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740A -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6740A
KR20110056740A KR1020090113192A KR20090113192A KR20110056740A KR 20110056740 A KR20110056740 A KR 20110056740A KR 1020090113192 A KR1020090113192 A KR 1020090113192A KR 20090113192 A KR20090113192 A KR 20090113192A KR 20110056740 A KR20110056740 A KR 20110056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oking vessel
metal member
layer
metal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표
Original Assignee
홍석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표 filed Critical 홍석표
Priority to KR102009011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6740A/ko
Publication of KR2011005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B05D5/083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involving the use of fluoro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열원에 의한 조리시에 신속한 열전달 기능과 조리재료가 타거나 용기 내면에 눌어붙지 않고 높은 보온성을 가지며 경량화시킬 수 있게 하는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피금속부재(11)와, 상기 외피금속부재(11) 내면에 부착되게 고정되는 볼록부(12b)와 관통공간부(12c)를 가진 금속망(12)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소재(10)를 제공하는 한편 조리용기소재(10)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조리용기로서; 상기 조리용기소재(10)의 외피금속부재(11)로 된 외피층(111)과, 상기 외피금속부재(11)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12)으로 된 금속망층(112)과, 상기 금속망(12) 내측으로 접합되는 내피금속부재(13,13')로 된 내피층(113)을 갖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피금속부재(11)로 된 외피층(121)과, 상기 외피금속부재(11)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12)으로 된 금속망층(122)이 하측에 있고 상기 금속망층(122) 상부에는 공간층(122a)이 있으며 상기 금속망층(122)과 공간층(122a) 내측에 내피금속부재(13,13')로 된 내피층(123)을 갖는 외주연부(120); 및 상기 외주연부(120)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외피금속부재(11)로 된 외피층(131) 및 내피금속부재(13,13')로 된 상면층(133)이 밀착되고 테두리끝단부(130a)가 용접되어 밀봉되는 상부테두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리용기로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중간층에 금속망층과 공간층을 가지기 때문에 열전달이 신속하면서도 조리재료가 타거나 용기 내면에 눌 어붙지 않으며 보온성이 높고 보다 가벼운 조리용기를 제공하게 된다.
조리용기, 조리용기소재, 전기밥솥, 내솥용기, 후라이팬, 냄비, 구이판

Description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The logic courage subject matter which has a metal watch and the logic courage which uses this}
본 발명은 후라이팬이나 냄비 또는 전기밥솥의 내솥용기 및 볶음용기 등과 같은 조리용기에 쓰이는 조리용기소재와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를 할 때 보다 신속한 가열이 도모되면서도 조리재료가 타거나 눌어붙지 않게 하고 보온성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금속망이 층착된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라이팬이나 냄비 또는 전기밥솥의 내솥용기와 볶음용기와 같은 조리용기들은 열원을 받아 조리재료(음식재료)가 가열되어 조리되게 하는 용기들이다.
이러한 조리용기들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열원의 열에너지가 조리재료까지 보다 신속히 전달되어야 하는 물론이거니와 조리재료가 타거나 조리용기 내면에 눌어붙지 않아야 하며 높은 보온성도 있어야 하고 무게가 경량일수록 좋은 조리용기라고 할 수 있고 그리고 저렴할수록 양질의 제품을 널리 보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후라이팬이나 냄비 또는 전기밥솥의 내솥용기와 같은 조리용 기들은 주철 등 단일 금속소재로 제조되거나 또는 0.2-0.6㎜의 두께의 스테인레스판과 알루미늄판 및 동판 등을 겹쳐지도록 한 다음 로울러에 의해서 고압력으로 가압시켜 접합 되게 하여 2층 내지는 5층으로 접합 된 다층 클래드메탈(Clad Metal)이라는 소재에 의해서 제조되어 쓰이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조리용기소재들은 얇은 두께의 것이 쓰일 수 있고 또는 두터운 두께의 것이 쓰일 수도 있다.
한편, 이미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조리용기의 소재 두께가 두터울수록 조리재료가 타지 않고 잠열에 의한 보온성이 있고 상대적으로 조리용기소재가 얇을수록 조리재료가 타버리거나 눌어붙게 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이므로 본 발명에서 여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소재가 얇은 두께의 소재가 쓰이는 경우 제조단가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고 보다 경량화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신속한 열전달이 되는 장점이 있으나 보온성이 낮고 열원의 열에너지가 조리용기소재를 통해 곧바로 조리재료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조리재료가 타거나 또는 조리용기 내면에 눌어붙어 버리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의 소재가 두터운 두께의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보온성이 높고 조리재료가 잘 타지 않고 눌어붙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제조원가의 상승이 초래되고 무게가 무겁게 되며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 제조에 있어 단일 금속소재 보다는 상대적으로 다층 클래드 메탈소재 단가가 높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제품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들은 얇은 두터운 두께의 소재 및 소재 종류를 그 어떠한 것들을 선택하든지 간에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가 갖추어야 할 최상의 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 신속한 열전달 기능과 조리재료가 타거나 조리용기 내면에 눌어붙지 않아야 하고 높은 보온성 및 경량의 무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열원에 의한 조리시에 신속한 열전달 기능과 조리재료가 타거나 용기 내면에 눌어붙지 않고 높은 보온성을 가지며 경량화시킬 수 있게 하는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용기의 두께 조절이 수월하고 두터운 두께를 갖도록 하면서도 경량화된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외피금속부재와,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부착되게 고정되는 볼록부와 관통공간부를 가진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소재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금속부재와 금속망의 볼록부가 열융착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금속부재는 단일 금속이나 다층 클래드메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피금속부재와 금속망이 스테인레스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피금속부재와,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부착되게 고정되는 볼록부와 관통공간부를 가진 금속망과; 상기 금속망 위에 부착되는 내피금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용기소재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금속부재와 내피금속부재는 금속망의 양쪽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열융착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금속부재와 내피금속부재는 각각 단일 금속이나 다층 클래드메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피금속부재 및 내피금속부재와 금속망이 스테인레스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망은 다수의 금속줄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교차 되도록 엮여져서 외측방향으로 튀어 나오는 수많은 볼록부와 관통공간부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줄은 0.8-1.0㎜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망은 금속판에 수많은 구멍이 뚫리도록 하고 절곡 시켜 수많은 볼록부와 관통공간부가 형성되게 이루어진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망의 두께가 1.85-2㎜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용기소재의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으로 된 금속망층과, 상기 금속망 내측으로 접합되는 내피금속부재로 된 내피층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으로 된 금속망층이 하측에 있고 상기 금속망층 상부에는 공간층이 있으며 상기 금속망층과 공간층 내측에 내피금속부재로 된 내피층을 갖는 외주연부와; 상기 외주연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 및 내피금속부재로 된 상면층이 밀착되고 테두리끝단부가 용접되어 밀봉되는 상부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용기를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용기소재의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으로 된 금속망층과, 상기 금속망 내측으로 접합 되는 내피금속부재로 된 내피층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으로 된 금속망층과; 상기 금속망층 내측에 내피금속부재로 된 내피층을 가지며 상단테두리끝단부가 용접되어 밀봉되는 외주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용기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의 내피금속부재 내면에 수많은 엠보돌기를 더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엠보돌기는 금속망의 볼록부에 의해 돌출되어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피층 내면에 코팅층이 더 코팅되도록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코팅층이 테프론인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피금속소재와 내피금속소재 사이에 금속망층을 가짐으로써 신속하게 열전달이 이루어지면서도 조리재료에 간접 열에너지가 전달됨으로써 조리재료가 타거나 용기 내면에 눌어붙지 않지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망층이 단열층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높은 보온성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금속망층의 높이를 조절하여 채용될 수 있으므로 조리용기 두께 조절이 수월하고 금속망층에 관통공간부를 가짐에 따라 조리용기가 두터운 두께를 갖도 록 하면서도 상대적으로 경량화된 가벼운 조리용기를 제공하고 제품신뢰성이 크게 향상된 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소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조리용기소재의 종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리용기소재(이하 '소재'라고도 함)(10)는 외피금속부재(11) 내면에 금속망(12)이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외피금속부재(11)는 단일 금속이면서도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가 바람직하고 0.6-0.8㎜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더 얇거나 두터운 두께의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망(1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줄(12a)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교차 되도록 엮여져서 외측방향으로 튀어 나오는 수많은 볼록부(12b)를 구비하고 관통공간부(12c)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망(12)은 스테인레스의 금속줄(12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줄(12a)은 직경이 0.8-1.0㎜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줄(12a)이 0.8-1.0㎜의 비교적 굵은 두께의 직경으로 된 것 을 사용하는 것은 원만한 외부압력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변형이 없도록 하고 금속망(12) 자체가 원만한 외압력에 의해서 휘어지지 않는 높은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제조하려는 조리용기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상기 금속망(12)이 강한 강도를 갖는 다른 종류의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금속줄(12a)도 0.8-1.0㎜의 직경도다 더 가늘거나 굵은 직경의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줄(12a)이 엮여진 상태의 금속망(12)의 두께(St)는 1.85-2㎜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후에 설명되는 조리용기의 제품 종류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이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금속망(12)의 두께(St)는 금속줄(12a)의 직경 크기에 따라 엮여지는 높이가 다르게 되므로 금속망(12)의 두께(St)를 조리용기의 제품 종류에 따라 그에 적합한 두께(St)를 갖도록 제조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피금속부재(11) 위에 금속망(12)이 얹혀진 상태에서 브레이징처리를 하게 된다.
브레이징처리는 고온에서 한쌍의 가압롤러 사이를 소재가 통과되게 하면 상호 융착되게 접합되게 하는 처리 기술으로서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소재가 브레이징처리가 되면 금속망(12)의 수많은 볼록부(12b) 부분이 외피금속부재(1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외피금속부재(11)와 볼록부(12b)가 점접촉되는 상태로서 열융착되게 접합 된다.
이때, 금속망(12)은 원만한 외압력에 의해서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높은 강도를 갖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브레이징처리시에 가압롤러의 가압력에 의해서 찌그러지지 않게 되므로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브레이징처리가 완료되면 외피금속부재(11) 내면에 볼록부(12b)와 관통공간부(12c)를 가진 금속망(12)이 부착되게 이루어진 조리용기소재(10)를 얻게 되고 이러한 조리용기소재(10)만으로도 조리용기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후에 다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금속부재(11)와 부착된 금속망(12) 위에 내피금속부재(13)가 더 부착되게 하여 또다른 조리용기소재(10')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내피금속부재(13)는 단일 금속이면서도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가 바람직하고 0.3-0.5㎜ 두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더 얇거나 두터운 두께의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피금속부재(13)도 브레이징처리에 의해서 금속망(12)과 부착되는 것으로서 금속망(12)의 볼록부(12b)가 내피금속부재(13)와 점접촉되는 상태로서 열융착되게 접합 되어 부착된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소재(10,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은 구성하는 외피금속부재(11') 및 내피금속부재(13')가 다층 클래드메탈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외,내피금속부재(11',13')를 구성하는 다층 클래드메탈은 예컨대 이종물질소재(11a,11b)(13a,13b)가 접합 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예컨대 스테인레스판과 알루미늄판이 접합 된 2층 클레드메탈 또는 동판이 더 접합 된 3층 클레드메탈 등과 같은 다층 클래드메탈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금속망(12')에 있어서도 금속판(12d)에 수많은 구멍(12e)이 뚫리도록 하고 절곡 시켜서 다수의 볼록부(12b)와 관통공간부(12c)가 형성된 것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볼록부(12b)가 외,내피금속부재(11',13')와 접합되게 열융착시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일 금속으로 된 외피금속부재(11)와 금속판(12d)에 수많은 구멍(12e)이 뚫린 금속망(12)이 접합 되게 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다층 클래드메탈로 이루어진 외피금속부재(11) 및 금속줄(12a)로 이루어진 금속망(12)이 접합 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다층 클래드메탈로 이루어진 외,내피금속부재(11',13') 사이에 금속줄(12a)로 이루어진 금속망(12)이 접합 되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제조하려고 하는 조리용기의 제품 종류 및 형태 또는 용도에 따라 적합한 것들을 접합 되게 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소재(10)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리용기(100A)의 일실시예로서 냄비용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조리용기(100A)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조리용기소재(1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외피금속부재(11,11') 위에 그 외피금속부재(11,11')의 전체 면적의 약 2/3 면적을 가지는 금속망(12,12')이 적층되게 하여 부착되게 구성한다.
다음, 금형과 프레스에 의해서 도 6과 같이 조리용기소재(10)를 프레스로 절곡하게 되면 조리용기의 바닥부(110) 전체와 외주연부(120)의 1/2 높이 지점 또는 그 이하 지점까지만 금속망(12,12')이 적층 된 상태로 제조된다.
다음, 역시 금형과 프레스에 의해서 내피금속부재(13,13')를 프레스로 절곡하여 조리용기(100A) 형태로 형성되게 한다.
다음, 상기 내피금속부재(13,13')를 조리용기소재(10) 내부로 삽입시킨 후에 가압롤러에 의해서 고압력으로 가압하면서 브레이징 용접되게 한다. 상기 브레이징 용접되게 하는 처리기술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내피금속부재(13,13')를 0.3-0.5㎜의 얇은 두께의 것을 사용하게 되면 바닥부(110)에서는 금속망(12,12')이 볼록부(12b)가 있기 때문에 그 볼록부(12b)가 없는 관통공간부(12c) 쪽에 위치하게 되는 내피금속부재(13,13')는 밑으로 낮아지게 내려가고 볼록부(12b)가 있는 부분은 윗쪽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변형 됨으로써 바닥부(110) 내면에는 도 7과 같이 볼록부(12b)가 있는 부분에 엠보돌기(114)가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조리용기(100A)의 상부테두리부(130)에서는 외피금속부재(11,11')와 내피금속부재(13,13')가 상호 밀착되는 상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호 밀착된 상부테두리부(130)의 외피금속부재(11)와 내피금속부재(13,13')의 테두리끝단부(130a)를 시임용접기에 의해서 시임용접하여 용착시킨 다음 선반 등에 의해서 절삭함으로써 테두리끝단부(130a)를 깨끗하게 마무리하게 된다.
이때, 시임용접하면서 금속망(12,12')이 게재된 부분의 공기를 진공장치(미도시됨)에 의해서 빨아내어 진공 되게 한다. 물론, 기술상 문제로 인하여 100% 진공되는 것은 아니고 약간의 공기는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용기(100A)는 바닥부(110)에 외피금속부재(11,11')로 된 외피층(111)과, 상기 외피금속부재(11,11')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12,12')으로 된 금속망층(112)과, 상기 금속망(12,12') 내측으로 접합되는 내피금속부재(13,13')로 된 내피층(113)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내피층(113)에는 금속망(12,12')의 볼록부(12b)에 의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엠보돌기(114)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조리용기(100A)의 외주연부(120)는 외피금속부재(11,11')로 된 외피층(121)과, 상기 외피금속부재(11,11')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12,12')으로 된 금속망층(122)이 하측에 있고 상기 금속망층(122) 상부에는 공간층(122a)이 있으며 상기 금속망층(122)과 공간층(122a) 내측에 내피금속부재(13,13')로 된 내피층(123) 구비하도록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조리용기(100A)의 상부테두리부(130)는 외피금속부재(11,11')로 된 외피층(131)과, 내피금속부재(13,13')로 된 상면층(133)이 밀착되어 테두리끝단부(130a)가 용접되어 밀봉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조리용기(100B)는 전기밥솥용 내솥용기를 나타낸 것이 고, 도 9에 보인 조리용기(100C)는 후라이팬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리용기(100B,100C)가 각각의 용도에 따라 필요에 의해서 내피금속부재(13,13')의 내면에 테프론에 의한 코팅처리를 하여 코팅층(140)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테프론 코팅을 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은 조리용기(100A-100C)의 용도에 따라 내피금속부재(13,13') 외면에 코팅층(140)이 없는 조리용기(100A)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내피금속부재(13,13') 외면에 코팅층(140)을 갖도록 하는 조리용기(100B,100C)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예컨대 법랑과 같이 외피금속부재(11,11') 외면에도 코팅이 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망층(112,122)의 두께(St)를 두텁게 가능하므로 조리용기(100A-100C)의 바닥부(110)와 외주연부(120)의 두께를 두텁게 구성할 수 있게 되면서도 금속망층(112,122)을 형성하는 금속망(12,12')에는 빈 공간이 되는 수많은 관통공간부(12c)를 구비하므로 조리용기(100A-100C)의 중량이 그만큼 크게 감소 하게 되는 것이므로 두터운 두께를 가지게 되는 조리용기(100A-100C)이면서도 경량화된 무게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벼운 조리용기(100A-100C)를 얻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조리용기(100A-100C)가 가볍다는 것은 예전과 동일한 크기와 두께를 갖는 조리용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원이 가스렌지의 가스열원일 경우 불꽃이 외주연부(120)의 금속망층(122)이 있는 부분까지 올라간다.
그러므로 바닥부(110) 및 외주연부(120)의 외피층(111,121)이 직접가열되는 상태가 되고 열원으로부터 직접가열되는 외피층(111,121)의 열에너지는 금속망층(112,122)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금속망(12,12')의 볼록부(12b)만 외피금속부재(11,11')와 내피금속부재(13,13')와 점접촉되는 상태로 접합 되어 있기 때문에 미미하게 열전달이 되는 것이고 관통공간부(12c)가 빈 공간이므로 열에너지는 관통공간부(12c)를 거처 내피층(123)에 전달되게 되므로 거의 모든 열에너지는 관통공간부(12c)를 거처 열전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리재료에 직접적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하여 조리가 되도록 하는 내피층(123)은 열원의 열에너지가 금속망층(112,122)의 빈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므로 내피층(123)은 열원의 열에너지가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빈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므로 매우 신속하게 열 전달되게 그로 인해 신속하게 내피층(113,123)이 가열되게 된다.
그리고 열원의 열에너지가 매체를 통해 내피층(113,123)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금속망층(112,122)의 빈 공간을 통해 거의 모든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이기 때문에 내피층(113,123)은 열원으로부터 직접가열이 되는 것이 아니고 간접가열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바닥부(110)와 외주연부(120)의 두께가 두터울 뿐만 아니라 내피층(113,123)이 간접가열되기 때문에 내피층(113,123)이 아무리 뜨거워도 조리재료는 열원으로부터 직접적인 열에너지를 전달받지 아니하므로 내피층(113,123)으로부터 열에너지를 부여받아 조리가 되는 조리재료가 내피층(113,123)에 눌어 붙거나 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조리재료가 타지 않거나 눌어 붙지 않게 된다는 것은 조리재료의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 범위 내에서 그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외주연부(120)의 공간층(122a)은 외피층(121)의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에너지와 금속망층(122))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에너지가 상승되어 내피층(123)에 열에너지를 전달하게 되므로 간접전달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외주연부(120)의 금속망층(122) 윗쪽으로 위치하는 내피층(123)에도 조리재료가 눌어붙거나 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열원을 끄고 조리를 잠시 중단하거나 또는 보온이 필요로 되는 경우에는 금속망층(122)의 관통공간부(12c) 및 공간층(122a)이 빈 공간이기 때문에 하나의 보온층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외피층(111,121)과 내피층(113,123) 사이에 있는 빈 공간이 보온층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조리재료의 보온성을 높여주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빈 공간이 있으면 그 빈 공간이 단열작용을 하여 보온성을 가지게 되는 것은 이미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열원을 끄고 조리를 잠시 중단하다가 다시 열원을 키고 다시 조리를 할 경우에 조리재료가 보온 된 상태에서 다시 열에너지를 받게 되므로 보다 신속한 조리가 도모될 뿐만 아니라 조리재료가 많이 식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조리를 하게 되므로 양호한 조리가 되고 연료 낭비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장시간 보온을 계속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금속망층(112,122)과 공간층(122a)에서 단열 되어 예전보다 보온성이 크게 높아지므로 전기밥솥용 내솥용기로 제조되는 경우 전력낭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냄비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냄비 자체를 식탁에 놓고 식사하는 경우에 높은 보온성에 의해 음식이 빨리 식지 않게 되므로 열원으로 조리할 때의 맛을 식사 중에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fhtj 단순한 통상적인 조리용기(100D)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의해 나타낸 외피금속부재(11,11')와, 상기 외피금속부재(11,11') 내면에 부착되게 고정되는 볼록부(12b)와 관통공간부(12c)를 가진 금속망(12,12')과, 상기 금속망(12,12') 위에 접합 되게 부착되는 내피금속부재(13,13')에 의해 이루어진 조리용기소재(10')를 이용하여 조리용기(100D)가 제조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조리용기(100D)는 조리용기소재(10') 전체를 금형과 프레스에 의해서 가압하여 조리용도에 필요한 원하는 형태의 조리용기(100D)가 구성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100D)는 상기 조리용기소재(10')의 외피금속부재(11,11')로 된 외피층(111)과, 상기 외피금속부재(11,11')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12,12')으로 된 금속망층(112)과, 상기 금속망(12,12') 내측으로 접합되는 내피금속부재(13,13')로 된 내피층(113)을 갖는 바닥부(11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피층(113)에는 도 10과 같이 평평하게 구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실시예와 같은 엠보돌기(114)가 형성되게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1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피금속부재(11,11')로 된 외피층(121)과, 상기 외피금속부재(11,11')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12,12')으로 된 금속망층(122')과, 상기 금속망층(122') 내측에 내피금속부재(13,13')로 된 내피층(123)을 갖는 외주연부(120')를 구성한다.
상기 외주연부(120')의 상단테두리끝단부(120a)는 일실예에서 테두리끝단부(130a)와 같이 시임용접 되게 한 후 절삭시켜서 마무리되게 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때 금속망층(112,122')이 진공되게 하는 것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외피층(111,121)과 내피층(123)의 외,내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 일시예와 같이 코팅층이 형성되게 코팅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구이용 불판을 나타낸 조리용기(100E)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구이용 불판이 용기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편의상 공통적으로 조리용기(100E)라고 명칭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리용기(100E)는 형태만 다를 뿐 앞서 설명된 조리용기(100D)와 동일한 방법과 구조로서 제조되고 구성된다.
다만, 구이용 불판이라는 용도 특성상 내피층(123) 내면에 코팅층(140)이 더 코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조리용기(100D,100E)의 기능과 작용 역시 앞서 설명된 조리용기(100A-100C)들과 마찬가지로 신속한 열전달 기능과 조리시 간접가열에 의해 조리재료가 타거나 눌어붙지 않게 되는 것과 보온성이 높고 보다 경량화된 무게를 갖게 되는 것 등이 모두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용기(100A-100E)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 모두가 중간층에 금속망층(112,122,122')을 갖도록 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조리용기 또는 조리기구라고 할지라도 중간층에 금속망층을 갖는 것이라면 본 발명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른 형태로도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조리용기소재를 나타낸 종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소재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소재를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조리용기에 채용되는 조리용기소재의 종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조리용기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7은 도 5의 "Y"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조된 내솥용기와 후라이팬을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리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조된 구이용 불판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 : 조리용기소재 11,11' : 외피금속부재
12,12' : 금속망 13,13' : 내피금속부재
100A-100E : 조리용기 110 : 바닥부
111,121 : 외피층 112,122,122' : 금속망층
113,123 : 내피층 114 : 엠보돌기
120,120' : 외주연부 122a : 공간층
130 : 상부테두리부 140 : 코팅층

Claims (18)

  1. 외피금속부재와,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부착되게 고정되는 볼록부와 관통공간부를 가진 금속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금속부재와 금속망의 볼록부가 열융착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금속부재는 단일 금속이나 다층 클래드메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금속부재와 금속망이 스테인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5. 외피금속부재;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부착되게 고정되는 볼록부와 관통공간부를 가진 금속망;
    상기 금속망 위에 접합되게 부착되는 내피금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금속부재와 내피금속부재는 금속망의 양쪽으로 돌출된 볼록부와 열융착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금속부재와 내피금속부재는 각각 단일 금속이나 다층 클래드메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금속부재 및 내피금속부재와 금속망이 스테인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9. 제 1 항과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망은 다수의 금속줄이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교차 되도록 엮여져서 외측방향으로 튀어 나오는 수많은 볼록부와 관통공간부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줄은 0.8-1.0㎜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11. 제 1 항과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망은 금속판에 수많은 구멍이 뚫리도록 하고 절곡 시켜 수많은 볼록부와 관통공간부가 형성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12. 제 1 항과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망의 두께가 1.85-2㎜의 두께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소재.
  13. 제 1 항의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용기소재의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으로 된 금속망층과, 상기 금속망 내측으로 접합되는 내피금속부재로 된 내피층을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으로 된 금속망층이 하측에 있고 상기 금속망층 상부에는 공간층이 있으며 상기 금속망층과 공간층 내측에 내피금속부재로 된 내피층을 갖는 외주연부;
    상기 외주연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 및 내피금속부재로 된 상면층이 밀착되고 테두리끝단부가 용접되어 밀봉되는 상부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한 조리용기.
  14. 제 5 항의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용기소재의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 에 접합 되는 금속망으로 된 금속망층과, 상기 금속망 내측으로 접합 되는 내피금속부재로 된 내피층을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피금속부재로 된 외피층과, 상기 외피금속부재 내면에 접합 되는 금속망으로 된 금속망층과; 상기 금속망층 내측에 내피금속부재로 된 내피층을 가지며 상단테두리끝단부가 용접되어 밀봉되는 외주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한 조리용기.
  15. 제 13 항과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내피금속부재 내면에 수많은 엠보돌기를 더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한 조리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돌기는 금속망의 볼록부에 의해 돌출되어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한 조리용기.
  17. 제 13 항과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층 내면에 코팅층이 더 코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한 조리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이 테프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를 이용한 조리용기.
KR1020090113192A 2009-11-23 2009-11-23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KR20110056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92A KR20110056740A (ko) 2009-11-23 2009-11-23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92A KR20110056740A (ko) 2009-11-23 2009-11-23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740A true KR20110056740A (ko) 2011-05-31

Family

ID=4436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192A KR20110056740A (ko) 2009-11-23 2009-11-23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67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76B1 (ko) * 2018-09-11 2019-05-22 주식회사 그라첸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US11800951B1 (en) * 2022-04-10 2023-10-31 David Boyd Bober Cast iron composite cooking vess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76B1 (ko) * 2018-09-11 2019-05-22 주식회사 그라첸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US11800951B1 (en) * 2022-04-10 2023-10-31 David Boyd Bober Cast iron composite cooking vess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3631C (zh) 加热容器
CN201504978U (zh) 一种多功能节能锅
CA2615976C (en) Insulated cooking vessel
CN101233996A (zh) 电磁炉伴侣铁锅及其制造方法
CN105795887B (zh) 锅体及具有其的炊具
KR20110056740A (ko)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KR101110498B1 (ko) 이중 구조의 가열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07940630U (zh) 一种复合锅
CN105747830B (zh) 可控制油烟的炒锅及其生产方法
KR102587071B1 (ko) 평탄 바닥구조를 갖는 조리용기
CN100457003C (zh) 复合包底锅
CN103110337B (zh)
KR20110092716A (ko)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CA3053508A1 (en) Cooking utensil having a graphite core
CN201734485U (zh) 煎炒锅
US20230008372A1 (en) Cooking Device Comprising A Multi-Layer Diffuser Base
CN102920310A (zh) 一种电磁加热用锅具及立体加热的电磁烹饪器具
JPH09140593A (ja) 調理用具
CN2457943Y (zh) 子母锅
CN108851934A (zh) 一种红外线电磁复合加热用锅具
KR101366411B1 (ko) 조리 용기
CN108852012A (zh) 内锅及其制作方法和烹饪设备
CN210989639U (zh) 复底多用锅具
CN201664191U (zh) 一种多功能锅的改良结构
CN207544858U (zh) 多层受热板无烟炒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