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186A -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186A
KR20120011186A KR1020100072854A KR20100072854A KR20120011186A KR 20120011186 A KR20120011186 A KR 20120011186A KR 1020100072854 A KR1020100072854 A KR 1020100072854A KR 20100072854 A KR20100072854 A KR 20100072854A KR 20120011186 A KR20120011186 A KR 20120011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induction heating
heating cooker
heat transfer
trans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698B1 (ko
Inventor
이성호
손종철
김하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698B1/ko
Priority to US13/067,990 priority patent/US9848462B2/en
Priority to EP11174076.7A priority patent/EP2413659B1/en
Priority to CN201110212593.4A priority patent/CN102345886B/zh
Publication of KR2012001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4Heating plates with overheat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조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대의 하방에 균일하게 배치된 복수의 워킹코일들 사이에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에 인접하는 워킹코일측의 열을 온도센서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생산성 및 공간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TEMPERATURE SENSOR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워킹코일 또는 피가열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한 유도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조리기는 고주파전류를 가열코일에 흘려 가열코일에 강력한 고주파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고주파자계를 통해 가열코일과 자기 결합하고 있는 피가열물에 와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피가열물이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주울 열로 인해 발열하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유도가열조리기는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탑 플레이트에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위치가 표시되고, 그 위치에 용기를 올려 놓아 탑 플레이트 하방에 배치된 워킹코일에 의해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근래에는 유도가열조리기는 용기를 특정위치에 재치할 필요가 없이 임의의 위치에 용기를 놓더라도 용기가 놓은 위치를 감지하여 가열하는 기능이 있다.
이 경우 조리판 전체에 걸쳐 복수개의 워킹코일이 구비된다. 이러한 워킹코일은 제어장치나 임의의 사고에 따라 열을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복수의 워킹코일측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구비한 유도가열조리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는 피가열물이 올려지는 조리대;와, 상기 조리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워킹코일 및 온도센서;와, 상기 워킹코일의 열을 상기 온도센서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워킹코일에 일부분이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비자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는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는 내부에 상변화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된 밀폐관을 구비한 히트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접촉식 온도센서 및 비 접촉식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은 그리드 또는 하니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은 상기 조리대의 하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복수개의 워킹코일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워킹코일을 향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온도센서와 인접하는 각각 하나의 워킹코일측 열을 전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온도센서 주위에 배치된 둘 이상의 워킹코일측 열을 전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센서소자를 감싸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센싱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센싱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단열벽에 구획된 복수의 센싱 영역과, 상기 복수의 센싱 영역에 각각 구비된 센서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복수의 센싱 영역 일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조리기기의 온도센서는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조리대와, 상기 조리대의 하방에 배치된 복수의 워킹코일과,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온도센서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센서소자를 감싸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비자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는 상기 센싱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는 히트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백금측은저항체, 열전대, 써미스터 및 IC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단열벽에 구획되며 상기 센서소자가 각각 마련된 복수의 센싱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복수의 센싱 영역 일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조리대;와, 상기 피가열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대의 하방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워킹코일;과,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포함한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피가열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 근방에 배치된 워킹코일들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물의 열을 상기 온도센서로 전달하도록 상기 온도센서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에 따른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피가열물이 비 정상적 온도상승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인버터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는 신호를 온/오프 하는 신호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차단부는 상기 피가열물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도가열조리기는 하나 이상의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조리대;와, 상기 일정영역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 및 온도센서;와, 상기 워킹코일의 열을 상기 온도센서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킹코일은 상기 일정영역 하부에 상호 인접하여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일정영역 하부에 배치되는 워킹코일과 대응하는 개수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을 향해 연장되는 열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정영역, 상기 워킹코일,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조리대 하부에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도가열조리기는 생산성 및 공간효율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가열조리기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부재의 다양한 실시예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로가열조리기의 대략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조리용기 등과 같은 피가열물(11)이 재치되도록 본체(10)의 상면에 마련된 조리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10)의 상측 개구된 부분을 덮도록 조리대(13)가 배치될 수 있다.
조리대(13)는 피가열물(11)이 놓여질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쉽게 깨지거나 긁히지 않도록 세라믹 글래스 등의 강화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대(13)의 하방에는 조리대(13)에 놓은 피가열물(11)을 유도 가열할 수 있도록 워킹코일(20)이 설치될 수 있다.
워킹코일(20)은 조리대(13)의 모든 면적에서 피가열물(11)이 가열될 수 있도록 복수개 마련되고, 복수개의 워킹코일(20)은 본체(10) 내에서 거의 균일하게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워킹코일(20)은 평행하는 동일 간격의 직교하는 직선을 갖는 그리드(grid)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워킹코일(20)의 수는 본체(1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16 ~ 20개의 워킹코일(20)이 사용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워킹코일(20)은 조리대(13)의 어느 위치에서나 조리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워킹코일(20)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밀집된 형태라면 그리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벌집 모양의 하니컴(honeycomb)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조리대(13)에는 워킹코일(2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조리영역이 필요치 않게 된다.
조리대(13)의 전방에는 유도가열조리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되고,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조리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스위치(51)와 유도가열조리기(1)의 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워킹코일(20) 사이에는 워킹코일(20) 또는 피가열물(11)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30)는 조리대(13)에서 조리되는 피가열물(11)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워킹코일(20) 또는 피가열물(11)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0)에 전달함으로써 유도가열조리기(1)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위한 것이다.
온도센서(30)는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써미스터 소자는 부특성 써미스터(NTC thermister), 정특성 써미스터(PTC thermistor) 또는 임계특성 써미스터(CRT)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전극이 마련된 써미스터(31)와, 각 전극에 일단이 접속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리드와이어(33)와, 써미스터(31)의 보호를 위하여 써미스터(31) 및 리드와이어(33)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센싱부(35)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30)로 써미스터 소자를 이용한 접촉식 온도센서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열전대 센서, 바이메탈, IC 온도센서 및 비 접촉식 센서인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이러한 온도센서(30)는 복수의 워킹코일(20)의 개수만큼 필요로 하게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워킹코일(20)의 수량보다 적은 수량을 가지고 워킹코일(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도센서(30)는 온도센서(30)가 배치된 부분에 인접하는 복수의 워킹코일(20)측의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재(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부재(40)는 일단이 온도센서(30)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30)는 센싱부(35)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열전달부재(40)를 구비할 수 있다.
열전달부재(40)는 센싱부(35)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센싱부(35)에 결합될 수 있다.
열전달부재(40)는 워킹코일(20)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물(11)에서 발생된 열을 온도센서(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이 열전도도가 우수하며 비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진 로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열전달부재(40)가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워킹코일(2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 유도효과로 열전달부재(40)가 가열됨에 따른 측정 오차를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전달부재(40)는 워킹코일(20)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물(11)에서 발생된 열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히트 파이프(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히트 파이프는 내부에 일정량의 작동유체가 충진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밀폐관으로 이루어지고, 작동유체는 연속적으로 기-액 간의 상변화가 가능하도록 비점이 낮고 증발 잠열이 우수한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암모니아 또는 프레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히트 파이프는 밀폐관의 양단 사이의 열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피가열물(11)의 온도 측정의 신뢰성은 더욱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온도센서(30)와 워킹코일(20)측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열전달부재(40)의 배치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부재의 다양한 실시예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온도센서(30)는 그리드 또는 하니컴 형태로 균일하게 배치된 복수의 워킹코일(20)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열전달부재(40)는 워킹코일(20)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물(1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30)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인접하는 각 워킹코일(20)들의 상부측을 향해 다양한 형태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하나의 온도센서(30)에 인접하는 하나의 워킹코일(20)측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열전달부재(40)의 배치구조로서, 온도센서(30)는 열전달부재(40)에 의해 온도의 측정범위가 넓어지게 되므로 조리대(13)의 임의 영역에 놓여지는 피가열물(11)의 온도 측정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3(b)는 하나의 온도센서(30)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2개의 워킹코일(20)측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열전달부재(40)의 배치구조로서, 2개의 열전달부재(40)는 온도센서(30)를 중심으로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워킹코일(20)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c) 및 3(d)는 하나의 온도센서(30)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3개 또는 4개의 워킹코일(20)측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열전달부재(40)의 배치구조로서, 3개 또는 4개의 열전달부재(40)는 각각 동일한 워킹코일(20)측을 공유하지 않도록 서로 임의의 각도로 배치되거나, 3개 또는 4개의 열전달부재(40) 중 적어도 하나는 2개 이상의 워킹코일(20)측의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워킹코일(20)측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열전달부재(40)는 하나의 워킹코일(20)측의 열을 온도센서(30)로 전달하거나, 둘 이상의 워킹코일(20)측 열을 온도센서(30)로 전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리대(13)의 하부에 배치되는 워킹코일(20)의 개수에 따라서 온도센서(30)의 개수 및 열전달부재(40)의 배치는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열전달부재(40)는 조리대(13) 하부에서 랜덤하게 배치된 워킹코일(20)의 개수 또는 크기에 따라서 혼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하여 밀집되게 배치된 복수의 워킹코일(20)들은 크기 및 배치에 따라서 일정한 패턴 없이 조리대(13) 하부에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30)는 워킹코일(20)들의 수에 따라 구분되는 조리대(13)의 일정영역(13a,13b,13c,13d)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일정영역(13a,13b,13c,13d)에 각각 배치된 온도센서(30)와 연결되는 복수의 열전달부재(40)는 그 영역(13a,13b,13c,13d)에 각각 배치된 워킹코일(20)의 수에 따라서 도 3a 내지 도 3d의 배치구조들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영역(13a,13b,13c,13d)은 워킹코일(20)의 수(2개 내지 4개)에 따라서 임의로 구획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한편, 이러한 열전달부재(40)의 배치구조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워킹코일(20) 및 온도센서(30)의 배치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온도센서가 비 접촉식 센서인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온도센서의 상부측에는 열전달부재(40)를 통해 전달된 열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열전달부재(40)의 각 단부가 연결되는 센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센서는 센싱부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의 양을 알아내고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복수의 워킹코일(20)측의 비 정상적인 온도 상승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센서를 구비한 유도가열조리기의 작동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는 전원부(60), 정류부(61), 평활부(63), 인버터부(65), 구동부(67), 워킹코일(20), 온도센서(30), 신호차단부(69)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61)는 전원부(60)를 통해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고, 이 정류된 맥동전압을 출력하는 브리지 다이오드로 구비될 수 있다.
평활부(63)는 정류부(61)에서 제공된 맥동전압을 평활하고, 이 평활하여 얻은 일정한 직류전압인 평활전압을 출력한다.
인버터부(65)는 정류부(61) 및 평활부(63)에서 정류 및 평활화된 전압을 인가받아 스위칭 구동됨에 따라 워킹코일(20)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한다.
구동부(67)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인버터부(65)의 스위칭 소자를 온 또는 오프시킨다.
온도센서(30)는 워킹코일(20)과 자기 결합하고 있는 피가열물(11)에 유도되는 기전력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물(11)의 온도를 검출한다.
신호차단부(69)는 온도센서(30)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부(67)로 전달되는 제어부(50)의 신호를 온/오프 시킨다. 이러한 신호차단부(69)는 전원이 인가되는 선로상에 휴즈로 구비되거나, 온도센서(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부(5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가 접지로 흐르게 함으로써 구동부(67)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워킹코일(2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원의 주파수 등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유도가열조리기는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인버터부(65)의 스위칭에 의해 고주파 전류가 워킹코일(20)에 인가된다.
인버터부(65)의 스위칭은 구동부(67)에 의해 조절되고, 구동부(67)는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워킹코일(20)에 인가되는 교번전류에 의해 워킹코일(20)에서는 자기장이 발생하고, 그 자기장에 의한 전자기 유도효과로 인해 조리대(13)상에 재치된 피가열물(11)에는 와전류가 유도되어 피가열물(11)은 가열되게 된다.
이때, 피가열물(11)이 비 정상적으로 가열되는 경우에는 워킹코일(20)의 발화나 내부 기기의 파손이 발생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도록 피가열물(1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0)의 측정온도에 따른 출력신호는 신호차단부(69)에 인가되고, 신호차단부(69)는 설정온도 이상의 경우 제어부(50)에서 구동부(67)로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차단하게 되어 제어부(50)의 제어없이 워킹코일(20)에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센서(30)는 복수의 워킹코일(20)의 개수만큼 필요로 하게 되나, 본 실시예의 온도센서(30)는 인접하는 워킹코일(20)측의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재(40)를 구비함에 따라 하나의 온도센서(30)를 통해 온도센서(30)와 인접하는 다수의 워킹코일(20)측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온도센서(30)의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온도센서(30)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공간 효율성은 더욱더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차단부에 의해 구동부에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차단하도록 구비하였으나, 신호차단부를 생략하고 제어부가 직접 구동부를 제어하여 워킹코일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온도센서는 유도가열장치의 온도가 비 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의 워킹코일(20)측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하였으나, 각각의 워킹코일(20)측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검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70)의 센싱부(71)는 단열벽(73)에 구획되며 센서소자(75)가 구비된 복수의 센싱영역(76,77,78,79)을 구비하고, 복수의 센싱영역(76,77,78,79)에는 온도센서(70)와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워킹코일(20)측 상부를 향해 각각 연장된 열전달부재(40)를 구비함으로써, 각 워킹코일(20)측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센서소자(75)는 백금측온저항체, 열전대(써머커플), 써미스터 등 다양한 소자를 온도 계측 상황에 적합하도록 가공 처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온도센서(70)는 피가열물(11)이 조리대(13)에 배치된 위치를 검출하거나, 피가열물(11)의 온도에 따른 화력 조절 또는 조리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센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하나의 온도센서를 통해 복수의 워킹코일(20)측의 온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 및 공간 효율성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10: 본체, 11: 피가열물,
13: 조리대, 20: 워킹코일,
30: 온도센서, 35: 센싱부,
40: 열전달부재, 50: 제어부,
65: 인버터부, 67: 구동부,
69: 신호차단부, 73: 단열벽,
75: 센서소자, 77: 센싱영역.

Claims (24)

  1. 피가열물이 올려지는 조리대;와,
    상기 조리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워킹코일 및 온도센서;와,
    상기 워킹코일의 열을 상기 온도센서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워킹코일에 일부분이 접촉하여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비자성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내부에 상변화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된 밀폐관을 구비한 히트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접촉식 온도센서 및 비 접촉식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은 그리드 또는 하니컴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은 상기 조리대의 하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복수개의 워킹코일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워킹코일을 향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온도센서와 인접하는 각각 하나의 워킹코일측 열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온도센서 주위에 배치된 둘 이상의 워킹코일측 열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센서소자를 감싸는 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센싱부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센싱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단열벽에 구획된 복수의 센싱 영역과, 상기 복수의 센싱 영역에 각각 구비된 센서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복수의 센싱 영역 일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13.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조리대와, 상기 조리대의 하방에 배치된 복수의 워킹코일과,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온도센서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센서소자를 감싸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의 일측에서 연장형성된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온도센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비자성체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온도센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는 상기 센싱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기의 온도센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는 히트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온도센서.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백금측은저항체, 열전대, 써미스터 및 IC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온도센서.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단열벽에 구획되며 상기 센서소자가 각각 마련된 복수의 센싱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복수의 센싱 영역 일측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의 온도센서.
  19.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피가열물이 재치되는 조리대;와,
    상기 피가열물을 가열하도록 상기 조리대의 하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워킹코일;과,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 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포함한 각 부분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피가열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 근방에 배치된 워킹코일들에 의해 가열되는 피가열물의 열을 상기 온도센서로 전달하도록 상기 온도센서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온도에 따른 출력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피가열물이 비 정상적 온도상승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인버터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는 신호를 온/오프 하는 신호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차단부는 상기 피가열물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22. 하나 이상의 일정영역을 포함하는 조리대;와,
    상기 일정영역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워킹코일 및 온도센서;와,
    상기 워킹코일의 열을 상기 온도센서로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코일은 상기 일정영역 하부에 상호 인접하여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일정영역 하부에 배치되는 워킹코일과 대응하는 개수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복수의 워킹코일을 향해 연장되는 열전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영역, 상기 워킹코일,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열전달부재는 상기 조리대 하부에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KR1020100072854A 2010-07-28 2010-07-28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KR10151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854A KR101513698B1 (ko) 2010-07-28 2010-07-28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US13/067,990 US9848462B2 (en) 2010-07-28 2011-07-13 Temperature sensor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EP11174076.7A EP2413659B1 (en) 2010-07-28 2011-07-15 Induction heating cooker having a temperature sensor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working coil or of an object to be heated
CN201110212593.4A CN102345886B (zh) 2010-07-28 2011-07-27 温度传感器和具有所述温度传感器的感应加热烹饪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854A KR101513698B1 (ko) 2010-07-28 2010-07-28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186A true KR20120011186A (ko) 2012-02-07
KR101513698B1 KR101513698B1 (ko) 2015-04-20

Family

ID=4467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854A KR101513698B1 (ko) 2010-07-28 2010-07-28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8462B2 (ko)
EP (1) EP2413659B1 (ko)
KR (1) KR101513698B1 (ko)
CN (1) CN10234588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56Y1 (ko) * 2016-08-25 2018-05-21 (주)신화셀렉스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WO2019221577A1 (ko) * 2018-05-16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5202B2 (en) 2011-05-20 2017-02-28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Induction-based food holding/warming system and method
EP2813129B1 (de) * 2012-02-10 2019-03-13 BSH Hausgeräte GmbH Induktionskochfeld mit induktorspulen-feld
EP2670211A3 (de) * 2012-05-31 2014-08-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vorrichtung
CN104221470B (zh) * 2012-10-22 2016-08-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WO2014203468A1 (ja) * 2013-06-18 2014-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US10638552B2 (en) 2013-12-11 2020-04-28 BSH Hausgeräte GmbH Stovetop device
WO2015096927A1 (en) * 2013-12-27 2015-07-02 Arcelik Anonim Sirketi An induction cooker, the safe utilization of which is provided
ES2544515B1 (es) * 2014-02-28 2016-06-09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Campo de cocción con varios elementos de calentamiento.
US20150373787A1 (en) * 2014-06-23 2015-12-24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mode temperature sensing
US20170071034A1 (en) * 2015-09-09 2017-03-09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Induction holding, warming, and cooking system having in-unit magnetic control
CN105867025B (zh) * 2016-06-01 2019-02-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
US10356853B2 (en) 2016-08-29 2019-07-16 Cooktek Induction Systems, Llc Infrared temperature sensing in induction cooking systems
KR102642315B1 (ko) * 2017-02-20 202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S2684518B1 (es) * 2017-03-30 2019-07-12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on
US11039508B2 (en) 2017-05-19 2021-06-15 Spring (U.S.A.) Corporation Induction range
US10993292B2 (en) * 2017-10-23 2021-04-27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an induction circuit
CN109041313A (zh) * 2018-08-13 2018-12-18 中山市雅乐思商住电器有限公司 一种感应加热炊具
CN112393282B (zh) * 2019-08-12 2023-04-2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USD1000206S1 (en) 2021-03-05 2023-10-03 Tramontina Teec S.A. Cooktop or portion thereof
USD1000205S1 (en) 2021-03-05 2023-10-03 Tramontina Teec S.A. Cooktop or por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0669B1 (fr) 1989-08-04 1993-10-29 Equipement Menager Cie Europ Dispositif de mesure de temperature pour appareil de cuisson a induction et appareil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5536918A (en) * 1991-08-16 1996-07-16 Tokyo Electron Sagami Kabushiki Kaisha Heat treatment apparatus utilizing flat heating elements for treating semiconductor wafers
DE4224405A1 (de) * 1992-03-14 1993-09-16 Ego Elektro Blanc & Fischer Induktive kochstellenbeheizung
JP3221325B2 (ja) 1996-08-28 2001-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FR2792158B1 (fr) * 1999-04-09 2001-05-18 Jaeger Regulation Foyer de cuisson par induction modulable a rayonnement reduit et procede de realisation
GB0116884D0 (en) 2001-07-11 2001-09-05 Ceramaspeed Ltd Temperature sensor assembly and radiant electric heater incorporating the same
US6894255B2 (en) 2002-03-22 2005-05-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duction heating apparatus
DE10353143A1 (de) * 2003-11-14 2005-07-21 Cranium Telemetrics Gmbh Implantat für eine intrakorporale, telemetrische Messung
DE102005005527A1 (de) 2005-01-31 2006-08-03 E.G.O. Elektro-Gerätebau GmbH Induktionsheizeinrichtung und Kochfeldmulde mit einer solchen Induktionsheizeinrichtung
KR100661226B1 (ko) 2005-12-02 200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의 부하 감지장치 및 방법
ES2325108B1 (es) * 2006-09-13 2010-06-01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Dispositivo de cocina.
ES2388805T3 (es) * 2007-08-13 2012-10-18 Panasonic Corporation Cocina d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TW201036493A (en) * 2009-03-20 2010-10-01 Delta Electronics Inc Electric device having electromagnetic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roing the same
EP2337426B1 (en) 2009-12-19 2014-08-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n induction hob with induction coils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s on the induction coi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56Y1 (ko) * 2016-08-25 2018-05-21 (주)신화셀렉스 전기레인지의 워킹코일 조립체
WO2019221577A1 (ko) * 2018-05-16 2019-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190131388A (ko) * 2018-05-16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어 하니스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3659B1 (en) 2014-01-29
CN102345886A (zh) 2012-02-08
KR101513698B1 (ko) 2015-04-20
EP2413659A1 (en) 2012-02-01
US9848462B2 (en) 2017-12-19
US20120024840A1 (en) 2012-02-02
CN102345886B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1186A (ko) 온도센서 및 이를 갖는 유도가열조리기
EP2911473B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US10856368B2 (en) Heating cooker system, inductive heating cooker, and electric apparatus
US8754351B2 (en) Induction cooking
KR102642315B1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S2617779T3 (es) Batería de cocina d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CN100449210C (zh) 一种可自动控温的电磁灶
CN201207144Y (zh) 电加热炊具的压力与温度测控装置
CN101485231B (zh) 能够检测烹饪物件温度的炉盘
CN102934517B (zh) 感应加热烹调器
JPH0658554A (ja) ガラスセラミックもしくは類似の材料から作製された加熱面における異常熱応力状態を指示する方法及び装置
CN101484053B (zh) 能够通过烹调板检测温度的烹饪物件
CN104170524A (zh) 感应加热烹调器
WO20131342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erature measurement during induction cooking
US20210259068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CN205664437U (zh) 一种电磁外加热悬浮装置
US20210259060A1 (en) Induction heating type cooktop for estimating temperature of thin film
GB2487739A (en) Water Bath Cooker
JP2007329025A (ja) 誘導加熱調理器
WO2015159353A1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5371479B (zh) 一种液体加热器的液位装置
CN109041313A (zh) 一种感应加热炊具
KR20220095898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2014839A (ja) 加熱調理器
JP5889092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