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830B1 -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830B1
KR101943830B1 KR1020147004906A KR20147004906A KR101943830B1 KR 101943830 B1 KR101943830 B1 KR 101943830B1 KR 1020147004906 A KR1020147004906 A KR 1020147004906A KR 20147004906 A KR20147004906 A KR 20147004906A KR 101943830 B1 KR101943830 B1 KR 10194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mmunication hole
valve
tire cavit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295A (ko
Inventor
다이스케 카네나리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4Valve stem attachments positioned inside the tyre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6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e.g. housings, guards, covers for valve caps, lock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62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e.g. housings, guards, covers for valve caps, lock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illing a tyre with particular materials, e.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16Auto-repairing or self-sealing arrangements or agents
    • B29C73/166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ealing compositions into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장치는 타이어 공동 영역 내의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밸브와, 센서를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통기홀과, 밸브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와 접속하고, 공동 영역측 개구부와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진다. 연통홀의 지름 및 밸브의 내경의 최소값은 2.5㎜ 이상이며, 통기홀은 연통홀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연통홀의 연장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연통홀의 개구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된다.

Description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TIRE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TIRE STA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PUNCTURE REPAIRING FLUID}
본 발명은 타이어 공동(空洞) 영역 내에 설치되고,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을 점검 관리하는 것이 타이어의 내구성 향상, 내마모성 향상, 연비 향상, 또는 승차감 향상, 심지어는 조종 성능 향상이라는 점에서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시하는 시스템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바퀴에 장착된 타이어의 공기압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송신하는 취득장치가 각 바퀴의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는 동시에, 각 타이어의 공기압 정보를 취득장치로부터 취득한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시부가 감시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취득장치는, 타이어 공동 영역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송신하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밸브와, 림을 관통하는 L자형 에어밸브를 가지며, TPMS 밸브와 L자형 에어밸브가 서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두 밸브가 접속되었을 때에 두 밸브에 각각 설치된 공기 통로가 접속됨으로써,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 외부의 대기가 통기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08-1222호 공보
그런데 타이어에 펑크가 났을 때, 타이어와 림에 의해 끼워진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주입하는 펑크 수리액이 흔히 이용되고 있다. 이 펑크 수리액은 액체이기 때문에, 펑크 수리액이 타이어 공동 영역에 주입되면,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하는 타이어 내표면 이외에,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된 취득장치에도 펑크 수리액이 부착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고화(固化)되어 취득장치에 설치된 공기압을 감지하기 위한 개구부를 막아, 공기압 계측에 영향을 끼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타이어 밸브로부터 타이어 공동 영역에 튜브를 삽입하고, 튜브를 통해 타이어 공동 영역 내의 펑크 수리액을 배출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취득장치에서는, L자형 에어밸브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에어밸브를 통해 튜브를 타이어 공동 영역에 삽입하기가 힘들다. 이로 인해, 펑크 수리재를 회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취득장치에서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하는 TPMS 밸브의 표면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구부 근방에, 타이어 공동 영역의 공기압을 검출하는 센서 유닛이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펑크 수리액을 타이어 공동 영역에 주입했을 때, 펑크 수리액이 센서 유닛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에 의해, 펑크 수리액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수리하더라도, 타이어의 공기압 정보 등의 타이어 정보를 적절히 취득할 수 있음과 아울러, 펑크 수리액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장치이다.
상기 취득장치는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는 타이어 밸브와, 상기 센서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통기홀과, 상기 타이어 밸브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접속하고, 상기 타이어 밸브의 상기 개구부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연통홀의 지름 및 상기 타이어 밸브의 내경의 최소값은 2.5㎜ 이상이며,
상기 통기홀은 상기 연통홀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연통홀의 상기 개구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은,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통홀은 굴곡하고 있다.
상기 연통홀의 홀 단면적은, 상기 타이어 밸브의 내경이 최소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타이어 밸브의 홀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타이어 밸브의 홀 단면적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타이어 밸브의 타이어 외부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외부 개구부를 향하여 커지도록, 상기 타이어 밸브의 내벽에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차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의 높이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통홀의 양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연통홀의 연장 방향끼리 이루는 각도가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타이어 밸브를 상기 연통홀에 삽입하여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착탈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이다.
상기 시스템은 취득장치와 수신장치와 감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취득장치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는 타이어 밸브와, 상기 센서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통기홀과, 상기 타이어 밸브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접속하고, 상기 타이어 밸브의 상기 개구부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연통홀의 지름 및 상기 타이어 밸브의 내경의 최소값은 2.5㎜ 이상이며,
상기 통기홀은 상기 연통홀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연통홀의 상기 개구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은,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통홀은 굴곡하고 있다.
한편,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취득장치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된 상기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통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취득장치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펑크 수리액이 주입된 타이어에 대해, 상기 취득장치의 타이어 밸브의 밸브 코어를 분리해내는 스텝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의 공기가 상기 타이어 밸브를 통해 타이어의 외부로 배출되고 있을 때, 튜브를 상기 취득장치의 타이어 밸브로부터 타이어 공동 영역의 펑크 수리액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하는 스텝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장치를 구비한, 림에 타이어를 조립한 타이어 조립체이다.
상기 타이어 조립체는, 상기 타이어와, 상기 타이어를 조립한 상기 림과, 상기 취득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취득장치는, 상기 타이어와 상기 림으로 둘러싸인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의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는 타이어 밸브와, 상기 센서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통기홀과, 상기 타이어 밸브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접속하고, 상기 밸브의 상기 개구부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연통홀의 지름 및 상기 타이어 밸브의 내경의 최소값은 2.5㎜ 이상이고,
상기 통기홀은 상기 연통홀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연통홀의 상기 개구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은,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통홀은 굴곡하고 있다.
상술한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은, 펑크 수리액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수리하더라도, 타이어의 공기압 정보 등의 타이어 정보를 적절히 취득할 수 있음과 아울러, 펑크 수리액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의 일실시형태인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취득장치가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고정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취득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A-A선에 따른 취득장치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B-B선에 따른 취득장치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취득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b)는, 연통홀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와, 통기홀의 외측 개구부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취득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감시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10은 펑크 수리액의 회수에 이용되는 튜브의 사용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펑크 수리액의 회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에 나타낸 관통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관통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b)는, 도 5에 나타낸 연통홀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타이어 밸브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 (b)는, 타이어 밸브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c)는, 타이어 밸브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의 실시형태인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전체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타이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고 한다)(10)은 차량(1)에 탑재되어 있다. 시스템(10)은 차량(1)의 각 타이어(2a, 2b, 2c, 2d)(타이어(2a, 2b, 2c, 2d)를 종합하여 설명할 때, 타이어(2a, 2b, 2c, 2d)를 총칭하여 타이어(2)라고 한다)의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된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이하, 취득장치라고 한다)(100a, 100b, 100c, 100d)와 감시장치(200)를 가진다.
취득장치(100a, 100b, 100c, 100d)의 각각은, 타이어(2)와 림(3)(도 2 참조)으로 둘러싸인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고, 이 타이어 정보를 감시장치(200)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후, 취득장치(100a, 100b, 100c, 100d)를 종합하여 설명할 때, 취득장치(100a, 100b, 100c, 100d)를 총칭하여 취득장치(100)라고 한다.
(취득장치의 구성)
도 2는, 취득장치(100)가 타이어에 고정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취득장치(100)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취득장치(100)는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102)과,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2)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는 타이어 밸브(104)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02)은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이어 원주 방향(도 2의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타이어 밸브(104)는 타이어 폭 방향(도 2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을 이루고, 림(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홀을 타이어 폭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타이어 밸브(104)의 연장 방향(도 2의 Y 방향)의 일단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102)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있어서, 타이어 밸브(104)의 연장 방향 일단에 접속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밸브(104)가 림(3)에 기계적으로 고정됨으로써,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02)의 윗면, 즉,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의 표면에는 상방, 즉,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102a)(도 3에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타이어 원주 방향이란, 타이어 회전축의 둘레에 타이어(2)의 트레드부를 회전시켰을 때의 트레드부의 회전 방향, 즉, 타이어(2)의 회전 방향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지름 방향이란, 타이어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말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A-A선에 따른 하우징(102)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2)은 하우징(102)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106)를 가진다. 회로(106)는 기판(108)과, 기판(108)에 설치된 센서 유닛(110)과, 송신기(112)와, 처리 유닛(114)과, 전원부(116)와, 안테나(118)(도 8에 도시)를 가진다. 또한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회로(106)를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120)이 마련되어 있다.
센서 유닛(110)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센서 유닛(110)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공기압을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한다. 또한 센서 유닛(110)은 공기압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면을 가지고, 센서면은 내부 공간(120)에 면하고 있다.
하우징(102)에는,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120)과 타이어 공동 영역의 사이를 연통하는 통기홀(122)이 하우징(102)의 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통기홀(122)이 타이어 공동 영역에 면한 하우징(102)의 표면에는, 통기홀(122)의 외측 개구부(122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외측 개구부(122a)는 타이어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통기홀(122)이 내부 공간(120)에 면한 하우징(102)의 표면에는, 통기홀(122)의 내측 개구부(122b)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홀(122)은 외측 개구부(122a)로부터 내측 개구부(122b)로 갈수록 통기홀(122)의 단면적이 확대되어 있다. 즉, 통기홀(122)의 내측 개구부(122b)는 외측 개구부(122a)에 비해 개구 면적이 넓다. 내측 개구부(122b)의 개구 면적을 외측 개구부(122a)의 개구 면적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통기홀의 외측 개구부 및 내측 개구부의 개구 면적이 똑같은 경우와 비교해서 모세관 현상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외측 개구부(122a)에 펑크 수리액 등의 액체가 부착되었을 경우에도, 펑크 수리액 등의 액체는 통기홀(122), 나아가서는 내부 공간(120)내에 유입되기 어려워진다.
통기홀(122)의 외측 개구부(122a)의 개구 면적은, 예를 들면 0.4㎟ 이하이다. 외측 개구부(122a)의 개구 면적을 0.4㎟ 이하로 함으로써, 타이어 펑크 수리액 등의 액체가 통기홀(122)에 유입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내측 개구부(122b)의 개구 면적은 외측 개구부(122a)의 개구 면적과 대비하여, 예를 들면 4배 이상인 것이, 통기홀(122)으로의 펑크 수리액의 유입 방지 및 통기홀(122)이 펑크 수리액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하우징(102)의 벽으로 덮이는 내측의 영역에는, 내부 공간(120)을 남기고 밀봉 수지(124)가 내부 부재로서 충전되어 있다. 즉, 내부 공간(120)은 하우징(102)의 벽면과 하우징(102)에 설치된 내부 부재의 내벽에 의해,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다. 또한 내부 공간(120)은 하우징(102)의 벽으로 덮이는 내측의 영역보다 좁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120)은 통기홀(122)의 내측 개구부(122b)로부터 단면이 확대되어 있다.
하우징(102)에는, 통기홀(122)이 타이어 공동 영역과 내부 공간(120)을 연통하는 통로로서 유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면, 통기홀(122)이 복수개 설치되었을 경우에, 펑크 수리액 등의 액체가 통기홀(122)로부터 내부 공간(120)에 용이하게 유입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내부 공간(120)의 벽면의 적어도 하나는 밀봉 수지(124)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내부 부재는 밀봉 수지(124)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부 부재로서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 수지재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B-B선에 따른 취득장치(100)의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2)의 볼록부(102a)에는 타이어 밸브(104)와의 접속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타이어 밸브(104)와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연통홀(126)이 설치되어 있다. 연통홀(126)에 타이어 밸브(104)의 선단이 삽입됨으로써, 연통홀(126)과 타이어 밸브(10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통홀(126)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볼록부(102a)의 표면에는, 연통홀(126)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통홀(126)의 타이어 밸브(104)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볼록부(102a)의 표면에는, 연통홀(126)의 밸브측 개구부(126b)(도 7(a), (b)에 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타이어 밸브(104)의 개구는 연통홀(126)과 접속되어 있다.
한편, 타이어 밸브(104)에는 타이어 밸브(104)의 연장 방향(도 5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관통부(128)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통부(128)의 내부에는 타이어 밸브(104)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부(128)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 표면에는, 관통홀(130)의 하우징측 개구부(130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타이어 밸브(104)의 하우징측 개구부(130a)는 연통홀(126)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관통부(128)의 타이어(2)의 외부측의 단부 표면에는, 관통홀(130)의 외부 개구부(130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홀(130)에는 관통홀(130)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 코어(132)가, 관통부(128)의 내벽에 스크류 클램프되어 설치되어 있다.
연통홀(126)은 관통홀(130)의 하우징측 개구부(130a)가 연통홀(126)내에 위치하도록, 관통부(128)를 밸브측 개구부(126b)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관통부(128)가 삽입됨으로써, 연통홀(126)은 타이어 밸브(104)의 하우징측 개구부(130a)와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홀(126)은 하우징측 개구부(130a)로부터 하우징측 개구부(130a)에 있어서의 타이어 밸브(104)의 연장 방향(도 5의 E1 방향)으로 적어도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홀(130)의 하우징측 개구부(130a)는 연통홀(126)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연통홀(126)의 지름은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타이어 밸브(104)의 내경, 즉, 관통홀(130)의 지름은 관통홀(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관통홀(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통홀(126)의 지름 및 타이어 밸브(104)의 내경의 최소값은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2.8㎜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며, 5.0㎜ 이하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고인 펑크 수리액을 회수하는 경우에는, 연통홀(126)의 지름 및 타이어 밸브(104)의 내경의 최소값을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튜브(20)(도 10에 도시)를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홀(130) 및 하우징(102)의 연통홀(126)을 통해 타이어 공동 영역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펑크 수리액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연통홀(126)의 홀 단면적은, 타이어 밸브(104)의 내경이 최소가 되는 부분(예를 들면, 도 5를 참조할 경우, 밸브 코어(132)가 관통홀(130)의 내벽에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홀(130)의 홀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타이어 밸브(104)의 내경이 최소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관통홀(130)의 홀 단면과 비교해서, 연통홀(126)의 홀 단면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20)를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홀(130) 및 하우징(102)의 연통홀(126)을 통해 타이어 공동 영역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펑크 수리액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7(a), (b)는, 연통홀(126)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와 통기홀(122)의 외측 개구부(122a)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하우징(102)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하우징(102)의 측면도이다. 도 7(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홀(122)의 외측 개구부(122a)는,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에 있어서의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도 7(a), (b)의 E2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80° 미만이 되는 범위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에 있어서의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에 대해 통기홀(122)의 위치가 한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타이어 밸브(104)에 유입된 펑크 수리액 등의 액체가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로부터 타이어 공동 영역 내로 유출되고, 이 액체가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로부터 확산되어 비산되는 경우에도, 통기홀(12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펑크 수리액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수리하더라도, 타이어의 공기압 정보 등의 타이어 정보를 적절히 취득할 수 있다.
도 8은, 취득장치(100)의 회로 구성도이다.
센서 유닛(110)은 공기압 센서(110a)와 A/D 변환기(110b)를 가진다. 공기압 센서(110 a)는 하우징(102) 내의 내부 공간(120)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압력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내부 공간(120)은 통기홀(122)을 통해 타이어 공동 영역과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압 센서(110a)는 타이어 공동 영역의 공기압을 감지할 수 있다.
A/D 변환기(110 b)는 공기압 센서(110 a)로부터 출력된 압력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압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처리 유닛(114)은 중앙처리부(114 a)와 기억부(114 b)를 구비한다. 중앙처리부(114 a)는 기억부(114 b)의 반도체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중앙처리부(114a)는 전력이 공급되어 구동되면, 센서 유닛(110)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압력 데이터를 소정의 시간 간격, 예를 들면 5분 마다, 송신기(112)를 통해 감시장치(200)에 공기압 정보인 압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기억부(114b)에는 취득장치(100)에 고유한 식별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으며, 중앙처리부(114a)는 압력 데이터와 함께 식별 정보를 감시장치(2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기억부(114b)는 중앙처리부(114a)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과, 예를 들면 EEPROM 등의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다. 취득장치(100)의 고유한 식별 정보는, 기억부(114b)의 재기록 불가 영역에 기억되어 있다.
송신기(112)는 발진회로(112 a), 변조회로(112 b), 및 증폭회로(112 c) 를 구비한다.
발진회로(112 a)는 반송파 신호, 예를 들면 315 MHz 대 주파수의 RF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회로(112b)는 중앙처리부(114a)로부터 보내진 압력 데이터와 취득장치(100)에 고유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반송파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변조 방식은 진폭 편이 변조(ASK), 주파수 변조(FM), 주파수 편이 변조(FSK), 위상 변조(PM), 위상 편이 변조(PSK)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증폭회로(112c)는 변조회로(112b)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송신 신호는 안테나(118)를 통해 감시장치(200)에 무선으로 송신된다.
전원부(116)는 예를 들면 이차 배터리가 이용되고, 센서 유닛(110)과, 송신기(112)와, 처리 유닛(114)에 전력을 공급한다.
(감시장치의 구성)
도 9는, 감시장치(200)의 회로 구성도이다.
감시장치(200)는 예를 들면, 차량(1)의 운전석의 위치에 배치되어, 운전자에게 공기압 정보를 통지한다. 감시장치(200)는 안테나(202)와, 수신부(수신장치)(204)와, 수신 버퍼(206)와, 중앙처리부(208)와, 기억부(210)와, 조작부(212)와, 스위치(214)와, 표시제어부(216)와, 표시부(218)와, 전원부(220)를 가진다. 중앙처리부(208)와, 기억부(210)와, 조작부(212)와, 스위치(214)와, 표시제어부(216)와, 표시부(218)에 의해, 수신한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감시부가 형성된다.
안테나(202)는 취득장치(100)의 송신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정합되고, 수신부(204)에 접속되어 있다.
수신부(204)는 취득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소정 주파수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처리를 하여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들 데이터는 수신 버퍼(206)에 출력된다.
수신 버퍼(206)는 수신부(204)로부터 출력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한다. 격납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는, 중앙처리부(20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중앙처리부(208)에 출력된다.
중앙처리부(208)는 주로 CPU로 구성되며, 기억부(21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중앙처리부(208)는 수신한 압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별 정보마다 타이어(2a 내지 2d)의 공기압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타이어(2a 내지 2d)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타이어의 이상 유무를 판정한다는 것은, 예를 들면, 공기압이 이상하게 낮아지거나 혹은 단시간에 급격히 저하되어, 타이어가 펑크 나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말한다
중앙처리부(208)는 판정 결과를 표시제어부(216)에 출력하고, 표시제어부(216)를 통해 판정 결과를 표시부(218)에 출력시킨다.
또한 중앙처리부(208)는 조작부(212)로부터의 정보나 스위치(214)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취득장치(100)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 등의 초기 설정을 실시한다. 또한 조작부(212)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중앙처리부(208)에 있어서 타이어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기억부(210)는 중앙처리부(208)의 CPU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ROM과 EEP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한다. 이 기억부(210)에는, 제조 단계에서 취득장치(100)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취득장치(100)와 감시장치(200)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통신 방식 테이블에는 취득장치(100) 각각의 고유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통신 프로토콜, 전송 비트율, 데이터 포맷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조작부(212)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자유로이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조작부(212)는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각종 정보나 조건을 입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스위치(214)는 초기 설정의 시작을 중앙처리부(208)에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표시제어부(216)는 중앙처리부(208)로부터의 판정 결과에 따라, 타이어(2a 내지 2d)의 장착 위치에 대응시켜 타이어의 공기압을 표시부(218)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표시제어부(216)는, 타이어가 펑크 상태에 있다는 판정 결과도 표시부(218)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전원부(220)는 차량(1)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감시장치(200)의 각 부분에 적정한 전압으로 제어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원 라인을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이처럼, 취득장치(100)와 감시장치(200)는 구성된다.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펑크 수리액의 회수에 이용되는 튜브의 사용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홀(130)로부터 하우징(102)의 연통홀(126)을 통해 타이어 공동 영역에 삽입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튜브(20)를 이용한다. 이 튜브(20)는 타이어 밸브(104)의 외부 개구부(130b)로부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삽입되었을 때, 적어도 타이어 지름 방향 최외부의 타이어 내주면에 도달하는 길이를 가진다.
튜브(2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리콘고무 등의 고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불소 수지 등의 합성 수지,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튜브(20)의 외경은 2.4㎜ 내지 4.9㎜의 범위내이면서, 또한 타이어 밸브(10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튜브(20)의 외경이 4.9㎜보다 크면, 튜브(20)를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홀(130) 및 하우징(102)의 연통홀(126)에 통과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고, 반대로 튜브(20)의 외경이 2.4㎜보다 작으면, 펑크 수리액의 회수에 막대한 시간이 필요해진다.
도 11은, 펑크 수리액의 회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우선, 타이어 공동 영역에 취득장치(100)가 설치되고, 또한 타이어 공동 영역에 펑크 수리액(4)이 주입된 타이어(2)에 대해, 밸브 제거 공구 등이 취득장치(100)의 타이어 밸브(104)로부터 밸브 코어(132)를 분리해낸다. 이에 의해, 타이어 공동 영역은 타이어(2) 외부의 대기와 연통한다. 이 때, 타이어 공동 영역 내의 공기압은 타이어 외부의 공기압보다 높기 때문에,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된 공기가 하우징(102)의 연통홀(126) 및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홀(130)을 통해 타이어(2)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타이어 공동 영역의 공기가 하우징(102)의 연통홀(126) 및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홀(130)을 통해 타이어(2)의 외부로 배출되고 있을 때, 튜브(20)가 타이어 밸브(104)로부터 타이어 공동 영역의 펑크 수리액(4)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된다. 이 경우, 타이어 공동 영역 내의 공기압에 의해, 펑크 수리액(4)이 튜브(20)내에 밀려 올라가는 것에 의해, 펑크 수리액(4)이 튜브(20)를 통해 타이어(2)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타이어(2)의 외부로 배출된 펑크 수리액(4)이 적절한 용량을 가지는 용기(5)에 회수된다.
상기 회수방법에서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된 공기가 타이어(2)의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에, 튜브(20)가 타이어 공동 영역 내의 펑크 수리액(4)에 도달할 때까지 튜브(20)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통홀(126)의 지름의 최소값이 제한됨으로써, 튜브(20)를 관통홀(130) 및 연통홀(126)을 통해 타이어 공동 영역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된 공기가 타이어(2)의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에, 튜브(20)를 펑크 수리액(4)에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펑크 수리액(4)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취득장치(20), 시스템(10)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에 의하면, 펑크 수리액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펑크를 수리하더라도, 타이어의 공기압 정보 등의 타이어 정보를 적절히 취득할 수 있음과 아울러, 펑크 수리액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변형예 1)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도 5에 나타낸 관통홀(130)과 상이한 관통홀(130)의 예(변형예 1)를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홀(130)의 홀 단면적이 하우징측 개구부(130a)로부터 외부 개구부(130b)를 향하여 커지도록, 관통홀(130)의 내벽에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면서, 또한 관통홀(130)의 연통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차의 높이(H)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홀(130)의 홀 단면적이 하우징측 개구부(130a)로부터 외부 개구부(130b)를 향하여 서서히 커지도록 단차를 형성했을 경우에는, 관통홀(130)에 삽입된 튜브(20)를 단차의 표면을 따라 하우징측 개구부(130a)에 안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의 튜브(20)의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차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홀(130)의 내벽의 둘레상의 일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홀(130)의 내벽의 둘레상의 전체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이가 관통홀(130)의 단차의 높이(H) 이하이면서, 또한 연통홀(126)의 연통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단차를 연통홀(126)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변형예 2)
도 14(a), (b)는, 도 5에 나타낸 연통홀(126)과 상이한 연통홀(126)의 예(변형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 (b)에 나타낸 연통홀(126)의 단면 형상은, 도 5에 나타낸 연통홀(126)과 상이하다.
도 14(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홀(126)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에 있어서의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도 14(a), (b)의 E2 방향)은, 타이어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이어 밸브(104)에 삽입된 튜브(20)는 관통홀(130) 및 연통홀(126)을 통해,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로부터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안내된다. 이에 의해, 튜브(20)를 타이어 공동 영역의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에 용이하게 도달시킬 수 있으므로, 타이어 공동 영역의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에 고인 펑크 수리액(4)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연통홀(126)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에 있어서의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도 14(a), (b)의 E2 방향)과 연통홀(126)의 밸브측 개구부(126b)에 있어서의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도 14(a), (b)의 E3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0°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의 튜브(20)의 삽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홀(126)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 측은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예 3)
도 15 내지 17은, 상기 실시형태와 상이한 다른 취득장치(100)의 예(변형예 3)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17에 각각 나타낸 취득장치(100)가 상기 실시형태의 취득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타이어 밸브(104)의 관통부(128)를 연통홀(126)에 삽입하여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착탈기구가 하우징(102)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하우징(102)과 타이어 밸브(104)를 착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펑크 수리시에 펑크 수리액(4)이 타이어 밸브(104)에 부착되었을 경우에도, 타이어 밸브(104)만을 분리하여 새로운 타이어 밸브로 교환할 수 있다.
도 15는, 변형예 3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낸 관통부(128)의 외주면에는 수 나사가 형성되고, 연통홀(126)의 밸브측 개구부(126b)측의 내벽에는 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통홀(126)에 형성된 암 나사는 착탈기구의 일례이다. 관통부(128)의 수 나사와 연통홀(126)의 암 나사를 나사 결합시키거나 혹은 분리시킴으로써, 타이어 밸브(104)를 하우징(102)에 대해 착탈할 수 있다.
도 16(a), (b)는, 도 15에 나타낸 예와는 상이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는 하우징(102)의 평면도이고, 도 16(b)는 하우징(102)의 외부로부터 연통홀(126)의 밸브측 개구부(126b)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2)의 볼록부(102a)에는 연통홀(126)의 측면으로부터 관통부(128)를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홈(102b)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102b)은 착탈기구의 일례이다. 홈(102b)에 삽입된 관통부(128)가 연통홀(126)의 홀의 위치와 위치 맞춤되어 계지됨으로써, 타이어 밸브(104)가 하우징(102)에 장착된다.
도 17(a) 내지 (c)는, 도 15 및 16에 나타낸 예와는 상이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의 볼록부(102a)의 측면에는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된 계지편(102c)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계지편(102c)은 착탈기구의 일례이다. 계지편(102c)에는 연통홀(126)의 내벽으로부터 연통홀(126)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하는 계지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부(128)를 연통홀(126)에 삽입하면, 계지편(102c)은 계지 돌기가 관통부(128)에 접촉하면서, 연통홀(126)의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도 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부(128)를 더 삽입하여 계지 돌기가 관통부(128)에 설치된 오목부에 접촉하면, 계지편(102c)의 탄성 변형이 복원된다. 이 때, 관통부(128)는 계지 돌기에 의해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으로 계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타이어 밸브(104)가 하우징(102)에 장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여러 취득장치를 제작했다. 제작한 취득장치를 타이어 공동 영역 내에 설치하여, 펑크 수리액을 타이어 밸브의 관통홀로부터 주입한 후에, 통기홀 표면에 펑크 수리액이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또한 제작한 취득장치에 있어서의 연통홀(126)의 지름 및 타이어 밸브의 내경의 최소값은 2.5㎜이다.
하기 표 1은, 비교예 1 내지 2, 실시예 1 내지 3의 각각에 대해, 통기홀 표면에 펑크 수리액이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는, 연통홀(126)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에 있어서의 연통홀(126)의 연장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연통홀(126)의 공동 영역측 개구부(126a)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내의 위치에 통기홀(122)을 설치한 취득장치이다.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상기 전망 각도를 140° 내지 180°의 범위에서 변화시켰다.
Figure 112014018484835-pct00001
비교예 1 내지 2, 실시예 1 내지 3의 비교로부터, 상기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내외의 위치에 통기홀(122)을 설치함으로써, 통기홀(122) 표면에 펑크 수리액이 부착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의 효과는 분명하다.
이상, 본 발명의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된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이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차량
2, 2a, 2b, 2c, 2d: 타이어
3: 림
4: 펑크 수리액
10: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100, 100a, 100b, 100c, 100d: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
200: 감시장치
102: 하우징
102a: 볼록부
102b: 홈
102c: 계지편
104: 타이어 밸브
110: 센서 유닛
112: 송신기
120: 내부 공간
122: 통기홀
122a: 외측 개구부
122b: 내측 개구부
126: 연통홀
126a: 공동 영역측 개구부
126b: 밸브측 개구부
130: 관통홀
130a: 하우징측 개구부
130b: 외부 개구부
132: 밸브 코어
200: 감시장치

Claims (8)

  1.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장치로서,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는 타이어 밸브와,
    상기 센서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통기홀과, 상기 타이어 밸브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접속하고, 상기 타이어 밸브의 상기 개구부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연통홀의 지름 및 상기 타이어 밸브의 내경의 최소값은 2.5㎜ 이상이며,
    상기 통기홀은 상기 연통홀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연통홀의 상기 개구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은,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통홀은 굴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의 홀 단면적은, 상기 타이어 밸브의 내경이 최소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의 홀 단면적보다 큰 취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밸브의 홀 단면적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타이어 밸브의 타이어 외부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외부 개구부를 향하여 커지도록, 상기 밸브의 내벽에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차가 설치되고, 상기 단차의 높이가 1㎜ 이하인 취득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의 양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연통홀의 연장 방향끼리 이루는 각도가 25° 이하인 취득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타이어 밸브를 상기 연통홀에 삽입하여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착탈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취득장치.
  6.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취득장치와, 수신장치와, 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득장치는,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는 타이어 밸브와,
    상기 센서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통기홀과, 상기 밸브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접속하고, 상기 밸브의 상기 개구부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연통홀의 지름 및 상기 밸브의 내경의 최소값은 2.5㎜ 이상이며,
    상기 통기홀은 상기 연통홀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연통홀의 상기 개구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은,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통홀은 굴곡하고,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취득장치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타이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부는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된 상기 타이어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어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7. 타이어의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장치가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펑크 수리액이 주입된 타이어로부터 펑크 수리액을 회수하는 회수방법으로서,
    상기 취득장치는,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는 타이어 밸브와,
    상기 센서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통기홀과, 상기 타이어 밸브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접속하고, 상기 타이어 밸브의 상기 개구부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연통홀의 지름 및 상기 타이어 밸브의 내경의 최소값은 2.5㎜ 이상이며,
    상기 통기홀은 상기 연통홀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연통홀의 상기 개구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은,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통홀은 굴곡하고,
    상기 취득장치가 설치되면서, 또한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펑크 수리액이 주입된 타이어에 대해, 상기 취득장치의 타이어 밸브의 밸브 코어를 분리해내는 스텝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의 공기가 상기 타이어 밸브를 통해 타이어의 외부로 배출되고 있을 때, 튜브를 상기 취득장치의 타이어 밸브로부터 타이어 공동 영역의 펑크 수리액에 도달할 때까지 삽입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
  8. 타이어 공동 영역에 설치되고, 타이어 상태에 관한 타이어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장치를 구비한, 림에 타이어를 조립한 타이어 조립체로서,
    상기 타이어와,
    상기 타이어를 조립한 상기 림과,
    상기 취득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취득장치는,
    상기 타이어와 상기 림으로 둘러싸인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에 충전되는 기체의 상태를, 타이어 정보로서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과 타이어의 외부의 대기를 통기하는 타이어 밸브와,
    상기 센서를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으로부터 구획된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과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통기홀과, 상기 타이어 밸브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접속하고, 상기 밸브의 상기 개구부와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을 연통하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연통홀의 지름 및 상기 타이어 밸브의 내경의 최소값은 2.5㎜ 이상이고,
    상기 통기홀은 상기 연통홀의 상기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을 중심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연통홀의 상기 개구의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한 전망 각도가 140° 미만이 되는 범위의 외측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연통홀의 타이어 공동 영역측의 단부의 개구에 있어서의 상기 연통홀의 연장 방향은, 타이어 폭 방향으로부터 타이어 지름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연통홀은 굴곡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조립체.



KR1020147004906A 2011-09-02 2012-08-29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 KR101943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1824 2011-09-02
JP2011191824A JP5982757B2 (ja) 2011-09-02 2011-09-02 タイヤ情報を取得装置、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パンク修理液の回収方法
PCT/JP2012/005460 WO2013031220A1 (ja) 2011-09-02 2012-08-29 タイヤ情報取得装置、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パンク修理液の回収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295A KR20140056295A (ko) 2014-05-09
KR101943830B1 true KR101943830B1 (ko) 2019-01-30

Family

ID=4775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906A KR101943830B1 (ko) 2011-09-02 2012-08-29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09451B2 (ko)
EP (1) EP2752313B1 (ko)
JP (1) JP5982757B2 (ko)
KR (1) KR101943830B1 (ko)
CN (1) CN103747968B (ko)
RU (1) RU2565850C1 (ko)
WO (1) WO20130312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75577A1 (en) * 2014-06-27 2015-12-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essure system for a tire assembly of a vehicle
DE202016101336U1 (de) * 2016-03-10 2016-03-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Reifendruckkontrollsystem für ein Fahrzeug
US11400667B2 (en) * 2016-12-15 2022-08-02 Active Tools International (Hk) Ltd. Tire maintenance means
JP7328488B2 (ja) 2018-07-09 2023-08-17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情報取得装置
CN113242805B (zh) * 2019-08-29 2023-05-05 太平洋工业株式会社 发送器、接收器以及收发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3328B2 (ja) * 2010-01-15 2011-08-10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0332B (en) * 2000-09-02 2003-02-11 Lite On Automotive Corp Status sensor of inflated automobile tire
RU2004113658A (ru) * 2001-10-04 2005-02-10 Континенталь Тевес Аг Унд Ко. Охг (De)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параметров состояния шины колеса
FR2884610B1 (fr) * 2005-04-18 2007-05-25 Siemens Vdo Automotive Sas Procede de protection contre les decharges electrostatiques pour un boitier electronique
JP2007331210A (ja) * 2006-06-14 2007-12-27 Bridgestone Corp シーリング剤回収装置
JP2008001222A (ja) * 2006-06-22 2008-01-10 Superstar:Kk ホイール、エアーバルブ、並びに空気圧センサの移設方法
JP4197024B2 (ja) * 2006-09-06 2008-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輪状態検出装置および車輪状態監視装置
JP4737727B2 (ja) * 2009-06-26 2011-08-03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状態取得装置及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4623231B1 (ja) 2009-11-30 2011-02-0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の状態に関する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CN104842571B (zh) * 2010-01-15 2017-12-12 横滨橡胶株式会社 爆胎修理液的回收方法以及回收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3328B2 (ja) * 2010-01-15 2011-08-10 横浜ゴム株式会社 パンク修理液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47968A (zh) 2014-04-23
US20140216147A1 (en) 2014-08-07
KR20140056295A (ko) 2014-05-09
CN103747968B (zh) 2017-03-22
EP2752313A1 (en) 2014-07-09
WO2013031220A1 (ja) 2013-03-07
RU2565850C1 (ru) 2015-10-20
US9409451B2 (en) 2016-08-09
EP2752313B1 (en) 2017-06-28
JP5982757B2 (ja) 2016-08-31
JP2013052739A (ja) 2013-03-21
EP2752313A4 (en) 2015-07-01
RU2014110269A (ru) 2015-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830B1 (ko) 타이어 정보 취득장치,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및 펑크 수리액의 회수방법
KR101353914B1 (ko)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RU2526785C1 (ru)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 состоянии шины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шины
US8789412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ire condition and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JP5761381B2 (ja) 送信装置、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タイヤ組立体
KR101608313B1 (ko) 타이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658977B1 (ko) 타이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타이어 정보 감시 시스템
KR101950774B1 (ko) 차량용 휠 및 타이어 정보 취득 장치용 부착구
JP5712989B2 (ja) 送信装置及びタイヤ状態監視システム
JP2012001038A (ja) タイヤ情報を送信する送信装置およびタイヤ情報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