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716A -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 Google Patents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2716A KR20110092716A KR1020100012301A KR20100012301A KR20110092716A KR 20110092716 A KR20110092716 A KR 20110092716A KR 1020100012301 A KR1020100012301 A KR 1020100012301A KR 20100012301 A KR20100012301 A KR 20100012301A KR 20110092716 A KR20110092716 A KR 201100927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 layer
- mica
- cooking
- cooking vess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원에 의한 조리시에 조리시간을 크게 단축 시킬 수 있으면서도 조리재료가 잘 타거나 눌어붙지 않도록 하고 조리 후에는 높은 보온성을 가질 수 있도록 개선된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내피층(1) 및 금속외피층(2)과, 상기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 접합 되는 금속잠열중간층(3)을 갖는 직접가열부(11)와; 상기 금속내,외피층(1,2)과 각각 연장되는 금속내피층(1) 및 금속외피층(2)이 있고, 상기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 금속잠열중간층(3) 두께만큼의 공간을 구비하여 진공처리되는 진공층(5)과, 상기 진공층내에는 선택적으로 운모분체층(41)이나 운모코팅층(42)으로 된 운모층을 갖는 간접가열부(12)와; 상기 간접가열부(12)의 금속내,외피층(1,2) 테두리단부를 용착하여 접합되는 밀봉단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용기와 그 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시에는 운모층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해서 더욱 신속하게 조리될 수 있고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운모층의 단열작용에 의해서 축열이 되도록 하여 보온율이 크게 향상되게 개선된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의 내솥용기 및 후라이팬이나 냄비 또는 볶음용기, 튀김용기들과 같은 조리용기들은 열원을 받아 조리재료(음식재료)가 가열되어 조리되게 하는 용기들이다.
이러한 조리용기들이 갖추어야 할 최상의 조건은 히터나 가스불 또는 전자유도열과 같은 열원의 열에너지가 조리재료까지 보다 신속히 전달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조리재료가 타거나 조리용기 내면에 눌어붙지 않아야 하며 냄비나 접기밥솥의 내솥용기등과 같은 조리용기들은 보온성도 양호하여야 하고 무게가 경량일수록 양질의 조리용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서 저렴할수록 양질의 제품을 널리 보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기들은 그러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라이팬이나 냄비 또는 볶음용기와 같은 조리용기들에 있어서 저가 제품들은 대부분 주철이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과 같은 단일금속으로 제조되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고가 제품에 해당되는 전기밥솥의 내솥용기와 같은 용기들은 0.2-0.6㎜의 두께의 스테인레스판과 알루미늄판 및 동판 등을 겹쳐지도록 한 다음 로울러에 의해서 고압력으로 가압시켜 접합 되게 하여 2층 내지는 5층으로 접합 된 다층 클래드메탈(Clad Metal)이라는 소재에 의해서 주로 제조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과 같은 조리용기들은 히터나 가스불과 같은 열원이 직접 접촉되거나 전달받아 조리 되게 하는 부분과, 상기 열원이 직접 접촉되지 않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열원이 직접 접촉되거나 전달받아 조리 되게 하는 부분을 직접가열부라고 하고, 열원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가열부로부터 열에너지만을 전달 받게 되는 부분을 간접가열부라고 명칭하기로 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조리용기들의 공통점은 가스불과 같은 열원의 열에너지가 직접가열부를 통해 전달되어 조리재료를 가열하는 것인데 이때 얇은 두께의 직접가열부를 통해 열에너지가 전달되어 조리(취사)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얇은 두께의 소재를 통해 열에너지가 전달되기 때문에 열원을 받는 직접가열부의 외표면과 조리재료가 접촉되는 직접가열부의 내표면 온도가 거의 동일하므로 소재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조리재료가 눌어 버리거나 타 버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는, 직접가열부의 두께를 매우 두텁게 하는 방법이 있다.
이경우, 소재가 두터울수록 열원의 열에너지가 조리재료까지 도달되는 동안 잠열상태가 되어 조리재료가 전달받아 조리되는 열은 잠열에 의해서 조리되기 때문에 열원을 받는 소재 외표면의 온도보다 조리재료가 접촉되는 소재 내표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므로 조리재료가 급속도로 가열되지 않게 되므로 눌어 버리거나 타 버리게 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가령 소재가 10㎝ 이상의 두께를 갖는 두터운 철판에 고기를 구울 때에는 내표면에 고기가 잘 달라 붙지도 않고 잘 타지도 않게 되지만 얇은 철판에서는 고기가 잘 달라붙고 잘 타게 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조리용기소재를 두텁게 하면 조리재료의 가열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조리용기 중량이 무거워지는 단점 및 원가상승이 초래되기 때문에 소재의 두께를 무작정 두텁게 할 수 없으므로 조리용기들은 잠열에 의해 조리될 수 있는 두터운 두께로 제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조리용기들은 조리재료가 잘 눌어버리거나 타 버리게 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전기밥솥의 내솥용기와 같이 조리재료를 장시간 동안 보온을 요구하는 용기의 경우 보온성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열전달계수가 상호 다른 여러 금속이 조합된 클래드메탈이라는 다층 소재를 주로 사용하여 내솥용기를 제조하고 있으나 상기 클래드메탈 역시 하나의 일체화된 소재로 된 것이므로 단열 기능이 없기 때문에 보온성이 그다지 뛰어나지 못하다.
그러므로 내솥용기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하로 떨어져서 전기밥솥의 히터가 가동되어야 하는 히터가동회수가 많아짐으로써 전기 소모가 많아지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다층 클래드메탈과 같은 소재는 주철이나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단일 소재보다는 제조단가가 높고 중량이 비교적 무거운 단점이 있기 때문에 후라이팬이나 냄비와 같이 주방에서 수시로 사용하게 되는 조리용기로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냄비나 후라이팬 또는 볶음용기 및 찜용기 등과 같은 조리용기들에 있어서는 얇고 단일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온성이 전혀 없거나 매우 낮다.
따라서, 출원인은 조리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도 조리재료가 잘 눌어붙거나 타지 않게 조리되고 조리 후에는 탁월한 보온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경량화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것을 연구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열원에 의한 조리시에 조리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도 조리재료가 잘 타거나 눌어붙지 않도록 하고 조리 후에는 높은 보온성을 가질 수 있도록 개선된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를 제공하려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터운 두께를 가지면서도 보다 경량화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열원을 직접 받는 직접가열부와, 상기 직접가열부에서 열전달 받는 간접가열부를 갖는 조리용기로서; 금속내피층 및 금속외피층과, 상기 금속내,외피층 사이에 접합 되는 금속잠열중간층을 갖는 직접가열부와; 상기 금속내,외피층과 각각 연장되는 금속내피층 및 금속외피층이 있고, 상기 금속내,외피층 사이에 금속잠열중간층 두께만큼의 공간을 구비하여 진공처리되는 진공층과, 상기 진공층내에 운모층을 갖는 간접가열부와; 상기 간접가열부의 금속내,외피층 테두리단부를 용착하여 접합되는 밀봉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용기를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의 금속내피층 및 금속외피층과; 상기 금속내,외피층 사이에 게재되어 접합 되는 금속잠열중간층과; 상기 금속잠열중간층 외측의 공간을 진공시켜 구비되는 진공층과; 상기 진공층에 구비되는 운모층과; 상기 금속내,외피층의 테두리단부를 용착하여 접합되는 밀봉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용기소재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잠열중간층은 금속내,외피층의 두께보다 2-5배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내,외피층은 스테인레스이고, 금속잠열중간층은 금속판재나 금속돌기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판재는 알루미늄판재이고, 상기 금속돌기체는 수많은 통공과 볼록부를 가진 금속망이나 수많은 엠보돌기를 가진 엠보싱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모층은 진공층 내에 충진되는 운모분체층이거나 또는 상기 진공층 내측으로 위치하는 금속내,외피층 내면 모두나 금속내피층 내면 및 금속외피층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코팅되는 운모코팅층 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모코팅층은 운모가루와 내열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도포시키고 경화시켜 코팅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직접가열부가 두텁지만 신속하게 열전달이 되는 동시에 간접가열부에서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원적외선열에 의해서도 조리가 되기 때문에 조리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접가열부의 두께가 두텁기 때문에 조리재료가 잘 눌어붙거나 타지 않게 되지만 조리시간이 크게 단축되므로 더욱 조리재료가 잘 눌어붙거나 타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조리 후에는 직접가열부가 많은 잠열을 보유하고 있고 간접가열부에서는 운모층에 의해서 단열이 되므로 조리재료가 있는 용기내부의 열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축열이 됨으로써 보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터운 두께를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경량화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하고 보다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 후 월등한 보온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가스에너지나 전기에너지 절감이 도모되게 하는 경제성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는 분리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단부의 실시예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돌기체의 실시예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실시된 운모의 원적외선 방출 시험성적서,
도 10a 및 도 10b는 기존의 조리용기 시험서 및 시험그래프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 시험서 및 시험그래프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소재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단부의 실시예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돌기체의 실시예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실시된 운모의 원적외선 방출 시험성적서,
도 10a 및 도 10b는 기존의 조리용기 시험서 및 시험그래프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 시험서 및 시험그래프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소재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또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리용기(10A)의 분리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완성된 상태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용기(10A)는 금속내피층(1)과 금속외피층(2)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 삽입되는 금속잠열중간층(3)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내,외피층(1,2)은 단일 금속이면서도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가 바람직하고 0.6-0.8㎜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잠열중간층(3)은 알루미늄판재와 같은 금속판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잠열중간층(3)은 금속내,외피층(1,2)의 두께보다 2-5배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이후에 다시 설명되겠지만 금속잠열중간층(3)이 최대한 많은 잠열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금속내,외피층(1,2)과 금속잠열중간층(3)은 먼저 프레스금형과 프레스에 의해서 각각 용기 형태와 같이 성형 되게 구비된다.
다음, 금속외피층(2) 내부에 금속잠열중간층(3) 및 금속내피층(1)을 삽입하여 결합 되도록 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기(10A)에서 간접가열부(12)가 되는 외주면부에는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 금속잠열중간층(3) 두께만큼의 공간을 구비하게 되고 여기에 운모층을 갖도록 한다.
상기 운모층을 갖도록 하는 방법은 도 2와 같이 간접가열부(12)가 되는 부분의 내부 공간에 운모분체가 충진 되게 하여 운모분체층(31)을 갖도록 하는 방법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리용기(10B)와 같이 금속내,외피층(1,2)의 내면에 운모코팅층(42)이 코팅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운모분체가 충진 되게 하는 것은 금속내피층(1)을 금속외피층(2) 내측으로 삽입시킬 때 완전히 삽입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운모분체(41)를 투입하게 된다.
이때, 금속내,외피층(1,2)의 테두리단부가 되는 밀봉단부(13) 부분이 떨어진 상태이므로 이 부분의 틈새를 통해 운모분체를 투입한 다음 금속외피층(2) 내부로 금속내피층(1)이 완전히 삽입 되도록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운모코팅층(42)은 운모가루와 내열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도 3과 같이 금속내,외피층(1,2)의 내면에 도포시킨 다음 경화시켜서 코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운모코팅층(42)은 운모가루와 에폭시수지 및 알키드수지 또는 실리콘과 같은 내열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운모코팅액을 금속내,외피층(1,2) 내면 모두에 코팅되게 하거나 또는 금속내피층(1)의 내면이나 금속외피층(1) 내면 중에 어느 하나에만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운모가루와 내열성접착제는 비중 차이가 크기 때문에 운모가루 85-90wt%, 내열성 접착제 10-15wt%의 비율로 혼합시키고 분사시켜서 코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모코팅액을 도포하는 것은 도 1과 같이 금속내,외피층(1,2)이 각가 분리된 상태에서 도포하여 경화시킨 다음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은 전기 브레이징 접합처리를 하여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 금속잠열중간층(3)이 접합 되게 처리한다.
상기 전기 브레이징 접합처리 기술은 고온에서 가압롤러에 의해서 가압하게 되면 소재가 상호 융착 되어 접합 되게 하는 처리 기술이며,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브레이징 접합처리 기술이 아닌 다른 접합기술에 의해서도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브레이징 접합처리가 완료된 다음에는 금속내,외피층(1,2)의 테두리단부가 되는 밀봉단부(13)가 상호 겹쳐지게 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밀봉단부(13)가 밀봉되도록 하기 위해서 시임용접기에 의해서 시임 용접하여 용착 시키게 된다.
이때, 밀봉단부(13)에는 운모분체층(41) 또는 운모코팅층(42)이 있는 부분의 금속내,외피층(1,2) 사이의 공간을 진공 시키기 위해 하나의 조그만 구멍(미도시됨)이 남아 있도록 하는 상태로서 밀봉단부(13)를 시임 용접하게 된다.
다음, 상기 운모분체층(41) 또는 운모코팅층(42)이 있는 부분의 금속내,외피층(1,2) 사이의 공간의 공기를 빨아내어서 진공시키게 된다. 이때 진공처리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완전히 진공 된다고 볼 수 없으나 거의 95% 이상 진공 되게 처리하게 되므로 진공상태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진공처리기술은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나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자동 알곤용접장치 및 로봇팔을 가진 진공실에 조리용기를 집어 넣고 밀폐되게 한다.
다음, 진공실의 공기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빨아내게 되면 진공실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 되기 때문에 앞서 설명된 밀봉단부(13)에 뚫려 있는 조그만 구멍을 통해서 운모분체층(41) 또는 운모코팅층(42)이 있는 부분의 금속내,외피층(1,2)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도 외부로 빨려 나와서 토출 됨으로써 진공상태가 된다.
다음, 로봇팔을 이용하여 조작되거나 자동 알곤용접장치에 의해서 조그만 구멍을 용접시켜 밀봉되게 하면 운모분체층(41) 또는 운모코팅층(42)이 있는 부분의 금속내,외피층(1,2) 사이의 공간이 진공상태가 되어 진공층(5)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밀봉단부(13)는 제조하려는 용기의 종류나 또는 조리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되는 용기에 적합하도록 도 4의 (a) 내지(d) 상태로 나타낸 여러 가지 형태의 밀봉단부(13) 형태로 제조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단부(13) 형태는 이미 알려진 구조들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밀봉단부(7) 형태 외에 다른 형태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공처리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진공실에서 조리용기를 인출하여 밀봉단부(13)의 주연부를 선반으로 절삭시켜 깨끗하게 처리되게 한다.
그리고 냄비와 같은 것은 상기 상태에서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고, 전기밥솥의 내솥용기나 프라이팬과 같은 것은 금속내피층(1) 외면에 불소수지층(6)이 더 코팅되게 하여 완료된다. 상기 불소수지층(6)은 테프론 코팅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중간층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금속중간층은 금속돌기체(30)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돌기체(30)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줄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교차 되도록 엮여져서 외측방향으로 튀어 나오는 수많은 볼록부(31) 및 통공(32)를 갖도록 구성된 금속망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망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줄에 의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금속줄은 0.8-1.0㎜의 비교적 굵은 두께의 직경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원만한 외부압력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변형이 없고 금속망 자체가 원만한 외압력에 의해서 휘어지지 않는 높은 강도를 갖게 된다.
그러나 제조하려는 조리용기의 종류에 따라 상기 금속망이 강한 강도를 갖는 다른 종류의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금속줄도 0.8-1.0㎜의 직경보다 더 가늘거나 굵은 직경의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돌기체(30)는 도 6의 (b)와 같이 수많은 통공(32)이 뚫린 판재를 절곡하여 수많은 볼록부(31)를 갖는 또 다른 금속망이 채용될 수 있고 이러한 금속망의 경우에도 전기 브레이징 접합처리시에 발생 되는 압력에 의해서 볼록부(31)가 압축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와 두께를 갖는 금속망이 사용된다.
또한, 도 6의 (c) 및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돌기체(30)는 판재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수많은 엠보돌기가 돌출되어 볼록부(31)를 가지게 되는 엠보싱플레이트가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금속돌기체(30)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수많은 볼록부(31)를 가지는 것이라면 모두 채용 가능하다.
이러한 금속돌기체(30)도 전기 브레이징 접합처리 기술에 의해서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서 고정되게 접합시키게 된다. 상기 전기 브레이징 접합처리 기술은 이미 설명된 바 있다.
따라서, 전기 브레이징 접합처리가 완료되면 금속돌기체(30)의 수많은 볼록부(31) 부분이 금속내,외피층(1,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금속내,외피층(1,2) 내면과 볼록부(31)가 점 접촉되는 상태로서 열융착 되게 접합 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금속잠열중간층(3)이 금속내,외피층(1,2)의 두께보다 2-5배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데 있어서 금속돌기체(30)는 볼록부(31)가 돌출되기 때문에 금속내,외피층(1,2)의 두께보다 2-5배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또한, 금속돌기체(30)를 채용하는 경우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 많은 공간부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두터운 두께에 비해 가벼운 조리용기를 얻도록 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조리용기(10A,10B)의 경우는 냄비 또는 전기밥솥의 내솥용기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조리용기(10A,10B)가 냄비로 사용되는 경우는 열원이 되는 가스불이 바닥만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가스불이 옆으로도 타고 올라와서 아래쪽 외주연부까지도 가열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기밥솥의 내솥용기로 사용되는 경우는 전기히터의 열원이 바닥 뿐만 아니라 외주연부 아래쪽 부분까지도 전기히터의 열에너지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가열하도록 사용된다.
또한, 도 7과 같이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기(10D)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가스불이 바닥부만 가열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조리용기들은 열원을 직접 받는 직접가열부(11)와, 상기 직접가열부(11)에서 열전달을 받는 간접가열부(12)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 접합 되는 금속잠열중간층(3)을 갖는 직접가열부(11)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금속내,외피층(1,2)과 각각 연장되는 금속내피층(1) 및 금속외피층(2)이 있고, 상기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 금속잠열중간층(3) 두께만큼의 공간을 구비하여 진공처리되는 진공층(5) 및 상기 진공층(5)내에 선택적으로 운모분체층(41) 또는 운모코팅층(42)으로 된 운모층을 갖는 간접가열부(12)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간접가열부(12)의 금속내,외피층(1,2) 테두리단부를 용착하여 접합되는 밀봉단부(13)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냄비나 프라이팬 및 전기밥솥의 내솥용기 뿐만 아니라 도 8의 예시와 같이 음식업소의 주방에서 주로 쓰이고 있는 볶음용기와 같은 조리용기(10E) 및 튀김용기 등과 같이 열원이 직접 접촉하는 직접가열부(11)와 열원이 직접 닿지 않는 간접가열부(12)를 갖는 조리용기의 경우에 모두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직접가열부(11)가 열원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면 금속외피층(2)이 뜨거워지게 되어 금속잠열중간층(3)으로 열에너지가 전달되어 금속내피층(1)으로 이동된다.
이때, 금속잠열중간층(3)이 두터운 두께를 가지기는 하나 열전달계수가 높은 알루미늄판재와 같은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조리(취사)가 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금속돌기체(30)가 채용된 경우에는 직접가열부(11)가 열원의 열에너지를 받게 되면 금속외피층(2)이 뜨거워지게 되고 그로 인해 금속외피층(2) 내면에서는 복사열에너지가 방출되는 상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금속외피층(2) 내면에서 복사열에너지가 방출될 수 있는 것은 볼록부(31) 사이에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즉, 금속외피층(2) 내면이 공간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금속외피층(2) 내면의 열에너지가 금속내피층(1)으로 곧바로 전달되지 못하고 복사열에너지 상태로 방출된 열에너지가 전달될 수밖에 없다.
물론, 금속외피층(2)이 가진 열에너지의 일부는 금속돌기체(30) 자체를 통해 전달되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그 양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금속돌기체(30)의 볼록부(31)가 금속외피층(2) 내면과 점접촉 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점접촉된 면적에 비해 공간으로 노출된 금속외피층(2)의 내면 면적이 훨씬 크기 때문에 금속외피층(2) 내면에서는 대부분 복사열에너지가 방출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복사열에너지가 곧바로 금속내피층(1)으로 전달되므로 직접가열부(11)의 두께가 두터워도 신속하게 열전달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직접가열부(11)가 두터워도 신속하게 열전달이 되는 특징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간접가열부(12)은 직접가열부(12)로부터 열전달을 받게 되어 뜨거워지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진공층(5)내에 구비하게 되는 운모분체층(41) 또는 운모코팅층(42)은 열에너지를 받게 됨으로써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운모분체층(41) 또는 운모코팅층(42)이 가지고 있는 운모(雲母)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도 높은 강도와 우수한 전기절연성 및 단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열해도 연기가 없고 냄새가 없기 때문에 조리를 위한 열에너지를 받아도 아무런 유해가 따르지 않게 되므로 안전하다.
또한, 운모는 열에너지를 받으면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실험되었다.
도 9는 전기밥솥의 내솥용기(밥솥내피) 외면에 운모코팅층(42)을 도포하고 120℃의 열원(열에너지)을 부여하여 내솥용기의 내부에서 원적외선을 측정하여 얻어진 시험성적서를 보여 준다. 상기 실험에 의하면 운모코팅층(42)에서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있다는 것이 실험되었다.
그러므로 조리시에 운모분체층(41)이나 운모코팅층(42)이 열에너지를 받게 되면 다량의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금속내피층(1)을 투과하게 된다. 이때 금속외피층(2)으로도 원적외선이 투과하게 되지만 금속내피층(1)으로 투과되어 조리에 영향을 주게 되는 원적외선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원적외선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조사되었을 때 생체 조직 4-5㎝까지 깊숙히 침투하고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금속내피층(1)을 투과되는 원적외선은 조리재료의 조직 깊숙이까지 침투하게 되는 것이고 열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리재료의 내부에서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조리가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조리용기 내부에 있는 조리재료는 직접가열부(11)에서 열에너지를 받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열에 의해서도 조리가 되는 상태가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에는 직접가열부(11)에서만 열에너지를 받아서 점차적으로 윗쪽방향으로 열에너지가 전달되어 조리가 되므로 조리재료는 용기 내부에서 아래쪽 부터 윗쪽부분으로 점차 조리가 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조리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조리시에 직접가열부(11)에 의해서 조리재료의 아랫쪽 부분이 열에너지를 받아 조리되면서 동시적으로 간접가열부(12)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조리재료의 윗쪽과 중간부분이 동시에 조리가 되므로 조리재료는 전체적으로 도 3의 화살표 도시와 같이 열에너지를 받아서 조리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조리시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단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시간이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직접가열부(11)가 두터운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직접가열부(11)에 있는 금속내피층(1)의 내면에 조리재료가 잘 눌어붙지 않고 잘 타지 않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소재가 단일금속으로 된 얇은 두께의 것이라면 열원의 열에너지가 직열에너지 상태로 전달되기 때문에 열원을 받게 되는 외표면 온도와 조리재료가 접촉되는 내표면 온도가 거의 동일한 온도가 되거나 약간의 미차만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열원의 뜨거운 가열온도와 내표면 온도가 대등하게 뜨겁기 때문에 조리재료가 내표면에 잘 눌어붙거나 타 버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소재가 단일금속으로 된 것이라도 두께가 두터운 것이라면 조리재료가 잘 눌어붙지 않고 잘 타지 않게 되는 특성을 갖게 된다는 것은 이미 배경기술에서 설명된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접가열부(11)가 두터운 금속잠열중간층(3)이나 금속돌기체(30)를 가지게 됨으로써 예전보다는 조리재료가 잘 눌어붙지 않고 잘 타지 않게 된다. 그렇다고 직접가열부(11)의 두께를 무작정 두텁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두께를 예전보다 두텁게 하는 것만으로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직접가열부(11)의 두께를 두텁게 하는 동시에 조리시간을 크게 단축시킴으로써 조리재료가 최대한 잘 눌어붙지 않고 잘 타지 않도록 하였다.
조리재료가 눌어붙거나 타는 것은 조리재료가 높고 과다한 열에너지를 오래 받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직접가열부(11)의 두께가 두터우므로 조리온도보다 매우 높은 가열온도를 받지 않게 되고 간접가열부(12)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열에 의해서 조리시간이 크게 단축되기 때문에 조리재료가 높고 과다한 열에너지를 오래 받지 않게 됨으로써 조리재료가 최대한 잘 눌어붙지 않고 잘 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보온율이 크게 향상된다. 조리용기의 보온성은 모든 조리용기마다 필요로 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령 전기밥솥의 내솥용기의 경우에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예를 들면, 전기밥솥은 조리 후에도 계속 보온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제품 출고시 설정되어 있는 적정 보온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히터가 가동하여 다시 적정 보온 온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히터 가동이 많을수록 전기에너지 소모량이 많게 되므로 높은 보온성이 필요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직접가열부(11)의 금속잠열중간층(3)이 두텁기 때문에 많은 잠열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그 잠열이 금속외피층(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그것은 용기내부(14)에 있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오래 지연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간접가열부(12)에서는 운모분체층(41) 또는 운모코팅층(42)이 부도체이기 때문에 단열작용을 하므로 간접가열부(12)를 통해서 용기내부(14)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간접가열부(12)의 운모분체층(41) 또는 운모코팅층(42)은 용기내부(14)로 들어온 열에너지를 다시 외부로 나가게 되는 것을 차단하는 축열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조리 후에 직접가열부(11)에서는 잠열에 의해서 보온 작용을 하고 간접가열부(12)에서는 축열작용에 의해서 용기내부(14)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보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다음은 시험 대상을 전기밥솥의 내솥용기로 하고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실온 온도가 20℃의 동일한 조건에서 종래의 내솥용기와 본 발명의 조리용기(10B)를 내솥용기로 제조하여 열전달시간과 조리시간 및 보온성에 대한 비교 시험한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서, 실험1은 종래의 단일금속으로 된 내솥용기 시험상태를 나타내고 실험2는 운모코팅층(42)이 코팅된 조리용기(10B)의 시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 1)
도 10a과 같이 단일금속으로 된 종래의 내솥용기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전기밥솥에 넣은 다음 전원을 온(on) 시켜 시험그래프에 의해서 온도와 시간이 측정되도록 하였다.
도 10b를 참조하면, 측정된 결과는 시작온도 20℃에서 취사온도(조리온도)(a지점)인 100℃ 까지 상승되는 예열시간이 28분 소요되었고, 취사온도 100℃에서 취사가 완료되는 취사시간(조리시간)(b지점)이 48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온성을 시험하기 위해 취사가 완료된 후에 전원을 오프(off) 시킨 다음 100분 동안 방치하여 내부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0분 동안에 취사완료온도인 100℃에서 보온측정완료지점(c지점)까지 34℃로 온도가 내려간 것을 알 수 있었고 100분 동안에 내솥용기 내부열 중에 열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되는 열손실율이 66%이고 그로 인해 보온율이 34%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2)
도 11a와 같이 금속내피층(1)에 운모코팅층(42)를 도포하여 완성된 본 발명의 내솥용기에 온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전기밥솥에 넣은 다음 전원을 온(on) 시켜 시험그래프에 의해서 온도와 시간이 측정되도록 하였다.
도 11b를 참조하면, 측정된 결과는 시작온도 20℃에서 취사온도(조리온도)(a지점)인 100℃ 까지 상승되는 예열시간이 22분 소요되었고, 취사온도 100℃에서 취사가 완료되는 취사시간(조리시간)(b지점)이 36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온성을 시험하기 위해 취사가 완료된 후에 전원을 오프(off) 시킨 다음 100분 동안 방치하여 내부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0분 동안에 취사완료온도인 100℃에서 보온측정완료지점(c지점)까지 60℃로 온도가 내려간 것을 알 수 있었고 100분 동안에 내솥용기 내부열 중에 열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되는 열손실율이 40%이고 그로 인해 보온율 60%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실험1의 종래 내솥용기와 실험2의 본 발명에 따른 내솥용기의 비교표를 보여준다.
항 목 | 실험1의 종래용기 | 실험2의 본발명용기 | 본발명 용기 기능비교 |
예열시간 (min) | 28 | 22 | 단축됨 |
조리시간 (min) | 48 | 36 | 단축됨 |
열손실율 (100min/%) |
66 |
40 |
적음 |
보온율 (100min/%) |
34 |
60 |
증가됨 |
상기 표 1에 의하면, 실험1의 종래용기에 비해서 실험2의 본 발명 용기의 예열시간 및 취사시간이 단축되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조리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열손실율이 낮고 보온율이 크게 증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소재(100A,100B)를 개략도로 나타낸 것을 보여 준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금속내,외피층(1,2) 및 금속잠열중간층(3)들을 각각 먼저 용기 형태로 성형시킨 후 결합하여 조리용기로 제조되게 할 수도 있지만 도 12에 나타낸 조리용기소재(100A,100B)로 제조한 후에 조리용기로 성형시켜 제조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된 조리용기소재(100A)는 판상의 금속내피층(1) 및 금속외피층(2)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내,외피층(1,2) 사이에 금속잠열중간층(3)이 게재되어 접합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잠열중간층(3) 외측의 공간을 진공시켜 구비되는 진공층(4)에 운모분체(41)이 충진되게 하고, 상기 금속내,외피층(1,2)의 테두리단부를 용착하여 접합되는 밀봉단부(13)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 12의 (b)에 나타낸 조리용기소재(100B)는 판상의 금속내피층(1) 및 금속외피층(2) 및 금속잠열중간층(3)과 진공층(5), 그리고 밀봉단부(13)를 갖는 것은 앞서 설명된 조리용기소재(100B)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상기 진공층(5)에 판상의 금속내,외피층(1,2)의 내면 모두나 또는 금속내,외피층(1,2) 중에 어느 하나의 내면에 운모코팅층(42)이 코팅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조리용기소재(100A,100B)를 제조하기 위한 전기 브레이징 접합처리 기술 및 진공처리 기술과 밀봉단부(13)의 밀봉처리기술은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하고, 그 외에 조리용기소재(100A,100B)에서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도 앞서 조리용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조리용기소재(100A,100B)는 프레스성형금형이나 또는 로울러를 이용하여 소재를 가압하여 제품으로 성형 되게 하는 가압로울러금형에 의해서 가압 되게 하여 제품으로 성형 된다.
이때, 도 12의 (a)에 도시된 조리용기소재(100A)의 경우 진공층(5)에 운모분체층(41)이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으로 가압시 짜그러지지 않게 성형 된다.
예를 들면, 파이프를 절곡시킬 때 파이프 내부에 모래를 삽입하고 절곡시키면 모래가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파이프가 찌그러지지 절곡되는 것과 같은 원리에 의해서 운모분체층(41)이 금속내,외피층(1,2)을 찌그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2의 (b)에 나타낸 조리용기소재(100B)의 경우 진공층(5)이 비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찌그러질 수도 있으나 크게 변형되게 찌그러지지 않게는 성형시킬 수 있다.
그것은, 진공층(5) 부분이 작게 구성시키면 되는 것이고, 이 경우에는 도 7에 예시된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용기(10D)나 또는 도 13에 예시된 구이용 불판과 같이 직접가열부(11)가 크고 간접가열부(12)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조리용기(10F)를 제조할 때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소재(100A,100B)에 의해서 성형 되어 제품으로 생산된 조리용기는 앞서 설명된 바 있는 조리용기들과 같이 금속잠열중간층(3)을 갖는 직접가열부(11)와 운모층을 갖는 간접가열부(12)를 구비하게 되고 그로 인해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재료가 잘 눌어붙지 않고 잘 타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월등한 보온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직접가열부(11)와 간접가열부(12)가 두터운 두께를 가지면서도 비교적 가벼운 금속잠열중간층(3) 및 금속돌기체(30)나 운모층을 가지게 되므로 예전의 두터운 두께의 주철금속 조리용기보다는 경량화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예전에 클래드메탈과 같은 소재로 제조되어 비싼 제품보다는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온성이 매우 월등하므로 열원을 끄고 조리를 잠시 중단하다가 다시 열원을 키고 다시 조리를 할 경우에 조리재료가 보온 된 상태에서 다시 열에너지를 받게 되므로 보다 신속한 조리가 도모될 뿐만 아니라 조리재료가 많이 식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조리를 하게 되므로 양호한 조리가 되고 연료 낭비가 없게 된다.
또한, 장시간 보온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는 전기밥솥용 내솥용기로 제조되는 경우 보온을 위한 재가동을 현저히 감소 되게 하므로 전력낭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 후 월등한 보온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열원을 발생시키는 가스에너지나 전기에너지 절감을 크게 도모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냄비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냄비 자체를 식탁에 놓고 식사하는 경우에 높은 보온성에 의해 음식이 빨리 식지 않게 되므로 열원으로 조리할 때의 맛을 식사 중에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의 다른 형태로도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1:금속내피층, 2:금속외피층, 3:금속잠열중간층, 5:진공층, 6:불소수지층, 10A-10F:조리용기, 11:직접가열부, 12:간접가열부, 13:밀봉단부, 14:용기내부, 30:금속돌기체, 31:볼록부, 32:통공, 100A,100B:조리용기소재
Claims (16)
- 열원을 직접 받는 직접가열부와, 상기 직접가열부에서 열전달 받는 간접가열부를 갖는 조리용기로서;
금속내피층 및 금속외피층과, 상기 금속내,외피층 사이에 접합 되는 금속잠열중간층을 갖는 직접가열부와;
상기 금속내,외피층과 각각 연장되는 금속내피층 및 금속외피층이 있고, 상기 금속내,외피층 사이에 금속잠열중간층 두께만큼의 공간을 구비하여 진공처리되는 진공층과, 상기 진공층내에 운모층을 갖는 간접가열부와;
상기 간접가열부의 금속내,외피층 테두리단부를 용착하여 접합되는 밀봉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잠열중간층은 금속내,외피층의 두께보다 2-5배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내,외피층은 스테인레스이고, 금속잠열중간층은 금속판재나 금속돌기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는 알루미늄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돌기체는 수많은 통공과 볼록부를 가진 금속망이나 수많은 엠보돌기를 가진 엠보싱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층은 진공층 내에 충진되는 운모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층은 진공층 내측으로 위치하는 금속내,외피층 내면 모두나 금속내피층 내면 및 금속외피층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코팅되는 운모코팅층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코팅층은 운모가루와 내열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도포시키고 경화시켜 코팅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 판상의 금속내피층 및 금속외피층과;
상기 금속내,외피층 사이에 게재되어 접합 되는 금속잠열중간층과;
상기 금속잠열중간층 외측의 공간을 진공시켜 구비되는 진공층과;
상기 진공층에 구비되는 운모층과;
상기 금속내,외피층의 테두리단부를 용착하여 접합되는 밀봉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잠열중간층은 금속내,외피층의 두께보다 2-5배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내,외피층은 스테인레스이고, 금속잠열중간층은 금속판재나 금속돌기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는 알루미늄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돌기체는 수많은 통공과 볼록부를 가진 금속망이나 수많은 엠보돌기를 가진 엠보싱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층은 진공층 내에 충진되는 운모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층은 진공층 내측으로 위치하는 금속내,외피층 내면 모두나 금속내피층 내면 및 금속외피층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코팅되는 운모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모코팅층은 운모가루와 내열성 접착제를 혼합하여 도포시키고 경화시켜 코팅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2301A KR20110092716A (ko) | 2010-02-10 | 2010-02-10 |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2301A KR20110092716A (ko) | 2010-02-10 | 2010-02-10 |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2716A true KR20110092716A (ko) | 2011-08-18 |
Family
ID=4492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2301A KR20110092716A (ko) | 2010-02-10 | 2010-02-10 |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92716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8619A (ko) * | 2012-08-29 | 2014-03-10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
KR102079458B1 (ko) * | 2018-10-29 | 2020-02-19 | 박정용 | 급속 냉온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텀블러 |
CN110951230A (zh) * | 2019-12-10 | 2020-04-03 | 万奔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光伏逆变器电源多层板及其制备工艺 |
US20210022538A1 (en) * | 2019-10-07 | 2021-01-28 | Karl Ingar Kittelsen Røberg | Induction vessel |
-
2010
- 2010-02-10 KR KR1020100012301A patent/KR201100927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28619A (ko) * | 2012-08-29 | 2014-03-10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
KR102079458B1 (ko) * | 2018-10-29 | 2020-02-19 | 박정용 | 급속 냉온 전환이 가능한 스마트 텀블러 |
US20210022538A1 (en) * | 2019-10-07 | 2021-01-28 | Karl Ingar Kittelsen Røberg | Induction vessel |
CN110951230A (zh) * | 2019-12-10 | 2020-04-03 | 万奔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光伏逆变器电源多层板及其制备工艺 |
CN110951230B (zh) * | 2019-12-10 | 2022-02-08 | 万奔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光伏逆变器电源多层板及其制备工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80171B2 (en) | Vacuum cooking or warming appliance | |
CN100463631C (zh) | 加热容器 | |
US20090152276A1 (en) | Griddle Plate and Cookware Having a Vacuum Bonded, High Conductivity, Low Density Carbon Foam Core Plate | |
JPS58188415A (ja) | 調理容器 | |
US5809871A (en) | Cooking apparatus | |
WO2015109156A1 (en) | Cooking device and method with temperature control | |
KR20110092716A (ko) |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 |
CN105795887B (zh) | 锅体及具有其的炊具 | |
CN103417100A (zh) | 无油烟铁锅 | |
CN209186322U (zh) | 一种电磁灶专用锅具 | |
JP2009106719A (ja) | 電磁調理器用器物の保温壁部材 | |
JP3182006U (ja) | 電子レンジ用調理器具 | |
JP2010207378A (ja) | 加熱調理器 | |
KR200429933Y1 (ko) | 유도 가열용 용기 | |
CN101446426A (zh) | 微波炉专用煎烤器 | |
KR101952919B1 (ko) |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 |
KR20110056740A (ko) |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 |
CN105003937A (zh) | 家用立体式导热油加热炉具 | |
US20230008372A1 (en) | Cooking Device Comprising A Multi-Layer Diffuser Base | |
CN211299454U (zh) | 一种渐变热辐射转化缓冲层复合锅体 | |
JP3077116U (ja) | 調理装置 | |
CN201332968Y (zh) | 一种可导磁锅具 | |
CN202287713U (zh) | 微压锅结构 | |
GB2566581B (en) | Cooking device | |
KR20100103910A (ko) | 조리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