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919B1 -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919B1
KR101952919B1 KR1020180085044A KR20180085044A KR101952919B1 KR 101952919 B1 KR101952919 B1 KR 101952919B1 KR 1020180085044 A KR1020180085044 A KR 1020180085044A KR 20180085044 A KR20180085044 A KR 20180085044A KR 101952919 B1 KR101952919 B1 KR 101952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gnetic steel
steel plate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식
정정숙
윤정희
Original Assignee
(주)쓰리바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바바 filed Critical (주)쓰리바바
Priority to KR1020180085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강판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홈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결합홈의 끝단부 부분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알루미늄 소재의 본체로부터 자성강판 소재로의 열전달량을 감소시켜 본체 바닥면의 온도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조리 시에 음식물이 본체의 바닥면에 달라붙지 않고, 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Heating cooker with excellent non stick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성강판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홈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구조로서, 인덕션 레인지 또는 가스 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음식의 조리시 본체 바닥면의 결합홈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전달량을 감소시켜 바닥면의 가열온도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조리 시에 음식물이 본체의 바닥면에 달라붙지 않고,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레인지는 기존의 가스레인지나 전기레인지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서 어떤 조리기기보다 안전하며 경제적이고 편리하며 깨끗하여 근래에 사용하는 가정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인덕션 레인지용 가열조리용기는 경량성을 위해 비교적 가벼운 비도전성의 알루미늄 재질로 된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자성 특성을 갖는 금속 소재로서 주로 스테인리스 강판을 일체형으로 부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인덕션 레인지용 가열조리용기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특허문헌 1에 공개된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는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의 조리용기 몸체(10)의 바닥면의 하부면에 자성강판(30)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이고, 특허문헌 2에 공개된 스테인레스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프라이팬은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의 조리용기 몸체(100)의 바닥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자성강판(200)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이고, 특허문헌 3에 공개된 스테인레스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로스터는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의 본체(110)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자성강판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에 알려진 가열조리용기들은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등록받은 특허들로서, 알루미늄 소재의 조리용기 몸체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또는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자성강판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로서, 인덕션 레인지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제조되어 있지만, 음식물의 조리 시에 바닥면이 쉽게 과열되어 가열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 시에 음식물이 본체의 바닥면에 쉽게 달라붙거나 또는 타서 음식물 고유의 맛과 향을 훼손하는 문제점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곤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의 가열조리용기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89722호(2009년 03월 20일 공고)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기구 특허문헌 2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70033호(2007년 10월 31일 공고) 스테인레스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프라이팬 특허문헌 3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88840호(2016년 01월 28일 공고) 스테인레스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로스터 및 그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자성강판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홈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구조로서, 인덕션 레인지 또는 가스 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음식의 조리시 본체 바닥면의 결합홈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전달량을 감소시켜 바닥면의 가열온도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조리 시에 음식물이 본체의 바닥면에 달라붙지 않고, 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10)로 이루어진 난스틱 특성을 갖는 가열조리용기(100)에 있어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의 외주연에 결합홈(22)이 형성된 본체(10)의 바닥면(20)과, 상기 결합돌기(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1)의 외주연에 돌출부(32)가 형성된 자성강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20)에 형성된 결합홈(22) 내에 자성강판(30)의 돌출부(32)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닥면(20)은 하부면(20b)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b)에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b)가 삽입되되, 결합홈(22b)의 깊이(h2')가 돌출부(32b)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닥면(20)은 상부면(20a)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에 상부 자성강판(30a)의 돌출부(32)가 삽입되되, 결합홈(22)의 깊이(h2)가 돌출부(32)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바닥면(20)은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22b)에 상부 자성강판(30a) 및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a)(32b)가 삽입되고,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2a)(22b)의 깊이(h2)(h2')가 돌출부(32a)(32b)의 높이(h1)(h1')보다 커서, 결합홈(22a)(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4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예의 가열조리용기에서, 바닥면(20)은 상부면(20a)의 결합홈(22a)의 깊이(h2)가 돌출부(32a)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가 형성되고, 하부면(20b)의 결합홈(22b)의 깊이(h2')와 돌출부(32b)의 높이(h1')가 동일하여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예의 가열조리용기에서, 바닥면(20)은 상부면(20a)의 결합홈(22a)의 깊이(h2)와 돌출부(32a)의 높이(h1)가 동일하여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고, 하부면(20b)의 결합홈(22b)의 깊이(h2')가 돌출부(32b)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b)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에 의하면, 자성강판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홈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구조로서, 인덕션 레인지 또는 가스 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음식의 조리시 본체 바닥면의 결합홈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바닥면으로 전달되는 열전달량을 감소시켜 바닥면의 가열온도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조리 시에 음식물이 본체의 바닥면에 달라붙지 않고, 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로서, 하부 자성강판이 바닥면의 하부면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가열조리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하부면과 하부 자성강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6은 도 4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하부면과 하부 자성강판이 결합된 후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로서, 상부 자성강판이 바닥면의 상부면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가열조리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과 상부 자성강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9는 도 7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과 상부 자성강판이 결합된 후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하부 자성강판이 바닥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가열조리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과 상부 및 하부 자성강판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12는 도 10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 및 하부면의 결합홈에 공간부가 각각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상부 및 하부 자성강판이 각각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의 결합홈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부 및 하부 자성강판이 각각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고, 하부면의 결합홈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중앙부인 A 부위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의 A 부분의 온도를 측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가열조리용기에서 음식을 조리한 후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과 조리한 음식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4 내지 도면 19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면 4 내지 도면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는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10)로 이루어진 난스틱 특성을 갖는 가열조리용기(100)에 있어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의 외주연에 결합홈(22)이 형성된 본체(10)의 바닥면(20)과, 상기 결합돌기(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1)의 외주연에 돌출부(32)가 형성된 자성강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20)에 형성된 결합홈(22) 내에 자성강판(30)의 돌출부(32)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면(20), 결합돌기(21), 결합홈(22), 관통공(31) 및 돌출부(32)'의 용어에 대한 괄호 내의 부호들은 도면에는 명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부호인 20a, 20b를 총칭하여 20이라 하고, 21a, 21b를 총칭하여 21이라 하고, 22a, 22b를 총칭하여 22라 하고, 30a, 30b를 총칭하여 30이라 하고, 31a, 31b를 총칭하여 31이라 하고, 32a, 32b를 총칭하여 32라 하였으며, 아래에서 기술되는 용어인 공간부(40)은 도면에 도시된 부호인 40a, 40b를 총칭하여 40이라 하였으며, 이들 각 부호들은 아래의 기술 내용에서 문맥의 흐름에 맞게 표기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바닥면(20)을 구분함에 있어서, '상부면(20a)'이라 함은 음식을 조리하는 면을 의미하고, '하부면(20b)'이라 함은 인덕션 레인지 또는 가스 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장치로부터 열원이 가해지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것으로, 바닥면(2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또는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자성강판(30)이 고정 결합되며, 본체(10)의 측면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의 특징은 도면 5 및 도면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바닥면(20)의 상부면(20a) 또는 하부면(20b)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22b)에 자성강판(30a)(30b)의 돌출부(32a)(32b)가 삽입되되, 이때 결합홈(22a)(22b)의 깊이(h2)(h2')가 돌출부(32a)(32b)의 높이(h1)(h1')보다 커서, 결합홈(22a)(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40b)를 형성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가열조리용기는 바닥면과 자성강판이 완전 밀착되어 결합되는 구조로서 열전달 효율이 높아 바닥면이 과열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가열조리용기는 결합홈의 끝단부 부분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알루미늄 소재의 본체로부터 자성강판 소재로의 열전달량을 감소시켜 바닥면의 가열온도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의 조리 시에 음식물이 본체의 바닥면에 달라붙지 않고, 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체(10)의 바닥면(20)은 도면 5, 도면 8, 도면 11 및 도면1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의 외주연에 결합홈(22)이 형성된 구조로서, 결합돌기(21)는 바닥면의 상부면(20a) 또는 하부면(20b)으로부터 일정 높이(t) 만큼 돌출된 구조로서, 본체(20)의 바닥면과 자성강판(30)을 일체형으로 결합시에 알루미늄 소재인 결합돌기(21)는 일정 높이(t) 만큼 돌출된 부분이 프레스 압착시 자성강판(30)의 외부에서 압착되어 결합력을 높여주고, 완벽히 결합되었을 때에는 가열조리기구(100)의 바닥면의 상부면(20a) 또는 하부면(20b)의 외면이 평평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자성강판(30)은 도면 4 및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 외주연에는 돌출부(32)가 형성된 구조로서, 돌출부(32)는 조리용기 본체(10)의 바닥면(20)의 상부면(20a)이나 하부면(20b) 또는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위치되게 결합 고정되어진다.
상기 조리용기 본체(10) 및 바닥면(20)은 일체화된 구조로서, 그 소재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 중에서 1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성강판(30)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철이 함유된 소재로서 자기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이 가능한 소재인 경우에는 모두 적용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의 바닥면(20)에 자성강판(30)이 고정 결합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본체(10) 및 바닥면(20)의 내면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불소코팅층(테프론코팅층) 또는 세라믹코팅층 등 다양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불소코팅층으로 형성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코팅층의 두께는 10~60 ㎛가 바람직하지만, 상기의 두께에만 반드시 한정되지 아니하고, 가열조리용기의 용도나 또는 수요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100)의 본체(10)의 바닥면(20)과 자성강판(30)의 결합구조는 도면 4 내지 도면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에 의해 고정결합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용기(100)는 도면 4 내지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0)은 하부면(20b)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b)에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b)가 삽입되는 구조이다.
이때, 결합홈(22b)의 깊이(h2')가 돌출부(32b)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b)가 형성되는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용기(100)는 도면 7 내지 도면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20)은 상부면(20a)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에 상부 자성강판(30a)의 돌출부(32)가 삽입되는 구조이다.
이때, 결합홈(22)의 깊이(h2)가 돌출부(32)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용기(100)는 도면 10 내지 도면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바닥면(20)의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22b)에 상부 자성강판(30a) 및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a)(32b)가 삽입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2a)(22b)의 깊이(h2)(h2')가 돌출부(32a)(32b)의 높이(h1)(h1')보다 커서, 결합홈(22a)(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40b)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용기(100)는 도면 10, 도면 13 및 도면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실시예의 가열조리용기에서, 바닥면(20)은 상부면(20a)의 결합홈(22a)의 깊이(h2)가 돌출부(32a)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가 형성되고, 하부면(20b)의 결합홈(22b)의 깊이(h2')와 돌출부(32b)의 높이(h1')가 동일하여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용기(100)는 도면 10, 도면 15 및 도면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실시예의 가열조리용기에서, 바닥면(20)은 상부면(20a)의 결합홈(22a)의 깊이(h2)와 돌출부(32a)의 높이(h1)가 동일하여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고, 하부면(20b)의 결합홈(22b)의 깊이(h2')가 돌출부(32b)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b)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른 가열주방용기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3 내지 5에 따른 가열주방용기는 본체 바닥면의 하부면(20b)에 자성강판이 결합된 구조이므로 인덕션 레인지 또는 가스 레인지와 같은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가열이 가능하지만, 실시예 2에 따른 가열주방용기의 경우에는 본체 바닥면의 하부면(20b)에는 자성강판이 결합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인덕션 레인지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일반적인 가스 레인지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는 알루미늄 소재의 가열조리용기의 본체의 바닥면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이나 하부면 및 상부면에 각각 스테인리스 소재의 자성강판을 일체형으로 결합시 통상적인 가공방법인 프레스 성형에 의해 가공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를 아래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가열조리용기의 제조
아래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8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가열조리용기에 사용한 본체 바닥면의 직경은 26cm, 두께는 3.0mm이고, 자성강판의 두께는 0.5mm이며, 자성강판 돌출부의 높이(h1)는 1.2mm이고, 결합홈의 깊이는 1.5mm(h2)이며, 결합돌기의 돌출 높이는 바닥판의 외면으로 부터 0.5mm인 것을 사용하여 가열조리용기를 각각 제조한 다음 본체의 외부에는 두께가 35㎛인 테프론 코팅을 하였다. 단 제조예 7 및 제조예 8의 가열조리용기는 본체 바닥면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의 결합홈의 깊이가 자성강판 돌출부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의 홈을 형성시킨 본체 바닥면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1)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의 가열조리용기의 본체의 바닥면의 하부면에 스테인리스 소재의 자성강판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킨 구조의 가열조리용기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의 가열조리용기의 본체의 바닥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스테인리스 소재의 자성강판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킨 구조의 가열조리용기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의 가열조리용기의 본체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스테인리스 소재의 자성강판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킨 구조의 가열조리용기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도면 4 내지 도면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바닥면(20)의 하부면(20b)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b)에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b)가 삽입되되, 결합홈(22b)의 깊이(h2')가 돌출부(32b)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b)가 형성되는 구조의 가열조리용기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도면 7 내지 도면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바닥면(20)의 상부면(20a)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에 상부 자성강판(30a)의 돌출부(32)가 삽입되되, 결합홈(22)의 깊이(h2)가 돌출부(32)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가 형성되는 구조의 가열조리용기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도면 10 내지 도면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바닥면(20)의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22b)에 상부 자성강판(30a) 및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a)(32b)가 삽입되고, 바닥면(20)의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2a)(22b)의 깊이(h2)(h2')가 돌출부(32a)(32b)의 높이(h1)(h1')보다 커서, 결합홈(22a)(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40b)가 형성되는 구조의 가열조리용기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도면 10, 도면 13 및 도면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바닥면(20)의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22b)에 상부 자성강판(30a) 및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a)(32b)가 삽입되고, 상부면(20a)의 결합홈(22a)의 깊이(h2)가 돌출부(32a)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가 형성되고, 하부면(20b)의 결합홈(22b)의 깊이(h2')와 돌출부(32b)의 높이(h1')가 동일하여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의 가열조리용기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8)
도면 10, 도면 15 및 도면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바닥면(20)의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22b)에 상부 자성강판(30a) 및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a)(32b)가 삽입되고, 바닥면(20)은 상부면(20a)의 결합홈(22a)의 깊이(h2)와 돌출부(32a)의 높이(h1)가 동일하여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고, 하부면(20b)의 결합홈(22b)의 깊이(h2')가 돌출부(32b)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b)가 형성되는 구조의 가열조리용기를 제조하였다.
2. 가열조리용기의 바닥판의 상부면(20a)의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 측정
가. 인덕션 레인지에 의한 온도 측정
제조예 1, 2 및 제조예 4, 제조예 6 내지 7에 따른 가열조리용기를 인덕션 레인지(상품명 : IH COOKING HEATER, 제조회사 : National) 위에 올려놓고, 스위치를 5단(7단 중 5단)으로 켠 다음 30초, 60초 및 90초 경과 후 도면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조리용기의 중앙부(A)의 부분을 대상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를 5회 측정한 결과 아래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내용과 같다.
측정횟수 비교예(℃)
1
(제조예 1의 가열조리용기)
2
(제조예 2의 가열조리용기)
30초 경과 60초 경과 90초 경과 30초 경과 60초 경과 90초 경과
1 125 179 214 146 207 245
2 132 191 219 151 207 246
3 135 186 222 156 215 251
4 130 184 220 151 209 249
5 135 193 225 138 198 237
평균 131.4 186.6 220.0 148.2 207.2 245.6
측정
횟수
실시 예(℃)
1
(제조예 4의
가열조리용기)
2
(제조예 6의
가열조리용기)
3
(제조예 7의
가열조리용기)
4
(제조예 8의
가열조리용기)
30초
경과
60초
경과
90초
경과
30초
경과
60초
경과
90초
경과
30초
경과
60초
경과
90초
경과
30초
경과
60초
경과
90초
경과
1 94 149 195 76 118 156 95 148 199 97 150 200
2 88 145 190 75 114 153 101 151 202 95 149 198
3 95 151 198 69 111 147 89 139 186 87 143 190
4 102 157 206 70 116 150 95 146 192 100 152 201
5 101 155 205 78 122 158 98 150 195 93 147 195
평균 96.0 151.4 198.8 73.6 116.2 152.8 95.6 146.8 194.8 94.4 148.2 196.8
상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내용에 의하면, 인덕션 레인지 위에 상기 1에서 제조한 가열조리용기를 올려놓고, 스위치를 켠 다음 30초, 60초 및 90초를 각각 경과한 후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평균온도는 비교예 1, 2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평균온도에 비해 각 측정 시간단위별로 평균온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가열조리용기에서, 바닥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공간부가 형성된 실시예 2의 가열조리용기가 바닥면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만 공기부가 형성된 실시예 1, 3 및 4의 가열조리용기에 비해 평균온도가 더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 가스 레인지에 의한 온도 측정
제조예 3 및 제조예 5에 따른 가열조리용기를 가스 레인지(상품명 : Portable Gas Stove, 제조회사 롯데알미늄(주)) 위에 올려놓고, 스위치를 2단(3단 중 2단)으로 켠 다음 30초, 60초 및 90초 경과 후 도면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조리용기의 중앙부(A)의 부분을 대상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를 5회 측정한 결과 아래 [표 3]에 기재된 내용과 같다.
측정횟수 비교예(℃) 실시 예(℃)
3
(제조예 3의 가열조리용기)
5
(제조예 5의 가열조리용기)
30초 경과 60초 경과 90초 경과 30초 경과 60초 경과 90초 경과
1 126 172 205 98 138 175
2 127 175 212 100 150 189
3 133 185 223 95 138 173
4 116 166 201 88 134 174
5 130 182 211 89 140 175
평균 126.4 176.0 210.4 94.0 140.0 177.2
상기 [표 3]에 기재된 내용에 의하면, 가스 레인지 위에 상기 1에서 제조한 가열조리용기를 올려놓고, 스위치를 켠 다음 30초, 60초 및 90초를 각각 경과한 후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5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평균온도는 비교예 3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평균온도에 비해 각 측정 시간단위별로 평균온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1] 내지 [표 3]에 기재된 내용에 의하면, 비교예 1 내지 3의 가열조리용기는 알루미늄 소재의 가열조리용기의 본체의 바닥면의 하부면이나 상부면 또는 하부면 및 상부면에 스테인리스 소재의 자성강판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킨 구조로서, 바닥면과 자성강판이 완전 밀착되어 결합됨으로써, 열전달 효율이 높아 바닥면이 과열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의 가열조리용기는 바닥면과 자성강판이 결합되는 결합홈의 끝단부 부분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알루미늄 소재의 본체로부터 자성강판 소재로의 열전달량을 감소시켜 본체 바닥면의 온도가 서서히 가열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도면 17은 본 실시예에 의해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온도를 측정하는 중앙부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18은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찍은 사진이다.
3. 음식 조리 후 바닥판 상부면(20a) 및 조리한 음식의 외관 평가
가. 인덕션 레인지의 사용에 의한 평가
인덕션 레인지 위에 상기 1에서 제조한 제조예 1,2 및 제조예 4, 제조예 6내지 8의 가열조리용기를 올려놓고, 스위치를 5단(7단 중 5단)으로 켠 다음 60초 경과 후 달걀 프라이를 조리한 결과를 찍은 사진은 도면 1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나. 가스 레인지의 사용에 의한 평가
가스 레인지 위에 상기 1에서 제조한 제조예 3 및 제조예 5의 가열조리용기를 올려놓고, 스위치를 2단(3단 중 2단)으로 켠 다음 60초 경과 후 달걀 프라이를 조리한 결과를 찍은 사진은 도면 1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 19에 첨부된 사진들을 살펴보면, 이 실시예 1 내지 5의 가열조리용기는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온도가 서서히 가열되어 비교예 1 내지 3의 가열조리용기의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온도에 비해 온도가 낮으므로 달걀 프라이가 타지 않고, 바닥면에 눌러붙지아니하므로 조리한 달걀 프라이의 외관 상태가 양호하고, 가열조리용기는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상태가 양호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3의 가열조리용기는 바닥면의 상부면(20a)의 온도가 급격하게 과열되어 달걀 프라이가 타고, 바닥면에 눌러붙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조리용기는 바닥면과 자성강판이 결합되는 결합홈의 끝단부 부분에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알루미늄 소재의 본체로부터 자성강판 소재로의 열전달량을 감소시켜 본체 바닥면의 온도가 과열되지 않지 아니하여 음식물의 조리 시에 음식물이 본체의 바닥면에 달라붙지 않고, 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가열조리용기
10 : 본체
20 : 바닥면
20a : 상부면 20b : 하부면
21, 21a, 21b : 결합돌기 22, 22a, 22b : 결합홈
30 : 자성강판
30a : 상부 자성강판 30b : 하부 자성강판
31, 31a, 31b : 관통공 32, 32a, 32b : 돌출부
40, 40a, 40b : 공간부

Claims (6)

  1. 삭제
  2.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10)로 이루어진 난스틱 특성을 갖는 가열조리용기(100)에 있어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의 외주연에 결합홈(22)이 형성된 본체(10)의 바닥면(20)과,
    상기 결합돌기(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1)의 외주연에 돌출부(32)가 형성된 자성강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20)에 형성된 결합홈(22) 내에 자성강판(30)의 돌출부(32)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기 바닥면(20)은 하부면(20b)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b)에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b)가 삽입되고,
    결합홈(22b)의 깊이(h2')가 돌출부(32b)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3.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10)로 이루어진 난스틱 특성을 갖는 가열조리용기(100)에 있어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의 외주연에 결합홈(22)이 형성된 본체(10)의 바닥면(20)과,
    상기 결합돌기(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1)의 외주연에 돌출부(32)가 형성된 자성강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20)에 형성된 결합홈(22) 내에 자성강판(30)의 돌출부(32)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기 바닥면(20)은 상부면(20a)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에 상부 자성강판(30a)의 돌출부(32)가 삽입되고,
    결합홈(22)의 깊이(h2)가 돌출부(32)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4.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10)로 이루어진 난스틱 특성을 갖는 가열조리용기(100)에 있어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의 외주연에 결합홈(22)이 형성된 본체(10)의 바닥면(20)과,
    상기 결합돌기(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1)의 외주연에 돌출부(32)가 형성된 자성강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20)에 형성된 결합홈(22) 내에 자성강판(30)의 돌출부(32)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기 바닥면(20)은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복수 개의 결합돌기(21a)(21b)가 돌출된 외주연의 결합홈(22a)(22b)에 상부 자성강판(30a) 및 하부 자성강판(30b)의 돌출부(32a)(32b)가 삽입되고,
    상부면(20a) 및 하부면(20b)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2a)(22b)의 깊이(h2)(h2')가 돌출부(32a)(32b)의 높이(h1)(h1')보다 커서, 결합홈(22a)(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40b)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5.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10)로 이루어진 난스틱 특성을 갖는 가열조리용기(100)에 있어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의 외주연에 결합홈(22)이 형성된 본체(10)의 바닥면(20)과,
    상기 결합돌기(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1)의 외주연에 돌출부(32)가 형성된 자성강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20)에 형성된 결합홈(22) 내에 자성강판(30)의 돌출부(32)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기 바닥면(20)은 상부면(20a)의 결합홈(22a)의 깊이(h2)가 돌출부(32a)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a)가 형성되고,
    하부면(20b)의 결합홈(22b)의 깊이(h2')와 돌출부(32b)의 높이(h1')가 동일하여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6. 조리공간을 갖는 본체(10)로 이루어진 난스틱 특성을 갖는 가열조리용기(100)에 있어서,
    돌출된 복수 개의 결합돌기(21)의 외주연에 결합홈(22)이 형성된 본체(10)의 바닥면(20)과,
    상기 결합돌기(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공(31)의 외주연에 돌출부(32)가 형성된 자성강판(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10)의 바닥면(20)에 형성된 결합홈(22) 내에 자성강판(30)의 돌출부(32)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고정 결합되되,
    상기 바닥면(20)은 상부면(20a)의 결합홈(22a)의 깊이(h2)와 돌출부(32a)의 높이(h1)가 동일하여 결합홈(22a)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고,
    하부면(20b)의 결합홈(22b)의 깊이(h2')가 돌출부(32b)의 높이(h1')보다 커서, 결합홈(22b)의 끝단부 부분에 공간부(40b)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KR1020180085044A 2018-07-20 2018-07-20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KR101952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044A KR101952919B1 (ko) 2018-07-20 2018-07-20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044A KR101952919B1 (ko) 2018-07-20 2018-07-20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919B1 true KR101952919B1 (ko) 2019-02-27

Family

ID=6556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044A KR101952919B1 (ko) 2018-07-20 2018-07-20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50B1 (ko) * 2020-05-08 2020-11-06 (주)쓰리바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33B1 (ko) 2006-10-02 2007-10-31 정정숙 스테인레스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프라이팬
KR20090002403U (ko) * 2007-09-05 2009-03-10 조철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0889722B1 (ko) 2007-04-13 2009-03-20 정정숙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JP2010042212A (ja) * 2008-08-18 2010-02-25 Ki Won Seo 誘導加熱調理容器
KR101588840B1 (ko) 2013-10-10 2016-01-28 정정숙 스테인레스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로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768B1 (ko) * 2015-01-23 2016-05-09 주식회사 에코퀸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 가능한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주방용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33B1 (ko) 2006-10-02 2007-10-31 정정숙 스테인레스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프라이팬
KR100889722B1 (ko) 2007-04-13 2009-03-20 정정숙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20090002403U (ko) * 2007-09-05 2009-03-10 조철환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JP2010042212A (ja) * 2008-08-18 2010-02-25 Ki Won Seo 誘導加熱調理容器
KR101588840B1 (ko) 2013-10-10 2016-01-28 정정숙 스테인레스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된 로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768B1 (ko) * 2015-01-23 2016-05-09 주식회사 에코퀸 인덕션 렌지에서 사용 가능한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주방용기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150B1 (ko) * 2020-05-08 2020-11-06 (주)쓰리바바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1585A (en) Microwave browning cookware
KR200479454Y1 (ko) 스마트 언더렌지용 조리기구
US20110041708A1 (en) Graphite encapsulated cookware
JPS6349871B2 (ko)
JP2009008387A (ja) 加熱調理器具
US5809871A (en) Cooking apparatus
KR200487910Y1 (ko) 구이불판 지지용 언더렌지 겸용 인덕션 조리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이장치
KR101952919B1 (ko)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US20040118838A1 (en) Multi-purpose microwave cooking vessel
JP3182006U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具
KR20180067217A (ko) 인덕션 렌지용 부침개 조리기
KR20110092716A (ko)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KR20050090337A (ko) 전자렌지용 발열 구이팬
KR102097014B1 (ko) 열변형 저감형 바닥을 갖는 주방용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1840U (ko) 인덕션렌지용 부침개 조리기
KR20180067206A (ko) 인덕션 렌지용 부침개 조리기
KR101651078B1 (ko)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KR101651079B1 (ko)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JP7236139B2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具
KR200371556Y1 (ko) 전자렌지용 발열 구이팬
CN211883370U (zh) 一种饭煲套装
KR20180067376A (ko) 부침개 조리용 프라이팬
CN218922291U (zh) 可拆卸烹饪器具
KR200305101Y1 (ko) 양면 요리판
CN211925846U (zh) 一种微波烤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