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088B1 -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088B1
KR101955088B1 KR1020170049757A KR20170049757A KR101955088B1 KR 101955088 B1 KR101955088 B1 KR 101955088B1 KR 1020170049757 A KR1020170049757 A KR 1020170049757A KR 20170049757 A KR20170049757 A KR 20170049757A KR 101955088 B1 KR101955088 B1 KR 101955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ur
softener
noodles
noodle
fil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888A (ko
Inventor
김진현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주)진앤현웰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앤현웰빙 filed Critical (주)진앤현웰빙
Priority to KR1020170049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08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은 최고의 맛과 식감을 갖는 우수한 국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국수는 우수한 건강보조식품 기능을 발휘하는 매우 뛰어난 장점 또한 갖는다.

Description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 {NOODLE PASTE COMPOSITION CONTAINING LOTUS SEED COMPONEN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NOOD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자 (蓮子, lotus seed)는 연꽃의 열매이다. 연은 연씨 (연자), 연꽃, 연줄기, 연잎, 연뿌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모든 부위가 한약의 재료로 이용되고 있을 만큼 건강 효능이 높은 식물이다. 특히 연자는 연꽃이 지고 난 후에 보이는 벌집 모양의 씨방 (연밥)에 담겨있는 연의 씨앗이며, 9월 내지 10월경에 검고 단단하게 익는다. 연자는 한의학에서 연자, 연실, 연자육 등 다양하게 불리는 약재이다.
건조된 연자 100g에는 니아신 0.60㎎, 나트륨 5.00㎎, 단백질 1.00㎎, 당질 8.00㎎, 비타민 B1 0.16㎎, 비타민 B2 0.02㎎, 비타민 B6 0.10㎎, 비타민 C 21.00㎎, 비타민 E 0.01㎎, 식이섬유 2.5g, 아연 12.00㎎, 엽산 14.00㎍, 인 46.00㎎, 지질 0.10g, 철분 2.2㎎, 칼륨 46.00㎎, 칼슘 14.00㎎ 및 회분 0.50g 등의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건조된 연자는 100g당 약 23kcal정도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특히 혈액순환을 도와 부인병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아스파라긴이 풍부하여 숙취제거에 효과적이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연자를 10 내지 30분 동안 볶아 연자를 이용하여 건강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하기 특허문헌 2에서는 연자를 이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하기 특허문헌 3에서는 연자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건강 보조식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4에서는 연잎 및 연줄기 세절물을 이용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 5에서는 연자를 이용하여 묵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연자를 이용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국수를 제조했을 때 씹는 질감 및 실온 보존성이 우수하도록 연자를 이용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85130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13694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5-0072650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97621호
특허문헌 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71483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연자를 이용하여 식품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국수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연자를 함유한 국수용 반죽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국수용 반죽 조성물은 연자 10 내지 40 중량%; 쌀가루 5 내지 20 중량%; 밀가루 30 내지 60 중량%; 및 물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국수용 반죽 조성물은 마가루 및 칡가루가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제1추가 혼합물 5 내지 10 중량%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국수용 반죽 조성물은 옥수수가루 및 메밀가루가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제2추가 혼합물 5 내지 10 중량%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국수의 제조방법은 연자를 분쇄하여 연자분쇄물을 제공하는 연자 분쇄단계 (a); 상기 연자분쇄물을 여과포대에 투입하고 가압하여 상기 여과포대를 통과한 여과물을 준비하는 여과단계 (b);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장치에 투입한 후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여과물로부터 점성을 갖는 연자원액을 분리하여 연자원액을 얻는 원심분리단계 (c); 상기 연자원액과 쌀가루, 밀가루 및 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d); 및 상기 단계 (d)의 혼합물을 국수 제조용 압출기에 넣고 가압하여 국수 면을 제조하는 단계 (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국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여과단계 (b)는 원심력을 이용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30분 내지 90분간 수행되며, 상기 원심분리단계 (c)는 1분당 4,400 내지 4,800회 회전의 회전속도로 30분 내지 90분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국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연자원액 10 내지 40 중량%, 쌀가루 5 내지 20 중량%, 밀가루 30 내지 60 중량% 및 물 1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은 최고의 맛과 식감을 갖는 우수한 국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국수는 우수한 건강보조식품 기능을 발휘하는 매우 뛰어난 장점 또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조공정도이다.
도 2a는 건조 전의 연자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2b는 건조된 연자를 세척하고 물에 불린 후 건져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물에 불린 연자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하는 사진이다.
도 4a는 분쇄기로 분쇄된 연자를 여과포대 (노란색)에 담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b는 여과포대에 담긴 연자를 여과장치의 덮개를 열어 여과장치에 투입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4b를 통하여 여과장치의 내부구조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c는 덮개가 덮힌 여과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a는 여과장치를 통하여 여과된 여과물이 파이프를 통하여 원심분리장치의 상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b는 여과물이 원심분리장치로 공급된 후의 사진이다.
도 6은 원심분리장치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여과물로부터 연자원액 (원심분리장치 내벽에 흰색으로 들러붙어 있는 것)이 추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
도 7은 원심분리를 통하여 얻은 연자원액을 회수하여 스테인리스 용기에 모아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연자를 이용하여 맛과 식감이 우수한 국수를 제조할 수 있는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조공정도이며, 상기 도 1의 공정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자를 함유하는 국수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꽃의 열매인 연자 (蓮子)를 세척 및 건조하여 건조된 연자를 준비한다.
도 2a는 건조 전의 연자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a의 상단에는 내부에 신선한 연자가 다수 개 박혀있는 연꽃의 열매인 초록색의 연밥이 나타나 있으며, 도 2a의 우측 하단 및 좌측 하단에는 각각 상기 연밥에서 분리된 신선한 초록색의 연자 및 이러한 연자에서 껍질을 분리한 상태의 흰색의 연자가 나타나 있다. 연자의 건조는 서늘한 그늘에서 약 1 내지 2주간 이루어지며, 자연상태의 건조뿐만 아니라 열풍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될 수도 있다.
도 2b는 건조된 연자를 맑은 물에 2~3회 정도 세척하고 깨끗한 물에 충분히 불린 후 건져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물에 불리는 시간은 약 10~12시간이 적당하며, 건조된 연자를 충분히 불리지 않으면, 후술하는 연자원액의 수득율이 낮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물에 충분히 불린 연자를 분쇄기 (맷돌)에 투입하여 연자를 곱게 분쇄한다. 이와 같은 분쇄단계는 약간의 물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분쇄된 연자분쇄물로부터 연자원액이 충분히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연자를 충분히 으깨어 분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와 같이 분쇄된 연자분쇄물은 여과포대에 투입된다. 상기 여과포대는 다공성의 다양한 자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목자루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분쇄기의 배출구에 여과포대인 광목자루가 곧바로 연결된 상태가 나타나 있으며, 도 4a는 상기 분쇄기로부터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자분쇄물을 작업자가 여과포대에 받아 담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목자루 등과 같은 여과포대는 연자분쇄물로부터 섬유질의 연자 잔여물이 충분히 걸러질 수 있도록 여과 틈이 작고 촘촘한 것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연자분쇄물이 담긴 여과포대의 입구를 단단히 봉하고, 이를 여과장치에 투입하여 연자 잔여물은 여과포대 내부에 잔류하고 여과포대 내부로부터 여과포대를 통하여 걸러진 여과물이 상기 여과포대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여과포대는 여과단계에서 필터의 역할을 하여 연자분쇄물로부터 잔여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도 4b는 입구가 봉해지고 내부에 연자분쇄물이 담긴 여과포대 2개를 여과장치에 투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c는 이러한 여과장치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여과장치의 내벽은 여과포대로부터 배출된 여과물이 여과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을 통하여 여과장치 외부로 배출된 여과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 등을 통하여 후술하는 원심분리장치로 공급된다.
이러한 여과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원심력에 의하여 충분히 여과물이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여과장치 내부에 지속적으로 맑은 물을 공급하면서 여과단계 즉, 여과장치의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여과는 대략 30분 내지 90분간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된 여과물은 충분한 양의 물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이며, 다음 공정인 원심분리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원심분리장치로 공급된다.
원심분리단계는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여과단계를 통하여 제공된 여과물이 곧바로 상기 원심분리장치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여과장치의 여과물 배출구로부터 상기 원심분리장치의 여과물 공급구 사이에 파이프 등을 연결하여 상기 여과장치로부터 배출된 여과물이 곧바로 상기 원심분리장치로 공급됨으로써 여과물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고, 작업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국수의 제조방법은 상기 여과단계 이후 원심분리단계 전에 여과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분순물을 한번 더 여과하여 제거해주는 제2 여과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여과장치를 통하여 여과된 여과물이 파이프를 통하여 원심분리장치의 상부로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a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원심분리장치 (사진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있는 원통형의 장치) 상부로 여과물이 투입되는 과정이 나타나 있으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여과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원심분리장치의 상부 투입구에 여과막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는 여과물이 원심분리장치로 공급된 후의 사진이다.
여과물이 원심분리장치 내부로 공급된 후, 원심분리장치의 상부 뚜껑을 덮고,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상기 원심분리단계는 1분당 4,400 내지 4,800회 회전의 회전속도로 30분 내지 90분간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심분리를 거쳐 상기 여과물로부터 연자원액이 추출된다.
도 6은 원심분리장치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여과물로부터 연자원액 (원심분리장치 내벽에 흰색으로 들러붙어 있는 것)이 추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원심분리장치의 고속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여과물로부터 추출된 연자원액이 원심분리장치 내벽에 들러붙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자원액은 점성을 지니게 되어 원심분리장치의 내벽 등에 들러붙거나 바닥에 침전되며, 이와 같이 분리된 연자원액 이외의 나머지 액체는 원심분리장치의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한다. 그 후, 상기 연자원액을 주걱 등으로 회수한다. 한편, 상기 베출 제거된 나머지 액체는 별도로 회수하여 다양한 식품 첨가제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원심분리를 통하여 얻은 연자원액을 회수하여 스테인리스 용기에 모아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와 같은 연자원액은 점성이 높고, 내부에 수분이 적은 상태이다.
한편, 이와 같이 준비된 연자원액을 쌀가루 및 밀가루와 혼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들 성분을 혼합할 때 물을 함께 넣고 반죽기를 이용하여 고르게 반죽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준비된 반죽을 국수 제조용 압출기에 넣고 가압하여 국수 면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연자원액 10 내지 40 중량%, 쌀가루 5 내지 20 중량%, 밀가루 30 내지 60 중량% 및 물 10 내지 20 중량%를 혼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자원액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연자 성분 특유의 영양 및 맛을 내기에 부족한 문제가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쌀가루 및 밀가루와의 고른 혼합력이 저하되고, 특히 국수를 제조했을 때 식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쌀가루는 국수의 씹는 쫄깃한 질감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하며,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국수의 쫄깃한 식감이 낮아지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국수의 점도가 저하되고 씹을 때 퍽퍽한 질감을 갖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밀가루는 중력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조된 국수가 탱글탱글한 윤기를 발휘하게 하며, 특히 더욱 찰진 맛을 나타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밀가루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국수의 윤기가 줄고 국수의 탱글탱글한 질감이 낮아지며,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밀가루 맛이 강해져 국수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죽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은 10 내지 20 중량%로 함유되며, 연자, 쌀가루 및 밀가루가 고르게 혼합될 수 있도록 미지근한 상온의 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국수용 반죽 조성물은 마가루 및 칡가루가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제1추가 혼합물 5 내지 10 중량%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추가 혼합물은 국수의 실온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제1추가 혼합물은 마가루 및 칡가루를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게 된다.
제1추가 혼합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국수의 실온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칡성분이 과다하여 국수가 쓴맛을 갖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국수용 반죽 조성물은 옥수수가루 및 메밀가루가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된 제2추가 혼합물 5 내지 10 중량%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추가 혼합물은 연자, 쌀가루 및 밀가루의 응집력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국수의 탄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제2추가 혼합물은 옥수수가루 및 메밀가루를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게 된다.
제2추가 혼합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국수의 탄력 향상 효과를 나타낼 수 없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국수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건조된 연자 1kg을 세척하고 맑은 물에 10시간 동안 침지하여 불렸다. 이와 같이 불린 연자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시켜 연자분쇄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 분쇄물을 1급 광목자루에 담고 광목자루의 입구를 봉한 후, 이를 회전 여과장치에 넣고 지속적으로 맑은 물을 여과장치에 공급하면서 여과장치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연자분쇄물을 여과시켜 여과물을 얻었다.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장치로 투입하고 약 4,400rpm으로 약 60분간 원심분리시켜 연자원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원액 300g을 쌀가루 100g, 밀가루 400g 및 물 1.5리터와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준비된 반죽을 국수면 제조용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여 국수 면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2 - 제1추가 혼합물 첨가
건조된 연자 1kg을 세척하고 맑은 물에 10시간 동안 침지하여 불렸다. 이와 같이 불린 연자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시켜 연자분쇄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 분쇄물을 1급 광목자루에 담고 광목자루의 입구를 봉한 후, 이를 회전 여과장치에 넣고 지속적으로 맑은 물을 여과장치에 공급하면서 여과장치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연자분쇄물을 여과시켜 여과물을 얻었다.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장치로 투입하고 약 4,400rpm으로 약 60분간 원심분리시켜 연자원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원액 300g을 쌀가루 100g, 밀가루 400g, 마가루 30g, 칡가루 30g 및 물 0.15리터와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준비된 반죽을 국수면 제조용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여 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 예 3 - 제2추가 혼합물 첨가
건조된 연자 1kg을 세척하고 맑은 물에 10시간 동안 침지하여 불렸다. 이와 같이 불린 연자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시켜 연자분쇄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 분쇄물을 1급 광목자루에 담고 광목자루의 입구를 봉한 후, 이를 회전 여과장치에 넣고 지속적으로 맑은 물을 여과장치에 공급하면서 여과장치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연자분쇄물을 여과시켜 여과물을 얻었다.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장치로 투입하고 약 4,400rpm으로 약 60분간 원심분리시켜 연자원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원액 300g을 쌀가루 100g, 밀가루 400g, 옥수수가루 30g, 메밀가루 30g 및 물 0.15리터와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준비된 반죽을 국수면 제조용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여 국수를 제조하였다.
비교 예 1 - 쌀가루 미포함
건조된 연자 1kg을 세척하고 맑은 물에 10시간 동안 침지하여 불렸다. 이와 같이 불린 연자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시켜 연자분쇄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 분쇄물을 1급 광목자루에 담고 광목자루의 입구를 봉한 후, 이를 회전 여과장치에 넣고 지속적으로 맑은 물을 여과장치에 공급하면서 여과장치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연자분쇄물을 여과시켜 여과물을 얻었다.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장치로 투입하고 약 4,400rpm으로 약 60분간 원심분리시켜 연자원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원액 300g을 밀가루 500g 및 물 0.15리터와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준비된 반죽을 국수면 제조용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여 국수 면을 제조하였다.
비교 예 2 - 밀가루 미포함
건조된 연자 1kg을 세척하고 맑은 물에 10시간 동안 침지하여 불렸다. 이와 같이 불린 연자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시켜 연자분쇄물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 분쇄물을 1급 광목자루에 담고 광목자루의 입구를 봉한 후, 이를 회전 여과장치에 넣고 지속적으로 맑은 물을 여과장치에 공급하면서 여과장치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연자분쇄물을 여과시켜 여과물을 얻었다.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장치로 투입하고 약 4,400rpm으로 약 60분간 원심분리시켜 연자원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얻은 연자원액 300g을 쌀가루 500g 및 물 0.15리터와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준비된 반죽을 국수면 제조용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여 국수 면을 제조하였다.
비교 예 3 - 밀가루만 포함
밀가루 800g을 물 0.15리터와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준비된 반죽을 국수면 제조용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여 국수 면을 제조하였다.
비교 예 4 - 쌀가루만 포함
쌀가루 800g을 물 0.15리터와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준비된 반죽을 국수면 제조용 압출기에 넣고 압출하여 국수 면을 제조하였다.
[조직특성 평가]
상기 실시 예 1 내지 3 및 비교 예 1 내지 4를 통하여 제조된 국수 면을 끓는 물에 삶은 후 이를 찬물에 냉각시켜 국수를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국수를 이용하여 조직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조직특성은 조직분석기 (texture analyzer) TA1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견고성, 탄력성, 응집성 및 씹힘성의 4가지 항목을 측정하였고, 측정 결과를 5등급 (1등급: 매우 우수, 2등급: 우수, 3등급: 보통, 4등급: 불량, 5등급: 매우 불량)에 걸쳐 나타내었다.
시료 견고성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실시 예 1 1 1 2 2
실시 예 2 1 1 2 2
실시 예 3 1 2 1 1
비교 예 1 3 3 3 3
비교 예 2 4 4 3 4
비교 예 3 3 3 4 3
비교 예 4 4 4 4 4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국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국수는 비교예 1 내지 4에 의하여 제조된 국수에 비하여 견고성, 탄력성, 응집성 및 씹힘성의 면에서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온보존성 평가]
상기 실시 예 1 내지 3 및 비교 예 1 내지 4를 통하여 제조된 국수 면을 끓는 물에 삶은 후 이를 찬물에 냉각시켜 국수를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제조된 국수를 25℃에 14일간 보관하면서 외관 및 냄새를 통하여 실온보존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는 곰팡이 형성 등으로 인하여 외관 또는 냄새에 이상이 발생하는 날짜를 표시하였음).
시료 실온 보존 기간 (일)
실시 예 1 10
실시 예 2 14
실시 예 3 10
비교 예 1 6
비교 예 2 5
비교 예 3 7
비교 예 4 6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국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국수는 비교예 1 내지 4에 의하여 제조된 국수에 비하여 실온 보존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국수의 경우 실온 보존성이 더욱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관능검사]
상기 실시 예 1 내지 3 및 비교 예 1 내지 4를 통하여 제조된 국수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관능검사는 10명의 성인남녀로 구성된 패널을 선정한 후 3회 실시하였으며, 각 요원에게는 실험의 목적을 설명하였고 세부항목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도록 지식과 용어설명을 훈련시킨 다음 실험에 임하도록 하였다. 평가내용은 국수에 관한 관능검사의 세부항목인 색상 (color), 맛 (taste), 씹는 질감 (texture) 및 전체적인 기호도 (overall preference)였으며, 관능검사표에 의해 9점 척도 (1점: 매우 나쁨, 5점: 보통, 9점: 매우 우수함)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색상 씹는 질감 전체 기호도
실시 예 1 8 8 8 8
실시 예 2 8 8 8 8
실시 예 3 8 8 9 9
비교 예 1 5 5 5 6
비교 예 2 5 6 5 5
비교 예 3 5 6 6 6
비교 예 4 5 5 5 5
상기 표 3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국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국수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관능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연자원액, 쌀가루, 밀가루, 옥수수가루, 메밀가루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연자원액 300g에 대하여 상기 쌀가루는 100g, 상기 밀가루는 400g, 상기 옥수수가루는 30g, 상기 메밀가루는 30g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물은 0.15리터가 혼합되며,
    상기 연자원액은 건조된 연자를 물에 침지하여 불린 연자를 분쇄기에 투입하여 분쇄시킴으로써 얻은 연자분쇄물을 광목자루에 담아 회전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회전 여과시킴으로써 상기 광목자루를 통과한 여과물을 수득한 후, 상기 여과물을 원심분리장치로 투입하여 4,400rpm으로 60분간 원심분리시켜 얻은 것이며,
    상기 옥수수가루 및 메밀가루는 상기 연자원액, 쌀가루 및 밀가루의 응집력을 향상시켜 국수의 탄력 증가시키며,
    견고성, 탄력성, 응집성 및 씹힘성이 향상된 국수용 반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49757A 2017-04-18 2017-04-18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 KR101955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57A KR101955088B1 (ko) 2017-04-18 2017-04-18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57A KR101955088B1 (ko) 2017-04-18 2017-04-18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88A KR20180116888A (ko) 2018-10-26
KR101955088B1 true KR101955088B1 (ko) 2019-03-07

Family

ID=6409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757A KR101955088B1 (ko) 2017-04-18 2017-04-18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0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79B1 (ko) * 2007-05-21 2008-06-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잎을 함유하는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483B1 (ko) * 2015-05-04 2015-11-24 (주)진앤현푸드 연자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연자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579B1 (ko) * 2007-05-21 2008-06-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잎을 함유하는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571483B1 (ko) * 2015-05-04 2015-11-24 (주)진앤현푸드 연자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연자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88A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2539A (zh) 一种滋补益气、均衡营养早餐糊及其制备方法
CN103976263B (zh) 一种排毒养颜保健面条及其制备方法
KR100733841B1 (ko) 탈모방지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N103988914B (zh) 一种冲泡型豆浆布丁粉及其制备方法
KR101585188B1 (ko) 홍시를 함유한 곶감 떡의 제조방법
CN104920995A (zh) 一种南瓜营养米及其制备方法
CN106722999A (zh) 一种胶原肽制备方法、包含其的低糖胶原养颜糕点及制备方法
CN101991169B (zh) 速溶性酸枣全营养果粉及其生产工艺
KR101955088B1 (ko) 연자를 포함하는 국수용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국수의 제조방법
CN106261502A (zh) 一种苦荞粉及其制备方法
KR100783325B1 (ko) 기능성 천연색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101890042B1 (ko) 홍삼커피 발효환 및 그 제조방법
KR100437724B1 (ko) 가루녹차를 이용한 과립차 제조방법
KR101571483B1 (ko) 연자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연자묵
KR20110096336A (ko) 식혜형 쌀두유의 제조방법
CN108497289A (zh) 一种金银花粽香风味蒸谷米的制作方法
CN108433049A (zh) 一种红心猕猴桃粉的制备方法
CN104585831B (zh) 一种银耳黄瓜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80102719A (ko) 보리잎분말 제조방법
KR20210109393A (ko) 익모초 식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5166619A (zh) 一种美容养颜红豆味蜂蜜干粉及其制备方法
CN106260284A (zh) 一种美容养颜红米茶的制备方法
KR20210051724A (ko)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KR20150094269A (ko) 베리를 함유한 검은콩 두부의 제조방법
KR102028042B1 (ko) 영양소가 풍부한 기능성 두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