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981B1 -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981B1
KR100682981B1 KR1020060005688A KR20060005688A KR100682981B1 KR 100682981 B1 KR100682981 B1 KR 100682981B1 KR 1020060005688 A KR1020060005688 A KR 1020060005688A KR 20060005688 A KR20060005688 A KR 20060005688A KR 100682981 B1 KR100682981 B1 KR 100682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coil
high frequency
winding
spac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완근
Original Assignee
(주)파워인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인덕션 filed Critical (주)파워인덕션
Priority to KR102006000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주파 교류전원과 연결된 유도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마그네슘, 아연, 또는 알루미늄 등 저융점 금속을 구즈넥(gooseneck), 노즐(nozzle) 또는 금형 등 피열물 내부에서 가열하는 다이캐스팅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을 구즈넥(gooseneck), 노즐(nozzle) 또는 금형 등 피열물 외주면으로 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유도 코일 주위를 단열부재로 충전하되, 나선형으로 권취된 유도 코일의 각 권선 사이에는 각 권선이 피가열물 및 인접 권선으로 부터 균일한 거리 만큼 이격되어 유지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절연소재의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피열물을 전영역에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고, 단열부재 충전 도중 코일과 피가열물간 및 코일의 인접 권선간의 단락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부재의 크랙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이캐스팅, 고주파 유도 가열

Description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INDUCTION COIL WINDING STRUCTURE OF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DEVISE FOR DIECASTING MACHINE}
도 1은 고융점 금속선을 유도 코일로 사용하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를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의 A-A'절단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노즐 12 : 단열 부재
14b : 유도 코일 18 : 콘넥터
20 : 스페이서 22 : 연결바
24 : 너트 26 : 코일삽입홈
40 : 고주파 교류전원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마그네슘, 아연, 또는 알루미늄 등 저융점 금속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구즈넥(gooseneck), 노즐(nozzle), 또는 금형을 가열하는데 사용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 등에 의하여 고주파 교류 전류를 발생시킨 후 피열물 주위에 설치한 유도 코일에 그 고주파 교류 전류를 흘려 주어, 피열물에 와전류 손실과 히스테레시스 손실(자성체의 경우)을 유도(induction)함으로써, 피열물에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고주파 유도 가열이라고 한다.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는 짧은 온도 상승 시간, 용이한 가열 온도 제어 등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마그네슘, 아연, 또는 알루미늄 등 저융점 금속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구즈넥(gooseneck), 노즐(nozzle) 또는 금형(이하, 이들을 "피열물"이라고 함)의 예열 또는 가열 장치로도 널리 사용된다. 상기 구즈넥(gooseneck)은 성형금속의 용해로로 부터 용융금속을 노즐에 투입하는 장치이다. 다이캐스팅 과정에서 구즈넥(gooseneck), 노즐(nozzle) 및 금형은 언제나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성 형금속이 경화되지 않게 해야 한다.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사용되는 유도 코일로는 동파이프(銅 pipe)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동파이프를 유도 코일로 사용하는 경우 성형금속의 요구되는 가열 온도가 400℃ 이상인 때에는 동파이프가 산화되어 손상되므로, 동파이프의 내부에 물이나 공기(air)를 통과시켜, 유도 코일이 산화점(약 400℃) 이상으로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시켜 왔다. 그러나, 상기 냉각장치로 부터 공급되는 물은 유도 코일을 냉각시킬 뿐만 아니라, 피열물의 주변 온도를 상당 수준 떨어 뜨려, 떨어진 온도를 보상할 수 있는 만큼의 전류를 더 공급해 줘야 하므로, 많은 전기 에너지 를 소모하는 문제점과, 유도 코일을 감싸고 있는 단열부재는 유도 코일 내부를 순환하는 물에 의하여 냉각됨에 반하여 노즐에서는 고온이 유지되므로, 노즐이 열팽창하는 동시에 단열부재는 냉각으로 수축되는 현상이 나타나 노즐 또는 단열부재에 크랙이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마그네슘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경우, 물을 이용한 유도 코일 냉각은 마그네슘의 폭파 가능성이라는 또 다른 문제점도 안고 있었다. 마그네슘은 물과 접촉할 경우 급속히 산화되어 폭발하기 때문이다. 특히, 가열중 냉각수의 원활한 공급이 안될 경우 유도 코일이 산화되어 파손될 수 있고, 이는 물의 비산을 초래하여 마그네슘의 폭발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한국 특허 제 0530829 호 발명에서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제 0530829 호 발명을 양산화는 과정에서 유도 코일의 권취 구조를 개선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한국 특허 제 0530829 호 발명을 개선하는 발명으로, 피열물의 전영역에 균일한 와전류를 유도하여 피열물이 각 부분에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열부재 충전 도중 유도 코일과 피가열물간 및 유도 코일의 인접 권선간의 단락을 예방할 수 있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주파 교류전원의 인가로 단열부재가 가열된 후 고주파 교류전원의 차단으로 단열부재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열부재의 크랙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고주파 교류전원과 연결된 유도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마그네슘, 아연, 또는 알루미늄 등 저융점 금속을 구즈넥(gooseneck), 노즐(nozzle) 또는 금형 등 피열물 내부에서 가열하는 다이캐스팅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을 구즈넥(gooseneck), 노즐(nozzle) 또는 금형 등 피열물 외주면으로 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유도 코일 주위를 단열부재로 충전하되, 나선형으로 권취된 유도 코일의 각 권선 사이에는 각 권선이 피가열물 및 인접 권선으로 부터 균일한 거리 만큼 이격되어 유지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절연소재의 스페이서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4각 기둥형상을 갖으며, 권선 접촉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코일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권선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코일삽입홈 외측에는 각 스페이서를 일렬로 연결하는 연결바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양단에는 너트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고융점 금속선을 유도 코일로 사용하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를,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를 보여 주는 사시도를,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를, 도 2c는 도 2b의 A-A'절단선에 대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c에서는 피열물이 노즐(nozzle)(10)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구즈넥(gooseneck), 금형 등 다른 피열물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도 1에 도시된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는 유도 코일(14b)로 단일 가닥의 굵은 고융점 금속선을 사용한 노즐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고융점 금속선 유도 코일(14b)은 니켈선, 니켈합금선 또는 철크롬선 가운데서 선택된다. 상기 고주파 교류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기 유도 코일(14b)에서 발생하는 일정량의 주울열(joule heat)은 단열부재를 노즐(10)의 보온층으로 만들어 준다. 이에 따라, 고주파 교류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노즐(10)과 단열부재(12)간에 온도 편차가 줄어 들게 되어 노즐 또는 단열부재의 크랙(crack) 및 변형을 예방하여 준다. 그러나, 고주파 교류전원을 차단할 경우, 유도 코일(14b)에 인접한 부분의 단열부재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주위에 유도 코일(14b)을 권취하고, 단열부재(12)을 몰딩(molding)하는 과정에서, 유도 코일(14b)의 간 권선간에 거리 가 일정하지 않거나, 유도 코일(14b)의 각 권선과 노즐 표면 간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으면, 노즐의 각 부분에서 균일한 와전류 손실과 히스테레시스 손실이 일어 나기 어렵게 된다. 이는 노즐에서 발생하는 열의 불균일을 의미하고, 노즐의 불균일한 가열은 성형금속이 이송 중에 부분적으로 경화됨을 의미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유도 코일(14b)은 외주면으로 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그 양단을 상기 고주파 교류전원(40)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나선형으로 권취된 유도 코일의 각 권선 사이에 각 권선이 피가열물 및 인접 권선으로 부터 균일한 거리 만큼 이격되어 유지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절연소재의 스페이서(20)를 삽입한 데 있다. 상기 스페이서(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으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기둥형상을 갖으며, 권선 접촉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코일삽입홈(26)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단열부재 충전 도중 코일과 피가열물간 및 코일의 인접 권선간의 단락을 예방할 수 있고, 노즐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와전류 및 유도열을 발생시켜 성형금속이 균일하게 용융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도 코일(14b) 주위 및 외측은 단열부재(12)를 채워 유도코일(14b)이 단열부재(12) 내부에 함몰되게 성형한다. 그러나, 유도 코일(14b)은 조각으로 분리된 스페이서(2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유도 코일(14b)에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단열부재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단열부재(12)의 외측에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비철 금속 소재의 케이싱을 더 마련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단열부재(12)의 손상을 막고, 비산된 용융금속이 단열부재 내부에 침투되어 단열부재(12) 또는 유도 코일(14b)을 훼손시키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권선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20)의 하부에는 각 스페이서(20)를 일렬로 연결하는 연결바(22)가 관통하여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연결바(22)의 양단에는 나사를 형성하고 너트(24)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2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0) 외주면에 3열로 삽입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1열, 2열, 또는 4열 내지 10열, 또는 그 이상의 열을 삽입할 수도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유도 코일(14b)의 권선간 간격 및 각 권선과 노즐(10)간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므로, 노즐(10)의 각 지점에서 균일한 열이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노즐을 통과하는 성형금속도 균일하게 용융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피열물을 전영역에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고, 단열부재 충전 도중 코일과 피가열물간 및 코일의 인접 권선간의 단락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부재의 크랙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고주파 교류전원과 연결된 유도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여, 마그네슘, 아연, 또는 알루미늄 등 저융점 금속을 구즈넥(gooseneck), 노즐(nozzle) 또는 금형 등 피열물 내부에서 가열하는 다이캐스팅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은 구즈넥(gooseneck), 노즐(nozzle) 또는 금형 등 피열물 외주면으로 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시켜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유도 코일 주위를 단열부재로 충전하되, 나선형으로 권취된 유도 코일의 각 권선 사이에는 각 권선이 피가열물 및 인접 권선으로 부터 균일한 거리 만큼 이격되어 유지될 수 있게 지지하는 절연소재의 스페이서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4각 기둥형상을 갖으며, 권선 접촉면에는 내측으로 요입된 코일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권선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의 상기 코일삽입홈 외측에는 각 스페이서를 일렬로 연결하는 연결바가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 권취 구조.
KR1020060005688A 2006-01-19 2006-01-19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KR100682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688A KR100682981B1 (ko) 2006-01-19 2006-01-19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688A KR100682981B1 (ko) 2006-01-19 2006-01-19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981B1 true KR100682981B1 (ko) 2007-02-15

Family

ID=3810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688A KR100682981B1 (ko) 2006-01-19 2006-01-19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073B1 (ko) 2014-06-24 2015-11-26 허진숙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KR20160003817U (ko) * 2015-04-27 2016-11-04 자원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코일 어셈블리
KR101718537B1 (ko) 2015-04-27 2017-04-18 자원전자 주식회사 오버코팅기 가열용 유도가열코일 어셈블리의 무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86A (ko) * 1999-05-06 2000-12-05 이창우 다이케스팅 압출제조기의 노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086A (ko) * 1999-05-06 2000-12-05 이창우 다이케스팅 압출제조기의 노즐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73086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073B1 (ko) 2014-06-24 2015-11-26 허진숙 코일 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유도가열조리기
KR20160003817U (ko) * 2015-04-27 2016-11-04 자원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코일 어셈블리
KR200482965Y1 (ko) 2015-04-27 2017-04-07 자원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코일 어셈블리
KR101718537B1 (ko) 2015-04-27 2017-04-18 자원전자 주식회사 오버코팅기 가열용 유도가열코일 어셈블리의 무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2232B2 (ja) 誘導加熱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使用して部品を製作する方法
RU263011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догрева пресс-формы,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литья под давлением
JP4660343B2 (ja) 溶融金属の注入用ノズルの加熱装置
US8056608B2 (en) Method of mitigating against thermal contraction induced cracking during casting of a super Ni alloy
BRPI0923132B1 (pt) Método de fundição contínua e dispositivo de aquecimento de bocal
KR100682981B1 (ko)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JPH09239070A (ja) ゴルフボール成形方法及びゴルフボール成形用金型
JP2008118731A (ja) ステータコイル及びコアの加熱装置および加熱方法
JP5587845B2 (ja) アルミ鋳造装置
JP6040546B2 (ja) 樹脂成形用電磁誘導加熱式金型装置
JP2007253230A (ja) ダイカストマシン用高周波誘導加熱装置
JP2015089667A (ja) 電磁誘導加熱式金型
JP5000149B2 (ja) コールドクルーシブル誘導溶解装置
KR100530829B1 (ko)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JP2017159558A (ja) 電磁誘導加熱式樹脂成形金型及び該金型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US20130093120A1 (en) Molding surface-heating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JP4708041B2 (ja) 冷却穴付き鋳抜ピ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52397B2 (ja) 円筒金型の加熱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2214041A (ja) 樹脂成形用電磁誘導加熱式金型装置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4187635B2 (ja) 高周波誘導加熱コイル
JPH11269538A (ja) 誘導加熱装置
AU7253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tively heating a refractory shaped member
CN101043769A (zh) 压铸机用高频感应加热机
JP2000077176A (ja) 筒体の内周面加熱用誘導加熱コイル
KR20130061358A (ko) 비수냉 코일을 이용한 고주파 유도가열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유도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