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56Y1 -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456Y1
KR200486456Y1 KR2020160004952U KR20160004952U KR200486456Y1 KR 200486456 Y1 KR200486456 Y1 KR 200486456Y1 KR 2020160004952 U KR2020160004952 U KR 2020160004952U KR 20160004952 U KR20160004952 U KR 20160004952U KR 200486456 Y1 KR200486456 Y1 KR 200486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ole
mounting
working coi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644U (ko
Inventor
이민우
이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신화셀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셀렉스 filed Critical (주)신화셀렉스
Priority to KR2020160004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456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4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2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는, 유도기전력을 발생하도록 일정면적으로 권취된 구조의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이 상면에 설치되고,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특정부위에 제1센서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제2센서장착부가 구비되는 워킹코일 베이스와; 상기 제1센서장착부에 장착되며,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제1홀더와; 상기 제2센서장착부에 장착되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제2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홀더는, 일정폭을 가지는 고리(ring)모양을 가지는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센서장착부에 형성된 제1결합홀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돌기와는 반대되는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감지센서의 설치를 위한 제1장착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제1장착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Working coil assembly of electric range}
본 고안은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이 용이하고 센서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기 레인지는 전기 히터나 별도의 발열체를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전기 레인지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인덕션 타입과 하이라이트 타입으로 구분되며, 인덕션 타입은 전자유도 방식으로 조리용기에 자력을 가하여 조리용기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한편, 하이라이트 타입은 복사열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히터 자체에서 열을 발생시켜 조리용기를 가열한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타입의 전기레인지는 자력의 힘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전자유도 가열방식의 미래형 전자조리기구이다. 전자유도 가열방식(Induction heating)이란 고효율 자력선 유도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인덕션 레인지 내측의 유도가열코일에 교류 전류를 통하면 자력선이 발생하고, 자력선 중심에 무수한 와류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여 금속이 갖는 전기저항에 의해 용기자체가 발열하여 조리하는 직접 가열 방식으로 이를 이용한 인덕션 타입의 전기레인지는 연소 불꽃이 없으며, 기존의 간접 조리기구에 비해 안정성과 경제성과 청정성을 갖는 미래형 전자조리기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덕션 타입의 전기레인지에는 조리기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장착되게 되는데, 종래의 전기레인지의 경우에는 이러한 센서들의 장착 및 분리가 불편하고, 센서에 연결된 전선들의 이동이 불편하여 제조상의 불편이 존재하고 수리를 위한 분해시에도 불편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5171(2016.03.08.)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고 센서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는, 유도기전력을 발생하도록 일정면적으로 권취된 구조의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이 상면에 설치되고,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특정부위에 제1센서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제2센서장착부가 구비되는 워킹코일 베이스와; 상기 제1센서장착부에 장착되며,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제1홀더와; 상기 제2센서장착부에 장착되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제2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홀더는, 일정폭을 가지는 고리(ring)모양을 가지는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센서장착부에 형성된 제1결합홀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돌기와는 반대되는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감지센서의 설치를 위한 제1장착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제1장착판을 구비한다.
상기 제2홀더는, 상부면에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제2감지센서의 설치를 위한 제2장착홈들이 형성된 제2장착판과; 상기 제2장착판의 하부 중심부에서 연장돌출되어 상기 제2센서장착부에 형성된 제2결합홀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돌기와; 상기 제2체결돌기에 끼워져 상기 제2장착판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트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장착부는, 원형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1결합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결합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감지센서에 연결된 제1전선이 통과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결합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1이동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장착부는, 일자형 구조의 상기 제2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2감지센서와 연결되는 제2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결합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홀과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는 제3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제2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에서 상기 제2결합홀을 둘러싸도록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전선의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2이동홀과; 상기 제2관통홀에서 상기 제2결합홀을 둘러싸도록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3전선의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3이동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센서의 장착을 위한 홀더가 탄성체와 장착판이 일체형 구조를 가져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센서장착부가 센서 또는 홀더의 장착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전선의 이동성을 부여하여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워킹코일 베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제1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제2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2홀더의 장착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 조립체(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워킹코일 베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제1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제2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2홀더의 장착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코일 조립체(100)는 워킹코일(120), 워킹코일 베이스(110), 제1홀더(160), 제2홀더(150)를 구비한다.
상기 워킹코일 조립체(100)는 냄비나 후라이팬 등의 피가열체(조리용기)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피가열체의 가열상태를 견딜 수 있도록 세라믹이나 내열성이 우수한 유리재질로 형성되는 탑플레이트(미도시)의 하측에 구비된다.
상기 워킹코일(120)은 유도기전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10)의 상면에 일정면적으로 권취된 구조를 가지며, 유도기전력을 발생시켜 인덕션 타입의 전기레인지의 상판에 놓인 피가열체(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워킹코일(120)은 여러 가닥의 구리세선을 꼬아서 형성한 연선을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10) 상면에 원판상으로 감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리연선을 원판상으로 감은 워킹 코일(120)은 상기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10)의 상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부착된 후에는 상기 워킹코일(120)이 흩어지거나 풀어짐이 없이 일정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10)는 상기 워킹코일(120)이 상면에 설치되고,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특정부위에 제1센서장착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제2센서장착부(130)가 구비된다. 하부측에는 다수개의 페라이트 코어들(미도시)이 방사형으로 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베이스(110)는 전기 레인지의 형태에 따라 원판형태나 또는 가운데가 우묵하게 들어간 용기형태나 원판상 가운데 공간부를 갖는 원판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홀더(160)는 상기 제1센서장착부(140)에 장착되며,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감지센서는 피가열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폭을 가지는 고리(ring)모양을 가지는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탄성체(166)와, 상기 탄성체(166)의 외주면(도면상에서 하부측 외주면)에서 반경방향(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센서장착부(140)에 형성된 제1결합홀(142)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제1체결돌기(168)와. 상기 제1체결돌기(168)와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166)의 외주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감지센서의 설치를 위한 제1장착홈(162)이 상부면에 형성된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제1장착판(16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체결돌기(168)의 일부분에는 고무재질의 이탈방지 돌기(169)가 상기 제1체결돌기(168)의 몸체보다 더 굵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홀(142)에 체결될때 상기 이탈방지 돌기(169)도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제1홀더(160)가 상기 제1결합홀(142)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탈방지 돌기(169)는 삽입이 쉽고 분리가 어려운 구조인 역삼각형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홀더(160)는 상기 탄성체(166), 상기 제1체결돌기(168) 및 상기 제1장착판(164)이 하나의 재질(예를 들면, 고무재질)로 일체형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더(160)의 상기 탄성체(166)는, 일정 폭을 가지는 고리(ring)형상 또는 일정폭을 가지는 튜브를 옆으로 배치한 형상,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관을 옆으로 배치한 형상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66)는 상부측에서 힘이 가해지면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고,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서로 마주보는 내주면들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는 등의 탄성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홀더(150)는 상기 제2센서장착부(130)에 장착되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홀더(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제2감지센서의 설치를 위한 제2장착홈(152)들이 형성된 제2장착판(154)과, 상기 제2장착판(154)의 하부 중심부에서 연장돌출되어 상기 제2센서장착부(130)에 형성된 제2결합홀(132)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돌기(156)와, 상기 제2체결돌기(156)에 끼워져 상기 제2장착판(154)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트링(157)을 구비한다.
상기 제2체결돌기(156)의 단부에는 상기 제2체결돌기(156)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양방향(상기 제2장착판(154)의 길이방향) 으로 돌출되는 일자형 돌기(158)가 구비되며, 상기 제2체결돌기(156)의 일자형 돌기(158)는 상기 제2센서장착부(130)에 형성된 제2결합홀(132)이 일자형 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2체결돌기(156)의 일자형 돌기(158)는 상기 제2결합홀(132)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이외에도 상기 제2결합홀(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센서장착부(130)의 상기 제2결합홀(132) 형성 부분은 상측에서 볼때는'-(일자)'형 홀 구조이지만, 대응되는 하측부분(하부면)에는 '-(일자)'형 홀과는 수직되도록 '-(일자)'형 삽입홈(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홀더(150)를 상기 제2센서장착부(13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자형 돌기(158)가 상기 제2결합홀(132)에 삽입되어 관통된 상태에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홀더(150)를 제90도 회전시켜 상기 일자형 돌기(158)가 상기 제2센서장착부(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함에 상기 제2홀더(150)가 상기 제2센서장착부(13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홀더(150)의 분리시에는 장착시와 반대의 과정을 통해 가능하다.
상기 탄성스프링(157)은 상기 제2체결돌기(156)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2장착판(154)과 상기 제2센서장착부(130)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장착판(154)에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센서장착부(140)는, 상기 워킹코일베이스(110)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사이의 특정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결합홀(142) 및 제1이동홀(144)을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홀(142)은 원형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홀더(160)의 상기 제1체결돌기(168)의 직경보다는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이탈방지 돌기(169)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 돌기(169)는 고무재질로 신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직경이 크더라도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결합홀(142)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고, 삽입관통된 이후에는 분리되는 것이 어렵다.
상기 제1이동홀(144)은 상기 제1결합홀(142)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결합홀(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홀(144)은 상기 제1감지센서에 연결된 제1전선이 통과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결합홀(14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홀더(160)를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제1감지센서에 연결된 전선의 이동이 자유로워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고 제1홀더(160) 또는 제1감지센서의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장착부는,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11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자형 구조의 상기 제2결합홀(132)과, 상기 제2결합홀(132)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2감지센서와 연결되는 제2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제1관통홀(134a)과, 상기 제2결합홀(132)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홀(134a)과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는 제3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제2관통홀(136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통홀(134a)에서 상기 제2결합홀(132)을 둘러싸도록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전선의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2이동홀(134b)과, 상기 제2관통홀에서 상기 제2결합홀(132)을 둘러싸도록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3전선의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3이동홀(136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이동홀(134b) 및 상기 제3이동홀(136b)는, 상기 제2홀더(150)가 상기 제2센서장착부(1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결합홀(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을 위해 90도 회전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 제2전선 및 제3전선이 손상되거나 꼬이지 않도록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센서의 장착을 위한 홀더가 탄성체와 장착판이 일체형 구조를 가져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센서장착부가 센서 또는 홀더의 장착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전선의 이동성을 부여하여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워킹코일 베이스 120 : 워킹코일
130 : 제2센서장착부 140 : 제1센서장착부
150 : 제2홀더 160 : 제1홀더

Claims (4)

  1.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에 있어서:
    유도기전력을 발생하도록 일정면적으로 권취된 구조의 워킹코일과;
    상기 워킹코일이 상면에 설치되고, 중심부와 가장자리부 사이의 특정부위에 제1센서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심부에는 제2센서장착부가 구비되는 워킹코일 베이스와;
    상기 제1센서장착부에 장착되며,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제1홀더와;
    상기 제2센서장착부에 장착되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피가열체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가 설치되기 위한 제2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센서장착부는,
    원형구조를 가지는 제1결합홀과;
    상기 제1결합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1결합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감지센서에 연결된 제1전선이 통과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결합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1이동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홀더는,
    상부면에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제2감지센서의 설치를 위한 제2장착홈들이 형성된 제2장착판과;
    상기 제2장착판의 하부 중심부에서 연장돌출되어 상기 제2센서장착부에 형성된 제2결합홀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체결돌기와;
    상기 제2체결돌기에 끼워져 상기 제2장착판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스트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일정폭을 가지는 고리(ring)모양을 가지는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센서장착부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홀에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돌기와는 반대되는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감지센서의 설치를 위한 제1장착홈이 상부면에 형성된 고무 또는 금속재질의 제1장착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장착부는,
    일자형 구조의 상기 제2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2감지센서와 연결되는 제2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결합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관통홀과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센서와 연결되는 제3전선이 통과하기 위한 제2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에서 상기 제2결합홀을 둘러싸도록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전선의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2이동홀과;
    상기 제2관통홀에서 상기 제2결합홀을 둘러싸도록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3전선의 이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제3이동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KR2020160004952U 2016-08-25 2016-08-25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KR200486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952U KR200486456Y1 (ko) 2016-08-25 2016-08-25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952U KR200486456Y1 (ko) 2016-08-25 2016-08-25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44U KR20180000644U (ko) 2018-03-07
KR200486456Y1 true KR200486456Y1 (ko) 2018-05-21

Family

ID=6164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952U KR200486456Y1 (ko) 2016-08-25 2016-08-25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4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214A (ko) 2021-05-18 2022-11-25 (주)신화셀렉스 비대칭형 워킹코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레인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186A (ko) * 2010-07-28 201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KR101450238B1 (ko) * 2013-08-27 2014-10-14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가열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170U (ko) * 2011-06-29 2013-01-08 주식회사 리홈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KR20160025171A (ko) 2014-08-27 2016-03-08 (주)쿠첸 인덕션 렌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186A (ko) * 2010-07-28 2012-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KR101450238B1 (ko) * 2013-08-27 2014-10-14 범일산업 주식회사 인덕션 가열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214A (ko) 2021-05-18 2022-11-25 (주)신화셀렉스 비대칭형 워킹코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644U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9410C2 (ru) Мультиплита
JP3174371U (ja) 電磁加熱型焼肉用装置
EP2048914B1 (en) A cooking device having an induction heating element
KR100686034B1 (ko) 전기 레인지
JP2016534834A (ja) 電気装置を備える取付物を含む調理用容器のボウル
KR20170072632A (ko) 전기밥솥
JP2007244648A (ja) 電気炊飯器
KR102312878B1 (ko) 조리용기검지장치
KR200486456Y1 (ko)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AU2006202773A1 (en) Heater unit and electric cooker equipped therewith
KR20110003651A (ko) 전자유도가열식 밥솥용 인덕션 코일가열부
KR200490893Y1 (ko) 인덕션 전기 레인지
CN105283101A (zh) 电饭煲
KR20130012049A (ko) 세라믹 탄성 돌기를 갖는 인덕션 렌지
US20190162419A1 (en) Pressing element and induction hob comprising a pressing element
KR100232563B1 (ko)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JP5542882B2 (ja) 加熱調理器
CN217464555U (zh) 烹饪器具和烹饪套组
US20130186609A1 (en) Heating Pad Applicable to Induction Cooker
KR102119734B1 (ko)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KR101572073B1 (ko)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KR101117272B1 (ko) 전자유도가열 조리용기의 바닥구조
CN215499636U (zh) 线盘组件及电饭煲
CN211451040U (zh) 支撑架及电磁炉装置
CN217464549U (zh) 烹饪器具和烹饪套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