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470B1 - 공중 비계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비계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470B1
KR101948470B1 KR1020180024318A KR20180024318A KR101948470B1 KR 101948470 B1 KR101948470 B1 KR 101948470B1 KR 1020180024318 A KR1020180024318 A KR 1020180024318A KR 20180024318 A KR20180024318 A KR 20180024318A KR 101948470 B1 KR101948470 B1 KR 101948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over
pipe
bridg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권
Original Assignee
유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권 filed Critical 유인권
Priority to KR102018002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공중 비계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는 교량의 상판의 측하면 부위 또는 하면 부위에 결합되는 프레임 유닛들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파이프 라인들을 프레임 유닛에 결합 설치하되 몸체의 일부가 현재 설치된 마지막 프레임 유닛을 오버하는 오버 부위를 갖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파이프 레일들의 오버 부위의 어느 지점과 고정된 구조의 어느 지점을 임시로 연결하는 임시 지지 부재를 설치하여 오버 부위를 지지하는 단계와, 파이프 레일의 오버 부위에 발판 부재와 새로운 프레임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중 비계 설치 방법{METHOD FOR BUILDING AERIAL SCAFFOLDING}
본 발명은 비계 설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 사다리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비계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중 비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하천, 계곡, 강, 호수, 해안 등을 건너거나 건물이나 다른 도로와 같은 통행에 방해가 되는 대상물의 방해 없이 통과하기 위해 건설되는 구조물이다. 교량은 다량의 차량이나 운송 수단들이 수없이 반복하여 지나기 때문에, 철저히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에 대형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의 교량은 주로 H빔과 같은 철강 구조재로 주요 뼈대를 세우고 슬라브와 같은 판재를 얹는 방식을 주로 채용한다. 철강 구조재는 강도와 충격 흡수력이 있기 때문에 교량은 물론 대다수의 건축 구조물에 많이 사용되지만, 부식이 발생하기 쉽다는 약점도 있다. 철강재의 부식은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산화인데, 공기 중에 40% 정도의 습도가 있을 때 산화가 진행된다.
철강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것인 페인트를 도포하는 것이다. 페인트는 철강재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여 습기와 산소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부식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러한 페인트와 같은 도막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열화되기 때문에 들뜨거나 벗겨질 수 있다. 심지어는 도막에 미세한 기공이 있을 경우에도 산소와 습기가 침투하여 부식을 발생시킨다.
또한 교량에 이용되는 철강재들은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는데, 그러한 연결재 역시 부식되거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철강재의 용접 부위에서도 부식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량은 철저한 관리 및 보수가 필수적이며, 매우 자주 보수를 행하여야 한다.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관리 및 보수를 위해서는 소위 비계라고 칭해지는 작업대가 필요하며, 지면으로부터 상당한 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대를 설치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특히 교량이나 고가도로에 설치되는 공중 비계는 지면으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하고 교량 자체에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건축물과는 다른 특수성이 있다.
그 결과, 지금까지는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대형 장비를 동원하여야 하였다. 이를테면, 주로 이용되는 대형 장비로는 바지선, 크레인, 스카이 차량, 굴절차 등이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면 비용이 대단히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설치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교통 수단의 통행을 장시간 통제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다. 결국, 지금까지는 공중 비계의 설치에 직접 소용되는 직접 비용과 교통 통제 등에 따른 사회 비용을 합한 총체적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었다.
한국실용신안출원 20-2002-0035153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대형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보수를 위한 공중 비계를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중 비계 설치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A) 교량의 상판의 측하면 부위 또는 하면 부위에 결합되는 '
Figure 112018020662661-pat00001
' 형상 또는 'Ц' 형상를 가지는 적어도 1 조의 프레임 유닛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 (B) 각각 다수개의 파이프가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적어도 2 라인의 파이프 레일들 각각의 일부를 상기 적어도 1조의 프레임 유닛에 결합 설치하되 몸체의 일부가 현재 설치된 마지막 프레임 유닛을 오버하는 오버 부위를 갖도록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적어도 2 라인의 파이프 레일 각각의 상기 오버 부위의 어느 지점과 고정된 구조의 어느 지점을 임시로 연결하는 임시 지지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적어도 2 라인의 파이프 레일 각각의 상기 오버 부위를 지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적어도 2라인의 파이프 레일의 상기 오버 부위에 발판 부재와 새로운 프레임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마지막 프레임 유닛까지 발판 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D) 이후에 상기 적어도 2라인의 파이프 레일의 단부들 각각에 파이프들을 각각 연결하여 현재 설치된 마지막 프레임 유닛을 오버하는 오버 부위를 연장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단계 (C)와 단계 (D)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교량의 양단 중의 하나 지점에서 최초 상기 단계 (A)를 시작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조의 프레임 유닛과 상기 새로운 프레임 유닛들의 프레임 유닛 각각은 서로 결합된 세로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로 파이프와 가로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유닛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세로 파이프 중 최상단에 설치되는 세로 파이프는 상기 임시 지지 부재의 연결을 위한 걸림 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지지 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지지 부재는: 양단에 각각 걸고리 요소를 가지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권취가 가능한 도르래부; 상기 도르래부의 회전축에 설치된 기어 요소; 상기 도르래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바; 상기 기어 요소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멈춤시키는 죠 요소;를 포함하는 와이어 그립 툴일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레일은 파이프들이 단부를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지선, 고가사다리 등의 대형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비교적 신속하고 안전하게 공중 비계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임시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파이프 레일을 지지한 후 발판 부재 및 프레임 유닛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인력만으로 공중 비계의 설치가 가능하다. 특히, 교량의 일측단에서 설치가 시작되면 비계 구조에 사용되는 부재들을 기설치된 비계 구조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운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대형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그런 대형 장비로 인한 교통 통제를 할 필요가 없다. 더구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발판부재를 포함하는 비계 구조가 완성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발판부재에서 안전하게 편한 자세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공중 비계 구조물은 설치 방법의 역순으로 해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공중 비계 설치 방법에 의해 설치된 공중 비계의 실시예들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설치 방법이 적용되는 공중 비계에 채용되는 프레임 유닛의 예들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 비계 설치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중 비계 설치 방법에 의해 설치되고 있는 공중 비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중 비계 설치 방법이 적용되는 공중 비계에 채용되는 발판 부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중 비계 설치 방법이 적용되는 공중 비계에 채용되는 임시 지지 부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교량이나 고가도로와 같이 상판, 거더 등과 같은 비계 구조가 결합되는 대상이 지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구조물에 비계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교량이나 고가도로를 편의상 교량이라고 칭할 수 있다. 지면으로부터 먼 위치에 설치된 구조에 설치되는 비계 구조를 여기서는 공중 비계 또는 교량 비계라고 칭할 수 있다.
공중 비계를 설치하는데 애로사항은 비계 구조물의 거의 모든 부위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은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계 구조물에 사용되는 파이프, 발판부재 등과 같은 부재들을 공중으로 이송하기 위한 크레인, 고가사다리, 굴절차 등은 물론 해상이나 하천에서는 그와 같은 대형장비를 싣기 위한 바지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작업자 역시 그러한 대형장비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거나 교량 또는 비계의 파이프에 매달린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특히, 비계 구조의 부재들을 운반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설치 및 해체의 전체 작업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발판부재를 포함하는 비계 구조물을 설치하고 기설치된 구조 상에서 안전하게 추가적인 비계 구조를 설치해 나가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중 비계는 주요요소로서 프레임 유닛, 파이프 레일, 및 발판부재를 포함한다. 프레임 유닛은 교량에 직접 결합되어 파이프 레일을 지지하는 단위 요소를 말하며, 프레임 유닛의 다수개가 교량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결합된다. 파이프 레일은 다수개의 파이프들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레일 형상의 요소로서,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프레임 유닛들에 결합되며, 통상 2라인 이상이 설치된다. 프레임 유닛 또는 파이프 라인 상에는 발판부재들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개별 프레임 유닛은 'L' 형상 또는 'Ц'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들은 서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세로 파이프와 하나 이상의 가로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 파이프는 세로로 배치되는 파이프를 말하고, 가로 파이프는 가로로 배치되는 파이프를 말한다. 세로 파이프는 교량의 상판(또는 거더)의 측면 하부 또는 하면 부위에 예를 들어 바이스 클램프와 같은 요소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결합된다. 가로 파이프는 세로 파이프의 하단 부위에 양단부가 클팸프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고, 가로 파이프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파이프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세로 파이프와 가로 파이프는 클램프 요소를 이용하여 결합되지만, 하나의 세로 파이프를 구성하는 파이프들과 하나의 가로 파이프를 구성하는 파이프들은 단부를 끼우는 방식이나 단부에 나사 요소를 마련하여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는 파이프 라인의 파이프들의 결합 방식과 같거나 유사하다.
여기서 L 형상은 한글의 니은 모양 또는 알파벳의 대문자 L 모양과 유사한 형상을 말하고, Ц 형상은 한글의 디귿을 세로로 세운 모양과 유사한 형상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먼저 지면에서 설치가 가능한 교량의 단부 위치에서 교량의 상판이나 거더에 1조 이상 프레임 유닛을 설치한다. 설치되는 프레임 유닛은 세로 파이프를 상판이나 거더에 결합한 후 가로 파이프를 설치된 세로 파이프들에 양 단부 부위를 결합하거나('Ц' 형상의 경우), 세로 파이프에 일단부를 결합하고 타단부를 교량의 다른 부위에 결합한다('L' 형상의 경우). 이러한 프레임 유닛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가능한 개수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한다.
이후, 2라인 이상의 파이프 라인을 설치된 프레임 유닛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결합 설치한다. 파이프 라인은 통상 프레임 유닛의 안쪽 구석과 단부에 설치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이프 라인이 가로 파이프 위에 배치될 경우에는 발판 부재들이 파이프 라인에 설치되는 경우이고, 파이프 라인이 가로 파이프 아래에 배치될 경우에는 발판부재들이 가로 파이프에 설치될 수 있고, 두 경우가 혼용될 수도 있다.
각 파이프 라인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들을 끼움 또는 나사 결합으로 연결하여 형성하며, 최종적으로 교량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 설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각 파이프 라인은 파이프들을 연결/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해 나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1조 이상의 프레임 유닛이 설치된 후에 2라인 이상의 파이프 라인의 일부를 기설치된 프레임 유닛에 결합하되, 기설치된 프레임 유닛을 오버하도록 설치한다. 설치된 프레임 유닛을 오버하도록 설치한다는 것의 의미는 파이프 라인의 몸체가 교량의 길이방향 쪽으로 마지막 설치된 프레임 유닛을 넘어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되는 파이프 라인들은 기설치된 프레임 유닛에 몸체의 일부분이 결합된 상태에서 나머지 몸체의 일부가 마지막 프레임 유닛 너머에 위치한다. 여기서는 마지막 프레임 유닛 너머에 있는 파이프 라인 부위를 '오버 부위'라고 칭할 수 있다.
설치된 직후에 파이프 라인들의 오버 부위는 실질적으로 다른 요소들로부터 지지를 받지 않는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오버 부위 상에는 발판부재를 배치하기가 사실상 어렵고 배치할 경우 낙하 위험이 매우 높다. 결국, 지지 받지 않는 오버 부위에는 발판 부재와 프레임 유닛을 설치하기가 어렵다. 프레임 유닛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다른 구조에 매달려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나, 이는 위험하고 매우 더딘 속도로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지지 받지 않는 파이프 라인의 몸체 부위인 오버 부위를 임시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지지한 후, 해당 부위에 발판 부재 및 프레임 유닛을 설치한다. 임시 지지 부재는 와이어 그립 툴(wire grip tool) 또는 장선기라고 불리우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시 지지 부재는 양단부에 걸고리 요소를 구비하며, 일측 걸고리를 파이프 라인의 오버 부위에 걸고, 반대쪽 걸고리를 고정된 요소에 걸 수 있다. 고정된 요소는 교량의 어느 요소이거나 기설치된 프레임 유닛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유닛이다. 그 이유는 걸고리를 걸 수 있는 교량의 요소는 일정하지 않고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기설치된 뒤쪽의 프레임 유닛, 특히 세로 파이프에 걸고리를 걸도록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세로 파이프의 상단 부위의 길이 여분을 남기고 세로 파이프를 교량 부위에 결합하면 동일한 걸고리 위치(세로 파이프 상단 부위)가 제공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매우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양단 걸고리를 각각 파이프 라인의 오버 부위와 뒤쪽의 세로 파이프에 걸고 난 후에는 임시 지지 부재의 길이를 줄여서 견고한 지지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파이프 라인의 수평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공중 비계의 발판 부재들의 평탄도가 매우 좋게 된다.
파이프 라인의 오버 부위에 설치되는 발판 부재와 프레임 유닛의 오버 부위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현장 경험측에 따르면, 안정적인 작업을 위해서는 2개의 발판 부재와 2조의 프레임 유닛일 수 있다.
발판 부재를 계속 설치하면서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부재들을 이송하는 작업을 인력으로 매우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의 오버 부위에 추가적인 발판 부재와 프레임 유닛을 설치한 후에는 파이프 라인들에 추가적인 파이프를 결합하여 파이프 라인을 연장시킨다. 초기 작업 이후에는 파이프 라인들이 계속적으로 오버 부위가 된다.
파이프 라인의 연장을 위한 파이프의 결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움 방식이나 나사 결합 방식으로 설치된 파이프 라인의 마지막 파이프의 단부에 새로운 파이프의 단부를 결합한다. 이때도 결합하는 파이프를 임시 지지 부재로 지지를 시킨 후 결합 작업을 진행하거나 다른 여분의 파이프를 발판 부재 위에 비스듬하게 얹어서 설치하는 파이를 받친 후에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후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들을 반복하는 것으로 교량 전체 길이에 대하여 공중 비계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유닛에는 추가적인 보강 파이프를 더 설치할 수 있고, 발판 부재는 철로 된 것이나 합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치 방법에 의해 설치된 공중 비계의 해체도 위의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을 지지한 후 지지 부위에 결합 또는 설치된 발판 부재와 프레임 유닛을 먼저 제거한 후 파이프 라인의 마지막 파이프를 분리하면 순차적인 해체가 구현될 수 있고, 해체되지 않은 비계 구조를 이용하여 해체된 부재들을 이송/반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공중 비계 설치 방법에 의해 설치된 공중 비계의 실시예들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중 비계 설치 방법에 의해 설치되고 있는 공중 비계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측면 하부 또는 하면 부위, 예를 들어 상판이나 거더의 측면 하부나 하면에 공중 비계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공중 비계를 설치한 후 작업자들이 공중 비계를 발판으로 이용하면서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보수나 정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도 1과 도 5는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측면 하부에 설치되는 공중 비계를 보여준다. 도 1과 도 5는 교량의 상판 또는 거더의 측면 하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1조의 프레임 유닛(11F)이 'L' 형상(도 3a)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교량의 하면 부위에 결합되는 공중 비계는 프레임 유닛(21F)이 'Ц' 형상(도 3b)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일부를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설치되는 공중 비계(10, 20)는 프레임 유닛(11F, 21F), 파이프 라인(16, 26), 및 발판 부재(17, 27)을 주요 요소로 포함한다.
프레임 유닛(11F, 21F)은 하나 이상의 세로 파이프(111, 211, 212)와 하나 이상의 가로 파이프(113, 213)을 포함한다. 이들은 서로 클램프(15)에 연결되어, 도 1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형상이 'L' 형상을 가지거나, 도 2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형상이 'Ц' 형상을 가질 수 있다.
'L'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유닛(11F)는 교량의 측면 하부 부위에 설치되는 비계에 채용되는 요소로서 세로 파이프(111)의 상단 부위가 교량의 상판 또는 거더의 측하부에 바이스 클램프(13)를 통해 결합되고, 가로 파이프(113)은 바이스 클램프(13)을 이용하여 아래쪽의 교량 부위에 결합된다(도 1, 도 3a, 도 5a, 및 도 5b 참조)
'Ц'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유닛(21F)은 교량의 하면 부위에 설치되는 비계에 채용되는 요소로서 세로 파이프(211, 212)의 상단 부위가 교량의 상판 또는 거더의 하면에 바이스 클램프(23)을 통해 결합되고, 가로 파이프(213)는 세로 파이프(211, 212)들의 하단 부위에 클램프(25)를 통해 결합된다(도 2, 및 도 3b 참조).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11F, 21F)는 공히,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열된다.
프레임 유닛(11F, 21F)에는 2 라인 이상의 파이프 라인(16, 26)이 클램프(15, 25)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파이프 라인(16, 26)에는 발판 부재(17, 27)가 설치된다.
공중 비계(10, 20)들은 전체 사이즈나 간격 또는 필요에 따라서 보강 파이프(18, 28)(또는 보강 파이프 라인)이 더 추가될 수 있으나, 이는 필수적인 사항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를 가지는 공중 비계(10, 20)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Ц' 형상의 프레임 유닛(21F)을 채용하는 공중 비계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a와 같이, 'Ц'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1 조의 프레임 유닛(21F1, 21F2)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2 조의 프레임 유닛(21F1, 21F2)를 설치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지면에서 프레임 유닛(21F1, 21F2)을 설치할 수 있는 교량의 일단부에서 처음의 프레임 유닛(21F1, 21F2)들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지면에 보조 구조(비계 구조) 등을 설치하여 처음의 프레임 유닛(21F1, 21F2)들을 설치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프레임 유닛(21F1, 21F2)의 설치는 먼저 세로 파이프(211, 212)들의 상단 부위를 교량의 하면에 있는 예를 들어 H빔에 바이스 클램프(23)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설치되는 세로 파이프(211, 212)들의 상단 부위가 교량의 결합 지점 위로 여분의 길이를 갖도록 설치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임시 지지 부재(29)의 상부 걸고리(293)를 걸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교량은 통상 H빔과 같은 철강재가 90%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기 때문에 바이스 클램프(23)와 같은 결합 요소를 이용하여 세로 파이프(211, 212)들을 교량의 측면 하부 또는 하면의 H빔의 모서리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설치되는 프레임 유닛(21F)은 적어도 1조 이상이면 가능하지만, 작업 여건이 허락하는 그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프레임 유닛(21F1, 21F2)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처음 배열되어 설치되고 난 후, 도 4b와 같이, 적어도 2 라인의 파이프 라인(26)의 일부를 프레임 유닛(21F1, 21F2)에 결합 설치한다. 설치되는 파이프 라인(26)들은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 유닛(21F1, 21F2)을 오버하는 길이를 가진다. 이를테면, 설치되는 파이프 라인(26)들은 그 몸체의 일부가 최초 설치된 프레임 유닛(21F1, 21F2)들 중 마지막 것(21F2)를 넘어서도록 설치된다.
파이프 라인(26)에 있어서 최초 설치된 프레임 유닛(21F1, 21F2)들 중 마지막 것(21F2)을 넘어서는 부위를 오버 부위라고 칭할 수 있고, 그 오버 부위는 실질적으로 다른 요소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를 받지 않는다.
이어, 도 4c와 같이, 와이어 그립 툴과 같은 임시 지지 부재(29)를 이용하여 설치된 프레임 유닛(21F)의 어느 세로 파이프(211, 212)의 상단 부위와 파이프 라인(26)의 오버 부위를 연결하여 오버 부위를 지지하도록 한다.
임시 지지 부재(29)는 와이어 그립 툴과 같은 기구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중 비계 설치 방법에서 이용되는 임시 지지 부재(29)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임시 지지 부재(29)는 예를 들어 와이어 크립 툴 또는 장선기라고 칭해지는 도구를 이용한다. 임시 지지 부재(29)는 양단에 각각 걸고리(293) 요소를 가지는 와이어(291)와, 와이어(291)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와이어(291)의 권취가 가능한 도르래부(294)와, 도르래부의 회전축(2941)에 설치된 기어 요소(2942)와, 도르래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바(2943)과, 기어 요소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멈춤시키는 죠 요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시 지지 부재(29)는 와이어(291)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려서 파이프 라인(26)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임시 지지 부재(29)의 길이를 조절하여 파이프 라인(26)의 수평 상태를 정밀하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이후에 설치되는 발판 부재(27)들이 매우 높은 수평도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작업자들이 실수로 돌출된 발판 부재(27)의 모서리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손수레 등의 운반 도구들이 원활하게 발판 부재(27)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처음 임시 지지 부재(29)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발판 부재(27)를 현재 설치된 마지막 프레임 유닛(21F2)까지 설치한 후 작업을 하면 더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도 4c와 같이, 임시 지지 부재(29)로 파이프 라인(26)을 지지하고 난 후에는 파이프 라인(26)의 오버 부위에 발판 부재(27)와 추가적인 프레임 유닛(21F3, 21F4)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c에서 오버 부위에 설치되는 발판 부재(27)들과 프레임 유닛(21F3, 21F4)들은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발판 부재(27)들을 오버 부위에 설치하고 난 뒤에는 작업자가 그 발판 부재(27)들을 딛고 추가적인 프레임 유닛(21F3, 21F4)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발판 부재(27)는 도 4c와 4d에 도시한 형태를 가지는 합판 부재를 이용하거나 도 6에 도시한 발판 부재(27)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발판 부재는 양 단부에 고리(273)이 부착되어 파이프 라인(26)의 몸통에 딱 맞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d와 같이, 설치된 파이프 라인(26)의 단부까지 추가적인 발판 부재(27)와 프레임 유닛(21F)을 설치한 때에는, 새로운 파이프(260)들을 기설치된 파이프 라인(26)들의 단부에 결합시켜서 파이프 라인(26)을 연장시킬 수 있다. 파이프(260)의 결합은 파이프 라인(26)의 파이프와 새로운 파이프(260)의 단부 직경을 다르게 하여 끼우는 방식이나, 그 단부들에 암나사와 수나사를 형성하여 나사 결합시키는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으나, 작업의 신속성을 위해 끼움 방식이 적합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파이프(260)를 파이프 라인(26)에 결합할 때에도 임시 지지 부재(29)를 이용하거나 다른 파이프(P)를 파이프(260)을 받친 후 결합 작업을 진행하면 편리할 수 있다.
이후에는 파이프 라인(26)에 새로 결합되어 연장되는 파이프(260)들은 전부 오버 부위에 해당하게 되며, 도 4c와 도 4d의 과정을 반복하여 교량의 반대쪽까지 비계를 설치한다.
공중 비계의 설치 작업에서 파이프, 발판 부재 등의 요소들을 운반하는 작업은 불가피하게 대형 장비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었다. 종래에는 요소들의 전체를 대형 장비로 운반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어느 정도 비계 구조를 갖추기 전까지는 필수적으로 크레인이나 고가사다리와 같은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설치 방법에서는 처음부터 크레인과 같은 대형 장비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서도 인력만으로 교통 통제 등을 하지 않으면서 부재, 요소들을 운반하고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일측에서 발판 부재까지 완성을 하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다리 난간에 매달리거나 다른 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발판 부재 위에서 비교적 안전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방법으로 설치된 공중 비계의 해체는 설치의 역순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임시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파이프 라인을 먼저 지지한 후, 지지된 파이프 라인 부위에 결합된 프레임 유닛들을 해체하고 이어 발판 부재들을 분리하고, 파이프 라인을 분리하는 순서로 해체할 수 있다. 해체 시에도 해체된 부재나 요소들을 해체되지 않은 비계 구조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20: 공중 비계 13, 23: 바이스 클램프 15, 25: 클램프
16, 26: 파이프 라인 17, 27: 발판 부재 18, 28: 보강 파이프
19, 29: 임시 지지 부재 111, 211, 212: 세로 파이프
113, 213: 가로 파이프 11F, 11F1~11F5: L 형상 프레임 유닛
21F, 21F1~21F5: Ц 형상 프레임 유닛 260: 파이프
273: 고리 291: 와이어 293: 걸고리
294: 도르래부 2941: 회전축 2942: 기어 요소
2943: 바

Claims (9)

  1. 공중 비계 설치 방법으로서:
    (A) 교량의 상판의 측하면 부위 또는 하면 부위에 결합되는 'L' 형상 또는 'Ц' 형상를 가지며 각각 하나 이상의 세로 파이프와 하나 이상의 가로 파이프를 포함하는 적어도 1 조의 프레임 유닛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단계;
    (B) 각각 다수개의 파이프가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적어도 2 라인의 파이프 레일들 각각의 일부를 상기 적어도 1조의 프레임 유닛에 결합 설치하되 몸체의 일부가 현재 설치된 마지막 프레임 유닛을 오버하는 오버 부위를 갖도록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적어도 2 라인의 파이프 레일 각각의 상기 오버 부위의 어느 지점과 설치된 프레임 유닛의 세로 파이프를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임시로 연결하는 임시 지지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적어도 2 라인의 파이프 레일 각각의 상기 오버 부위를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적어도 2라인의 파이프 레일의 상기 오버 부위에 발판 부재와 새로운 프레임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교량의 양단 중의 하나 지점에서 최초 상기 단계 (A)를 시작하되 상기 오버 부위는 최초 설치되는 프레임들 중의 마지막 프레임을 오버하는 부위이고,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마지막 프레임 유닛까지 발판 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D) 이후에 상기 적어도 2라인의 파이프 레일의 단부들 각각에 파이프들을 각각 연결하여 현재 설치된 마지막 프레임 유닛을 오버하는 오버 부위를 연장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단계 (C)와 단계 (D)를 반복하며,
    상기 임시 지지 부재는: 양단에 각각 걸고리 요소를 가지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권취가 가능한 도르래부; 상기 도르래부의 회전축에 설치된 기어 요소; 상기 도르래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바; 상기 기어 요소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멈춤시키는 죠 요소;를 포함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그립 툴이며,
    상기 프레임 유닛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세로 파이프 중 최상단에 설치되는 세로 파이프는 상기 임시 지지 부재의 연결을 위한 걸림 부위를 제공하고,
    상기 파이프 레일은 파이프들이 단부를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적어도 1조의 프레임 유닛과 상기 새로운 프레임 유닛들의 프레임 유닛 각각은 서로 결합된 세로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세로 파이프와 가로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인, 공중 비계 설치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24318A 2018-02-28 2018-02-28 공중 비계 설치 방법 KR101948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18A KR101948470B1 (ko) 2018-02-28 2018-02-28 공중 비계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18A KR101948470B1 (ko) 2018-02-28 2018-02-28 공중 비계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470B1 true KR101948470B1 (ko) 2019-02-14

Family

ID=6536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18A KR101948470B1 (ko) 2018-02-28 2018-02-28 공중 비계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4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8713A (zh) * 2019-03-25 2019-05-21 中铁五局集团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钢桁梁桥现场悬吊滑移拼装装置及方法
KR102176202B1 (ko) * 2020-06-01 2020-11-09 김광수 비계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2425076B1 (ko) * 2022-03-24 2022-07-27 케이블테크 주식회사 케이블 보도교의 바닥틀 설치용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보도교의 바닥틀 설치방법
KR102528931B1 (ko) * 2022-11-11 2023-05-03 주식회사 천수 교량내 배수관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49Y1 (ko) * 2009-10-30 2012-09-04 전용태 장선기
JP2013221324A (ja) * 2012-04-17 2013-10-28 Osk:Kk 吊り足場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49Y1 (ko) * 2009-10-30 2012-09-04 전용태 장선기
JP2013221324A (ja) * 2012-04-17 2013-10-28 Osk:Kk 吊り足場の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8713A (zh) * 2019-03-25 2019-05-21 中铁五局集团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钢桁梁桥现场悬吊滑移拼装装置及方法
KR102176202B1 (ko) * 2020-06-01 2020-11-09 김광수 비계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2425076B1 (ko) * 2022-03-24 2022-07-27 케이블테크 주식회사 케이블 보도교의 바닥틀 설치용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보도교의 바닥틀 설치방법
KR102528931B1 (ko) * 2022-11-11 2023-05-03 주식회사 천수 교량내 배수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470B1 (ko) 공중 비계 설치 방법
CN103061506B (zh) 一种钢结构穹顶的施工方法
US7779599B2 (en) Articulating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5097313B2 (ja) 吊り足場及びその架設方法
GB2422174A (en) Clamp comprising location surface and first and second clamp members
JP6551467B2 (ja) 橋梁の架け替え工法
CN109680930A (zh) 模板早拆支撑体系施工方法
WO2013110126A1 (en) Automated formwork climbing system
JP4115472B2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足場の組立方法
KR102063433B1 (ko) 배관설비 통합모듈 수직 인양공법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JP2006249800A (ja) 建築用足場支持具及び建築用足場
JP2006265899A (ja) 足場構築方法
CN107487423B (zh) 一种船用悬挂式脚手架及其建造方法
JP2838760B2 (ja) 吊足場の移設方法
JP2019027196A (ja) 階段開口部手摺および階段開口部手摺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CN110593111B (zh) 索塔区梁段安装方法
CN107386623A (zh) 一种悬挂式三角架脚手架及其模板施工工艺
JP4425611B2 (ja) 橋桁補修塗装作業用足場の設置方法および橋桁補修塗装作業用足場装置
CN103669219B (zh) 多肢高墩同滑施工装置
JP7116583B2 (ja) 梁工事用吊り足場
CN111997063A (zh) 预埋穿管式混凝土结构的静力切割方法
CN111764623A (zh) 高空大悬挑钢屋架的下挂施工平台模块及施工方法
KR102176202B1 (ko) 비계 설치 및 해체 방법
JP7393814B2 (ja) 吊り足場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