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235A - 뚝배기 받침 - Google Patents

뚝배기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235A
KR20090098235A KR1020080023477A KR20080023477A KR20090098235A KR 20090098235 A KR20090098235 A KR 20090098235A KR 1020080023477 A KR1020080023477 A KR 1020080023477A KR 20080023477 A KR20080023477 A KR 20080023477A KR 20090098235 A KR20090098235 A KR 20090098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arthenware
earthen bowl
handl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티엠
Priority to KR102008002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8235A/ko
Publication of KR2009009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뚝배기 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의 바닥에 원호형 돌기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받침에 경사지게 놓여진 뚝배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곡면으로 형성된 손잡이와 만나는 받침의 둘레에는 지지벽이 형성되어 엄지손가락이 뜨거운 뚝배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중앙에 오목한 수납홈(11)이 형성되어 뚝배기(20)를 놓을 수 있고, 수납홈(11)의 양측에는 손잡이(12)가 형성된 통상의 받침(10)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11)의 바닥에는 원호(圓弧)를 이루는 돌기(13)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받침(10)에 뚝배기(20)를 경사지게 놓았을 때 뚝배기(20)의 하부 모서리 부위가 돌기(13)들에 걸려지며, 손잡이(12)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손잡이(12)와 만나는 받침(10)의 둘레에는 지지벽(12a)이 형성되고, 지지벽(12a)에 의하여 엄지손가락이 뜨거운 뚝배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받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뚝배기 받침{a earthen bowl support}
본 발명은 뚝배기 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받침의 바닥에 원호형 돌기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받침에 경사지게 놓여진 뚝배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곡면으로 형성된 손잡이와 만나는 받침의 둘레에는 지지벽이 형성되어 엄지손가락이 뜨거운 뚝배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뚝배기는 찌개를 끓이거나 조림을 할 때 사용하는 한국 재래의 그릇으로 냄비처럼 빨리 끓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일단 뜨거워진 것은 쉽게 식지 않으므로 겨울철에 찌개나 설렁탕과 같은 따끈한 음식을 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뚝배기는 매우 뜨겁기 때문에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손잡이의 위쪽에 위치하는 엄지손가락이 뚝배기에 접촉되어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을 뿐 아니라 뚝배기에 국물이 조금 남아 뚝배기를 바침 위에 경사지게 놓았을 때 뚝배기가 받침의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뚝배기 받침(특허 10-0764090호 참조 바람)"을 제안한 바 있었다.
그러나, 본인의 선 등록은 받침의 바닥에 동심원을 이루는 돌기들이 연속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뚝배기를 받침에 경사지게 놓았을 때 뚝배기가 살짝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뚝배기가 원하는 경사를 이루도록 할 수 없었다.
또한, 수납홈의 양측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엄지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막음편에 의하여 받침들을 포개어 놓았을 때 받침들이 불안정한 자세로 포개어짐에 따라 받침들이 넘어지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받침에 경사지게 놓여진 뚝배기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엄지손가락이 뜨거운 뚝배기에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뚝배기 받침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중앙에 오목한 수납홈(11)이 형성되어 뚝배기(20)를 놓을 수 있고, 수납홈(11)의 양측에는 손잡이(12)가 형성된 통상의 받침(10)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11)의 바닥에는 원호(圓弧)를 이루 는 돌기(13)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받침(10)에 뚝배기(20)를 경사지게 놓았을 때 뚝배기(20)의 하부 모서리 부위가 돌기(13)들에 걸려지며, 손잡이(12)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손잡이(12)와 만나는 받침(10)의 둘레에는 지지벽(12a)이 형성되고, 지지벽(12a)에 의하여 엄지손가락이 뜨거운 뚝배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받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뚝배기(20)에 국물이 조금 남게되어 뚝배기(20)를 받침(10)의 수납홈(11)에 경사지게 놓으면 뚝배기(20)의 하부 모서리 부위가 방사형 돌기(13)들에 걸려짐에 따라 뚝배기(20)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남은 국물을 모두 먹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곡면 손잡이(12)에 의하여 형성된 지지벽(12a)이 손가락들과 뚝배기(20) 사이에 벽을 형성하여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손잡이(12)를 잡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손잡이(12)의 위쪽에 위치하는 엄지손가락이 뚝배기(20)에 접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뜨거운 뚝배기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뚝배기 받침(10)의 중앙에는 원형을 이루어 오목하게 들어간 수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홈(11)에는 뚝배기(20)를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11)의 양측에는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12)를 양쪽 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11)의 바닥에는 원호(圓弧)를 이루는 돌기(13)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10)에 뚝배기(20)를 경사지게 놓았을 때 뚝배기(20)의 하부 모서리 부위가 방사형 돌기(13)들에 걸려짐에 따라 뚝배기(20)의 미끄러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므로 뚝배기(20)가 미끄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남은 국물을 모두 먹을 수 있는 것으로서 매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원호를 이루는 돌기(13)들이 방사형을 이루어 형성된 것이므로 뚝배기(20)의 하부 모서리와 만나는 곳에 위치한 원호형 돌기(13)에 뚝배기(20)가 정확하게 걸려지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동심원 돌기들에 의하여 뚝배기(20)가 살짝 미끄러지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납홈(11)의 중앙에는 중심돌기(13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중심돌기(13a)는 뚝배기(20)를 받침(10)에 경사지게 놓았을 때 가장 많이 접촉되는 부위로 뚝배기(20)의 미끄러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12)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12)와 만나는 받침(10)의 둘레에는 지지벽(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벽(12a)에 의하여 엄지손가락이 뜨거운 뚝배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뜨거운 뚝배기(20)에 의하여 화상을 입는 등의 폐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받침(10)들을 포개어 놓더라도 손잡이(12)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것이므로 포개어진 받침(10)들이 매우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양측에 위치한 막음편들에 의하여 받침들을 포개어 놓았을 때 받침들이 불안정한 자세로 포개어지는 등의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도시에 의하면, 상기 수납홈(11)의 둘레에는 걸림홈(11a)들이 연속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11a)들은 뚝배기(20)의 저면에 마찰을 부여하여 경사지게 놓여진 뚝배기(2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받침
11 : 수납홈
11a : 걸림홈
12 : 손잡이
12a : 지지벽
13 : 돌기
13a : 중심돌기
20 : 뚝배기

Claims (3)

  1. 중앙에 오목한 수납홈(11)이 형성되어 뚝배기(20)를 놓을 수 있고, 수납홈(11)의 양측에는 손잡이(12)가 형성된 통상의 받침(10)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11)의 바닥에는 원호(圓弧)를 이루는 돌기(13)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받침(10)에 뚝배기(20)를 경사지게 놓았을 때 뚝배기(20)의 하부 모서리 부위가 돌기(13)들에 걸려지며, 손잡이(12)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손잡이(12)와 만나는 받침(10)의 둘레에는 지지벽(12a)이 형성되고, 지지벽(12a)에 의하여 엄지손가락이 뜨거운 뚝배기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받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11)의 중앙에는 중심돌기(13a)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받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11)의 둘레에는 걸림홈(11a)들이 연속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받침.
KR1020080023477A 2008-03-13 2008-03-13 뚝배기 받침 KR20090098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77A KR20090098235A (ko) 2008-03-13 2008-03-13 뚝배기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477A KR20090098235A (ko) 2008-03-13 2008-03-13 뚝배기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235A true KR20090098235A (ko) 2009-09-17

Family

ID=4135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477A KR20090098235A (ko) 2008-03-13 2008-03-13 뚝배기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82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419B1 (ko) * 2010-10-12 2013-03-13 박용상 뜨거운 뚝배기를 쉽게 옮기기 위한 뚝배기받침
KR20180063791A (ko) 2016-12-02 2018-06-12 안유정 회전식 음식물 용기 받침대
KR20240010970A (ko) 2022-07-18 2024-01-25 (주)유일인더스트리 열 전달 면적을 최소화한 열경화성수지용 용기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419B1 (ko) * 2010-10-12 2013-03-13 박용상 뜨거운 뚝배기를 쉽게 옮기기 위한 뚝배기받침
KR20180063791A (ko) 2016-12-02 2018-06-12 안유정 회전식 음식물 용기 받침대
KR20240010970A (ko) 2022-07-18 2024-01-25 (주)유일인더스트리 열 전달 면적을 최소화한 열경화성수지용 용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5795C (en) Covered dish with vent
EP2976976B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US20120037618A1 (en) Flexible kitchen container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KR20090098235A (ko) 뚝배기 받침
KR20090098234A (ko) 뚝배기 받침
KR100764090B1 (ko) 뚝배기 받침
US10184668B2 (en) Stove top cover and serving tray
KR200418169Y1 (ko) 뚝배기
US5884883A (en) Bowl lifting apparatus
CN209450325U (zh) 一种堆叠锅具
KR200315410Y1 (ko) 뚝배기
KR200310069Y1 (ko) 미끄럼방지 턱이 있는 뚝배기 받침대
JP7356174B2 (ja) 食器
KR200283338Y1 (ko) 뚝배기
KR101100928B1 (ko) 조리용품 적층용 스페이서
JP2017202280A (ja) 摘み易い鍋蓋
JP5373414B2 (ja) 樹脂製の鍋敷き兼用運び盆
KR20120047446A (ko) 프라이팬 보호구
US20210030210A1 (en) Stackable cookware
JPS6140259Y2 (ko)
JPS5920828Y2 (ja) 電気調理器
KR200173698Y1 (ko) 손잡이가 형성된 식판
JP2016034384A (ja) まな板
KR20190094957A (ko) 주방용기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