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630B1 -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630B1
KR101940630B1 KR1020180034222A KR20180034222A KR101940630B1 KR 101940630 B1 KR101940630 B1 KR 101940630B1 KR 1020180034222 A KR1020180034222 A KR 1020180034222A KR 20180034222 A KR20180034222 A KR 20180034222A KR 101940630 B1 KR101940630 B1 KR 101940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teel tower
screw rod
footrest
foo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신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신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신전력
Priority to KR102018003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탑을 오르내릴 때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고 안전로프를 철탑에 상시 걸어놓을 수 있으며 안전로프를 통한 추락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철탑의 지주프레임에 설치되어 안전로프를 걸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주프레임에 체결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의 단부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코일형태로 감긴 로프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와, 환봉의 일측 외주면에 수나사를 가공하여 나사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사봉의 타측 외주면 상부면과 하부면 중의 하나를 평면으로 가공하고 상기 평면에 미끄럼방지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각봉의 상면과 하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평면으로 가공하여 연결발판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발판을 상기 나사봉의 타단에 접합하는 단계; 및 강심을 적어도 1회전 이상 코일형태로 감아 로프걸이를 형성하고 상기 로프걸이를 상기 연결발판의 단부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fall prevention of steel tower}
본 발명은 철탑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은 철재로 이루어진 탑으로서, 고압전력을 공급하는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송전철탑,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로를 지지하는 통신철탑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철탑은 크게 지반에 형성되는 기초, 기초의 상부에 기립 설치되는 탑 구조를 이루는 복수 개의 지주프레임, 지주프레임을 수평 내지 경사지게 연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 및 주프레임의 일측에 외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암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철탑의 송전선로나 통신선로 등을 이상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철탑의 고소에서 송전선로나 통신선로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비롯하여 송전이나 통신과 관련된 전기전자부품을 점검 및 교체하는 유지보수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때 철탑은 대부분 산중턱이나 산꼭대기에 설치되어 있어 고가사다리차의 접근이 불가능하여 유지보수 작업시 작업자가 직접 철탑의 고소까지 올라가야만 한다.
단, 철탑의 지주프레임 일면과 타면에 복수 개의 발판볼트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가 철탑의 고소까지 오르내릴 때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발판볼트는 지주프레임에 고정되는 나사부를 제외하고는 외면이 둥그면서 매끈하여 작업자가 수부로 잡거나 족부를 딛을 때 미끄러짐이 심하여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작업자가 지주프레임을 따라 오르내릴 때나 고소작업을 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밸트와 연결할 수 있는 안전로프를 지주프레임의 일면에 걸어놓아 생명줄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때 안전로프는 바람에 의해 이리저리 유동하지 않고 작업자의 추락시 안전밸트가 걸리도록 지주프레임의 일면과는 복수 개의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는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볼트 중의 일부를 대체한 것으로, 그 일측은 지주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봉으로 이루어지고그 타측은 안전로프가 통과하는 연결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연결구가 발판볼트를 대체하더라도 그 일측이 발판볼트와 같이 둥글고 매끈한 외면을 가짐에 따라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그리고 안전로프가 연결링을 통과한 상태임에 따라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위해서는 연결구가 있는 위치마다 안전밸트를 안전로프에서 분리하고 다시 연결하는 조작을 반복해야 해므로 불편함을 물론이고 안전밸트가 안전로프에서 분리되는 순간이 발생하여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링의 중심이 나사봉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전방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작업자가 나사봉을 잡고 오르내릴 때 연결링이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도 있다.
게다가 연결링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나 눈에 의해 부식되어 표면이 거칠어짐에 따라 안전로프가 연결링과 마찰되면서 손상되고 끊어질 우려가 있어 안전로프를 상시 걸어놓을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오르내릴 때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하고 안전로프의 손상을 방지하며 작업자의 안전밸트와 안전로프에 상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9098호, 2013.02.01.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2660호, 2013.10.30.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철탑을 오르내릴 때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고 안전로프를 철탑에 상시 걸어놓을 수 있으며 안전로프를 통한 추락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미끄럼방지홈이 구비되고 부식방지층이 코팅되며 안전로프와의 마찰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밸트를 안전로프에 상시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철탑의 지주프레임에 설치되어 안전로프를 걸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주프레임에 체결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의 단부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코일형태로 감긴 로프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봉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가 평면을 이루고 상기 평면에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발판; 및 상기 미끄럼방지발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방지발판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 상면과 하면 중의 하나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걸이와 상기 연결발판의 외면에 코팅 처리되어 부식 방지 기능을 하는 부식방지피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걸이의 중심은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걸이의 단부에는 회전반경을 이탈하여 외측으로 절곡된 로프이탈방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제조방법은 환봉의 일측 외주면에 수나사를 가공하여 나사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사봉의 타측 외주면 상부면과 하부면 중의 하나에 미끄럼방지홈을 가공하여 미끄럼방지발판을 형성하는 단계; 각봉의 상면과 하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평면으로 가공하여 연결발판을 형성한 후 상기 미끄럼방지발판의 타단에 접합하는 단계; 및 강심을 적어도 1회전 이상 코일형태로 감아 로프걸이를 형성한 후 상기 연결발판의 단부에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걸이를 상기 연결발판의 단부에 접합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연결발판과 상기 로프걸이를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부식방지액에 침지시켜 부식방지피복을 외면에 코팅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발판의 외부 상면과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평면에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철탑을 오르내릴 때 미끄러지지 않아 손잡이와 발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로프걸이의 외면에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부식방지층이 코팅됨에 따라 마찰로 인한 안전로프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전로프를 철탑에 상시 걸어놓을 수 있다.
또한, 로프걸이는 원링 형태가 아닌 코일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오르내릴 때 안전밸트를 안전로프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로프를 통한 추락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송전선로나 통신선로 등을 고소에서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철탑의 구조프레임에 부설되어 작업자가 송전선로나 통신선로의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탑을 오르내릴 때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고 안전로프를 철탑에 상시 걸어놓을 수 있으며 안전로프를 통한 추락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철탑의 구조프레임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봉과, 나사봉의 단부에 설치되는 발판과, 발판의 단부에 설치되어 안전로프가 관통하는 로프걸이로 구성되되, 발판에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되고 로프걸이의 외면에 부식방지층이 코팅되며 로프걸이가 원링 형태가 아닌 코일 형태로 구성된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100)는 철탑(200)의 지주프레임(210) 일측에 설치되어 지주프레임(210)을 따라 구비되는 안전로프(300)를 걸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10), 발판(20), 로프걸이(30) 및 부식방지피복(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나사봉(10)은 외주면에 수나사(11)가 형성되어 철탑(200)의 지주프레임(210) 일측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 체결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구성이다.
단, 나사봉(10)이 지주프레임(2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될 우려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주프레임(210)을 사이에 두고 나사봉(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조임너트(12)를 각각 조여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판(20)은 나사봉(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철탑(200)을 오르내릴 때 발판과 손잡이 구실을 하는 구성이다.
이때 발판(20)은 나사봉(10)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발판(21)과, 상기 미끄럼방지발판(21)의 단부에 접합되는 연결발판(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발판(21)은 상부면과 하부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평면에는 작업자가 족부로 딛거나 수부로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미끄럼방지홈(211)이 일정한 패턴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발판(22)은 미끄럼방지발판(21)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구성되고 상부면과 하부면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발판(22)은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미끄럼방지발판(21)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지지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미끄럼방지발판(21)을 발판과 손잡이로 사용할 때 미끄럼방지홈(211)에 의해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되므로 철탑(200)을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미끄럼방지발판(21)과 함께 그 보다 면적이 넓은 연결발판(22)을 동시에 이용하여 철탑(200)을 오르내릴 수 있으므로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프걸이(30)는 발판(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안전로프(300)가 바람 등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기설정된 회전반경을 따라 코일형태로 감긴 구성이다.
즉, 로프걸이(30)는 발판(20)의 단부에 일단이 접합되고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기까지가 기설정된 회전반경을 따라 상방향으로 적어도 1회전하면서 코일형태로 감긴 것이다.
따라서 로프걸이(30)의 내측으로 안전로프(300)가 통과함으로써 안전로프(300)가 바람 등에 의해 유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로프걸이(30)는 일단과 타단이 연결되지 않는 코일형태로 감겨 있으므로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밸트를 안전로프(300)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철탑(200)을 오르내릴 수 있다.
단, 로프걸이(30)의 중심은 발판(2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방향과 반대되는 후방으로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가 오르내릴 때 로프걸이(30)로 인해 방해받지 않게 되므로 철탑(200)을 편리하게 오르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식방지피복(40)은 로프걸이(30)와 연결발판(22)의 외면에 기설정된 두께로 코팅 처리되어 비나 눈에 로프걸이(30)와 연결발판(22)이 부식되는 폐단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때 부식방지피복(40)은 부식 방지 기능을 가지면서 표면이 매끈하여 안전로프(300)와의 마찰을 해소할 수 있도록 PVC 재질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로프걸이(30)는 부식방지피복(40)에 의해 비나 눈에 의해 부식되지 않아 로프걸이(30)의 부식된 표면에 안전로프(300)가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안전로프(300)의 손상이다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로프걸이(30)의 단부에는 로프걸이(30)의 회전반경을 이탈하여 외측으로 절곡된 로프이탈방지단(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프이탈방지단(31)은 안전로프(300)가 바람이나 진동에 의해 로프걸이(3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않게 차단하게 된다.
한편, 나사봉(10)과 미끄럼방지발판(21)은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고강도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사봉(10)과 미끄럼방지발판(21)의 외면은 내구성을 높이고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으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제조방법(S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봉 형성 단계(S10), 미끄럼방지발판 형성 단계(S20), 연결발판 형성 및 접합 단계(S30), 로프걸이 형성 및 접합 단계(S40) 및 부식방지피복 형성 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나사봉 형성 단계(S10)는 환봉을 준비하고 환봉의 일측 외주면에 수나사(1)를 가공하여 나사봉(1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때 환봉은 고강도 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미끄럼방지발판 형성 단계(S20)는 나사봉(10)의 타측 외주면 상측과 하측 중의 하나에 미끄럼방지홈(211)을 기설정된 패턴으로 가공하여 미끄럼방지발판(21)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발판 형성 및 접합 단계(S30)는 각봉을 준비하여 각봉의 상면과 하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평면으로 가공하여 연결발판(22)을 형성한 후 미끄럼방지발판(21)의 단부에 용접하는 공정이다.
다음으로, 상기 로프걸이 형성 및 접합 단계(S40)는 강심을 적어도 1회전 이상 코일형태로 감아 로프걸이(30)를 형성한 후 연결발판(22)의 단부에 용접하는 공정이다.
단, 로프걸이(30)를 연결발판(22)의 단부에 용접할 때는 연결발판(22)의 전방에서 공간 확보가 용이하도록 로프걸이(30)의 중심이 연결발판(22)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로 용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식방지피복 형성 단계(S50)는 로프걸이(30)와 연결발판(22)을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부식방지액에 침지시켜 로프걸이(30)와 연결발판(22)의 외면을 둘러싸는 부식방지피복(4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때 부식방지액은 코팅처리 후 부식 방지 기능을 가지면서 표면이 매끈하게 되는 PVC 재질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제조방법(S100)은 부식방지피복 형성 단계(S50) 이후에 아연도금 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연도금 처리 단계는 미끄럼방지홈(211)을 포함하는 나사봉(10)을 용융아연액에 침지시켜 그 외면을 아연층으로 도금하여 나사봉(10)의 부식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나사봉
11: 수나사
12: 조임너트
20: 발판
21: 미끄럼방지발판
211: 미끄럼방지홈
22: 연결발판
30: 로프걸이
31: 로프이탈방지단
40: 부식방지피복
100: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200: 철탑
210: 지주프레임
211: 체결공
300: 안전로프

Claims (7)

  1. 철탑의 지주프레임에 설치되어 안전로프를 걸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주프레임에 체결되는 나사봉;
    상기 나사봉의 단부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코일형태로 감긴 로프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나사봉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가 평면을 이루고 상기 평면에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발판; 및
    상기 미끄럼방지발판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방지발판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고 상면과 하면 중의 하나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발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걸이와 상기 연결발판의 외면에 코팅 처리되어 부식 방지 기능을 하는 부식방지피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걸이의 중심은
    상기 발판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걸이의 단부에는
    회전반경을 이탈하여 외측으로 절곡된 로프이탈방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80034222A 2018-03-26 2018-03-26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940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222A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8-03-26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222A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8-03-26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630B1 true KR101940630B1 (ko) 2019-01-21

Family

ID=6527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222A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8-03-26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63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0020A (zh) * 2019-04-09 2019-05-21 西安盛光晨建材商贸有限公司 便夹式锁扣
KR102005282B1 (ko) 2019-02-11 2019-07-30 김점주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KR102009187B1 (ko) 2019-06-18 2019-08-09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케이블 설치 작업자 보호장치
KR102045343B1 (ko) 2019-03-06 2019-11-15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퀵핀이 구비된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110585622A (zh) * 2019-10-30 2019-12-20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防绳索干涉的防坠脚钉
KR102097377B1 (ko) 2019-09-03 2020-05-26 주식회사 거창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수 작업자 안전장치
KR20210039623A (ko) *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KR20210142968A (ko) 2020-05-19 2021-11-26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용 탈부착식 승탑장치
KR20210142971A (ko) 2020-05-19 2021-11-26 한국전력공사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KR102571015B1 (ko) * 2023-04-14 2023-08-28 아주스틸 주식회사 송전철탑용 안전발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6411A1 (fr) * 1990-11-16 1992-05-20 Alain Mounier Dispositif de sécurité pour chemin de circulation
JPH0683845U (ja) * 1993-05-19 1994-12-02 正和 寺前 電信柱用足場ボルト
KR200220565Y1 (ko) * 2000-10-25 2001-04-16 한국전력공사 전신주용 스텝볼트의 체결구조
JP2011001753A (ja) * 2009-06-18 2011-01-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テップボルトの滑り防止構造及び滑り防止方法
KR200457436Y1 (ko) * 2010-09-29 2011-12-20 한국전력공사 주상 안전 유닛
KR101229098B1 (ko) 2011-09-01 2013-02-01 나사 주식회사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KR101322660B1 (ko) 2013-06-24 2013-10-30 대한엔지니어링주식회사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1616204B1 (ko) * 2014-11-21 2016-04-27 유귀남 케이블 지지용 행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6411A1 (fr) * 1990-11-16 1992-05-20 Alain Mounier Dispositif de sécurité pour chemin de circulation
JPH0683845U (ja) * 1993-05-19 1994-12-02 正和 寺前 電信柱用足場ボルト
KR200220565Y1 (ko) * 2000-10-25 2001-04-16 한국전력공사 전신주용 스텝볼트의 체결구조
JP2011001753A (ja) * 2009-06-18 2011-01-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テップボルトの滑り防止構造及び滑り防止方法
KR200457436Y1 (ko) * 2010-09-29 2011-12-20 한국전력공사 주상 안전 유닛
KR101229098B1 (ko) 2011-09-01 2013-02-01 나사 주식회사 다목적 안전 발 디딤쇠
KR101322660B1 (ko) 2013-06-24 2013-10-30 대한엔지니어링주식회사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1616204B1 (ko) * 2014-11-21 2016-04-27 유귀남 케이블 지지용 행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82B1 (ko) 2019-02-11 2019-07-30 김점주 송전철탑의 작업 안전장치
KR102045343B1 (ko) 2019-03-06 2019-11-15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퀵핀이 구비된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N109780020A (zh) * 2019-04-09 2019-05-21 西安盛光晨建材商贸有限公司 便夹式锁扣
KR102009187B1 (ko) 2019-06-18 2019-08-09 주식회사 현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케이블 설치 작업자 보호장치
KR102097377B1 (ko) 2019-09-03 2020-05-26 주식회사 거창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수 작업자 안전장치
KR20210039623A (ko) * 2019-10-02 2021-04-12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KR20210134882A (ko) * 2019-10-02 2021-11-11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KR102324710B1 (ko) * 2019-10-02 2021-11-11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KR20210134883A (ko) * 2019-10-02 2021-11-11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KR102394685B1 (ko) * 2019-10-02 2022-05-09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KR102394686B1 (ko) * 2019-10-02 2022-05-09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CN110585622A (zh) * 2019-10-30 2019-12-20 国网宁夏电力有限公司检修公司 防绳索干涉的防坠脚钉
KR20210142968A (ko) 2020-05-19 2021-11-26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용 탈부착식 승탑장치
KR20210142971A (ko) 2020-05-19 2021-11-26 한국전력공사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KR102571015B1 (ko) * 2023-04-14 2023-08-28 아주스틸 주식회사 송전철탑용 안전발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630B1 (ko)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960059B1 (ko)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AU778637B2 (en) Adjustable safety cable
CN209066843U (zh) 一种钢结构高空施工单人作业用吊篮装置
CN108457308B (zh) 一种用于海洋钢管桩包覆防腐系统的施工装置的安装方法
JP5348845B2 (ja) 架線梯子
CN113666242A (zh) 一种气候环境试验喷淋架模块化吊装方法
KR20210041451A (ko)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대
US20100116591A1 (en) Temporary scaffolding system
US5086880A (en) Elevator traveling cable grip
RU167382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редств защиты работающих на длинномерных высотных опорах
CN207620384U (zh) 顶升卸料装置
KR20130007409U (ko) 고소 작업용 안전벨트 장치
CN106564819A (zh) 一种船用重型吊机及水下安装工艺
CN207276068U (zh) 电镀模具上下挂提升的安全防护装置
AU2010241343C1 (en) Improved plank
KR102621384B1 (ko) 전주의 승주 작업용 발판볼트 카라비너
ITBS20090045A1 (it) Elemento di supporto per linee vita
KR102437370B1 (ko) 추락방지용 탈부착식 승탑장치
KR20240011452A (ko) 전주의 승주 작업용 발판볼트
CN205555859U (zh) 一种井筒装备安装辅助装置
CN219708904U (zh) 一种非标准式高处作业施工装置
CN212101608U (zh) 一种钢结构吊装防护装置
JP7404861B2 (ja) 管材降下装置及び管材の連結方法
CN220202448U (zh) 在役悬索桥主缆增设除湿系统气夹的施工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