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276B1 -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276B1
KR101981276B1 KR1020180108100A KR20180108100A KR101981276B1 KR 101981276 B1 KR101981276 B1 KR 101981276B1 KR 1020180108100 A KR1020180108100 A KR 1020180108100A KR 20180108100 A KR20180108100 A KR 20180108100A KR 101981276 B1 KR101981276 B1 KR 101981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weight
outer contain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라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라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라첸
Priority to KR102018010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금속기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내외측 용기로 분할 형성한 후 이들 내외측 용기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긴밀히 밀폐 결합하고, 상기 결합용기의 내외면에 대하여 법랑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내측용기와 외측용기의 바닥 사이에는 열전도판을 고정 형성함으로써,
금속기재 및 열전도판에 의해 전체적으로 빠르고 고른 열전도율을 갖는 것은 물론 개선된 구조의 열전도판 및 열전달수단을 통해 용기의 상부까지 고르게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식물이 더욱 빠르고 고르게 조리될 수 있는 것이고, 이중 단열구조에 의해 보온 지속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며, 법랑코팅층에 의해 기존의 도기 질감 및 색감을 연출하여 고급스러움을 갖는 것이고, 가볍고 견고하여 취급 안정성이 뛰어나면서도 매우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Food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 전도율과 보존력을 향상시켜 연료 절감 및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접촉면적에 대한 균일한 열 분포를 실현하여 음식물이 눌러 붙는 것을 억제함과 더불어 보온 지속력을 향상시켜 음식물이 쉽게 식지 않도록 하며, 전체 외주 면을 법랑 처리하여 물리적 강성에 더한 내식성과 청결성이 향상되도록 한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의 음식물 조리용기는 곰탕이나 설렁탕과 같은 탕류 음식물이나 각종 찌개류 및 매운탕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가스레인지 또는 전열기구를 이용하여 가열 조리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되는 물품이다.
시중에서 널리 보급 사용되는 조리용기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냄비 형 조리용기와 흙을 빚어서 소성 제조한 도기형 용기 및 등륵실용신안 제20-0418169호와 같이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맥반석 등의 광물을 가공하여 얻어진 뚝배기형 용기 등이 대표적이라 할 것이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570호와 같이 기존의 금속재 조리용기와 도기로 만들어진 뚝배기가 결합된 형태의 조리용기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위 예시의 냄비 형 조리용기는 초기 열 전도율이 높아 음식물이 빨리 끓어 사용이 편리하나 보온 지속성이 좋지 못하여 가열 후 빨리 식어버려 음식물의 풍미가 저하되고 음식물이 바닥에 눌러 붙거나 얼룩 및 탄자국 등이 생기기 쉽다는 단점이 있으며, 도기형 용기의 경우 열을 균일하게 전도함과 더불어 고온으로 가열된 후에는 보온성이 우수하여 쉽게 식지 않으므로 음식물의 풍미를 오래 유지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조리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기로 만들어진 조리용기의 경우 충격에 매우 약하여 쉽게 균열 및 깨질 수 있어 취급성과 수명단축의 문제점이 야기되었으며, 뚝배기형 용기는 다공질층 내에 세제성분이나 음식물 찌꺼기가 흡착될 수 있어 위생적이지 못하며 상당한 중량물로써 취급시 주의가 필요한 제반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금속 재질의 냄비 형 조리용기와 도기 및 뚝배기 용기의 장점을 고루 겸비한 신개념의 조리용기 개발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18169 (2006.05.30. 등록)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2007-0000570 (2007.05.1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조리용기들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금속기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내외측 용기로 분할 형성한 후 이들 내외측 용기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긴밀히 밀폐 결합하고, 상기 결합용기의 내외면에 대하여 법랑코팅층을 형성하되, 상기 내측용기와 외측용기의 바닥 사이에는 열전도판을 고정 형성함으로써,
전체 면적에 대하여 신속하면서도 균일한 열전도와 함께 보온 지속성과 취급성 및 위생성을 고루 갖춘 특징을 갖는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속기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만들어진 내측용기와 외측용기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용기가 외측용기 내에 삽입 고정되게 하고, 상기 내측용기와 외측용기의 사이에는 진공단열층이 형성되도록 내측용기의 선단과 외측용기의 선단을 밴딩접합부에 의해 고정 형성하며, 상기 내측용기의 저면와 외측용기의 바닥면 사이에는 별도 구비의 열전도판을 고정 형성하되, 내측용기의 내면과 외측용기의 외면 전체에는 법랑코팅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기재 및 열전도판에 의해 전체적으로 빠르고 고른 열전도율을 갖는 것은 물론 개선된 구조의 열전도판 및 열전달수단을 통해 용기의 상부까지 고르게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식물이 더욱 빠르고 고르게 조리될 수 있는 것이고, 이중 단열구조에 의해 보온 지속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며, 법랑코팅층에 의해 기존의 도기 질감 및 색감을 연출하여 고급스러움을 갖는 것이고, 가볍고 견고하여 취급 안정성이 뛰어나면서도 매우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단열 조리용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단열 조리용기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단열 조리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단열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단열 조리용기의 열전도판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단열 조리용기의 열전도판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단열 조리용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단열 조리용기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단열 조리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단열구조의 조리용기는 스테인리스 스틸 혹은 법랑 전용강판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 된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를 각기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외측용기(20)는 외주면에 다양한 형태의 돌기를 돌출 성형함에 따라 파지력을 높이고 다양한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내측용기(10)의 경우 매끄러운 내면을 갖도록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를 각기 제작한 후 내측용기(10)를 내측용기(20)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내측용기(10)의 선단과 외측용기(20)의 선단이 서로 겹쳐져 외측으로 밴딩 접합되도록 가공하여 이들이 서로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선단이 외측으로 밴딩 접합됨에 따라 상단에는 일정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절곡 플랜지에 의한 밴딩접합부(2)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의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의 사이에는 일정 공간의 진공단열층(1)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진공단열층(1)으로 인해 내측용기(10) 내의 음식물이 빠르게 식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뜨거운 음식물을 용기 내에 넣는 경우 진공단열층(1)에 의한 열차단 효과로 인해 외측용기(20)를 그대로 집어들어 옮길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를 밴딩접합부(2)에 의해 결합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측용기(20)의 내부 바닥면에 열전도율이 우수하고 매우 가벼운 특징의 알루미늄 재질로 된 별도 구비의 열전도판(30)을 안치시킨 후 상기 내측용기(10)를 집어넣어 내측용기(10)의 저면이 열전도판(3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서로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는 진공단열층(1)에 의해 측부가 분리된 반면 하부는 상기 열전도판(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용기(10)의 내면 전체와 외측용기(20)의 외면 전체에는 법랑코팅층(3)을 형성함에 따라 마치 도자기와 같은 질감 및 색감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고,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 간의 진공단열층(1)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리용기는 일정 수준의 두께감을 얻을 수 있어 마치 도기 재질의 뚝배기와 같은 형태를 보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법랑코팅층(3)은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의 표면에 법랑유약을 디핑하여 건조 소성시키는 것으로 얻어질 수 있는 것으로, 법랑유약이 디핑된 상태의 용기는 대략 80℃의 온도에서 저열 건조시키는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법랑유약이 용기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점착 및 결합되게 하는 것이고, 저열 건조가 이루어진 용기는 830℃의 고온에서 소성시킴에 따라 상기 법랑유약이 금속기재의 표면에 고강도로 용융 고착되면서 고도의 내구성을 갖는 법랑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법랑유약은 이산화규소(SiO2) 37~40중량%, 붕산(B2O3)12~15중량%, 산화나트륨(Na2O)12~15중량%, 산화알루미나(Al2O2)2~5중량%, 장석분(K2O)3~5중량%, 아질산(HNO2)2~5중량%, 산화코발트(CoO)1~3중량%, 산화구리(CuO)2~4중량%, 산화칼슘(CaO)3~6중량%, 산화바륨(BaO)2~5중량%을 혼합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본 발명의 음식용 조리용기는, 열 전도율과 보존력을 향상시켜 연료 절감 및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접촉면적에 대한 균일한 열 분포를 실현하여 음식물이 눌러 붙는 것을 억제함과 더불어 보온 지속력을 향상시켜 음식물이 쉽게 식지 않도록 하며, 전체 외주 면을 법랑 처리하여 물리적 강성에 더한 내식성과 청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전도판(30)이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의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상호 간의 밀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도 4의 도시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열전도판(30)의 상,하면에는 금속 가공에 의한 너어링 격자홈(31)을 전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너어링 격자홈(31)에 맞닿는 내측용기(10)의 저면과 외측용기(20)의 바닥면에는 각기 샌딩요철면(11)(21)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의 샌딩요철면(11)(21)은 금속재로 된 볼을 고압으로 토출시켜 표면에 무수한 홈부가 형성됨에 따라 만들어지는 것으로, 샌딩요철면(11)(21)을 갖는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의 사이에 상기 너어링 격자홈(31)을 갖는 열전도판(30)을 집어넣고 이들을 고압으로 눌러주게 되면 상기 너어링 격자홈(31)의 내측으로 상기 샌딩요철면(11)(21)의 미세한 돌기들이 파고들면서 상호 간의 강력한 결합 간섭력을 갖게 되므로 상기의 열전도판(30)은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의 사이에서 강력하게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열전도판(30)의 우수한 밀착 고정력은 외측용기(20)에 작용하는 열기를 빠르게 흡수하여 상기 내측용기(10)에 전달하는 효과를 연출하므로 연료 절감 및 조리 시간을 단축하는데 매우 이로운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열원이 위치하는 용기의 하단에 비하여 가열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위치에 있는 용기의 선단 부분이 가열 온도가 낮아 음식물이 빠르고 고르게 조리되는데 방해가 되는 것을 감안하여 용기의 선단에 대한 가열 온도의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열전도판(30)의 구조를 개선하거나 열전달 수단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내측용기(10)의 외면 전체 열전도메쉬(40)를 밀착 고정시키되, 상기의 열전도메쉬(40)은 구리 혹은 동이나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한 그물망 형태의 소재로서, 상기 열전도메쉬(40)의 하단은 상기 열전도판(30)에 연결 혹은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가스레인지 등의 열원으로부터 상기의 외측용기(20)에 대한 직접가열이 이루어지면 외측용기(20)로부터 열전도판(30)이 급속도로 가열될 것이고, 상기 열전도판(30)의 가열로 인해 내측용기(10)가 가열되는 동시에 상기 열전도메쉬(40)를 통해 내측용기(10)의 열전도 속도 보다 빠르게 내측용기(10)의 선단으로부터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결국 상기의 내측용기(10)는 기존에 비하여 상,하부 전체가 빠르게 고른 온도를 갖고 가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열전도판(30)의 가장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열전도띠(32)(32')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의 열전도띠(32)(32')가 내측용기(10)의 외면 전체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의 열전도띠(32)(32')는 상단이 하단보다 넓은 상광하협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 열전도판(30)이 가열되는 경우 열전도판(30)의 열기는 열전도띠(32)(32')를 통해 빠르게 내측용기(10)의 전체면을 가열시키게 되는데, 상기 열전도띠(32)(32')는 상단이 더 넓은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 하부에 비하여 상호 접촉면적이 증대할 것이므로 내측용기(10)의 하부에 비하여 상부가 더 빠르고 높은 형태의 가열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이는, 열원과 가깝고 열전도판(30)과 직접 맞닿아 있는 내측용기(10)의 하부에 비하여 내측용기(10)의 상부가 상대적으로 가열 속도 및 가열 온도가 낮은 점을 감안하여 설계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상광하협의 열전도띠(32)(32')를 이용하여 내측용기(10)가 가열 온도의 편차가 최소화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고르고 빠르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중 단열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는 가볍고 우수한 열전도성을 갖는 동시에 법랑코팅층 및 일정한 두께감으로 인해 뚝배기와 같은 형상을 연출하여, 기존의 금속 조리용기의 장점과 뚝배기의 장점을 고루 취합한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진공단열층 2 : 밴딩접합부
3 : 법랑코팅층
10 : 내측용기 11 : 샌딩요철면
20 : 외측용기 21 : 샌딩요철면
30 : 열전도판 31 : 너어링 격자홈
32,32' : 열전도띠
40 : 열전도메쉬

Claims (5)

  1. 금속기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만들어진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용기(10)가 외측용기(20) 내에 삽입 고정되게 하고, 상기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의 사이에는 진공단열층(1)이 형성되도록 내측용기(10)의 선단과 외측용기(20)의 선단을 밴딩접합부(2)에 의해 고정 형성하며, 상기 내측용기(10)의 저면와 외측용기(20)의 바닥면 사이에는 별도 구비의 열전도판(30)을 고정 형성하되, 상기 내측용기(10)의 저면과 외측용기의 바닥면에는 각기 샌딩요철면(11)(21)을 형성하고, 열전도판(3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샌딩요철면(11)(21)과 대응하는 너어링 격자홈(31)을 형성하여 이들 샌딩요철면(11)(21)과 너어링 격자홈(31) 간의 상호 간섭 저항에 의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음식물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용기(10)의 내면과 외측용기(20)의 외면 전체에는 법랑코팅층(3)을 형성하되, 상기 법랑코팅층(3)은 이산화규소(SiO2) 37~40중량%, 붕산(B2O3)12~15중량%, 산화나트륨(Na2O)12~15중량%, 산화알루미나(Al2O2)2~5중량%, 장석분(K2O)3~5중량%, 아질산(HNO2)2~5중량%, 산화코발트(CoO)1~3중량%, 산화구리(CuO)2~4중량%, 산화칼슘(CaO)3~6중량%, 산화바륨(BaO)2~5중량%를 혼합하여 만들어진 법랑유약을 내측용기(10)와 외측용기(20)의 표면에 디핑하고 상기 법랑유약이 디핑된 용기는 80℃의 온도에서 저열 건조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며, 저열 건조가 이루어진 용기는 830℃의 고온에서 소성시켜 법랑 코팅층(3)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열전도판(30)에는 내측용기(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 열전도띠(32)(32')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열전도띠(32)(32')는 선단이 하단에 비해 넓은 상광하협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여 상기 내측용기(10)의 상,하부에 대한 가열 온도 편차가 감소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08100A 2018-09-11 2018-09-11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KR10198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00A KR101981276B1 (ko) 2018-09-11 2018-09-11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00A KR101981276B1 (ko) 2018-09-11 2018-09-11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276B1 true KR101981276B1 (ko) 2019-05-22

Family

ID=6668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100A KR101981276B1 (ko) 2018-09-11 2018-09-11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150B1 (ko) * 2019-10-16 2020-07-03 조문식 보강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WO2021158064A1 (ko) * 2020-02-06 2021-08-12 김현애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구리 합금 보온 용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16A (ko) * 1999-10-28 2001-05-15 이재명 삼중 바닥구조를 갖는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204819A (ja) * 2004-01-21 2005-08-04 Seiko Kikai Kk 加熱調理容器
KR200418169Y1 (ko) 2006-03-14 2006-06-07 (주) 오성세라믹스 뚝배기
KR20070000570U (ko) 2007-04-26 2007-05-16 문근술 금속층을 갖는 뚝배기
KR20100008194A (ko) * 2008-07-15 2010-01-25 서기원 유도가열용기의 바닥면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04711A (ko) * 2009-03-19 2010-09-29 김양종 이중 구조의 가열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740A (ko) * 2009-11-23 2011-05-31 홍석표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KR20150111180A (ko) * 2014-03-25 2015-10-05 (주)부방 열 충격 완화를 위한 유도가열 전용 세라믹 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916A (ko) * 1999-10-28 2001-05-15 이재명 삼중 바닥구조를 갖는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204819A (ja) * 2004-01-21 2005-08-04 Seiko Kikai Kk 加熱調理容器
KR200418169Y1 (ko) 2006-03-14 2006-06-07 (주) 오성세라믹스 뚝배기
KR20070000570U (ko) 2007-04-26 2007-05-16 문근술 금속층을 갖는 뚝배기
KR20100008194A (ko) * 2008-07-15 2010-01-25 서기원 유도가열용기의 바닥면 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04711A (ko) * 2009-03-19 2010-09-29 김양종 이중 구조의 가열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740A (ko) * 2009-11-23 2011-05-31 홍석표 금속망을 갖는 조리용기소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KR20150111180A (ko) * 2014-03-25 2015-10-05 (주)부방 열 충격 완화를 위한 유도가열 전용 세라믹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150B1 (ko) * 2019-10-16 2020-07-03 조문식 보강 기능을 갖는 이중 용기
WO2021158064A1 (ko) * 2020-02-06 2021-08-12 김현애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구리 합금 보온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6426B2 (en) Integrated microwaveable heat storage device
KR101981276B1 (ko)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KR20140014658A (ko) 법랑 코팅층을 구비한 주방용품의 제조방법
JPS6349871B2 (ko)
CN105534319B (zh) 一种ih电饭煲的陶瓷内胆及其制备方法
CN206469306U (zh) 多功能微波加热烤盘
CN101913849A (zh) 厨具用耐热陶瓷
JP2009106719A (ja) 電磁調理器用器物の保温壁部材
JP2003275097A (ja) 断熱調理鍋
CN207928184U (zh) 锅具和厨房器具
JP2013169298A (ja) 調理用プレート
JP4183521B2 (ja) 電磁調理器用土鍋
KR101952919B1 (ko) 난스틱 특성이 우수한 가열조리용기
CN206867068U (zh) 一种钛/铝/不锈钢复合锅
KR102285636B1 (ko) 단열 코팅층이 형성된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90337A (ko) 전자렌지용 발열 구이팬
KR200300270Y1 (ko) 편리한 전자레인지 조리 용구
CN201353102Y (zh) 电饭锅、煲陶瓷内胆
KR200346523Y1 (ko) 전자렌지용 조리기
KR200298123Y1 (ko) 전자레인지용 구이팬
KR101651079B1 (ko) 조리 및 보온기능을 겸비한 이중 냄비
KR101010739B1 (ko) 열접촉 패드를 구비한 전기가열보온장치
KR200371556Y1 (ko) 전자렌지용 발열 구이팬
KR200309321Y1 (ko) 전자레인지용 발열 조리용기
CN105992405B (zh) 远红外发热膜的制作方法和电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