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619A -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619A
KR20140028619A KR1020120095224A KR20120095224A KR20140028619A KR 20140028619 A KR20140028619 A KR 20140028619A KR 1020120095224 A KR1020120095224 A KR 1020120095224A KR 20120095224 A KR20120095224 A KR 20120095224A KR 20140028619 A KR20140028619 A KR 2014002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body portion
flange
electric cook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745B1 (ko
Inventor
이창룡
방호상
신영배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74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21D51/2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pots, e.g. for co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도록 판형의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를 각각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b)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측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의 바닥면과 제2몸체부 바닥면을 접합하여 바닥면접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접합하여 플랜지접합부를 형성시키는 접합단계; c) 상기 플랜지접합부가 상측 라운드부까지 위치하도록 성형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솥의 내부에 진공상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내솥의 단열기능이 향상되고,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를 접합할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공간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상태로 만드는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며, 제1내솥부재와 2내솥부재의 라운드진 부위가 접합되도록 하여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의 접합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내솥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가열로 인해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가 벌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Inner Pot For Electric Pressure Coo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솥의 내부에 진공상태의 공간부를 형성시켜 내솥의 단열기능을 향상시키고, 내솥의 라운드진 부위가 접합되도록 하여 내솥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원을 얻고 이 열원을 이용하여 내솥을 가열함으로써 내솥 내부를 고온의 압력상태로 유지하여 취사를 하게 되는 전기기기이다.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방식으로는 열판식과 전자유도방식이 있는데, 열판식은 전기조리기의 내부에 열을 공급하는 열판을 구비하고 이 열판을 통해 내솥에 열을 공급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식이고, 전자유도방식은 내솥이 삽입되는 밥솥 몸체의 측면과 밑면에 구비된 구리코일에 강한 전류를 흘려 보내면 코일 주위에 자력선이 형성되어 내솥 전체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이 조리되는 방식이다.
상기 전자유도방식은 코일에 발전되는 전계에 유도전류가 발생될 수 있도록 내솥을 전도성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이때 내솥의 내측은 열전달이 우수하고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등의 비철계금속으로 구성하고, 내솥의 외측은 유도전류에 의한 발열을 위해 철계금속으로 구성하되 부식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나 철에 코팅을 가한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가열방식을 통해 가열되어지는 종래의 내솥은 내솥의 측면부에 별도로 진공상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내솥의 내부에 형성된 열이 외부로 쉽게 방열됨으로써 보온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내솥 내부의 열이 외부로 쉽게 방열됨으로 인해 음식물의 조리시 사용되는 전기량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공개 제2012-16395호에는 내솥의 바닥면을 접합시키고, 내솥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코킹하여 측면에 형성된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드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내솥의 외측과 내측을 구성하는 금속판을 별도의 다른 금속을 이용하여 접합시킴으로써 내솥의 생산에 소요되는 생산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별도의 금속이 추가적으로 사용됨으로써 내솥의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솥의 측면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코킹작업은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코킹작업을 통해 형성된 코킹부가 고온이나 고압시 내구성이 저하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솥에 진공상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내솥의 단열기능을 향상시키고, 내솥의 라운드부를 접합시켜 접합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내솥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은, a)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도록 판형의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를 각각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b)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측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의 바닥면과 제2몸체부 바닥면을 접합하여 바닥면접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접합하여 플랜지접합부를 형성시키는 접합단계; c) 상기 플랜지접합부가 상측 라운드부까지 위치하도록 성형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성형단계는 상기 바닥면접합부가 하측 라운드부까지 위치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성형단계는, 상기 플랜지접합부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펀치를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된 성형홈을 향해 하강시켜 상기 플랜지접합부와 바닥면접합부가 상기 성형홈의 내측면을 따라 인장됨으로써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성형단계는, 상기 플랜지접합부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위치시키되 상기 플랜지접합부 일부가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된 성형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펀치를 상기 성형홈을 향해 하강시켜 상기 플랜지접합부가 하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플랜지접합부가 상측 라운드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홈은 측면 하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접합부와 바닥면접합부는 고주파용접, 초음파용접, 브레이징 및 프릭션 프레스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에는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단계후 상기 배기홀을 밀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치의 하부 직선구간 폭은 상기 바닥면접합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조리기용 내솥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1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제1내솥부재; 상기 제1플랜지부에 접합되는 제2플랜지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몸체부의 바닥면에 접합되는 제2몸체부로 이루어진 제2내솥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가 접합된 플랜지접합부가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상측 라운드부 하측까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내솥부재의 측면 하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면접합부는 하측 라운드부까지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은, 내솥의 내부에 진공상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내솥의 단열기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를 접합할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공간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상태로 만드는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솥을 구성하는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의 라운드진 부위가 접합되도록 하여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의 접합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내솥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가열로 인해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가 벌어지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솥이 전기조리기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솥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구성하는 제1내솥부재가 제1,제2고정부재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구성하는 제1내솥부재가 제1,제2고정부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펀치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제1내솥부재에 배기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가 접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접합된 제1,제2내솥부재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접합된 제1,제2내솥부재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솥에서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접합부가 일정부분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내솥(1)이 적용되는 전기조리기는 본체(2), 상기 본체(2)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동됨에 따라 상기 본체(2)의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3), 상기 본체(2)의 내측에 위치하며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내솥(1) 및 상기 내솥(1)을 가열하기 위한 코일이 구비된 코일베이스(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2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솥(1)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내솥(1)은 내측에 제1내솥부재(100)가 구비되고, 외측에 제2내솥부재(200)가 구비된 2중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내솥부재(100)와 상기 제2내솥부재(200)의 사이에는 단열기능을 갖도록 공간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내솥부재(100)는 알루미늄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내솥부재(200)는 스테인레스소재로 이루어져 내솥(1)이 유도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내솥부재(100)는 중심에 원통형상의 제1몸체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의 상단에는 절곡된 제1플랜지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내솥부재(200)는 상기 제1내솥부재(100)의 하면에 상면이 맞닿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내솥부재(100)와 동일하게 중심에는 원통형상의 제2몸체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부(210)의 상단에는 절곡된 제2플랜지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내솥부재(100)를 구성하는 제1몸체부(110)의 직경은 상기 제2몸체부(210)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내솥부재(100)와 상기 제2내솥부재(200)가 맞닿게 되면 상기 제1몸체부(110)가 상기 제2몸체부(210)의 내부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내솥부재(100)의 하면에 상기 제2내솥부재(200)의 상면을 맞닿게 하면 상기 각 플랜지부(120,220)가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되고, 상기 각 몸체부(110,210)의 바닥면도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과 상기 제2몸체부(210)의 측면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있게 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과 상기 제2몸체부(210)의 측면사이에 공간부(30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공간부(300)는 상기 내솥(1)의 내부에 형성된 열이 외부로 방열되지 못하게 하는 단열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용접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나 일정온도로의 가열을 통해 외부의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진공상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내솥부재(100)와 상기 제2내솥부재(200)의 접합시 상기 제1플랜지부(120)와 제2플랜지부(220)를 용접을 통해 접합하여 플랜지접합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몸체부(110)의 바닥면과 제2몸체부(210)의 바닥면을 용접을 통해 접합하여 바닥면접합부(3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내솥부재(100)와 상기 제2내솥부재(200)를 접합하는 방법으로는 고주파용접, 초음파용접, 브레이징(Brazing), 프릭션 프레스(Friction Press)등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1내솥부재(100)중 제1플랜지부(120)와 상기 제1몸체부(110)가 연결된 라운드부(330a)와, 상기 제2내솥부재(200)중 상기 제2플랜지부(220)와 상기 제2몸체부(210)가 연결된 라운드부(330b)가 서로 접합되도록 하여 용접된 상태로 있게 하고 또한 제1내솥부재(100)와 제2내솥부재(200)가 접합된 바닥면접합부(320) 가장자리에 위치한 하부 라운드부(213)도 용접된 상태로 있게 함으로써 제1내솥부재(100)와 제2내솥부재(200)의 접합강도를 증가시켜 내솥(1)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종래에는 라운드부(330)의 용접이 어려워 제1내솥부재(100)와 제2내솥부재(200)의 라운드부(330)가 접합된 상태로 있지 않아 내솥(1)의 가열시 공간부(300)에서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제1내솥부재(100)와 제2내솥부재(200)의 라운드부(330)사이가 벌어지게 되어 내솥(1)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라운드부(330)가 접합된 상태로 있게 하여 공간부(300)의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제1내솥부재(100)와 제2내솥부재(20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솥(1)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내솥부재(200)는 외측면 하부(211)가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내솥(1)의 강도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가열시 공간부(300)의 압력상승으로 인해 내솥(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내솥부재(200)의 외측면 하부(211)가 경사지도록 하였으나, 경사가 없는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전기조리기용 내솥(1)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알루미늄소재로 된 판형의 제1내솥부재(100)를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시킨 후 펀치(60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내솥부재(100)의 중심에는 제1몸체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의 상단에는 절곡된 제1플랜지부(120)가 형성되도록 제1성형공정을 실행한다(S101).
제2내솥부재(200)도 상기 제1내솥부재(1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몸체부(210)와 제2플랜지부(220)가 형성되도록 한다.
제1성형공정 후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배기홀(130)을 형성시킨다(S103).
이때 상기 배기홀(130)은 제1내솥부재(100) 대신 내솥(1)의 외측을 구성하는 제2내솥부재(20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기홀(130)을 형성한 다음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솥부재(100)의 하면에 상기 제2내솥부재(200)의 상면이 맞닿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각 플랜지부(120,220)와 상기 각 몸체부(110,210)의 바닥면을 용접을 통해 접합시켜 플랜지접합부(310)와 바닥면접합부(320)를 형성시킨다(S107).
이때 상기 제2몸체부(210)의 직경이 상기 제1몸체부(110)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시켜 상기 제1내솥부재(100)의 제1몸체부(110)가 상기 제2내솥부재(200)의 제2몸체부(210)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제1몸체부(110)의 외측면과 상기 제2몸체부(210)의 내측면 사이에 공간부(300)가 형성되도록 한다(S105).
상기 용접은 상기 공간부(300)가 형성된 후에 시행하며, 용접을 통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고주파용접의 경우 약 400℃) 상기 공간부(300)에 차있는 공기를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배기홀(130)을 통해 상기 공간부(300)의 공기가 유출되도록 하여 상기 공간부(300)가 외부의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갖는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상기 배기홀(130)을 용접 등을 이용하여 밀폐시킨다(S109).
상기와 같이 진공상태의 공간부(300)를 상기 내솥(1)의 측부에 형성시킴으로써 내솥(1)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조리기등의 보온기능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배기홀(130)을 밀폐시킨 다음 제2성형공정(S111)을 시행하는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내솥(1)의 상단에 형성된 제2플랜지부(220)를 하부금형(500)의 상단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2내솥부재(200)의 제2몸체부(210)는 상기 하부금형(500)에 형성된 성형홈(51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내솥부재(100)의 하면에 접합된 상기 제2몸체부(21)의 직경을 상기 성형홈(510)의 직경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시켜 상기 제2몸체부(210)가 상기 성형홈(510)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성형홈(510)의 내측면 하부(511)는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펀치(6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몸체부(110)와 제2몸체부(210)를 가압하여 인장시키면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210)의 측면하부(211)도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성형홈(510)의 내측면 하부(511)가 경사지도록 형성하였으나, 상기 내측면 하부(511)를 경사진 형상 대신에 단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상기 펀치(600)의 가압을 통해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210)의 측면하부(211)도 단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경사진 형상이 없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몸체부(210)의 외측면하부(211)가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내솥부재(200)의 강도를 증가시켜 내솥(1)이 가열되어 공간부(300)의 압력이 상승되더라도 라운드부(33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내솥을 금형에서 쉽게 빼낼 수 있게 한다.
이후 상부금형(400)을 상기 플랜지접합부(310)의 상단에 안착시켜 상기 접합된 제1내솥부재(100) 및 상기 제2내솥부재(200)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성형홈(510)의 상부에 위치한 펀치(600)를 상기 성형홈(510)의 하단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펀치(600)가 상기 성형홈(51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내솥부재(100) 및 상기 제2내솥부재(200)에 형성된 각 몸체부(110,210)를 하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상부금형(400)과 상기 하부금형(500)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한 상기 플랜지접합부(300)가 상기 성형홈(5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인장되어 상기 각 몸체부(110,210)의 측면상부의 라운드부(330)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내솥부재(100) 및 상기 제2내솥부재(200)가 상기 상부금형(400)과 상기 하부금형(500)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제1내솥부재(100)의 라운드부(330a)와 제2내솥부재의 라운드부(330b) 사이에 공간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나 상기 펀치(600)에 의해 상기 각 몸체부(110,210)가 하측으로 인장되면 상기 상부금형(400)과 상기 하부금형(500)에 끼워진 상기 플랜지접합부(310)도 상기 성형홈(510)의 측면을 따라 인장되어 용접된 플랜지접합부(310)가 라운드부(330)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내솥(1)은 플랜지접합부(310)뿐만 아니라 라운드부(330)도 용접된 상태로 있게 되며, 바닥면접합부(320) 가장자리에 위치한 하부 라운드부(213)도 용접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라운드부(213)도 용접된 상태가 되도록 성형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접합부(320)의 폭에 비하여 상기 펀치(600)의 하부 직선구간 폭이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각 몸체부(110,2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접합부(310)의 일정부분을 절단함으로써(S113)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내솥(1)이 완성되게 된다.
이하 전기조리기용 내솥(1)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대해 도 2 내지 도 6, 도 8,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 판형의 제1내솥부재(100)를 제1고정부재(10)와 제2고정부재(20)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시킨후 펀치(60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내솥부재(100)의 중심에는 제1몸체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110)의 상단에는 절곡된 제1플랜지부(120)가 형성되도록 제1성형공정을 실행한다(S201).
제1성형공정후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부(110)의 측면에 하나이상의 배기홀(130)을 형성시키고(S203),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솥부재(100)의 하면에 상기 제2내솥부재(200)의 상면이 맞닿도록 위치시킨후 상기 각 플랜지부(120,220)와 상기 각 몸체부(110,210)의 바닥면을 용접을 통해 접합시켜 플랜지접합부(310)와 바닥면접합부(320)를 형성시킨다(S207).
이때 제1실시예의 과정과 동일하게 공간부(300)가 형성되도록 하고(S205) 이후 상기 공간부(300)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기홀(130)을 용접 등을 이용하여 밀폐시킨 후(S209) 제2성형공정을 실행한다(S213).
제2성형공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성형홈(510')이 형성된 하부금형(500')의 상단에 플랜지접합부(310)를 안착시킨 다음 직경이 상기 성형홈(5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상기 제1몸체부(110)와 상기 제2몸체부(210)를 상기 성형홈(51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플랜지접합부(310)가 상기 성형홈(5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위치하게 된다(S211).
이후 상부금형(400')을 상기 플랜지접합부(310)의 상단에 안착시키고, 상기 성형홈(510')의 상부에 위치한 펀치(600)를 상기 성형홈(510')의 하단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펀치(600)가 상기 성형홈(5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한 상기 플랜지접합부(310)를 상기 성형홈(510')의 측면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밀게됨으로써 라운드부(330)에도 용접에 의해 접합된 플랜지접합부(310)가 위치하게 된다.
그후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상기 성형홈(510')의 내측면하부(511')가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성형홈(510')에 맞닿게 되는 상기 제2몸체부(210)의 외측면하부(211)도 내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솥(1)의 인장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내솥(1)이 가열되어 공간부(300)의 압력이 상승되더라도 라운드부(33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바닥면접합부(320)는 상기 펀치(60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성형홈(510')의 내측면을 따라 인장됨으로써 상기 바닥면접합부(3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하부 라운드부(213)도 용접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후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각 몸체부(110,2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접합부(310)의 일정부분을 절단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내솥(1)을 완성하게 된다(S215).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생산된 내솥(1)은 라운드부(330,213)의 내부에 공간부(300)가 형성됨이 없이 접합된 상태로 있게 되어 제1내솥부재(100)와 제2내솥부재(200)의 접합강도가 증가함으로써 가열에 의한 공간부(300)의 압력증가로 인해 내솥(1)이 파손되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내솥(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솥(1)의 내부에 용접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진공상태의 공간부(30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코킹작업에 비해 공정이 단순해져 내솥(1)의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이외에 공간부(300)를 통해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내솥(1)이 사용된 전기밥솥 등의 보온기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제1고정부재 20:제2고정부재
100: 제1부재 110:제1몸체부
120: 제1플랜지부 130: 배기홀
200: 제2부재 210: 제2몸체부
211: 제2몸체부의 측면하부 220: 제2플랜지부
300: 공간부 310: 플랜지접합부
320: 바닥면접합부 330,330a,330b: 라운드부
400,400': 상부금형 500,500': 하부금형
510,510': 성형홈 511,511': 성형홈의 내측면하부
600: 펀치

Claims (11)

  1. a)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도록 판형의 제1내솥부재와 제2내솥부재를 각각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b)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측면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부의 바닥면과 제2몸체부 바닥면을 접합하여 바닥면접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접합하여 플랜지접합부를 형성시키는 접합단계; 및
    c) 상기 플랜지접합부가 상측 라운드부까지 위치하도록 성형하는 제2성형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형단계는 상기 바닥면접합부가 하측 라운드부까지 위치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형단계는, 상기 플랜지접합부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펀치를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된 성형홈을 향해 하강시켜 상기 플랜지접합부와 바닥면접합부가 상기 성형홈의 내측면을 따라 인장됨으로써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형단계는, 상기 플랜지접합부를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위치시키되 상기 플랜지접합부 일부가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된 성형홈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펀치를 상기 성형홈을 향해 하강시켜 상기 플랜지접합부가 하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플랜지접합부가 상측 라운드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홈은 측면 하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접합부와 바닥면접합부는 고주파용접, 초음파용접, 브레이징 및 프릭션 프레스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제2몸체부에는 배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단계후 상기 배기홀을 밀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의 하부 직선구간 폭은 상기 바닥면접합부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제조방법.
  9. 음식물을 수용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제1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제1내솥부재; 및
    상기 제1플랜지부에 접합되는 제2플랜지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몸체부의 바닥면에 접합되는 제2몸체부로 이루어진 제2내솥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가 접합된 플랜지접합부가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상측 라운드부 하측까지 형성된 전기조리기용 내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솥부재의 측면 하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접합부는 하측 라운드부까지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KR1020120095224A 2012-08-29 2012-08-29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KR10193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24A KR101931745B1 (ko) 2012-08-29 2012-08-29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24A KR101931745B1 (ko) 2012-08-29 2012-08-29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619A true KR20140028619A (ko) 2014-03-10
KR101931745B1 KR101931745B1 (ko) 2018-12-21

Family

ID=5064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224A KR101931745B1 (ko) 2012-08-29 2012-08-29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7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668A (ko) * 2018-07-27 2020-02-05 제이에이치-레이카스트 쿡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복합강 팬 및 그 제조 공정
WO2020146742A1 (en) * 2019-01-10 2020-07-16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vessel and fabrication method
KR20210029503A (ko) * 2019-09-06 2021-03-16 김윤희 열 전도성 및 열 보존성이 우수한 조리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026A (ja) * 2002-09-19 2004-04-08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真空部を有する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で製造された容器
JP2004154786A (ja) * 2002-11-01 2004-06-03 Nissan Motor Co Ltd プレス成形方法及びプレス成形型
JP4323768B2 (ja) * 2002-09-30 2009-09-02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真空部を有する容器の製造方法
KR20110092716A (ko) * 2010-02-10 2011-08-18 홍석표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JP2012016395A (ja) * 2010-07-06 2012-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内釜及びこの内釜を備えた炊飯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026A (ja) * 2002-09-19 2004-04-08 Sumitomo Electric Fine Polymer Inc 真空部を有する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で製造された容器
JP4323768B2 (ja) * 2002-09-30 2009-09-02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真空部を有する容器の製造方法
JP2004154786A (ja) * 2002-11-01 2004-06-03 Nissan Motor Co Ltd プレス成形方法及びプレス成形型
KR20110092716A (ko) * 2010-02-10 2011-08-18 홍석표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JP2012016395A (ja) * 2010-07-06 2012-01-26 Mitsubishi Electric Corp 内釜及びこの内釜を備えた炊飯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323768호(2009.09.02.)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668A (ko) * 2018-07-27 2020-02-05 제이에이치-레이카스트 쿡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복합강 팬 및 그 제조 공정
WO2020146742A1 (en) * 2019-01-10 2020-07-16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Cookware vessel and fabrication method
KR20210029503A (ko) * 2019-09-06 2021-03-16 김윤희 열 전도성 및 열 보존성이 우수한 조리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745B1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6290B2 (ja) 熱可塑性材料をヒートシールする装置
KR101070347B1 (ko)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접촉 요소에 접속하는 접속 방법
KR20140028619A (ko)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2632A (ko) 전기밥솥
KR101954781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CN108138534B (zh) 具有改善的温度曲线的用于生产vig装置的方法
KR101567570B1 (ko) 인덕션렌지용 가열용기
JP3196620U (ja) 電磁調理器具
JP2015205419A (ja) ヒートシーラ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3245B1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기 및 그 제작방법
KR102028017B1 (ko) 열전 모듈 패키징 장치
KR101079803B1 (ko) 고주파 유도가열 조리기
CN109549443A (zh) 一种无油烟锅具及其制备方法
TWI482534B (zh) Heating the cooking device
KR101537102B1 (ko) 인덕션렌지에 사용되는 가열용기
KR20170117647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조리용기
CN101837510B (zh) 封板的感应焊接组件
KR20140039421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101754002B1 (ko) 조리기구의 발열판
JP2006000357A (ja) Ih加熱装置用鍋
JP3970680B2 (ja) 樹脂製品のアニール方法
KR20170068098A (ko) 전기밥솥
KR102075128B1 (ko) 전기 레인지의 차단벽 조립체
TWI523629B (zh) Electric pot
KR102703162B1 (ko) 높낮이가 다른 코어 부재를 포함하여 폭방향 균일한 가열을 보장하는 유도 가열 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