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5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59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선바이저의 거울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판(2); 거울(3)이 내부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이 차량의 탑승자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일측에 결합된 핀(70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가로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거울고정부재(4); 상기 거울고정부재(4)가 상기 핀(70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가로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에 직교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힌지부재(600);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차양판(2)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재(60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삽입구멍(311)이 형성된 밑판(30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Sunvisor having rotatable mirror}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탑승자가 가로 방향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도 거울을 볼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바이저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전면 유리창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중 차내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시켜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운전석과 보조석의 천장에 하나의 축을 통해 피봇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전면 유리창을 부분적으로 가리도록 회전시켜 사용된다.
이러한 선바이저의 일측면에는 거울을 설치하여 운전자 및 승객이 자신의 얼굴을 비춰볼 수 있도록 하는 부수적인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종래의 선바이저는 차양판의 형상이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 가로 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차양판에 설치되는 거울도 가로 방향의 길이가 더 긴 거울이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량으로 출퇴근하거나 여행을 가는 경우에 차량의 실내에서 화장을 하는 등 차량의 탑승자가 선바이저에 구비된 거울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거울을 이용하는 경우 눈 주위를 거울을 통해 보는 경우 입 주위는 볼 수가 없어, 눈과 입을 각각 따로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선바이저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156360호 "자동차의 회전식 선바이저 거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156360호에 개시된 선바이저는 자동차의 차양판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거울을 반자동에 의해 사용자의 임의대로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눕히거나 세울 수 있는 자동차의 회전식 선바이저 거울을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 선바이저의 차양판 일측면에 내주면에 환형홈을 가지는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 거울이 부착되어 있는 회전판에는 상기 환형홈에 삽입되어 미끄럼결합되는 여러개의 후크가 형성되어 구성된 자동차의 회전식 선바이저 거울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상에 그 회전판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는 90。각도의 호형홈을 형성하고, 상기 차양판상에서 돌설되어 있는 걸림핀을 그 호형홈으로 돌출시켜 그 호형홈의 내측양단에 걸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회전판의 둘레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그 나사부에는 링크를 통해 솔레노이드의 플런저에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을 치합시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거울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되기는 하지만, 거울이 회전판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있어 거울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솔레노이드, 플런저, 링크, 피니언 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부품의 구성이 복잡하고, 이러한 구성들을 차양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많은 부품들이 필요하게 되며, 솔레노이드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이 연결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선바이저의 거울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판(2); 거울(3)이 내부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차양판(2)에 결합되는 거울고정부재(4);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이 탑승자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에 직교하는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거울고정부재(4)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힌지부재(600);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차양판(2)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재(60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삽입구멍(311)이 형성된 밑판(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울고정부재(4)는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이 탑승자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일측에 결합된 핀(700a,700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가로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울집(100)은, 상기 거울(3)의 배면(3a)을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울집 몸체(110)와, 상기 거울집 몸체(110)에서 상기 거울(3)의 가장자리 둘레를 둘러싸도록 돌출된 거울수용테두리(140)와, 상기 거울수용테두리(14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거울테결합돌기(141)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울테(200)는, 중앙부의 거울수용공간(201) 외측을 둘러싸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거울누름부(211)가 형성되는 거울테몸체(210)와, 상기 거울테몸체(210)에서 상기 거울집(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거울집결합테두리(220)와, 상기 거울테결합돌기(141)에 걸림되어 상기 거울집(100)과 거울테(2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거울테결합돌기(141)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거울집결합테두리(220)에서 돌출된 쐐기 형상의 거울집결합돌기(2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울집(100)의 일측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힌지연결부(120a,120b)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120a,120b)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핀삽입구멍(121a,1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700)은 상기 핀삽입구멍(121a,121b)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부재(600)에 형성된 핀결합구멍(611,612)에 삽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힌지연결부(120a,120b)는 상기 거울집(100)의 일측 단부 상하에 이격된 제1힌지연결부(120a)와 제2힌지연결부(1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삽입구멍(121a,121b)은 상기 제1힌지연결부(120a)에 형성된 제1핀삽입구멍(121a)과 상기 제2힌지연결부(120b)에 형성된 제2핀삽입구멍(12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결합구멍(611,612)은 상기 제1핀삽입구멍(121a)에 대응되는 제1핀결합구멍(611)과 상기 제2핀삽입구멍(121b)에 대응되는 제2핀결합구멍(6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700)은 상기 제1핀결합구멍(611)을 관통하여 상기 제1핀삽입구멍(121a)에 삽입되는 제1핀(700a)과 상기 제2핀결합구멍(612)을 관통하여 상기 제2핀삽입구멍(121b)에 삽입되는 제2핀(700b)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600)는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에 삽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회전축(620)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620)은 회전축몸체(620a,620b)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회전축걸림홈(621a,621b)과 상기 회전축몸체(620a,620b)의 단부에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회전축걸림부(622a,622b)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걸림홈(621a,621b)에는 고무링(800)이 결합되어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을 둘러싸는 밑판몸체(310)에는 상기 고무링(800)이 접촉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밑판(300)은,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밑판몸체(310)와, 상기 밑판몸체(310)의 저면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돌출된 밑판테두리(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울고정부재(4)를 수용하는 거울고정부재수용공간(412)을 둘러싸도록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고정판몸체(410)와, 상기 상고정판몸체(410)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밑판(300)을 둘러싸는 상고정판테두리(420)와, 상기 밑판(3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상기 상고정판몸체(410)에서 내측 하방향으로 절곡된 밑판누름부(412)로 이루어진 상고정판(400)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밑판(300)에는 상기 밑판몸체(310)의 측면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밑판돌기(330)가 형성되고, 상기 상고정판테두리(420)에는 상기 밑판돌기(330)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밑판돌기삽입구멍(421)이 관통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상고정판(400)의 상고정판테두리(420)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하고정판걸림부(422)가 형성되어 있고; 평판으로 이루어진 하고정판몸체(510)와, 상기 하고정판몸체(5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 하고정판테두리(520)와, 상기 하고정판테두리(52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삽입공간(531a)이 형성되도록 'ㄷ'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차양판결합부(530a,530b)로 이루어진 하고정판(500)이 구비되며; 상기 하고정판(500)은 상기 차양판(2)의 결합홈(2a)에 일체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밑판몸체(310)는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을 기준으로 상기 거울(3)이 위치되는 측과 반대되는 측에 밑판몸체연장부(31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거울고정부재(4)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전허용공간(2c)을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핀결합구멍(611,612)은, 상기 힌지부재(600)의 힌지몸체(6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핀(700)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입구부(611a,612a)와, 상기 입구부(611a,612a)의 내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된 가변부(611b,612b)와, 상기 가변부(611b,612b)의 내측 단부에서 원통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핀(700)이 압입되는 말단부(611c,612c)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에 의하면, 선바이저의 거울을 가로 방향 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도 탑승자가 자유로이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선바이저의 거울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한 상고정판, 하고정판, 밑판, 거울집, 거울테를 돌기에 걸림되는 구성으로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선바이저의 조립 공정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힌지부재와 밑판의 결합 부위에 고무링을 개재시킴으로써 거울고정부재가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하게 되고, 반복된 회전으로 인한 힌지부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바이저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4(a),(b),(c),(d)는 본 발명의 거울집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A-A단면도와 B-B단면도 및 저면도
도 5(a),(b),(c),(d)는 본 발명의 거울테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C-C단면도와 D-D단면도 및 저면도
도 6(a),(b),(c),(d)는 본 발명의 밑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E-E단면도와 F-F단면도 및 저면도
도 7(a),(b),(c)는 본 발명의 상고정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G-G단면도와 H-H단면도 및 저면도
도 8(a),(b),(c)는 본 발명의 하고정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I-I단면도와 J-J단면도
도 9(a),(b),(c)는 본 발명의 힌지부재를 보여주는 도면과 K-K단면도와 L-L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바이저에서 거울 및 거울고정부재가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바이저의 배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선바이저(1)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판(2), 거울(3)이 내부에 고정결합된 거울고정부재(4), 상기 거울고정부재(4)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부재(600), 상기 힌지부재(60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밑판(300), 상기 밑판(300)을 상기 차양판(2)의 전면(2b) 방향으로 눌러 고정하는 상고정판(400), 상기 차양판(2)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상고정판(400)이 걸림결합되는 하고정판(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양판(2)은 차량의 실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차체에 힌지 구조로 연결되어 있어,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차양판(2)을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선회시킴으로써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 중앙부에는 거울(3), 거울고정부재(4), 힌지부재(600), 밑판(300), 상고정판(400), 하고정판(500)이 수용되는 수용홈(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차양판(2)의 배면(2a)이란 햇빛을 가리기 위해 선바이저(1)를 하향 선회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탑승자에게 보이는 면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거울고정부재(4)는 거울(3)이 그 내부에 고정결합되어 있어, 상기 거울(3)과 거울고정부재(4)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거울고정부재(4)는, 상기 거울(3)의 배면(3a)을 지지하는 거울집(100)과, 상기 거울(3)의 가장자리를 상기 거울집(100) 측으로 누르는 거울누름부(211)가 형성되되 상기 거울집(1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거울테(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울(3)은 거울집(100)의 거울수용테두리(140) 내부에서 거울(3)의 배면(3a)이 거울집몸체(110)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거울(3)의 가장자리가 거울테(200)의 거울누름부(211)에 의해 거울집(100) 방향으로 눌러짐으로써 거울(3)이 거울집(100)과 거울테(200)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거울테(200)의 거울집결합테두리(220)에는 거울집결합돌기(2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울집(100)의 거울수용테두리(140)에는 거울테결합돌기(141)가 상기 거울집결합돌기(221)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거울집결합돌기(221)와 거울테결합돌기(141)가 서로 걸림됨으로써 거울집(100)과 거울(3) 및 거울테(200)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거울집(100)의 일측에는 힌지연결부(120a,120b)가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고, 상기 힌지연결부(120a,120b)에는 도 2의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핀삽입구멍(121a,1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삽입구멍(121a,121b)에 삽입된 핀(700a,700b)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거울집(100)과 거울(3) 및 거울테(200)가 반시계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부재(600)에 결합된다.
상기 핀(700a,700b)은, 제1핀삽입구멍(121a)에 삽입되는 제1핀(700a)과, 제2핀삽입구멍(121b)에 삽입되는 제2핀(700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양판(2)의 배면(2a)이 차량의 탑승자를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거울(3) 및 거울고정부재(4)를 반시계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회전된 상태에서 거울고정부재(4)는 차양판(2)의 배면(2a)에 직교하는 회전축(62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힌지부재(600)가 거울고정부재(4)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재(600)는 밑판(300)에 결합되는데, 상기 밑판(300)의 밑판몸체(310)에는 힌지삽입구멍(311)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에 힌지부재(600)의 회전축(620)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재(600)는 상기 회전축(62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밑판(300)은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거울테(200)의 거울테몸체(210)가 밑판몸체(310)의 상면에 지지되고, 거울집(100)의 몸체테두리(130)의 단부가 밑판몸체(310)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밑판몸체(31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하향 돌출된 밑판테두리(3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밑판테두리(320)의 하단부는 하고정판(500)의 하고정판몸체(510)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밑판몸체(310)의 상면은 상고정판(400)의 밑판누름부(412)에 의해 눌러져 상기 밑판(300)이 차양판(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밑판몸체(310)의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밑판돌기(3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밑판돌기(330)는 상기 상고정판(400)의 상고정판테두리(420)에 관통 형성된 밑판돌기삽입구멍(421)에 삽입되어 걸림됨으로써, 상기 상고정판(400)과 밑판(300)이 걸림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상고정판테두리(420)의 하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쐐기형상으로 돌출된 하고정판걸림부(4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고정판(500)에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삽입공간(531a)이 형성된 차양판결합부(53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고정판걸림부(422)가 상기 삽입공간(531a)에 삽입되어 차양판결합부(530a)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상기 상고정판(400)이 하고정판(500)에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차양판(2)에는 상기 차양판결합부(530a)에 대응하는 형상이 형성되어 상기 하고정판(500)이 상기 차양판(2)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거울집(100), 거울테(200), 밑판(300), 상고정판(400), 하고정판(500)이 돌기형상(141,221,330,422)에 의한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해진다.
도 4(a),(b),(c),(d)는 본 발명의 거울집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A-A단면도와 B-B단면도 및 저면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울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거울집(100)은, 상기 거울(3)의 배면(3a)을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울집 몸체(110)와, 상기 거울집 몸체(110)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하향 돌출된 몸체 테두리(130)와, 상기 거울집 몸체(110)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되 공간부(121c)를 사이에 두고 상하 이격되어 형성된 제1힌지연결부(120a)와 제2힌지결합부(120b), 거울수용부(150)에 수용된 거울(3)의 가장자리 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거울집 몸체(1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거울수용테두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120a)에는 상기 제1핀(700a)이 삽입되는 제1핀삽입구멍(121a)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힌지결합부(120b)에는 상기 제2핀(700b)이 삽입되는 제2핀삽입구멍(121b)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울수용테두리(140)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거울테결합돌기(141)가 각 변에 복수 개 형성되어 있어, 거울집(200)에 형성된 거울집결합돌기(221)에 걸림결합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거울수용테두리(140)의 내부에는 거울집 몸체(11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스페이서(111)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스(111)에 의해 거울(3)이 거울집 몸체(11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 5(a),(b),(c),(d)는 본 발명의 거울테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C-C단면도와 D-D단면도 및 저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울테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거울테(200)는, 중앙부의 거울수용공간(201) 외측을 둘러싸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거울누름부(211)가 형성되는 거울테몸체(210)와, 상기 거울테몸체(210)에서 상기 거울집(100)을 향하는 방향(즉, 도 2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거울집결합테두리(220)와, 상기 거울테결합돌기(141)에 걸림되어 상기 거울집(100)과 거울테(2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거울테결합돌기(141)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거울집결합테두리(220)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거울집결합돌기(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울테몸체(210)는 사각형의 링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거울누름부(211)는 상기 거울테몸체(210)의 내측 단부에 상기 거울테몸체(210)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울집결합돌기(221)는 상기 거울집결합테두리(220)의 각 변마다 복수개 형성되어 있되, 서로 마주보는 변에는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6(a),(b),(c),(d)는 본 발명의 밑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E-E단면도와 F-F단면도 및 저면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밑판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밑판(300)은,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밑판몸체(310)와, 상기 밑판몸체(310)의 저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된 밑판테두리(320)와, 상기 밑판몸체(310)의 측면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밑판돌기(330)와, 상기 밑판몸체(31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리브(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밑판몸체(310)의 중앙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위치에는 힌지부재(600)의 회전축(620)이 삽입되는 힌지삽입구멍(31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판몸체(310)는,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의 중심으로 지나는 수직선(도 6(a)기준)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거울(3)이 결합된 거울고정부재(4)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울고정부재지지부(313)가 되고, 타측에는 거울고정부재지지부(313)로부터 연장된 밑판몸체연장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판몸체연장부(312)가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을 기준으로 L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있어, 상기 거울고정부재(4)가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에 직교하는 축인 회전축(620)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전허용공간(2c)을 형성시킨다.
도 7(a),(b),(c)는 본 발명의 상고정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G-G단면도와 H-H단면도 및 저면도로서,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고정판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고정판(400)은, 거울고정부재(4)를 수용하는 거울고정부재수용공간(412)을 둘러싸도록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고정판몸체(410)와, 상기 상고정판몸체(410)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밑판(300)을 둘러싸는 상고정판테두리(420)와, 상기 밑판(3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상기 상고정판몸체(410)에서 내측 하방향으로 절곡된 밑판누름부(412)와, 상기 상고정판테두리(420)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밑판돌기(330)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밑판돌기삽입구멍(421)과, 상기 상고정판테두리(42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하고정판걸림부(4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밑판돌기삽입구멍(421)은 상기 상고정판테두리(420)의 둘레를 따라 각 변부에 복수개가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변에는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하고정판걸림부(422)는, 가로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형성되어 상기 상고정판몸체(410)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제1하고정판걸림부(422a)와, 세로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하고정판걸림부(422a)보다 적게 돌출된 쐐기 형상의 제2하고정판걸림부(4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고정판몸체(410)에는 거울(3)을 사이에 두고 힌지부재(600)와 대향되는 측에 손잡이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홈(411)은 상고정판몸체(41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거울(3) 및 거울고정부재(4)를 핀(700a,700b)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손가락을 넣을 수 있어 회전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8(a),(b),(c)는 본 발명의 하고정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I-I단면도와 J-J단면도로서,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고정판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하고정판(500)은, 평판으로 이루어진 하고정판몸체(510)와, 상기 하고정판몸체(5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되어 내부에 수용공간(511)을 형성하는 하고정판테두리(520)와, 상기 하고정판테두리(52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삽입공간(531a)이 형성되도록 'ㄷ'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차양판결합부(530a,53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양판결합부(530a,530b)는, 가로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된 제1차양판결합부(530a)와, 세로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형성된 제2차양판결합부(53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양판결합부(530a,530b)에는 'ㄷ'자 단면의 내부공간인 삽입공간(531a,531b)에 하고정판걸림부(422)가 삽입되어 걸림결합됨으로써, 상기 상고정판(400)이 하고정판(500)에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a),(b),(c)는 본 발명의 힌지부재를 보여주는 도면과 K-K단면도와 L-L단면도로서,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힌지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힌지부재(600)는, 제1핀(700a)과 제2핀(700b)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1핀결합구멍(611)과 제2핀결합구멍(612)이 양측단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된 힌지몸체(610)와, 상기 힌지몸체(610)의 중앙부에서 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에 삽입되는 회전축(6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620)은, 중앙부의 이격공간(60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힌지몸체(610)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회전축몸체(620a)와 제2회전축몸체(620b), 상기 제1,제2회전축몸체(620a,620b)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제1,제2회전축걸림홈(621a,621b)과, 상기 제1,제2회전축몸체(620a,620b)의 단부에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제1,제2회전축걸림부(622a,6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부재(600)의 제1,제2회전축걸림홈(621a,621b)가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에 위치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부재(600)가 상기 회전축(620)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핀결합구멍(611)과 제2핀결합구멍(612)은, 힌지몸체(6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입구부(611a,612a)와, 상기 입구부(611a,612a)의 내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된 가변부(611b,612b)와, 상기 가변부(611b,612b)의 내측 단부에서 원통형상으로 연장된 말단부(611c,61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구부(611a,612a)는 제1핀(700a)과 제2핀(700b)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핀(700a)과 제2핀(700b)이 입구부(611a,612a)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한편,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변부(611b,612b)는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되어 있어 제1핀(700a)과 제2핀(700b)이 가변부(611b,612b)에서는 용이하게 삽입되나, 말단부(611c,612c)로 갈수록 압입이 되어, 조립은 용이하되 이탈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바이저에서 거울 및 거울고정부재가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상태도이다.
선바이저(1)의 차양판(2)의 배면(2a)이 차량의 탑승자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거울(3)이 거울집(100)의 거울집 몸체(110)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핀(700a,700b)은 차양판(2)의 배면(2a)과 수평한 방향으로서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를 갖도록 거울고정부재(4)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상태에서 핀(700a,700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 2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이하 '가로 방향 회전'이라 함) 도 10(a)에서와 같이 거울(3) 및 거울고정부재(4)가 가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한 가로 방향으로의 회전과 동시에 거울(3) 및 거울고정부재(4)를 힌지부재(600)의 회전축(62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360도 회전 가능하므로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0(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거울(3)의 전면이 탑승자를 향하도록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거울(3)이 가로 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도 10(b)의 상태에서 거울(3)의 전면이 탑승자를 향하도록 방향을 전환시키되 거울(3)과 거울고정부재(4)를 힌지부재(600)를 회전 중심으로 도 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이하 '세로 방향 회전'이라 함) 도 10(d)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거울(3)이 세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어 탑승자가 눈 부터 입까지 동시에 볼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물론, 도 10(b)의 상태에서 거울(3)과 거울고정부재(4)를 핀(700a,700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도 10(d)와 같이 거울(3)의 반사면이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힌지부재(600)의 회전축걸림홈(621a,621b)에는 고무링(80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무링(800)이 결합된 힌지부재(600)의 회전축(620)을 힌지삽입구멍(311)에 삽입하면,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을 둘러싸는 밑판몸체(310)에는 고무링(800)이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부재(600)와 밑판(300)의 결합 부위에 고무링(800)을 개재시킴으로써 거울고정부재(4)가 힌지부재(600)를 중심으로 원활히 회전하게 되고, 반복된 회전으로 인한 힌지부재(60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거울(3)과 거울고정부재(4)가 핀(700a,700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가로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힌지부재(600)의 회전축(62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가로 방향의 회전을 이루어지지 않고 힌지부재(600)의 회전축(62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세로 방향의 회전만 이루어지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세로 방향의 회전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세로 방향의 회전 시 거울고정부재(4)가 차양판(2)의 몸체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하고, 차양판(2)의 배면이 탑승자를 향하도록 하향 회전시켰을 때 거울의 전면이 탑승자를 향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거울고정부재(4)가 회전시 차양판(2)의 몸체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거울고정부재(4)의 저면이 차양판(2)의 배면(2a)보다 더 높은 위치로 튀어 나오는 방법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선바이저 2 : 차양판
3 : 거울 4 : 거울고정부재
100 : 거울집 110 : 거울집 몸체
120a, 120b : 힌지연결부 121a, 121b : 핀삽입구멍
130 : 몸체 테두리 140 : 거울수용테두리
150 : 거울수용부 200 : 거울테
201 : 거울수용공간 210 : 거울테몸체
211 : 거울누름부 220 : 거울집결합테두리
221 : 거울집결합돌기 300 : 밑판
310 : 밑판몸체 311 : 힌지삽입구멍
320 : 밑판테두리 330 : 밑판돌기
340 : 리브 400 : 상고정판
410 : 상고정판몸체 412 : 밑판누름부
420 : 상고정판테두리 421 : 밑판돌기삽입구멍
422 : 하고정판걸림부 500 : 하고정판
510 : 하고정판몸체 520 : 하고정판테두리
530a,530b : 차양판결합부 600 : 힌지부재
610 : 힌지몸체 611 : 제1핀결합구멍
612 : 제2핀결합구멍 620 : 회전축
620a,620b : 회전축몸체 621a,621b : 회전축걸림홈
622a,622b : 회전축걸림부 700a,700b : 핀
800 : 고무링

Claims (13)

  1.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양판(2);
    거울(3)이 내부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차양판(2)에 결합되는 거울고정부재(4);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이 탑승자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에 직교하는 회전축(62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거울고정부재(4)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힌지부재(600);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차양판(2)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재(60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삽입구멍(311)이 형성된 밑판(300);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이 탑승자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차양판(2)의 배면(2a)과 수평한 방향으로서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를 갖는 핀(700a,700b)이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일측과 상기 힌지부재(600) 사이를 연결시켜, 상기 거울고정부재(4)는 상기 핀(700a,700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가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고정부재(4)는,
    상기 거울(3)의 배면(3a)을 지지하는 거울집(100)과,
    상기 거울(3)의 가장자리를 상기 거울집(100) 측으로 누르는 거울누름부(211)가 형성되되 상기 거울집(1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거울테(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집(100)은, 상기 거울(3)의 배면(3a)을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울집 몸체(110)와, 상기 거울집 몸체(110)에서 상기 거울(3)의 가장자리 둘레를 둘러싸도록 돌출된 거울수용테두리(140)와, 상기 거울수용테두리(14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거울테결합돌기(141)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울테(200)는, 중앙부의 거울수용공간(201) 외측을 둘러싸되 내측 가장자리에 상기 거울누름부(211)가 형성되는 거울테몸체(210)와, 상기 거울테몸체(210)에서 상기 거울집(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거울집결합테두리(220)와, 상기 거울테결합돌기(141)에 걸림되어 상기 거울집(100)과 거울테(2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거울테결합돌기(141)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거울집결합테두리(220)에서 돌출된 쐐기 형상의 거울집결합돌기(22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집(100)의 일측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힌지연결부(120a,120b)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연결부(120a,120b)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핀삽입구멍(121a,12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700a,700b)은 상기 핀삽입구멍(121a,121b)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부재(600)에 형성된 핀결합구멍(611,612)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120a,120b)는 상기 거울집(100)의 일측 단부 상하에 이격된 제1힌지연결부(120a)와 제2힌지연결부(1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삽입구멍(121a,121b)은 상기 제1힌지연결부(120a)에 형성된 제1핀삽입구멍(121a)과 상기 제2힌지연결부(120b)에 형성된 제2핀삽입구멍(12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핀결합구멍(611,612)은 상기 제1핀삽입구멍(121a)에 대응되는 제1핀결합구멍(611)과 상기 제2핀삽입구멍(121b)에 대응되는 제2핀결합구멍(6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700a,700b)은 상기 제1핀결합구멍(611)을 관통하여 상기 제1핀삽입구멍(121a)에 삽입되는 제1핀(700a)과 상기 제2핀결합구멍(612)을 관통하여 상기 제2핀삽입구멍(121b)에 삽입되는 제2핀(700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600)는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에 삽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회전축(620)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축(620)은 회전축몸체(620a,620b)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회전축걸림홈(621a,621b)과 상기 회전축몸체(620a,620b)의 단부에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회전축걸림부(622a,622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걸림홈(621a,621b)에는 고무링(800)이 결합되어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을 둘러싸는 밑판몸체(310)에는 상기 고무링(800)이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300)은, 상기 거울고정부재(4)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밑판몸체(310)와, 상기 밑판몸체(310)의 저면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돌출된 밑판테두리(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울고정부재(4)를 수용하는 거울고정부재수용공간(412)을 둘러싸도록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고정판몸체(410)와, 상기 상고정판몸체(410)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밑판(300)을 둘러싸는 상고정판테두리(420)와, 상기 밑판(3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누르도록 상기 상고정판몸체(410)에서 내측 하방향으로 절곡된 밑판누름부(412)로 이루어진 상고정판(40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300)에는 상기 밑판몸체(310)의 측면둘레를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밑판돌기(330)가 형성되고,
    상기 상고정판테두리(420)에는 상기 밑판돌기(330)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밑판돌기삽입구멍(421)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고정판(400)의 상고정판테두리(420)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하고정판걸림부(422)가 형성되어 있고;
    평판으로 이루어진 하고정판몸체(510)와, 상기 하고정판몸체(5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향 돌출된 하고정판테두리(520)와, 상기 하고정판테두리(520)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삽입공간(531a)이 형성되도록 'ㄷ'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차양판결합부(530a,530b)로 이루어진 하고정판(500)이 구비되며;
    상기 하고정판(500)은 상기 차양판(2)의 결합홈(2a)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몸체(310)는 상기 힌지삽입구멍(311)을 기준으로 상기 거울(3)이 위치되는 측과 반대되는 측에 밑판몸체연장부(31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거울고정부재(4)가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전허용공간(2c)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핀결합구멍(611,612)은, 상기 힌지부재(600)의 힌지몸체(6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핀(700a,700b)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입구부(611a,612a)와, 상기 입구부(611a,612a)의 내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된 가변부(611b,612b)와, 상기 가변부(611b,612b)의 내측 단부에서 원통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핀(700a,700b)이 압입되는 말단부(611c,612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KR1020140152194A 2014-11-04 2014-11-04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KR10162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194A KR101627599B1 (ko) 2014-11-04 2014-11-04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194A KR101627599B1 (ko) 2014-11-04 2014-11-04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07A KR20160052207A (ko) 2016-05-12
KR101627599B1 true KR101627599B1 (ko) 2016-06-13

Family

ID=5602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194A KR101627599B1 (ko) 2014-11-04 2014-11-04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5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854A (ja) * 2003-11-05 2005-06-16 Kyowa Sangyo Kk 車両用サンバイザ
WO2006051677A1 (ja) 2004-11-12 2006-05-18 Kyowa Sangyo Co., Ltd. 車両における化粧用ミラーの取付構造及び車両用サンバイザ
JP4249040B2 (ja) 2004-01-14 2009-04-02 共和産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12101623A (ja) * 2010-11-09 2012-05-31 Kyowa Sangyo Kk ミラー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1698A (ja) * 1987-10-09 1988-09-02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電磁波遮蔽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854A (ja) * 2003-11-05 2005-06-16 Kyowa Sangyo Kk 車両用サンバイザ
JP4249040B2 (ja) 2004-01-14 2009-04-02 共和産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ンバイザ
WO2006051677A1 (ja) 2004-11-12 2006-05-18 Kyowa Sangyo Co., Ltd. 車両における化粧用ミラーの取付構造及び車両用サンバイザ
JP2012101623A (ja) * 2010-11-09 2012-05-31 Kyowa Sangyo Kk ミラー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207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2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ES2456347T3 (es) Visera-parasol deslizante sobre barra
US6375339B2 (en) Lighting apparatus
US10232686B2 (en) Sun visor with slide on rod function
CN104937287A (zh) 用于盲固到支承体的制品
KR101627599B1 (ko) 회전 가능한 거울이 구비된 선바이저
ES2309345T3 (es) Parasol deslizante.
JP2005153854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H0370644B2 (ko)
KR101956665B1 (ko) 썬바이저
KR102223232B1 (ko) 소프트박스용 스피드링 조립체
WO2020085181A1 (ja) 車両用サンバイザ
US11110863B2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rear-view mirror
JPS6231657B2 (ko)
RU2712466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ый узел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1280315A (ja) クリップ
KR20200127656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CN219727969U (zh) 儿童安全座椅
JP5830401B2 (ja) コネクタを備えた補機用ブラケットの固定構造
CN214222864U (zh) 一种防水限位的转轴连接结构
CN214647523U (zh) 汽车遮阳伞
KR101155393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램프 조립체
JP2005335686A (ja) 扇子式遮光方法
KR100419073B1 (ko) 선바이저 장착장치
JP2020175773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