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073B1 -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073B1
KR101572073B1 KR1020140077649A KR20140077649A KR101572073B1 KR 101572073 B1 KR101572073 B1 KR 101572073B1 KR 1020140077649 A KR1020140077649 A KR 1020140077649A KR 20140077649 A KR20140077649 A KR 20140077649A KR 101572073 B1 KR101572073 B1 KR 101572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il
link
curved surf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숙
Original Assignee
허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진숙 filed Critical 허진숙
Priority to KR102014007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편이 형성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와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체결 홀이 형성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코일이 삽입되도록 삽입 홀이 설치되는 코일 결합부;를 구비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과 상기 체결 홀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용기 내부 곡면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Coil guide and inductive heating cook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불규칙한 곡면에 코일이 효과적으로 권선되도록 하는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조리기는 가열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여 강력한 고주파 자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자계를 통해 가열코일과 자기 결합하고 있는 조리 용기에 와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조리 용기가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주울 열로 인해 발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유도가열조리기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내부에 열원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코일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유도가열조리기는 복수의 가열 코일을 설치함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평면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곡면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권선되도록 하여, 열원이 확실하게 본체 내부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3458호(공개일 : 2013.08.22)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유도가열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불규칙한 곡면에 코일이 효과적으로 권선되도록 하는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이드는 돌출편이 형성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와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체결 홀이 형성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코일이 삽입되도록 삽입 홀이 설치되는 코일 결합부를 구비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과 상기 체결 홀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용기 내부 곡면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가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 가이드는 상기 제1링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1결합 홀을 구비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링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상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 홀을 구비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 홀은 상기 코일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 홀은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용기 내부 곡면에 맞닿는 상기 제1링크부, 상기 제2링크부 및 코일 결합부의 일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코일 가이드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는 돌출편이 형성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와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체결 홀이 형성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코일이 삽입되도록 삽입 홀이 설치되는 코일 결합부를 구비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과 상기 체결 홀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용기 내부 곡면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코일 가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 가이드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상기 용기 내부 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 가이드는 상기 제1링크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1결합 홀을 구비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링크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상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 홀을 구비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코일 가이드는 상기 제1결합 홀에 체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곡면에 위치되는 상기 제1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2결합 홀에 체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상부 곡면에 위치되는 상기 제2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곡면을 따라 복수개의 링크유닛이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관절을 형성하는 코일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불규칙한 용기의 곡면에 대하여 코일 가이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가이드가 용기의 하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 결합됨으로써, 용기의 곡면에 대하여 코일이 효과적으로 권선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가이드 상에서 코일의 삽입을 위하여 형성된 삽입 홀의 일측이 용기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코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유닛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이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이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이드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유닛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유닛(10)은 제1링크부(12), 제2링크부(14) 및 코일 결합부(16)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제1링크부(12)는 상부를 향해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단차면에 돌출편(12a)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편(12a)은, 상기 제1링크부(1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구비되고, 단차면의 중앙에 직립 형성된다.
제2링크부(14)는, 상기 제1링크부(12)와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돌출편(12a)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체결 홀(14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링크부(14), 상기 제1링크부(1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일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단차면에 상기 체결 홀(14a)이 형성된다.
한편, 코일 결합부(16)는 상기 제1링크부(12)와 상기 제2링크부(14)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코일(1)이 삽입되도록 삽입 홀(16a)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 홀(16a)은 상기 코일 결합부(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 홀(16a)은 일측으로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코일(1)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제1링크부(12), 제2링크부(14) 및 코일 결합부(16)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링크유닛(10)을 형성하고, 돌출편(12a)과 체결 홀(14a)이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링크유닛(10)이 서로 맞물리며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유닛(10)은 전자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동시에 탄성력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가이드(100)는 복수개의 링크유닛(10)이 용기(A) 내부 곡면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코일 가이드(100)는, 링크유닛(10)의 제2링크부(14)에 다른 링크유닛(10`)이 맞물리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2링크부(14)의 체결 홀(14a)에 다른 링크유닛(10')의 제1링크부(12')에 형성된 돌출편(12a')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제1링크부(12)와 상기 제2링크부(14)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구비되고, 그에 따라 서로 맞물리며 배치되는 경우, 돌출편(12a)과 상기 체결 홀(14a)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링크유닛(10)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12a)은 반으로 절개되어 각각이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14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부(12)와 상기 제2링크부(14)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12)와 상기 제2링크부(14)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의 형상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복수개의 상기 링크유닛(10)이 연결됨에 있어서 소정의 범위로 회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유닛(10)은 용기(A) 내부 곡면에 맞닿는 제1링크부(12), 제2링크부(14) 및 코일 결합부(16)의 일면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일 가이드(100)가 복수개의 상기 링크유닛(10)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만일 상기 코일 가이드(100)의 일면이 직선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용기(A) 내부 곡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연결부위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 가이드(100)는 상기 용기(A) 내부 곡면에 맞닿는 상기 링크유닛(10)의 제1링크부(12), 제2링크부(14) 및 코일 결합부(16)의 일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기(A) 내부 곡면에 대하여 이격되는 부위를 최소화 하면서 상기 용기(A) 내부 곡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코일 가이드(100)는 일면이 상기 용기(A) 내부 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상기 링크유닛(10)에 설치된 삽입 홀(16a)에 코일(1)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기(A)의 불규칙한 곡면에 대응하며 상기 코일(1)이 효과적으로 권선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코일 가이드(100)는 용기(A)의 곡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코일(1)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용기(A)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형상을 가지는 삽입 홀(16a)이 링크유닛(10)의 코일 결합부(16)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삽입 홀(16a)은 상기 코일 결합부(16)의 길이 방항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만일 상기 삽입 홀(16a)이 상기 코일 결합부(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으로 형성되면, 그에 따라 상기 코일 결합부(16)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링크유닛(10)이 연결됨에 있어서 용기(A) 내부의 곡면과 갭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삽입 홀(16a)이 상기 코일 결합부(16)에 하나로 형성되면, 코일 가이드(100) 상에서 상기 삽입 홀(16a)이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그에 따라 코일(1)의 개수 또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 홀(16a)은 상기 코일 결합부(16)의 길이 방항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되어, 용기(A) 내부의 곡면에 밀착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 가이드(100) 상에 삽입되는 코일(1)의 개수를 확보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상기 용기(A)에 대한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이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링크유닛(10)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코일 가이드(100)는 용기(A)의 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제1결합부(200) 및 제2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결합부(200)는 제1링크부(12)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기(A) 내부의 하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1결합 홀(210)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결합부(200)는 상기 제1링크부(12)의 돌출편(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링크부(14)의 체결 홀(14a)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체결 홀(200a)을 구비하고, 상기 제1링크부(12)의 단차진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200)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체결 홀(200a)이 형성되어 상기 제1링크부(12)에 맞물리도록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제1결합 홀(210)이 구비되어 용기(A) 내부의 하부 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200)는 링크유닛(10)과 동일한 형상 및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어 제1링크부(12)와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 홀(210)을 통해 코일 가이드(100)의 일단부가 용기(A) 내부의 하부 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결합부(300)는, 제2링크부(14)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용기(A) 내부의 상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 홀(310)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결합부(300)는 상기 제2링크부(14)의 체결 홀(14a)에 삽입되도록, 제1링크부(12)의 돌출편(12a)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돌출편(300a)을 구비한다.
상기 제2결합부(300)는, 코일 결합부(16)가 제외된 링크유닛(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돌출편(300a)이 형성되어 상기 제2링크부(14)에 맞물리도록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제2결합 홀(310)이 구비되어 용기(A) 내부의 상부 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이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가이드(100)는 복수개의 링크 유닛(10)이 용기(A) 내부 곡면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A)의 내부 곡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코일 가이드(100)는 제1체결부재(110) 및 제2체결부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체결부재(110)는, 제1결합 홀(210)에 체결되고, 용기(A) 내부의 하부 곡면에 위치되는 제1결합부(200)를 고정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제1체결부재(110)는 상기 용기(A) 내부의 하부 곡면에 대하여 코일 가이드(100)의 일단부가 효과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제2체결부재(120)는, 제2결합 홀(310)에 체결되고, 상기 용기(A) 내부의 상부 곡면에 위치되는 제2결합부(300)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체결부재(120)는 상기 용기(A) 내부의 상부 곡면에 대하여 코일 가이드(100)의 타단부가 효과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코일 가이드(100)는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제1결합부(200) 및 제2결합부(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A) 내부의 상부 및 하부 곡면을 아우르며 배치된다.
이때, 제1체결부재(110) 및 제2체결부재(220)는 상기 제1결합부(200) 및 상기 제2결합부(300)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용기(A) 내부의 상부 및 하부 곡면에 상기 코일 가이드(1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하,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가이드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조리기는 코일 가이드(100)가 'U'자 형상을 가지는 용기(U) 내부 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A) 내부의 하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코일 가이드(100)는 상기 용기(A)의 내부의 하부 중심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결합되고, 각각이 제1체결부재(110) 및 제2체결부재(220)에 의해 상기 용기(A) 내부의 상부 및 하부 곡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코일 가이드(100)의 개수는 설정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 가이드(100)에 삽입된 코일(1)에 의해 상기 용기(A) 내부 곡면으로 와전류를 발생시켜 유도가열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유도가열조리기는 방사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코일 가이드(100)를 통해 상기 용기(A)의 불규칙한 곡면에 대응하며 상기 코일(1)일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코일(1)을 통해 발생된 열원이 확실하게 상기 용기(A)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곡면을 따라 복수개의 링크유닛이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관절을 형성하는 코일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불규칙한 용기의 곡면에 대하여 코일 가이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가이드가 용기의 하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 결합됨으로써, 용기의 곡면에 대하여 코일이 효과적으로 권선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 가이드 상에서 코일의 삽입을 위하여 형성된 삽입 홀의 일측이 용기의 외측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코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코일 10 : 링크유닛
12 : 제1링크부 12a, 300a : 돌출편
14 : 제2링크부 14a, 200a : 체결 홀
16 : 코일 결합부 16a : 삽입 홀
100 : 코일 가이드 110 : 제1체결부재
120 : 제2체결부재 200 : 제1결합부
210 : 제1결합 홀 300 : 제2결합부
310 : 제2결합 홀 A : 용기

Claims (8)

  1. 돌출편이 형성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와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체결 홀이 형성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코일이 삽입되도록 삽입 홀이 설치되는 코일 결합부;를 구비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과 상기 체결 홀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용기 내부 곡면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가이드는,
    상기 제1링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1결합 홀을 구비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링크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상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 홀을 구비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가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홀은,
    상기 코일 결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가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홀은,
    상기 용기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가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용기 내부 곡면에 맞닿는 상기 제1링크부, 상기 제2링크부 및 코일 결합부의 일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가이드.
  6. 돌출편이 형성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와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체결 홀이 형성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와 상기 제2링크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코일이 삽입되도록 삽입 홀이 설치되는 코일 결합부를 구비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과 상기 체결 홀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용기 내부 곡면을 따라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어 코일 가이드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 가이드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상기 용기 내부 곡면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가이드는,
    상기 제1링크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1결합 홀을 구비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링크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상부 곡면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 홀을 구비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가이드는,
    상기 제1결합 홀에 체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하부 곡면에 위치되는 상기 제1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2결합 홀에 체결되고, 상기 용기 내부의 상부 곡면에 위치되는 상기 제2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KR1020140077649A 2014-06-24 2014-06-24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KR101572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49A KR101572073B1 (ko) 2014-06-24 2014-06-24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49A KR101572073B1 (ko) 2014-06-24 2014-06-24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073B1 true KR101572073B1 (ko) 2015-11-26

Family

ID=5484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649A KR101572073B1 (ko) 2014-06-24 2014-06-24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20A1 (ko) * 2016-03-16 2017-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기 유도가열용 워크 코일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0023A (en) 1986-09-15 1989-06-20 Tecno S.P.A. Mobili E Forniture Per Arredamento Flexible cable guide with two-directional joints
KR100682981B1 (ko) 2006-01-19 2007-02-15 (주)파워인덕션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JP2011226555A (ja) 2010-04-20 2011-11-10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支持具連結体、及びその固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0023A (en) 1986-09-15 1989-06-20 Tecno S.P.A. Mobili E Forniture Per Arredamento Flexible cable guide with two-directional joints
KR100682981B1 (ko) 2006-01-19 2007-02-15 (주)파워인덕션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JP2011226555A (ja) 2010-04-20 2011-11-10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材支持具連結体、及びその固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20A1 (ko) * 2016-03-16 2017-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기 유도가열용 워크 코일 조립체
JP2018511904A (ja) * 2016-03-16 2018-04-26 ボミル産業株式会社Bumil Industrial Co.,Ltd. 電磁誘導加熱用ワークコイル組立て体
KR101845948B1 (ko) * 2016-03-16 2018-05-18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기 유도가열용 워크 코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0573B2 (ja) 非接触充電システム
RU2015148609A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укционного нагрева и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JP6392649B2 (ja) 受電装置および送電装置
RU2020109519A (ru) Генерирующее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 с плоской катушкой индуктивности
SI3145341T1 (en) INDUSTRIAL GRILLING DEVICE AND AEROSOL CREATION SYSTEM
USD683024S1 (en) Electromagnetic wave detector for a magnetic resonance tomography apparatus
KR20180000677U (ko) 변압장치
KR101572073B1 (ko)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JP4975468B2 (ja) 炊飯器
WO2009031325A1 (ja) スチーム発生装置
CN204410586U (zh) 电磁线圈盘及具有该电磁线圈盘的电炊具
KR20160134129A (ko) 전기조리기
JP2009074694A (ja) 電磁安全弁
CN204306631U (zh) 电炊具
WO2018141397A1 (en) Plug and play household appliance with improved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and manufacturability
CN204316768U (zh) 电磁加热装置及具有该电磁加热装置的电炊具
CN104095517B (zh) 煮饭器
JP2018190781A (ja) 車両用磁性部品
KR200486456Y1 (ko)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JP5826343B2 (ja) 誘導加熱調理器
GB2589653B (en) Coil system with different currents driven through the shield and primary coils
JP2019030155A (ja) コイルユニット
EP2683216B1 (en) Cooking device
WO2013002925A3 (en) Linear motor for a small, electric handheld device
CN206239119U (zh) 电磁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