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117B1 -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7117B1 KR102377117B1 KR1020210071007A KR20210071007A KR102377117B1 KR 102377117 B1 KR102377117 B1 KR 102377117B1 KR 1020210071007 A KR1020210071007 A KR 1020210071007A KR 20210071007 A KR20210071007 A KR 20210071007A KR 102377117 B1 KR102377117 B1 KR 1023771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inding
- unit
- body part
- elastic member
- contro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는, 일측방으로 개방된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고, 타측방에 제1결속부가 장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 구조의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본체부의 일측방 개방된 부분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의 제2결속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장착되고, 피스톤부에 본체부 내부 타측방으로 소정 크기의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본체부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의 위치를 특정 범위 내로 한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관철탑에 설치되는 수직구명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수직구명줄에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일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어, 수직구명줄의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보장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관철탑에 설치되는 수직구명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수직구명줄에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일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어, 수직구명줄의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보장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력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와이어부재의 일단부를 고정함에 있어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보장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전선을 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송전탑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바(1)와, 상기 지지바(1)의 중간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평바(2)와, 상기 지지바(1)의 중간부에 X자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바(3)로 구성되고, 상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4)에 구비된 도시 안된 애자를 이용하여 고압전선의 중간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1)와 수평바(2) 및 경사바(3)는 L자 또는 기역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금속바를 이용한다.
한편, 이러한 송전탑은 높이가 매우 높아서, 송전탑을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송전탑을 타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때, 송전탑을 올라간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발생됨으로, 작업자가 송전탑을 올라갈 때는 와이어로프(10)를 상기 송전탑의 상하단에 각각 고정하고,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로프(10)에 추락방지기구(20)를 결합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추락방지기구(20)는, 상기 와이어로프(10)가 삽입되는 오목홈(21b)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로프(10)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회동아암(21a)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아암(21a)이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와이어로프(10)의 외측에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로립(21)과, 기단부는 상기 로립(21)의 회동아암(21a)에 연결되고 선단부에는 작업자가 매고 있는 안전띠에 연결되는 고정고리가 구비된 연결로프(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송전탑을 올라간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상기 로립(21)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속도에 비해 빠른 속도로 작업자가 추락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22)가 하측으로 당겨지면서 회동아암(21a)을 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로립(21)이 와이어로프(10)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더 이상 추락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추락방지기구(20)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와이어로프(10)는 상하단을 단순히 상기 송전탑의 수평바(2)에 묶어 고정함으로, 와이어로프(10)가 풀리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10)는 상하단만이 고정됨으로, 중간부가 유동되어, 작업자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와이어로프(10)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강도가 약해짐으로, 작업을 할 때만 상기 송전탑에 설치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제거하여야 함으로, 설치와 제거가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와이어로프(10)는 상기 송전탑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으로, 상기 연장부(4)의 위치에서 작업자가 측방향으로 위치이동을 할 때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는 상기 송전탑의 상부에 구비된 수평바(2)에 고정되는 상부고정구(30)와, 상기 지지바(1)의 하단 일측에 고정되는 하부고정구(40)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단이 상기 상부 고정구(30)와 하부고정구(40)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와이어로프(50)와, 상기 송전탑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방향고정구(60)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측방향고정구(60)에 고정되는 수평와이어로프(70)와, 상기 송전탑 또는 송전탑에 구비된 보조고정구(84)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수직와이어로프(50) 또는 수평와이어로프(70)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구(80)와, 상기 수직 또는 수평와이어로프(50,70)의 외측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자에 연결되는 추락방지기구(90)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나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추락방지기구(90)를 상기 수직와이어로프(50)나 수평와이어로프(70)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이때, 수직와이어로프(50)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일정 범위 내에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장력조절장치(100)를 수직와이어로프(50)의 하단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장력조절장치(100)는 단순히 스프링 부재만을 장착하는 구성으로서, 설계자 및 설치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수직와이어로프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철탑에 설치되는 수직구명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수직구명줄에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일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어, 수직구명줄의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보장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는, 일측방으로 개방된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고, 타측방에 제1결속부가 장착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 구조의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본체부의 일측방 개방된 부분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의 제2결속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장착되고, 피스톤부에 본체부 내부 타측방으로 소정 크기의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본체부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의 위치를 특정 범위 내로 한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제1결속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방 단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결속판; 상기 한 쌍의 결속판 사이에 장착되고,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수직구명줄이 감겨지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는 굴곡면이 형성된 와이어결속부; 및 상기 결속판에 와이어결속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와 탄성부재 사이에는 탄성부재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받침판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결속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구조가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서 제2결속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형태로 한 쌍으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고정부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서 제2결속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위치고정부재; 및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의 일측 단부에서 제2결속부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의 연장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다수 배치되고, 위치고정부가 결속될 수 있는 구조의 결속홈; 상기 결속홈을 서로 연통되는 구조 연결하고, 위치고정부가 지나갈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연통홈; 및 상기 결속홈으로부터 본체부의 일측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된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위치고정부의 일측면으로부터 피스톤부의 일측면에 이르는 제1구간에 장착되고 코일스프링 구조의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위치고정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제1구간 길이 대비 50%의 길이로 장착되고, 제1탄성부재의 내경 대비 60 내지 90%의 길이의 외경을 가지는 코일스프링 구조의 제2탄성부재;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제1결속부와 본체부 사이에 장착되고, 제1결속부로부터 인가되는 인장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인장력검출부; 상기 피스톤부의 일측면과 탄성부재 사이에 장착되고, 탄성부재로부터 피스톤부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압축력검출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색상과 패턴으로 빛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을 탑재하며, 인장력검출부 및 압축력검출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제어설정에 따라 출력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를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제어부;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피스톤부, 제1결속부, 제2결속부, 탄성부재 및 위치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강관철탑에 설치되는 수직구명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수직구명줄에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일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어, 수직구명줄의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보장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결속판, 와이어결속부 및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제1결속부를 구비함으로써, 강광철탑에 설치되는 수직구명줄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직구명줄의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보장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위치고정부재 및 제2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위치고정부를 특정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함으로써, 설계자 또는 시공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의 사양을 달리하여 손쉽게 장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유지관리가 손쉬운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결속홈, 연통홈 및 이탈방지홈을 포함하는 본체부를 구비함으로써, 설계자 또는 시공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위치고정부의 위치를 달리하여 설정할 수 있고, 위치고정부의 위치에 따라 피스톤부에 가해지는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달리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장력조절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장력 설정값을 설계자 또는 시공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고 안정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를 특정 길이와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장력조절장치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제1탄성부재가 서서히 압축되다가 제2탄성부재도 피스톤부에 특정 크기의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장력조절장치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순간 더 큰 탄성복원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력조절장치에 과도한 인장력이 걸림으로써 장력조절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력조절장치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인장력검출부, 압축력검출부, 출력부 및 제어부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장력조정장치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와 탄성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압축력의 크기에 따라 장력조절장치의 안전 작동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장력조절장치의 파손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가 실제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본체부, 결속홈, 연통홈, 이탈방지홈을 나타내는 측면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제어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가 실제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본체부, 결속홈, 연통홈, 이탈방지홈을 나타내는 측면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제어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가 실제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피스톤부(120), 제1결속부(131), 제2결속부(132), 탄성부재(140) 및 위치고정부(150)를 구비함으로써, 강관철탑에 설치되는 수직구명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수직구명줄에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일정 범위 내에 유지할 수 있어, 수직구명줄의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보장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100)의 본체부(110)는, 일측방으로 개방된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다. 이때, 개방된 부분의 정반대편에 위치하는 타측방에는 제1결속부(13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결속부(1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결속판(131a), 와이어결속부(131b) 및 고정부재(131c)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결속부(131)의 결속판(131a)은, 본체부(110)의 타측방 단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어 한 쌍으로 장착되는 구성이다. 와이어결속부(131b)는, 한 쌍의 결속판(131a) 사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수직구명줄이 감겨지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는 굴곡면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31c)는 결속판(131a)에 와이어결속부(131b)를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피스톤부(12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이때, 피스톤부(120)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140)의 타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부(150)와 탄성부재(140) 사이에는 탄성부재(140)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탄성부재(140)의 일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받침판(160)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제2결속부(132)는, 피스톤부(120)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일측방 개방된 부분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제2결속부(1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구조(132a)가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나사산 구조(132a)가 형성된 제2결속부(132)에 너트(132b) 및 와셔(132c)를 이용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손쉽게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탄성부재(140)는,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피스톤부(120)에 본체부(110) 내부 타측방으로 소정 크기의 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부(150)는,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본체부(110)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140)의 위치를 특정 범위 내로 한정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부(15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제2결속부(13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형태로 한 쌍으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위치고정부(150)는 특정 구조의 제1위치고정부재(151) 및 제2위치고정부재(15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위치고정부재(151)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제2결속부(132)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위치고정부재(152)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제2결속부(132)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위치고정부재(151) 및 제2위치고정부재(152)를 포함하는 위치고정부(150)를 특정 위치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함으로써, 설계자 또는 시공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본체부(110)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140)의 사양을 달리하여 손쉽게 장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유지관리가 손쉬운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본체부, 결속홈, 연통홈, 이탈방지홈을 나타내는 측면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결속홈(111), 연통홈(112) 및 이탈방지홈(113)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속홈(111)은,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110)의 연장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다수 배치되고, 위치고정부(150)가 결속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연통홈(112)은, 결속홈(111)을 서로 연통되는 구조 연결하고, 위치고정부(150)가 지나갈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홈(113)은, 결속홈(111)으로부터 본체부(110)의 일측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결속홈(111), 연통홈(112) 및 이탈방지홈(113)을 포함하는 본체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설계자 또는 시공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위치고정부(150)의 위치를 달리하여 설정할 수 있고, 위치고정부(150)의 위치에 따라 피스톤부(120)에 가해지는 탄성부재(140)의 가압력을 달리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장력조절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장력 설정값을 설계자 또는 시공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고 안정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40)는, 특정 구조의 제1탄성부재(141) 및 제2탄성부재(14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탄성부재(141)는, 위치고정부(150)의 일측면으로부터 피스톤부(120)의 일측면에 이르는 제1구간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2탄성부재(142)는, 위치고정부(150)의 일측면으로부터 제1구간 길이 대비 50%의 길이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탄성부재(141)의 내경 대비 60 내지 90%의 길이의 외경을 가지는 코일스프링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탄성부재(141) 및 제2탄성부재(142)를 특정 길이와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장력조절장치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제1탄성부재(141)가 서서히 압축되다가 제2탄성부재(142)도 피스톤부(120)에 특정 크기의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장력조절장치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특정 범위를 초과하는 순간 더 큰 탄성복원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력조절장치에 과도한 인장력이 걸림으로써 장력조절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특정 구조의 결속홈(111), 연통홈(112) 및 이탈방지홈(113)이 구비된 본체부(110), 특정 구조의 제1탄성부재(141) 및 제2탄성부재(142)를 특정 위치에 배치한 구성을 하나의 구성으로 결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다양한 발명의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피스톤부(120), 설치바(161) 및 탄성부재(1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120)는, 상단부에 제1결속부(131)가 장착되고, 하단부에 탄성부재 안착부(121)가 장착되며,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구조물에 장착된 설치바(16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설치바(161)는,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구조물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상하방향으로 피스톤부(120)를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구조물에 장착되는 부분이 직각으로 절곡된 L자형 앵글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0)는, 피스톤부(120)의 하부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설치바(161)의 하부면과 탄성부재 안착부(121) 사이에 배치되며, 피스톤부(120)의 상방 위치변경에 따라 탄성복원력을 발생하여 피스톤부(120)의 탄성부재 안착부(121)에 소정 크기의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제어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도 8 및 도 12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인장력검출부(171), 압축력검출부(172), 출력부(173) 및 제어부(174)를 특정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장력검출부(171)는, 제1결속부(131)와 본체부(110) 사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결속부(131)로부터 인가되는 인장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74)에 전달할 수 있다.
압축력검출부(172)는, 피스톤부(120)의 일측면과 탄성부재(140) 사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탄성부재(140)로부터 피스톤부(120)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74)에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173)는,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74)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색상과 패턴으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4)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무선통신모듈(175)을 탑재하며, 인장력검출부(171) 및 압축력검출부(172)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제어설정에 따라 출력부(173)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를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장력검출부(171) 및 압축력검출부(172)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장력조절장치(100)의 파손이 우려될 경우 또는 수직구명줄의 파손이 우려될 경우, 출력부(173)를 통해 경고 불빛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관리자의 육안에 쉽게 인식 가능하도록 붉은색 불빛을 반복적으로 점멸하도록 출력부(17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도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부분의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반면, 인장력검출부(171) 및 압축력검출부(172)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가 기설정된 범위 내로 유지될 경우, 해당 부분의 상태가 정상임을 안전관리자의 육안에 쉽게 인식 가능하도록, 녹색 불빛을 점등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출력부(173)의 제어 동작은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인장력검출부(171), 압축력검출부(172), 출력부(173) 및 제어부(174)를 특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장력조정장치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와 탄성부재(140)로부터 발생되는 압축력의 크기에 따라 장력조절장치의 안전 작동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장력조절장치의 파손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수직구명줄
12: 하부지지대
100: 장력조절장치
110: 본체부
111: 결속홈
112: 연통홈
113: 이탈방지홈
120: 피스톤부
121: 탄성부재 안착부
131: 제1결속부
131a: 결속판
131b: 와이어결속부
131c: 고정부재
132: 제2결속부
132a: 나사산 구조
132b: 너트
132c: 와셔
140: 탄성부재
141: 제1탄성부재
142: 제2탄성부재
150: 위치고정부
151: 제1위치고정부재
152: 제2위치고정부재
160: 받침판
161: 설치바
171: 인장력검출부
172: 압축력검출부
173: 출력부
174: 제어부
175: 무선통신모듈
12: 하부지지대
100: 장력조절장치
110: 본체부
111: 결속홈
112: 연통홈
113: 이탈방지홈
120: 피스톤부
121: 탄성부재 안착부
131: 제1결속부
131a: 결속판
131b: 와이어결속부
131c: 고정부재
132: 제2결속부
132a: 나사산 구조
132b: 너트
132c: 와셔
140: 탄성부재
141: 제1탄성부재
142: 제2탄성부재
150: 위치고정부
151: 제1위치고정부재
152: 제2위치고정부재
160: 받침판
161: 설치바
171: 인장력검출부
172: 압축력검출부
173: 출력부
174: 제어부
175: 무선통신모듈
Claims (5)
- 일측방으로 개방된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고, 타측방에 제1결속부(131)가 장착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 구조의 피스톤부(120);
상기 피스톤부(120)의 일측면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일측방 개방된 부분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의 제2결속부(132);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장착되고, 피스톤부(120)에 본체부(110) 내부 타측방으로 소정 크기의 가압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4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어 본체부(110) 내부에 장착된 탄성부재(140)의 위치를 특정 범위 내로 한정하는 위치고정부(150);
상기 위치고정부(150)와 탄성부재(140) 사이에 장착되고, 탄성부재(140)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탄성부재(140)의 일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판상형 구조이며, 제2결속부(132)가 출입할 수 있는 구조의 받침판(160);
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150)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제2결속부(13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대칭형태로 한 쌍으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상기 위치고정부(150)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제2결속부(132)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위치고정부재(151); 및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제2결속부(132)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2위치고정부재(1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제1결속부(131)는,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방 단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어 장착되는 한 쌍의 결속판(131a);
상기 한 쌍의 결속판(131a) 사이에 장착되고, 타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수직구명줄이 감겨지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는 굴곡면이 형성된 와이어결속부(131b); 및
상기 결속판(131a)에 와이어결속부(131b)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31c);
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120)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140)의 타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속부(1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 구조(132a)가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본체부(110)의 연장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다수 배치되고, 위치고정부(150)가 결속될 수 있는 구조의 결속홈(111);
상기 결속홈(111)을 서로 연통되는 구조 연결하고, 위치고정부(150)가 지나갈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 연통홈(112); 및
상기 결속홈(111)으로부터 본체부(110)의 일측방으로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된 이탈방지홈(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제1결속부(131)와 본체부(110) 사이에 장착되고, 제1결속부(131)로부터 인가되는 인장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74)에 전달하는 인장력검출부(171);
상기 피스톤부(120)의 일측면과 탄성부재(140) 사이에 장착되고, 탄성부재(140)로부터 피스톤부(120)에 인가되는 압축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74)에 전달하는 압축력검출부(172);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제어부(174)의 제어신호에 따라 특정 색상과 패턴으로 빛을 출력하는 출력부(173); 및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내부에 무선통신모듈(175)을 탑재하며, 인장력검출부(171) 및 압축력검출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제어설정에 따라 출력부(173)의 작동을 제어하고, 제어상태를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제공하는 제어부(17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1007A KR102377117B1 (ko) | 2021-06-01 | 2021-06-01 |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1007A KR102377117B1 (ko) | 2021-06-01 | 2021-06-01 |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7117B1 true KR102377117B1 (ko) | 2022-03-23 |
Family
ID=8096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1007A KR102377117B1 (ko) | 2021-06-01 | 2021-06-01 |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7117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2648B1 (ko) * | 2022-10-26 | 2023-05-15 |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 수평 추락방지장치 |
KR102532649B1 (ko) * | 2022-10-31 | 2023-05-16 |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 사다리 추락방지장치 |
KR102638747B1 (ko) * | 2023-05-03 | 2024-02-20 |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 장선기용 수평 추락방지장치 |
KR20240026417A (ko) * | 2022-08-20 | 2024-02-28 | 주식회사 케그앤엠 |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
KR20240026416A (ko) * | 2022-08-20 | 2024-02-28 | 주식회사 케그앤엠 |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송전탑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70297A (ja) * | 2008-05-02 | 2009-11-19 |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 駐車装置及び昇降装置 |
KR100948699B1 (ko) * | 2007-06-20 | 2010-03-22 | 세이 니시무라 |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
KR101636327B1 (ko) * | 2015-10-20 | 2016-07-05 | (주) 스페이스업 |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
KR101960059B1 (ko) | 2018-07-16 | 2019-03-19 | 주식회사 신신전력 |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
2021
- 2021-06-01 KR KR1020210071007A patent/KR1023771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8699B1 (ko) * | 2007-06-20 | 2010-03-22 | 세이 니시무라 | 가공선용 텐션 밸런서 |
JP2009270297A (ja) * | 2008-05-02 | 2009-11-19 |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 駐車装置及び昇降装置 |
KR101636327B1 (ko) * | 2015-10-20 | 2016-07-05 | (주) 스페이스업 | 장력 유지가 가능한 단위 막재 블록 및 이에 의해 구성되는 커튼월 시스템 |
KR101960059B1 (ko) | 2018-07-16 | 2019-03-19 | 주식회사 신신전력 |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Unlicensed reference * |
비특허문헌*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6417A (ko) * | 2022-08-20 | 2024-02-28 | 주식회사 케그앤엠 |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
KR20240026416A (ko) * | 2022-08-20 | 2024-02-28 | 주식회사 케그앤엠 |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송전탑 |
KR102652543B1 (ko) | 2022-08-20 | 2024-04-02 | 주식회사 케그앤엠 |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
KR102652544B1 (ko) | 2022-08-20 | 2024-04-02 | 주식회사 케그앤엠 |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송전탑 |
KR102532648B1 (ko) * | 2022-10-26 | 2023-05-15 |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 수평 추락방지장치 |
KR102532649B1 (ko) * | 2022-10-31 | 2023-05-16 |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 사다리 추락방지장치 |
KR102638747B1 (ko) * | 2023-05-03 | 2024-02-20 |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 장선기용 수평 추락방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7117B1 (ko) |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 |
CA2761368C (en) | Self-retracting lifeline with reserve lifeline portion | |
AU2002223895B2 (en) | Supporting bracket assembly for a horizontal lifeline cable | |
US11136823B1 (en) | Ladder fall protection system and fall arrester | |
CA2639425C (en) | Rescue lanyard and kit for emergency descent from a height including an emergency descent control device | |
EP3365070B1 (en) | Cable grab device | |
US20170120087A1 (en) | Protective equipment | |
KR101322660B1 (ko) | 송전 지지물용 추락방지장치 | |
EP2796172B1 (en) | Fall arrest device | |
KR101390150B1 (ko) | 추락방지용 난간대 | |
ITMI991900A1 (it) | Dispositivo antinfortunistico per edifici particolarmente per il montaggio di manufatti prefabbricati in calcestruzzo o simili | |
CN109069888B (zh) | 用于坠落保护设备的负载指示器 | |
KR101187186B1 (ko) | 전주용 안전로프장치 | |
CN105615069A (zh) | 防坠落手套 | |
KR102567879B1 (ko) | 철탑 작업자 보호장치 | |
US10619417B2 (en) | Pass-through cable grab system | |
KR102598341B1 (ko) | 안전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장치 | |
US10449399B2 (en) | Horizontal lifeline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a horizontal lifeline system | |
JP2016093486A (ja) | 傾斜面用ランヤードのグリップ及び安全対策装備並びに傾斜面作業における二重安全対策方法 | |
JP5009741B2 (ja) | 転落防止装置 | |
GB2543699A (en) | Rope safety device | |
CN110420408B (zh) | 一种高空作业安全导索组件以及高空作业安全导索系统 | |
KR102528585B1 (ko) | 낙하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주상안전대 | |
GB2594519A (en) | Safety line system and anchor device | |
EP0901401A2 (de) | Hilfsmittel zum besteigen von bäumen, masten und dergleich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