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313B1 -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313B1
KR101637313B1 KR1020157000467A KR20157000467A KR101637313B1 KR 101637313 B1 KR101637313 B1 KR 101637313B1 KR 1020157000467 A KR1020157000467 A KR 1020157000467A KR 20157000467 A KR20157000467 A KR 20157000467A KR 101637313 B1 KR101637313 B1 KR 101637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ire
opening
sens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789A (ko
Inventor
다이스케 카네나리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4Valve stem attachments positioned inside the tyre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3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for attachment on the ty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타이어 공동(空洞)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에 의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와 상기 송신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를 가진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벽을 관통하고, 상기 센서의 센서 검출면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가진다. 상기 관통 구멍의 외측 개구부(開口部)의 면적은, 0.8mm2 이하이고, 상기 센서 검출면은, 공간을 두는 것 없이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케이스 내측의 내측 개구부에 면하고 있다. 상기 관통 구멍의 길이인 거리 h(mm)는, 3 ~ 15mm이고, 상기 관통 구멍의 체적 V(mm3)에 대한 상기 관통 구멍의 측벽의 면적 A(mm2)의 비율 A/V는, 3.0 ~ 30.0mm-1이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TRANSMISSION DEVICE AND TIRE STAT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타이어 공동(空洞)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이 송신 장치를 이용한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차량에 장착된 공기입 타이어(이후, 단지 타이어라고 한다)의 공기압을 점검 관리하는 것이, 타이어의 내구성 향상, 내마모성(耐摩耗性) 향상, 연비의 향상, 혹은, 승차감의 향상, 나아가서는, 조종 성능의 향상의 점에서 요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시하는 시스템이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륜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의 정보를 검출하고, 그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를 각 차륜의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하는 것과 함께, 각 타이어의 공기압의 정보를 송신 장치로부터 취득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시한다.
예를 들어, 펑크 수리액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수리하여도, 타이어의 공기압 정보 등의 타이어 정보를 적절히 계측하고 취득할 수 있는 송신 장치 및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구체적으로는, 당해 송신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한 타이어 정보를 무선에 의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 및 상기 송신기를 덮는 케이스를 가진다. 케이스의 표면에,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의 사이를 접속하는 개구부(開口部)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는,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의 정부(頂部)에 설치된다. 돌출부의 높이는 1mm 이상이고, 관통 구멍의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0.4mm2 이하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105083호
예를 들어, 타이어가 펑크났을 때, 타이어와 림에 의하여 끼워진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주입하는 펑크 수리액이 이용된다. 그러나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개구부는, 케이스의 표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의 정부에 설치되고, 또한, 돌출부의 높이는 1mm 이상이기 때문에,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된 송신 장치에 펑크 수리액이 부착하여도, 돌출부의 정부에 부착하기 어렵다. 나아가, 개구부의 면적도 작기 때문에, 통기 구멍을 막아, 공기압의 계측에 영향을 준다고 하는 문제는 없다고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송신 장치와는 다른 형태의 송신 장치이고, 펑크 수리액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수리하여도, 타이어 공동 영역과 송신 장치의 사이를 접속하는 케이스에 설치된 관통 구멍(통기 구멍)을 펑크 수리액이 막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송신 장치, 및 본 송신 장치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는 타이어 정보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이다. 당해 송신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에 의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와 상기 송신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를 가진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벽을 관통하고, 상기 센서의 센서 검출면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가진다.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 측의 개구부를 외측 개구부라고 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센서 검출면 측의 개구부를 내측 개구부라고 할 때,
상기 외측 개구부의 면적은, 0.8mm2 이하이고,
상기 센서 검출면은, 공간을 두는 것 없이 상기 내측 개구부와 접하고 있다. 상기 관통 구멍의 측벽의 면적을 A(mm2)로 하고,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관통 구멍의 체적을 V(mm3)로 하고,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의 사이의, 상기 센서 검출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를 h(mm)로 하였을 때, 상기 거리 h(mm)는, 3 ~ 15mm이고, 상기 체적 V(mm3)에 대한 면적 A(mm2)의 비율 A/V는, 3.0 ~ 30.0mm-1이다.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외측 개구부를, 상기 센서 검출면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상기 센서 검출면을 포함하는 평면 상(上)에 투영하였을 때,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외측 개구부는, 상기 센서 검출면의 중심 위치와, 상기 외측 개구부의 중심의 투영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 멀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외측 개구부의 영역의 투영 위치는, 모두 상기 센서 검출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내측 개구부의 면적에 비하여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센서의 센서 검출면에 평행한 면으로 상기 관통 구멍을 절단하였을 때의 상기 관통 구멍의 단면의 면적의,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를 향하는 구멍 깊이 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증가를 나타내는 확대율이,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를 향하는 도중에서 최대로 되는 구멍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관통 구멍을 둘러싸는 측벽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를 따라 요철 형상으로 꺾인 벽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벽 형상의 요철의 깊이는,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깊어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의 센서 검출면에 평행한 면으로 상기 관통 구멍을 절단하였을 때의 상기 관통 구멍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개구부의 둘레 길이는, 예를 들어, 상기 외측 개구부의 둘레 길이의 3 ~ 3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이다. 당해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은,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와, 감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에 의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와 상기 송신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를 가진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감시부는, 상기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보지(報知)한다.
상기 송신 장치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벽을 관통하고, 상기 센서의 센서 검출면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 측의 개구부를 외측 개구부라고 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센서 검출면 측의 개구부를 내측 개구부라고 할 때, 상기 외측 개구부의 면적은, 0.8mm2 이하이고, 상기 센서 검출면은, 공간을 두는 것 없이 상기 내측 개구부에 접하고 있다. 나아가, 상기 관통 구멍의 측벽의 면적을 A(mm2)로 하고,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관통 구멍의 체적을 V(mm3)로 하고,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의 사이의, 상기 센서 검출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를 h(mm)로 하였을 때, 상기 거리 h(mm)는, 3 ~ 15mm이고, 상기 면적 A(mm2)에 대한 상기 체적 V(mm3)의 비율은, 3.0 ~ 30.0mm-1이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펑크 수리액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수리하여도 펑크 수리액이 통기 구멍을 막기 어렵다. 이 때문에, 여전히 타이어의 공기압 정보 등의 타이어 정보를 적절히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인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송신 장치가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고정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송신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A-A선을 따른 송신 장치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송신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송신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7(a), (b)는, 관통 구멍의 형상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 (b)는, 관통 구멍의 형상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의 실시 형태인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전체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고 한다)(10)은, 차량(1)에 탑재되어 있다. 시스템(10)은, 차량(1)의 각 타이어(2a, 2b, 2c, 2d)(타이어(2a, 2b, 2c, 2d)를 정리하여 설명할 때, 타이어(2a, 2b, 2c, 2d)를 총칭하여 타이어(2)라고 한다)의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된 타이어 정보 송신 장치(이하, 송신 장치라고 한다)(100a, 100b, 100c, 100d)와, 감시 장치(200)를 가진다.
송신 장치(100a, 100b, 100c, 100d)의 각각은, 타이어(2)와 림(3)(도 2 참조)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고, 이 타이어 정보를 감시 장치(200)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후, 송신 장치(100a, 100b, 100c, 100d)를 정리하여 설명할 때, 송신 장치(100a, 100b, 100c, 100d)를 총칭하여 송신 장치(100)라고 한다.
(송신 장치의 구성)
도 2는, 송신 장치(100)가 타이어에 고정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송신 장치(100)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송신 장치(100)는,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배치되는 케이스(102)를 가진다. 케이스(102)에는,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2)의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는 타이어 밸브(10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02)는, 대략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도 2의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타이어 밸브(104)는, 타이어 폭 방향(도 2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筒型) 형상을 이루고, 림(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관통 구멍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타이어 밸브(104)의 연재(延在) 방향(도 2의 Y 방향)의 일방(一方)의 단부(端部)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102)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있어서, 타이어 밸브(104)의 연재 방향의 일단(一端)에 접속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밸브(104)가 림(3)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여기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이란, 타이어 회전축의 둘레에 타이어(2)의 트레드(tread)부를 회전시켰을 때의 트레드부의 회전 방향, 즉 타이어(2)의 회전 방향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직경 방향이란, 타이어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放射狀)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A-A선을 따른 케이스(102)의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2)는, 케이스(102)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106)를 가진다. 회로(106)는, 기판(108)과, 기판(108)에 설치된 센서 유닛(110)과, 송신기(112)와, 처리 유닛(114)과, 전원부(116)와, 안테나(118)(도 5에 도시한다)를 가진다. 또한, 케이스(102)의 내부 공간의 일부는, 회로(106)를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하여 봉지(封止) 수지제(119)로 충전되어 있다.
센서 유닛(110)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를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 유닛(110)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공기압을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한다. 또한, 센서 유닛(110)은, 공기압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검출면(111)을 가지고, 센서 검출면(111)은, 공간을 두는 것 없이, 케이스(102)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22)의 내부 공간의 내측 개구부와 직접 접하고 있다. 센서 검출면(111)이 내측 개구부와 접한다는 것은, 센서 검출면(111)이 관통 구멍(122)의 내부 공간을 내측 개구부에 있어서 구획하는 벽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케이스(102)에는, 케이스(102)의 벽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122)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122)의 내부가 케이스(102)의 내부 공간(120)으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122)이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한 케이스(102)의 표면에는, 관통 구멍(122)의 외측 개구부(122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외측 개구부(122a)는, 타이어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02)의 내표면(內表面)에는, 관통 구멍(122)의 내측 개구부(122b)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2)은, 외측 개구부(122a)로부터 내측 개구부(122b)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관통 구멍(122)의 단면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통 구멍(122)의 내측 개구부(122b)는, 외측 개구부(122a)에 비하여 개구 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개구부(122b)의 개구 면적을 외측 개구부(122a)의 개구 면적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관통 구멍의 외측 개구부 및 내측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한결같은 경우와 비교하여 모세관 현상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외측 개구부(122a)에 펑크 수리액 등의 액체가 부착한 경우여도, 펑크 수리액 등의 액체는, 관통 구멍(122), 나아가서는, 관통 구멍(122)의 내부 공간 내에 유입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송신 장치(100)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후술하는 공기압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110)과, 검출한 타이어 정보를 무선에 의하여 송신하는 송신기(112)와, 센서 유닛(110)과 송신기(112)를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102)를 가진다. 케이스(102), 관통 구멍(122), 센서 유닛(110)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송신 장치의 회로 구성)
도 5는 송신 장치(100)의 회로 구성도이다.
센서 유닛(110)은, 공기압 센서(110a)와 A/D 변환기(110b)를 가진다. 공기압 센서(110a)는, 관통 구멍(122) 내의 공간의 공기압을 감지하고, 압력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관통 구멍(122)의 공간은, 타이어 공동 영역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압 센서(110a)는, 타이어 공동 영역의 공기압을 감지할 수 있다.
A/D 변환기(110b)는, 공기압 센서(110a)로부터 출력된 압력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고, 압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처리 유닛(114)은, 중앙 처리부(114a)와 기억부(114b)를 가진다. 중앙 처리부(114a)는, 기억부(114b)의 반도체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중앙 처리부(114a)는, 전력이 공급되어 구동하면,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압력 데이터를 소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5분마다, 송신기(112)를 통하여 감시 장치(200)에 공기압의 정보인 압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기억부(114b)에는 송신 장치(100)의 고유의 식별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고, 중앙 처리부(114a)는 압력 데이터와 함께 식별 정보를 감시 장치(2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기억부(114b)는, 중앙 처리부(114a)를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과, 예를 들어 EEPROM 등의 다시 쓰기 가능한 불휘발성의 메모리를 구비한다. 송신 장치(100)의 고유의 식별 정보는, 기억부(114b)의 다시 쓰기 불가 영역에 기억되어 있다.
송신기(112)는, 발진 회로(112a)와, 변조 회로(112b)와, 증폭 회로(112c)를 가진다.
발진 회로(112a)는, 반송파(搬送波) 신호, 예를 들어 315MHz대의 주파수의 RF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 회로(112b)는, 중앙 처리부(114a)로부터 보내진 압력 데이터와 송신 장치(100)의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반송파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 방식은, 진폭 편이(偏移) 변조(ASK), 주파수 변조(FM), 주파수 편이 변조(FSK), 위상 변조(PM), 위상 편이 변조(PSK)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증폭 회로(112c)는, 변조 회로(112b)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송신 신호는, 안테나(118)를 통하여, 감시 장치(200)에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원부(116)는, 예를 들어 이차(二次) 배터리가 이용되고, 센서 유닛(110)과, 송신기(112)와, 처리 유닛(114)에 전력을 공급한다.
(감시 장치의 회로 구성)
도 6은 감시 장치(200)의 회로 구성도이다.
감시 장치(200)는, 예를 들어 차량(1)의 운전석의 위치에 배치되고, 운전자에게 공기압의 정보를 보지한다. 감시 장치(200)는, 안테나(202)와, 수신부(수신 장치)(204)와, 수신 버퍼(206)와, 중앙 처리부(208)와, 기억부(210)와, 조작부(212)와, 스위치(214)와, 표시 제어부(216)와, 표시부(218)와, 전원부(220)를 가진다. 중앙 처리부(208)와, 기억부(210)와, 조작부(212)와, 스위치(214)와, 표시 제어부(216)와, 표시부(218)에 의하여, 수신한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보지하는 감시부가 형성된다.
안테나(202)는, 송신 장치(100)의 송신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로 정합(整合)되고, 수신부(204)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부(204)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소정의 주파수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처리를 하여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꺼낸다. 이들의 데이터는 수신 버퍼(206)에 출력된다.
수신 버퍼(206)는, 수신부(204)로부터 출력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격납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는, 중앙 처리부(20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중앙 처리부(208)에 출력된다.
중앙 처리부(208)는, 주로 CPU로 구성되고, 기억부(21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중앙 처리부(208)는, 수신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마다 타이어(2a ~ 2d)의 공기압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이어(2a ~ 2d)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운전자에게 보지한다. 타이어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공기압이 비정상으로 낮아지거나, 혹은 단시간에 급격하게 저하하여, 타이어가 펑크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중앙 처리부(208)는, 판정 결과를 표시 제어부(216)에 출력하고, 표시 제어부(216)를 통하여 판정 결과를 표시부(218)에 출력시킨다.
나아가, 중앙 처리부(208)는, 조작부(212)로부터의 정보나 스위치(214)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송신 장치(100)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 등의 초기 설정을 행한다. 또한, 조작부(212)로부터의 정보에 의하여, 중앙 처리부(208)에 있어서 타이어의 이상의 유무의 판정을 행하기 위한 판정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기억부(210)는, 중앙 처리부(208)의 CPU를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ROM과, EEP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가진다. 이 기억부(210)에는, 제조 단계에서, 송신 장치(100)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송신 장치(100)와 감시 장치(200)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통신 방식 테이블에는, 송신 장치(100)의 각각의 고유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 전송 비트 레이트, 데이터 포맷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의 정보는, 조작부(212)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자재(自在)로 설정 변경을 할 수 있다.
조작부(212)는,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각종 정보나 조건을 입력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스위치(214)는, 초기 설정의 개시를 중앙 처리부(208)에 지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표시 제어부(216)는, 중앙 처리부(208)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따라, 타이어(2a ~ 2d)의 장착 위치에 대응시켜 타이어의 공기압을 표시부(218)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때, 표시 제어부(216)는, 타이어가 펑크 상태에 있다고 하는 판정 결과도, 표시부(218)에 동시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전원부(220)는, 차량(1)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감시 장치(200)의 각 부분에 적절한 전압으로 제어하여, 도시하지 않는 전원 라인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케이스, 관통 구멍, 센서 유닛에 관한 상세 설명)
이하, 케이스(102), 관통 구멍(122), 및 센서 유닛(110)의 센서 검출면(111)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2)에 설치되는 관통 구멍(122)은, 케이스(102)의 벽을 관통하고, 센서의 센서 검출면(111)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센서 유닛(110)의 센서에 있어서의 센서 검출면(111)은, 공간을 두는 것 없이 내측 개구부(122b)에 직접 접하고 있다. 즉, 센서 검출면(111)을 둘러싸는 센서 유닛(110)의 외측 표면은, 케이스(102)의 내부의 측벽면과 접촉하고 있고, 관통 구멍(122)의 공간에 센서 검출면(111)은 접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케이스(102)의 두께, 나아가서는, 송신 장치(100)의 두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를 림에 장착할 때, 타이어 장착용 레버가 케이스(102)와 간섭하여 림 끼움을 곤란하게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장착용 레버가 케이스(102)에 충돌하는 일이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케이스(102), 나아가서는 송신 장치(100)가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관통 구멍(122)의 공간과 센서 검출면(111)과의 사이에 공간을 통하지 않고 센서 검출면(111)이 내측 개구부(122b)에 직접 면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관통 구멍(122)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이 센서 검출면(111)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에, 관통 구멍(122)의 내부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을 부착시키기 쉽게 하는 것에 의하여, 센서 검출면(111)에 펑크 수리액을 부착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관통 구멍(122)의 내부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이 다수 측벽면에 부착하면, 관통 구멍(122) 자체를 막아 버려, 센서 유닛(110)은, 정확하게 타이어 정보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개구부(122a)와 내측 개구부(122b)의 사이의, 센서 검출면(111)에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를 h(mm)로 하고, 외측 개구부(122a)와 내측 개구부(122b)의 사이에 끼워지는 관통 구멍(122)의 체적을 V(mm3)로 하고, 외측 개구부(122a) 및 내측 개구부(122b)를 제외한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의 면적을 A(mm2)로 하였을 때, 거리 h(mm)를, 3 ~ 15mm로 하고, 체적 V(mm3)에 대한 면적 A(mm2)의 비율 A/V를, 3.0 ~ 30.0mm-1로 하도록 관통 구멍(122)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치수를 가지는 관통 구멍(122)에서는, 비율 A/V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체적 V에 대하여 면적 A가 작기 때문에, 관통 구멍(122) 내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은,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의 표면에 부착하면, 관통 구멍(122)의 단면을 막기 쉬워진다. 한편, 비율 A/V가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체적 V에 대하여 면적 A가 크기 때문에, 관통 구멍(122) 내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은, 측벽면에 부착하기 쉽고, 부착한 경우에서도, 측벽면의 면상(面上)에 퍼져 부착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122)의 단면을 막기 어렵다. 그러나 비율 A/V가 상기 범위보다 큰 관통 구멍(122)의 가공은 극히 곤란하여, 실용적으로 제작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비율 A/V는, 3.0 ~ 30.0mm-1인 것에 의하여, 후술하는 실험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2)을 실용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또한 펑크 수리액은 관통 구멍(122)을 막기 어렵다. 거리 h가 3mm 미만인 경우, 거리 h가 짧아지는 것으로부터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에서 펑크 수리액이 부착하기 어려워지고, 펑크 수리액이 센서 검출면(111) 상(上)에 낙하하기 쉬워진다. 거리 h의 실질적인 상한(上限)은 15mm이다. 이 상한값을 넘으면, 케이스(102) 자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타이어를 림에 장착할 때, 타이어 장착용 레버가 케이스(102)와 간섭하여 림 끼움을 곤란하게 하는 것 외에, 케이스(102), 나아가서는 송신 장치(100)를 파손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외측 개구부(122a)의 둘레 길이에 대한 내측 개구부(122b)의 둘레 길이의 비는,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비의 상한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개구부(122a)의 면적은 0.8 mm2 이하이다. 외측 개구부(122a)의 면적을 0.8mm2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하여, 외측 개구부(122a)로부터 펑크 수리액이 관통 구멍(122) 내에 진입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펑크 수리액이 관통 구멍(122)을 막을 가능성은 극히 작아진다.
또한, 외측 개구부(122a)의 면적은, 내측 개구부(122b)의 면적에 비하여 작은 것이, 같은 비율 A/V이어도, 펑크 수리액이 관통 구멍(122)의 내부에 진입할 가능성을 작게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개구부(122b)의 둘레 길이는, 예를 들어 외측 개구부(122a)의 둘레 길이의 3 ~ 3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거리 h(mm)는 3mm 이상이고, 비율 A/V는 3.0 ~ 30.0mm-1인 관통 구멍(122)의 형상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관통 구멍(122)은, 외측 개구부(122a)의 면적은 작지만, 관통 구멍(122)의 내부에 있어서, 단면이 급격하게 확대하여 내측 개구부(122b)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단면이 서서히 커지고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비율 A/V를 3.0mm-1 이상으로 할 수 있고, 관통 구멍(122) 내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은,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에 부착하기 쉽고, 부착한 경우에서도, 측벽면의 면상에 퍼져 부착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122)의 단면을 막기 어렵다.
나아가, 도 7(a)에 도시하는 관통 구멍(122)의 구멍 형상은, 이하와 같이 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멍 형상은, 센서 검출면(111)에 평행한 면으로 관통 구멍(122)을 절단하였을 때의 관통 구멍(122)의 단면의 면적의, 외측 개구부(122a)로부터 내측 개구부(122b)를 향하는 구멍 깊이 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증가를 나타내는 확대율이, 외측 개구부(122a)로부터 내측 개구부(122b)를 향하는 도중에서 최대로 되는 형상이다. 이와 같이, 외측 개구부(122a)로부터 내측 개구부(122b)를 향하는 도중에서 확대율이 최대로 되는 구멍 형상은, 관통 구멍(122)의 측벽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비율 A/V를 용이하게 3.0 ~ 30.0mm-1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거리 h(mm)는 3mm 이상이고, 비율 A/V가 3.0 ~ 30.0mm-1인 관통 구멍(122)으로 하기 때문에,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관통 구멍(122)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즉, 도 7(b)는, 관통 구멍(122)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은, 요철 형상으로 꺾인 벽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체적 V(mm3)에 대하여 측벽면의 면적 A(mm2)가 상대적으로 크고, 비율 A/V를, 3.0 ~ 30.0mm-1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비율 A/V는 높기 때문에, 관통 구멍(122) 내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은, 측벽면에 부착하기 쉽고, 부착한 경우에서도, 측벽면의 면상에 퍼져 부착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122)의 단면을 막기 어렵다. 나아가, 이 경우, 벽 형상의 벽 깊이는, 외측 개구부(122a)로부터 내측 개구부(122b)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깊어지고 있는 것이, 비율 A/V를 3.0 ~ 30.0mm-1로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센서 검출면(111)에 평행한 면으로 관통 구멍(122)을 절단하였을 때의 관통 구멍(122)의 단면적은, 외측 개구부(122a)로부터 내측 개구부(122b)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대하는 것이 비율 A/V를 용이하게 3.0 ~ 30.0mm-1로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의 벽 형상의 곡부(谷部) 및 산부(山部)는, 관통 구멍(122)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같은 둘레 상(上)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외측 개구부(122a)로부터 내측 개구부(122b)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검출면(111)은, 공간을 두는 것 없이 내측 개구부(122b)에 직접 접하고 있기 때문에, 관통 구멍(122)의 내부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은, 측벽면에 부착하지 않는 경우, 센서 검출면(111)에 낙하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122)의 외측 개구부(122a)를, 센서 검출면(111)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센서 검출면(111)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투영하였을 때, 관통 구멍(122)의 외측 개구부(122a)는, 센서 검출면(111)의 중심 위치(중심 위치)와, 외측 개구부(122a)의 중심의 투영 위치(중심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 멀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이상 멀어져,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이상 멀어져 있다. 도 8(a)는, 이와 같은 관통 구멍(122)의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한층 더 관통 구멍(122)의 다른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개구부(122a)의 영역의 투영 위치(R) 중 어느 부분도 센서 검출면(111)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122)의 내부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은, 측벽면에 부착하지 않는 경우여도, 센서 검출면(111)의 외측의 센서 유닛(110)의 표면에 부착하기 때문에, 센서 검출면(111)의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개구부(122a)의 면적은, 0.8mm2 이하이고, 센서 검출면(111)은, 공간을 두는 것 없이 관통 구멍(122)의 내측 개구부(122b)에 직접 접하고 있고, 거리 h(mm)는, 3mm 이상 15mm 이하이며, 체적 V(mm3)에 대한 면적 A(mm2)의 비율 A/V는, 3.0 ~ 30.0mm-1이다.
센서 검출면(111)은, 공간을 두는 것 없이 관통 구멍(122)의 내측 개구부(122b)에 직접 접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10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타이어를 림에 장착할 때, 타이어 장착용 레버가 케이스(102)와 간섭하여 림 끼움을 곤란하게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장착용 레버가 케이스(102)에 충돌하는 일이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케이스(102), 나아가서는 송신 장치(100)를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비율 A/V는, 3.0 ~ 30.0mm-1이기 때문에, 관통 구멍(122)의 내부에 진입한 펑크 수리액은, 측벽면에 부착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센서 검출면(111)에 도달하기 어렵고, 부착한 경우에서도, 측벽면의 면상에 퍼져 부착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122)의 단면을 폐색(閉塞)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험예)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의 송신 장치(100)를 가지는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이용하고, 관통 구멍(122)의 형상을 여러 가지 변경한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4의 송신 장치를 제작하고, 펑크 수리액이 통기 구멍을 막기 쉬운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형상의 관통 구멍을 가지는 송신 장치(100)를, 림 사이즈 15×6J의 림에 고정한 후, 이 림에 195/65R15의 타이어를 장착하였다. 그때, 펑크 수리액을 타이어 공동 영역에 450ml 주입하였다. 타이어의 공기압은 200KPa로 하였다. 이 후, 배기량 2.0리터의 승용차에 장착하여 테스트 코스의 포장로에서 30 ~ 80km/시의 주행 속도로 2시간 주행하였다. 그 후, 타이어 공동 영역 내의 공기를 서서히 빼내어,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의 계측 결과를 조사하였다. 계측한 공기압이 공기를 빼내는 것에 의하여 서서히 공기압의 계측값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계측에 이상이 보여지지 않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나아가, 송신 장치(100)의 케이스(102)를 관통 구멍(122)의 내벽면 및 센서 검출면(111)을 목시(目視)할 수 있도록 해체하여, 펑크 수리액의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 및 센서 검출면(111)으로의 부착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관통 구멍(122)의 폐색에 관한 평가는 하기 레벨 1 내지 4의 4단계로 판단하였다. 레벨 3, 4가 합격 레벨로 하였다.
·레벨 1: 관통 구멍(122)이 펑크 수리액으로 막혀, 정확한 공기압을 계측할 수 없었다.
·레벨 2: 관통 구멍(122)은 펑크 수리액으로 대략 막혀, 정확한 공기압을 계측하는 데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레벨 3: 관통 구멍(122)은 펑크 수리액으로 막혀 있지 않지만, 센서 검출면(111)에 펑크 수리액의 부착이 보여진다. 그러나 정확한 공기압을 계측할 수 있다.
·레벨 4: 관통 구멍(122)은 펑크 수리액으로 막혀 있지 않고, 센서 검출면(111)에도 펑크 수리액의 부착은 없다. 정확한 공기압을 계측할 수 있다.
나아가, 송신 장치(100)를 가지는 림의 림 끼움을 하기 쉬움(림 끼움성)에 관하여도 평가하였다. 평가는 하기 레벨 1 내지 3의 3단계로 판단하였다.
·레벨 1: 송신 장치(100)의 케이스(102)가 장착하려고 하는 타이어와 물리적으로 완충하여, 송신 장치(100)를 파손하였다.
·레벨 2: 송신 장치(100)의 케이스(102)가 장착하려고 하는 타이어와 약간 물리적으로 완충하지만, 림 끼움할 수 있었다.
·레벨 3: 송신 장치(100)의 케이스(102)가 장착하려고 하는 타이어와 완충하지 않고, 문제 없이 림 끼움할 수 있었다.
하기 표 1, 2는,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4의 사양(仕樣)과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외측 개구부(122a)의 단면을 0.8mm2의 원형상으로 고정하고, 내측 개구부(122b)의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을 변경하는 것과 함께,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의 형상을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 형상으로 하고, 벽의 깊이와 크기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비율 A/V를 변경하였다. 또한, 거리 h(mm)는, 케이스(102)의 벽의 두께를 바꾸는 것에 의하여 변경하였다. 덧붙여, 비교예 4는, A/V를 32.5mm-1로 되도록 관통 구멍(122)의 측벽면의 벽 형상의 벽 깊이를 깊게 설계하였지만, 제작(사출 성형 및 그 후의 구멍 가공)은 할 수 없었다.
Figure 112015001855076-pct00001
Figure 112015001855076-pct00002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평가 결과의 비교로부터, 거리 h(mm)를, 3 ~ 15mm로 하고, 비율 A/V를, 3.0 ~ 30.0mm-1로 하는 것이, 림 끼움 및 관통 구멍(122)의 폐색을 억제하는 점에서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 6과 같이, 센서 검출면(111)과 외측 개구부(122a)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센서 검출면(111) 상으로의 펑크 수리액의 부착이 적게 되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사양 중, 외측 개구부(122a)의 면적을 0.8mm2로부터 0.9mm2로 변경한 경우, 관통 구멍의 폐색의 유무의 평가는 레벨 1이었다.
이상, 본 발명의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개량이나 변경을 하여도 무방한 것은 물론이다.
1: 차량
2a, 2b, 2c, 2d, 2: 타이어
10: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100a, 100b, 100c, 100d, 100: 타이어 정보 송신 장치
200: 감시 장치
102: 케이스
104: 타이어 밸브
108: 기판
110: 센서 유닛
111: 센서 검출면
112: 송신기
114: 처리 유닛
116: 전원부
118: 안테나
119: 봉지 수지제
120: 내부 공간
122: 관통 구멍
122a: 외측 개구부
122b: 내측 개구부

Claims (10)

  1. 타이어 공동(空洞)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이고,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에 의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와 상기 송신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이고, 상기 케이스의 벽을 관통하고, 상기 센서의 센서 검출면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 측에 위치하는 외측 개구부(開口部)의 면적은 0.8mm2 이하이고,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센서 검출면 측에 위치하는 내측 개구부는 상기 센서 검출면과 공간을 두는 것 없이 접하고, 상기 관통 구멍을 둘러싸는 측벽의 면적 A(mm2)의,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관통 구멍의 체적 V(mm3)에 대한 비율 A/V는 3.0 ~ 30.0mm-1이고,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의 사이의, 상기 센서 검출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 h(mm)는 3 ~ 15mm인 케이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외측 개구부를, 상기 센서 검출면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상기 센서 검출면을 포함하는 평면 상(上)에 투영하였을 때,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외측 개구부는, 상기 센서 검출면의 중심 위치와, 상기 외측 개구부의 중심의 투영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 멀어져 있는,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개구부의 영역의 투영 위치는, 모두 상기 센서 검출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송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내측 개구부의 면적에 비하여 작은, 송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센서의 센서 검출면에 평행한 면으로 상기 관통 구멍을 절단 하였을 때의 상기 관통 구멍의 단면의 면적의,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를 향하는 구멍 깊이 방향의 단위 길이당의 증가를 나타내는 확대율이,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를 향하는 도중에서 최대로 되는 구멍 형상을 가지는, 송신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을 둘러싸는 측벽면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를 따라 요철 형상으로 꺾인 벽 형상을 이루고 있는, 송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의 요철의 깊이는,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깊어지고 있는, 송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의 센서 검출면에 평행한 면으로 상기 관통 구멍을 절단하였을 때의 상기 관통 구멍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외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내측 개구부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대하는, 송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개구부의 둘레 길이는, 상기 외측 개구부의 둘레 길이의 3 ~ 30배인, 송신 장치.
  10.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이고,
    상기 시스템은,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와, 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타이어와 림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검출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에 의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센서와 상기 송신기를 내부에 수납하는 케이스를 가지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보지(報知)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벽을 관통하고, 상기 센서의 센서 검출면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 측의 외측 개구부의 면적이 0.8mm2 이하이고,
    상기 관통 구멍의 상기 센서 검출면 측의 내측 개구부는 상기 센서 검출면과 공간을 두는 것 없이 접하고, 상기 관통 구멍을 둘러싸는 측벽의 면적 A(mm2)의,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의 사이에 끼워지는 상기 관통 구멍의 체적 V(mm3)에 대한 비율 A/V는 3.0 ~ 30.0mm-1이고,
    상기 외측 개구부와 상기 내측 개구부의 사이의, 상기 센서 검출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거리 h(mm)는 3 ~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KR1020157000467A 2012-10-03 2013-10-03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637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0923 2012-10-03
JP2012220923A JP5712989B2 (ja) 2012-10-03 2012-10-03 送信装置及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PCT/JP2013/076949 WO2014054736A1 (ja) 2012-10-03 2013-10-03 送信装置及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89A KR20150027789A (ko) 2015-03-12
KR101637313B1 true KR101637313B1 (ko) 2016-07-07

Family

ID=5043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467A KR101637313B1 (ko) 2012-10-03 2013-10-03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45031B2 (ko)
EP (1) EP2905152B1 (ko)
JP (1) JP5712989B2 (ko)
KR (1) KR101637313B1 (ko)
CN (1) CN104703822B (ko)
WO (1) WO2014054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5327A (zh) * 2016-08-29 2017-01-18 无锡卓信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射频识别技术的车辆轮胎智能监控系统
US10942077B2 (en) * 2018-08-07 2021-03-09 FLO Cycling, LLC Smart bicycle wheel sensor system
DE102019209137A1 (de) * 2019-06-25 2020-12-3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Prüfen des Reifendrucks eines Fahrzeugs
US11879764B2 (en) * 2021-03-03 2024-01-23 Dan Haronian Liquid height level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191A (ja) 2010-07-20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2012148650A (ja) 2011-01-18 2012-08-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2012148690A (ja) 2011-01-19 2012-08-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状態取得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0332B (en) * 2000-09-02 2003-02-11 Lite On Automotive Corp Status sensor of inflated automobile tire
JP2003146033A (ja) * 2001-11-15 2003-05-21 Bridgestone Corp タイヤ内圧警報装置
FR2888779A1 (fr) * 2005-07-19 2007-01-26 Michelin Soc Tech Appui de soutien de bande de roulement comportant un logement pour un module electronique, module electronique adapte
JP2007326475A (ja) * 2006-06-08 2007-12-20 Yokowo Co Ltd タイヤ空気圧センサ
US8156797B2 (en) * 2008-07-28 2012-04-17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molding a tire pressure monitor sensor
JP4623228B1 (ja) 2009-11-16 2011-02-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US8707778B2 (en) 2009-11-16 2014-04-29 The Yokohama Rubber Co., Ltd.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ire condition and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JP4743336B1 (ja) * 2010-07-01 2011-08-10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情報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191A (ja) 2010-07-20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2012148650A (ja) 2011-01-18 2012-08-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2012148690A (ja) 2011-01-19 2012-08-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状態取得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4736A1 (ja) 2014-04-10
US9645031B2 (en) 2017-05-09
US20150247775A1 (en) 2015-09-03
JP2014073710A (ja) 2014-04-24
CN104703822A (zh) 2015-06-10
EP2905152A1 (en) 2015-08-12
JP5712989B2 (ja) 2015-05-07
EP2905152B1 (en) 2018-01-10
CN104703822B (zh) 2017-03-15
KR20150027789A (ko) 2015-03-12
EP2905152A4 (en)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778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ire condition and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KR101637313B1 (ko)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JP5761381B2 (ja) 送信装置、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タイヤ組立体
CA2772250C (e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tire information and tire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KR101759579B1 (ko)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타이어 조립체,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943830B1 (ko)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
KR101658977B1 (ko)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정보 감시 시스템
JP4623228B1 (ja)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5434881B2 (ja)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5673308B2 (ja) タイヤ状態取得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2012040974A (ja)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5924204B2 (ja) 送信装置、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