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391B1 -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Google Patents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4391B1 KR101944391B1 KR1020177025659A KR20177025659A KR101944391B1 KR 101944391 B1 KR101944391 B1 KR 101944391B1 KR 1020177025659 A KR1020177025659 A KR 1020177025659A KR 20177025659 A KR20177025659 A KR 20177025659A KR 101944391 B1 KR101944391 B1 KR 1019443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inverting
- inverting portion
- arc
- rever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6—Advancing webs by friction ban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6—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winding-up or winding-off several parallel metal b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5—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ension or advance of the material
- B21C47/3458—Endlessly revolving chai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6—Advancing webs by friction band
- B65H20/08—Advancing webs by friction band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1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1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 B65H23/10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and controlling web t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65G15/14—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the load being conveyed between the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05—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conveying element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3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longitudinally-extending flexible tapes or ba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acting on performance of handling machine
- B65H2301/5305—Cooling parts or areas of handling mach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65H2403/25—Arrangement for tensio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권취장력 부여장치(1)는 슬리터라인을 통과되는 슬릿 후의 띠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구조체(2)와, 띠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부구조체(3)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구조체(2) 및 하부구조체(3)는 상하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구조체(2)의 외주면에는 상부 벨트(10)가 순환운동이 자유롭도록 장설되어 있다. 하부 구조체(3)의 외주면에는 하부 벨트(11)가 순환운동이 자유롭도록 장설되어 있다. 상부 구조체(2)는 제1 반전부(14), 상부 가압부(15) 및 제2 반전부(16)를 갖고 있다. 제1 반전부(14) 및 상부 가압부(15)는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반전부 및 상부 가압부의 측면부(30)와, 제2 반전부의 측면부(31)에는 상부 벨트(10)의 긴장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긴장도 조정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띠판의 슬리터라인에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편리성이 향상된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일형상으로 감긴 장척의 금속 소재의 슬리터라인을 비롯한, 소위 금속 코일재의 프로세싱 라인에 있어서, 예를 들어 슬릿 후의 권취 전의 텐션 장치로서 롤 브라이들이나 벨트식 텐션 장치 등이 배치된다.
이 텐션 장치가 슬릿 가공된 띠판에 대하여 권취기의 전단에서 권취장력을 부여하여, 띠판이 권취 코일에 단단하고 확실하게 감길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텐션장치로서, 분할된 다수의 엔드리스 벨트에 의해 금속 띠판의 상하에서 클램프하여 벨트 이면의 마찰력에 의해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다조벨트식 텐션방식(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의 권취장력 부여장치가 존재한다.
이 다조벨트식 텐션방식의 장치에서는, 벨트의 내외가 다른 마찰계수를 갖게 되어 있어, 각 띠판에 균등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벨트 표면과 띠판은 미끄러짐 없이 회전 이동하므로 띠판의 표면에 긁힘이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도 11(a)에 나타내는 권취장력 부여장치(100)가 기재되어 있다. 장치(100)는 한 쌍의 풀리(101)에서 벨트(102)를 장설(張設)하고, 실린더(103)와 연동한 누름판(104)으로 벨트(102)를 가압한다. 또한, 풀리(101)는 복수가 나란히 설치되고, 복수의 벨트(102)를 장설하고 있다.
장치(100)는 풀리(101), 벨트(102) 및 누름판(104)을 일체화한 것이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대향하는 벨트(102)의 사이에 슬릿 후의 띠판(106)이 도시하지 않는 권취기까지 반송되고, 상하의 누름판(104)을 통해 벨트(102)가 띠판(106)을 상하에서 압착한다.
또한, 벨트(102)에서는 벨트 외측은 마찰계수가 큰 소재, 벨트 내측은 마찰계수가 작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띠판(106)이 벨트(102)의 외측 표면에 접하면 벨트 외측의 마찰계수가 크기 때문에, 권취기에서 띠판의 권취를 시작하면 벨트(102)는 미끄러지지 않고 띠판(106)과 함께 이동한다.
풀리(101)는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벨트(102)는 순환운동한다. 벨트(102)의 내측 표면과 누름판(104) 사이에서는 벨트 내측 표면의 마찰계수가 작기 때문에 미끄러짐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띠판(106)에 대하여 반송방향과는 반대방향의 권취장력이 부여되게 된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장치도 마찬가지로 다수의 풀리를 이용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도 11(b)에 나타내는 장력부여장치(200)가 기재되어 있다. 장치(200)는 외주면에 벨트(201)를 장설하는 압력부여체(202)를 갖고 있다. 압력부여체(202)는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벨트 반전부(203)와, 벨트(201)의 내측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부(204)로 구성된다.
압력부여체(202)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기가 설치되고, 복수의 벨트(201)가 나란히 장설되어 있다. 장치(200)는 압력부여체(202)가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대향하는 벨트(201) 사이에 슬릿 후의 띠판(205)이 권취기까지 반송되면 상하의 가압부(204)를 통해 벨트(201)가 띠판(205)을 상하에서 압착한다.
또한, 벨트(201)에서는 특허문헌 1의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벨트 외측은 마찰계수가 큰 소재, 벨트 내측은 마찰계수가 작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띠판(205)과 접촉한 벨트(201)는 순환운동하고, 마찬가지의 원리로 벨트(201)에 대하여 권취장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특허문헌 1 내지 3의 장치에서는, 벨트의 장설에 다수의 풀리를 이용하고 있으나, 풀리끼리 사이에 벨트가 가이드되지 않는 영역이 광범위하게 걸쳐서 존재한다. 이 영역에서는 벨트가 좌우로 흔들리면서 순환운동하기 때문에, 가늘게 슬릿된 띠판의 권취시에 사행(蛇行)현상이 발생되어, 감긴 코일의 에지가 고르지 않게 되는 결함이 발생된다.
또한, 특허문헌 1 내지 4의 장치를 비롯하여, 벨트 내측 표면을 가압하여 권취장력을 발생시키는 텐션장치에서는, 마찰열의 발생이 문제가 된다. 즉, 누름판이나 가압부가 벨트의 내측 표면을 가압하여 이동하므로 마찰열이 발생하고, 마찰열의 대부분은 벨트에 흡수되어 벨트가 고온이 된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풀리를 이용한 텐션 장치에서는, 고온이 된 벨트의 열이 금속제의 풀리로 이동하고, 100℃ 가까이까지 온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이종재를 적층 접착하여 형성한 벨트의 적층부 및 접합부에 있어서, 접착제가 열에 의해 변질되어 벨트의 손상으로 이어지고, 장시간의 슬리터라인의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풀리를 이용한 텐션 장치에서, 200개를 초과하는 수의 풀리에 대하여 냉각수 등을 통해 냉각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며, 풀리에 대한 냉각구조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풀리의 부재 수가 많고, 이것을 축장(軸裝)하기 위한 볼 베어링도 존재하기 때문에 풀리나 주변 기기의 보수작업이 번거롭게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의 텐션 장치에서는, 압력부여체의 내부에 순환하는 냉각수를 흐르게 하여, 벨트의 열을 냉각하고 있다. 그러나, 냉각수는 벨트 반전부나 가압부의 단면 중심부분을 흐르기 쉽고, 벨트가 접하는 외주면 근방의 유수량이 적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불충분하다.
또한, 벨트 반전부는 상술한 풀리와 같이 순환운동하는 벨트에 대하여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냉각 효율이 나빠진다. 이 결과, 특허문헌 3의 텐션 장치에서도 벨트의 마찰열이 충분히 제거될 수 없어, 벨트의 사용 수명이 짧아지고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벨트 반전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벨트 반전 가이드자의 간극과 통하는 공기의 공냉 효과나, 통형상의 벨트 반전 가이드자의 내부에 통기시키는 것에 의한 공냉 효과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으나, 공기의 이용에 그치기 때문에 그 냉각 효과는 불충분하다. 또한, 복수의 벨트 반전 가이드자에 냉각수를 통하게 하는 것은 역시 구조적으로 곤란하게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의 텐션장치에서는, 벨트 반전부와 가압부가 일체화된 구조이며, 벨트의 긴장도를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슬리터라인에서의 사용에 수반하여, 벨트는 마찰열에 의한 온도 상승과 냉각을 반복한다.
이 때, 벨트의 온도 상승과 함께 열팽창으로 벨트의 길이가 길어지고, 압력부여체와의 사이에 틈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는, 온도 상승과 냉각의 반복으로 벨트가 수축되어, 압력부여체를 조여서 벨트의 회전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슬릿 후의 띠판 표면에 슬립 자국을 부착시키는 치명적인 트러블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 금속 띠판을 보다 고속으로 감는 것에 의한 생산성 향상의 요구가 있다. 금속 띠판을 권취기에서 고속으로 감을 때에는 텐션 장치의 벨트도 고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벨트의 긴장도 조정기구가 없기 때문에 벨트에 금속 띠판이 흐르는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하여, 진출측의 벨트 반전부에서는 벨트와 벨트 반전부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밀착성의 저하는 벨트 냉각 능력의 저하에 의한 벨트의 열화로 이어지게 된다. 벨트 순환운동의 직진성의 저하로도 이어져서(좌우로의 흔들림 발생), 인접하는 금속 띠판끼리의 접촉이 발생되어, 금속 띠판 에지가 손상되고, 권취 후의 금속 코일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보수작업에 있어서, 벨트를 교환할 때에는, 복수의 벨트 전부를 압력부여체로부터 빼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벨트의 교환작업에 매우 손이 많이 가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풀리를 장착한 축받이의 승강동작에 의해 벨트의 당김 상태를 조절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나, 연직방향으로의 움직임이며, 회전축을 지지하는 스탠드 등과 간섭할 우려가 있었다. 그 때문에, 축받이의 이동거리가 제한되어, 벨트의 당김 상태의 조절이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조절기구는 축받이가 연직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벨트의 긴장도를 변경했을 때에, 마찬가지로 연직방향에서의 위치관계로 작용하는 가압부와 벨트 내측 표면 사이의 미끄러짐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금속 띠판으로의 권취장력의 조정에 손이 많이 가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풀리를 갖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함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금속 띠판의 슬리터라인에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편리성이 향상된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1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2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1 장설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 또한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1 긴장도 조정부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3 벨 반전부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 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4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2 장설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 사이, 또한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와,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2 긴장도 조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1 장설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에 의해 제1 벨트를 장설하여 유지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는 제1 장설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설되어 있다.
또한,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2 장설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제2 장설부의 둘레를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에 의해 제2 벨트를 장설하여 유지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는 제2 장설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설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1 벨트 반전부와,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제1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2 벨트 반전부에 의해,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벨트는 매끄러운 순환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3 벨트 반전부와, 제3 벨트 반전부 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제3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4 벨트 반전부에 의해,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제2 벨트는 매끄러운 순환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벨트 반전부와,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된 제2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1 장설부와, 제1 벨트 반전부와 대향하여 위치한 제3 벨트 반전부와, 제3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4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2 장설부에 의해 제1 장설부와 제2 조절부가 대향하여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와,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에 의해, 장설한 각 벨트를 마찰계수가 작은 쪽으로부터 가압하고, 반송되는 슬릿 후의 띠판을 협압할 수 있다. 즉, 제1 벨트 및 제1 가압부와, 제2 벨트 및 제2 가압부의 조합으로, 그 사이에 띠판의 반송경로를 설치하여, 제2 가압부를 제1 가압부에 근접시킴(또는 제1 가압부를 제2 가압부에 근접시킴)으로써, 각 벨트 사이에서 띠판을 협압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길이란, 후술하는 띠판으로의 권취장력이 충분히 부여될 수 있을 정도의 접촉압력이 생기는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와,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와,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에 의해, 반송되는 슬릿 후의 띠판에 대하여 권취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제1 벨트 및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고, 각 벨트의 마찰계수가 큰 쪽의 면에서 띠판을 협압한다. 그리고, 벨트의 마찰계수가 큰 쪽과 띠판이 접하여, 벨트가 띠판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순환운동하고,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과 가압부 사이에서 미끄러짐과 마찰력이 생겨, 띠판에 대한 권취장력이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슬릿 후의 띠판이란, 기지(旣知)의 슬리터라인에서 슬릿 가공되고, 폭넓은 금속판의 상태에서 다조의 띠판으로 가공되어 라인을 반송되는 금속 소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1 벨트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에 의해, 장설된 제1 벨트의 내측을 제1 가압부의 부분에서도 지지 가능하게 되어, 제1 벨트가 순환운동할 때에 사행(蛇行)현상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가압부와 제1 벨트 반전부가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벨트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벨트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에 의해, 장설된 제2 벨트의 내측을 제2 가압부의 부분에서도 지지 가능하게 되어, 제2 벨트가 순환운동할 때에 사행현상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가압부와 제3 벨트 반전부가 인접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벨트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1 긴장도 조정부에 의해, 제1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 가능하게 된다. 즉, 수축한 제1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하여, 제1 벨트의 순환운동에서의 회전 불량이 쉽게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벨트가 슬릿 후의 띠판 표면에 슬립 자국을 부착시키는 결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긴장도를 변경함으로써, 손모(損耗)한 벨트의 교환이나 병설된 복수의 제1 벨트끼리 사이에서의 장착 위치의 교체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와 제2 벨트 반전부 사이의 거리의 변경은 수평방향에서의 거리의 변경이며, 제1 가압부가 제1 벨트를 가압하는 방향(연직방향)과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제1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한 영향이, 제1 가압부와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과의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마찰력의 발생으로 쉽게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벨트가 고속도로 회전하여, 벨트에 금속 띠판의 흐르는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띠판의 통과되는 쪽(진출측)의 반전부에서의 벨트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벨트의 순환운동의 직진성이 담보되고, 벨트의 요동이 쉽게 발생되지 않게 되어, 인접하는 띠판끼리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띠판의 통과되는 쪽(진출측)의 반전부의 내부에 벨트의 냉각구조를 설치했을 때에, 반전부로의 벨트의 밀착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벨트의 냉각 효율을 높이고,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벨트 반전부와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2 긴장도 조정부에 의해, 제2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 가능하게 된다. 즉, 수축한 제2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하여, 제2 벨트의 순환운동에서의 회전 불량이 쉽게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제2 벨트가 슬릿 후의 띠판 표면에 슬립 자국을 부착시키는 결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긴장도를 변경함으로써, 손모한 벨트의 교환이나, 병설된 복수의 제2 벨트끼리 사이에서의 장착 위치의 교체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부와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의 거리의 변경은 수평방향에서의 거리의 변경이며, 제2 가압부가 제2 벨트를 가압하는 방향(연직방향)과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제2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한 영향이, 제2 가압부와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과의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마찰력의 발생으로 쉽게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벨트가 고속도로 회전하여, 벨트에 금속 띠판이 흐르는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띠판의 통과되는 쪽(진출측)의 반전부에서의 벨트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벨트의 순환운동의 직진성이 담보되고, 벨트의 요동이 쉽게 발생되지 않게 되어, 인접하는 띠판끼리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띠판의 통과되는 쪽(진출측)의 반전부의 내부에 벨트의 냉각구조를 설치했을 때에, 반전부로의 벨트의 밀착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벨트의 냉각 효율을 높이고,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3 벨트 반전부가 금속 슬리터라인을 흐르는 띠판의 진입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제1 벨트 반전부와 제1 가압부로 구성된 영역, 및 제3 벨트 반전부와 제2 가압부로 구성된 영역을 말하는, 제1 벨트 및 제2 벨트가 안정되게 지지된 영역으로 띠판이 흘러서,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 사이로 들어오게 된다. 이 결과, 띠판은 진입측에서 제1 벨트 및 제2 벨트에 안정되게 끼워지게 되어, 통과되는 띠판의 흐름의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띠판의 흐름의 직진성을 높임으로써, 권취장력을 적절하게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제2 벨트 반전부, 제3 벨트 반전부, 제4 벨트 반전부의 내측이 냉각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고온이 되는 제1 벨트 및 제2 벨트를 냉각할 수 있다. 즉, 각 가압부가 각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을 가압함으로써 생기는 마찰열로 벨트 온도가 상승하지만, 순환운동하는 벨트의 내측과,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 또는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가 접함으로써, 그 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제2 벨트 반전부, 제3 벨트 반전부, 제4 벨트 반전부는, 내통과 내통을 대략 둘러싼 외통을 갖고, 내통 및 외통 사이에 냉각수를 순환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냉각수에 의해 제1 벨트 및 제2 벨트의 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내통과 외통에 끼워진 냉각수가 흐르는 영역을 각 벨트 반전부의 외주면측의 근방에서 설치함으로써, 더한층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1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2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1 장설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1 긴장도 조정부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3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4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2 장설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2 긴장도 조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1 장설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에 의해, 제1 벨트를 장설하여 유지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는 제1 장설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설되어 있다.
또한,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2 장설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에 의해, 제2 벨트를 장설하여 유지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는 제2 장설부의 외주면을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설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1 벨트 반전부와, 제1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제1 벨트 반전부와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2 벨트 반전부에 의해,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벨트는 매끄러운 순환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3 벨트 반전부와, 제3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제3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4 벨트 반전부에 의해,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제2 벨트는 매끄러운 순환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벨트 반전부와,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된 제2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1 장설부와, 제1 벨트 반전부와 대향하여 위치한 제3 벨트 반전부와, 제3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4 벨트 반전부를 갖는 제2 장설부에 의해, 제1 장설부와 제2 조절부가 대향하여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와,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설치되고,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에 의해, 장설한 각 벨트를 마찰계수가 작은 쪽으로부터 가압하고, 반송되는 슬릿 후의 띠판을 협압할 수 있다. 즉, 제1 벨트 및 제1 가압부와, 제2 벨트 및 제2 가압부의 조합으로, 그 사이에 띠판의 반송경로를 설치하여, 제2 가압부를 제1 가압부에 근접시킴(또는, 제1 가압부를 제2 가압부에 근접시킴)으로써, 각 벨트 사이에서 띠판을 협압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길이란, 후술하는 띠판으로의 권취장력이 충분히 부여될 수 있을 정도의 접촉압력이 생기는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와,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와,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에 의해, 반송되는 슬릿 후의 띠판에 대하여 권취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제1 벨트 및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고, 각 벨트의 마찰계수가 큰 쪽의 면에서 띠판을 협압한다. 그리고, 벨트의 마찰계수가 큰 쪽과 띠판이 접하여, 벨트가 띠판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순환운동하고,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과 가압부 사이에서 미끄러짐과 마찰력이 생겨, 띠판에 대한 권취장력이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슬릿 후의 띠판이란, 기지(旣知)의 슬리터라인에서 슬릿 가공되고, 폭넓은 금속판의 상태로부터 다조의 띠판으로 가공되어 라인을 반송되는 금속 소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된 제1 가압부와, 제1 벨트 반전부와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 및 제2 벨트 반전부와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1 긴장도 조정부에 의해, 제1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축한 제1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하여, 제1 벨트의 순환운동에서의 회전 불량이 쉽게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벨트가 슬릿 후의 띠판 표면에 슬립 자국을 부착시키는 결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긴장도를 변경함으로써, 손모한 벨트의 교환이나 병설된 복수의 제1 벨트끼리 사이에서의 장착 위치의 교체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와 각 벨트 반전부 사이의 거리의 변경은 수평방향에서의 거리의 변경이며, 제1 가압부가 제1 벨트를 가압하는 방향(연직방향)과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제1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한 영향이, 제1 가압부와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과의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마찰력의 발생으로 쉽게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측 및 제2 벨트 반전부측의 양방에서 거리가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제1 벨트의 긴장도의 조정범위를 보다 넓게, 특히 긴장도를 크게 하는 방향의 변경 범위를 광범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설부의 양단측에서 제1 벨트를 긴장하기 때문에, 제1 벨트에 대하여 균등하게 힘을 가하기 쉬워져서, 제1 벨트를 보다 안정되게 순환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된 제2 가압부와, 제3 벨트 반전부와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 및 제4 벨트 반전부와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2 긴장도 조정부에 의해, 제2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축한 제2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하여, 제2 벨트의 순환운동에서의 회전 불량이 쉽게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제2 벨트가 슬릿 후의 띠판 표면에 슬립 자국을 부착시키는 결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를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긴장도를 변경함으로써, 손모한 벨트의 교환이나 병설된 복수의 제2 벨트끼리 사이에서의 장착 위치의 교체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부와 각 벨트 반전부 사이의 거리의 변경은 수평방향에서의 거리의 변경이며, 제2 가압부가 제2 벨트를 가압하는 방향(연직방향)과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제2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한 영향이, 제2 가압부와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과의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한 마찰력의 발생으로 쉽게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제3 벨트 반전부측 및 제4 벨트 반전부측의 양방에서 거리가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제2 벨트의 긴장도의 조정범위를 보다 넓게, 특히 긴장도를 크게 하는 방향의 변경 범위를 광범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장설부의 양단측에서 제2 벨트를 긴장하기 때문에, 제1 벨트에 대하여 균등하게 힘을 가하기 쉬워져서, 제2 벨트를 보다 안정되게 순환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가압부가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제2 가압부가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됨으로써,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각 벨트와 접하는 부분의 길이가 다른 각 가압부로 변경함으로써, 각 가압부의 면적을 바꿀 수 있다. 이로 인해 이하와 같은 이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에서는, 제1 가압부 또는 제2 가압부를 양 부재가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예를 들면 액압 실린더에 가압부를 접속하여, 띠판을 각 가압부에서 협압하여 권취장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의 면압(Pa : 단위면적당 압력)은 적절한 권취장력이 부여될 수 있고, 또한 띠판 표면에 손상이나 압착 자국이 쉽게 생기지 않는 범위로 조정되어 있고, 면압 Pa는 식(Pa=P/A)(P : 실린더 압력(kg), A : 가압부 면적(㎠))으로 결정되게 된다. 여기서, 면압은 적정한 범위 내이면 그 값이 작을수록 각 벨트의 손상이 작아져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띠판에 압착 자국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
면압을 작게 할 때에는 실린더 압력(P)을 크게 하거나, 또는 가압부 면적(A)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실린더 압력(P)에 대해서는 사용하는 액압 실린더의 압력 조정에 의해 대응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가압부 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면, 더 한층 면압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결과, 권취장력 부여장치에서 대응 가능한 띠판의 판두께폭의 대상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가압부가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되고, 제2 가압부가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설치하여 배치됨으로써,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가 교환 가능하게 되고, 면압을 작게 하는 설정을 더욱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가압부(제2 가압부)에서의 「제1 벨트(제2 벨트)와 접하는 부분의 길이」란, 띠판이 흐르는 진행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의 부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제2 벨트 반전부, 제3 벨트 반전부, 제4 벨트 반전부의 내측이 냉각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고온이 되는 제1 벨트 및 제2 벨트를 냉각할 수 있다. 즉, 각 가압부가 각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을 가압함으로써 생기는 마찰열로 벨트 온도가 상승하지만, 순환운동하는 벨트의 내측과,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2 벨트 반전부, 또는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가 접함으로써, 그 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제2 벨트 반전부, 제3 벨트 반전부, 제4 벨트 반전부는, 내통과 내통을 대략 둘러싼 외통을 갖고, 내통 및 외통 사이에 냉각수를 순환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냉각수에 의해 제1 벨트 및 제2 벨트의 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내통과 외통에 끼워진 냉각수가 흐르는 영역을 각 벨트 반전부의 외주면측의 근방에서 설치함으로써, 더 한층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장설부에 제1 벨트끼리가 간격을 두고 병설되고, 제2 장설부에 제2 벨트끼리가 간격을 두고 병설된 경우에는, 복수의 벨트의 조합으로 다조의 띠판에 권취장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3 벨트 반전부가 길이방향의 단면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제1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제3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에는, 제1 장설부 및 제2 장설부가 작아지고, 장치 전체의 크기를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2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가 작아졌기 때문에, 제2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가 제1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와 동등한 크기로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할 때의 제2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의 이동거리를 길게 잡을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벨트 긴장도의 조정 가능한 범위를 보다 광범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 반전부, 제2 벨트 반전부, 제3 벨트 반전부 및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반원의 원주 미만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1 장설부 및 제2 장설부가 더한층 작아지고, 또한 장치 전체의 크기를 콤팩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각 반전부가 작아졌기 때문에, 각 반전부의 단면이 반원이 되도록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할 때의 각 반전부의 이동거리를 길게 잡을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벨트 긴장도의 조정 가능한 범위를 더한층 광범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전부, 제3 반전부,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의 내측이 냉각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고온이 되는 제1 벨트 및 제2 벨트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의 내측이 냉각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고온이 되는 제1 벨트 및 제2 벨트를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금속 띠판의 슬리터라인에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편리성이 향상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정면개략도(a) 및 도 1(a)의 화살표 A방향의 개략단면도(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풀리를 이용한 권취장력 부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a) 및 타원형상의 압력부여체를 이용한 권취장력 부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b)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풀리를 이용한 권취장력 부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a) 및 타원형상의 압력부여체를 이용한 권취장력 부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b)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정면개략도(a) 및 도 1(a)의 화살표 A방향의 개략단면도(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상부구조체 및 하부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일례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도면은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에서의 구조의 크기나 축척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1)는 슬리터라인을 통과되는 슬릿 후의 띠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구조체(2)와, 띠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구조체(3)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구조체(2) 및 하부구조체(3)는 상하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슬릿 후의 띠판이란, 폭넓은 금속판이 기지의 슬리터라인에서, 다조의 띠판에 슬릿 가공된 것이다. 또한, 권취장력 부여장치(1)는, 도시하지는 않지만, 기지의 슬리터라인에서 띠판의 권취기의 바로 앞에 배치되고, 띠판에 권취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부구조체(2)는 축체(4) 및 축받이(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부구조체(3)는 축체(6) 및 축받이(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축받이(5) 및 축받이(7)는 지주부(8)에서 접속되고, 축받이(7)는 바닥면에 설치된 스탠드부(9)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구조체(2)의 외주면에는 상부 벨트(10)가 순환운동이 자유롭도록 장설되어 있다. 하부구조체(3)의 외주면에는 하부 벨트(11)가 순환운동이 자유롭도록 장설되어 있다.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는 통과되는 띠판을 도 1(a)에서 보는 상하방향에서 협압하여, 띠판에 권취장력을 미치게 하는 부분이 된다.
상부 벨트(10)는 상부구조체(2)의 길이방향으로 걸어, 일정 간격으로 복수 병설되어 있다. 인접하는 상부 벨트(10)끼리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각 상부 벨트(10)끼리의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하부 벨트(11)도 마찬가지의 구조로, 하부 구조체(3)의 길이방향으로 걸어 복수 병설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탠드부(9)는 승강 롯드(12) 및 액압 실린더(13)로 구성된 승강기구를 갖고 있다. 승강기구는 상부 구조체(2)를 연직방향으로 진퇴동작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이며, 상부 구조체(2)를 승강시켜서, 하부 구조체(3)와의 사이에서, 근접 또는 이간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이 승강기구에 의해 상부 구조체(2)와 하부 구조체(3)가 근접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각 가압부가 상부 벨트(10) 또는 하부 벨트(11)를 가압하고, 띠판에 각 벨트가 접촉하게 된다. 또한, 본 승강기구는 상부 가압부를 승강시키는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벨트(10)를 장설한 상부 구조체(2)의 단면은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부 벨트(11)를 장성한 하부 구조체(3)도, 마찬가지로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승강기구에 의해 하부 구조체(3)가 승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하부 구조체(3)는 고정하여 상부 구조체(2)를 승강기구에 의해 구동시키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이용하여 상부 구조체(2) 및 하부 구조체(3)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구조체(2)는 제1 반전부(14), 상부 가압부(15) 및 제2 반전부(16)를 갖고 있다. 제 1 반전부(14) 및 상부 가압부(15)는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가압부(15)와 제2 반전부(16) 사이에는 틈(1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전부(14) 및 제2 반전부(16)에 의해 상부 벨트(10)는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장설되어 있다. 상부 벨트(10)는 제1 반전부(14), 상부 가압부(15) 및 제2 반전부(16)의 외주면에서 순환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반전부(14)는 원호형상의 외주면(18)을 갖고 있고, 동 부분에서 상부 벨트(10)의 내측에 접촉한다. 또한, 제2 반전부(16)도 원호형상의 외주면(19)을 갖고 있고, 동 부분에서 상부 벨트(10)의 내측에 접촉한다. 상부 벨트(10)는 각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순환운동하기 때문에, 매끄러운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반전부(14) 및 제2 반전부(16)는 상부 벨트(19)의 순환운동의 구동에는 기여하고 있지 않고, 상부 벨트(10)는 후술하는 띠판과의 접촉에 의해 순환운동하는 것이다.
하부 구조체(3)는 제3 반전부(20), 하부 가압부(21) 및 제4 반전부(22)를 갖고 있다. 제3 반전부(20) 및 하부 가압부(21)는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하부 가압부(21)와 제4 반전부(22) 사이에는 틈(2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벨트(10)와 마찬가지로, 하부 벨트(11)는 제3 반전부(20) 및 제4 반전부(22)에 의해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장설되어 있다. 하부 벨트(11)도 제3 반전부(20), 하부 가압부(21) 및 제4 반전부(22)의 외주면에서 순환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반전부(20)는 원호형상의 외주면(24)을 갖고 있고, 동 부분에서 하부 벨트(11)의 내측에 접촉한다. 또한, 제4 반전부(22)도 원호형상의 외주면(25)을 갖고 있고, 동 부분에서 하부 벨트(11)의 내측에 접촉한다. 하부 벨트(11)는 각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순환운동하기 때문에 매끄러운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 반전부(21) 및 제4 반전부(22)는 하부 벨트(11)의 순환운동의 구동에는 기여하고 있지 않고, 하부 벨트(11)도 후술하는 띠판과의 접촉에 의해 순환운동하는 것이다.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는 상부 가압부(15) 및 하부 가압부(21)와 연동하여 띠판(26)에 권취장력을 부여한다.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는 외측 표면(27)에서 띠판과 접하는 동시에, 내측 표면(28)에서 각 가압부 및 각 반전부와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a)의 화살표 Z으로 나타내는 방향이 띠판(26)이 통과되는 방향이다. 또한, 띠판(26)으로의 권취장력은 화살표 Z과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발생한다.
상부 가압부(15) 및 하부 가압부(21)는 단면이 직사각형상 또는 대략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띠판(26)의 통과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각 벨트의 내측 표면(28)에 접촉한다. 또한, 상부 가압부(15)(제1 반전부(14) 포함) 및 하부 가압부(21)(제3 반전부 포함)는 액압 실린더(13)의 승강에 의해 상하 가압부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는 방향, 즉 띠판(26)을 협압하는 방향으로 각 벨트의 내측 표면(28)을 가압한다. 또한, 액압 실린더의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띠판의 권취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는 외측과 내측이 이종 소재로 형성되고, 외측 소재의 마찰계수가 내측 소재의 마찰계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벨트의 내측 표면(28)은 폴리에스테르나 비닐론,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의 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직포의 섬유간 및 망목(網目) 의 오목부에는 마찰계수를 작게 하기 위한 윤활제가 함침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벨트의 외측 표면(27)은 띠판 표면에 가압 자국을 부착시키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압축탄성이 있고, 비교적 얇은 가요성의 재료, 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벨트의 내측 표면(28)의 소재는 외측 표면보다도 마찰계수가 작게 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그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입수가 용이하고, 유연성이 있고 마찰계수를 일정한 값으로 맞추기 쉽다는 점에서, 각 벨트의 내측 표면(28)은 폴리에스테르나 비닐론,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의 직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벨트의 외측 표면(27)은 내측 표면(28)보다도 마찰계수가 크게 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그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마찰계수가 크고, 유연성이 있고 내구성에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각 벨트의 외측 표면(27)은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벨트의 외측 표면(27)은 통과되는 띠판(26)의 표면과 접촉하면 표면의 마찰계수가 크기 때문에, 띠판(26)에 접촉한 채 각 벨트가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는 각 반전부에 장설된 상태에서 순환운동하게 된다. 또한, 도 2(a)에서는 각 벨트의 순환운동의 방향을 화살표 R로 나타낸다.
각 벨트의 내측 표면(28)은 순환운동하면서 각 반전부 및 각 가압부의 외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가압부(15) 및 하부 가압부(21)는 벨트의 내측 표면(28)에 접촉하여, 액압 실린더에 의해 상하 가압부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는 방향, 즉 띠판(26)을 협압하는 방향으로 각 벨트의 내측 표면(28)을 가압한다.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의 내측 표면(28)과, 상부 가압부(15) 및 하부 가압부(21)가 접촉하면, 내측 표면(28)의 마찰계수가 작기 때문에 미끄러짐이 생기고, 마찰력이 발생된다. 이 마찰력이 띠판(26)에 대하여 통과되는 방향과 역방향(화상표 Z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액압 실린더의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띠판의 판두께나 재질에 따른 권취장력이 된다. 또한, 권취장력은 벨트와 가압부에 발생하는 마찰력이며, 마찰열이 생긴다. 이 마찰열이 벨트에 흡수되어, 벨트의 내측 표면(28)의 온도가 상승한다.
또한, 각 반전부의 외주면, 즉 원호형상의 외주면(18), 원호형상의 외주면(19), 원호형상의 외주면(24) 및 원호형상의 외주면(25)의 부분에서는, 각 벨트의 내측 표면(28)과 접촉하지만, 각 반전부는 각 벨트의 순환운동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채로 된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전부(14), 제2 반전부(16), 제3 반전부(20) 및 제4 반전부(22)에서는, 외층부의 내측이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고, 그 공동부분에 냉각수(29)가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고온이 된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의 내측 표면(28)은 각 반전부의 외층부와 접촉하여, 그 열이 외층부로부터 각 반전부의 내부의 냉각수(29)로 이동하고,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가 냉각되게 된다.
냉각수(29)는 도시하지 않는 배관구조가 상부 구조체(2) 및 하부 구조체(3)의 측면에 접속되고, 띠판(26)이 통과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또한, 띠판(26)은 제1 반전부(14)와 상부 가압부(15)가 일체화된 구조 쪽으로부터 통과된다. 이 때문에 도 2(a)에서의 좌측으로부터 틈(17)에 걸쳐 일정한 길이로 걸쳐져, 상부 벨트(10)가 제1 반전부(14)와 상부 가압부(15)에서 지지된 영역을 띠판(26)이 통과되게 되고, 순환운동시의 직진성이 양호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벨트(10)는 틈(17)의 부분을 제외하고, 제1 반전부(14), 상부 가압부(15) 및 제2 반전부(16)에 지지되기 때문에, 상부 벨트(10)로의 내측 표면(28)으로의 순환운동에 수반되는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b)에는 상부 구조체(2) 및 하부 구조체(3)의 측면과, 그 주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 구조체(2) 및 하부 구조체(3)는 각 벨트의 긴장도의 조절기구를 갖고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전부 및 상부 가압부의 측면부(30)와, 제2 반전부의 측면부(31)에는 상부 벨트(10)의 긴장도를 조절 가능한 긴장도 조정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긴장도 조정기구(32)는 제2 반전부(16)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며, 틈(17)의 크기(상부 가압부(15)와 제2 반전부(16) 사이의 거리)를 바꾸어 상부 벨트(10)의 긴장도를 조정한다.
긴장도 조정기구(32)는 가압부 지지부(33), 반전부 지지부(34), 반전부 받이부(35), 위치조정 롯드(36) 및 위치조정 나사(37)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 지지부(33)는 측면부(30)에, 반전부 지지부(34)는 측면부(31)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반전부 지지부(34)에는 위치조정 롯드(36)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위치조정 롯드(36)는 띠판(26)이 통과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타단이 이어나와 있다.
또한, 2개의 부재로 구성된 반전부 받이부(35)는 위치조정 롯드(36)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일단이 가압부 지지부(3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반전부 받이부(35)로 끼워지는 영역에 반전부 지지부(34)가 배치되어 있다. 반전부 받이부(35)는 도 2(b)에서 보는 좌우방향으로의 반전부 지지부(34)의 이동의 가이드 역할을 달성하게 된다.
위치조정 롯드(36)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다. 반전부 받이부(35)의 타단측(38)에는 위치조정 롯드(36)가 삽입통과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전부 받이부(35)의 타단측(38)은 위치조정 롯드(36)의 나선홈에 끼워맞춤 가능한 위치조정 나사(37)가 장착되어 있다.
이 위치조정 나사(37)를 회전시킴으로써, 위치조정 롯드(36)를 따라 반전부 지지부(34)의 위치가 바뀌고, 제2 반전부(16)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반전부(16)가 이동함으로써 이것에 장설된 상부 벨트(10)의 긴장도가 조정되어, 긴장 또는 이완하게 된다.
또한, 하부 구조체(3)에도 긴장도 조정기구(32)와 동일한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하부 벨트(11)의 긴장도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부 구조체(2) 및 하부 구조체(3)에 설치된 각 반전부에 고온이 된 벨트가 접촉하여 효율적으로 열이 제거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반전부 및 각 가압부에 의해 벨트가 안정되게 지지되기 때문에, 순환운동했을 때의 벨트의 직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반전부와 가압부 사이의 틈이 적기 때문에, 벨트의 내측 표면으로의 손상을 줄이고,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반전부 및 제4 반전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각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의 회전 불량이 쉽게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수작업에서의 벨트끼리의 위치 교환이나, 벨트의 분리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벨트의 긴장도의 조정에 의해 벨트 내측 표면과 가압부와의 미끄러짐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적절한 권취장력이 부여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반전부 및 제4 반전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각 벨트의 긴장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가 고속도로 회전하여 벨트에 금속 띠판이 흐르는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띠판의 통과되는 쪽(진출측)의 반전부인, 제2 반전부 및 제4 반전부에서의 벨트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벨트의 순환운동의 직진성이 담보되고, 벨트의 요동이 쉽게 발생되지 않게 되어, 인접하는 띠판끼리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반전부 및 각 가압부의 내측에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 냉각구조에 의한 냉각 벨트의 냉각 효율이 높아지고,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3(a)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39)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장력 부여장치(39)는 띠판(26)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40)와, 띠판(26)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서 구조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구조체(40)는 제1 반전부(42), 상부 가압부(43) 및 제2 반전부(16)를 갖고 있다. 제1 실시예와의 차이는 제1 반전부(42)와 상부 가압부(43)가 분리되어 있고, 양 부재의 사이에 틈(44)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상부 가압부(43)와 제2 반전부(16) 사이에는 틈(1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전부(42) 및 제2 반전부(16)에 의해 상부 벨트(10)는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장설되어 있다. 상부 벨트(10)는 제1 반전부(42), 상부 가압부(43) 및 제2 반전부(16)의 외주면에서 순환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반전부(42)는 원호형상의 외주면(45)을 갖고 있고, 동 부분에서 상부 벨트(10)의 내측에 접촉한다. 제1 반전부(42) 및 제2 반전부(16)는 상부 벨트(10)의 순환운동의 구동에는 기여하고 있지 않고, 상부 벨트(10)는 띠판과의 접촉에 의해 순환운동한다.
하부 구조체(41)는 제3 반전부(46), 하부 가압부(47) 및 제4 반전부(22)를 갖고 있다. 제1 반전부(42)와 마찬가지로, 제3 반전부(46)와 상부 가압부(47)가 분리되어 있고, 양 부재 사이에 틈(48)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하부 가압부(47)와 제2 반전부(16) 사이에는 틈(2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벨트(10)와 마찬가지로, 하부 벨트(11)는 제3 반전부(46) 및 제4 반전부(22)에 의해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장설되어 있다. 하부 벨트(11)도 제3 반전부(46), 하부 가압부(47) 및 제4 반전부(22)의 외주면에서 순환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반전부(46)는 원호형상의 외주면(49)을 갖고 있고, 동 부분에서 하부 벨트(11)의 내측에 접촉한다. 제3 반전부(46) 및 제4 반전부(22)는 하부 벨트(11)의 순환운동의 구동에는 기여하고 있지 않고, 하부 벨트(11)도 띠판과의 접촉에 의해 순환운동한다.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는 상부 가압부(43) 및 하부 가압부(47)와 연동하여 띠판(26)에 권취장력을 부여한다. 각 벨트로의 권취장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전부(42), 제2 반전부(16), 제3 반전부(46) 및 제4 반전부(22)에서는, 외층부의 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고, 그 공동부분에 냉각수(29)가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고온이 된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의 내측 표면(28)은 각 반전부의 외층부와 접촉하여, 그 열이 외층부로부터 각 반전부의 내부의 냉각수(29)로 이동하고, 상부 벨트(10) 및 하부 벨트(11)가 냉각되게 된다.
냉각수(29)는 도시하지 않는 배관구조가 상부 구조체(40) 및 하부 구조체(41)의 측면에 접속되고, 띠판(26)이 통과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도 3(b)에는 상부 구조체(40) 및 하부 구조체(41)의 측면과, 그 주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 구조체(40) 및 하부 구조체(41)는 각 벨트의 긴장도의 조절기구를 갖고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전부의 측면부(50), 상부 가압부의 측면부(51) 및 제2 반전부의 측면부(31)에 상부 벨트(10)의 긴장도를 조절 가능한 긴장도 조정기구(53)가 설치되어 있다. 긴장도 조정기구(53)는 제1 반전부(42)와, 제2 반전부(16)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며, 틈(44)(제1 반전부(42)와 상부 가압부(43) 사이의 거리), 및 틈(17)의 크기(상부 가압부(43)와 제2 반전부(16) 사이의 거리)를 바꾸어, 상부 벨트(10)의 긴장도를 조정한다. 또한, 긴장도 조정기구(53)의 구조 중, 상부 가압부(43)와 제2 가압부(16) 사이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긴장도 조정기구(32)와 동일한 구조이다.
긴장도 조정기구(53)에서의 제1 실시예와의 차이는, 분리된 제1 반전부(42)와, 상부 가압부(43) 사이에도 조절기구가 존재한다는 점에 있다.
긴장도 조정기구(53)는 가압부 지지부(54)(가압부 지지부(33)에 상당하는 부재)와, 반전부 지지부(55), 반전부 받이부(56), 위치조정 롯드(57) 및 위치조정 나사(58)를 갖고 있다. 이들 부재는 반전부 지지부(34), 반전부 받이부(35), 위치조정 롯드(36) 및 위치조정 나사(37)와 동일한 기능을 갖고, 도 3(b)의 도면에서 보는 바, 좌우 대칭으로 장착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위치조정 나사(58)를 회전시킴으로써, 위치조정 롯드(57)를 따라 제1 반전부(42)의 측면부(50)에 장착된 반전부 지지부(55)의 위치가 바뀌고, 제1 반전부(42)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긴장도 조정기구(53)에서는 제2 반전부(16)뿐만 아니라, 제1 반전부(42)를 이동시켜서, 이것에 장설된 상부 벨트(10)의 긴장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41)에도 긴장도 조정기구(53)와 동일한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벨트(11)의 긴장도도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부 구조체(40) 및 하부 구조체(41)에 있어서, 2개의 반전부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보다 광범위하게 각 벨트의 긴장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제1 실시예보다도 더한층 각 벨트를 긴장시키는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각 가압부가 각 반전부에 대하여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장치 전체의 설계를 바꾸지 않고, 각 가압부의 부분만큼 크기가 다른 것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3(b)에 부호 W로 나타내는, 가압부의 폭에 대하여, 폭이 다른 각 가압부로 변경 가능하게 된다. 가압부를 길이방향의 길이를 바꾸지 않고, 폭(W)이 작은 종류로 바꿈으로써, 가압부 면적(A)이 작아지고, 실린더 압력(P)을 바꾸지 않고, 면압(Pa)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면압(Pa)은 띠판으로의 적절한 권취장력의 부여와, 띠판 표면으로의 압착 자국의 발생을 고려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서 설정되지만, 이 경우에도 면압의 값이 작을수록 벨트의 손상이 작아지고 내구성이 향상되어, 띠판에 압착 자국이 쉽게 발생되지 않게 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각 가압부의 폭(W)이 다른 종류로의 변경이 가능하며, 실린더 압력을 일정하게 한 채로 면압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면압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결과,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에서 대응 가능한 띠판의 판두께폭의 대상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반전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각 벨트의 긴장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가 고속도로 회전하여 벨트에 금속 띠판의 흐르는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띠판의 통과되는 측(진출측)의 반전부인, 제2 반전부 및 제4 반전부에서의 벨트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벨트의 순환운동의 직진성이 담보되고, 벨트의 요동이 쉽게 발생되지 않게 되어, 인접하는 띠판끼리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반전부 및 각 가압부의 내측에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 냉각구조에 의한 벨트의 냉각 효율이 높아지고, 벨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4(a)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59)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장력 부여장치(59)는 띠판(26)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60)와, 띠판(26)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61)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실시예의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구조상 다른 부분은 내부의 냉각구조에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부재의 설명 및 부호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부 구조체(60)를 구성하는 제1 반전부(62) 및 상부 가압부(63)의 일체화된 구조체나, 제2 반전부(64)에서는 그 내부가, 속이 찬(中實) 내통부(65)와, 내통부(65)의 외측에 형성된 외통부(66)로 구성된 이중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65) 및 외통부(66)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냉각수(67)가 흐르게 된다. 외통부(66)는 벨트의 열을 냉각수에 효율적으로 전열 이동시키기 위해 판두께가 1~3mm의 철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61)도 마찬가지로 그 내부구조가 이중통 구조로 되고, 내통부(65) 및 외통부(66)와의 사이의 공간에 냉각수(67)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반드시 외통부(66)가 판두께 1~3mm의 철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단, 외층부의 판두께를 더한층 작게 하여, 각 반전부 및 각 가압부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의 냉각수로의 열의 이동이 빨라지는 점과, 일정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외통부(66)가 판두께 1~3mm의 철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소재는 철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구성이 있고, 열의 이동 효율이 우수한 것이면 충분하며,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 등이면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벨트의 긴장도의 조절기구로서, 긴장도 조정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반전부(64)와, 제4 반전부(68)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4(b) 참조).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는 각 반전부 및 각 가압부의 내부구조로서 이중통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각 벨트가 접촉하는 외통부(66)의 외주면 가까이에 냉각수(67)가 흘러, 더한층 냉각의 효율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67)가 흐르는 공간이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수의 양을 줄이면서 효율적인 열의 제거가 실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66)의 판두께가 1~3mm로 얇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벨트의 내측 표면으로부터의 열이 이동하기 쉽고, 또한 그 내측의 냉각수(67)로의 열전도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제4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69)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장력 부여장치(69)는 띠판(26)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70)와, 띠판(26)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71)를 구비하고 있다.
제4 실시예의 구조는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구조상 다른 부분은 내부의 냉각구조에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부재의 설명 및 부호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부 구조체(70)를 구성하는 제1 반전부(72), 상부 가압부(73) 및 제2 반전부(74)에서는, 그 내부가 속이 찬(中實) 내통부(75)와, 내통부(75)의 외측에 형성된 외통부(76)로 구성된 이중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75) 및 외통부(76)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냉각수(77)가 흐르게 된다. 외통부(76)는 벨트의 열을 냉각수에 효율적으로 전열 이동시키기 위해 판두께가 1~3mm의 철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71)도 마찬가지로 그 내부구조가 이중통 구조로 되고, 내통부(75) 및 외통부(76)와의 사이의 공간에 냉각수(77)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반드시 외통부(76)가 판두께 1~3mm의 철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단, 외층부의 판두께를 더한층 작게 하여, 각 반전부 및 각 가압부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의 냉각수로의 열의 이동이 빨라지는 점과, 일정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외통부(76)가 판두께 1~3mm의 철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소재는 철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구성이 있고, 열의 이동 효율이 우수한 것이면 충분하며,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 등이면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벨트의 긴장도의 조절기구로서, 긴장도 조정기구(53)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각 반전부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5(b) 참조).
상술한 제4 실시예에서는 각 반전부 및 각 가압부의 내부구조로서 이중통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각 벨트가 접촉하는 외통부(76)의 외주면 가까이에 냉각수(77)가 흘러, 더한층 냉각 효율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77)가 흐르는 공간이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수의 양을 줄이면서 효율적인 열의 제거가 실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76)의 판두께가 1~3mm로 얇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벨트의 내측 표면으로부터의 열이 이동하기 쉽고, 또한 그 내측의 냉각수(77)로의 열전도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제5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6(a)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78)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장력 부여장치(78)는 띠판(26)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79)와, 띠판(26)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80)를 구비하고 있다.
제5 실시예의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구조상 다른 부분은 제2 반전부 및 제4 반전부의 크기가 작게 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부재의 설명 및 부호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부 구조체(79)는 제1 반전부(14) 및 상부 가압부(15)의 일체화된 구조체와, 제1 반전부(14)보다 작게 형성된 제2 반전부(81)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반전부(14)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의 형상을 갖지만, 제2 반전부(81)의 단면은 제1 반전부(14)의 단면보다도 작은 대략 빗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부 구조체(79)의 전체에서의 외주직경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2)의 외주직경보다도 작게 된다.
또한, 상부 구조체(79)에 있어서, 제1 반전부(14) 및 제2 반전부(81)에 의해 상부 벨트(10)이 장설되고, 그 단면이 타원형상이 되는 점은 상부 구조체(2)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부 가압부(15)와 제2 반전부(81)의 사이에는 틈(8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구조체(80)도 상부 구조체(79)와 마찬가지로, 제4 반전부(83)의 단면은 제3 반전부(20)의 단면보다도 작은 대략 빗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벨트의 긴장도의 조절기구로서, 긴장도 조정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반전부(81)와, 제4 반전부(83)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6(b) 참조).
제5 실시예에서는, 제2 반전부(81) 및 제4 반전부(83)의 형상이 제1 반전부(14) 및 제3 반전부(20)의 형상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구조체(79) 및 하부 구조체(80)의 전체의 형상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즉,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제2 반전부(81) 및 제4 반전부(83)가 작아졌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비교하여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할 때의, 제2 반전부(81) 및 제4 반전부(83)의 이동거리를 길게 잡을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벨트 긴장도의 조정 가능한 범위를 보다 광범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개략측면도(b)이다.
도 7(a)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84)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장력 부여장치(84)는 띠판(26)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85)와, 띠판(26)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86)를 구비하고 있다.
제6 실시예의 구조는 상술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구조상 다른 부분은 각 반전부의 크기가 작게 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부재의 설명 및 부호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부 구조체(85)는 제1 반전부(87) 및 상부 가압부(43) 및 제2 반전부(88)로 구성되고, 각각이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전부(87) 및 제2 반전부(88)의 단면은, 그 원주가 반원 미만의 대략 빗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전부(87) 및 제2 반전부(88)의 단면은 상부 가압부(43)의 단면과 비교하여, 도 6(a)에서 보는 바의 상하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상부 가압부(43)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구조체(85)에 있어서, 제1 반전부(87) 및 제2 반전부(88)에 의해 상부 벨트(10)이 장설되고, 그 단면이 타원형상이 되는 점은 상부 구조체(40)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반전부(87)와 상부 가압부(43) 사이, 및 상부 가압부(43)와 제2 반전부(88) 사이에는 틈(89)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구조체(86)도 상부 구조체(85)와 마찬가지로, 제3 반전부(90) 및 제4 반전부(91)의 단면은 그 원주가 반원 미만의 대략 빗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6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벨트의 긴장도의 조절기구로서, 긴장도 조정기구(53)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각 반전부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7(b) 참조).
제6 실시예에서는 각 반전부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그 원주가 반원 미만의 대략 빗형상의 형상이기 때문에, 제2 실시예에 비해 상부 구조체(85) 및 하부 구조체(86)의 전체의 형상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5 실시예와 비교해도 더한층 전체의 형상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소형화에 더한층 기여하게 된다. 또한, 각 반전부가 작아졌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의 구조나 제5 실시예의 구조와 비교하여 벨트의 긴장도를 조정할 때의 각 반전부의 이동거리를 길게 잡을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벨트 긴장도의 조정 가능한 범위를 더한층 광범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의 개략단면도(a) 및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의 개략단면도(b)이다.
도 8(a)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92)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장력 부여장치(92)는 띠판(26)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93)와, 띠판(26)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94)를 구비하고 있다.
제7 실시예의 구조는 상술한 제5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구조상 다른 부분은 내부의 냉각구조에 있다. 또한, 제5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부재의 설명 및 부호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부 구조체(93)를 구성하는 제1 반전부(95) 및 상부 가압부(96)의 일체화된 구조체나, 제2 반전부(97)에서는, 그 내부가 속이 찬(中實) 내통부(98)와, 내통부(98)의 외측에 형성된 외통부(99)로 구성된 이중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98) 및 외통부(99)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냉각수(100)가 흐르게 된다. 또한, 하부 구조체(94)도 마찬가지로, 그 내부구조가 이중통 구조로 되어, 내통부(98) 및 외통부(99)와의 사이의 공간에 냉각수(100)가 흐르게 된다.
또한, 제7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벨트의 긴장도의 조절기구로서, 긴장도 조정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반전부(97)와, 제4 반전부(101)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b)에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102)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장력 부여장치(102)는 띠판(26)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103)와, 띠판(26)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104)를 구비하고 있다.
제8 실시예의 구조는 상술한 제6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구조상 다른 부분은 내부의 냉각구조에 있다. 또한, 제6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부재의 설명 및 부호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부 구조체(103)를 구성하는 제1 반전부(105), 상부 가압부(106) 및 제2 반전부(107)에서는 그 내부가 속이 찬(中實) 내통부(108)와, 내통부(108)의 외측에 형성된 외통부(109)로 구성된 이중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108) 및 외통부(109)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냉각수(110)가 흐르게 된다. 또한, 하부 구조체(104)도 마찬가지로 그 내부구조가 이중통 구조로 되어, 내통부(108) 및 외통부(109)와의 사이의 공간에 냉각수(110)가 흐르게 된다.
또한, 제8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지만,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벨트의 긴장도의 조절기구로서 긴장도 조정기구(53)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각 반전부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에서는 각 반전부 및 각 가압부의 내부구조로서 이중통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각 벨트가 접촉하는 외통부의 외주면 가까이에 냉각수가 흘러, 더한층 냉각 효율이 높게 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가 흐르는 공간이 작아져 있기 때문에, 냉각수의 양을 줄이면서 효율적인 열의 제거가 실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9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111)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장력 부여장치(111)는 띠판(26)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112)와, 띠판(26)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113)를 구비하고 있다.
제9 실시예의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구조상 다른 부분은 제2 반전부 및 제4 반전부가 원호형상의 외형을 갖고, 그 내부에 냉각구조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또한, 제1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부재의 설명 및 부호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부 구조체(112)는 제1 반전부(14) 및 상부 가압부(15)의 일체화된 구조체와, 원호형상의 외형을 갖는 제2 반전부(11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전부(14) 및 제2 반전부(114)에 의해 상부 벨트(10)가 장설되고, 그 단면이 타원형상이 되는 점은, 상부 구조체(2)(상부 구조체(78))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부 가압부(15)와 제2 반전부(114) 사이에는 틈(1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제1 반전부(14) 및 상부 가압부(15)의 일체화된 구조체의 내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냉각수(29)를 흐르게 하는 냉각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반전부(114)는 원호형상의 외형을 갖는 속이 찬 부재이며, 그 내부에는 냉각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
하부 구조체(113)도 상부 구조체(112)와 마찬가지로, 제4 반전부(116)는 원호형상의 외형을 갖는 속이 찬 부재이며, 그 내부에는 냉각구조를 갖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9 실시예에서는, 제2 반전부(114) 및 제4 반전부(116)의 위치를 변경하고, 각 벨트의 긴장도를 조절 가능한 긴장도 조정기구(117)가 설치되어 있다.
긴장도 조정기구(117)는 가압부 지지부(118), 위치조정 롯드(119), 반전부 받이부(120) 및 위치조정 나사(121)로 구성되어 있다. 일단이 가압부 지지부(118)에 고정된 위치조정 롯드(120)가 제2 반전부(114) 또는 제4 반전부(116)측으로 이어나오고, 각 반전부에 고정된 반전부 받이부(120)를 삽입통과하고 있다. 반전부 받이부(120)에 장착된 위치조정 나사(121)가 위치조정 롯드(120)에 나사결합되고, 위치조정 나사(121)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반전부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9 실시예의 권취장력 부여장치(111)는 제1 반전부(14) 및 상부 가압부(15)의 일체화된 구조체의 내부의 냉각구조만으로 각 벨트에 대하여 충분한 냉각 효과가 얻어질 때에 사용된다. 제2 반전부(114) 및 제4 반전부(116)의 내부에 냉각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장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반전부(14) 및 상부 가압부(15)의 내부의 냉각구조가 제1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동 부분의 내부를 이중관 구조로 하여 내통과 외통 사이에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 구조가 채용되어도 된다.
<제10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상부 구조체 및 하부 구조체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인 권취장력 부여장치(122)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장력 부여장치(122)는 띠판(26)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123)와, 띠판(26)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124)를 구비하고 있다.
제10 실시예의 구조는 상술한 제2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구조상 다른 부분은 각 반전부가 원호형상의 외형을 갖고, 그 내부에 냉각구조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또한, 제2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부재의 설명 및 부호의 기재를 생략한다.
상부 구조체(123)는 제1 반전부(125), 상부 가압부(43), 및 제2 반전부(126)로 구성되고, 각각이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반전부(125) 및 제2 반전부(126)는 원호형상의 외형을 갖고, 상부 벨트(10)가 장설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전부(125)와 상부 가압부(43) 사이, 및 상부 가압부(43)와 제2 반전부(126) 사이에는 틈(12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상부 가압부(43)의 내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냉각수(29)를 흐르게 하는 냉각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전부(125) 및 제2 반전부(126)는 원호형상의 외형을 갖는 속이 찬 부재이며, 그 내부에는 냉각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
하부 구조체(124)도 상부 구조체(123)와 마찬가지로, 제3 반전부(128) 및 제4 반전부(129)는 원호형상의 외형을 갖는 속이 찬 부재이며, 그 내부에는 냉각구조를 갖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0 실시예에서는, 각 반전부의 위치를 변경하고, 각 벨트의 긴장도를 조절 가능한 긴장도 조정기구(130)가 설치되어 있다.
긴장도 조정기구(130)는 가압부 지지부(131), 위치조정 롯드(132), 반전부 받이부(133) 및 위치조정 나사(134)로 구성되어 있다. 일단이 가압부 지지부(131)에 고정된 위치조정 롯드(132)가 제1 반전부(125)(제3 반전부(128)) 또는 제2 반전부(126)(제4 반전부(129)) 측으로 이어나오고, 각 반전부에 고정된 반전부 받이부(133)를 삽입통과하고 있다. 반전부 받이부(133)에 장착된 위치조정 나사(134)가 위치조정 롯드(132)에 나사결합되고, 위치조정 나사(134)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반전부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0 실시예의 권취장력 부여장치(122)는 상부 가압부(15) 및 하부 가압부(47)의 내부의 냉각구조만으로 각 벨트에 대하여 충분한 냉각 효과가 얻어질 때에 사용된다. 각 반전부의 내부에 냉각구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장치 구성을 더한층 간략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가압부(15) 및 하부 가압부(47)의 내부의 냉각구조가 제2 실시예 및 제6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동 부분의 내부를 이중관 구조로 하여 내통과 외통 사이에 냉각수를 흐르게 하는 구조가 채용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는 금속 띠판의 슬리터라인에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편리성이 향상된 것으로 되어 있다.
1 : 권취장력 부여장치 2 : 상부 구조체
3 : 하부 구조체 4 : 축체
5 : 축받이 6 : 축체
7 : 축받이 8 : 지주부
9 : 스탠드부 10 : 상부 벨트
11 : 하부 벨트 12 : 승강 롯드
13 : 액압 실린더 14 : 제1 반전부
15 : 상부 가압부 16 : 제2 반전부
17 : 틈 18 : 원호형상의 외주면
19 : 원호형상의 외주면 20 : 제3 반전부
21 : 하부 가압부 22 : 제4 반전부
23 : 틈 24 : 원호형상의 외주면
25 : 원호형상의 외주면 26 : 띠판
27 : 외측 표면 28 : 내측 표면
29 : 냉각수 30 : 상부 가압부의 측면부
31 : 제2 반전부의 측면부 32 : 긴장도 조정기구
33 : 가압부 지지부 34 : 반전부 지지부
35 : 반전부 받이부 36 : 위치조정 롯드
37 : 위치조정 나사 38 : 반전부 받이부의 타단측
39 : 권취장력 부여장치 40 : 상부 구조체
41 : 하부 구조체 42 : 제1 반전부
43 : 상부 가압부 44 : 틈
45 : 원호형상의 외주면 46 : 제3 반전부
47 : 하부 가압부 48 : 틈
49 : 원호형상의 외주면 50 : 제1 반전부의 측면부
51 : 상부 가압부의 측면부 53 : 긴장도 조정기구
54 : 가압부 지지부 55 : 반전부 지지부
56 : 반전부 받이부 57 : 위치조정 롯드
58 : 위치조정 나사 59 : 권취장력 부여장치
60 : 상부 구조체 61 : 하부 구조체
62 : 제1 반전부 63 : 상부 가압부
64 : 제2 반전부 65 : 내통부
66 : 외통부 67 : 냉각수
68 : 제4 반전부 69 : 권취장력 부여장치
70 : 상부 구조체 71 : 하부 구조체
72 : 제1 반전부 73 : 상부 가압부
74 : 제2 반전부 75 : 내통부
76 : 외통부 77 : 냉각수
78 : 권취장력 부여장치 79 : 상부 구조체
80 : 하부 구조체 81 : 제2 반전부
82 : 틈 83 : 제4 반전부
84 : 권취장력 부여장치 85 : 상부 구조체
86 : 하부 구조체 87 : 제1 반전부
88 : 제2 반전부 89 : 틈
90 : 제3 반전부 91 : 제4 반전부
92 : 권취장력 부여장치 93 : 상부 구조체
94 : 하부 구조체 95 : 제1 반전부
96 : 상부 가압부 97 : 제2 반전부
98 : 내통부 99 : 외통부
100 : 냉각수 101 : 제4 반전부
102 : 권취장력 부여장치 103 : 상부 구조체
104 : 하부 구조체 105 : 제1 반전부
106 : 상부 가압부 107 : 제2 반전부
108 : 내통부 109 : 외통부
110 : 냉각수 111 : 권취장력 부여장치
112 : 상부 구조체 113 : 하부 구조체
114 : 제2 반전부 115 : 틈
116 : 제4 반전부 117 : 긴장도 조정기구
118 : 가압부 지지부 119 : 위치조정 롯드
120 : 반전부 받이부 121 : 위치조정 나사
122 : 권취장력 부여장치 123 : 상부 구조체
124 : 하부 구조체 125 : 제1 반전부
126 : 제2 반전부 127 : 틈
128 : 제3 반전부 129 : 제4 반전부
130 : 긴장도 조정기구 131 : 가압부 지지부
132 : 위치조정 롯드 133 : 반전부 받이부
134 : 위치조정 나사
3 : 하부 구조체 4 : 축체
5 : 축받이 6 : 축체
7 : 축받이 8 : 지주부
9 : 스탠드부 10 : 상부 벨트
11 : 하부 벨트 12 : 승강 롯드
13 : 액압 실린더 14 : 제1 반전부
15 : 상부 가압부 16 : 제2 반전부
17 : 틈 18 : 원호형상의 외주면
19 : 원호형상의 외주면 20 : 제3 반전부
21 : 하부 가압부 22 : 제4 반전부
23 : 틈 24 : 원호형상의 외주면
25 : 원호형상의 외주면 26 : 띠판
27 : 외측 표면 28 : 내측 표면
29 : 냉각수 30 : 상부 가압부의 측면부
31 : 제2 반전부의 측면부 32 : 긴장도 조정기구
33 : 가압부 지지부 34 : 반전부 지지부
35 : 반전부 받이부 36 : 위치조정 롯드
37 : 위치조정 나사 38 : 반전부 받이부의 타단측
39 : 권취장력 부여장치 40 : 상부 구조체
41 : 하부 구조체 42 : 제1 반전부
43 : 상부 가압부 44 : 틈
45 : 원호형상의 외주면 46 : 제3 반전부
47 : 하부 가압부 48 : 틈
49 : 원호형상의 외주면 50 : 제1 반전부의 측면부
51 : 상부 가압부의 측면부 53 : 긴장도 조정기구
54 : 가압부 지지부 55 : 반전부 지지부
56 : 반전부 받이부 57 : 위치조정 롯드
58 : 위치조정 나사 59 : 권취장력 부여장치
60 : 상부 구조체 61 : 하부 구조체
62 : 제1 반전부 63 : 상부 가압부
64 : 제2 반전부 65 : 내통부
66 : 외통부 67 : 냉각수
68 : 제4 반전부 69 : 권취장력 부여장치
70 : 상부 구조체 71 : 하부 구조체
72 : 제1 반전부 73 : 상부 가압부
74 : 제2 반전부 75 : 내통부
76 : 외통부 77 : 냉각수
78 : 권취장력 부여장치 79 : 상부 구조체
80 : 하부 구조체 81 : 제2 반전부
82 : 틈 83 : 제4 반전부
84 : 권취장력 부여장치 85 : 상부 구조체
86 : 하부 구조체 87 : 제1 반전부
88 : 제2 반전부 89 : 틈
90 : 제3 반전부 91 : 제4 반전부
92 : 권취장력 부여장치 93 : 상부 구조체
94 : 하부 구조체 95 : 제1 반전부
96 : 상부 가압부 97 : 제2 반전부
98 : 내통부 99 : 외통부
100 : 냉각수 101 : 제4 반전부
102 : 권취장력 부여장치 103 : 상부 구조체
104 : 하부 구조체 105 : 제1 반전부
106 : 상부 가압부 107 : 제2 반전부
108 : 내통부 109 : 외통부
110 : 냉각수 111 : 권취장력 부여장치
112 : 상부 구조체 113 : 하부 구조체
114 : 제2 반전부 115 : 틈
116 : 제4 반전부 117 : 긴장도 조정기구
118 : 가압부 지지부 119 : 위치조정 롯드
120 : 반전부 받이부 121 : 위치조정 나사
122 : 권취장력 부여장치 123 : 상부 구조체
124 : 하부 구조체 125 : 제1 반전부
126 : 제2 반전부 127 : 틈
128 : 제3 반전부 129 : 제4 반전부
130 : 긴장도 조정기구 131 : 가압부 지지부
132 : 위치조정 롯드 133 : 반전부 받이부
134 : 위치조정 나사
Claims (12)
-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2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1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1 긴장도 조정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4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2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2 긴장도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내측이 냉각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둘러싼 외통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 및 상기 외통의 사이에 냉각수가 순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3 벨트 반전부가 금속 슬리터라인을 흐르는 띠판의 진입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2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1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1 긴장도 조정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4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2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2 긴장도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긴장도 조정부는,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에 마련되는 가압부 지지부, 일단이 상기 가압부 지지부에 고정되는 위치조정 롯드,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고정된 반전부 받이부 및 상기 위치조정 롯드에 결합되어 상기 반전부 받이부에 장착되는 위치조정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삭제
-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2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1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1 긴장도 조정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4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2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2 긴장도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내측이 냉각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는, 내통과 상기 내통을 둘러싼 외통을 포함하고, 상기 내통 및 상기 외통의 사이에 냉각수가 순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2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1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1 긴장도 조정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4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2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2 긴장도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긴장도 조정부는, 상기 제1 가압부에 마련되는 가압부 지지부, 일단이 상기 가압부 지지부에 고정된 위치조정 롯드,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고정된 반전부 받이부, 상기 위치조정 롯드에 결합되는 위치조정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설부는 상기 제1 벨트끼리가 간격을 두고 병설되고,
상기 제2 장설부는 상기 제2 벨트끼리가 간격을 두고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2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1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1 벨트;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1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1 긴장도 조정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측과 반대측에 원호상의 외주면이 형성된 제4 벨트 반전부를 포함하는 제2 장설부;
마찰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계수가 작은 쪽이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2 장설부의 둘레를 자유롭게 순환운동이 가능하도록 링형상으로 장설된 제2 벨트;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2 벨트의 마찰계수가 작은 쪽에 소정의 길이 접하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와 상기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를 변경 가능한 제2 긴장도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3 벨트 반전부는 길이방향의 단면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은 상기 제1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4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의 원호형상의 외주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상기 제2 벨트 반전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및 상기 제4 벨트 반전부는 원호형상의 외주면이 반원의 원주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반전부, 상기 제3 벨트 반전부,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의 내측이 냉각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의 내측이 냉각 가능하게 구성된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6/077310 WO2018051470A1 (ja) | 2016-09-15 | 2016-09-15 | スリット帯板の巻取り張力付与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9223A KR20180079223A (ko) | 2018-07-10 |
KR101944391B1 true KR101944391B1 (ko) | 2019-04-17 |
Family
ID=5908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5659A KR101944391B1 (ko) | 2016-09-15 | 2016-09-15 |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10875070B2 (ko) |
EP (1) | EP3514089B1 (ko) |
JP (1) | JP6150368B1 (ko) |
KR (1) | KR101944391B1 (ko) |
CN (1) | CN109153522B (ko) |
ES (1) | ES2907952T3 (ko) |
TW (1) | TWI709446B (ko) |
WO (1) | WO201805147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53522B (zh) * | 2016-09-15 | 2021-01-05 | Jdc株式会社 | 纵切带板的卷绕张力施加装置 |
JP7135991B2 (ja) * | 2019-04-25 | 2022-09-1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校正判断装置、及び校正判断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44914A (ja) * | 2008-12-22 | 2010-07-01 | Gates Unitta Asia Co | ベルト伝動機構 |
JP2012081477A (ja) * | 2010-10-07 | 2012-04-26 | Nippon Kaihatsu Consultant:Kk | 多条エンドレスベルト式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442337A (fr) * | 1965-02-04 | 1966-06-17 | Somenor Soc Metallurg Du Nord | Dispositif de tension à l'enroulement simultané de bandes multiples de feuillard refendu à partir d'une bande unique en déroulement |
US3368728A (en) * | 1966-01-13 | 1968-02-13 | Artos Engineering Co | Endless belt |
US3481523A (en) * | 1967-06-13 | 1969-12-02 | Us Industries Inc | Strip stock feeding device |
DE1808630A1 (de) * | 1968-11-13 | 1970-06-04 | Maschb Pieper Gmbh |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Rueckzuges,vorzugsweise bei parallelen Baendern |
US3735937A (en) | 1971-02-08 | 1973-05-29 | B Plantard | Continuous sheet slitting mills |
CA973462A (en) * | 1971-02-25 | 1975-08-26 | Per A. Jaatinen | Continuous action sheet press |
AT345166B (de) * | 1976-06-11 | 1978-09-11 | Compriforce Ag | Vorrichtung zur massgenauen foerderung von materialien |
US4368836A (en) * | 1980-10-20 | 1983-01-18 | Libbey-Owens-Ford Company | Sheet feeding apparatus |
JPS5682755A (en) | 1980-10-28 | 1981-07-06 | Nippon Kaihatsu Consultant:Kk | Tension provider for strip |
JPS56136748A (en) * | 1980-12-23 | 1981-10-26 | Nippon Kaihatsu Consultant:Kk | Tension applying apparatus for band steel |
DE3208158C3 (de) * | 1982-03-06 | 1993-02-11 | Norbert Umlauf | Vorrichtung zum Ziehen oder Bremsen von Metallbändern |
GB8429123D0 (en) * | 1984-11-17 | 1984-12-27 | Metal Const Ltd | Transfer device |
EP0195096B1 (de) * | 1985-03-16 | 1988-07-27 | Norbert Umlauf | Vorrichtung zum Ziehen oder Bremsen von Metallbändern |
JPH0320009Y2 (ko) | 1986-07-07 | 1991-04-30 | ||
US5265817A (en) * | 1989-11-08 | 1993-11-30 | Auxmet | Braking device for continuous slitted bands |
FR2683213B1 (fr) * | 1991-11-04 | 1997-10-03 | Thierion Sa Gm | Dispositif de convoyage d'objets legers et instables. |
JP2651891B2 (ja) * | 1993-11-05 | 1997-09-10 |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 円形型金属性帯板張力付与装置 |
JPH08188831A (ja) * | 1994-12-29 | 1996-07-23 | Nkk Corp | 金属帯通板ラインにおけるピンチ式ブライドル装置 |
US5919333A (en) * | 1995-11-28 | 1999-07-06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 Braked linear nipper |
AUPP964499A0 (en) * | 1999-04-08 | 1999-04-29 | Bhp Steel (Jla) Pty Limited | Casting strip |
JP2003214509A (ja) * | 2002-01-22 | 2003-07-30 | Dymco:Kk | ベルト式動力伝達機構 |
GB2384472B (en) * | 2002-01-26 | 2005-08-10 | Miniflex Ltd | Caterpillar traction apparatus |
ES2280650T3 (es) * | 2002-07-02 | 2007-09-16 | Japan Development Consultants, Inc. | Un aparato de aplicar tension de rebobinado a lamina de tira. |
JP3769730B2 (ja) | 2002-07-02 | 2006-04-26 |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 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及び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のエンドレスベルト並びに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のエンドレスベルト用潤滑剤 |
SE524588C2 (sv) * | 2002-12-23 | 2004-08-31 | Sandvik Ab | Förfarande jämte anordning för att kyla band- och trådmaterial |
CN1276807C (zh) * | 2004-07-22 | 2006-09-27 | 东南大学 | 制备速凝金属薄带的水冷辊 |
US20060107622A1 (en) * | 2004-11-22 | 2006-05-25 | Shrink Packaging Systems Corp. | Film side sealing apparatus with closed-loop temperature control of a heater |
JP4625516B2 (ja) * | 2008-10-06 | 2011-02-02 |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 ベルト式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のスリット入りエンドレスベルト |
DE102009036006B3 (de) * | 2009-08-04 | 2010-12-30 | Modine Manufacturing Co., Racine | Herstellungsverfahren für Rohre, Walzenstraße, Abreißvorrichtung |
CN202021218U (zh) * | 2010-12-28 | 2011-11-02 | 苏州奥智机电设备有限公司 | 一种金属管材盘拉机冷却装置 |
JP5682755B2 (ja) | 2011-02-03 | 2015-03-11 | マツダ株式会社 | インパネモジュールの車両搭載方法 |
US9399895B2 (en) * | 2011-09-02 | 2016-07-26 | National Oilwell Varco L.P. | Coiled tubing injector head with chain guides |
US9242284B2 (en) * | 2013-03-15 | 2016-01-26 | Norbert Umlauf | Method and apparatus for straightening metal bands |
CN203497607U (zh) * | 2013-09-22 | 2014-03-26 | 青岛环球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带轮的张紧装置 |
JP6150367B2 (ja) * | 2015-03-20 | 2017-06-21 | Jdc株式会社 | スリット帯板の巻取り張力付与装置 |
CN109153522B (zh) * | 2016-09-15 | 2021-01-05 | Jdc株式会社 | 纵切带板的卷绕张力施加装置 |
KR101897786B1 (ko) * | 2017-06-07 | 2018-09-13 | 부산항만공사 | 이송장치 |
KR102530128B1 (ko) * | 2018-11-02 | 2023-05-08 |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 브라이들 장치 및 강대의 사행 제어 방법 그리고 강대의 제조 방법 |
-
2016
- 2016-09-15 CN CN201680015381.8A patent/CN109153522B/zh active Active
- 2016-09-15 ES ES16892939T patent/ES2907952T3/es active Active
- 2016-09-15 KR KR1020177025659A patent/KR10194439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15 US US15/561,954 patent/US10875070B2/en active Active
- 2016-09-15 EP EP16892939.6A patent/EP3514089B1/en active Active
- 2016-09-15 JP JP2016575247A patent/JP6150368B1/ja active Active
- 2016-09-15 WO PCT/JP2016/077310 patent/WO201805147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
- 2017-08-16 TW TW106127722A patent/TWI709446B/zh active
-
2020
- 2020-11-03 US US17/088,474 patent/US1153481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44914A (ja) * | 2008-12-22 | 2010-07-01 | Gates Unitta Asia Co | ベルト伝動機構 |
JP2012081477A (ja) * | 2010-10-07 | 2012-04-26 | Nippon Kaihatsu Consultant:Kk | 多条エンドレスベルト式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1813732A (zh) | 2018-04-16 |
WO2018051470A1 (ja) | 2018-03-22 |
EP3514089A4 (en) | 2020-06-24 |
CN109153522B (zh) | 2021-01-05 |
ES2907952T3 (es) | 2022-04-27 |
US11534812B2 (en) | 2022-12-27 |
US20210060632A1 (en) | 2021-03-04 |
JP6150368B1 (ja) | 2017-06-21 |
EP3514089B1 (en) | 2022-01-26 |
US20190193133A1 (en) | 2019-06-27 |
US10875070B2 (en) | 2020-12-29 |
JPWO2018051470A1 (ja) | 2018-09-13 |
CN109153522A (zh) | 2019-01-04 |
TWI709446B (zh) | 2020-11-11 |
KR20180079223A (ko) | 2018-07-10 |
EP3514089A1 (en) | 2019-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18092B2 (en) | Slit band sheet coiling-tension applying device | |
KR101944391B1 (ko) | 슬릿 띠판의 권취장력 부여장치 | |
KR101202465B1 (ko) | 다줄 엔드리스 벨트식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 |
KR20090121307A (ko) | 절단 방법 및 와이어 쏘 장치 | |
TWI481544B (zh) | A method of winding a sheet and a device thereof | |
CN101394936B (zh) | 涂敷装置 | |
JP2007523020A (ja) | 薄いシート、特に薄いアルミニウムシートを巻取る巻取り機 | |
TWI611849B (zh) | 分條帶板之捲繞張力賦予裝置 | |
KR200437833Y1 (ko) | 알루미늄 프레임 제조장치용 냉각 테이블 | |
CN101394935B (zh) | 涂敷装置 | |
JP5751133B2 (ja) | 鋼管用搬送装置 | |
JP6759562B2 (ja) | ワーク搬送装置 | |
JPH04305315A (ja) | 金属帯の張力付与装置 | |
KR100504586B1 (ko) | 교정부재를 갖춘 선재 직선교정기 | |
JP2006056074A (ja) | 帯状部材の載置方法及びその装置 | |
JP7163225B2 (ja) | 圧延方法および圧延装置 | |
JP2005022783A (ja) | ベルトラッパーとその運転方法 | |
KR100473907B1 (ko) | 합성수지제 요철형 나선관 성형 진행장치 | |
JP2009045713A (ja) | 無端ベルトの製造方法及び無端ベルトの研磨装置 | |
JPH0615642A (ja) | 多重ベルト成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