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07Y1 -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 Google Patents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07Y1
KR200482007Y1 KR2020140006166U KR20140006166U KR200482007Y1 KR 200482007 Y1 KR200482007 Y1 KR 200482007Y1 KR 2020140006166 U KR2020140006166 U KR 2020140006166U KR 20140006166 U KR20140006166 U KR 20140006166U KR 200482007 Y1 KR200482007 Y1 KR 200482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heating element
heating
container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666U (ko
Inventor
김정숙
Original Assignee
김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숙 filed Critical 김정숙
Priority to KR2020140006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0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물과 함께 발열체의 화학반응으로서 발생한 고온의 열 이용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하도록 발열체와 물을 수용하는 체적부 및 체적부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경사진 테두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받침돌부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 용기본체가 마련된 가열기구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는 0.5~1mm의 간격유지돌부가 다수개 형성된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에는 7~10mm 두께를 판 상으로 가공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올려놓는 옥돌소재의 음식받침판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음식받침판과 발열체를 동시에 세팅 및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음식받침판의 가장자리를 안내하여 안치시키기 위한 받침테두리부 및 받침테두리부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경사진 테두리부에 안착되는 손잡이부를 갖고, 상기 받침테두리부에 부착 설치되어 발열체를 안착시키기 위한 발열체받침부가 마련된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는 발열체를 이용한 고열발생으로 음식을 데우기 용이한 두게를 갖는 음식받침판을 용기본체에 안착시켜 사용함으로서, 식탁위에서도 비교적 낮은 높이에서 음식을 취할 수 있고, 원적외선 방사효과로서 음식물 및 인체에도 유익함을 제공하며, 일 예로서 적용한 받침구는 음식받침판 및 발열체를 동시에 용기본체에 세팅하거나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소가열장치를 이용한 예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가정이나 혹은 야외(등산, 낚시, 각종 야외활동 행사 등)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리된 음식을 진열하는 뷔폐 식당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Prepared food heater}
본 고안은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반응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을 이용하여 직화 열을 사용하지않고도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데울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식탁 위에 과도한 높이로 올려놓고 사용하는 가열기구에 비해 낮은 높이에서 음식물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초기 세팅시 발열체와 음식받침판을 주 용기 본체에 안전하게 안착시키고, 후 처리시에는 간단하게 음식받침판 및 발열체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스, 휘발유 등과 같이 직접적인 연소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문에 반응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발열체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이는 캠핑이나 낚시 등산 등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화재의 위험이 없고, 친환경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후처리에도 자연훼손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발열체는 화학반응의 반응열을 발생시키는 재료이며, 상기 화학반응은 예를 들어 수화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 수화반응의 경우, 상기 발열체가 물과 같은 수용액과 접촉하여 화학반응에 의해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된다.
발열체의 성분은 예를 들어 Mg-Al-Ni계, Mg-Al-Fe계 또는 Mg-Al-Cu계 등와 같은 금속합금 또는 생석회(CaO), 수산화칼륨(KOH),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오산화인(P2O5) 등과 같은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수용액을 흡수하기에 용이한 부직포소재의 포장지에 의해 포장되고, 이차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포장지로 밀봉 포장되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발열체는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발열체 전용으로 제작된 음식 조리용기에 넣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7854호(명칭: 휴대용 조리용기)가 선행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발열체를 구비한 휴대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가열하거나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가 수용되고 바닥면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용기와; 상기 관통구에 끼워지고 상기 발열체가 수용되는 하부용기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발열체는 하부용기의 수용공간에 물과 함께 넣어져 고온의 발열이 이루어지고, 이 고온의 열은 상부용기의 내측에 별도의 수납체를 가열함으로써, 수납체에 담기는 음식물을 끓이면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음식을 데우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초기 발열체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물을 끓이거나 굽는 정도의 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열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데우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 면이 있었다.
흔히 음식을 데우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열장치(버너)를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하고, 내부에 담긴 물을 끓여 상승하는 수증기의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가열장치를 식탁 위에 올리고, 그 위에 조리용기를 넣고 사용함에 있어, 비교적 이용자가 숟가락을 조리용기에 담그거나 내용물을 퍼담기 위한 높은 위치에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이유에서 음식물을 떠먹기에 불편함이 있고, 가열장치를 주기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물과 반응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을 이용하여 직화 열을 사용하지않고도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데울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식탁 위에 과도한 높이로 올려놓고 사용하는 가열기구에 비해 낮은 높이에서 음식물을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초기 세팅시 발열체와 음식받침판을 주 용기 본체에 안전하게 안착시키고, 후 처리시에는 간단하게 음식받침판 및 발열체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물과 함께 발열체(A)의 화학반응으로서 발생한 고온의 열 이용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하도록 발열체(A)와 물을 수용하는 체적부(11) 및 체적부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경사진 테두리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받침돌부(13)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 용기본체(10)가 마련된 가열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12)에는 0.5~1mm의 간격유지돌부(12b)가 다수개 형성된 안착턱(12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12a)에는 7~10mm 두께를 판 상으로 가공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올려놓는 옥돌소재의 음식받침판(2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음식받침판(20)과 발열체(A)를 동시에 세팅 및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음식받침판(20)을 안치시키기 위한 받침테두리부(31) 및 받침테두리부(3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경사진 테두리부(12)에 안착되는 손잡이부(32)를 갖고, 상기 받침테두리부(31)에 부착 설치되어 발열체(A)를 안착시키기 위한 발열체받침부(33)가 마련된 받침구(3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돌부(13)는 상기 체적부(1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적부(11)의 저면을 식탁 상면으로부터 띄워놓아 상기 체적부(11)의 고열이 식탁으로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고열에 의한 식탁의 훼손을 방지하고, 상기 받침테두리부(31)는 상기 음식받침판(20)의 테두리부 저면만을 떠받쳐 상기 음식받침판(20)으로부터의 열전도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폭이 좁은 링 형상으로 되고, 상기 손잡이부(32)의 외측을 향하는 단부는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2)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상기 받침구(30)를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안착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발열체받침부(33)는 상기 받침테두리부(31)의 일정거리 이격된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체(A)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중앙에 발열체가 하부로 빠지지 않을 정도의 구멍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 링 형상의 외주부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연장되고 열전도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폭을 좁게 한 복수의 수평띠가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수평띠 연장선단에서 상방의 상기 받침테두리부(31)로 연결되는 복수의 경사띠가 마련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상기 수평띠와 경사띠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는 발열체를 이용한 고열발생으로 음식을 데우기 용이한 두게를 갖는 음식받침판을 용기본체에 안착시켜 사용함으로서, 식탁위에서도 비교적 낮은 높이에서 음식을 취할 수 있고, 원적외선 방사효과로서 음식물 및 인체에도 유익함을 제공하며, 일 예로서 적용한 받침구는 음식받침판 및 발열체를 동시에 용기본체에 세팅하거나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소가열장치를 이용한 예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가정이나 혹은 야외(등산, 낚시, 각종 야외활동 행사 등)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리된 음식을 진열하는 뷔폐 식당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가열용기를 조합하여 음식받침판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음식받침판 및 발열체를 받쳐주는 받침구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가열용기를 조합하여 음식받침판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받침구를 용기 본체로부터 들어올린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열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과 함께 발열체(A)의 화학반응으로서 발생한 고온의 열 이용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하도록 발열체(A)와 물을 수용하는 체적부(11) 및 체적부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경사진 테두리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받침돌부(13)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 용기본체(10)가 마련된 가열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12)에는 안착턱(12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12a)에는 7~10mm 두께를 판상으로 가공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올려놓는 옥돌소재의 음식받침판(2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삭제
삭제
상기 용기본체(10)의 받침돌부(13)는 발열체(A)로부터 전도되는 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시켜 용기본체(10)가 올려지는 식탁과의 간섭을 최대한 방지한 것이다.
상기 음식받침판(20)은 옥돌소재 이외에도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세라믹판, 돌판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음식받침판(20)의 두께는 발열체로부터 전달되는 고온의 열이 음식받침판에 전도되었을 때 음식물이 타지 않을 정도에서 따듯하게 데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턱(12a)상에는 음식받침판((20))과의 0.5~1mm의 틈새를 갖기 위한 간격유지돌부(12b)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돌부(12b)의 형성은 발열체(A)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의 압이 서서히 외부로 누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가열기구(100)에는 받침구(30)를 더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받침구(30)는, 상기 음식받침판(20)의 가장자리를 안내하여 안치시키기 위한 받침테두리부(31) 및 받침테두리부(3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경사진 테두리부(12)에 안착되는 손잡이부(32)를 갖고, 상기 받침테두리부(31)에 부착 설치되어 발열체(A)를 안착시키기 위한 발열체받침부(33)가 마련된다.
상기 받침구(30)의 받침테두리부(31)는 부식발생이 없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제작되며, 음식받침판(20)의 가장자리와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정도로만 하여 불필요한 열 전달이 받침구(30)로 전도됨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받침부(33) 또한 받침테두리부로부터 최소한의 열전달이 이루어지면서 발열체(A)를 받칠 수 있는 정도로 비교적 폭이 좁은 연결부로서 용접되며, 발열체(A)가 안착되는 부분에는 발열체가 하부로 빠지지 않는 정도의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받침구(30)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음식받침판(20)과 발열체(A)를 동시에 세팅 및 분리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32)의 끝 부분은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2)로부터 더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는 용기본체(10)로부터 받침구(30)를 들어올리거나 안착시키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용기본체(10)는 체적부(11)의 바닥부터 테두리부(12)의 최상단까지의 높이를 70~100mm로 제작하여 식탁에 올려놓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높이를 갖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F는 음식물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열기구(100)의 사용은, 용기본체(10)에 넣어지는 발열체(A) 1개 기준당 설정된 량의 물을 체적부(11) 내에 붓고 발열체(A)를 담가 준 다음 용기본체(10)의 안착턱(12a)에는 음식받침판(20)을 올려 안착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안착된 음식받침판(20)의 저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소정 부분에만 걸쳐진 것으로 열의 전도에서 열손실을 최대한 작게 하면서 열을 전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음식받침판(20)에는 이미 조리된 음식물(F), 예를 들면, 보쌈, 순대, 족발, 생선구이, 부침 종류 등의 음식을 올려놓는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용기본체 내부의 발열체는 물과 함께 반응하면서 고열을 발생시키면서 물을 흡수하는 형태로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열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고열은 음식받침판(20)의 저부에 전도시켜 가열하게 되고, 음식받침판 위에 올려진 음식물(F)은 식지않게 따듯하게 데워 줌으로써, 특히 기름기가 있는 육류는 기름기가 엉겨붙지 않는 상태로 유지시켜 취식하기에 좋은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보통 발열체는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음식을 충분히 먹는 시간까지는 따듯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온의 열이 발생하는 가운데 용기본체(10)의 저부측 받침돌부(13)는 용기본체(10)를 식탁의 상면으로부터 띄워놓고 있는 상태이므로 직접적으로 식탁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 식탁을 훼손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음식받침판(20)은 테두리부(12)의 안착턱(12a)상에 형성된 간격유지돌부(12b)에 올려진 상태로서 용기본체(10)의 안착턱(12a)을 완전하게 막지않기 때문에 초기 발열체(A)의 발열 초기 용기본체(10) 내에 내부 압으로 하여금 음식받침판(20)이 상향으로 들리거나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간격유지돌부(12b)와 안착턱(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미세하게 빠져나오는 소량의 열의 흐름이 이루어져 음식받침판(20)을 뜨겁게 달구어 줄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예는 가정이나 영업식당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있는 것으로 기존의 버너 및 가열용기 등을 이용한 예보다 가열기구(100)의 높이가 낮아 음식을 취하기 편리하며, 무엇보다도 연료 연소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이 적으며, 식탁 위에서 다루기 쉽다.
한편,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가열기구에 받침구를 더 적용함으로써, 보다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A)의 발열 및 음식받침판(20)상에 올려진 음식을 데워서 먹을 수 잇다는 점은 모두 동일하되, 상기 받침구는 음식받침판의 가장자리를 받침테두리부(31)에 안치시키고, 그 하부측 발열체받침부(33)에는 발열체(A)를 안치시켜 상기 용기본체(10)에 세팅 및 사용 후 용기본체(10)로부터 들어낼 수 있는 것으로, 음식받침판(20)과 발열체(A)의 후처리에 매우 유리한 이점이 있고, 뜨거운 발열체(A)를 직접 손으로 만지지 않고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염려가 없다.
상기 받침구(30)의 손잡이부(32)의 끝단은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2)로부터 밀착되어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양손을 각각 손잡이를 쥐고 취급하기에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용기본체 11 : 체적부부
12: 테두리부 12a: 안착턱
12b: 간격유지돌부 13: 받침돌부
20: 음식받침판 30: 받침구
31: 받침테두리부 32: 손잡이부
33: 발열체받침부 100: 가열기구
A: 발열체

Claims (4)

  1. 물과 함께 발열체(A)의 화학반응으로서 발생한 고온의 열 이용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하도록 발열체(A)와 물을 수용하는 체적부(11) 및 체적부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경사진 테두리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저면에는 받침돌부(13)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 용기본체(10)가 마련된 가열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12)에는 0.5~1mm의 간격유지돌부(12b)가 다수개 형성된 안착턱(12a)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턱(12a)에는 7~10mm 두께를 판 상으로 가공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올려놓는 옥돌소재의 음식받침판(2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음식받침판(20)과 발열체(A)를 동시에 세팅 및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음식받침판(20)을 안치시키기 위한 받침테두리부(31) 및 받침테두리부(31)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경사진 테두리부(12)에 안착되는 손잡이부(32)를 갖고, 상기 받침테두리부(31)에 부착 설치되어 발열체(A)를 안착시키기 위한 발열체받침부(33)가 마련된 받침구(3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돌부(13)는 상기 체적부(1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적부(11)의 저면을 식탁 상면으로부터 띄워놓아 상기 체적부(11)의 고열이 식탁으로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고열에 의한 식탁의 훼손을 방지하고,
    상기 받침테두리부(31)는 상기 음식받침판(20)의 테두리부 저면만을 떠받쳐 상기 음식받침판(20)으로부터의 열전도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폭이 좁은 링 형상으로 되고,
    상기 손잡이부(32)의 외측을 향하는 단부는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부(12)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용기본체(10)로부터 상기 받침구(30)를 용이하게 들어올리거나 안착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발열체받침부(33)는 상기 받침테두리부(31)의 일정거리 이격된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체(A)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중앙에 발열체가 하부로 빠지지 않을 정도의 구멍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 링 형상의 외주부에서 방사상으로 수평 연장되고 열전도률을 최소화하기 위해 폭을 좁게 한 복수의 수평띠가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수평띠 연장선단에서 상방의 상기 받침테두리부(31)로 연결되는 복수의 경사띠가 마련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상기 수평띠와 경사띠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6166U 2014-08-19 2014-08-19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KR200482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166U KR200482007Y1 (ko) 2014-08-19 2014-08-19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166U KR200482007Y1 (ko) 2014-08-19 2014-08-19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66U KR20160000666U (ko) 2016-02-29
KR200482007Y1 true KR200482007Y1 (ko) 2016-12-06

Family

ID=5544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166U KR200482007Y1 (ko) 2014-08-19 2014-08-19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663B1 (ko) 2019-10-28 2021-05-03 최장환 음식물 조리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217Y1 (ko) * 2005-01-21 2005-12-20 서병주 냉온기능 겸용 접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015U (ko) * 1999-03-05 2000-10-05 강기채 남비
KR20070053054A (ko) * 2005-11-19 2007-05-23 심상근 "보조용기를 부대한 일회용 금속재질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217Y1 (ko) * 2005-01-21 2005-12-20 서병주 냉온기능 겸용 접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663B1 (ko) 2019-10-28 2021-05-03 최장환 음식물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66U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4409T3 (es) Aparato para cocinar productos alimenticios
KR200469933Y1 (ko) 조리용 팬의 교체가 용이한 전열 조리기구
KR200482007Y1 (ko)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KR100896318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CN208551115U (zh) 高安全性的隔热防烫锅具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JP5711034B2 (ja) 調理装置
KR200480805Y1 (ko) 대용량 조리용 솥
KR200476624Y1 (ko) 조리용기
JP2008054893A (ja) 陶器製調理具
JP3145786U (ja) 圧力鍋、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圧力鍋セット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CN202525951U (zh) 一种直火煮食调理器具
KR20120083640A (ko) 조리 용기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20140101138A (ko) 버너용 취사용기 받침대
US2760481A (en) Combination flame spreader and receptacle holder
KR101605612B1 (ko) 직화 조리용 뚜껑
KR20150058126A (ko) 버너용 취사용기 받침대
KR101131780B1 (ko) 다기능 조리기구
JP3217007U (ja) 調理補助具及び該調理補助具を用いた調理器具
KR200323729Y1 (ko) 이중가열 냄비구조
KR101522441B1 (ko) 직화 조리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