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660B1 -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660B1
KR101322660B1 KR1020130072168A KR20130072168A KR101322660B1 KR 101322660 B1 KR101322660 B1 KR 101322660B1 KR 1020130072168 A KR1020130072168 A KR 1020130072168A KR 20130072168 A KR20130072168 A KR 20130072168A KR 101322660 B1 KR101322660 B1 KR 101322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wire
transmission support
safety wir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달교
Original Assignee
대한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8Arrangements for demolition tow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주 또는 철탑 등의 송전 지지물에서 발생되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전 지지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완화기와, 상기 충격완화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송전 지지물의 하부에 설치되는 장력조절기와, 상기 충격완화기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기에 하단이 연결되는 안전 와이어와, 상기 송전 지지물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어 상기 안전 와이어의 진동을 방지하는 와이어 지지대와, 상기 안전 와이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와 로프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제동되는 추락 안전차단기를 포함함으로써, 철주 또는 철탑의 상단에서 작업자가 전기복구 작업이나 통신선로 공사 등을 할 때 승강을 안전하게 할 수 있으므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A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Accidents in Power Pole}
본 발명은 철주 또는 철탑 등의 송전 지지물에서 발생되는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주 또는 철탑의 상단에서 작업자가 전기복구 작업이나 통신선로 공사 등을 할 때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주 또는 철탑은 고압전선이나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물로서, 다양한 각종 전선이나 통신 케이블을 설치하기도 하고 강풍이나 기타 다른 외부적인 요인으로 파손된 배전기나 전선 등을 수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철주 또는 철탑을 타고 올라가 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철주 또는 철탑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을 하면 작업자의 추락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며 작업 중 추락하여 상해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 제0839013호에서는 전봇대에 추락방지용 안전 그물망을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그물망은 작업반경내를 그물로 커버하여 전봇대 위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작업자가 사용하는 도구들이 밑으로 떨어져 지나가는 행인이나 차량에게 주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별도의 그물망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작업 반경 내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그물망을 설치해야 하므로, 그물망의 설치부피가 매우 크며, 철주 이외에 철탑 등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설치부피가 적으며, 철주 이외에 철탑 등에도 적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철주 또는 철탑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를 설치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와이어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미끄러져 추락할 때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상단에 충격완화부재가 설치된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송전 지지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완화기와, 상기 충격완화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송전 지지물의 하부에 설치되는 장력조절기와, 상기 충격완화기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기에 하단이 연결되는 안전 와이어와, 상기 송전 지지물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어 상기 안전 와이어의 진동을 방지하는 와이어 지지대와, 상기 안전 와이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와 로프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제동되는 추락 안전차단기를 포함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격완화기는 상기 송전 지지물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상부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상부 간격부와, 상기 상부 간격부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당겨질 때 반력이 작용하도록 탄력 상태로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안전 와이어의 외주에 감겨지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당겨지는 힘에 압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송전 지지물의 상단에 고정되는 링형 고정밴드, 고정 플레이트, 클램프, 볼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기는 상기 송전 지지물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하부 간격부와, 상기 안전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나사가 형성된 장력 조절부재와, 상기 장력 조절부재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간격부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하부 간격부 내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락 안전차단기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안전 와이어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를 가압하여 제동하는 제동부와, 상기 차단기 본체에 힌지고정되며 작업자에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레버와, 상기 안전 와이어에 지지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차단기 본체에 힌지고정되는 가이드 레버와, 상기 연결레버와 제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해제하는 잠금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락 안전차단기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차단기 본체에 탈부착하도록 설치되는 조절기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안전 와이어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를 가압하여 제동하는 제동 레버와, 상기 제동 레버를 밀어주어 상기 안전 와이어에 지지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제동 레버와 링크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안전 와이어와 밀착하게 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차단기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작업자에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레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 지지대는 상기 송전 지지물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간격부와,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안전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부는 선단이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된 후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의 후단이 연결된 부위가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대는 상기 송전 지지물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간격부와, 상기 간격부에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철주 또는 철탑에 길이방향으로 와이어를 설치하고, 소정의 간격으로 와이어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철주 또는 철탑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설치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설치부피가 작으며, 작업자가 미끄러져 추락할 때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상단에 충격완화부재가 설치되어 보다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추락 안전차단기의 조작이 간편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이 발생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작업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가 철주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가 철탑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기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력조절기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지지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락 안전차단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추락 안전차단기를 안전 와이어에서 이탈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어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락 안전차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락 안전차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추락 안전차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조절기를 이용하여 삽입부를 개폐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가 철주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가 철탑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는 철주(2), 철탑(6) 등 송전 지지물에 설치가 가능하며, 그 외에도 철주, 통신주, 기타 철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는 크게 충격완화기(10), 장력조절기(20), 안전 와이어(30), 와이어 지지대(40) 및 추락 안전차단기(50)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완화기(10)은 송전 지지물, 즉 철주(2) 또는 철탑(6)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추락 시 완충작용을 하요 작업자 전신의 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주(2) 또는 철탑(6)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18)와, 상기 상부 고정부(18)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상부 간격부(16)와, 상기 상부 간격부(16)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12)와, 상기 커버(12)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당겨질 때 반력이 작용하도록 탄력 상태로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1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고정부(18)는 상기 송전 지지물의 상단에 고정되는 링형 고정밴드, 고정 플레이트, 클램프, 볼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링형 고정밴드를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링형 고정밴드(18)가 철주(2)에 설치되는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2부분으로 양분되어 통상의 볼트, 핀 등에 의해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간격부(16)는 와이어(30)를 설치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나 구조, 길이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충격완화기(10)는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충격완화부재(14)가 내장되는 것이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완화부재(14)는 상기 안전 와이어(30)의 외주에 감겨지며,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당겨지는 힘에 압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의 하단은 상기 커버(12)의 내부 하면에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안전 와이어(30)의 상단에 의해 눌러질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 스프링(14)의 하단에 와이어(30)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기(32)가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14)이 와이어 고정기(32)를 누르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충격완화부재(14)는 작업자의 추락 시 안전 와이어(30)가 당겨지는 힘을 받으면 상기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안전 와이어(30)의 당겨지는 힘을 완화시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력조절기(20)은 상기 충격완화기(10)과 대응되도록 상기 송전 지지물의 하부에 설치되며, 안전 와이어를 고정 및 장력을 조절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송전 지지물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28)와, 상기 하부 고정부(28)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하부 간격부(26)와, 상기 안전 와이어(30)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나사가 형성된 장력 조절부재(22)와, 상기 장력 조절부재(22)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간격부(26)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부(25)와, 상기 하부 간격부(26) 내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부(25)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고정부(28) 역시 상기 송전 지지물의 상단에 고정되는 링형 고정밴드, 고정 플레이트, 클램프, 볼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플레이트를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 고정부(18)와 마찬가지로 링형 고정밴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력 조절기(20)는 상기 장력 조절부재(22)의 수나사가 연결부(25)의 암나사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장력 조절부재(22)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와이어(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5)의 상부와 하부에는 스프링(27)이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와이어(30)에 충격이 가해져서 와이어(30)가 진동할 때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30)와 장력 조절부재(22)의 연결을 위해 와이어 클램프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30)와 장력 조절부재(22)의 연결되는 부위에는 풍우에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커버(24)가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충격완화기(10)과 장력조절기(20) 사이에는 안전 와이어(30)가 연결된다. 상기 안전 와이어(30)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며, 직경이 5~15㎜의 범위 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직경이 5㎜ 이하의 와이어는 작업자의 몸무게를 지탱하기 어려우므로 안전을 위해서 5㎜ 이상이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이 15㎜ 이상의 와이어는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그 이하의 직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철주 또는 철탑에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와이어(30)를 잡고 철주 또는 철탑을 승강하게 되면 와이어(30)가 흔들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송전 지지물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와이어 지지대(40)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지지대(40)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어 상기 안전 와이어(30)의 진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 지지대(4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송전 지지물에 고정되는 고정부(46)와, 상기 고정부(46)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간격부와,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42a)이 형성된 가이드 본체(4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본체(42)는 상기 안전 와이어(30)를 잡아주는 클램프의 역할을 하며, 상기 가이드 홈(42a)은 상기 안전 와이어(3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개방부(44)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44)는 선단이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30)가 가이드 본체(42)의 측면에서 상기 개방부(44)를 통해 가이드 홈(42a)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홈(42a)은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삽입된 후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44)의 후단이 연결된 부위가 절곡된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 지지대(6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는 힌지형 와이어 지지대를 도시하였다.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지지대(60)는 상기 송전 지지물에 고정되는 고정부(66)와, 상기 고정부(66)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간격부(68)와, 상기 간격부(68)에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64)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64)는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힌지고정부(62)를 중심으로 개폐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여닫을 수 있으므로, 안전 와이어(30)의 삽입 또는 이탈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는 상기 안전 와이어(2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와 로프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30)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제동되는 추락 안전차단기(50)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락 안전차단기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추락 안전차단기를 안전 와이어에서 이탈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추락 안전차단기(50)는 작업자가 추락 시 안전 와이어를 즉시 잡아서 추락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상기 추락 안전차단기(50)는 차단기 본체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52)와, 상기 삽입부(52)에 삽입된 안전 와이어(30)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30)를 가압하여 제동하는 제동부(51)와, 상기 차단기 본체에 힌지고정되며 작업자에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공(56a)이 형성된 연결레버(56)와, 상기 안전 와이어(30)에 지지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차단기 본체에 힌지고정되는 가이드 레버(54)와, 상기 연결레버(56)와 제동부(51)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해제하는 잠금레버(58)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52)는 안전 와이어(3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둥글게 라운드지는 형태를 가지며, 와이어(30)를 길이방향으로 잡아주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삽입부(52)에 삽입되면 상기 제동부(51)가 와이어(30)의 측면을 가압하는데, 상기 제동부(51)에 가해지는 하중(체중)에 의해 안전 와이어(30)를 더욱 압박하게 되어 전혀 미끄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레버(56)는 차단기 본체에 고정된 힌지축(56b)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상기 연결레버(56)의 회동은 상기 제동부(51)와 연동되는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레버(58)를 회동시켜 상기 연결레버(56)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연결레버(56)가 힌지축(56b)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동부(51)가 상기 연결레버(56) 쪽으로 이동하여 안전 와이어(3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작업자는 수동으로 추락 안전차단기(50)를 와이어(30)에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버(54)는 차단기 본체의 상부에 힌지고정(54b)되어 있고, 안전 와이어(30)에 지지력을 발생하도록 선단에는 상기 안전 와이어(30)에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는 롤러(54c)가 설치된다.
첨부한 도 9는 본 발명의 추락 안전차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추락 안전차단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락 안전차단기(70)는 차단기 본체(72)와, 상기 차단기 본체(72)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3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74)와, 상기 삽입부(74)를 차단기 본체(72)에 탈부착하도록 설치되는 조절기(76)와, 상기 삽입부(74)에 삽입된 안전 와이어(30)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30)를 가압하여 제동하는 제동 레버(73)와, 상기 제동 레버(73)를 밀어주어 상기 안전 와이어(30)에 지지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링크부재(75)와, 상기 제동 레버(73)와 링크부재(75)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안전 와이어(30)와 밀착하게 하는 스프링부재(78a)(78b)와, 상기 차단기 본체(72)의 타측에 설치되며 작업자에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공(79a)이 형성된 연결레버(7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조절기(76)는 차단기 본체(72)에 형성된 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소정각도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조절기(76)를 누른 상태에서 돌릴 수 있도록 상기 조절기(76)의 하부에는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기(76)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부(74)를 닫게 되어 와이어(30)에 부착할 수 있고(도 12의 (a)), 반시계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부(74)를 열게 되어 와이어(30)에 탈착할 수 있다(도 12의 (b)).
한편, 상기 링크부재(75)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링크(75a)(75b)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1 링크(75a)는 상기 제동 레버(73)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75b)는 상기 제1 링크(75a)와 연결레버(79) 사이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링크(75a)는 회동하면(도면에서 반시계방향) 상기 제동 레버(73)을 밀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동 레버(73)의 후단과 상기 제2 링크(75b)의 선단에는 지지축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75a)의 중앙부에 힌지축을 설치하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1 링크(75a)가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추락 안전차단기(70)는 작업자가 추락하면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연결레버(79)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연결레버(79)에 연결된 상기 제2 링크(75b)가 당겨지게 되어, 상기 제1 링크(75a)가 상기 제동 레버(73)를 밀면서 와이어(3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제동 레버(73)의 선단부에는 와이어(30)를 즉시 잡아주기 위한 제동부재(73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재(73a)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어 와이어(30)와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의 벨트 등에 연결된 안전로프를 상기 추락 안전차단기(50)의 연결레버(56)에 형성된 연결공(56a)에 연결시킨다.
이후, 상기 추락 안전차단기(50)를 안전 와이어(30)에 부착하여 설치한다.
작업자가 철주(2) 또는 철탑(6)에 구비된 발판(4)을 밟고 올라간다.
이때,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작업자가 실족하거나 상기 발판(4)을 잡은 손을 놓치게 되어 추락하면, 상기 추락 안전차단기(50)의 롤러(54a)가 급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제동부(51)에 가해지는 하중(체중)에 의해 안전 와이어(30)를 더욱 압박하게 되어 전혀 미끄러지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의 추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동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실족을 하거나 손을 놓치게 되더라도 지면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철주 또는 철탑의 승강 시 안전성을 향상함으로써, 작업자의 심적불안을 일소하고, 작업을 능률적으로 단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실수로 인해 철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지면으로 추락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충격완화기 12: 커버
14: 충격완화부재 16: 상부 간격부
18: 상부 고정부 20: 장력조절기
22: 연결부 26: 하부 간격부
28: 하부 고정부 30: 안전 와이어
40: 와이어 지지대 42: 가이드 본체
42a: 가이드 홈 44: 개방부
46: 고정부 50: 추락 안전차단기
51: 제동부 52: 삽입부
54: 가이드 레버 56: 연결레버
58: 잠금레버 62: 힌지고정부
64: 커버 66: 고정부
68: 간격부

Claims (11)

  1. 송전 지지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충격완화기;
    상기 충격완화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송전 지지물의 하부에 설치되는 장력조절기;
    상기 충격완화기에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장력조절기에 하단이 연결되는 안전 와이어;
    상기 송전 지지물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어 상기 안전 와이어의 진동을 방지하는 와이어 지지대; 및
    상기 안전 와이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와 로프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제동되는 추락 안전차단기;
    를 포함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기는 상기 송전 지지물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
    상기 상부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상부 간격부;
    상기 상부 간격부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당겨질 때 반력이 작용하도록 탄력 상태로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안전 와이어의 외주에 감겨지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당겨지는 힘에 압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송전 지지물의 상단에 고정되는 링형 고정밴드, 고정 플레이트, 클램프, 볼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기는 상기 송전 지지물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하부 간격부;
    상기 안전 와이어의 단부에 연결되며 수나사가 형성된 장력 조절부재;
    상기 장력 조절부재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간격부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하부 간격부 내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락 안전차단기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안전 와이어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를 가압하여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차단기 본체에 힌지고정되며 작업자에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레버;
    상기 안전 와이어에 지지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차단기 본체에 힌지고정되는 가이드 레버; 및
    상기 연결레버와 제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해제하는 잠금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락 안전차단기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를 차단기 본체에 탈부착하도록 설치되는 조절기;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안전 와이어의 외주면에 마찰접촉하여 작업자의 추락 시 상기 안전 와이어를 가압하여 제동하는 제동 레버;
    상기 제동 레버를 밀어주어 상기 안전 와이어에 지지력을 발생하도록 하는 링크부재;
    상기 제동 레버와 링크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안전 와이어와 밀착하게 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차단기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작업자에 연결되는 안전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대는 상기 송전 지지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간격부; 및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안전 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부는 선단이 넓어지도록 경사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된 후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상기 개방부의 후단이 연결된 부위가 절곡된 형상인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지지대는 상기 송전 지지물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 와이어가 송전 지지물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도록 하는 간격부; 및
    상기 간격부에 힌지고정되어 개폐되며 상기 안전 와이어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20130072168A 2013-06-24 2013-06-24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KR10132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168A KR101322660B1 (ko) 2013-06-24 2013-06-24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168A KR101322660B1 (ko) 2013-06-24 2013-06-24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660B1 true KR101322660B1 (ko) 2013-10-30

Family

ID=4963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168A KR101322660B1 (ko) 2013-06-24 2013-06-24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66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960059B1 (ko) 2018-07-16 2019-03-19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61329B1 (ko) * 2019-08-21 2019-12-31 위재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118121B1 (ko) 2019-12-27 2020-06-12 양진문 안전 로프 설치를 위한 권선기
KR102177382B1 (ko) 2020-04-07 2020-11-11 제룡산업 주식회사 철탑 구명줄 체결장치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20210089834A (ko) 2020-01-09 2021-07-19 조동주 철탑용 클램프 장치
KR20220001947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철탑작업 안전장치
KR102388397B1 (ko) 2021-10-05 2022-04-20 제룡산업 주식회사 유도전압의 차단이 가능한 철탑용 추락방지장치
KR102449140B1 (ko) 2022-01-25 2022-09-29 제룡산업 주식회사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고정장치
KR102466376B1 (ko) * 2022-02-18 2022-11-11 제룡산업 주식회사 장력 표시부가 구비된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102598341B1 (ko) 2023-02-28 2023-11-06 주식회사 더이로운 안전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장치
KR102607456B1 (ko) * 2023-05-08 2023-11-29 주식회사 뉴테스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6145A (ja) 2004-10-22 2006-05-11 Sanko Industries Co Ltd 墜落防止用安全器
US20070062759A1 (en) 2003-06-27 2007-03-22 Karl Jones Safety line anchor
JP2010269084A (ja) 2009-05-25 2010-12-0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墜落防止用ワイヤの中間支持装置
JP2013106847A (ja) 2011-11-22 2013-06-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2759A1 (en) 2003-06-27 2007-03-22 Karl Jones Safety line anchor
JP2006116145A (ja) 2004-10-22 2006-05-11 Sanko Industries Co Ltd 墜落防止用安全器
JP2010269084A (ja) 2009-05-25 2010-12-0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墜落防止用ワイヤの中間支持装置
JP2013106847A (ja) 2011-11-22 2013-06-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金具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630B1 (ko)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960059B1 (ko) 2018-07-16 2019-03-19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061329B1 (ko) * 2019-08-21 2019-12-31 위재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WO2021033844A1 (ko) * 2019-08-21 2021-02-25 위재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210084190A (ko) 2019-12-27 2021-07-07 이경희 안전 로프 설치를 위한 권선기
KR102118121B1 (ko) 2019-12-27 2020-06-12 양진문 안전 로프 설치를 위한 권선기
KR20210089834A (ko) 2020-01-09 2021-07-19 조동주 철탑용 클램프 장치
KR102177382B1 (ko) 2020-04-07 2020-11-11 제룡산업 주식회사 철탑 구명줄 체결장치
KR20220001947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철탑작업 안전장치
KR102450104B1 (ko) * 2020-06-30 2022-10-05 한국전력공사 철탑작업 안전장치
KR102202866B1 (ko) 2020-11-11 2021-01-14 제룡산업 주식회사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102388397B1 (ko) 2021-10-05 2022-04-20 제룡산업 주식회사 유도전압의 차단이 가능한 철탑용 추락방지장치
KR102449140B1 (ko) 2022-01-25 2022-09-29 제룡산업 주식회사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고정장치
KR102466376B1 (ko) * 2022-02-18 2022-11-11 제룡산업 주식회사 장력 표시부가 구비된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KR102598341B1 (ko) 2023-02-28 2023-11-06 주식회사 더이로운 안전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장치
KR102607456B1 (ko) * 2023-05-08 2023-11-29 주식회사 뉴테스 추락방지용 안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660B1 (ko)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KR20210007451A (ko) 전주용 추락방지 안전망
KR102377117B1 (ko)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KR20190121623A (ko) 전주 추락 안전 장치 및 이를 전주에 설치하는 방법
KR102567880B1 (ko) 작업자의 추락 방지 및 위치 고정이 용이한 송전탑 안전 작업장치
KR101187186B1 (ko) 전주용 안전로프장치
CN210037232U (zh) 一种便携式液压制动控制单元静调设备
CN204932649U (zh) 高空防坠落自锁装置
KR20060010242A (ko) 작업자의 낙하 방지 장치
KR100593506B1 (ko) 송전선 진동/처짐 방지장치
CN202699903U (zh) 安全绳伸缩器
CN210542957U (zh) 一种安全导索组件以及安全导索系统
CN216038455U (zh) 一种用于变压器安装的辅助装置
CN113827879B (zh) 一种多用途一体式下降保护器
CN215493919U (zh) 一种电力电气安装工程的对线器
CN110420408B (zh) 一种高空作业安全导索组件以及高空作业安全导索系统
CN209280268U (zh) 安全帽检测冲击仪
EP2964338B1 (en) Bracket and lifting/lowering device assembly
KR20210004094A (ko) 고소작업자 추락 방지용 로프홀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작업자 추락 방지 공법
AU736561B2 (en) Cable tensioning device
CN201150732Y (zh) 电力钢塔攀爬防坠安全器
KR102671738B1 (ko) 안전대 지지장치
JP3201747U (ja) 踏切しゃ断桿折損防止器
CN202609725U (zh) 钢丝绳预紧装置
CN210779819U (zh) 一种防止输电线路小工具高处坠落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