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169Y1 - 뚝배기 - Google Patents

뚝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169Y1
KR200418169Y1 KR2020060006769U KR20060006769U KR200418169Y1 KR 200418169 Y1 KR200418169 Y1 KR 200418169Y1 KR 2020060006769 U KR2020060006769 U KR 2020060006769U KR 20060006769 U KR20060006769 U KR 20060006769U KR 200418169 Y1 KR200418169 Y1 KR 200418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enware
casserole
jaw
flam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근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 오성세라믹스
이승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오성세라믹스, 이승열 filed Critical (주) 오성세라믹스
Priority to KR2020060006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1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열기구로부터 방사되는 열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에너지가 절감되고 신속한 조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뚝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뚝배기는, 상몸체(32)의 하측에 반구 형상의 하몸체(3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몸체(32)와 하몸체(34)의 연결부 외주면상에 환형걸림턱부(36)가 돌출된 뚝배기(30)에 있어서, 상기 환형걸림턱부(36)와 접한 하몸체상에 화염차단턱(38)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뚝배기 {AN EARTHENWARE BOWL}
도 1은 종래 뚝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뚝배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뚝배기, 32:상몸체,
34:하몸체, 36:환형걸림턱부,
37:바닥돌출부, 38.화염차단턱,
39:미끄럼방지부
본 고안은 뚝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효율이 향상되어 에너 지가 절감되고 신속한 조리가 가능한 뚝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성후 내열성을 갖는 황토로 만들어지는 뚝배기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가열용기와 비교하여 보온성능이 높고, 황토로부터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같은 유효한 기능에 의해 음식 맛이 뛰어나므로 현대사회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뚝배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뚝배기(1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부(13)가 형성되도록 대략 "U" 자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2)의 하단에 가열기구에서 발산되는 화염과 접촉되는 바닥돌출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뚝배기(10)는 바닥돌출부(14)측으로 가열기구의 화염이 방사되면 몸체(12)의 외주면을 타고 대부분의 화염이 상방으로 발산되는 구조이므로 에너지 낭비가 매우 심하여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뚝배기(1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그 취급과정이나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상몸체(22)와 이 상몸체(22)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몸체(24)로 이루어진 상,하몸체(22,24)의 연결부상에 환형걸림턱(26)이 돌출된 뚝배기(20)가 안출되어 상기 환형걸림턱(26)을 이용하여 손잡이의 기능이 수행되고 조리과정에서 가열기구로부터 방사되는 화염을 일정 부분 차단함으로써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뚝배기(20)는 환형걸림턱(26)이 몸 체의 중앙 부분에 해당되는 상,하몸체(22,24)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염이 바닥돌출부(27)에서 하몸체(24)를 통해 상방으로 상승되는 과정에서 측방으로 발산, 손실되면서 뚝배기 몸체를 완벽하게 가열할 수 없게 되어 열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뚝배기(10,20)는 상단부의 외주면이 매끄러운 표면상태로 형성되어 가열된 뚝배기를 집게로 고정시켜 운반하는 과정에서 쉽게 미끄러져 이탈되므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또한 종래 뚝배기(20)를 적층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 위쪽 뚝배기의 하몸체(24)가 아래쪽 뚝배기의 상몸체(22)상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하몸체(24)가 환형걸림턱(26) 부위까지 삽입되지 않으므로 안정되게 적층하여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열기구로부터 방사되는 열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에너지가 절감되고 신속한 조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 뚝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뚝배기는, 상몸체의 하측에 반구 형상의 하몸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몸체와 하몸체의 연결부 외주면상에 환형걸림턱부가 돌출된 뚝배기에 있어서, 상기 환형걸림턱부와 접한 하몸체상에 화염차단턱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몸체가 상몸체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화염차단턱이 상몸체의 상단 개구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화염차단턱의 외경은 개구부의 내 경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몸체의 상단 외주면상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뚝배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는, 상몸체(32)와, 상기 상몸체(32)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하몸체(34)와, 상기 상몸체 및 하몸체의 연결부에 돌출되는 환형걸림턱부(36)와, 상기 환형걸림턱부와 접한 하몸체상에 형성되는 화염차단턱(38)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몸체(32)는 대략 원기둥을 형상을 갖되, 환형걸림턱부(36)와 접한 부분의 외경보다 그 상단 개구부의 외경이 작게 형성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몸체(34)의 저면상에는 가열기구에서 방사되는 화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바닥돌출부(37)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돌출부(37)는 바람직하게 홈이 형성되지 않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열기구로부터 방사된 화염이 홈을 통해 방출되지 않으므로 보다 더 길게 화염이 체류되게 된다.
상기 화염차단턱(38)의 외경은 상몸체 상단 개구부의 내경(a) 보다 크게 형 성되고 이 화염차단턱(38)의 내측 홈단부의 외경(b)은 상몸체 상단 개구부의 내경(a) 보다 작게 형성되는 바, 즉 여러 개의 뚝배기를 상하로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상측 뚝배기의 하몸체가 그 아래쪽 뚝배기의 상몸체 개구부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화염차단턱(38)이 상몸체(32)의 상단 개구부(a)에 걸림되어 안정된 적층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는 조리된 음식을 운반하기 위해 집게로 가열된 뚝배기를 집어 고정하는 과정에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몸체(32)의 상단 외주면상에 미끄럼방지부(3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부(3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수 개의 요입홈을 형성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뚝배기 몸체 내부 공간부에 해당 음식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환형걸림턱부(36)가 가열기구의 거치대측에 올려지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열기구를 조작하여 점화시키게 되면 화염이 상방으로 방사되어 하몸체(34)의 바닥면상으로 인가되고 이와 같이 인가된 화염은 바닥돌출부(37)에 의해 차단되어 일정시간 동안 체류된 후 바닥돌출부(37)를 넘어서 하몸체(34)의 외면을 타고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몸체(34)를 타고 상승되는 화염이 화염차단턱(38)에 위치되면 다시 한번 화염이 체류되면서 하몸체(34)측을 가열시키게 되고, 이 화염차단턱(38)를 경유한 화염은 환형걸림턱부(36)측으로 상승된 후 또 다시 차단되면서 뚝배기 몸체를 가열시키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에 따르면, 가열기구로부터 방사된 화염이 바닥돌출부(37), 화염차단턱(38) 및 환형걸림턱부(36)측을 통해 순차적으로 차단되면서 뚝배기 몸체에 열원을 인가시키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열의 이용율이 향상되어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데, 즉 상기 바닥돌출부(37)측으로 인가되는 열원에 의해 뚝배기의 바닥층에 위치된 음식물이 가열되고, 화염차단턱(38)측으로 인가되는 열원에 의해 중간층의 음식물이 가열되며 환형걸림턱부(36)로 인가되는 열원에 의해 뚝배기의 상부층의 음식물이 가열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뚝배기의 상몸체(32)상에 미끄럼방지부(39)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조리과정을 통해 가열된 뚝배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집게로 집게 되면 미끄럼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뚝배기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30)는 화염차단턱(38)의 내측 홈단부의 외경(b)이 상몸체(32) 상단 개구부의 내경(a)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부에 올려지는 뚝배기의 하몸체(34)가 그 아래쪽에 위치된 뚝배기의 상몸체(32) 개구부(a)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화염차단턱(38)의 돌출된 부분이 상몸체(32)의 상단부에 걸림되므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개의 뚝배기를 상하로 반복 적층시키게 되면 뚝배기의 정리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뚝배기에 의하면, 가열기구로부터 방사된 화염이 바닥돌출부, 화염차단턱 및 환형걸림턱부측을 통해 순차적으로 차단되면서 뚝배기 몸체에 열원을 인가시키게 되어 열의 이용 효율이 향상되므로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단축되는 동시에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염차단턱을 이용한 뚝배기의 적층이 가능하므로 뚝배기를 보다 편리하고 안정되게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뚝배기의 상단에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가열된 뚝배기의 이동시에 안전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상몸체의 하측에 반구 형상의 하몸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몸체와 하몸체의 연결부 외주면상에 환형걸림턱부가 돌출된 뚝배기에 있어서,
    상기 환형걸림턱부와 접한 하몸체상에 화염차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몸체가 상몸체의 상단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화염차단턱이 상몸체의 상단 개구부에 걸림되도록 상기 화염차단턱의 외경은 개구부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몸체의 상단 외주면상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KR2020060006769U 2006-03-14 2006-03-14 뚝배기 KR200418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69U KR200418169Y1 (ko) 2006-03-14 2006-03-14 뚝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69U KR200418169Y1 (ko) 2006-03-14 2006-03-14 뚝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169Y1 true KR200418169Y1 (ko) 2006-06-07

Family

ID=4176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769U KR200418169Y1 (ko) 2006-03-14 2006-03-14 뚝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1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337B1 (ko) * 2008-04-01 2011-09-16 서덕용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7930A (ko) 2017-02-24 2018-09-03 강석칠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KR101981276B1 (ko) 2018-09-11 2019-05-22 주식회사 그라첸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337B1 (ko) * 2008-04-01 2011-09-16 서덕용 가열이 가능한 단열용 이중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7930A (ko) 2017-02-24 2018-09-03 강석칠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KR101981276B1 (ko) 2018-09-11 2019-05-22 주식회사 그라첸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37162A1 (en) Cookware article
KR200418169Y1 (ko) 뚝배기
KR200464770Y1 (ko) 고온용기용 받침대
KR101090515B1 (ko) 압력밥솥
US10201246B2 (en) Multifunction cooking device
JP3217005U (ja) 調理補助具及び該調理補助具を用いた調理器具
KR200283338Y1 (ko) 뚝배기
KR20090098234A (ko) 뚝배기 받침
KR20110007035U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KR20090098235A (ko) 뚝배기 받침
KR200369837Y1 (ko) 열효율 다용도 압력밥솥
KR100764090B1 (ko) 뚝배기 받침
JP6547156B1 (ja) 調理用鍋
KR101953359B1 (ko) 가마솥 뚜껑
KR200478961Y1 (ko) 다중구조냄비
KR200426145Y1 (ko) 적층 가능형 뚝배기
KR200198749Y1 (ko) 용기 받침대 손상방지구조
KR20200002616U (ko) 솥전에 손잡이가 설치된 압력솥
KR200323681Y1 (ko) 이중뚜껑을 갖춘 조리용기
KR200323729Y1 (ko) 이중가열 냄비구조
JP2014042709A (ja) 蒸気調理鍋
KR200315410Y1 (ko) 뚝배기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KR200463678Y1 (ko) 냄비 뚜껑과 냄비
KR102058692B1 (ko) 가스차단장치 대응 이중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