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930A -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 Google Patents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930A
KR20180097930A KR1020170024736A KR20170024736A KR20180097930A KR 20180097930 A KR20180097930 A KR 20180097930A KR 1020170024736 A KR1020170024736 A KR 1020170024736A KR 20170024736 A KR20170024736 A KR 20170024736A KR 20180097930 A KR20180097930 A KR 20180097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outer
ceramic
container
outer containe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인
강석칠
최양호
김용철
임윤
Original Assignee
강석칠
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칠, 임윤 filed Critical 강석칠
Priority to KR1020170024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930A/ko
Publication of KR2018009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7/00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 C04B37/02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with metallic articles
    • C04B37/028Joining burned ceramic articles with other burned ceramic articles or other articles by heating with metallic articles by means of an interlayer consisting of an organic adhesive, e.g. phenol resin or p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에 관한 것으로, 점토나 황토와 같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되는 뚝배기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재질을 소재로 하여 뚝배기와 같은 그릇형상으로 성형된 후 자연 건조하여 물기가 제거된 상태로 내,외면에 유약을 도포한 다음 상온에서 건조되는 세라믹 외부용기와;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를 열처리로에 투입하여 1200℃의 고온으로 10∼12시간 1차 열처리한 다음 상기한 1차 열처리공정을 거친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규격으로 제조되는 금속 내부용기를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 도포층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으로 상기 금속 내부용기가 밀착되도록 삽입시킨 다음 이를 200℃의 온도에서 1∼2시간 2차 열처리하여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 도포층이 금속 내부용기를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접착되게 하여 상기 금속 내부용기와 세라믹 외부용기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Double bowl for pot with double ceramic and metal}
본 발명은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세라믹 재질로 성형된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정밀가공된 금속 내부용기가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접착시킨 구성으로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형성되는 뚝배기 이중그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뚝배기는 설렁탕 등의 국물을 담을 때 사용되거나 또는 찌개류를 끓일 때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뚝배기는 고은 흙인 점토를 소재로 하여 만든 것을 가마에서 구워내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점토 재질의 뚝배기는 음식을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일단 가열된 상태에서는 보온성이 높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기능이 있어 음식 맛을 좋게 하는 등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점토 재질의 뚝배기는 음식의 맛을 좋게 하고 또 보온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점토 재질로 제조된 뚝배기는 미세한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을 담고 사용한 후 세척을 잘못하게 되면 미세한 기공에 세균 등이 번식할 수 있게 되므로 위생적으로 볼 때에는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점토 재질의 뚝배기는 강한 충격을 가하거나 또는 바닥에 떨어뜨렸을 경우 쉽게 깨진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 일례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18169호(2006. 06. 07. 공고)로 제안된 뚝배기는 상몸체와 하몸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상몸체와 하몸체의 경계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걸림턱부를 기준하여 상기한 환형걸림턱부보다 낮은 위치의 하몸체에 화염차단턱을 구성하는 수단으로, 뚝배기 가열시 화염이 상기한 화염차단턱에 의하여 차단되면서 체류하게 되므로 하몸체의 가열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한 회염차단턱을 경유한 화염은 다시 환형검림턱부(36)에서 차단되면서 뚝배기의 하몸체를 가열시키게 되므로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앞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황토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것이므로 뚝배기의 내,외면에 미세한 기공이 많이 형성되어 있어 음식을 조리한 후 세척을 잘못하게 될 경우에는 세균 등이 번식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안전하지 못 할 뿐 아니라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쉽게 깨지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23976호(2006. 08. 14. 공고)로 제안된 이중 금속 내열 뚝배기의 경우는 금속재질로 제조된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요입부에 석분을 충진하고, 이어서 상기 외부용기의 상측에 손잡이를 대칭상으로 부착한 후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에 내부용기를 삽입한 다음 상기 내,외부 용기를 유압프레스로 드로잉 가공하는 방법으로 이중 금속 내열 뚝배기를 제조하는 구성인바, 이는 외부용기의 바닥과 내용용기의 바닥 사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석분이 내부용기의 바닥이 빠르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이 끓지 않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는 있겠지만, 일단 끓은 음식물을 뜨거운 상태로 보온하는 데에는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왜냐하면, 상기한 이중 금속 내열 뚝배기는 바닥부분을 제외하고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18169호(2006. 06. 07. 공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23976호(2006. 08. 1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온성이 우수하고 충격에 강하며, 내면에는 미세한 기공이 없어 세척이 용이한 위생적인 뚝배기 이중그릇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점토나 황토와 같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되는 뚝배기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재질을 소재로 하여 뚝배기와 같은 그릇형상으로 성형된 후 자연 건조하여 물기가 제거된 상태로 내,외면에 유약을 도포한 다음 상온에서 건조되는 세라믹 외부용기와;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를 열처리로에 투입하여 1200℃의 고온으로 10∼12시간 1차 열처리한 다음 상기한 1차 열처리공정을 거친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규격으로 제조되는 금속 내부용기를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 도포층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으로 상기 금속 내부용기가 밀착되도록 삽입시킨 다음 이를 200℃의 온도에서 1∼2시간 2차 열처리하여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 도포층이 금속 내부용기를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접착되게 하여 상기 금속 내부용기와 세라믹 외부용기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층은 중량비를 기준하여 세륨(Ce) 0.2%, 란타륨(La) 0.3%, 규사 2%, 규산지리콘 1.5%, 산화알르미나 94.9%, 에어로실 0.5%, 아연화 0.5%로 구성되는 접착재료 100%에 대하여 30∼40%에 해당하는 규산소다를 혼합 교반하여 얻은 액상 접착제가 0.5∼1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삽입된 금속 내부용기는 200℃의 온도로 1∼2시간 2차 열처리된 후 상기 금속 내부용기의 표면을 연마처리하여 금속 자체의 광택이 나타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온성이 우수한 재질의 세라믹 외부용기와, 이의 내면에 스테인레스스틸재질의 금속 내부용기가 밀착 결합되는 이중 구조로 구성되는 뚝배기 이중그릇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세라믹 외부용기에 의하여 음식물을 가열 조리하게 될 때에는 가열되는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와 함께 가열 조리된 뜨거운 음식물을 담아놓았을 경우에는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보온하는 보온성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뚝배기 이중그릇의 금속 내부용기는 음식물이 접하는 내면은 기공이 없고 매끄러운 상태이므로 세척이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뚝배기 이중그릇의 금속 내부용기는 세라믹 외부용기가 강한 충격에도 깨지지 않게 보호하여 뚝배기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뚝배기 이중그릇은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결합되어 있는 금속 내부용기가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덕션렌지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방의 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벌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세라믹 외부용기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접착제 도포층의 도포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접착제 도포층이 형성된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금속 내부용기를 삽입하기 전 상태의 세라믹 외부용기와 금속 내부용기의 분리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금속 내부용기를 삽입하여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뚝배기 이중그릇의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뚝배기 이중그릇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뚝배기 이중그릇(1)은 점토, 황토 등의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는 세라믹 외부용기(2)와 스테인레스스틸재질로 형성되는 금속 내부용기(3)가 일체로 결합된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는 종래 기술에서 옹기 그릇을 만들 때 점토 등을 반죽하여 그릇형상으로 만드는 것과 같이 점토, 황토 등의 세라믹 재질을 반죽하여 뚝배기 그릇형상으로 만들고, 이를 10∼15일 정도 자연건조하여 물기가 완전히 제거되어 그릇형상으로 굳어지는 상태가 되면 세라믹 외부용기(2)의 성형공정이 완료된다.(도 1 참조)
상기와 같이 성형된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외면에 유약을 도포하여 건조한 다음,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접착제 도포층(4)을 일정 두께(0.5∼1mm 정도)로 고르게 도포하게 되면 도 2의 도시와 같이 내면에는 접착제 도포층(4)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도포 형성되어 있는 접착제 도포층(4)은 중량비를 기준하여 세륨(Ce) 0.2%, 란타륨(La) 0.3%, 규사 2%, 규산지리콘 1.5%, 산화알르미나 94.9%, 에어로실 0.5%, 아연화 0.5% 등으로 구성되는 접착재료 100%(중량)에 대하여 규산소다(액상)를 30∼40%(중량) 추가로 혼합 교반하여 얻은 접착제를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0.5∼1mm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접착제 도포층(4)을 설정된 두께(0.5∼1mm)로 도포한 다음에는 스테인레스스틸 재질의 금속 내부용기(3)를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금속 내부용기(3)가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금속 내부용기(3)는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정밀하게 가공된 상태이다.(도 3 참조)
따라서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금속 내부용기(3)는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정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삽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안에 금속 내부용기(3)를 밀착되도록 삽입시킨 상태에서 200℃의 온도에서 1∼2시간 정도로 건조하는 열처리 건조공정으로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와 이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금속 내부용기(3)는 200℃의 온도로 건조되는 과정에서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0.5∼1mm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 도포층(4)이 경화하는 현상으로 인해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금속 내부용기(3)가 밀착 접합되는 것이며, 따라서 상기 금속 내부용기(3)는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도포된 접착제 도포층(4)의 강력한 접착력에 의해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접착되는 것이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200℃의 온도로 1∼2시간 정도 열처리 건조하는 공정에서 금속 내부용기(3)의 표면이 산화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금속 내부용기(3)를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삽입하여 접착제 도포층(4)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200℃의 온도로 열처리 건조공정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정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금속 내부용기(3)의 표면이 스테인레스스틸 금속 자체가 가지고 있는 광택이 되살아날 수 있도록 상기 금속 내부용기(3)의 내면을 연마처리하게 되면, 상기 금속 내부용기(3)의 내면이 스테인레스스틸 금속 자체의 광택을 띠게 되므로 뚝배기 이중그릇(1)을 외관이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갖도록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뚝배기 이중그릇(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뚝배기 이중그릇(1)은 세라믹 외부용기(2)와, 이의 내면에 금속 내부용기(3)가 정밀하게 밀착 결합된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세라믹 재질만으로 구성된 그릇에 비하여 충격에 강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뚝배기 이중그릇(1)의 세라믹 외부용기(2)는 보온성이 우수하므로 탕류, 찌개류 등의 음식물을 뜨거운 상태로 담았을 경우 음식물이 뜨거운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보온 작용을 하게 되며, 탕류나 찌개류 등 가열 음식을 직접 가열하는 방법으로 조리하게 될 때에는 음식물이 충분히 가열되는 상태로 끓일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리음식의 맛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뚝배기 이중그릇(1)의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금속 내부용기(3)는 표면이 매끄럽고 윤택하므로 음식물이 스며들지 못할 뿐 아니라 음식 조리 후 설거지할 때 음식물이 깨끗하게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으로 뚝배기 이중그릇(1)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뚝배기 이중그릇(1)은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일체로 결합된 금속 내부용기(3)가 자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덕션렌지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뚝배기 이중그릇(1)으로 음식을 조리하고자 할 때 인덕션렌즈 위에 뚝배기 이중그릇(1)을 올려놓고 음식물을 조리하게 될 때 주방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뚝배기 이중그릇(1)은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정밀하게 밀착 결합된 금속 내부용기(3)가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2)의 강도를 보강하여 충격으로부터 세라믹 외부용기(2)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뚝배기 이중그릇(1)의 세라믹 외부용기(2)의 내면에 밀착 결합되어 있는 금속 내부용기(3)는 표면이 매끄럽고 윤택하므로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음식물 조리시에는 국물이 스며들지 못하게 할 뿐 아니리 설거지할 때에는 음식물 찌꺼기가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에 도시하고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뚝배기 이중그릇과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한 일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세라믹 외부용기와 금속 내부용기를 열처리공정을 통하여 접착제 도포층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전골판이나 구이판 등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구성으로 제조되는 전골판 및 구이판 등은 본 발명의 권리범주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뚝배기 이중그릇 2 : 세라믹 외부용기
3 : 금속 내부용기 4 : 접착제 도포층

Claims (3)

  1. 점토나 황토와 같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되는 뚝배기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재질을 소재로 하여 뚝배기와 같은 그릇형상으로 성형된 후 자연 건조하여 물기가 제거된 상태로 내,외면에 유약을 도포한 다음 상온에서 건조되는 세라믹 외부용기와;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를 열처리로에 투입하여 1200℃의 고온으로 10∼12시간 1차 열처리한 다음 상기한 1차 열처리공정을 거친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규격으로 제조되는 금속 내부용기를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삽입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 도포층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으로 상기 금속 내부용기가 밀착되도록 삽입시킨 다음 이를 200℃의 온도에서 1∼2시간 2차 열처리하여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 도포층이 금속 내부용기를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접착되게 하여 상기 금속 내부용기와 세라믹 외부용기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층은 중량비를 기준하여 세륨(Ce) 0.2%, 란타륨(La) 0.3%, 규사 2%, 규산지리콘 1.5%, 산화알르미나 94.9%, 에어로실 0.5%, 아연화 0.5%로 구성되는 접착재료 100%에 대하여 30∼40%에 해당하는 규산소다를 혼합 교반하여 얻은 액상 접착제가 0.5∼1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외부용기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삽입된 금속 내부용기는 200℃의 온도로 1∼2시간 2차 열처리된 후 상기 금속 내부용기의 표면을 연마처리하여 금속 자체의 광택이 나타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KR1020170024736A 2017-02-24 2017-02-24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KR20180097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736A KR20180097930A (ko) 2017-02-24 2017-02-24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736A KR20180097930A (ko) 2017-02-24 2017-02-24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930A true KR20180097930A (ko) 2018-09-03

Family

ID=6360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736A KR20180097930A (ko) 2017-02-24 2017-02-24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9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2093A (zh) * 2021-07-05 2021-09-10 李学有 一种结合漆艺的建盏及其制备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169Y1 (ko) 2006-03-14 2006-06-07 (주) 오성세라믹스 뚝배기
KR200423976Y1 (ko) 2006-05-09 2006-08-14 손치영 이중 금속 내열 뚝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169Y1 (ko) 2006-03-14 2006-06-07 (주) 오성세라믹스 뚝배기
KR200423976Y1 (ko) 2006-05-09 2006-08-14 손치영 이중 금속 내열 뚝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2093A (zh) * 2021-07-05 2021-09-10 李学有 一种结合漆艺的建盏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6426B2 (en) Integrated microwaveable heat storage device
KR20140014658A (ko) 법랑 코팅층을 구비한 주방용품의 제조방법
KR20180097930A (ko) 세라믹과 금속 재질이 이중으로 구성된 뚝배기 이중그릇
KR101021417B1 (ko) 금속이 용사된 조리용 토기
US20180339833A1 (en) Ceramic phase change container
KR101981276B1 (ko) 이중 단열 구조의 음식물 조리용기
CN109938594A (zh) 一种新型喷泉火锅盆
KR0139187Y1 (ko) 열전도체를 내장하는 솥
EP2982614A1 (en) Device for microwave cooking
JP2004195059A (ja) 調理容器
JP2012205868A (ja) 土鍋状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85636B1 (ko) 단열 코팅층이 형성된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5083728B2 (ja) 陶磁器製品
CN215820563U (zh) 一种平底结构砂锅
JP3202186B2 (ja) 電磁調理器用の鍋
JP2007252524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陶磁器製容器
KR20170002349U (ko) 인덕션 렌지용 세라믹 용기
CN100475100C (zh) 无机非金属抗裂处理方法及器皿
KR101304443B1 (ko) 도자기로 이루어진 전기밥솥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US20230240463A1 (en) Low-pressure steam cooker
KR200390598Y1 (ko) 이중 바닥을 갖는 내열 자기
KR20090013906A (ko) 조리용기로 사용되는 토기의 세라믹 코팅 방법 및 그조리용기
CN218683527U (zh) 一种具有保温隔热功能的陶瓷碗
CN216437504U (zh) 一种外覆陶瓷的置于传统砂锅内底面的电磁炉煲汤加热片
JPH04234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