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30B1 -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30B1
KR101950730B1 KR1020160084287A KR20160084287A KR101950730B1 KR 101950730 B1 KR101950730 B1 KR 101950730B1 KR 1020160084287 A KR1020160084287 A KR 1020160084287A KR 20160084287 A KR20160084287 A KR 20160084287A KR 101950730 B1 KR101950730 B1 KR 10195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sium
magnetic
hydrothermal reaction
metal
hexacyanofer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559A (ko
Inventor
박태홍
조영진
배상은
임상호
박재일
윤영상
연제원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8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730B1/ko
Priority to JP2019500288A priority patent/JP6813656B2/ja
Priority to PCT/KR2017/007057 priority patent/WO2018008930A1/ko
Priority to US16/315,075 priority patent/US10933401B2/en
Priority to EP17824486.9A priority patent/EP3479898A4/en
Publication of KR2018000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9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25Compounds of Fe, Ru, Os, Co, Rh, Ir, Ni, Pd, Pt
    • B01J20/0229Compounds of 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2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containing metals, e.g. organo-metallic compounds, coordination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1Other properties, e.g. density, crush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10Inorganic compounds or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7/00Single-crystal growth from solutions using solvents which are liquid at normal temperature, e.g. aqueous solutions
    • C30B7/10Single-crystal growth from solutions using solvents which are liquid at normal temperature, e.g. aqueous solutions by application of pressure, e.g. hydrothermal process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2Processing by absorption; by adsorption;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8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are suspended in a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006Radioactiv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ompounds Of Iron (AREA)
  •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In General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수열반응시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MAGNETIC ADSORBENT OF CESI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REMOVING CESIU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Cs-137은 핵분열시 발생하는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이며, 그 반감기는 약 30년이다. 특히, 원자력발전소 등의 원자력시설에서 중대사고가 발생하면 다량의 Cs-137이 방출될 수 있고, 이는 토양, 강, 바다 등을 심각하게 오염시킬 수 있다.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와 같은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Cs에 대한 선택적 흡착능력이 뛰어나 방사성 원소에 오염된 물과 토양에서 Cs-137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인 흡착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아 현장에서 Cs-137가 흡착된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필터를 통한 여과로 제거하기에 큰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와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접목시킨 복합체를 제조한 후, 자기장을 이용하여 용액 상에서 분리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Nanomaterials 2014, 4, 894-901(2014.11.28.)
본 발명은 (a)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수열반응시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a)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수열반응시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자성 세슘 흡착제를 세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분산시켜 세슘을 흡착하는 단계; 및 자석 또는 필터를 이용하여 세슘이 흡착된 자성 세슘 흡착제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자성 세슘 흡착제는 세슘 흡착률이 우수한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 바람직하게, 입방체(cubic) 결정 구조의 금속(특히, 니켈 또는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대상으로 간단한 수열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별도로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를 도입하지 않고도, 그 자체로 자성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자석을 이용한 분리가 가능하고, 수열반응으로 인해 평균 입자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필터를 이용한 분리 역시 용이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 등의 원자력시설에서 중대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핵분열시 발생하는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인 Cs-137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입방체(cubic) 결정 구조의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수열반응 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와, 4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라만분광(Raman spectroscop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수열반응 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와, 4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XRD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수열반응 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와, 4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S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수열반응 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와, 4시간, 8시간 및 18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의 자성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자들은 세슘 흡착제에 대해 연구하던 중, 수열반응을 통해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를 제조하고, 이의 평균 입자 크기, 자성 특성 및 세슘 흡착률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종래에는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와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접목시킨 복합체를 제조한 후, 자기장을 이용하여 용액 상에서 분리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와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접목시키기 위한 합성과정이 요구되고, 복합체가 자기장으로 분리되기에 충분한 자성을 띄기 위해서는 복합체에서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Cs-137 흡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는바,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를 도입하지 않고도, 그 자체로 자성 특성을 가지는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자성 세슘 흡착제
본 발명은 (a)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수열반응시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 내 “자성 세슘 흡착제”라 함은 별도로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를 도입하지 않고도, 상온에서 그 자체로 상자성(paramagnetic)을 가지는 세슘 흡착제로서, 이는 수열반응을 통해 금속 이온의 전자 구조에 변화가 수반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내 “입방체(cubic) 결정 구조”라 함은 정사각형 6개로 이루어진 다면체로서, 등축 결정 구조를 말하고, 본원 명세서 내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라 함은 마름모 6개로 이루어진 다면체로서, 세개의 축의 길이는 같고, 축각이 90°가 아닌 결정 구조를 말한다.
먼저, 본 발명은 (a)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금속 화합물 및 헥사시아노페레이트 전구체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화합물은 전이 금속을 포함한 화합물로서, 전이 금속은 니켈, 망간, 철, 코발트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Ni(OCOCH3)2·4H2O또는 Mn(OCOCH3)2·4H2O일 수 있고, 물 및 DMF 용매에 용해된 용액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헥사시아노페레이트 전구체는 소듐 헥사시아노페레이트(Na4Fe(CN)6),칼륨 헥사시아노페레이트(K4Fe(CN)6)및 암모늄 헥사사아노페레이트((NH4)4Fe(CN)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물에 용해된 용액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화합물 및 상기 헥사시아노페레이트 전구체를 반응시켜 제조된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입방체(cubic) 결정 구조일 수 있다. 즉, 수열반응 전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입방체 결정 구조로서, 통상적으로 상온에서 자석에 반응할 정도로 충분한 자성 특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열반응 전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그 자체로 상온에서 충분한 자성 특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자석을 이용하여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성 나노입자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다만, 수열반응 전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예외적으로 약간의 자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렇지만, 수열반응 전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금속 이온의 전자 구조에 변화가 생기기 전인 상태인바, 그 자체로 자성 특성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에서 시아노 리간드의 탄소 원자는 철 이온과 6배위 결합을 형성하고, 시아노 리간드의 질소 원자는 금속 이온과 6배위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입방체 결정 구조의 열린 골격(open framework) 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열린 골격 구조를 통해 Na+와 같은 양이온이 출입할 수 있다. 이때, Na+와 같은 양이온이 입방체 결정 골격 구조의 철과 치환된 전이금속 쪽으로 이동하여 상호작용하면서 능면체 결정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금속 이온은 니켈, 망간, 철, 코발트 및 구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전이금속 이온 중에서도 니켈 또는 망간 이온일 수 있다. 니켈 또는 망간은 지각에 존재량이 풍부한 원소이기 때문에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합성 비용이 싸고, 입방체 구조의 니켈 또는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세슘을 선택적으로 잘 흡착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전이금속 이온 중에서도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니켈 이온을 적용하는 경우, 다른 전이금속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안정성 측면에서 더욱 우수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b)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수열반응시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내 “수열반응”이라 함은 고온고압 하에 물 또는 수용액 조건에서 결정을 합성하거나 키우는 액상반응을 말하며, 일반적인 조건(≤100 ℃, ≤1 atm)에서 화합물의 직접 용융이 어려운 경우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반응물질을 압력용기(sealed pressure vessel) 내에 넣고, 물 또는 수용액을 상당 부분 채운 다음 밀폐시켜서 고온 상태가 되도록 가열한다. 압력용기는 오토클레이브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압력용기 내부에서는 고온고압 하에 물 또는 수용액 조건을 유지한 채로,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반응 종결 후 온도를 낮추게 되면 과포화된 양만큼 적출된다. 압력용기 내의 온도를 물 또는 수용액의 끓는점 이상으로 높이면, 압력용기 내에 엄청난 압력이 만들어지게 되므로, 사용되는 압력용기는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특수 강철로 만든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열반응을 통해, 반응물질의 결정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고, 평균 입자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열반응은 120℃ 내지 200℃의 온도 및 2bar 내지 15 bar 압력 하에, 20분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열반응의 온도 조건은 120℃ 내지 20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온도 조건이 120℃ 미만인 경우, 금속 이온의 전자 구조에 변화가 충분하지 못하여 자성 특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온도 조건이 200℃를 초과하는 경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가 분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열반응의 압력 조건은 압력용기 내 압력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2bar 내지 15 bar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열반응은 20분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시간 내지 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3시간 내지 5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수열반응이 20분 미만 동안 수행되는 경우, 금속 이온의 전자 구조에 변화가 충분하지 못하여 자성 특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20시간을 초과하는 동안 수행되는 경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과도한 변형으로 인하여 세슘 흡착률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열반응 후, 수열반응에 사용된 물 또는 수용액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수열반응시켜 제조된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는 XRD 패턴을 통해 확인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가 17, 24, 25, 35, 38.5, 39.8, 49.5, 51, 53.5, 56.2 및 57.4 2θ(± 0.2°)에서 특징적인 XRD 피크를 보일 수 있다.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가 17, 23.5, 24.2, 34.2, 37.8, 38.5, 48.2, 49.5, 52.2, 54.8 및 55.6 2θ(± 0.2°)에서 특징적인 XRD 피크를 보일 수 있다.
즉, 수열반응 후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로서, 자성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수열반응시켜 제조된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1mm일 수 있고,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 대비 평균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세슘 흡착 후 필터를 통한 분리가 용이하다.
자성 세슘 흡착제
본 발명은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를 제공한다.
상기 자성 세슘 흡착제는 전술한 수열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에서 금속 이온이 니켈 이온인 경우, 17, 24, 25, 35, 38.5, 39.8, 49.5, 51, 53.5, 56.2 및 57.4 2θ(± 0.2°)에서 특징적인 XRD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에서 금속 이온이 망간 이온인 경우, 17, 23.5, 24.2, 34.2, 37.8, 38.5, 48.2, 49.5, 52.2, 54.8 및 55.6 2θ(± 0.2°)에서 특징적인 XRD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평균 입자 크기는 수열반응 시간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0.1㎛ 내지 1mm일 수 있다.
일 예로, 4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약 0.5~1㎛로 구형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 대비 상기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평균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세슘 흡착 후 필터를 통한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서로 뭉쳐서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의 형성으로 인하여 필터를 통한 분리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세슘 제거방법
상기 자성 세슘 흡착제를 세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분산시켜 세슘을 흡착하는 단계; 및 자석 또는 필터를 이용하여 세슘이 흡착된 자성 세슘 흡착제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 세슘 흡착제를 세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분산시켜 세슘을 흡착한 후, 자석 또는 필터를 이용하여 세슘이 흡착된 자성 세슘 흡착제를 분리한다.
상기 세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은 구체적으로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인 Cs-137를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고, 예를 들면, Cs-137로 광범위하게 오염된 수영장, 하천, 강, 호수, 습지 등 다양한 물이거나, Cs-137가 포함된 원자력 발전소의 액체 폐기물일 수 있다.
상기 자성 세슘 흡착제는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자성 세슘 흡착제는 그 자체로 자성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를 접목시키지 않더라도 자석을 이용한 분리가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자석을 이용한 분리는 자성 세슘 흡착제를 비커 내 세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분산시킨 후, 네오디뮴(neodymium) 자석을 비커 외부 벽면에 위치시키고, 네오디뮴 자석을 통해 세슘이 흡착된 자성 세슘 흡착제를 비커 내부 벽면에 모으고 나머지 용액을 따라냄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성 세슘 흡착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필터를 이용한 분리 역시 용이하다. 일 예로, 상기 필터를 이용한 분리는 별도의 자석을 사용하지 않고도, 세슘이 흡착된 자성 세슘 흡착제 보다 작은 필터 기공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자석을 이용한 분리와 필터를 이용한 분리를 접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세슘 제거방법을 통해,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세슘의 흡착률은 90% 이상일 수 있다:
[수학식 1]
세슘의 흡착률(%)= (분리 전 용액 내 세슘의 농도 - 분리 후 용액 내 세슘의 농도)/분리 전 용액 내 세슘의 농도 × 10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는 세슘 흡착률이 우수한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 바람직하게, 입방체(cubic) 결정 구조의 금속(특히, 니켈 또는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대상으로 간단한 수열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별도로 자성을 띠는 나노입자를 도입하지 않고도, 그 자체로 자성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자석을 이용한 분리가 가능하고, 수열반응으로 인해 평균 입자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에 필터를 이용한 분리 역시 용이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원자력발전소 등의 원자력시설에서 중대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핵분열시 발생하는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인 Cs-137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10mmol Ni(OCOCH3)2·4H2O2.69g을 H2O175ml및 DMF 25ml에 녹여 제1 용액을 제조하였다. 10mmol Na4[Fe(CN)6]·10H2O4.84g및 NaCl 7g을 H2O175ml에 녹여 제2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1 용액을 제2 용액에 천천히 가한 후,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킨 결과,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하고, 메탄올로 3번 린스한 후, 공기 중에서 건조시켜 입방체(cubic) 결정 구조의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Na2Ni[Fe(CN)6])를 제조하였다(도 1 참고).
입방체(cubic) 결정 구조의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 76mg을 증류수 5ml에 넣고, 5분 동안 초음파 처리시킴으로써 분산시킨 후, 오토클레이브 내 140℃의 온도 하에, 4시간, 8시간 및 18시간 수열반응시켰다. 수열반응 종료 후, 반응수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3번 린스 한 후,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Na2Ni[Fe(CN)6])를 제조하였다.
도 2는 수열반응 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와, 4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라만분광(Raman spectroscopy)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라만분광(Raman spectroscopy) 분석 스펙트럼에서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에서 니켈 이온과 결합된 시아노 리간드(CN-) 신호는 2000~2250 cm-1에서 확인된다. 구체적으로, 라만분광(Raman spectroscopy) 분석 스펙트럼에서 수열반응 전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에서 니켈 이온과 결합된 시아노 리간드(CN-) 신호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수열반응이 진행되더라도 새로운 작용기가 형성되지 않았고, 니켈 이온과 시아노 리간드 사이 골격이 붕괴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수열반응 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와, 4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XRD 패턴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열반응 전과 달리, 4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17, 24, 25, 35, 38.5, 39.8, 49.5, 51, 53.5, 56.2 및 57.4° 2θ(± 0.2°)에서 XRD 피크를 가지는바, 수열반응 전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입방체(cubic) 결정 구조가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로 변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수열반응 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와, 4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S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4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평균 입자 크기는 약 0.5~1㎛로의 구형 형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중 일부는 서로 뭉쳐서 클러스터를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평균 입자 크기가 커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2
9.2mmol Mn(OCOCH3)2·4H2O2.30g을 H2O50ml에 녹여 제1 용액을 제조하였다. 2.4mmol Na4[Fe(CN)6]·10H2O1.14g및 NaCl 7g을 H2O200ml에 녹여 제2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1 용액을 제2 용액에 천천히 가한 후,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킨 결과,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하고, 메탄올로 3번 린스한 후, 공기 중에서 건조시켜 입방체(cubic) 결정 구조의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Na2Mn[Fe(CN)6])를 제조하였다.
입방체(cubic) 결정 구조의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 76mg을 증류수 5ml에 넣고, 5분 동안 초음파 처리시킴으로써 분산시킨 후, 오토클레이브 내 120℃ 및 140℃의 온도 하에, 4시간 수열반응시켰다. 수열반응 종료 후, 반응수용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3번 린스 한 후,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Na2Mn[Fe(CN)6])를 제조하였다.
4시간 수열반응 후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XRD 패턴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수열반응 전과 달리, 4시간 수열반응 후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17, 23.5, 24.2 34.2, 37.8, 38.5, 48.2, 49.5, 52.2, 54.8 및 55.6° 2θ(± 0.2°) XRD 피크를 가지는바, 수열반응 전 헥사시아노페레이트의 입방체(cubic) 결정 구조가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로 변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에 따라, 4시간, 8시간 및 18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 10mg을 비커 내 25ppm 세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 15ml에 분산시킨 후, 네오디뮴 자석을 비커 외부 벽면에 위치시켰다.
그 결과, 도 5는 수열반응 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와, 4시간, 8시간 및 18시간 수열반응 후 니켈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의 자성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열반응 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는 자성 특성을 가지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나, 수열반응 후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자성 세슘 흡착제는 자성을 띠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네오디뮴 자석을 통해 세슘이 흡착된 세슘 흡착제를 비커 내부 벽면에 모으고 나머지 용액을 따라냄으로써, 세슘이 흡착된 자성 세슘 흡착제를 분리하였고, 분리 전후를 기준으로, ICP-MS(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법)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세슘의 흡착률을 평가하였다.
[수학식 1]
세슘의 흡착률(%)= (분리 전 용액 내 세슘의 농도 - 분리 후 용액 내 세슘의 농도)/분리 전 용액 내 세슘의 농도 × 100.
수열반응
시간
분리 전 세슘의 농도
(ppm)
분리 후 세슘의 농도
(ppm)
세슘의 흡착률
(%)
4시간 25 2.5 90
8시간 25 4.5 82
18시간 25 7.1 72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니켈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는 최대 90%의 세슘 흡착률을 보이고, 수열반응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세슘 흡착률은 오히려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수열반응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금속 이온과 시아노 리간드 사이 결합에 균열이 발생하여, 열린 골격(open framework) 구조가 붕괴되기 때문이다.
실험예 2
실시예 2에 따라, 수열반응 전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 10mg과, 120℃ 및 140℃의 온도 하에, 4 시간 수열반응 후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세슘 흡착제 10mg 각각을 비커 내 25ppm 세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 15ml에 분산시킨 후, 네오디뮴 자석을 비커 외부 벽면에 위치시켰다.
이후, 네오디뮴 자석을 통해 세슘이 흡착된 세슘 흡착제를 비커 내부 벽면에 모으고 나머지 용액을 따라냄으로써, 세슘이 흡착된 자성 세슘 흡착제를 분리하였고, 분리 전후를 기준으로, ICP-MS(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법)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세슘의 흡착률을 평가하였다.
[수학식 1]
세슘의 흡착률(%)= (분리 전 용액 내 세슘의 농도 - 분리 후 용액 내 세슘의 농도)/분리 전 용액 내 세슘의 농도 × 100.
수열반응
여부 및 온도
분리 전 세슘의 농도
(ppm)
분리 후 세슘의 농도
(ppm)
세슘의 흡착률
(%)
수열 반응 전 25 0.179 99.3
수열 반응 후(120℃) 25 0.011 99.9
수열 반응 후(140℃) 25 0.087 99.9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 포함 자성 세슘 흡착제는 99.9%의 매우 높은 세슘 흡착률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수열반응 전 망간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예외적으로 약간의 자성 특성을 가지나, 수열반응을 통해 이러한 자성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수열반응을 이용한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으로서,
    (a)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및
    (b) 상기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수열반응시켜 능면체(rhombohedral) 결정 구조의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에서 수열반응은 120 ℃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는 입방체(cubic) 결정 구조인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에서 금속 헥사시아노페레이트에서 시아노 리간드의 탄소 원자는 철 이온과 6배위 결합을 형성하고, 시아노 리간드의 질소 원자는 금속 이온과 6배위 결합을 형성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이온은 니켈 또는 망간 이온인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에서 수열반응은 2bar 내지 15 bar 압력 하에, 20 분 내지 20 시간 동안 수행되는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에서 수열반응 후, 물 또는 수용액을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성 세슘 흡착제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따른 방법으로 자성 세슘 흡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자성 세슘 흡착제를 세슘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에 분산시켜 세슘을 흡착하는 단계; 및
    자석 또는 필터를 이용하여 세슘이 흡착된 자성 세슘 흡착제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슘 제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세슘의 흡착률은 90% 이상인
    세슘 제거방법:
    [수학식 1]
    세슘의 흡착률(%)= (분리 전 용액 내 세슘의 농도 - 분리 후 용액 내 세슘의 농도)/분리 전 용액 내 세슘의 농도 × 100.
KR1020160084287A 2016-07-04 2016-07-04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 KR10195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287A KR101950730B1 (ko) 2016-07-04 2016-07-04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
JP2019500288A JP6813656B2 (ja) 2016-07-04 2017-07-04 磁性セシウム吸着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セシウム除去方法
PCT/KR2017/007057 WO2018008930A1 (ko) 2016-07-04 2017-07-04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
US16/315,075 US10933401B2 (en) 2016-07-04 2017-07-04 Magnetic cesium adsorbent,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cesium removal method using same
EP17824486.9A EP3479898A4 (en) 2016-07-04 2017-07-04 MAGNETIC CESIUM ADSORBEN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ESIUM REMOVAL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287A KR101950730B1 (ko) 2016-07-04 2016-07-04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59A KR20180004559A (ko) 2018-01-12
KR101950730B1 true KR101950730B1 (ko) 2019-02-21

Family

ID=6091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287A KR101950730B1 (ko) 2016-07-04 2016-07-04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33401B2 (ko)
EP (1) EP3479898A4 (ko)
JP (1) JP6813656B2 (ko)
KR (1) KR101950730B1 (ko)
WO (1) WO2018008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117B1 (ko) * 2018-09-21 2023-09-25 한국전기연구원 이차 전지의 전극용 양극소재의 제조방법
KR102206876B1 (ko) 2018-11-30 2021-01-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세슘 이온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이온 제거 방법
CN111252784B (zh) * 2020-01-22 2021-06-22 宇恒电池有限公司 一种锰基普鲁士白正极材料的制备方法及其在钠离子电池电极中的应用
CN113042034B (zh) * 2021-03-25 2022-04-26 湖南省尤利威科技有限公司 一种灭菌除醛双效锰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3375B1 (ja) 2013-12-02 2015-05-07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セシウム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セシウム吸着剤を使用したセシウムの除去方法
US20150287991A1 (en) 2012-03-28 2015-10-0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ition Metal Hexacyanoferrate Battery with Single Plateau Charge/Discharge Curv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5767B2 (ja) * 2005-02-17 2012-09-2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プルシアンブルー型金属錯体超微粒子、その分散液、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FR2945756B1 (fr) 2009-05-20 2011-08-0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Materiau solide nanocomposite a base d'hexa-et octacyanometallates,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procede de fixation de polluants mineraux le mettant en oeuvre.
JP5032713B1 (ja) 2011-10-13 2012-09-26 株式会社Cdmコンサルティング 放射性物質を含む土壌の処理方法
JP2013127372A (ja) * 2011-12-16 2013-06-27 Vision Development Co Ltd 放射性物質の吸着剤を含有してなるエアフィルタ、並びにそれを用いたマスク及び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
US9450224B2 (en) * 2012-03-28 2016-09-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odium iron(II)-hexacyanoferrate(II) battery electrode and synthesis method
WO2013157660A1 (en) 2012-04-17 2013-10-24 Sharp Kabushiki Kaisha Alkali and alkaline-earth ion batteries with hexacyanometallate cathode and non-metal anode
JP6240382B2 (ja) * 2012-11-16 2017-11-29 株式会社Ihi 放射性セシウム吸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放射性セシウムの回収方法
JP6345774B2 (ja) * 2014-06-06 2018-06-20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アンモニア吸着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7991A1 (en) 2012-03-28 2015-10-0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ransition Metal Hexacyanoferrate Battery with Single Plateau Charge/Discharge Curve
JP5713375B1 (ja) 2013-12-02 2015-05-07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セシウム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セシウム吸着剤を使用したセシウムの除去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 Loos-Neskovic 외 7인, Journal of Solid State Chemistry 177권 (2004) 1817-1828쪽*
R Martinez-Garcia 외 2인, J. Phys.: Condens. Matter 18권 (2006) 11243-11254쪽*
Thierry Vincent 외 2인, Molecules 2015, 20권, 20582-20613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9898A4 (en) 2020-03-18
US20190210004A1 (en) 2019-07-11
JP6813656B2 (ja) 2021-01-13
EP3479898A1 (en) 2019-05-08
WO2018008930A1 (ko) 2018-01-11
US10933401B2 (en) 2021-03-02
KR20180004559A (ko) 2018-01-12
JP2019522563A (ja)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730B1 (ko) 자성 세슘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슘 제거방법
US20170151548A1 (en) Sorption And Separation of Various Materials By Graphene Oxides
CN107029671B (zh) 一种改性Fe3O4@MOF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9499529A (zh) 一种氮掺杂的磁性多孔碳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Tang et al. Graphene oxide/chitosan/potassium copper hexacyanoferrate (II) composite aerogel for efficient removal of cesium
CN105617979B (zh) 一种改性介孔二氧化硅吸附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429560B1 (ko) 자성나노입자 기반으로 하는 방사성 세슘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방법
US9659678B2 (en) Method for removing cesium ions from water
CN112169748B (zh) 一种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936237B (zh) 一种杯芳烃及其分离纯化钍的方法
Li et al. Emerging investigator series: significantly enhanced uptake of Eu 3+ on a nanoporous zeolitic mineral in the presence of UO 2 2+: insights into the impact of cation–cation interaction on the geochemical behavior of lanthanides and actinides
KR101658475B1 (ko) 자성 흡착제 제조 방법
KR102346593B1 (ko) 프러시안 블루 및 그 제조방법
CN103611503A (zh) α-酮戊二酸改性的磁性壳聚糖、制备方法及其在含镉废水处理领域中的应用
KR101440215B1 (ko) 페로시안이 고정된 메조포러스 실리카의 제조방법
Lv et al. Rapid and highly selective Sr2+ uptake by 3D microporous rare earth oxalates with the facile synthesis, high water stability and radiation resistance
JP2014115135A (ja) 放射性Cs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Abbasi et al. Liquid–liquid extraction of scandium with nalidixic acid in dichloromethane
JP2013120102A (ja) 放射性物質で汚染された土壌の除染方法
JP2013237036A (ja) 水に含有される金属イオンの除去方法、水に含有される不純物イオンの除去方法、及び水に含有される金属イオンの除去に用いる金属吸着剤の製造方法
KR101576396B1 (ko) 페로시안화 금속이 고정된 코어-쉘 자성 실리카의 제조방법 및 세슘 또는 스트론튬 흡착제
US20150292058A1 (en) Method for recovering indium from indium containing solution or mixture
Wang et al. Cerium separation with NaBiO 3 nanoflower material via an oxidation adsorption strategy
JP5694593B2 (ja) 放射性Cs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705172A (zh) 一种银/铜修饰的炭基吸附剂的制备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