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646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646B1
KR101944646B1 KR1020177009478A KR20177009478A KR101944646B1 KR 101944646 B1 KR101944646 B1 KR 101944646B1 KR 1020177009478 A KR1020177009478 A KR 1020177009478A KR 20177009478 A KR20177009478 A KR 20177009478A KR 101944646 B1 KR101944646 B1 KR 101944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disposed
steering
engine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585A (ko
Inventor
아키미치 이와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7837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60021A1/ja
Publication of KR20170049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62D49/0692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arrangement of control devices, e.g. having more than one control stand, operable from vehicle extension (control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46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duct, cable or rod passages, e.g. between engine and passenger compartments
    • B60R13/0853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duct, cable or rod passages, e.g. between engine and passenger compartments specially adapted for movable parts, e.g. gears levers,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52Position of the wipers relative to the vehicle
    • B60S1/0458Arrangement wherein the windscreen frame cooperates with the wipers
    • B60S1/0463Arrangement of the c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프론트 글래스의 외측에 와이퍼를 설치하는 구조이며, 와이퍼 구동기구의 지지부를 간단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2)에 장착시키는 조종 좌석(8)이 내설되는 캐빈(7)을 구비하고, 캐빈(7)의 프론트 글래스(321)의 외측에 설치되는 와이퍼(421)와, 상기 와이퍼(421)를 구동하는 와이퍼 구동기구(422)를 구비한다. 조종 핸들(9)이 배치되는 스티어링 칼럼(33)의 앞면측에 에어 컷 플레이트(901)를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901)에 상기 와이퍼 구동기구(322)를 장착하고 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원 발명은 경운 작업기 또는 파종 작업기 등의 대지 작업기를 견인하는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 작업용의 휠 로더 등의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나 휠 로더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주행 기체를 조향 조작하기 위한 조종 핸들이나 주행 기체의 주행 상태를 설정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레버 부재 등이 조작성을 고려해서 조종 좌석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농작업용의 트랙터에서는 복수의 레버 부재로서 주변속 레버, 부변속 레버, 전후진 스위칭 레버, 및 PTO 변속 레버 등을 갖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주변속 레버는 주행 기체의 차속을 변경 조작하는 것이며, 부변속 레버는 변속기의 변속 출력을 소정 범위로 설정 유지하는 것이다. 전후진 스위칭 레버는 주행 기체의 진행 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 조작하는 것이며, PTO 변속 레버는 작업기로의 출력(PTO 구동력)을 변속 조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은 조종 핸들을 비롯한 각종 조작기기와 조종 좌석을 내장한 캐빈을 주행 기체 상에 탑재하고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이 캐빈 탑재형의 작업 차량은 작업자(조종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프론트 글래스의 오염을 제거하는 와이퍼를 설치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GPS(전지구 측위 시스템) 위성과 통신함으로써 자차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통신 회선을 이용함으로써 자차의 위치 정보와 함께 주행 정보나 작업 정보를 외부 송신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13-11210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65724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5-020675호 공보
그런데, 이 종류의 작업 차량과 같이 프론트 글래스의 외측에 와이퍼를 설치하는 구조에서는 와이퍼를 구동하는 와이퍼 모터를 포함하는 와이퍼 구동기구가 필요하고, 와이퍼 구동기구의 지지부를 간단하게 확보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서는 프론트 글래스를 3분할 형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합 작업 등의 장착 작업이 번잡할뿐만 아니라 접합 부분이 사각(死角)으로 되어 전방의 시인성을 저해하고 있다.
그리고, 이 종류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DPF 재생 스위치, 작업용 스위치, 원터치 자동 스위치 등 복수의 스위치를 조종 좌석 정면에 집중적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종 핸들이나 조작 레버 등에 가려져 오퍼레이터가 용이하게 시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종류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의 운전 자세에 맞춰서 조종 핸들의 자세를 조절하는 틸트 레버, 텔레스코픽 레버를 설치하는 구조의 것이 있지만, 틸트 레버, 텔레스코픽 레버를 오조작하면 조종 핸들의 자세가 오퍼레이터의 예상 밖의 자세로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3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안테나를 차량 상부 등 차량 외부에 배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안테나와 통신 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이 길어지기 때문에 배선 작업이나 메인터넌스 작업이 번잡한 것으로 된다. 또한, 차량 외부에 안테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3자가 안테나로의 배선 등에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안테나와 통신 모듈의 배선이 절단되거나 또는 도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상을 검토하여 개선을 실시한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외부와 통신을 실행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통신 단말 장치를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의 뒷면에 고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매설하도록 세워 설치된 대시보드 내에, 상기 안테나와 상기 통신 단말 장치를 배치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에 미터 패널을 고정시키고 있고, 상기 미터 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미터 컨트롤러를 상기 미터 패널과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대시보드 내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대향하도록 상기 미터 컨트롤러를 배치시켜도 좋다. 상기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안테나와 함께 상기 미터 컨트롤러를 상기 대시보드 내에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기적인 배선을 단경로화할 수 있어 배선 작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DPF 재생 스위치, 작업용 스위치, 원터치 자동 스위치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으로서, 조종 핸들 기부의 스티어링 칼럼 상면에 상기 DPF 재생 스위치를 설치하고, 직진 작업 자세일 때에 오퍼레이터의 시계에 상기 DPF 재생 스위치가 배치되는 것으로 함으로써 DPF 재생 스위치가 조종 핸들 또는 조작 레버 등에 가려지는 일 없어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상기 DPF 재생 스위치의 위치 및 점등 표시 상태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상면 중, 상기 조종 핸들축을 중심으로 한 좌우 대칭의 상기 스티어링 칼럼 상면에 상기 작업용 스위치와 원터치 자동 스위치가 배치되는 것으로 함으로써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용 스위치와 원터치 자동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어 오조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조종 핸들 기부의 스티어링 칼럼 상면에 상기 DPF 재생 스위치와 작업용 스위치와 원터치 자동 스위치를 설치하고, 브레이크 페달 상방의 스티어링 칼럼 일측 상면에 상기 DPF 재생 스위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주행 기체의 전후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상기 조종 핸들의 스포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작업용 스위치와 원터치 자동 스위치를 설치한 것으로 함으로써, DPF 재생 스위치, 작업용 스위치, 원터치 자동 스위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조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프론트 글래스의 외측에 설치하는 와이퍼와 상기 와이퍼를 구동하는 와이퍼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조종 핸들이 배치되는 스티어링 칼럼의 앞면측에 에어 컷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구조이며,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에 상기 와이퍼 구동기구를 장착한 것이다.
이러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의 뒷면에 상기 와이퍼 구동기구를 고착하고,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의 앞면측에 상기 프론트 글래스를 장설(張設)하고,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와 프론트 글래스에 상기 와이퍼 구동기구의 구동축을 관통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프론트 글래스 앞면 중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부위에 판금 프레임에 의해 차음재를 장설하고, 상기 차음재에 와이퍼 구동기구의 구동축을 관통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글래스, 상기 차음재 및 상기 판금 프레임이 중복된 부위에 단차가 있는 칼라를 관통시키고, 상기 단차가 있는 칼라의 소경부에 와셔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함으로써 상기 단차가 있는 칼라의 대경부와 상기 와셔에 의해 상기 프론트 글래스, 상기 차음재 및 상기 판금 프레임을 협지 고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프론트 글래스와 상기 차음재를 밀착시킬 수 있어, 상기 프론트 글래스 나아가서는 그것을 갖는 캐빈의 방음 기능이나 제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단차가 있는 칼라 및 상기 와셔를 분리시키면, 상기 차음재의 교체도 용이하게 행해지게 되어, 상기 차음재의 교환 작업(메인터넌스 작업)이 간단하다. 또한, 탄성재를 피감(被嵌)한 상태의 상기 단차가 있는 칼라를 상기 프론트 글래스, 상기 차음재 및 상기 판금 프레임이 중복된 부위에 관통시켜도 좋다. 상기 프론트 글래스 나아가서는 상기 캐빈의 방음 기능이나 제진 기능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조종 핸들의 자세를 조절하는 틸트 레버와 텔레스코픽 레버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조종 핸들이 배치되는 스티어링 칼럼의 좌우에, 상기 틸트 레버와 텔레스코픽 레버를 나누어서 배치한 것으로 함으로써, 상기 틸트 레버 또는 텔레스코픽 레버의 오조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조종 핸들의 자세가 오퍼레이터의 예상 밖의 자세로 변경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좌측에 상기 틸트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우측에 상기 텔레스코픽 레버를 설치한 것으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왼손으로 상기 틸트 레버를 잡고, 오른손으로 상기 조종 핸들을 잡아 텔레스코픽 조절 조작보다 빈도가 높은 상기 조종 핸들의 틸트 조절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종 핸들의 자세 조절과 연동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자세가 변경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표시 램프 또는 스위치 지지 위치가 상기 조종 핸들과 연동해서 위치 조절되기 때문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계에 표시 램프 또는 스위치를 지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안테나를 상기 대시보드 내에서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통신 단말 장치와 상기 안테나의 전기적인 접속을 단경로화할 수 있어 배선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외측에서 보이지 않는 장소에 상기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 3자에 의한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안테나의 전기적인 결선의 절단이나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DPF 재생 스위치가 조종 핸들 또는 조작 레버 등에 가려지는 일 없어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상기 DPF 재생 스위치의 위치 및 점등 표시 상태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업용 스위치와 원터치 자동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어 오조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 컷 플레이트 상단부의 미터 표시부의 안쪽에 와이퍼 구동기구를 콤팩트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상기 와이퍼와 와이퍼 구동기구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 글래스를 3분할 형성하는 구조에 비해 상기 프론트 글래스의 접합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상기 프론트 글래스의 장착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음재를 구비함으로써 에어 컷 플레이트(캐빈)측에 엔진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와이퍼 구동기구의 구동축 장착부의 방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틸트 레버 또는 텔레스코픽 레버의 오조작을 저감시킬 수 있고, 조종 핸들의 자세가 오퍼레이터의 예상 밖의 자세로 변경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왼손으로 상기 틸트 레버를 잡고, 오른손으로 상기 조종 핸들을 잡아 텔레스코픽 조절 조작보다 빈도가 높은 상기 조종 핸들의 틸트 조절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표시 램프 또는 스위치 지지 위치가 상기 조종 핸들과 연동해서 위치 조절되기 때문에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계에 표시 램프 또는 스위치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주행 기체의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5는 주행 기체의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주행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주행 기체를 좌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 기체를 우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주행 기체를 좌측방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주행 기체를 우측방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주행 기체를 좌측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주행 기체를 우측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캐빈 전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대시보드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대시보드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캐빈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대시보드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조종 좌석으로부터 전방을 본 도면이다.
도 19는 조종 좌석으로부터 본 미터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조종 핸들의 텔레스코픽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조종 핸들의 틸트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어시스트 재생 제어 및 리셋 재생 제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비작업 재생 제어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4는 비작업 재생 제어시에 있어서의 문자 표시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도 13의 XXV-XXV로 본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3의 XXVI-XXVI로 본 단면도이다.
도 27은 트랙터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가 되는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예가 되는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예가 되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다른 실시예가 되는 트랙터의 조종 좌석 주변의 좌측면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농작업용 트랙터를 도면에 의거해 설명한다. 도 1~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의 주행 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전차륜(3)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이 후방 주행부에 상당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디젤 엔진(5)(이하, 단지 엔진이라고 한다)을 탑재하고, 후차륜(4) 또는 전차륜(3)을 엔진(5)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 있다. 주행 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된다.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전차륜(3)을 조향 조작하는 조종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좌우 외측에는 오퍼레이터가 타고 내리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캐빈(7) 저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는 앞범퍼(12) 및 전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전차축(16)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에 전차축(16)을 통해서 전차륜(3)을 장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절히 변속해서 전후 사륜(3, 3, 4, 4)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 바깥쪽으로 돌출된 저면으로부터 봤을 때 직사각형 프레임판 형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2개로 나뉘어져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누어서 탑재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를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차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내삽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차축(20)을 통해서 후차륜(4)을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서 덮여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 등의 대지 작업기(도시생략)를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승강기구(2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상기 대지 작업기는 좌우 한 쌍의 로어 링크(23) 및 톱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111)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대지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5)을 뒤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엔진(5)의 후측면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는 엔진(5)의 출력축(피스톤 로드)에는 플라이 휠(26)(도 4~도 6, 도 10 및 도 11 참조)을 연결하고 있다. 양끝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갖는 동력 전달축(29)을 통해서 플라이 휠(26)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주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앞면측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주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도 4~도 6 참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7)의 내부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500), 전후진 스위칭 기구(501), 주행 변속 기어 기구(502, 503, 504) 및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506) 등을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동축(27) 및 동력 전달축(29)을 경유해서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에 전달되고, 유압 무단 변속기(500) 및 주행 변속 기어 기구에 의해서 변속되어 상기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506)를 통해서 좌우의 후차륜(4)에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앞면 하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전차륜 출력축(30)에는 전차륜 구동축(31)을 통해서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507)를 내장하는 전차축 케이스(13)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전차륜 전달축(508)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500) 및 주행 변속 기어 기구(이륜구동 사륜구동 스위칭 기구(504))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차륜 출력축(30), 전차륜 구동축(31) 및 전차륜 전달축(508)으로부터 전차축 케이스(13) 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507)를 경유해서 좌우의 전차륜(3)에 전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3, 도 7 및 도 8 등을 참조하면서 캐빈(7) 내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스티어링 칼럼(32)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은 캐빈(7) 내부의 앞면측에 배치한 대시보드(33)의 배면측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32)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핸들축의 상단측에 평면으로 봤을 때 대략 둥근형의 조종 핸들(9)을 장착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의 우측 하방측에는 주행 기체(2)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페달(35)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의 좌측 상방측에는 주행 기체(2)의 진행 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리버서 레버)를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의 좌측 하방측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500)의 출력(전진 저속 유압 클러치(537), 전진 고속 유압 클러치(539), 후진 유압 클러치(541))을 차단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페달(37)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클러치 페달(37)의 스테핑 조작으로 마스터 제어 전자 밸브(635)가 온 조작되고, 유압 무단 변속기(500)의 전진 출력 또는 후진 출력이 절단된다(도 14 참조).
스티어링 칼럼(32)의 좌측이고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의 하방에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를 따라서 연장되는 오조작 방지체(38)(리버서 가드)를 배치하고 있다. 접촉 방지 도구인 오조작 방지체(38)를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보다 외측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트랙터(1)에 타고 내릴 때에 오퍼레이터가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에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대시보드(33)의 배면 상부측에는 액정 패널을 내장한 조작 표시반(39)을 설치하고 있다.
캐빈(7) 내에 있는 조종 좌석(8) 전방의 바닥판(40)에 있어서 스티어링 칼럼(32)의 우측에는 엔진(5)의 회전 속도 또는 차속 등을 제어하는 엑셀 페달(41)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바닥판(40) 상면의 대략 전체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종 좌석(8)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는 좌우의 사이드 칼럼(42)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왼쪽 사이드 칼럼(42)의 사이에는 좌우의 후차륜(4)을 제동 상태로 유지하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43)와, 트랙터(1)의 전진 주행 속도(차속)를 강제적으로 대폭 저감시키는 초저속 레버(44)(크리프 작업 레버)와, 미션 케이스(17) 내의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503)의 출력 범위를 스위칭하는 부변속 레버(45)와, PTO축(25)의 구동 속도를 스위칭 조작하는 PTO 변속 레버(46)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하방에는 좌우의 후차륜(4)의 차동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디퍼렌셜 록 페달(47)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후방 좌측에는 PTO축(25)을 역전 구동시키는 조작을 실행하는 역전 PTO 레버(48)를 배치하고 있다(도 10 참조).
조종 좌석(8)과 오른쪽 사이드 칼럼(42)의 사이에는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팔꿈치를 올리기 위한 암 레스트(49)를 설치하고 있다. 암 레스트(49)는 트랙터(1)의 주행 속도를 증감속시키는 주변속 레버(50)와, 로터리 경운기 등의 대지 작업기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는 다이얼식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51)(승강 다이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암 레스트(49)는 후단 하부를 지점으로 해서 복수의 단계로 플립업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오른쪽 사이드 칼럼(42)에는 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엔진(5)의 회전 속도를 설정 유지하는 스로틀 레버(52)와, PTO축(25)으로부터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 기로의 동력 전달을 접속/차단 조작하는 PTO 클러치 스위치(53)와, 미션 케이스(17)의 상면측에 배치하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430)(도 14 참조)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조작 레버(54)(SCV 레버)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유압 외부 인출 밸브(430)는 트랙터(1)에 후부착되는 프론트 로더 등의 작업기의 유압 기기에 작동유를 공급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의 수(4련)에 맞춰서 유압 조작 레버(54)를 4개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9~도 1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7)의 전방측을 지지하는 좌우의 전방부 지지대(96)와, 캐빈(7)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좌우의 후방부 지지대(97)를 구비한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기외측면 중 전후 중간부에 전방부 지지대(96)를 볼트 체결시키고, 전방부 지지대(96)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8)를 통해서 캐빈(7)의 전방측 저부를 방진 지지함과 아울러, 좌우 방향에 수평으로 연장 설치시키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 중 좌우 폭 중간부에 후방부 지지대(97)를 볼트 체결시키고, 후방부 지지대(97)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9)를 통해서 캐빈(7)의 후방측 저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즉, 디젤 엔진(5)과 캐빈(7)은 주행 기체(2)(일체적으로 연결된 엔진 프레임(14)과 기체 프레임(15)과 후차축 케이스(19))에 복수의 상기 방진 고무체를 통해서 방진 지지된다. 또한, 도 4 및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측에 후방부 지지대(97)를 배치하고, 후차축 케이스(19)의 하면측에 진동 방지 브래킷(101)을 배치하고, 후방부 지지대(97)와 진동 방지 브래킷(101)을 볼트 체결함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한 로어 링크(23)의 중간부와 진동 방지 브래킷(101)에 신축 조절 가능한 턴 버클 부착 진동 방지 로드체(103)의 양단부를 연결하고, 로어 링크(23)의 좌우 방향의 요동 진동을 방지하고 있다.
이어서, 도 4~도 8 등을 참조하여 보닛(6) 아래의 디젤 엔진(5)과 엔진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젤 엔진(5)은 엔진 출력축과 피스톤을 내장하는 실린더 블록 상에 실린더 헤드를 탑재하고 있으며, 디젤 엔진(5)(실린더 헤드) 우측면에는 에어 클리너(221)에 터보 과급기(211)를 통해서 접속시키는 흡기 매니폴드(203)와, 배기 매니폴드(204)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키는 EGR 장치(210)를 배치하고, 배기 매니폴드(204)에 배출된 배기 가스의 일부가 흡기 매니폴드(203)에 환류함으로써 고부하 운전시의 최고 연소 온도가 저하되고, 디젤 엔진(5)으로부터의 NOx(질소 산화물)의 배출량이 저감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디젤 엔진(5)(실린더 헤드) 좌측면에 테일 파이프(229)에 접속시키는 배기 매니폴드(204)와 터보 과급기(211)을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을 따르는 좌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203)와 배기 매니폴드(204)를 나눠서 배치한다. 디젤 엔진(5)(실린더 블록) 앞면측에 냉각 팬(206)을 배치한다.
또한, 도 4~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5)은 디젤 엔진(5)의 상면측(배기 매니폴드(204) 상방)에 배치하는 연속 재생식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224)(DPF)를 구비하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224)의 배기측에 테일 파이프(229)를 접속하고 있다. 배기 가스 정화 장치(224)에 의해서, 엔진(5)으로부터 테일 파이프(229)를 통해서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이 제거됨과 아울러, 배기 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가 저감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전방부 하측에 프론트 그릴(231)을 갖고, 엔진룸(200)의 상면측과 앞면측을 덮는다. 보닛(6)의 좌우 하측에 다공판으로 형성한 측부 엔진 커버(232)를 배치하여 엔진룸(200) 좌우측방을 덮고 있다. 즉, 보닛(6) 및 엔진 커버(232)에 의해서 디젤 엔진(5)의 전방, 상방 및 좌우를 덮고 있다.
또한, 도 4~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234)를 배면측에 장착한 라디에이터(235)를 엔진(5)의 앞면측에 위치하도록 엔진 프레임(14) 상에 세워 설치하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는 냉각 팬(206)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고, 라디에이터(235)와 냉각 팬(206)을 연통시키고 있다. 라디에이터(235) 앞면의 상방 위치에 에어 클리너(221)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235) 앞면측에는 상기 인터쿨러 외에 오일 쿨러나 연료 쿨러 등이 설치된다. 또한, 엔진 제어 장치(엔진 ECU)(271)가 라디에이터(235) 등의 열교환기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ECU(271)는 엔진(5)의 각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엔진(5)의 구동을 제어한다. 엔진 제어 장치(271)의 길이 방향을 주행 기체(2)의 전후 방향(엔진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을 따르게 해서 프레임 저판(233)에 세워 설치시키고 있다.
한편, 도 9~도 1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15)은 지지용 빔 프레임(236)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지지용 빔 프레임(236)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각각과 볼트 체결하여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부(엔진(5) 뒷면측)에 가설하고 있고, 방진 고무체를 갖는 후방부 기관 다리체(237)를 통해서 지지용 빔 프레임(236) 상면에 디젤 엔진(5)의 후방부를 연결한다. 또한, 도 1, 도 2, 도 4, 도 5,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중도부에 방진 고무체를 갖는 좌우의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를 통해서 디젤 엔진(5) 전방부의 좌우측면을 연결하고 있다. 즉, 엔진 프레임(14)에 디젤 엔진(5) 전방측을 방진 지지시킴과 아울러,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에 지지용 빔 프레임(236)을 통해서 디젤 엔진(5)의 후방부를 방진 지지시키고 있다.
이어서, 도 4~도 12를 참조하여 미션 케이스(17), 유압식 승강기구(22) 및 3점 링크 기구(111)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미션 케이스(17)는 주변속 입력축(28) 등을 갖는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와, 후차축 케이스(19) 등을 갖는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와,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의 후방측에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의 전방측을 연결시키는 중간 케이스(114)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측면에 좌우의 상하 기체 연결축체(115, 116)를 통해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즉, 2개의 상기체 연결축체(115)와 2개의 하기체 연결축체(116)로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 양측면에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시키고, 기체 프레임(15)과 미션 케이스(17)를 일체적으로 이어설치하여 주행 기체(2)의 후방부를 구성함과 아울러,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사이에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또는 동력 전달축(29) 등을 배치하여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등을 보호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는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의 좌우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케이스(114) 및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를 고강성의 주철제로 하는 한편,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를 경량이고 또한 가공성 양호한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제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미션 케이스(17)를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중간 케이스(114) 및 후방부 케이스(113)의 3가지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 케이스(112~114)에 축이나 기어 등의 부품을 미리 장착하고나서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중간 케이스(114) 및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의 3가지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미션 케이스(17)의 조립을 정확하고 또한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를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의 좌우 양측에 장착하고, 주행 기체(2)를 구성하는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에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와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를 연결하는 고강성 구조의 중간 케이스(114)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중간 케이스(114) 및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를 기체 프레임(15)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만을 분리하여 유압 무단 변속기(도시생략) 등이 내설된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내부의 축이나 기어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 또는 수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미션 케이스(17) 전체를 트랙터(1)로부터 분리하는 분해 작업의 빈도를 현격하게 낮게 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시나 수리시의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중간 케이스(114) 및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를 주철제로 하는 한편,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를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체 프레임(15)에 연결되는 중간 케이스(114)와,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가 연결되는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를, 주행 기체(2)를 구성하는 강도 멤버로 해서 고강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후에, 강도 멤버가 아닌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를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기체(2)의 강성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미션 케이스(17) 전체로서의 경량화를 도모한다.
한편, 도 4~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식 승강기구(22)는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51) 등의 조작으로 작동 제어하는 좌우의 유압 리프트 실린더(117)와, 미션 케이스(17) 중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 상면측에 설치되는 개폐 가능한 상면 덮개체(118)에 리프트 지점축(119)을 통해서 기단측을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좌우의 리프트 암(120)과, 좌우의 로어 링크(23)에 좌우의 리프트 암(120)을 연결시키는 좌우의 리프트 로드(121)를 갖고 있다. 우측의 리프트 로드(121)의 일부를 유압 제어용의 수평 실린더(122)로 형성하고, 우측의 리프트 로드(121)의 길이를 수평 실린더(122)로 신축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7, 도 8 및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 덮개체(118)의 배면측에 톱 링크 힌지(123)를 고착하고, 톱 링크 힌지(123)에 힌지핀을 통해서 톱 링크(24)를 연결한다. 톱 링크(24)와 좌우의 로어 링크(23)에 대지 작업기를 지지한 상태 하에서 수평 실린더(122)의 피스톤을 신축시켜서 우측의 리프트 로드(121)의 길이를 변경한 경우, 상기 대지 작업기의 좌우 경사각도가 변화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 등을 참조하면서 캐빈(7)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은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앞지주(301)와, 조종 좌석(8)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뒷지주(302)와, 앞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프론트빔 부재(303)와, 뒷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리어빔 부재(304)와, 앞뒤로 배열되는 앞지주(301)와 뒷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사이드빔 부재(305)를 구비한 대략 상자 프레임 형상의 것이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 즉 프론트빔 부재(303), 리어빔 부재(304) 및 좌우의 사이드빔 부재(305)로 구성된 직사각형 프레임 상에는 지붕체(306)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또한, 앞지주(301)와 뒷지주(302)의 하단측에는 앞뒤로 연장되는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 상면측에 바닥판(40)을 장설시키고, 바닥판(40) 전단측에 대시보드(33)를 세워 설치시키며, 대시보드(33)의 뒷면측에 스티어링 칼럼(32)을 통해서 조종 핸들(9)을 장착하고 있다. 바닥판(40)의 전방부 상면측에 브레이크 페달(35) 등이 배치됨과 아울러 바닥판(40)의 후방부 상면측에 조종 좌석(8)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앞면측, 즉 좌우의 앞지주(301), 프론트빔 부재(303) 및 바닥판(40) 전단부에 의해 둘러싸인 캐빈(7) 전방부의 영역에는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뒷면측, 즉 좌우의 뒷지주(302)와 리어빔 부재(304)에 의해 둘러싸인 캐빈(7) 후방측 상부의 영역에는 리어 윈도우 글래스(322)를 배치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의 좌우측면측, 즉 앞뒤로 배열되는 앞지주(301) 및 뒷지주(302)에 의해 둘러싸인 캐빈(7) 측부의 영역에는 투명한 글래스로 구성된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각 사이드 도어(323)는 대응하는 뒷지주(302)에 상하 한 쌍의 힌지(324)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리어 윈도우 글래스(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의 배치 구조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각 지주(301, 302) 및 각 빔 부재(303, 304, 305)는 캐빈(7)(캐빈 프레임(300))의 측변부에 위치하고 있다. 즉,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측면에 창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측면에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리어 윈도우 글래스(322), 투명한 글래스제의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를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서,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3~도 1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시보드(33)의 전방측은 보닛(6) 아래의 엔진(5) 등으로부터의 열을 차폐하기 위한 차열판(에어 컷 플레이트)(901)으로 덮인다. 또한,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가 1장의 글래스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배면에 에어 컷 플레이트(901)를 접촉 지지시키고 있다. 그리고,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앞면에는 차열성과 차음성을 겸비한 우레탄재(902)를 설치하고 있다. 우레탄재(902) 외주를 둘러싸는 판금 프레임(903)과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를 체결시킴으로써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의 앞뒤로 우레탄재(902) 및 에어 컷 플레이트(901)를 위치시킨다.
이 경우,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우레탄재(902) 및 판금 프레임(903)이 중복된 부위에 복수의 관통 구멍(929)을 형성하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관통 구멍(929)에는 단차가 있는 칼라(930)의 소경부(930a)를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의 배면측으로부터 관통시키고 있다. 단차가 있는 칼라(930)의 소경부(930a)에는 고무 등의 탄성재(931)를 피감하고 있다. 단차가 있는 칼라(930)의 소경부(930a)를 관통 구멍(929)에 끼워넣은 상태에서는 탄성재(931)가 단차가 있는 칼라(930)와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의 사이에 개재되게 된다. 단차가 있는 칼라(930)의 대경부(930b)는 탄성재(931)를 통해서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의 배면측에 밀착한다. 단차가 있는 칼라(930)의 소경부(930a) 중 판금 프레임(903) 근처의 끝면에는 와셔(932)를 배치하고 있다. 단차가 있는 칼라(930)의 소경부(930a)에 와셔(932)를 볼트(93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우레탄재(902) 및 판금 프레임(903)은 단차가 있는 칼라(930)의 대경부(930b)와 와셔(932)에 의해서 협지 고정된다. 단차가 있는 칼라(930)의 대경부(930a)의 직경 및 와셔(932)의 직경이 관통 구멍(929)의 직경보다 큰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와 우레탄재(902)를 밀착할 수 있고,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나아가서는 이것을 갖는 캐빈(7)의 방음 기능이나 제진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단차가 있는 칼라(930) 및 와셔(932)를 분리시키면, 우레탄재(902)의 교체도 용이하게 행해지게 되어 우레탄재(902)의 교환 작업(메인터넌스 작업)이 간단하다. 또한, 탄성재(931)를 피감한 상태의 단차가 있는 칼라(930)를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우레탄재(902) 및 판금 프레임(903)이 중복된 부위에 관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프론트 글래스(321) 나아가서는 캐빈(7)의 방음 기능이나 제진 기능의 더한 향상에 기여한다.
대시보드(33)는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후방을 덮어서 와이퍼 구동기구(422)를 내장하고 있다. 와이퍼 구동기구(422)는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에 축지지되어 있는 와이퍼(421)로의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회전 동력을 와이퍼(421)에 전달하는 기어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퍼 구동기구(422)에 있어서의 구동 모터가 회전함으로써 기어 기구를 통해서 구동 모터의 회전이 와이퍼(421)에 전달되어 와이퍼(421)가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표면을 따라서 회동한다.
와이퍼 구동기구(422)는 에어 컷 플레이트(901)와 연결하여 고정되어 있다. 즉, 에어 컷 플레이트(901)의 뒷면에 와이퍼 구동기구(422)를 고착하고, 에어 컷 플레이트(901)의 앞면측에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를 장설하고 있다. 그리고,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에 와이퍼 구동기구(422)의 구동축(422a)을 관통시키고 있다. 와이퍼 구동기구(422)의 구동축(422a)이 와이퍼(421)를 피벗 지지함으로써 와이퍼 구동기구(422)에 의해 와이퍼(421)가 회동한다.
또한,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앞면 중 에어 컷 플레이트(901)에 대향하는 영역에 판금 프레임(903)으로 둘러싸인 우레탄재(차음재)(902)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우레탄재(902)에 와이퍼 구동기구(422)의 구동축(422a)을 관통시키고 있다. 프론트 윈도우 글래스(321) 앞면에 우레탄재(902)를 장설함으로써 에어 컷 플레이트(901)측에 엔진(5)으로부터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 컷 플레이트(901)의 뒷면에는 와이퍼 구동기구(422)와 함께 통신 단말 장치(950)나 GPS 안테나(905)가 고착되어 있다. 에어 컷 플레이트(901)에 와이퍼 구동기구(422), 통신 단말 장치(950), 및 안테나(905)를 장착함으로써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대시보드(33) 내측으로의 각 부품의 장착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안테나(905)는 GPS(전지구 측위 시스템)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이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950) 및 GPS 안테나(905)를 대시보드(33) 내에 근접시켜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단말 장치(950)와 GPS 안테나(905)의 전기적인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한, 외측에서 보이지 않는 장소에 통신 단말 장치(950) 및 GPS 안테나(905)를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 3자에 의한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통신 단말 장치(950)와 GPS 안테나(905)의 전기적인 결선의 절단이나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와 통신을 실행하는 안테나(905)와, 상기 안테나(905)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통신 단말 장치(950)를 에어 컷 플레이트(901)의 뒷면에 고정하고, 스티어링 칼럼(32)을 매설하도록 세워 설치한 대시보드(33) 내에 안테나(905)와 통신 단말 장치(950)를 배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대시보드(33)에 미터 패널(906)을 고정시키고 있으며, 상기 미터 패널(906)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미터 컨트롤러(904)를 미터 패널(906)과 일체로 구성하고, 대시보드(33) 내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950)에 대향하도록 미터 컨트롤러(904)를 배치시키고 있다. 통신 단말 장치(950) 및 GPS 안테나(905)와 함께 미터 컨트롤러(904)를 대시보드(33) 내에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기적인 배선을 단경로화할 수 있어 배선 작업 간략화할 수 있다.
대시보드(33)는 이너 보드(내측 보드)(33a)와 아우터 보드(외측 커버)(33b)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 보드(33a)의 외주 가장자리를 에어 컷 플레이트(901)의 외 주 가장자리에 연결하고, 이너 보드(33a)를 에어 컷 플레이트(901) 배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이너 보드(33a) 상부를 덮도록 아우터 보드(33b)를 이너 보드(33a) 상측으로부터 끼워서 대시보드(33)를 형성한다. 이너 보드(33a)의 중앙 상측에 개구부(33c)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33c)에 미터 패널(905) 표시면이 수습되도록 이너 보드(33a) 앞면에 미터 패널(906)을 고정시킨다.
또한, 이너 보드(33a)는 개구부(33c) 외주 부분을 융기시킨 형상을 가짐으로써 미터 패널(906)의 표시부 외측을 측벽(33d)으로 둘러싼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대시보드(33)의 최배면보다 깊이 들어간 위치에 미터 패널(906)의 표시면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캐빈(7)의 사이드 도어(323) 등으로의 비침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미터 패널(906) 표시면의 발광에 의거한 비침이 없어 주행시나 작업시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시계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미터 패널(906) 이면에는 미터 ECU(미터 컨트롤러)(904)가 장착되어 있다. 즉, 미터 ECU(904)는 미터 패널(906)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대시보드(33) 내에 매설되어 있다.
미터 패널(906)은 조종 핸들(9)의 전방 하측이 되는 위치에서 조종 좌석(8)에 착좌한 오퍼레이터에 대면하도록, 그 패널 표면을 후방으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경사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미터 패널(906)의 바깥 가장자리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융기시킨 이너 보드(33a)의 측벽(33d)으로 덮여 있다. 이너 보드(33a)는 미터 패널(906) 외주가 되는 위치에, 예를 들면 파킹 스위치 등의 복수의 스위치 부재(907)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키 스위치(61)는 열쇠 구멍에 꽂은 소정의 열쇠로 회전 조작 가능한 로터리식 스위치이며, 대시보드(33)에 있어서의 조종 핸들(9)의 우측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미터 패널(906)은 운전 조작 표시 장치로서 그 중앙 표시 영역에 문자 표시 등을 행하는 액정 패널(908)을 배치하고 있으며, 액정 패널(908) 외주에 엔진(5)의 회전수를 지침으로 나타내는 엔진 회전계(909)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미터 패널(906)은 엔진 회전계(909)의 좌측에 연료 잔량을 지침으로 나타내는 연료계(910)를 배치하고, 엔진 회전계(910)의 우측에 엔진(5)의 냉각수 온도를 지침으로 나타내는 수온계(911)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미터 패널(906)은 엔진 회전계(909)의 좌우 외측(중앙 표시 영역의 외측)의 표시 영역에 LED 등에 의한 복수의 표시 램프(912, 913)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 회전계(909)의 왼쪽에 배치된 표시 램프(912)는, 예를 들면 주행계에 관한 경고등이나 표시등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엔진 회전계(909)의 오른쪽에 배치된 표시 램프(913)는 작업계에 관한 경고등이나 표시등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좌우의 표시 램프(912, 913) 중 한쪽을 경도의 고장에 의한 경고등으로서 작용시키고, 다른쪽을 중도의 고장에 의한 경고등으로서 작용시킨다. 또한, 좌측의 표시 램프(912)를 주행계에 관한 경고등 또는 표시등으로서 작용시키는 경우에, 표시 램프(912) 중 1개를 배기 가스 정화 장치(224)의 재생 처리 상태를 나타내는 재생 램프에 할당한다.
스티어링 칼럼(32)은 이너 보드(33b)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대시보드(33)의 배면측에 매설하는 상태로 세워 설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 내에 세로길이의 핸들축(921)을 축지지하고 있다. 핸들축(921)의 상단측은 스티어링 칼럼(32)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921)의 상단측에 평면으로 봤을 때 대략 둥근형의 조종 핸들(9)을 장착하고 있다. 핸들축(921)의 하단측에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서 세로길이의 스티어링축(740)의 선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스티어링축(740)의 기단측에는 유니버셜 조인트(741)를 통해서 보드 지지판(에어 컷 플레이트)(901)의 하부측에 지지시킨 파워 스티어링 유압기구(621)의 조작축(742)을 연결하고 있다.
조종 핸들(9)이 배치되는 스티어링 칼럼(32)의 좌우에 조종 핸들(9)의 자세를 조절하는 틸트 레버(915)와 텔레스코픽 레버(914)를 나누어서 배치하고 있다. 즉, 스티어링 칼럼(32)의 우측면에 좌우 횡방향으로 축지지되어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텔레스코픽 레버(914)를 설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의 좌측면 하측에 좌우 횡방향으로 축지지되어서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틸트 레버(91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스티어링 칼럼(32) 내에 조종 핸들(9)을 핸들축(921)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텔레스코픽 기구(917)와 조종 핸들(9)을 핸들축(921)과 함께 틸팅시키는 틸트 기구(918)를 구비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 전방에는 좌우의 브레이크 페달(35)을 축지지하는 브레이크 페달축(720)을 구비한 브레이크 페달 지지기구(916)를 배치하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 지지기구(916)는 에어 컷 플레이트(901) 중도부에 연결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틸트 기구(915)는 스티어링 칼럼(32) 하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브레이크 페달 지지기구(916)에 연결된 고정 브래킷(919)에 피봇 부착하고 있다. 즉, 브레이크 페달 지지기구(916)를 통해서 에어 컷 플레이트(901)에 고착된 고정 브래킷(919)에 대하여 틸트 기구(918)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칼럼(32) 내에 있어서, 틸트 기구(918) 상측에 이중축 구조에 의해 신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기구(91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스티어링 칼럼(32)은 텔레스코픽 기구(917)의 선단측과 연결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텔레스코픽 레버(914)를 앞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텔레스코픽 기구(917)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 핸들(9)을 핸들축(921)의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해서 조종 핸들(9)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텔레스코픽 기구(915) 선단측에 스티어링 칼럼(32)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핸들(9)과 함께 스티어링 칼럼(32)을 상하동시킬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틸트 레버(915)를 앞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틸트 기구(918)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919)과의 연결 부분의 축심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해서 조종 핸들(9)의 경사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틸트 기구(918)는 핸들축(921)의 하단과 유니버셜 조인트의 연결 부분을 축심으로 함으로써 핸들축(921)과 함께 조종 핸들(9)을 틸팅시킬 수 있다.
텔레스코픽 기구(915) 선단측에 스티어링 칼럼(32)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핸들(9)과 함께 스티어링 칼럼(32)을 상하동(텔레스코픽 동작) 및 틸팅(틸트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조종 핸들(9)의 자세 조절과 연동해서 스티어링 칼럼(32)의 자세가 변경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스티어링 칼럼(32)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스위치(64, 65)나 레버(36, 62, 63)의 지지 위치가 조종 핸들(9)과 연동해서 위치 조절된다. 따라서, 탑승한 오퍼레이터의 시계에 맞춰서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스위치(64, 65)나 레버(36, 62, 63)를 지지할 수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은 그 좌측면에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를 돌출시키고 있으며,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의 하방에는 오조작 방지체(38)(리버서 가드)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스티어링 칼럼(32)은 그 우측면에 와이퍼(421)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레버나 작업 차량을 일정 속도로 주행시키는 오토 크루즈용 레버 등과 같은 조작 레버(62, 63)를 돌출시키고 있다.
조종 핸들(9) 기부의 스티어링 칼럼(32) 상면에는 배기 가스 정화 장치(224)의 재생 제어를 실행시키는 DPF 재생 스위치(62)를 설치하고 있다. 즉, 직진 작업 자세일 때에 오퍼레이터의 시계에 DPF 재생 스위치(62)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DPF 재생 스위치(62)가 조종 핸들(9) 또는 조작 레버(36, 62, 63) 등에 가려지는 일 없이 탑승한 오퍼레이터에 DPF 재생 스위치(64)의 위치 및 점등 표시 상태를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스티어링 칼럼(32) 상면 중, 조종 핸들(9)의 핸들축(921)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 대칭이 되는 위치에 작업용 스위치나 원터치 자동 스위치 등의 복수의 스위치(65)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스티어링 칼럼(32) 상면에 배치된 스위치(65)군을 시인하여 작업용 스위치와 원터치 자동 스위치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조종 핸들(9) 기부의 스티어링 칼럼(32) 상면에 DPF 재생 스위치(64)와 작업용 스위치나 원터치 자동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65)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35) 상방의 스티어링 칼럼(32) 일측 상면에 DPF 재생 스위치(64)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주행 기체(2)의 전후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조종 핸들(9)의 스포크를 사이에 두고, 작업용 스위치나 원터치 자동 스위치에 의한 스위치(65, 66)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에 배치된 스위치(65)를 작업용 스위치로 하고, 우측에 배치된 스위치(66)를 원터치 자동 스위치로 하고 있다.
이어서, 도 22 및 도 2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엔진 ECU(271)에 의한 DPF(224) 재생 제어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22 및 도 23의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알고리즘(프로그램)은 엔진 ECU(271)의 ROM에 기억되어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을 RAM으로 호출하고 나서 CPU로 처리하여 상술의 각 재생 제어가 실행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224) 재생 제어에서는, 우선 키 스위치(61)가 온이면(S101 : YES), 엔진 회전 센서, 냉각수 온도 센서, 차압 센서 및 DPF 온도 센서의 검출값과, 흡기 스로틀 부재 및 EGR 밸브 부재의 개도와, 커먼 레일에 의한 연료 분사량을 판독한다(S102). 이어서, 과거에 리셋 재생 제어 또는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하고 나서의 누적 구동 시간(TI)이 설정 시간(TI1)(예를 들면, 50시간) 미만이면(S103 : NO), DPF(224)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한다(S104). PM 퇴적량 추정은 차압 센서의 검출값과 배기 가스 유량맵에 의거한 P법과, 엔진 회전 센서의 검출값과 연료 분사량과 PM 배출량맵과 배기 가스 유량맵에 의거한 C법을 이용하여 행한다. PM 퇴적량이 규정량(Ma)(예를 들면, 8g/l) 이상이면(S105 : YES), 어시스트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S106).
어시스트 재생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 엔진 회전 센서의 검출값과 연료 분사량과 PM 배출량맵과 배기 가스 유량맵에 의거해 DPF(224)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한다(S107). PM 퇴적량이 규정량(Ma)(예를 들면, 6g/l) 미만이면(S108 : YES), 어시스트 재생 제어를 종료하고, 통상 운전 제어로 돌아간다. PM 퇴적량이 규정량(Ma) 이상인 경우(S108 : NO),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TI4)(예를 들면, 10분)을 경과한 경우에는(S109 : YES), 리셋 재생 제어 전의 리셋 대기 모드인 스텝 S201로 이행한다.
스텝 S103으로 돌아가서 누적 구동 시간(TI)이 설정 시간(TI1) 이상인 경우(S103 : YES), 리셋 대기 모드인 스텝 S201로 이행하고, 리셋 재생 요구를 실행시킨다. 이 단계에서는, 재생 램프(912) 및 재생 스위치(64)가 저속 점멸함과 아울러(예를 들면, 0.5Hz), 경보 부저가 단속적으로 저속 명동한다(예를 들면, 0.5Hz). 이 때, 미터 ECU(904)는 CAN 통신 버스를 통해서 엔진 ECU(271)로부터 리셋 재생 요구를 실행하기 위한 지령 신호(재생 제어 요구 출력)를 수신한다. 재생 램프(912)를 저속 점멸시킴과 동시에 경보 부저를 저속 명동시킨다. 또한, 재생 스위치(64)를 저속 점멸시킨다.
또한, 스텝 S201에서는 미터 ECU(904)는 액정 패널(908)의 화면 표시를 리셋 재생 제어의 실행을 촉구하는 리셋 재생 요구 정보에 의한 표시로 스위칭함으로써, 예를 들면 액정 패널(908)에는 「재생 스위치를 길게 눌러 주십시오」의 문자 데이터 등의 조작 지시 표지가 표시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그 후, 재생 스위치(64)가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 온 조작된 경우(S202 : YES), 리셋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S203). 이 단계에서는, 재생 램프(912) 및 재생 스위치(64)를 점등시키는 한편, 경보 부저를 명동 정지시킨다. 또한, 액정 패널(908)의 화면 표시를 리셋 재생 요구 정보로부터 「리셋 재생 중」이라고 하는 문자 데이터 등의 통지 표식에 의한 리셋 재생 실행 정보로 전이시키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리셋 재생 제어의 실행 중에, 배기 필터(50)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하고(S204), PM 퇴적량이 규정량(Mr)(예를 들면, 10g/l) 미만인 상태의 경우에는(S205 : NO), 리셋 재생 제어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TI8)(예를 들면, 30분)을 경과하면(S206 : YES), 리셋 재생 제어를 종료하고 통상 운전 제어로 돌아간다. 이 때, 리셋 재생 제어를 종료하기 위해서 재생 램프(912) 및 재생 스위치(64)를 소등시킨다. 또한, 액정 패널(908)에 리셋 재생 실행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908)의 화면 표시를 리셋 재생 실행 정보로부터 통상 정보로 전이시킨다. 한편, PM 퇴적량이 규정량(Mr) 이상이면(S205 : YES), 리셋 재생 제어 실패로 간주하고, PM 과퇴적의 가능성이 우려되므로, 비작업 재생 제어 전의 주차 대기 모드인 스텝 S301로 이행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차 대기 모드에서는 처음으로 DPF(224)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한다(S301). 그리고, PM 퇴적량이 규정량(Mb)(예를 들면, 12g/l) 미만이고(S302 : NO), 또한 소정 시간(TI9)(예를 들면, 10시간) 내이면(S303 : NO),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시킨다(S304). 이 단계에서는, 재생 스위치 램프(345)는 소등된 상태이지만, 재생 램프(912) 및 엔진 이상 램프(912)가 고속 점멸하고(예를 들면, 1.0Hz), 경보 부저가 단속적으로 고속 명동한다(예를 들면, 1.0Hz). 또한, 후술의 도 16의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908)의 화면 표시가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을 예고하는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 지표의 표시로 스위칭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 지표는, 예를 들면 「농작업부를 정지」의 문자 데이터와 「안전한 장소에 주차」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 표시시키는 것이다.
한편, PM 퇴적량이 규정량(Mb) 이상이거나(S302 : YES), 주차 대기 모드인 채로 소정 시간(TI9)(예를 들면, 10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S303 : YES), PM 과퇴적의 가능성이 우려되므로 DPF(224)의 이상을 통지한다(STEP401). 이 때, 엔진 이상 램프(912)가 고속 점멸하고(예를 들면, 1.0Hz), 경보 부저가 고속 명동한다(예를 들면, 1.0Hz). 한편, 재생 램프(912) 및 재생 스위치(64)는 소등된 채로 된다. 또한, 액정 패널(908)의 화면 표시가 「배기 필터 이상」의 문자 데이터와 「판매점에 연락」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하는 이상 경고 표식의 표시로 전환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상술의 스텝 S304에서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한 후에는, 미리 설정 한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대기한다(S305). 스텝 S305에 나타내는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은 전후진 포텐셔미터가 중립 위치(전후진 스위칭 레버(36)의 중립 상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가 온(주차 브레이크 레버(43)에 의한 록 상태), PTO 클러치 스위치(53)가 오프 상태, 엔진(5)이 로우 아이들 회전 속도(무부하시의 최저 한도의 회전 속도), 및 냉각수 온도 센서의 검출값이 소정값(예를 들면, 65℃) 이상(엔진(5)의 난기 운전 완료)이라고 하는 조건으로 되어 있다.
스텝 S305에 있어서, 상기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이 성립하면(YES),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시킨다(S306). 이 단계에서는, 재생 램프(912) 및 재생 스위치(64)가 저속 점멸하고(예를 들면, 0.5Hz), 엔진 이상 램프(912)가 고속 점멸하고(예를 들면, 1.0Hz), 경보 부저가 단속적인 저속 명동으로 스위칭된다(예를 들면, 0.5Hz). 또한, 후술의 도 16의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908)의 화면 표시가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을 촉구하는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 정보에 의한 표시로 전이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즉, 액정 패널(908)에는 스텝 S201에 있어서의 리셋 재생 요구 정보에 의한 표시와 마찬가지로, 「재생 스위치를 길게 눌러 주십시오」의 문자 데이터 등의 조작 지시 표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재생 스위치(64)가 소정 시간 온으로 되면(S307 : YES)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S308). 즉, 미터 ECU(904)가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재생 스위치(64)로의 온 조작을 수신한 것을 엔진 ECU(271)에 통지함으로써 엔진 컨트롤러(271)가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재생 램프(912), 재생 스위치(64), 및 엔진 이상 램프(912)를 점등시키는 한편, 경보 부저를 명동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비작업 재생 제어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인식하기 때문에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시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의 도 24의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908)의 화면 표시를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 정보로부터 비작업 재생 실행 정보로 전이시키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즉, 액정 패널(908)에는 「배기 필터 재생 중」의 문자 데이터와 「재생 종료까지 대기」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하는 비작업 재생 통지 표식이 표시된다. 즉, 재생 제어가 종료될 때까지 본 기기의 조작을 금지하는 취지를 표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중에는 DPF(224)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한다(S309). PM 퇴적량이 규정량(Ms)(예를 들면, 8g/l) 미만이고(S310 : YES), 또한 비작업 재생 제어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TI11)(예를 들면, 30분)을 경과하면(S311 : YES), 비작업 재생 제어를 종료하고 통상 운전 제어로 돌아간다. PM 퇴적량이 규정량(Ms) 이상인 경우(S310 : NO), 이 상태에서 소정 시간(TI12)(예를 들면, 30분)을 경과하면(S312 : YES), 비작업 재생 제어 실패로 간주하고, PM 과퇴적의 가능성이 우려되므로 배기 필터(50)의 이상을 통지하는 스텝 S401로 이행한다.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중에, 주차 브레이크 레버(43)에 의한 록 상태의 해제 등에 의해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이 비성립의 상태로 되면(S313 : YES), 비작업 재생 제어가 중단된 후에(S314) 스텝 S304로 이행하여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시킨다. 또한, S312에 있어서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인터록 해제 조건)이 비성립의 상태에 따라 비작업 재생 제어의 중단의 여부가 판정되는 것으로 했지만, 비작업 재생 제어의 실행 중에 재생 스위치(64)가 눌려진 경우에, 비작업 재생 제어를 중단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것에 의해, 엔진(5)을 정지시키고, DPF(224)의 비작업 재생 제어를 중단시키는 조작 등의 번거로운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DPF(224)의 비작업 재생 제어를 중단시킬 수 있다.
도 24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비작업 재생 제어를 실행시킬 때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908)의 표시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미터 ECU(904)는 상기 스텝 S304에서 엔진 ECU(271)로부터의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를 수신하면(S501 : YES), 액정 패널(908)에 「농작업부를 정지」의 문자 데이터와 「안전한 장소에 주차」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 표시시키는 제 1 비작업 재생 요구 지표를 표시시킨다(S502). 그리고, 미터 ECU(904)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36)가 중립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03). 전후진 스위칭 레버(36)가 전진측 또는 후진측에 있는 경우(S503 : NO),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를 중립 상태로 하는 것을 오퍼레이터에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908)에 「리버서를 중립으로」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04).
이어서, 미터 ECU(904)는 PTO 클러치 스위치(53)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PTO 클러치 스위치(53)가 오프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05). PTO 클러치 스위치(53)가 온 상태인 경우(S505 : NO), PTO 클러치 스위치(53)를 오프로 하는 것을 오퍼레이터에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908)에 「PTO 스위치를 끔으로」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06).
이어서, 미터 ECU(904)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43)에 의한 록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07).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S507 : NO), 주차 브레이크 레버(43)에 의한 록 상태로 하는 것을 오퍼레이터에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908)에 「주차 브레이크를 걸다」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08).
이어서, 미터 ECU(904)는 엔진 ECU(271)와 통신하여 냉각수 온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엔진(5)의 난기 운전이 완료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09). 냉각수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값이 소정값(예를 들면, 65℃)을 하회하는 경우(S509 : NO), 엔진(5)의 난기 운전을 완료시키는 것을 오퍼레이터에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908)에 「난기 운전을 한다」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10).
이어서, 미터 ECU(904)는 엔진 ECU(271)와 통신하여 엔진 회전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엔진(5)이 로우 아이들 회전 속도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511). 엔진(5)이 로우 아이들 회전 속도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S511 : NO), 로우 아이들에 의해 엔진(5)을 동작시키는 것을 오퍼레이터에 촉구하기 위해 액정 패널(908)에 「아이들링으로 한다」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표를 표시시킨다(S512). 상기 스텝 S503, S505, S507, S509, S511 각각의 조건을 모두 충족한 경우, 비작업 재생 이행 조건이 성립하기 때문에 상기 스텝 S306에 있어서의 제 2 비작업 재생 요구를 실행시키고, 액정 패널(908)에 「재생 스위치를 길게 눌러 주십시오」의 문자 데이터에 의한 조작 지시 표식을 표시시킨다(S513).
그 후, 상기 스텝 S307과 마찬가지로, 재생 스위치(64)에의 길게 누름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514). 이 때, 재생 스위치(64)가 소정 시간 온으로 되면(S514 : YES), 액정 패널(908)에는 「배기 필터 재생 중」의 문자 데이터와 「재생 종료까지 대기」의 문자 데이터를 교대로 스위칭하는 비작업 재생 통지 표식이 표시된다(S515).
이어서, 도 26을 참조하면서 캐빈(7) 좌우측부의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도어(323)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300)의 좌우측면측에는 캐빈(7) 좌우측부의 오퍼레이터 타고 내림부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사이드 도어(323)로서 투명한 1장 글래스제의 사이드 도어 글래스체(325)를 배치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 글래스체(325)의 주연부에는 탄성 고무제 등의 웨더 스트립(453)을 사이드 도어 글래스체(32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부착하고 있다. 사이드 도어 글래스체(325) 내면측에는 도장 또는 테이프제의 눈가림부(454)를 웨더 스트립(453)의 내주측을 둘러싸도록 설치하고 있다. 상기 눈가림부(454)에는 발포 우레탄제 등의 흡음재(455)를 접착제 등으로 부착하고 있다. 따라서, 웨더 스트립(453)과 마찬가지로 흡음재(455)도 사이드 도어 글래스체(32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붙어있다.
사이드 도어(323)를 폐지한 상태에서는 웨더 스트립(453) 및 흡음재(455)의 양쪽이 캐빈 프레임(300)에 외측에서부터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웨더 스트립(453) 및 흡음재(455) 중 사이드 도어 글래스체(325)의 전방 가장자리측에 대응한 부분은 앞지주(301)에 접촉하고, 사이드 도어 글래스체(325)의 상방 가장자리측에 대응한 부분은 사이드빔 부재(305)에 접촉하고, 사이드 도어 글래스체(325)의 후방 가장자리측에 대응한 부분은 뒷지주(302)에 접촉한다. 사이드 도어 글래스체(325) 하방 가장자리측에 대응한 부분은 앞지주(301)의 하단측과 뒷지주(302)의 하단측을 연결하는 펜더 프레임(도시생략)에 접촉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이드 도어(323) 폐지시에 캐빈 프레임(300)에 접촉하는 흡음재(455)의 존재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사이드 도어의 외주측을 경유해서 캐빈(7) 내에 소음 등이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캐빈(7)의 방음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ECU(271) 및 미터 ECU(904)는 각각 CAN 통신 버스를 통해서 통신 단말 장치(95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통신 단말 장치(950)는 엔진 ECU(271) 및 미터 ECU(904) 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트랙터(1)의 가동 상태나 컨디션을 인식한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950)는 GPS 안테나(905)와 접속하고 있으며, GPS 안테나(905)를 통해서 인공위성(951)과 통신함으로써 트랙터(1)의 현재 위치를 특정한다. 또한, 통신 단말 장치(950)는 도시하지 않은 내장 안테나에 의해 통신 회선망(무선 LAN이나 전화 회선 등)에 있어서의 기지국(952)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기지국(952)을 통해서 관리 서버(953)에 트랙터(1)의 현재 위치와 함께 트랙터(1)의 가동 상태나 컨디션을 송신한다.
이와 같이, 트랙터(1)는 GPS 안테나(905) 및 통신 단말 장치(950)에 의해 자기의 위치 확인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예를 들면 경영 관리하는 복수의 포장의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로서 관리 서버(953)를 활용한 경우, 관리 서버(953)에 액세스함으로써 미작업인 임의의 포장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작업자가 복수의 포장에서의 농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어 농작업의 생력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의 가동 상태나 컨디션을 제조자 또는 판매자가 관리 서버(953)를 통해서 확인함으로써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트랙터(1)의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연락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터넌스가 필요한 트랙터(1)의 위치를 확인하고,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자를 파견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가 되는 작업 차량에 대해서, 도 28~도 31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28은 트랙터(1)의 좌측면도, 도 29는 동 우측면도, 도 30은 동 평면도이다. 도 28~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2)는 좌우 한 쌍의 전차륜(3)과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된 디젤 엔진(5)에 의해 후차륜(4) 및 전차륜(3)을 구동하여 트랙터(1)는 전진 주행 또는 후진 주행한다. 디젤 엔진(5)의 상방측은 개폐 가능한 보닛(6)으로 덮여 있다. 또한, 주행 기체(2)의 상면 중 보닛(6)의 후방에 운전부(7a)를 설치하고 있으며, 운전부(7a)에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조종 좌석(8)과 전차륜(3)을 조향 조작하는 조종 핸들(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7a)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탑승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8~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2)는 앞범퍼(12) 및 전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과 연결시킨 기체 프레임(15)에 의해 구성되고, 미션 케이스(17)를 기체 프레임(15)에 의해 고정한다. 디젤 엔진(5)의 회전을 미션 케이스(17)에서 변속하여 후차륜(4) 또는 전차륜(3)에 전달한다. 또한, 미션 케이스(17)의 좌우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후차축 케이스(19)를 돌출시키고, 후차축 케이스(19)에 후차륜(4)을 장착한다. 후차축 케이스(19)에 롭스 프레임(80)을 세워 설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전방이며 보닛(8) 후방이 되는 위치에 대시보드(33)가 배치되어 있으며, 대시보드(33)에 둘러싸인 스티어링 칼럼(32)의 상면측에 조향 조작용의 조종 핸들(9)을 회동 가능하게 세워 설치하고 있다. 대시보드(33)는 보닛(6) 내의 엔진(5) 후방을 덮는 에어 컷 플레이트(901)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950) 및 GPS 안테나(905)를 에어 컷 플레이트(901) 배면에 고정하고, 통신 단말 장치(950) 및 GPS 안테나(905)를 대시보드(33) 내에 설치시킨다. 이와 같이, 운전부(7a)가 캐빈 등으로 덮여 있지 않은 구성이라도, 대시보드(33) 내에 통신 단말 장치(950) 및 GPS 안테나(905)를 수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제 3자에 의한 액세스를 방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통신 단말 장치(950)와 GPS 안테나(905)의 전기적인 결선의 절단이나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33)에 미터 패널(906)을 고정시키고 있으며, 상기 미터 패널(906)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미터 컨트롤러(904)를 미터 패널(906)과 일체로 구성하고, 대시보드(33) 내에 있어서 통신 단말 장치(950)에 대향하도록 미터 컨트롤러(904)를 배치시키고 있다. 통신 단말 장치(950) 및 GPS 안테나(905)와 함께 미터 컨트롤러(904)를 대시보드(33) 내에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대시보드(33)로 덮음으로써 빗물이나 먼지에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2: 주행 기체 7: 캐빈
8: 조종 좌석 61: 키 스위치
62: 조작 레버 63: 조작 레버
64: 재생 스위치 421: 와이퍼
422: 와이퍼 구동기구 901: 에어 컷 플레이트
902: 우레탄재 903: 판금 프레임
904: 미터 ECU 905: 안테나
906: 미터 패널 907: 스위치 부재
908: 액정 패널 909: 엔진 회전계
910: 연료계 911: 수온계
912: 표시 램프 913: 표시 램프
914: 텔레스코픽 레버 915: 틸트 레버
916: 브레이크 페달 지지기구 917: 텔레스코픽 기구
918: 틸트 기구 919: 고정 브래킷
921: 핸들축 950: 통신 단말 장치
951: 인공위성 952: 기지국
953: 관리 서버

Claims (9)

  1. 외부와 통신을 실행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통신 단말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조종 핸들이 배치되는 스티어링 칼럼을 매설하도록 세워 설치한 대시보드 내에 상기 안테나와 상기 통신 단말 장치를 배치시키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앞면측에 에어 컷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구조이며,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에 상기 안테나와 상기 통신 단말 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대시보드에 미터 패널을 고정시키고 있고,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대시보드의 상면과, 상기 미터 패널과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로 협지된 공간에, 상기 안테나를 배치시키고,
    상기 안테나와 상기 통신 단말 장치를 덮도록 상기 대시보드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터 패널과 전기적으로 접속한 미터 컨트롤러를 상기 미터 패널과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대시보드 내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에 대향하도록 상기 미터 컨트롤러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DPF 재생 스위치, 작업용 스위치, 원터치 자동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상면에 상기 DPF 재생 스위치를 설치하고, 직진 작업 자세일 때에 오퍼레이터의 시계에 상기 DPF 재생 스위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칼럼 상면 중, 상기 스티어링 칼럼 내에 세로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조종 핸들의 중심축인 조종 핸들축을 중심으로 한 좌우 대칭의 상기 스티어링 칼럼 상면에 상기 작업용 스위치와 원터치 자동 스위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조종 핸들의 자세를 조절하는 틸트 레버와 텔레스코픽 레버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조종 핸들이 배치되는 스티어링 칼럼의 좌우에 상기 틸트 레버와 텔레스코픽 레버를 나누어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77009478A 2014-10-15 2015-10-06 작업 차량 KR101944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1117 2014-10-15
JP2014211117 2014-10-15
JPJP-P-2015-106811 2015-05-26
JP2015106811A JP6456771B2 (ja) 2014-10-15 2015-05-26 作業車両
PCT/JP2015/078374 WO2016060021A1 (ja) 2014-10-15 2015-10-06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585A KR20170049585A (ko) 2017-05-10
KR101944646B1 true KR101944646B1 (ko) 2019-01-31

Family

ID=55955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478A KR101944646B1 (ko) 2014-10-15 2015-10-06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93365B2 (ko)
EP (1) EP3208153B1 (ko)
JP (2) JP6467272B2 (ko)
KR (1) KR101944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6564B2 (en) 2015-11-09 2021-06-29 Crown Equipment Corporation Order picker materials handling vehicle with improved downward visibility when driving elevated
JP6657876B2 (ja) * 2015-12-03 2020-03-0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及びその制御方法
JP6961544B2 (ja) * 2018-06-29 2021-11-0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EP3815983A4 (en) * 2018-06-29 2022-03-09 Kubota Corporation WORK MACHINERY
US11292502B2 (en) * 2020-02-10 2022-04-05 Caterpillar Inc. Steering assembly
CA3181503A1 (en) 2020-06-05 2021-12-09 Craig Rekow Operator control system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11937387B2 (en) * 2021-07-30 2024-03-19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tracking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114A (ja) * 1999-11-17 2001-05-25 Calsonic Kansei Corp 自動課金装置の車載構造
JP2002143114A (ja) * 2000-10-24 2002-05-2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クレードル駆動装置および磁気共鳴映像システム
JP2008224625A (ja) * 2007-03-15 2008-09-25 Yanmar Co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6836A (en) * 1973-06-11 1974-06-11 Gen Motors Corp Shielded instrument panel for use with a windshield radio antenna
US3896448A (en) * 1973-06-11 1975-07-22 Gen Motors Corp Instrument panel radio antenna
US3816837A (en) * 1973-06-11 1974-06-11 Gen Motors Corp Instrument panel radio antenna
JP3467136B2 (ja) * 1995-11-07 2003-11-1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律走行車の走行制御装置
US5682168A (en) * 1996-05-20 1997-10-28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Hidden vehicle antennas
US6011518A (en) * 1996-07-26 2000-01-04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Vehicle antenna
US6029764A (en) * 1997-11-12 2000-02-29 Case Corporation Coordinated control of an active suspens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US6208305B1 (en) * 1998-06-16 2001-03-27 Lear Corporation Integrated antenna and trim component for an automotive vehicle
JP3573656B2 (ja) * 1999-05-26 2004-10-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運転部構造
US6476778B1 (en) * 2000-02-29 2002-11-05 Rally Manufacturing Inc. Remotely controlled retractable power antenna
DE10222798A1 (de) * 2002-05-23 2004-02-1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arborn 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3657249B2 (ja) 2002-09-02 2005-06-08 三菱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におけるワイパー駆動機構の配置構造
JP2005176622A (ja) * 2003-12-16 2005-07-07 Yanmar Co Ltd 農業用作業車
JP4747628B2 (ja) * 2005-03-28 2011-08-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アンテナ
WO2010017254A2 (en) * 2008-08-08 2010-02-1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ockpit and front module assembly and method
JP2013112104A (ja) 2011-11-28 2013-06-10 Iseki & Co Ltd 作業車
JP2013181406A (ja) 2012-02-29 2013-09-12 Iseki & Co Ltd 作業車両
JP2014015058A (ja) * 2012-07-05 2014-01-30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5466343B1 (ja) * 2013-07-12 2014-04-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制御方法
JP6084128B2 (ja) 2013-07-22 2017-02-2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A2891308C (en) * 2014-07-30 2017-06-13 Komatsu Ltd. Work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work vehicle
US10124805B2 (en) * 2014-07-31 2018-11-13 Komatsu Ltd. Work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work vehicle
JP6335732B2 (ja) * 2014-09-26 2018-05-3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114A (ja) * 1999-11-17 2001-05-25 Calsonic Kansei Corp 自動課金装置の車載構造
JP2002143114A (ja) * 2000-10-24 2002-05-2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クレードル駆動装置および磁気共鳴映像システム
JP2008224625A (ja) * 2007-03-15 2008-09-25 Yanmar Co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67272B2 (ja) 2019-02-06
JP6456771B2 (ja) 2019-01-23
EP3208153A4 (en) 2018-02-21
KR20170049585A (ko) 2017-05-10
JP2016078829A (ja) 2016-05-16
JP2016078826A (ja) 2016-05-16
EP3208153B1 (en) 2019-05-08
US10093365B2 (en) 2018-10-09
US20170217510A1 (en) 2017-08-03
EP3208153A1 (en)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646B1 (ko) 작업 차량
KR102011583B1 (ko) 작업 차량
CN110352391B (zh) 作业车
JP6445402B2 (ja) 作業車両
CN110366506B (zh) 作业车
EP3572286B1 (en) Work vehicle
JP2016078600A (ja) 作業車両
JP6386979B2 (ja) 作業車両
JP2016078602A (ja) 作業車両
WO2017078012A1 (ja) 作業車両
JP6080754B2 (ja) 作業車両
WO2016060021A1 (ja) 作業車両
WO2016063721A1 (ja) 作業車両
JP2015190325A (ja) 作業車両
JP6579781B2 (ja) トラクタ
WO2016060022A1 (ja) 作業車両
JP2024033196A (ja) 作業車両
JP2019085055A (ja) 作業車両
JP2015148174A (ja) 作業車両
JP2017227150A (ja) 作業機
JP2017227003A (ja) 作業機
JP2017226286A (ja) 作業機
JP2015183646A (ja) エンジン装置
JP2016078598A (ja) 作業車両
JP2016078825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