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74B1 -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74B1
KR101950774B1 KR1020147010979A KR20147010979A KR101950774B1 KR 101950774 B1 KR101950774 B1 KR 101950774B1 KR 1020147010979 A KR1020147010979 A KR 1020147010979A KR 20147010979 A KR20147010979 A KR 20147010979A KR 101950774 B1 KR101950774 B1 KR 10195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rim
wheel
attachment
ti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053A (ko
Inventor
다이스케 카네나리
야스히코 아라키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5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4Valve stem attachments positioned inside the tyre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2Connection to rims

Abstract

차량용 휠은 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림 험프, 및 림 험프의 꼭대기부로부터 휠 폭방향 내측에 있어서 휠 지름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림 경사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타이어가 장착됨으로써 림 험프가 면하는 타이어 공동 영역이 형성되는 림과, 관통홀에 삽입되는 타이어 밸브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있어서 타이어 밸브에 부착되고,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취득하는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 림 경사면과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사이에 설치된 부착구를 구비한다. 부착구의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의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最外端)은,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의 부착구와의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의 근방 혹은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VEHICLE WHEEL AND FIXTURE FOR TIRE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본 발명은 타이어 공동(空洞)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취득하는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를 가지는 차량용 휠 및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을 점검 관리하는 것이 타이어의 내구성 향상, 내마모성 향상, 연비 향상, 또는 승차감 향상, 심지어는 조종 성능 향상이라는 점에서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시하는 시스템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휠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 정보를 타이어 정보로서 취득하고, 그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를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함과 아울러,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타이어 각각의 타이어 정보를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시한다.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를 설치한 차량용 휠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S)는 림(R)의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하는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고, 림(R)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림 험프(rim hump)(R1)의 경사면을 관통하는 타이어 밸브(V)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하는 림(R)의 표면에는 타이어(T)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휠에서는, 타이어(T)가 림(R)으로부터 분리될 때, 타이어(T)는 림(R)의 표면을 따라 휠 폭방향(도 1 3(a)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T)가 림 험프(R1)에 얹힌 후에,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S)와 타이어 밸브(V)의 접속 부분에 형성된 오목 부분에 삽입했을 경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S)가 타이어(T), 특히 타이어(T)의 비드(bead)부 선단부의 이동 경로상에 간섭물로서 존재하게 되므로,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S)는 타이어(T)의 이동을 저지하려고 한다. 이 때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S)는, 타이어(T)와의 충돌시에 받는 충격 혹은 과도한 힘에 의해, 타이어 밸브(V)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하여, 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센서가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타이어 공기압 센서 부착 구조 및 타이어 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구체적으로는 타이어 휠의 림에 타이어 탈착시, 타이어 내주연(?周?)과의 접촉 간섭으로부터 센서를 보호하는 한 쌍의 보호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보호 부재는 림 원주 방향에 있어서 센서를 끼우도록 설치되고, 타이어 탈착시에 있어서의 타이어와 센서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7-19106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타이어 공기압 센서 부착 구조 및 타이어 휠은, 보호 부재가 림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사이즈가 각각 다른 복수의 타이어 공기압 센서를 이용해서 타이어 공기압 감시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림 표면에 있어서의 보호 부재의 위치가 공기압 센서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다. 이로 인해 공기압 센서의 사이즈에 맞춰서 림의 형상을 변경하는 가공 처리, 즉 타이어 휠을 별도로 제조할 필요성이 생기므로, 타이어 휠의 범용성이 떨어짐과 아울러, 타이어 휠의 제조 비용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타이어와의 접촉 간섭에 의해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가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차량용 휠이다.
상기 차량용 휠은 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림 험프, 및 상기 림 험프의 꼭대기부로부터 휠 폭방향 내측에 있어서 휠 지름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림 경사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타이어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타이어와의 사이에 상기 림 험프가 면하는 타이어 공동 영역이 형성되는 림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타이어 밸브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밸브에 부착되고,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취득하는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
상기 림 경사면과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사이에 설치된 부착구를 구비한다.
상기 부착구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휠 둘레 방향의 양측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개구부로부터 휠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 접촉하는 장치 접촉면과, 상기 림 경사면과 접촉하는 림 험프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는 상기 부착구와 접촉하는 부착구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장치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最外端)은, 상기 부착구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의 근방 혹은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림은 상기 림 경사면과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림 경사면에 대하여 휠 폭방향 내측, 또한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에 대하여 휠 지름 방향 내측에 마련된 접속면을 가지며,
상기 부착구는 상기 접속면에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림 험프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은, 상기 험프의 꼭대기부보다도 휠 지름 방향 내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및 상기 부착구의 어느 일방에, 타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볼록부를 마련하고,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및 상기 부착구의 어느 타방에, 상기 볼록부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림은 ISO4209-2에 준거하는 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이다.
상기 부착구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의 림 험프와, 상기 림 험프의 꼭대기부로부터 휠 폭방향 내측에 있어서 휠 지름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림 경사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가지는 림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타이어 밸브에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있어서 부착되며,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취득하는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부착구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휠 둘레 방향의 양측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개구부로부터 휠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 접촉하는 장치 접촉면과, 상기 림 경사면과 접촉하는 림 험프 접촉면,을 가진다.
상기 부착구가 상기 림과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사이에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이,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의 상기 부착구와 접촉하는 부착구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의 근방 혹은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는, 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타이어와의 접촉 간섭에 의해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가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개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휠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차량용 휠의 림에 타이어를 장착해서 이루어지는 타이어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차량용 휠에 설치된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A-A선에 따른 취득 장치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취득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감시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8(a), (b)는, 취득 장치가 타이어 밸브에 부착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9(a), (b)는, 부착구의 장치 접촉면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은 취득 장치 및 부착구의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c)는, 도 8에 나타낸 부착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a), (b)는, 도 8에 나타낸 부착구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a), (b)는, 타이어를 림으로부터 분리할 때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고 한다)은 차량(1)에 탑재되어 있다. 시스템은 차량(1)의 각 타이어(2a, 2b, 2c, 2d)(타이어(2a, 2b, 2c, 2d)를 종합하여 설명할 때, 타이어(2a, 2b, 2c, 2d)를 총칭하여 타이어(2)라고 한다)의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된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이하, 취득 장치라고 한다)(100a, 100b, 100c, 100d)와 감시 장치(200)를 가진다.
취득 장치(100a, 100b, 100c, 100d)의 각각은, 타이어(2)가 차량용 휠(10)(도 2에 도시)의 림(12)(도 2에 도시)에 장착되었을 때에 타이어(2)와 림(12)에 둘러싸여짐으로써 형성되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고, 이 타이어 정보를 감시 장치(200)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후, 취득 장치(100a, 100b, 100c, 100d)를 종합하여 설명할 때, 취득 장치(100a, 100b, 100c, 100d)를 총칭하여 취득 장치(100)라고 한다.
(차량용 휠의 구성)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차량용 휠의 림에 타이어를 장착해서 이루어지는 타이어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차량용 휠에 설치된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휠(이하, 휠이라고 한다)(10)은, 타이어(2)를 장착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림(12)과, 림(12)의 내주면에 접속되어 림(12)을 허브(도시 생략)에 연결하기 위한 디스크(14)와,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2)의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기 위한 타이어 밸브(20)와, 취득 장치(100)를 타이어 밸브(20)에 부착하기 위한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이하, 부착구라고 한다)(30)와, 취득 장치(100)를 가지고 있다.
림(1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 둘레 방향(도 2의 Y방향)을 따라 외주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림(1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림 플랜지(12a)와, 한 쌍의 비드 시트(12b)와, 림 험프(12c)와, 웰(12d)과, 접속면(12e)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림 플랜지(12a)는, 림(12)의 휠 폭방향(도 3의 X방향)양단의 각각에 있어서 휠 지름 방향(도 3의 Z방향)외측으로 연장한다. 한 쌍의 비드 시트(12b)는, 한 쌍의 림 플랜지(12a)에 대하여 휠 폭방향 중앙측에 접속되어 있다. 림 험프(12c)는, 한 쌍의 비드 시트(12b) 중 한쪽의 비드 시트(12b)에 대하여 휠 폭방향 중앙측에 접속되어 있다. 웰(12d)은, 한 쌍의 비드 시트(12b) 중 다른 쪽의 비드 시트(12b)와 림 험프(12c)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면(12e)은, 림 험프(12c)와 웰(12d) 사이의 림(1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림 플랜지(12a), 한 쌍의 비드 시트(12b), 림 험프(12c), 웰(12d) 및 접속면(12e)은, 각각 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휠 둘레 방향이란, 휠 회전축의 주위에 림(12)을 회전시켰을 때의 림(12)의 회전 방향을 말한다. 또한 휠 폭방향이란 휠 회전축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을 말하고, 휠 폭방향 중앙측이란 휠 폭방향에 있어서 휠(10)의 센터라인(CL)에 가까운 측을 말한다. 또한 휠 지름 방향이란 휠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하고, 휠 지름 방향 외측이란 휠 회전축으로부터 휠 지름 방향으로 이격되는 측을 말한다.
한 쌍의 비드 시트부(12b)에는 타이어(2)의 비드부(3)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림(12)의 외주면과 타이어(2)의 내주면 사이에 타이어 공동 영역이 형성되고, 림(12)의 외주면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하는 림 표면이 된다.
림 험프(12c)는 림(12)의 외주면에,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림 험프(12c)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 험프(12c)의 꼭대기부로부터 휠 폭방향 내측(도 4에 있어서 반X방향측)에 있어서 휠 지름 방향 내측(도 4에 있어서 반Z방향측)으로 경사지는 림 경사면(12f)을 가지고, 림 경사면(12f)에는 타이어 밸브(20)를 타이어 공동 영역에 삽입하는 관통홀(16)의 개구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면(12e)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 폭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림 험프(12c)의 림 경사면(12f)과 접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면(12e)은 림 경사면(12f)에 대하여 휠 폭방향 내측, 그리고 취득 장치(100)에 대하여 휠 지름 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트랙이나 버스용 림의 국제 규격인 ISO4209-2에는 본 실시형태의 림(12)과 마찬가지로, 림 험프의 꼭대기부로부터 휠 폭방향 내측에 있어서 휠 지름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림 경사면에, 타이어 밸브를 삽입하는 관통홀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점이 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부착구(30)를 이용하고, 또한 해당 규격에 준거하는 림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타이어(2)와의 접촉 간섭에 의해 취득 장치(100)가 림(12)으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타이어 밸브(20)는 통형 형상을 이루고, 타이어(2)의 외부로부터 타이어 공동 영역을 향해서 림(1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타이어 밸브(20) 선단측의 일부는 관통홀(16)을 통하여, 개구부(16a)로부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타이어 밸브(20)는 그 선단측의 일부가 타이어 공동 영역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림(12)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부착구(30)는 예를 들면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부착구(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 지름 방향(도 4의 Z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에 휠 폭방향(도 4의 X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부분을 가지는 대략 오목형 형상을 이루고, 림 험프(12c)의 림 경사면(12f)과 취득 장치(100) 사이에 개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부착구(30)는 취득 장치(100) 및 림 험프(12c)의 각각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30)는 취득 장치(100)에 면하는 부착구(30)의 표면에 장치 접촉면(30a)를 가지며, 림 험프(12c)에 면하는 부착구(30)의 표면에 림 경사면(12f)과 접촉하는 림 험프 접촉면(30b)을 가지고 있다. 장치 접촉면(30a)은 취득 장치(100)와 접촉하는 영역(30c)(도 9에 도시)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구(30)는 각각 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32) 및 제2부재(34)와, 제1부재(32)와 제2부재(34)를 휠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6)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36)는 제1부재(32) 및 제2부재(34) 각각의 휠 지름 방향 내측 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부재(32), 제2부재(34) 및 연결부(36)는, 동일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부재(32) 및 제2부재(34)의 각각을 서로 분리해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제1부재(32) 및 제2부재(34)를 동시에 제조하는 것에 의한 부착구(30)의 부착 용이성 및 제조 효율의 향상과, 2개 이상의 부품을 이용했을 때에 부품이 분실될 가능성의 저감과, 2개 이상의 부품을 선택할 때에 잘못된 부품을 선택할 가능성의 저감이란 관점에서, 제1부재(32), 제2부재(34) 및 연결부(36)를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착구(30)의 다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취득 장치의 구성)
취득 장치(100)는 타이어 공동 영역내에 배치되는 대략 육각 기둥 형상의 하우징(102)을 가지며, 부착구(30)을 개재시켜 림 경사면(12f)에 대하여, 휠 폭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2) 내의 림 경사면(12f)과의 대향면을 포함하는 부분은, 림 경사면(12f)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한 부분에는, 관통홀(16)의 개구부(16a)로부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 돌출한 타이어 밸브(20)의 선단측의 일부를 삽입해서 부착할 수 있는 밸브 부착홀(10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02)은 부착구(30)에 면하는 하우징(102)의 표면에 부착구 접촉면(102a)을 가지고 있다. 부착구 접촉면(102a)은 부착구(30)와 접촉하는 영역(후술함)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A-A선에 따른 하우징(102)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2)은 하우징(102)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106)를 가진다. 회로(106)는 기판(108)과, 기판(108)에 설치된 센서 유닛(110)과, 송신기(112)와, 처리 유닛(114)과, 전원부(116)와, 안테나(118)(도 6에 도시)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회로(106)를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120)이 마련되어 있다.
센서 유닛(110)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센서 유닛(110)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공기압을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한다. 또한 센서 유닛(110)은 공기압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면을 가지며, 센서면은 내부 공간(120)에 면하고 있다.
하우징(102)에는,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120)과 타이어 공동 영역 사이를 연통하는 통기홀(122)이 하우징(102)의 벽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통기홀(122)이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한 하우징(102)의 표면에는, 통기홀(122)의 외측 개구부(122a)가 마련되어 있다. 즉, 외측 개구부(122a)는 타이어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한편, 통기홀(122)이 내부 공간(120)에 면한 하우징(102)의 표면에는, 통기홀(122)의 내측 개구부(122b)가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102)의 벽으로 덮이는 내측의 영역에는, 내부 공간(120)을 남기고 밀봉 수지(124)가 내부 부재로서 충전되어 있다. 즉, 내부 공간(120)은 하우징(102)의 벽면과 하우징(102)에 설치된 내부 부재의 내벽에 의해,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다. 또한 내부 공간(120)은 하우징(102)의 벽으로 덮이는 내측의 영역보다 좁다.
또한 내부 공간(120)의 벽면의 적어도 하나는 밀봉 수지(124)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내부 부재는 밀봉 수지(124)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 부재로서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 수지재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취득 장치(100)의 회로 구성도이다.
센서 유닛(110)은 공기압 센서(110a)와 A/D 변환기(110b)를 가진다. 공기압 센서(110 a)는 하우징(102) 내의 내부 공간(120)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압력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내부 공간(120)은 통기홀(122)을 통해 타이어 공동 영역과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압 센서(110a)는 타이어 공동 영역의 공기압을 감지할 수 있다.
A/D 변환기(110 b)는 공기압 센서(110 a) 로부터 출력된 압력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압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처리 유닛(114)은 중앙처리부(114 a)와 기억부(114 b)를 구비한다. 중앙처리부(114 a)는 기억부(114 b)의 반도체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중앙처리부(114a)는 전력이 공급되어 구동되면,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압력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간격, 예를 들면 5분 마다, 송신기(112)를 통해 감시 장치(200)에 공기압 정보인 압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기억부(114b)에는 취득 장치(100)에 고유한 식별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으며, 중앙처리부(114a)는 압력 데이터와 함께 식별 정보를 감시 장치(2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기억부(114b)는 중앙처리부(114a)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과, 예를 들면 EEPROM 등의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다. 취득 장치(100)의 고유한 식별 정보는, 기억부(114b)의 재기록 불가 영역에 기억되어 있다.
송신기(112)는 발진회로(112 a), 변조회로(112 b), 및 증폭회로(112 c) 를 구비한다.
발진회로(112 a)는 반송파 신호, 예를 들면 315 MHz 대 주파수의 RF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회로(112b)는 중앙처리부(114a)로부터 보내진 압력 데이터와 취득 장치(100)에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반송파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 방식은 진폭 편이 변조(ASK), 주파수 변조(FM), 주파수 편이 변조(FSK), 위상 변조(PM), 위상 편이 변조(PSK)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증폭회로(112c)는 변조회로(112b)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송신 신호는 안테나(118)를 통해 감시 장치(200)에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원부(116)는 예를 들면 이차 배터리가 이용되고, 센서 유닛(110)과, 송신기(112)와, 처리 유닛(114)에 전력을 공급한다.
(감시 장치의 구성)
도 7은, 감시 장치(200)의 회로 구성도이다.
감시 장치(200)는 예를 들면 차량(1)의 운전석의 위치에 배치되어, 운전자에게 공기압 정보를 통지한다. 감시 장치(200)는 안테나(202)와, 수신부(204)와, 수신 버퍼(206)와, 중앙처리부(208)와, 기억부(210)와, 조작부(212)와, 스위치(214)와, 표시 제어부(216)와, 표시부(218)와, 전원부(220)를 가진다.
안테나(202)는 취득 장치(100)의 송신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정합되고, 수신부(204)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부(204)는 취득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소정 주파수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처리를 하여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들 데이터는 수신 버퍼(206)에 출력된다.
수신 버퍼(206)는 수신부(204)로부터 출력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격납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는, 중앙처리부(20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중앙처리부(208)에 출력된다.
중앙처리부(208)는 주로 CPU로 구성되며, 기억부(21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중앙처리부(208)는 수신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마다 타이어(2a 내지 2d)의 공기압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이어(2a 내지 2d)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타이어의 이상 유무를 판정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공기압이 이상하게 낮아지거나 혹은 단시간에 급격히 저하되어, 타이어가 펑크 나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중앙처리부(208)는 판정 결과를 표시제어부(216)에 출력하고, 표시제어부(216)를 통해 판정 결과를 표시부(218)에 출력시킨다.
또한 중앙처리부(208)는 조작부(212)로부터의 정보나 스위치(214)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취득 장치(100)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 등의 초기 설정을 실시한다. 또한 조작부(212)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중앙처리부(208)에 있어서 타이어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기억부(210)는 중앙처리부(208)의 CPU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ROM과 EEP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다. 이 기억부(210)에는, 제조 단계에서 취득 장치(100)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취득 장치(100)와 감시 장치(200)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통신 방식 테이블에는 취득 장치(100) 각각의 고유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 전송 비트율, 데이터 포맷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조작부(212)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자유로이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조작부(212)는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각종 정보나 조건을 입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스위치(214)는 초기 설정의 시작을 중앙처리부(208)에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표시제어부(216)는 중앙처리부(208)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따라, 타이어(2a 내지 2d)의 장착 위치에 대응시켜 타이어의 공기압을 표시부(218)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표시제어부(216)는, 타이어가 펑크 상태에 있다는 판정 결과도 표시부(218)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전원부(220)는 차량(1)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감시 장치(200)의 각 부분에 적정한 전압으로 제어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원 라인을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에 이용되는 취득 장치(100)와 감시 장치(200)는 구성된다.
(휠의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휠(1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b)는,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 밸브(20)에 부착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 장치(100)는 하우징(102) 내의 림 경사면(12f)을 향해서 돌출하는 부분을, 부착구(30)의 제1부재(32)와 제2부재(34)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함으로써 부착구(30)에 부착된다. 또한 취득 장치(100)는, 타이어 밸브(20)의 선단측의 일부가, 부착구(30)의 오목한 부분을 통해서 하우징(102)의 부착홀(104)에 삽입됨으로써, 타이어 밸브(20)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부착구(30)의 림 험프 접촉면(30b)과, 림 험프(12c)와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득 장치(100)가 부착구(30)를 매개로 하여 타이어 밸브(20)에 부착될 때, 부착구(30)의 림 험프 접촉면(30b)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은, 림 험프(12c)의 꼭대기부보다도 휠 지름 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림 험프(12c)의 꼭대기부는, 림 험프 접촉면(30b)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에 대하여 휠 지름 방향 외측에 거리 T (T>0) 이격된 위치에 존재한다. 예를 들면, 림 험프 접촉면(30b)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이 림 험프(12c)의 꼭대기부보다도 휠 지름 방향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이어(2)의 비드부(3)의 이동 경로상에 림 험프 접촉면(30b)이 림 험프(12c) 보다 높게 돌출한다. 이러한 경우 부착구(30)는 타이어(2)의 비드부(3)의 이동 경로상에 있어서, 비드부(3)의 간섭물이 된다. 여기에서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 타이어(2)의 비드부(3)가 림 험프 접촉면(30b)에 충돌함으로써, 부착구(30) 및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와의 충돌시에 받는 충격 혹은 과도한 힘에 의해, 타이어 밸브(20)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림 험프 접촉면(30b)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을 림 험프(12c)의 꼭대기부보다도 휠 지름 방향 내측에 마련함으로써, 타이어(2)의 비드부(3)의 이동 경로상에 림 험프 접촉면(30b)이 림 험프(12c) 보다 높게 돌출하는 일이 없다. 즉, 부착구(30)는 타이어(2)의 비드부(3)의 이동 경로상에 있어서, 비드부(3)의 간섭물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 타이어(2)의 비드부(3)가 림 험프 접촉면(30b)에 충돌하는 일이 없으므로, 부착구(30) 및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와의 충돌시에 받는 충격 혹은 과도한 힘에 의해 타이어 밸브(20)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착구(30)의 바닥면, 즉 부착구(30)의 표면 중 휠 지름 방향 내측의 표면은, 림(12)의 접속면(12e)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착구(30)의 바닥부를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타이어(2)의 비드부(3)가 부착구(30)에 얹혔을 때, 타이어(2)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부착구(30)가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부착구(30)의 장치 접촉면(30a)과, 취득 장치(100)의 부착구 접촉면(102a)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a), (b)는, 부착구(30)의 장치 접촉면(30a)을 설명하는 도이다.
취득 장치(100)가 부착구(30)에 부착되었을 때,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30)의 장치 접촉면(30a)은 영역(30c)(도 9(a), (b)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냄)에 있어서, 취득 장치(100)의 부착구 접촉면(102a)(도9(a), (b)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냄)과 접촉한다. 한편 취득 장치(100)의 부착구 접촉면(102a)은, 영역(30c)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 부착구(30)와 접촉한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접촉면(30a)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1은, 휠 지름 방향에 있어서, 부착구 접촉면(102a)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2의 근방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 휠 지름 방향에 있어서 근방의 위치란, 휠 지름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만 한정되지 않고,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의 비드부(3)의 간섭물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휠 지름 방향 내측의 위치도 포함된다. 즉,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의 비드부(3)의 간섭물이 되지 않으면, 부착구 접촉면(102a)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2를, 장치 접촉면(30a)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1보다도 휠 지름 방향 외측의 위치(예를 들면,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3mm 정도의 위치)에 마련할 수도 있고, 바꾸어 말하면, 취득 장치(100)를 타이어(2)의 비드부(3)의 이동 경로상에 돌출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즉,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2의 근방의 위치란,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2보다도 휠 지름 방향 내측으로 3mm로부터 외측으로 3mm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장치 접촉면(30a)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1의 휠 지름 방향의 위치는, 부착구 접촉면(102a)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2보다도 휠 지름 방향 내측으로 3mm정도의 위치에서부터, 림 험프(12c)의 꼭대기부보다도 휠 지름 방향 내측까지의 위치이다. 또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접촉면(30a)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1은, 휠 지름 방향에 있어서, 부착구 접촉면(102a)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 E2의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취득 장치(100)가 부착구(30)보다도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크게 돌출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 타이어(2)의 비드부(3)의 이동 경로상에 있어서 취득 장치(100)가 비드부(3)의 간섭물이 되지 않으므로, 타이어(2)의 비드부(3)가 취득 장치(100)의 부착구 접촉면(102a)에 충돌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와의 충돌시에 받는 충격 혹은 과도한 힘에 의해 타이어 밸브(20)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취득 장치(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부착구(30)를 사용함으로써,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 밸브(20)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종래와 같이 취득 장치(100)의 사이즈에 맞춰서 림(12)의 형상 변경 등을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휠(10)의 범용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휠(10)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10은, 취득 장치(100) 및 부착구(30)의 평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30)가 취득 장치(100)와 타이어 밸브(20)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경우, 제1부재(32) 및 제2부재(34)는, 관통공(16)의 중심축(도 10의 일점쇄선 C)을 기준으로 하여 휠 둘레 방향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관통공(1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휠 둘레 방향의 한쪽 측에만 부착구(30)를 설치했을 경우, 관통공(1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휠 둘레 방향의 다른쪽 측에는, 림 경사면(12f)과 취득 장치(100) 사이에 휠 폭방향의 간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타이어(2)의 비드부(3)가 상기 간격에 들어가서 취득 장치(100)에 충돌함으로써,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와의 충돌시에 받는 충격 혹은 과도한 힘에 의해 타이어 밸브(20)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부재(32) 및 제2부재(34)를, 관통공(1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휠 둘레 방향의 양측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림 경사면(12f)과 취득 장치(100) 사이에 형성되는 휠 폭방향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타이어(2)의 비드부(3)가 간격에 들어가서 취득 장치(100)에 충돌함으로써,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 밸브(20)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32) 및 제2부재(34)는, 관통공(16)의 개구부(16a)로부터 휠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림 경사면(12f)과 취득 장치(100) 사이에 형성되는 휠 폭방향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30)의 폭 W1은, 취득 장치(100)의 폭을 W2로 했을 때, 바람직하게는 0.5×W2 이상 1.5×W2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6×W2 이상 1.0×W2 이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휠(10) 및 부착구(30)에 의하면,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의 비드부(3)의 이동 경로상에서 간섭하지 않으므로, 타이어(2)의 비드부(3)가 취득 장치(100)에 충돌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와의 충돌시에 받는 충격 혹은 과도한 힘에 의해 타이어 밸브(20)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취득 장치(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부착구(30)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취득 장치(100)의 사이즈에 맞춰서 림(12)의 형상 변경의 가공 처리 등을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휠(10)의 범용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휠(10)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1)
다음으로 도 11(a) 내지 (c)를 참조하여, 도 8에 나타낸 부착구(30)와 다른 부착구(30)의 예(변형예 1)를 설명한다.
부착구(30)의 윗면, 즉 휠 지름 방향 외측의 표면은,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림 경사면(12f)으로부터 취득 장치(100)를 향해서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a), (b)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의 비드부(3)의 이동 경로상에 간섭물로서 존재하여, 비드부(3)의 이동을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타이어(2)와 충돌함으로써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 밸브(20)로부터 빠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30)의 연결부(36)를 취득 장치(100)의 바닥면과 접속면(12e) 사이에 개재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취득 장치(100)를 연결부(36)에 의해 지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타이어(2)를 림으로부터 분리할 때, 타이어(2)의 비드부(3)가 취득 장치(100)에 얹혔을 때에, 취득 장치(100)가 타이어(2)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휠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12는,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 기타의 부착구(30)의 예(변형예 2)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부착구(30)가 상기 실시형태의 부착구(30)와 다른 점은, 취득 장치(100)에 마련된 오목부(126)에 대하여 휠 폭방향으로 맞물리는 볼록부(38)가, 부착구(30)에 마련되어 있는 점에 있다.
부착구(30)와 취득 장치(100)를 휠 폭방향으로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타이어 굴림중에, 부착구(30)가 원심력에 의해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타이어(2)를 림(12)으로부터 분리할 경우에, 타이어(2)가 부착구(30)에 얹혔을 때, 부착구(30)가 타이어(2)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휠 지름 방향 내측에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a), (b)는, 도 8에 나타낸 부착구(30)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a)는 취득 장치(100) 및 부착구(30)의 측면도이며, 도 12(b)는 부착구(30)를 취득 장치(100)에 맞물렸을 때의 취득 장치(100) 및 부착구(30)의 측면도이다.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30)의 장치 접촉면(30a)에는, 취득 장치(100)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볼록부(38)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취득 장치(100)의 부착구 접촉면(102a)에는, 볼록부(38)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오목부(12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구(30)의 볼록부(38)가 취득 장치(100)의 오목부(126)에 대하여 휠 폭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취득 장치(100)가 부착구(30)에 부착되면, 부착구(30)의 휠 지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부착구(30)의 장치 접촉면(30a)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상기 오목부와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된 볼록부를 취득 장치(100)의 부착구 접촉면(102a)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볼록부 및 오목부의 형상은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이나 변경을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차량
2, 2a, 2b, 2c, 2d: 타이어
10: 차량용 휠
12: 림
12c: 림 험프(rim hump)
12e: 접속면
12f: 림 경사면
16: 관통홀
16a: 개구부
20: 타이어 밸브
30: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
30a: 장치 접촉면
30b: 림 접촉면
30c: 영역
32: 제1부재
34: 제2부재
36: 연결부
100, 100a, 100b, 100c, 100d: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102: 하우징
102a: 부착구 접촉면
104: 부착홀
110: 센서 유닛
112: 송신기
120: 내부 공간
122: 통기홀
122a: 외측 개구부
122b: 내측 개구부
200: 감시 장치

Claims (8)

  1. 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림 험프, 및 상기 림 험프의 꼭대기부로부터 휠 폭방향 내측에 있어서 휠 지름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림 경사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타이어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타이어와의 사이에 상기 림 험프가 면하는 타이어 공동 영역이 형성되는 림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타이어 밸브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밸브에 부착되고,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취득하는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
    상기 림 경사면과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사이에 설치된 부착구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구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휠 둘레 방향의 양측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개구부로부터 휠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 접촉하는 장치 접촉면과, 상기 림 경사면과 접촉하는 림 험프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는 상기 부착구와 접촉하는 부착구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장치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最外端)은, 휠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의 근방 혹은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은 상기 림 경사면과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림 경사면에 대하여 휠 폭방향 내측, 또한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에 대하여 휠 지름 방향 내측에 마련된 접속면을 가지며,
    상기 부착구는 상기 접속면에 접촉되어 있는, 차량용 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림 험프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은, 상기 험프의 꼭대기부보다도 휠 지름 방향 내측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차량용 휠.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휠.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및 상기 부착구의 어느 일방에, 타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볼록부를 마련하고,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및 상기 부착구의 어느 타방에, 상기 볼록부와 맞물리는 오목부를 마련한, 차량용 휠.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림은, ISO4209-2에 준거하는 림인, 차량용 휠.
  8.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로서,
    상기 부착구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하는 표면에 형성되고, 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휠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형상의 림 험프와, 상기 림 험프의 꼭대기부로부터 휠 폭방향 내측에 있어서 휠 지름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림 경사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가지는 림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타이어 밸브에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있어서 부착되며,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취득하는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부착구는 상기 관통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휠 둘레 방향의 양측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개구부로부터 휠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와 접촉하는 장치 접촉면과, 상기 림 경사면과 접촉하는 림 험프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부착구가 상기 림과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 사이에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이, 상기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의 상기 부착구와 접촉하는 부착구 접촉면의 휠 지름 방향 최외단의 근방 혹은 외측의 위치에 마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
KR1020147010979A 2011-11-22 2012-11-16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 KR101950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4714 2011-11-22
JPJP-P-2011-254714 2011-11-22
PCT/JP2012/007379 WO2013076946A1 (ja) 2011-11-22 2012-11-16 車両用ホイール及びタイヤ情報取得装置用の取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053A KR20140095053A (ko) 2014-07-31
KR101950774B1 true KR101950774B1 (ko) 2019-02-21

Family

ID=4846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979A KR101950774B1 (ko) 2011-11-22 2012-11-16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17666B2 (ko)
JP (1) JP5423908B2 (ko)
KR (1) KR101950774B1 (ko)
CN (1) CN103946040B (ko)
DE (1) DE112012004864B4 (ko)
WO (1) WO20130769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4334B2 (ja) * 2014-11-28 2019-10-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故障部位予測システム及びタイヤ故障部位予測方法
US11250378B2 (en) * 2017-08-22 2022-02-15 Bridgestone Corporation Aircraft tire management system, aircraft tire management device, and aircraft tire program
KR101965964B1 (ko) 2017-08-31 2019-04-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와 휠 사이의 접촉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JP7087491B2 (ja) * 2018-01-18 2022-06-2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情報取得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222A (ja) * 2006-06-22 2008-01-10 Superstar:Kk ホイール、エアーバルブ、並びに空気圧センサの移設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116A (ja) * 1995-03-07 1996-09-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5844131A (en) 1995-06-26 1998-12-01 Alligator Ventilfabrik Gmbh Tire pressure sensor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of a vehicle
DE19626145A1 (de) * 1996-07-01 1998-01-08 Continental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Elektronikmodul
CN1085971C (zh) * 1999-05-13 2002-06-05 黄腾颐 隐藏式胎压检测器电源体安装装置
DE10131411A1 (de) * 2001-06-26 2003-02-20 Beru Ag Rad für Fahrzeuge mit Luftreifen und Anordnung aus einem Ventil, einer Vorrichtung zum Messen des Reifendruckes und einer sie im Luftreifen haltenden Feder
US6959597B2 (en) 2002-08-01 2005-11-01 Pacific Industrial Co., Ltd. Transmitter for tire state monitoring apparatus
JP3914481B2 (ja) * 2002-08-01 2007-05-16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タイヤ状態監視装置の送信機
DE10252127A1 (de) * 2002-11-04 2004-05-27 Beru Ag Rad für Fahrzeuge mit Luftreifen und mit einer Vorrichtung zum Messen des Reifendruckes
JP4816095B2 (ja) 2006-01-20 2011-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センサ取付構造およびタイヤホイール
US7568386B2 (en) * 2006-02-02 2009-08-04 Trw Automotive U.S. Llc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allowing for relative movement between a pressure transducer and a valve stem
FR2907048B1 (fr) * 2006-10-16 2014-05-02 Siemens Vdo Automotive Unite electronique de mesure de parametres de fonctionnement d'une roue de vehicule.
JP2008120125A (ja) * 2006-11-08 2008-05-29 Bridgestone Corp タイヤ内圧警報装置及びそれに含まれる固定金具
DE602007005518D1 (de) * 2006-11-09 2010-05-06 Michelin Rech Tech Reifenventilbefestigungselement
CN200988401Y (zh) * 2006-11-29 2007-12-12 上海保隆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级可调胎压监测传感器信号盒的组合装置
JP4460593B2 (ja) * 2007-09-19 2010-05-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JP5305647B2 (ja) * 2007-12-26 2013-10-02 コンティネンタル オートモーティヴ フランス 車輪の動作パラメータを測定するための電子ユニット
WO2011030405A1 (ja) * 2009-09-09 2011-03-17 中央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ホイ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222A (ja) * 2006-06-22 2008-01-10 Superstar:Kk ホイール、エアーバルブ、並びに空気圧センサの移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17666B2 (en) 2016-12-13
DE112012004864T5 (de) 2014-08-28
CN103946040B (zh) 2017-04-26
KR20140095053A (ko) 2014-07-31
CN103946040A (zh) 2014-07-23
DE112012004864B4 (de) 2020-06-18
WO2013076946A1 (ja) 2013-05-30
JPWO2013076946A1 (ja) 2015-04-27
US20140311232A1 (en) 2014-10-23
JP5423908B2 (ja)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778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ire condition and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KR101950774B1 (ko)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
EP2521658B1 (e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ire information and tire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JP5761381B2 (ja) 送信装置、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タイヤ組立体
KR101943830B1 (ko)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
KR101637313B1 (ko)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658977B1 (ko)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정보 감시 시스템
JP4623228B1 (ja)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5691275B2 (ja)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5434881B2 (ja)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5673308B2 (ja) タイヤ状態取得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