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170U -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 Google Patents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170U
KR20130000170U KR2020110005912U KR20110005912U KR20130000170U KR 20130000170 U KR20130000170 U KR 20130000170U KR 2020110005912 U KR2020110005912 U KR 2020110005912U KR 20110005912 U KR20110005912 U KR 20110005912U KR 20130000170 U KR20130000170 U KR 201300001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duction
stove
cooking vessel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
Priority to KR2020110005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170U/ko
Publication of KR20130000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1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인덕션 렌지를 통해 조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인덕션 전용 용기인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 확인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상판 하부에 설치된 코일에서 유도되는 자력선이 상판 위에 올려진 조리용기의 철성분이 있는 바닥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와류전류에 의해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인덕션 렌지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철성분과 반응하여 상기 조리용기가 사용가능한 용기인지 사용불가 용기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감지수단이 렌지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 having means for checking pot}
본 고안은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덕션 렌지를 통해 조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인덕션 전용 용기인지에 대한 여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한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는 유도 전류로 발생한 전력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음식을 조리하는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의 전자 조리기구로서, 가열부의 표면이 평판 형태로 된 것을 인덕션 렌지라 호칭하며, 내측에 전용 용기가 들어가도록 용기 형상으로 된 것을 인덕션 밥솥이라고 호칭하고 있다.
상기 인덕션 렌지나 인덕션 밥솥은 내측에 장착되는 인덕션 히팅코일(Induction Heating Coil)이 평판형인지, 또는 용기 형태와 같이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둥근 오목형인지에 따라 구조적으로 대별되지만, 전기적인 작동방법 및 작동원리는 동일하다.
즉, 인덕션 렌지는 전자 유도 가열 방식(Induction heating)이란 고효율 자력선 유도 기술을 응용한 것으로, 인덕션 렌지 내측의 유도 가열 코일에 교류전기를 통하여 자력선(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력선(자기장) 중심에 인덕션 전용 조리용기(즉, 자성을 갖는 금속제 용기)를 위치시켜, 와류전기(Eddy Current)가 발생되어 조리용기가 갖는 전기 저항에 의해 조리 용기가 발열되는 것을 일컫는다.
한편, 전자 유도 가열 방식, 즉 인덕션 히팅 방식에 의한 인덕션 렌지는 연소 불꽃이 없으며, 타 전기 조리 용기에 비하여 안전하며, 청소가 간편하며, 조리 온도가 정밀하여 기존의 간접 가열 방식에 의한 조리기에 비해 안정성과 전기의 낭비가 없는 고효율로 경제성을 가지며, 열을 발생함에 있어 가스 연소시와 같이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밀폐된 공간에서도 열을 얻을 수 있는 청정성을 갖는 미래형 전자 조리기구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덕션 레인지에 사용되는 용기는 철 성분이 포함되어 자성을 갖는 재질로 된 전용용기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전용용기의 재질로는 철성분이 포함되는 스텐레스 18-10, 18-8, 18-0이나, 철로 된 주물 용기, 철재 법랑이 적합하며, 100% 스테인레스나, 유리, 동, 알루미늄 재질로 된 용기는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유리용기나 스테인레스 용기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어 사용자가 인덕션 렌지를 사용할 때, 전용용기(철재 용기나 철이 함유된 용기) 이외에 용기를 인덕션 렌지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실수를 종종 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덕션 렌지에 사용가능한 용기인지에 대한 여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기능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인덕션 렌지를 통해 조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인덕션 전용 용기인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판 하부에 설치된 코일에서 유도되는 자력선이 상판 위에 올려진 조리용기의 철성분이 있는 바닥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와류전류에 의해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인덕션 렌지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철성분에 반응하여 상기 조리용기가 사용가능한 용기인지 사용불가 용기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감지수단이 렌지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를 제공한다.
상기 감지수단는 철성분에 반응하는 자성체이며, 상기 렌지 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자성체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의 전면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의 후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경사로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의 내부의 중앙에는 철편이 고정되고, 상기 철편의 주변에는 상기 경사로에 대응되는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렌지 본체의 뒷면에 용기 확인용 자석을 설치하여 용기가 유도가열에 적합한 용기인지의 여부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의 용기 확인 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의 용기 확인 수단의 사시도,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의 용기 확인 수단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의 용기 확인 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의 용기 확인 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의 용기 확인 수단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의 인덕션 렌지는 렌지 본체(10), 용기 감지수단(20; 이하, 감지수단으로 약칭한다), 유도가열부(30), 및 제어패널(4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렌지 본체(10)의 내부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렌지 본체(10)의 상부면에는 유도가열부(30)가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사용자 설정을 위한 제어패널(40)이 구비된다. 또한 제어패널(40)은 제어부와 연결되어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감지수단(20)은 용기에 함유된 철성분에 반응하는 자성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도가열부(30)로 용기를 올려놓는 과정에서 감지수단(20)을 용기에 가까이하면(일종의 스캔 행위), 자력에 반응하는지 아닌지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용기가 유도가열이 가능한 용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감지수단(20)은 렌지 본체(10)의 저면에 고정된 자성체이며,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감지수단(20)은 렌지 본체(1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12)에 장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용기 감지수단(20)은 상기 고정홈(12)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제1경사로; 22a, 제2경사로; 22b; 도 4 참조)가 형성되고, 고정홈(12)에는 이에 대응되도록 안내홈(14)이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용기 감지수단(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21)가 상단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용기 감지수단(20)이 고정홈(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21)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경사로(22)를 따라 이동되어 감지수단(20)이 고정홈(12) 상에서 상승된다.
이와 같이 감지수단(20)이 상승되면 도 4와 같이, 감지수단(20)의 저면에 형성된 자성체(23)가 고정홈(12)의 철편(15)에서 이탈됨으로써 감지수단(20)을 고정홈(12)에서 쉽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수단(20)에 경사로(22)를 형성함으로써 고정홈(12)에서 자력에 의해 고정된 감지수단(20)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탈시키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용기 감지수단(20)은 평상시에는 렌지 본체(10)의 저면(렌지 본체의 상면이나 측면도 가능함)에 고정시킨 상태를 유지하다가 조리시에 이탈시켜 용기를 스캔할 수 있어, 해당 용기가 유도가열이 가능한 용기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렌지 본체 12: 고정홈
20: 감지수단(자석) 21: 손잡이부
22: 경사로 30: 유도가열부
40: 제어패널

Claims (3)

  1. 상판 하부에 설치된 코일에서 유도되는 자력선이 상판 위에 올려진 조리용기의 철성분이 있는 바닥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와류전류에 의해 조리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인덕션 렌지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철성분에 반응하여 상기 조리용기가 사용가능한 용기인지 사용불가 용기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감지수단이 렌지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는 철성분에 반응하는 자성체이며,
    상기 렌지 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자성체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의 전면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의 후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경사로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의 내부의 중앙에는 철편이 고정되고, 상기 철편의 주변에는 상기 경사로에 대응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KR2020110005912U 2011-06-29 2011-06-29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KR201300001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12U KR20130000170U (ko) 2011-06-29 2011-06-29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12U KR20130000170U (ko) 2011-06-29 2011-06-29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70U true KR20130000170U (ko) 2013-01-08

Family

ID=5135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912U KR20130000170U (ko) 2011-06-29 2011-06-29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17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44U (ko) * 2016-08-25 2018-03-07 (주)신화셀렉스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44U (ko) * 2016-08-25 2018-03-07 (주)신화셀렉스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114B1 (ko) 용기 확인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GB2557774A (en) Heating and cooking system,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electric apparatus
JP2007026789A (ja) 電磁調理器
JP5622855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591049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及び調理装置
US20200163171A1 (en) Induction cooktop
KR101307594B1 (ko) 유도가열 히터가 구비된 전기 조리기기
AU2006202773B2 (en) Heater unit and electric cooker equipped therewith
KR20180025857A (ko) 유도 조리 장치 및 유도 조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JP201010879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55838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WO2013018304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5586405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30000170U (ko) 용기 확인 수단이 구비된 인덕션 렌지
KR20130043885A (ko) 용기 이탈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인덕션 렌지
JP5418132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厨房装置
KR101300190B1 (ko) 유도가열방식의 중화요리용 조리기구
JP2005158658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2017174531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468351Y1 (ko) 인덕션 용기 가이드
JP2005197111A (ja) 電磁誘導加熱器用加熱容器
JP5353738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厨房装置
JP6368915B2 (ja) 加熱調理器
JP5418264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厨房装置
JP6419743B2 (ja) 加熱用調理器及び電子レ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