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729Y1 - 이중가열 냄비구조 - Google Patents

이중가열 냄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729Y1
KR200323729Y1 KR20-2003-0016804U KR20030016804U KR200323729Y1 KR 200323729 Y1 KR200323729 Y1 KR 200323729Y1 KR 20030016804 U KR20030016804 U KR 20030016804U KR 200323729 Y1 KR200323729 Y1 KR 200323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ot
cover
side por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수
Original Assignee
박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수 filed Critical 박한수
Priority to KR20-2003-0016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7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가열 냄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냄비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외주면에서 상부로 기울기를 갖는 측면부와 연결되어 하방으로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되는 덮개부를 구비시켜 측면부와 덮개부 사이에 보조가열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열의 전도 및 대류에 의해 냄비에 저장된 음식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가열 냄비구조{PAN STRUCTURE FOR DOUBLE HEATING}
본 고안은 이중가열 냄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냄비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외주면에서 상부로 기울기를 갖는 측면부와 연결되어 하방으로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되는 덮개부를 구비시켜 측면부와 덮개부 사이에 보조가열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열의 전도 및 대류에 의해 냄비에 저장된 음식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음식물을 조리시켜 주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냄비(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를 재질로 하여 사용용도와 음식물의 량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갖고 음식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가열수단에 의해 점화된 불꽃으로 인해 가열되는 조리부와, 상기의 조리부 상면을 덮어줄수 있도록 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의 조리부는 음식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개방된 상면을 기점으로 하여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곡선면(2)을 갖도록 형성하고, 바닥에는 평탄한 바닥면(3)이 형성되며, 조리부의 상단 부분이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지는 절곡면(4)을 주어 뚜껑이 얹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냄비(1)는 조리부 내에 음식물이 담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가열수단에 올려주고, 상기의 가열수단으로부터 점화된 불꽃이 조리부를 가열시켜 줌으로서, 상기 조리부의 내부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냄비는 보편적으로 평평한 바닥면(3)을 갖고, 상기의 바닥면(3)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곡선면(2)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서, 조리부를 가열수단에 올려준 상태에서 점화된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고자 할 경우, 가열수단으로부터 점화된 불꽃이 조리부의 바닥면(3)을 직접 가열시켜 주고, 상기 바닥면(3)을 가열시켜준 불꽃은 바닥면(3) 외주연을 기점으로 하여 상부로 갈수록 넓어진 곡선면(2)을 갖는 측면을 타고 올라가도록 하여 조리부 전체를 가열시켜 줌으로서, 조리부 내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을 골고루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바닥면(3)과 곡선면(2)에 전도되는 불꽃의 온도가 달라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단점과 조리도중에 음식물을 뒤집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열수단으로부터 점화된 불꽃은 조리부의 바닥면(3)을 직접 가열시켜 준 다음, 이의 외주연으로 분산되어 곡선면(2)을 간접적으로 가열시켜 주다가 소멸이 되는 것으로서, 불꽃의 직접열이 전도되는 바닥면(3)과, 간접열이 전도되는 곡선면(2)과의 온도차이에 의하여 바닥면(3)에 위치하고 있는 음식물은 빠른 시간내에 조리되는 반면, 바닥면(3)과 멀리 떨어져서 상측에 형성되는 곡선면(2)에 위치하고 있는 음식물은 늦게 조리됨으로서, 음식물의 조리도중 뒤집어 주어야 하는 조리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가열수단으로부터 점화된 불꽃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부를 가열시켜 주게되는 것이고, 이러한 미연소된 불꽃은 불꽃이 높을수록 더욱 심하게 발생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조리부는 바닥면(3)으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곡선(2)을 갖도록 한 상태이기 때문에, 곡선면(2)을 따라 올라가는 미연소 불꽃이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됨은 물론, 음식물을 조리하는 상태에서 음식물을 먹기 위해 조리부내에 있는 음식물을 뜨고자 할 경우 조리부의 측면을 타고 올라오는 불꽃이나 열기에 의해 화상을 입게되는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던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은 기존의 냄비 외주면에 열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보조가열부를 형성하여 냄비에 저장되는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시켜 주고, 이러한 보조가열부에 형성되는 열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를 형성하여 열기압의 축적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냄비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냄비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바닥부 22 : 측면부
23 : 절곡면 24 : 덮개부
25 : 걸림턱 26 : 보조가열부
27 : 배기구 28 : 손잡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열수단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평탄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과 연결되어 상방으로 올라갈수록 확장되기 위한 기울기를 가지며, 상부에 뚜껑이 안착되기 위한 절곡면을 구비한 측면부를 포함하는 냄비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는 덮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와 덮개부 사이에는 열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보조가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가열 냄비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냄비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가열 냄비구조는 일반적인 냄비의 측면부에서 연장되어 하방으로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와 측면부 사이에 보조가열부가 형성되어, 바닥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복사, 전도열이 대류열로 전환됨으로서, 냄비에 골고루 열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스렌지와 같은 가열수단에 의해 냄비(20)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데, 상기 냄비(20)의 저면에는 가열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평탄한 형상의 바닥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21)의 외주면과 연결되어 상방으로 올라갈수록 기울기를 가져 냄비 내부에 저장되는 양을 증가시키도록 측면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22)의 상부에는 뚜껑이 안착되기 위한 절곡면(2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22)의 상단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는 덮개부(24)가 형성되는데, 상기 덮개부(24)는 측면부(22)와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면부(22)와 덮개부(24) 사이에는 열이 일시 저장되기 위한 보조가열부(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바닥부(21)가 지면에 접했을 때, 상기 덮개부(24)는 지면에 접하지는 않고 근접할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덮개부(24)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굴곡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열의 배출을 일정부분 차단시키는 걸림턱(2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4)의 상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보조가열부(26)에 형성되는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27)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27)의 상단에는 덮개부(24)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열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판(29)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한 28은 손잡이로서 상기 덮개부(24)의 외측에는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냄비류에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가열수단에 의해 불꽃과 같은 가열물질이 냄비(20)의 바닥부(21)에 골고루 닿아 냄비를 가열시키는데, 불꽃의 세기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냄비(20)의 효과를 설명하겠다.
일단 불꽃이 약한 경우 이러한 불꽃은 바닥부(21) 만을 직접 가열하게되고, 이러한 열기는 바닥부(21)에서 측면부(22)로 전도되고, 상기 측면부(22)에서 덮개부(24)로 전도되는데, 전도열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전도 과정에서 보조가열부(26)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가 가열되어 대류열로 전환되는바, 상기 대류열은 그 특성상 모든 부위가 동시에 같은 온도로 가열되기 때문에 전도열에 따른 차별가열 현상을 해소하여 냄비(20)의 바닥부(21) 및 측면부(22)가 거의 동일한 온도로 가열되는 효과를 발휘하여 냄비(20)에 저장된 음식물이 골고루 익게 된다.
도 3은 이러한 대류열의 진행방향을 화살표를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표현하였는바, 측면부(22)를 따라 올라가는 열기(熱氣)는 덮개부(24)에 의해 하강하다가 걸림턱(25)에 의해 다시 상승을 하게 되어 열의 활용을 극대화하게 된다.
이때, 보조가열부(26)는 지속적인 열의 공급으로 인해 과도한 열기압이 형성될 수 있어, 요리 도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덮개부(24)에 형성된 배기구(27)는 보조가열부(26)에 형성된 열기를 일정부분 배출시켜주어 보조가열부(26) 내부에 지나친 열기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구(27)를 통해 배출되는 열기가 요리하는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바, 가이드판(29)은 배출되는 열기를 하방으로 안내하여 열기가 사람에게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열기가 덮개부(24)의 외주면을 재차 가열시켜 냄비의 열보존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불꽃이 강한 경우, 이러한 불꽃은 바닥부(21) 뿐만 아니라 측면부(22)까지 직접 가열시키는바, 본 고안에 따른 냄비의 형상에 의해 측면부(22)를 따라 올라가는 불꽃은 보조가열부(26)에 형성된 열기로 인해 더 이상 상부로 올라가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 측면부(22)를 따라 지속적으로 올라오는 불꽃과 혼합되면서, 완전연소 후 대기 중으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가열 냄비구조는 냄비의 외부에 열기를 보관하기 위한 보조가열부가 형성되어 냄비의 바닥부 및 측면부의 온도를 유사하게 하여 줌으로서,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시켜 주는데, 냄비가 골고루 가열되면국이나 전골의 조리시 기포의 발생이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가열부에 형성되는 열기를 배기구를 통해 적절하게 배출시켜 주어 상기 보조가열부에 과도한 열기압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열기가 가이드판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해주고, 이렇게 하방으로 이동하는 열기가 덮개부의 외측을 가열시켜주어 효율적인 열기의 사용을 가능케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가열수단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평탄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주면과 연결되어 상방으로 올라갈수록 확장되기 위한 기울기를 가지며, 상부에 뚜껑이 안착되기 위한 절곡면을 구비한 측면부를 포함하는 냄비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하방으로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는 덮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부와 덮개부 사이에는 열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보조가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가열 냄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굴곡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가열 냄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보조가열부에 형성되는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가열 냄비 구조.
  4. 제 1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는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열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가열 냄비 구조.
KR20-2003-0016804U 2003-05-29 2003-05-29 이중가열 냄비구조 KR200323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04U KR200323729Y1 (ko) 2003-05-29 2003-05-29 이중가열 냄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804U KR200323729Y1 (ko) 2003-05-29 2003-05-29 이중가열 냄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729Y1 true KR200323729Y1 (ko) 2003-08-19

Family

ID=4941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804U KR200323729Y1 (ko) 2003-05-29 2003-05-29 이중가열 냄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7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200323729Y1 (ko) 이중가열 냄비구조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KR200482007Y1 (ko)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JP2005125061A (ja) 間接加熱式調理板
JPS62573Y2 (ko)
KR20170032550A (ko) 가스 부침기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058692B1 (ko) 가스차단장치 대응 이중조리용기
JP3155094U (ja) コンロ及びコンロ用の加熱装置
KR200179561Y1 (ko) 이중 구이판
KR200248155Y1 (ko) 가스 버너용 화덕
KR200270942Y1 (ko) 조리용기
KR100609279B1 (ko) 구이판
KR980006535U (ko) 조리용기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JPH0540846Y2 (ko)
KR940007083Y1 (ko) 신선로
JP3054097U (ja) 石焼き調理器
KR100419982B1 (ko) 조리기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