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734B1 -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734B1
KR102119734B1 KR1020190128035A KR20190128035A KR102119734B1 KR 102119734 B1 KR102119734 B1 KR 102119734B1 KR 1020190128035 A KR1020190128035 A KR 1020190128035A KR 20190128035 A KR20190128035 A KR 20190128035A KR 102119734 B1 KR102119734 B1 KR 10211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vessel
glass
heating element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병기
Original Assignee
몬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몬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몬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27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for wok pans and wok pans supports for induction cooking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를 안착하는 상판으로 세라믹글래스를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과 밀착성을 개선하여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조리용기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전기조리기기의 발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원 전달효율의 향상과 더불어 조리용기의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의 내부수용공간(12)을 갖는 렌지본체(10); 상기 내부수용공간(12) 내에 구비되며, 조리를 위한 열원을 갖는 발열체(20); 상기 발열체(20)의 상부수평면(21)은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보다 낮게 위치되게 하고, 상기 발열체(20)의 하부측은 렌지본체(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안착설치부재(16) 상에 고정되며, 상기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를 따라 밀착고정되어 발열체(20)가 구비된 내부수용공간(12)을 폐쇄시키는 상판글래스(30); 상기 발열체(20)의 중심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발열체(20)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상판글래스(30)를 통해 전도된 조리용기(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재(24); 상기 내부수용공간(12) 상에서 상판글래스(30)의 하부측에 인접하게 고정 구비되어 조리용기(2)의 바닥면(3)을 자력(磁力)으로 고정시키는 자성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Electric cooking equipment with postural stability of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를 안착하는 상판으로 세라믹글래스를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과 밀착성을 개선하여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조리용기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전기조리기기의 발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원 전달효율의 향상과 더불어 조리용기의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기는 유도 전류로 발생한 전류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음식을 조리하는 전자 유도 가열 방식의 인덕션 렌지와, 히터코일 방식의 하이라이트 렌지 등의 전기를 사용하는 조리기기를 통칭한다.
이러한 인덕션 렌지 또는 하이라이트 렌지 등의 전기조리기기는 연소 불꽃이 없으며, 타 전기 조리용기에 비하여 안전하며, 청소가 간편하고, 조리 온도가 정밀하여 기존의 간접 가열 방식에 의한 조리기에 비해 안정성과 전기의 낭비가 없는 고효율로 경제성을 가지며, 열을 발생함에 있어 가스 연소시와 같이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밀폐된 공간에서도 열을 얻을 수 있는 청정성을 갖는 미래형 전자 조리기구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조리기기는 조리시에 조리용기가 전기조리기기의 상판에서 쉽게 미끄러져 이탈되거나, 전기조리기기의 상판과 조리용기 사이에 발생된 공진으로 인해 조리시 조리용기가 상판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조리용기의 이탈 현상은 안전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잠재적 위험성이 있으므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공개특허 10-2013-004388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조리용기를 안착하는 상판으로 세라믹글래스를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과 밀착성을 개선하여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조리용기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전기조리기기의 발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원 전달효율의 향상과 더불어 조리용기의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의 내부수용공간(12)을 갖는 렌지본체(10); 상기 내부수용공간(12) 내에 구비되며, 조리를 위한 열원을 갖는 발열체(20); 상기 발열체(20)의 상부수평면(21)은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보다 낮게 위치되게 하고, 상기 발열체(20)의 하부측은 렌지본체(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안착설치부재(16) 상에 고정되며, 상기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를 따라 밀착고정되어 발열체(20)가 구비된 내부수용공간(12)을 폐쇄시키는 상판글래스(30); 상기 발열체(20)의 중심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발열체(20)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상판글래스(30)를 통해 전도된 조리용기(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재(24); 상기 내부수용공간(12) 상에서 상판글래스(30)의 하부측에 인접하게 고정 구비되어 조리용기(2)의 바닥면(3)을 자력(磁力)으로 고정시키는 자성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자성체(50)는 온도감지부재(24)의 상부면에 고정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상판글래스(30)의 중심측에서 조리용기(2)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20)의 테두리부(25) 외측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수평돌출되어 발열체(20)와 안착설치부재(16)의 상호간을 고정하는 플랜지(40)가 구비되고, 상기 자성체(50)는 상기 플랜지(40)의 상부측에 돌출 고정되어 조리용기(2)의 바닥면(3)을 자성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50)는 도넛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40)를 결합고정하는 체결부재(92)의 테두리외측에서 플랜지(40)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50)는 내부수용공간(12)의 바닥부 상에서 상판글래스(30)를 향해 설치된 기둥대(56)의 상단부에 고정구비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50)는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밀착고정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체(50)의 테두리외측에 돌턱부(54)를 형성하여 상기 돌턱부(54)에 의해 자성체(5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돌턱부(54) 내에 자성체(50)를 선택적으로 배치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글래스(30)의 테두리상부측에 조리용기(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재(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60)는 하단수평부(61)가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상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상판글래스(30)는 하단수평부(61)의 상부면 내측단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하단수평부(61)의 외측단에서 외측수직지지부(64)를 통해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상단수평부(62)는 상판글래스(30)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상단수평부(62)의 내측단에서 연장 하향된 내측수직지지부(63)는 상판글래스(30)의 테두리외주연에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수평부(61) 상에 테두리 내,외측으로 각각 관통조립공(84)을 형성하여 외측 관통조립공(84)에는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상에 형성된 돌출봉(82)을 삽입하여 렌지본체(10) 및 이탈방지부재(60)의 상호간에 지지되게 하고, 내측 관통조립공(84)에는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상에 형성된 돌출봉(82)을 삽입한 다음 상기 돌출봉(82)을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홈(86)에 삽입하여 렌지본체(10), 이탈방지부재(60) 및 상판글래스(30)의 상호간에 지지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용기를 안착하는 상판으로 세라믹글래스를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과 밀착성을 개선하여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조리용기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전기조리기기의 발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원 전달효율의 향상과 더불어 조리용기의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조리기기의 상판글래스 상에서 조리용기의 테두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의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면 예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성체의 실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실시예의 이탈방지턱 실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를 안착하는 상판으로 세라믹글래스를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과 밀착성을 개선하여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조리용기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전기조리기기의 발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원 전달효율의 향상과 더불어 조리용기의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보면 렌지본체(10), 발열체(20), 상판글래스(30), 온도감지부재(24) 및 자성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렌지본체(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의 내부수용공간(12)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렌지본체(10)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전기조리기기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렌지본체(10)는 전기를 사용하는 조리기기로서 인덕션 렌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그 외 하이라이트 렌지 등의 다양한 전기조리기기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수용공간(12) 내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조리를 위한 열원을 갖는 발열체(20)가 구비된다. 상기 발열체(20)는 일실시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인덕션 렌지와 같은 전자기유도 가열 구조의 원형 자기장코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미도시되었으나 하이라이트 렌지와 같은 히터코일 구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의 (a)에서와 같이 상기 발열체(20)의 상부수평면(21)은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보다 낮게 위치되게 하여 발열체(20)가 상판글래스(3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발열체(20)의 하부측은 렌지본체(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안착설치부재(16) 상에 고정되게 한다.
상기 발열체(20)는 조리용기(2)의 바닥면(3)이 주로 원형이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토록 하였으나, 조리용기(2)의 바닥면(3)이 다른 형태의 다각형 등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응되도록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상기 렌지본체(10) 및 테두리부(14) 또한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태로 형성된 것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를 따라 밀착고정되어 발열체(20)가 구비된 내부수용공간(12)을 폐쇄시키는 상판글래스(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상판글래스(30)는 세라믹재로 된 통상의 전기조리기기용 글래스가 사용된다.
상기 상판글래스(30)의 바람직한 설치 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발열체(20)의 중심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온도감지부재(24)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부재(24)는 발열체(20)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상판글래스(30)를 통해 전도된 조리용기(2)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밀착구비되는 것이며, 그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구리스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전기조리기기가 하이라이트 렌지인 경우에는 상기 상기 온도감지부재(24)의 위치에 하이라이트 열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글래스(30)의 중심측에 온도감지부재(24)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상판글래스(30)의 중심부측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전원 및 온도를 조절토록 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부재(24)에는 온도센서 및 온도퓨지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 및 온도퓨지가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온도감지 등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세라믹 상판글래스(30)를 적용한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기는 조리용기(2)를 안착하는 면이 매끄럽고, 특히 안착면에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는 조리용기(2)가 미끄러져 전기조리기기의 화구에서 벗어나 열손실 및 안전사고의 우려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성체(50)를 이용하여 상판글래스(30) 상에서 조리용기(2)가 자력(磁力)에 의해 위치 고정되도록 구현토록 한다.
이의 구현을 위해 상기 자성체(50)를 내부수용공간(12) 상에서 상판글래스(30)의 하부측에 인접하게 고정 구비되게 하여 조리용기(2)의 바닥면(3)을 자성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자성체(50)는 통상의 자석이나 전자석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석의 구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자성체(50)는 다양하게 배치되게 할 수 있는데, 이의 일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6의 (a)에서와 같이 자성체(50)를 온도감지부재(24)의 상부면에 고정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상판글래스(30)의 중심측에서 조리용기(2)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발열체(20)의 테두리부(25) 외측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수평돌출되어 발열체(20)와 안착설치부재(16)의 상호간을 고정하는 플랜지(40)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플랜지(40)의 상부측에 돌출 고정되어 조리용기(2)의 바닥면(3)을 자성으로 고정시키는 자성체(50)를 구비하여 상기 자성체(50)의 자력에 의해 상판글래스(30)의 상부면에 조리용기(2)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조리용기(2)의 미끌림을 방지하고, 상기 조리용기(2)가 상판글래스(30)의 중심측에 위치되어 발열체(20)에서 발생되어 조리용기(2)로 전달되는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의 변형실시예로서 상기 자성체(50)는 도 4에서와 같이 도넛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40)를 결합고정하는 체결부재(92)의 테두리외측에서 플랜지(40)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5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자성체(50)는 내부수용공간(12)의 바닥부 상에서 상판글래스(30)를 향해 설치된 기둥대(56)의 상단부에 고정구비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도 6의 (c)에서와 같이 상기 자성체(50)는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밀착고정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한 구성들에 의한 상기 자성체(50)의 테두리외측에 돌턱부(54)를 형성하여 상기 돌턱부(54)에 의해 자성체(5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돌턱부(54) 내에 자성체(50)를 선택적으로 배치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50)는 전기조리기기의 형태 및 크기, 구조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크기 및 모양으로 사용되어지며, 그 예로서 원형(원기둥형), 다각형(다각기둥형) 또는 도넛형(도넛기둥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글래스(30)의 테두리상부측에 조리용기(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재(6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60)는 상판글래스(30)의 테두리상부측에 돌출되도록 부착 또는 고정구조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게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9에서와 같이 하단수평부(61)가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상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상판글래스(30)는 하단수평부(61)의 상부면 내측단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하단수평부(61)의 외측단에서 외측수직지지부(64)를 통해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상단수평부(62)는 상판글래스(30)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상단수평부(62)의 내측단에서 연장 하향된 내측수직지지부(63)는 상판글래스(30)의 테두리외주연에 밀착지지되도록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하단수평부(61) 상에 테두리 내,외측으로 각각 관통조립공(84)을 형성하여 외측 관통조립공(84)에는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상에 형성된 돌출봉(82)을 삽입하여 렌지본체(10) 및 이탈방지부재(60)의 상호간에 지지되게 하고, 내측 관통조립공(84)에는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상에 형성된 돌출봉(82)을 삽입한 다음 상기 돌출봉(82)을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홈(86)에 삽입하여 렌지본체(10), 이탈방지부재(60) 및 상판글래스(30)의 상호간에 지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용기를 안착하는 상판으로 세라믹글래스를 구비한 전기조리기기에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과 밀착성을 개선하여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조리용기에 정확하게 전달하여 전기조리기기의 발열체로부터 발생하는 열원 전달효율의 향상과 더불어 조리용기의 미끌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조리용기 10 : 렌지본체
20 : 발열체 30 : 상판글래스
40 : 플랜지 50 : 자성체

Claims (10)

  1.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측이 개방된 상태의 내부수용공간(12)을 갖는 렌지본체(10);
    상기 내부수용공간(12) 내에 구비되며, 조리를 위한 열원을 갖는 발열체(20);
    상기 발열체(20)의 상부수평면(21)은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보다 낮게 위치되게 하고, 상기 발열체(20)의 하부측은 렌지본체(10)의 바닥면에 구비된 안착설치부재(16) 상에 고정되며,
    상기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를 따라 밀착고정되어 발열체(20)가 구비된 내부수용공간(12)을 폐쇄시키는 상판글래스(30);
    상기 발열체(20)의 중심 상부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발열체(20)에서 발생된 열에너지가 상판글래스(30)를 통해 전도된 조리용기(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재(24);
    상기 내부수용공간(12) 상에서 상판글래스(30)의 하부측에 인접하게 고정 구비되어 조리용기(2)의 바닥면(3)을 자력(磁力)으로 고정시키는 자성체(50);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20)의 테두리부(25) 외측으로 일정간격 다수개 수평돌출되어 발열체(20)와 안착설치부재(16)의 상호간을 고정하는 플랜지(40)가 구비되고, 상기 자성체(50)는 상기 플랜지(40)의 상부측에 돌출 고정되어 조리용기(2)의 바닥면(3)을 자성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하며,
    상기 자성체(50)는 도넛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40)를 결합고정하는 체결부재(92)의 테두리외측에서 플랜지(40)의 상부면에 밀착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판글래스(30)의 테두리상부측에 조리용기(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재(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50)는 내부수용공간(12)의 바닥부 상에서 상판글래스(30)를 향해 설치된 기둥대(56)의 상단부에 고정구비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50)는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밀착고정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7. 제1항,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50)의 테두리외측에 돌턱부(54)를 형성하여 상기 돌턱부(54)에 의해 자성체(50)의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돌턱부(54) 내에 자성체(50)를 선택적으로 배치 삽입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60)는 하단수평부(61)가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상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상판글래스(30)는 하단수평부(61)의 상부면 내측단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하단수평부(61)의 외측단에서 외측수직지지부(64)를 통해 내측으로 수평 연장된 상단수평부(62)는 상판글래스(30)의 상부면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상단수평부(62)의 내측단에서 연장 하향된 내측수직지지부(63)는 상판글래스(30)의 테두리외주연에 밀착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수평부(61) 상에 테두리 내,외측으로 각각 관통조립공(84)을 형성하여 외측 관통조립공(84)에는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상에 형성된 돌출봉(82)을 삽입하여 렌지본체(10) 및 이탈방지부재(60)의 상호간에 지지되게 하고, 내측 관통조립공(84)에는 렌지본체(10)의 테두리부(14) 상에 형성된 돌출봉(82)을 삽입한 다음 상기 돌출봉(82)을 상판글래스(3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홈(86)에 삽입하여 렌지본체(10), 이탈방지부재(60) 및 상판글래스(30)의 상호간에 지지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KR1020190128035A 2019-10-15 2019-10-15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KR10211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035A KR102119734B1 (ko) 2019-10-15 2019-10-15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035A KR102119734B1 (ko) 2019-10-15 2019-10-15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734B1 true KR102119734B1 (ko) 2020-06-16

Family

ID=7114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035A KR102119734B1 (ko) 2019-10-15 2019-10-15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7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348U (ja) * 2000-05-18 2000-11-24 恵▲雨▼ 頼 電気レンジ
KR20130043885A (ko) 2011-10-21 2013-05-02 주식회사 리홈 용기 이탈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인덕션 렌지
KR20140124106A (ko) * 2013-04-16 2014-10-24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101539957B1 (ko) * 2014-12-22 2015-07-29 이진성 전자파 차폐형 인덕션 조리기
KR101668226B1 (ko) * 2016-04-28 2016-10-21 유네스 주식회사 휴대용 인덕션
KR101877394B1 (ko) * 2017-02-01 2018-07-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리용기 고정 가능한 전기레인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348U (ja) * 2000-05-18 2000-11-24 恵▲雨▼ 頼 電気レンジ
KR20130043885A (ko) 2011-10-21 2013-05-02 주식회사 리홈 용기 이탈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인덕션 렌지
KR20140124106A (ko) * 2013-04-16 2014-10-24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101539957B1 (ko) * 2014-12-22 2015-07-29 이진성 전자파 차폐형 인덕션 조리기
KR101668226B1 (ko) * 2016-04-28 2016-10-21 유네스 주식회사 휴대용 인덕션
KR101877394B1 (ko) * 2017-02-01 2018-07-1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리용기 고정 가능한 전기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858B2 (en) Gas cooker
US20140124501A1 (en) Induction cooktop appliance
KR20150136893A (ko) 인덕션 조리기
US20050269314A1 (en) Magnetic safety feature for cookware and cooking stoves
KR20130062038A (ko) 음식물 보온용 가열장치
KR102119734B1 (ko) 조리용기의 자세 안정성을 구비한 전기조리기기
CN105832147A (zh) 一种多功能水壶
KR102166418B1 (ko) 인덕션 렌지용 스크래치 방지 패드
KR10148027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 용기
KR20130043885A (ko) 용기 이탈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인덕션 렌지
KR20100010593A (ko) 염가형 조리플레이트가 구비된 인덕션 조리기
US20080217317A1 (en) Cooking apparatus
JP6078415B2 (ja) 炊飯器
US2804535A (en) Magnetic heater unit
KR102063950B1 (ko) 돌솥 받침대
KR101916810B1 (ko) 언더 레인지용 불판
JP2005334351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鍋
EP2728265A1 (en) Induction range having improved durability by reducing heat transmission using an induction heating part
JP2008054956A (ja) 電気炊飯器
JP2015072845A (ja) 加熱調理器
KR101709568B1 (ko) 분리식 전기 조리기구
WO2010128721A1 (ko) 유도 가열기
KR101833013B1 (ko) 언더 레인지용 불판
US20230276541A1 (en) Cooking system with cooktop appliance and programmed magnet
KR101901762B1 (ko) 언더 레인지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