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421B1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421B1
KR101942421B1 KR1020110146186A KR20110146186A KR101942421B1 KR 101942421 B1 KR101942421 B1 KR 101942421B1 KR 1020110146186 A KR1020110146186 A KR 1020110146186A KR 20110146186 A KR20110146186 A KR 20110146186A KR 101942421 B1 KR101942421 B1 KR 10194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hannel
gate electrode
hole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463A (ko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421B1/ko
Priority to US13/604,316 priority patent/US8872249B2/en
Publication of KR20130077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463A/ko
Priority to US14/524,545 priority patent/US900608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87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vertical transistor structures, i.e. with channel vertical to the substrate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 H01L29/7926Vertical transistors, i.e. transistors having source and drain not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기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채널층; 상기 채널층을 따라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정공 공급층 및 복수의 게이트 전극; 상기 채널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메모리막; 및 상기 정공 공급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메모리 셀들 사이에 정공 공급층을 형성하여 메모리 셀의 소거 동작 시에 메모리 셀에 정공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GIDL 전류를 이용하지 않고도 소거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기록/소거 반복에 따른 특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메모리 셀이 적층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그대로 유지되는 메모리 장치이다. 현재 다양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반도체 기판 상에 단층으로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2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집적도 향상이 한계에 도달함에 따라,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채널층을 따라 복수의 메모리 셀을 형성하는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으로 채널층을 형성하고, n형 도핑을 통해 소스(Source) 및 드레인(Drain)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에 정공(Hole)을 충분히 공급해 줄 수 있는 정공 공급원이 구비되지 않아 메모리 셀의 소거(Erase)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 전류를 이용한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를 통해서도 메모리 셀의 소거를 위한 정공을 충분히 공급하기는 어렵다. 또한, GIDL 전류를 이용하는 경우 기록/소거 반복(Program/Erase Cycling)에 따라 소자의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모리 셀들 사이에 정공 공급층을 형성하여 메모리 셀의 소거 동작 시에 메모리 셀에 정공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GIDL 전류를 이용하지 않고도 소거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기록/소거 반복에 따른 특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기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채널층; 상기 채널층을 따라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정공 공급층 및 복수의 게이트 전극; 상기 채널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메모리막; 및 상기 정공 공급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복수의 정공 공급층 및 복수의 희생층을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정공 공급층 및 상기 희생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기판을 노출시키는 채널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홀 내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홀 양측의 상기 정공 공급층 일부 및 상기 희생층을 관통하는 슬릿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릿홀에 의해 노출된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층이 제거된 공간에 메모리막 및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메모리 셀들 사이에 정공 공급층을 형성하여 메모리 셀의 소거 동작 시에 메모리 셀에 정공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GIDL 전류를 이용하지 않고도 소거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기록/소거 반복에 따른 특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특히, 도 1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a 내지 도 1d는 도 1e의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중간 단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층간 절연막(120)을 형성한다. 기판(100)은 단결정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기판일 수 있으며, 소정의 하부 구조물(미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120)은 산화막 또는 질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층간 절연막(120) 상에 복수의 정공 공급층(125) 및 복수의 희생층(130)을 교대로 적층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정공 공급층(125) 및 복수의 희생층(130)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물을 적층 구조물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적층 구조물의 최하부 및 최상부에는 정공 공급층(125)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정공 공급층(125)은 메모리 셀의 소거(Erase) 동작 시에 메모리 셀에 정공(Hole)을 충분히 공급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p형 반도체, 예컨대 p+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희생층(130)은 후속 공정에서 제거되어 후술하는 게이트 전극이 형성될 공간을 제공하는 몰드(Mold) 역할을 하는 층으로서 정공 공급층(125)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 예컨대 실리콘 산화막(SiO2)과 같은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단면도에는 4개의 희생층(13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도 형성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 및 층간 절연막(12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기판(100)을 노출시키는 채널홀(H1)을 형성한다. 채널홀(H1)은 평면상에서 볼 때 원 또는 타원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어서, 채널홀(H1) 내에 채널층(140)을 형성한다. 채널층(140)은 반도체 물질, 예컨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층(140)이 채널홀(H1)을 완전히 매립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채널층(140)이 채널홀(H1)을 완전히 매립하지 않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정공 공급층(125)을 제외한 나머지 정공 공급층(125) 및 희생층(13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채널홀(H1) 양측의 정공 공급층(125) 및 희생층(130)을 분리시키는 슬릿홀(T)을 형성한다. 슬릿홀(T)은 본 단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 형태로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잔류하는 정공 공급층(125)을 정공 공급층 패턴(125A)이라 한다.
한편, 층간 절연막(120)을 희생층(130)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 예컨대 질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한 경우, 적층 구조물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정공 공급층(125)까지 식각하여 슬릿홀(T)에 의해 모든 정공 공급층(125)이 분리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어서, 슬릿홀(T)에 의해 노출된 희생층(130)을 제거한다. 이때, 희생층(130)을 제거하기 위해 정공 공급층 패턴(125A)과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적층 구조물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정공 공급층(125)은 층간 절연막(120)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슬릿홀(T)을 통해 희생층(130)이 제거된 공간 내벽을 따라 메모리막(145)을 형성한다.
여기서, 메모리막(145)은 터널 절연막, 전하 트랩막 및 전하 차단막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터널 절연막은 전하 터널링을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산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하 트랩막은 전하를 트랩시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질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하 차단막은 전하 트랩막 내의 전하가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산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메모리막(145)은 ONO(Oxide-Nitride-Oxide)의 삼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희생층(130)이 제거된 공간을 매립하도록 메모리막(145) 상에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은 도전물질, 예컨대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또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방식으로 콘포멀(Conformal)하게 증착 가능한 금속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슬릿홀(T) 내의 메모리막(145) 및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을 식각하여 메모리막(145) 및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을 슬릿홀(T)을 중심으로 분리시킨다. 본 공정 결과, 정공 공급층 패턴(125A) 사이에 게이트 전극(150A)이 형성되며, 잔류하는 메모리막(145)을 메모리막 패턴(145A)이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층(140)과 게이트 전극(150A) 사이 및 정공 공급층 패턴(125A)과 게이트 전극(150A) 사이에 메모리막 패턴(145A)이 개재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공 공급층 패턴(125A)과 게이트 전극(150A) 사이에는 메모리막 패턴(145A)이 아닌 다른 절연막, 예컨대 산화막 또는 질화막과 같은 단일막이 개재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도 1e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기판(100)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채널층(140), 채널층(140)을 따라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정공 공급층 패턴(125A) 및 복수의 게이트 전극(150A), 채널층(140)과 게이트 전극(150A) 사이에 개재되는 메모리막 패턴(145A), 및 정공 공급층 패턴(125A)과 게이트 전극(150A)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공 공급층 패턴(125A)은 메모리 셀의 소거 동작에 필요한 정공을 충분히 공급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p형 반도체, 예컨대 p+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1a의 공정을 수행한 후, 도 2a 내지 도 2d의 공정을 수행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정공 공급층(125) 및 복수의 희생층(130)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물 및 층간 절연막(12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기판(100)을 노출시키는 채널홀(H1)을 형성한다. 채널홀(H1)은 평면상에서 볼 때 원 또는 타원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어서, 채널홀(H1) 측벽에 보호막(135)을 형성한 후, 채널홀(H1) 내에 채널층(140)을 형성한다. 채널층(140)은 반도체 물질, 예컨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막(135)은 희생층(130)을 제거하는 후속 공정에서 채널층(140)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산화막 또는 질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보호막(135)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정공의 터널링(Tunneling)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또는 정공 공급층(125)과 채널층(140)을 완전히 절연시킬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의 최하부에 위치한 정공 공급층(125)을 제외한 나머지 정공 공급층(125) 및 희생층(13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채널홀(H1) 양측의 정공 공급층(125) 및 희생층(130)을 분리시키는 슬릿홀(T)을 형성한다. 슬릿홀(T)은 본 단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태로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잔류하는 정공 공급층(125)을 정공 공급층 패턴(125A)이라 한다.
이어서, 슬릿홀(T)에 의해 노출된 희생층(130)을 제거한다. 이때, 희생층(130)을 제거하기 위해 정공 공급층 패턴(125A)과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슬릿홀(T)을 통해 희생층(130)이 제거된 공간 내벽을 따라 메모리막(145)을 형성한다. 메모리막(145)은 터널 절연막, 전하 트랩막 및 전하 차단막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ONO(Oxide-Nitride-Oxide)의 삼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보호막(135)이 터널 절연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터널 절연막의 증착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희생층(130)이 제거된 공간을 매립하도록 메모리막(145) 상에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은 도전물질, 예컨대 화학적 기상 증착(CVD) 또는 원자층 증착(ALD) 방식으로 콘포멀하게 증착 가능한 금속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슬릿홀(T) 내의 메모리막(145) 및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을 식각하여 메모리막(145) 및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을 슬릿홀(T)을 중심으로 분리시킨다. 본 공정 결과, 정공 공급층 패턴(125A) 사이에 게이트 전극(150A)이 형성되며, 잔류하는 메모리막(145)을 메모리막 패턴(145A)이라 한다.
이상의 제2 실시예에서는 채널층(140) 측면을 둘러싸는 보호막(135)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1 패스 게이트 전극층(105)을 형성한다. 기판(100)은 단결정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기판일 수 있으며, 제1 패스 게이트 전극층(105)은 도전물질, 예컨대 도핑된 폴리실리콘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패스 게이트 전극층(105)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홈을 형성한 후, 이 홈 내에 희생막 패턴(110)을 형성한다.
여기서, 희생막 패턴(110)은 후속 공정에서 제거되어 후술하는 서브 채널홀이 형성될 공간을 제공하며, 후술하는 제2 패스 게이트 전극층, 층간 절연막, 정공 공급층, 희생층 및 제1 패스 게이트 전극층(105)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희생막 패턴(110)은 평면상에서 볼 때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본 단면 방향의 장축과 본 단면과 교차하는 방향의 단축을 갖는 섬(Island)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제1 패스 게이트 전극층(105) 및 희생막 패턴(110) 상에 제2 패스 게이트 전극층(115)을 형성한다. 제2 패스 게이트 전극층(115)은 도전물질, 예컨대 도핑된 폴리실리콘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패스 게이트 전극층(105, 115)은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으로서 희생막 패턴(110)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 패스 게이트 전극층(115) 상에 층간 절연막(120)을 형성한 후, 층간 절연막(120) 상에 복수의 정공 공급층(125) 및 복수의 희생층(130)을 교대로 적층한다. 층간 절연막(120)은 산화막 또는 질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정공 공급층(125)은 메모리 셀의 소거 동작 시에 메모리 셀에 정공을 충분히 공급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p형 반도체, 예컨대 p+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희생층(130)은 후속 공정에서 제거되어 후술하는 게이트 전극이 형성될 공간을 제공하는 층으로서 정공 공급층(125)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 예컨대 산화막 계열의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 층간 절연막(120) 및 제2 패스 게이트 전극층(115)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희생막 패턴(110)을 노출시키는 한 쌍의 채널홀(H1)을 형성한다. 채널홀(H1)은 후술하는 채널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희생막 패턴(110)마다 한 쌍씩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한 쌍의 채널홀(H1)에 의해 노출된 희생막 패턴(110)을 제거한다. 이때, 희생막 패턴(110)을 제거하기 위해 제1 및 제2 패스 게이트 전극층(105, 115), 층간 절연막(120) 및 적층 구조물과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공정 결과, 희생막 패턴(110)이 제거된 공간에 한 쌍의 채널홀(H1)을 연결시키는 서브 채널홀(H2)이 형성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한 쌍의 채널홀(H1) 및 서브 채널홀(H2) 내벽을 따라 보호막(135)을 형성한다. 이때, 채널홀(H1) 내벽에 형성된 보호막(135)은 희생층(130)을 제거하는 후속 공정에서 후술하는 채널층(140)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서브 채널홀(H2) 내벽에 형성된 보호막(135)은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 역할을 한다.
이어서, 한 쌍의 채널홀(H1) 및 서브 채널홀(H2) 내에 채널층(140)을 형성한다. 채널층(140)은 메모리 셀 또는 선택 트랜지스터의 채널로 이용되는 메인 채널층과 패스 트랜지스터의 채널로 이용되는 서브 채널층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실리콘과 같은 반도체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적층 구조물의 최하부에 위치한 정공 공급층(125)을 제외한 나머지 정공 공급층(125) 및 희생층(13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채널홀(H1) 양측의 정공 공급층(125) 및 희생층(130)을 분리시키는 슬릿홀(T)을 형성한다. 슬릿홀(T)은 본 단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 형태로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잔류하는 정공 공급층(125)을 정공 공급층 패턴(125A)이라 한다.
이어서, 슬릿홀(T)에 의해 노출된 희생층(130)을 제거한다. 이때, 희생층(130)을 제거하기 위해 정공 공급층 패턴(125A)과의 식각 선택비를 이용한 습식 식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f를 참조하면, 슬릿홀(T)을 통해 희생층(130)이 제거된 공간 내벽을 따라 메모리막(145)을 형성한다. 메모리막(145)은 터널 절연막, 전하 트랩막 및 전하 차단막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ONO(Oxide-Nitride-Oxide)의 삼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보호막(135)이 터널 절연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터널 절연막의 증착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희생층(130)이 제거된 공간을 매립하도록 메모리막(145) 상에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은 도전물질, 예컨대 화학적 기상 증착(CVD) 또는 원자층 증착(ALD) 방식으로 콘포멀하게 증착 가능한 금속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g를 참조하면, 슬릿홀(T) 내의 메모리막(145) 및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을 식각하여 메모리막(145) 및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150)을 슬릿홀(T)을 중심으로 분리시킨다. 본 공정 결과, 정공 공급층 패턴(125A) 사이에 게이트 전극(150A)이 형성되며, 잔류하는 메모리막(145)을 메모리막 패턴(145A)이라 한다.
이상의 제3 실시예에서는 층간 절연막(120) 하부에 제1 및 제2 패스 게이트 전극층(105, 115)으로 이루어지는 패스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며, 이 패스 게이트 전극은 메인 채널층 한 쌍을 서로 연결시키는 서브 채널층을 갖는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메모리 셀들 사이에 정공 공급층을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셀의 소거 동작 시에 메모리 셀에 정공을 충분히 공급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GIDL(Gate Induced Drain Leakage) 전류를 이용하지 않고도 소거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기록/소거 반복(Program/Erase Cycling)에 따른 특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기판 105 : 제1 패스 게이트 전극층
110 : 희생막 패턴 115 : 제2 패스 게이트 전극층
120 : 층간 절연막 125A : 정공 공급층 패턴
130 : 희생층 135 : 보호막
140 : 채널층 145A : 메모리막 패턴
150A : 게이트 전극 H1 : 채널홀
H2 : 서브 채널홀 T : 슬릿홀

Claims (10)

  1. 기판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채널층;
    상기 채널층을 따라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전도성 P형 반도체 층 및 복수의 게이트 전극;
    상기 채널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메모리막; 및
    상기 전도성 P형 반도체 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막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층 측면을 둘러싸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층 한 쌍을 서로 연결시키는 서브 채널층; 및
    상기 서브 채널층에 게이트 절연막을 개재하여 접하는 패스 게이트 전극을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 게이트 전극은, 상기 서브 채널층 상부의 도전층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6. 기판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복수의 전도성 P형 반도체 층 및 복수의 희생층을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P형 반도체 층 및 상기 희생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기판을 노출시키는 채널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홀 내에 채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홀 양측의 상기 전도성 P형 반도체 층 일부 및 상기 희생층을 관통하는 슬릿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슬릿홀에 의해 노출된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희생층이 제거된 공간에 메모리막 및 게이트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층 형성 단계 전에,
    상기 채널홀 측벽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 형성 단계 전에,
    상기 기판 상에 패스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홀 형성 단계 후에,
    상기 패스 게이트 전극 내부에 상기 채널홀 한 쌍을 서로 연결시키는 서브 채널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10146186A 2011-12-29 2011-12-29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4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186A KR101942421B1 (ko) 2011-12-29 2011-12-29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3/604,316 US8872249B2 (en) 2011-12-29 2012-09-05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4/524,545 US9006089B2 (en) 2011-12-29 2014-10-27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186A KR101942421B1 (ko) 2011-12-29 2011-12-29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463A KR20130077463A (ko) 2013-07-09
KR101942421B1 true KR101942421B1 (ko) 2019-01-30

Family

ID=4869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186A KR101942421B1 (ko) 2011-12-29 2011-12-29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872249B2 (ko)
KR (1) KR101942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6609B2 (en) 2010-02-15 2013-04-09 Micron Technology, Inc. Cross-point memory cells, non-volatile memory arrays, methods of reading a memory cell, methods of programming a memory cell, methods of writing to and reading from a memory cell, and computer systems
KR20150091895A (ko) * 2014-02-04 2015-08-1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02080A (ko) * 2015-06-29 2017-01-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08180B1 (ko) * 2016-06-01 2023-12-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N108538849B (zh) * 2018-01-24 2021-03-19 东芯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三维堆叠的闪存结构及其制备方法
KR20200112192A (ko) 2019-03-21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와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이레이즈 방법
KR102254032B1 (ko) * 2019-12-26 2021-05-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정공 주입 소거 방식을 지원하는 3차원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1449A (ja) 2005-07-14 2009-01-15 マイクロ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ク. 高密度nand不揮発性メモリデバイス
JP2010040122A (ja) 2008-08-06 2010-02-18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駆動方法
JP2010171185A (ja) 2009-01-22 2010-08-05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5308A (ja) 2010-02-09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不揮発性メモリ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と、それを含むメモリシステム
US20110233645A1 (en) 2010-03-24 2011-09-29 Kabushiki Kaisha Toshiba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718B1 (ko) * 2000-06-29 2004-02-1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셀의 소거 방법
JP4226205B2 (ja) * 2000-08-11 2009-02-18 富士雄 舛岡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0483035B1 (ko) * 2001-03-30 2005-04-1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142692B2 (ja) 2007-12-11 2013-02-13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20100113359A (ko) * 2009-04-13 2010-10-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그 제조 방법 및 전하트랩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데이터 소거 방법
KR20100133671A (ko) * 2009-06-12 2010-1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수직채널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00314678A1 (en) 2009-06-12 2010-12-16 Se-Yun Lim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045073B1 (ko) * 2009-08-07 2011-06-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수직채널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5525A (ko) * 2009-09-30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13767B1 (ko) * 2009-10-19 2012-02-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그 동작 방법 및 제조 방법
KR20110070527A (ko) *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채널 형성 방법
KR101691092B1 (ko) * 2010-08-26 2016-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의 동작 방법,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101692520B1 (ko) * 2010-02-17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의 동작 방법,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KR20110118961A (ko) * 2010-04-26 2011-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2523A (ko) * 2011-12-22 2013-07-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3차원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1449A (ja) 2005-07-14 2009-01-15 マイクロ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ク. 高密度nand不揮発性メモリデバイス
JP2010040122A (ja) 2008-08-06 2010-02-18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駆動方法
JP2010171185A (ja) 2009-01-22 2010-08-05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5308A (ja) 2010-02-09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不揮発性メモリ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と、それを含むメモリシステム
US20110233645A1 (en) 2010-03-24 2011-09-29 Kabushiki Kaisha Toshiba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8753A1 (en) 2013-07-04
US20150044836A1 (en) 2015-02-12
KR20130077463A (ko) 2013-07-09
US9006089B2 (en) 2015-04-14
US8872249B2 (en)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9570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023702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0706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3141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163617B2 (en) Vertical channel type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754956B2 (en) Uniform thickness blocking dielectric portions in a three-dimensional memory structure
US8975683B2 (en) Nonvolatile pipe gate memory device
KR101942421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22689B1 (ko) 다중레벨 드레인 선택 게이트 격리를 포함하는 3차원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US8921922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49375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200488B1 (ko) 수직채널형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76461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168848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951671B2 (en) Method of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separate charge trap patterns
KR20140022204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30077450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9243A (ko)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04813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1760662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30076458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086640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1632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