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002B1 - 조리기구의 발열판 - Google Patents

조리기구의 발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002B1
KR101754002B1 KR1020150190270A KR20150190270A KR101754002B1 KR 101754002 B1 KR101754002 B1 KR 101754002B1 KR 1020150190270 A KR1020150190270 A KR 1020150190270A KR 20150190270 A KR20150190270 A KR 20150190270A KR 101754002 B1 KR101754002 B1 KR 10175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ain body
heating plate
grooves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김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규 filed Critical 김진규
Priority to KR102015019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over a heat source, e.g. a hob, campfi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구의 발열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기구의 본체 바닥면에 구비되는 발열판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은, 일정 두께를 갖고,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기준으로 내측가장자리부와 외측가장자리부, 중간부로 구획되고, 상기 중간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중간고정부, 절개된 홈을 갖고, 상기 내측가장자리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측고정부, 및 절개된 홈을 갖고, 상기 외측가장자리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외측고정부,를 포함하고, 가열 시,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고정부의 절개된 홈과 외측고정부의 절개된 홈에 의해 상기 내측가장자리부와 외측가장자리부의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본체의 열변형을 최소화하며 동시에 발열판과 본체 바닥면과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에 의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용이하되, 조리기구 본체 바닥면의 열변형을 방지 및 최소화시키고, 발열판과 본체와의 결합력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구의 발열판{Induction heating disk for cookware}
본 발명은 발열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에 의한 조리기구 바닥의 열변형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본체와의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가열 및 향상된 열효율을 낼 수 있는 조리기구의 발열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기는 금속과 같은 도전물질에 고주파 자장을 가할 때 도체 내에 생기는 맴돌이 전류에 의하여 물질을 가열하는 유도가열(誘導加熱;induction heating) 원리를 이용한 기기로서, 그 이용 분야가 점점 넓어지고 있다.
이 유도가열기에 이용될 수 있는 조리기구로는 대표적으로 솥이나 냄비, 주전자, 프라이팬 등이 있으며, 상기한 조리기구는 유도가열기의 평탄한 가열면에 놓인 상태에서 유도가열된다.
이러한 조리기구의 바닥면은 조리기구 본체에 발열판이 압착 또는 접합되는 것으로, 이 본체와 발열판은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보통 본체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발열판은 자성체인 철판 혹은 스테인레스판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리기구는 인덕션에 의해 가열 및 냉각이 반복됨에 따라, 발열판과 본체와의 팽창율과 수축율이 상이함에 따라, 조리기구 바닥면의 부풀음 등의 변형이 발생되고, 심한 경우는 상호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를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889722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조리기구 본체 바닥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각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관통공을 갖는 자성을 갖는 발열판이 구비되어 상호 결합된다.
그러나 다수의 결합돌기와 관통공에 의해 발열판이 조리기구 본체에 결합되어도 발열판의 팽창율과 본체의 팽창율이 상이함에 따라, 조리기구의 바닥면이 가열에 의해 심한 열변형으로 부풀어 오르는 문제가 있으며, 각 결합돌기와 해당 관통공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어 발열판이 조리기구 본체에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열전달율이 향상됨은 물론, 반복되는 가열 및 냉각에도 조리기구 바닥면의 열변형을 방지 및 최소화하는 동시에 발열판과 조리기구 본체의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조리기구의 본체 바닥면에 구비되는 발열판은 일정 두께를 갖고,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기준으로 내측가장자리부와 외측가장자리부, 중간부로 구획되고, 상기 중간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중간고정부, 절개된 홈을 갖고, 상기 내측가장자리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측고정부, 및 절개된 홈을 갖고, 상기 외측가장자리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외측고정부,를 포함하여 가열에 의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각 절개된 홈에 의해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용이하되, 조리기구 본체와의 결합력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리기구의 발열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기구의 본체 바닥면에 구비되는 발열판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은, 일정 두께를 갖고,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기준으로 내측가장자리부와 외측가장자리부, 중간부로 구획되고, 상기 중간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중간고정부, 절개된 홈을 갖고, 상기 내측가장자리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측고정부, 및 절개된 홈을 갖고, 상기 외측가장자리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외측고정부,를 포함하고, 가열 시,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고정부의 절개된 홈과 외측고정부의 절개된 홈에 의해 상기 내측가장자리부와 외측가장자리부의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본체 바닥면과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간고정부는, 상기 중간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설치공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고정부는, 상기 내측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절개된 내측절개홈, 및 상기 인접한 두 개의 내측절개홈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장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절개홈의 외측단부와 상기 내측장공의 외측단부는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고정부는, 상기 외측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절개된 외측절개홈, 및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외측절개홈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장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측절개홈의 내측단부와 상기 외측장공의 내측단부는 상기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은, 상기 발열판의 중심점과 각 외측장공을 지나는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내측절개홈과 내측장공은, 상기 발열판의 중심점과 각 외측절개홈을 지나는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절개홈과 외측절개홈의 단부는 일정 반지름을 갖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폭을 갖도록 절개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공과 내측절개홈, 내측장공, 외측절개홈 및 외측장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돌출턱,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은, 일정길이 간격으로 절개되되, 상기 발열판의 면과 직교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돌출턱,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돌출턱, 및 타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제3돌출턱,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구의 발열판에 의하면, 가열에 의한 열전달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용이하되, 조리기구 본체 바닥면의 열변형을 방지 및 최소화시키고, 발열판과 본체와의 결합력을 향상 및 유지할 수 있어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의 발열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판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판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판의 돌출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턱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의 발열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판의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판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판의 돌출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턱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기구의 발열판(10)은 조리기구의 본체 바닥면에 구비되어 조리기구로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열판(10)은 일정 두께를 갖고, 중심부에 통공(12)이 형성되어 통공을 기준으로 내측가장자리부(14)와 외측가장자리부(16), 중간부(18)로 구획됩니다.
그리고 중간고정부(100)와 내측고정부(200) 및 외측고정부(300)로 구성된다.
중간고정부(100)는 중간부(18)를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내측고정부(200)는 절개된 홈을 갖고, 내측가장자리부(14)를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발열판(10) 내측가장자리부(14)의 팽창과 수축에 대응함은 물론, 본체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외측고정부(300)는 절개된 홈을 갖고, 외측가장자리부(16)를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발열판(10) 외측가장자리부(16)의 팽창과 수축에 대응함은 물론, 본체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발열판(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가열 시, 중간고정부(100)에 의해 본체 바닥면에 고정된 중간부(18)를 기준으로, 내측고정부(200)의 절개된 홈과 외측고정부(300)의 절개된 홈에 의해 내측가장자리부(14)와 외측가장자리부(16)의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본체 바닥면과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중간고정부(10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18)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설치공(110)이다.
그리고 내측고정부(200)는 내측절개홈(210)과 내측장공(220)으로 구성된다.
내측절개홈(210)은 내측가장자리부(14)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절개된다.
또한 내측장공(220)은 인접한 두 개의 내측절개홈(210)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내측절개홈(210)의 외측단부(212)와 내측장공(220)의 외측단부(222)는 중심점(P)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R1)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외측고정부(300)는 외측절개홈(310)과 외측장공(320)으로 구성된다.
외측절개홈(310)은 외측가장자리부(16)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절개된다.
또한 외측장공(320)은 인접한 두 개의 외측절개홈(310)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절개홈(310)의 내측단부(314)와 외측장공(320)의 내측단부(324)는 중심점(P)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R2)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각 설치공(110)은 발열판(10)의 중심점과 각 외측장공(320)을 지나는 연장선(E1)상에 위치된다.
또한 내측절개홈(210)과 내측장공(220)은 발열판(10)의 중심점과 각 외측절개홈(310)을 지나는 연장선상(E2)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각 내측절개홈(210)과 각 외측절개홈(310)의 단부는 일정 반지름을 갖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폭을 갖도록 절개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내측장공(220)과 각 외측장공(320) 역시, 각 단부가 일정 반지름을 갖는 호형상이며,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기구의 발열판(10)은 돌출턱(400)이 더 형성된다.
이 돌출턱(400)은 각각의 설치공(110)과 내측절개홈(210), 내측장공(220), 외측절개홈(310) 및 외측장공(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돌출턱(400)은 설치공(110)과 내측절개홈(210), 내측장공(220), 외측절개홈(310) 및 외측장공(320)을 형성 후, 버링 가공에 의해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턱(400)은 일정길이 간격으로 절개되는 것으로, 제1돌출턱(410)과 제2돌출턱(420) 및 제3돌출턱(430)으로 구성된다.
제1돌출턱(410)은 A-A단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판(10)의 면과 직교되는 수직선(V)을 기준으로, 수직선(V)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2돌출턱(420)은 B-B단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선(V)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게 형성되고, 제3돌출턱(430)은 C-C단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측방향으로 기울어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돌출턱(410)과 제2돌출턱(420) 및 제3돌출턱(430)은 반복되어 조리기구의 본체 바닥면에 결합 시,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킴은 물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0 : 발열판 12 : 통공
14 : 내측가장자리부 16 : 외측가장자리부
18 : 중간부 100 : 중간고정부
110 : 설치공 200 : 내측고정부
210 : 내측절개홈 220 : 내측장공
300 : 외측고정부 310 : 외측절개홈
320 : 외측장공 400 : 돌출턱
410 : 제1돌출턱 420 : 제2돌출턱
430 : 제3돌출턱

Claims (11)

  1. 조리기구의 본체 바닥면에 구비되는 발열판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은,
    일정 두께를 갖고,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되어 통공을 기준으로 내측가장자리부와 외측가장자리부, 중간부로 구획되고,
    상기 중간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중간고정부;
    절개된 홈을 갖고, 상기 내측가장자리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측고정부; 및
    절개된 홈을 갖고, 상기 외측가장자리부를 상기 본체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외측고정부;를 포함하고,
    가열 시,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내측고정부의 절개된 홈과 외측고정부의 절개된 홈에 의해 상기 내측가장자리부와 외측가장자리부의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본체 바닥면과의 분리되며,
    상기 중간고정부는,
    상기 중간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설치공이고,
    상기 내측고정부는,
    상기 내측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절개된 내측절개홈; 및
    상기 인접한 두 개의 내측절개홈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장공;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고정부는,
    상기 외측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절개된 외측절개홈; 및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외측절개홈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장공;을 포함하고,
    상기 설치공과 내측절개홈, 내측장공, 외측절개홈 및 외측장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돌출턱;이 더 포함되며,
    상기 돌출턱은,
    일정길이 간격으로 절개되되, 상기 발열판의 면과 직교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1돌출턱;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2돌출턱; 및
    타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제3돌출턱;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의 발열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절개홈의 외측단부와 상기 내측장공의 외측단부는 상기 발열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발열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절개홈의 내측단부와 상기 외측장공의 내측단부는 상기 발열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경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발열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상기 발열판의 중심점과 각 외측장공을 지나는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발열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절개홈과 내측장공은,
    상기 발열판의 중심점과 각 외측절개홈을 지나는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발열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절개홈과 외측절개홈의 단부는 일정 반지름을 갖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폭을 갖도록 절개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의 발열판.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90270A 2015-12-30 2015-12-30 조리기구의 발열판 KR101754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270A KR101754002B1 (ko) 2015-12-30 2015-12-30 조리기구의 발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270A KR101754002B1 (ko) 2015-12-30 2015-12-30 조리기구의 발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002B1 true KR101754002B1 (ko) 2017-07-06

Family

ID=5935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270A KR101754002B1 (ko) 2015-12-30 2015-12-30 조리기구의 발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999B1 (ko) 2019-09-10 2020-12-16 윤명식 인덕션 조리기구용 발열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620B2 (ja) * 1995-12-14 2001-08-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6620B2 (ja) * 1995-12-14 2001-08-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999B1 (ko) 2019-09-10 2020-12-16 윤명식 인덕션 조리기구용 발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30941A (ko) 조리 및 보일링 겸용기구
KR100745028B1 (ko)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EP3030042A1 (en) Induction hob
KR101754002B1 (ko) 조리기구의 발열판
JP3198617U (ja) 加熱用の容器
JPH1069975A (ja) 誘導加熱調理器
JP6823191B2 (ja) 磁気ストリップ取付用ホルダーおよび家電機器
JP2007020789A (ja) 食品加熱用皿
KR101456014B1 (ko) 열변형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리 용기
KR20140028619A (ko)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KR102191999B1 (ko) 인덕션 조리기구용 발열판
JP2000121064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1537102B1 (ko) 인덕션렌지에 사용되는 가열용기
CN110073719A (zh) 烹饪器具装置和用于运行烹饪器具装置的方法
KR101627817B1 (ko) 전기레인지용 패드
JP5974293B2 (ja) 加熱調理プレ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加熱調理器
JP2020171691A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具
JP6145703B2 (ja) グリル調理器
KR200486456Y1 (ko)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KR100543538B1 (ko) 유도가열기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WO2019111761A1 (ja) 調理器具
US20130186609A1 (en) Heating Pad Applicable to Induction Cooker
JP2018191969A (ja) 電磁誘導加熱方式を利用する調理器
EP3494345B1 (en) Cooking appliance with improved side wire racks
JP5751542B2 (ja) 電磁誘導加熱方式を利用する調理器及び調理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