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543B1 -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 Google Patents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543B1
KR102652543B1 KR1020220104423A KR20220104423A KR102652543B1 KR 102652543 B1 KR102652543 B1 KR 102652543B1 KR 1020220104423 A KR1020220104423 A KR 1020220104423A KR 20220104423 A KR20220104423 A KR 20220104423A KR 102652543 B1 KR102652543 B1 KR 10265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detection means
main body
lifting member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26417A (ko
Inventor
오귀상
원종위
차은주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그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그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그앤엠
Priority to KR102022010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543B1/ko
Publication of KR2024002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93Fall arrest ree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2Rail-form lifelines for permanent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485Control devices automatic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탑에 올라 송전탑 또는 고압전선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은 연결로프(15)에 의해 작업자가 연결되는 승강부재(24)가 지속적으로 작업자보다 높은 곳에 위치됨으로,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작업자가 낙하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power line tower having sign lamp}
본 발명은 송전탑에 올라 송전탑 또는 고압전선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전선을 지면에서 상측으로 이격시켜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송전탑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바(11a)와, 상기 지지바(11a)의 중간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평바(11b)와, 상기 지지바(11a)의 중간부에 X자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바(11c)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12)에는 도시 안된 애자가 구비되어, 상기 애자에 고압전선의 중간부를 결합하여 고압전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송전탑은 높이가 매우 높아서, 송전탑을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송전탑을 타고 올라가서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때, 송전탑을 올라간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는 위험이 발생됨으로, 작업자가 송전탑을 올라갈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13)를 상기 송전탑 본체(11)의 상하단에 각각 고정하고, 작업자가 상기 와이어로프(13)에 안전벨트를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안전벨트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로프(13)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회동아암이 구비되어 상기 회동아암이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와이어로프(13)의 외측에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로립(14)과, 기단부는 상기 로립(14)의 회동아암에 연결되고 선단부에는 작업자가 매고 있는 안전띠에 연결되는 고정고리가 구비된 연결로프(15)로 구성된다.
따라서, 송전탑을 올라간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상기 로립(14)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 속도에 비해 빠른 속도로 작업자가 낙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15)가 로립(14)의 회동아암을 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로립(14)이 와이어로프(13)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더 이상 추락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로립(14)은 연결로프(15)를 통해 작업자가 매고 있는 안전띠에 연결됨으로, 작업자가 송전탑을 올라갈 때 상기 연결로프(15)를 통해 로립(14)을 끌고 올라가게 되며, 로립(14)이 작업자보다 낮은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송전탑을 올라가다가 또는 작업중에 미끄러져 추락할 경우 작업자가 적지 않은 높이를 추락한 후 상기 연결로프(15)가 하측으로 당겨지면서 로립(14)이 작동됨으로, 작업자에게 충격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96005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전탑에 올라 송전탑 또는 고압전선을 유지보수하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바(11a)와, 상기 지지바(11a)의 중간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평바(11b)와, 상기 지지바(11a)의 중간부에 X자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바(11c)를 결합하여 구성된 송전탑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에 구비된 추락방지장치(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장치(A)는 상기 본체(1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바(21)와, 상기 가이드바(21)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관체(22)와, 상기 본체(11)에 상기 가이드바(21)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하측으로 연장된 와이어(23a)가 상기 승강관체(22)에 연결된 윈치(23)와, 상기 승강관체(22)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로프(15)를 통해 작업자가 매고 있는 안전띠가 연결되는 승강부재(24)와, 상기 승강부재(24)에 연결되어 승강부재(24)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5)와,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재(24)가 가장 상측으로 상승되면 이를 상승감지수단(26)과,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24)가 중간부로 하강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하강감지수단(27)과,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24)가 가장 하측으로 하강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하강감지수단(28)과,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어 작동시 승강관체(22)가 승강되지 않도록 제동하는 전자식브레이크(29)와, 상기 상승감지수단(26)과 하강감지수단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윈치(23)와 전자식브레이크(29)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1)과, 상기 본체(11)의 하단에 구비되며 제어수단(31)에 의해 4개의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되어 추락방지장치(A)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감지수단(26)과 제1 하강감지수단(27)의 상하방향 간격은 상기 승강부재(24)의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수단(31)은 상기 상승감지수단(26)에 승강부재(24)가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윈치(23)를 제어하여 와이어(23a)를 감아올림으로써 상기 승강관체(22)가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램프(32)가 제1 색으로 점등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부재(24)가 상승감지수단(26)과 제1 하강감지수단(27)의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윈치(23)를 정지시키고 상기 표시램프(32)가 제2 색으로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제1 하강감지수단(27)에 승강부재(24)가 중간부로 하강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윈치(23)를 제어하여 와이어(23a)를 풀어냄으로써 승강관체(22)가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램프(32)가 제3 색으로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제2 하강감지수단(28)에 승강부재(24)가 가장 하측으로 하강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식브레이크(29)를 작동시켜 승강관체(22)가 승강되지 않도록 제동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램프(32)가 제4 색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은 연결로프에 의해 작업자가 연결되는 승강부재가 지속적으로 작업자보다 높은 곳에 위치됨으로,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작업자가 낙하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송전탑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일반적인 안전벨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안전벨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의 추락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의 추락방지장의 블록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의 추락방지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을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부(12)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본체(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바(11a)와, 상기 지지바(11a)의 중간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평바(11b)와, 상기 지지바(11a)의 중간부에 X자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바(11c)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2)에는 도시 안된 애자가 구비되어, 상기 애자에 고압전선의 중간부를 결합하여 고압전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은 상기 본체(11)에,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장치(A)가 구비된다.
상기 추락방지장치(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바(21)와, 상기 가이드바(21)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관체(22)와, 상기 본체(11)에 상기 가이드바(21)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하측으로 연장된 와이어(23a)가 상기 승강관체(22)에 연결된 윈치(23)와, 상기 승강관체(22)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로프(15)를 통해 작업자가 매고 있는 안전띠가 연결되는 승강부재(24)와, 상기 승강부재(24)에 연결되어 승강부재(24)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5)와,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재(24)가 가장 상측으로 상승되면 이를 상승감지수단(26)과,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24)가 중간부로 하강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하강감지수단(27)과,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24)가 가장 하측으로 하강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하강감지수단(28)과,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어 작동시 승강관체(22)가 승강되지 않도록 제동하는 전자식브레이크(29)와, 상기 상승감지수단(26)과 하강감지수단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윈치(23)와 전자식브레이크(29)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1)과, 상기 본체(11)의 하단에 구비된 표시램프(32)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바(21)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원형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하단이 상기 본체(11)의 상하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브라켓(21a)에 고정된다.
상기 승강관체(22)는 내경이 상기 가이드바(21)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바(21)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하단에는 플랜지부(22a)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승강부재(24)의 하강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21)의 상단에는 상기 윈치(23)의 와이어(23a)가 연결되는 고리부재(21c)가 구비되며, 가이드바(21)의 둘레면에는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2d)이 형성된다.
상기 윈치(23)는 상기 본체(11)의 상단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연장된 와이어(23a)를 풀어 내리거나 감아올림으로써, 상기 승강관체(22)가 승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윈치(23)가 승강관체(22)를 승강시키는 속도는 일반적인 작업자가 송전탑의 본체(11)를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속도에 비해 조금 빠르게 조절된다.
상기 승강부재(24)는 내경이 상기 승강관체(22)의 외경에 대응되는 단관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관체(22)의 상단의 플랜지부(22a)와 스토퍼(22b)의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24)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로프(15)가 결합되는 고리부재(24a)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5)는 상기 승강관체(22)의 외측에 결합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하단이 상기 승강부재(24)의 하측면과 승강관체(22) 하측의 플랜지부(22a)에 밀착되어 승강부재(24)의 상면이 승강관체(22) 상측의 플랜지부(22a)에 밀착되도록 상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상승감지수단(26)과 제1 및 제2 하강감지수단(27,28)은 상기 승강관체(22)의 둘레면에 매립되도록 구비되며 승강관체(22)의 둘레부로 돌출된 푸쉬버튼(26a,27a,28a)이 구비되어, 상기 푸쉬버튼(26a,27a,28a)이 가압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푸쉬스위치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상승감지수단(26)은 승강관체(22)의 상단에 근접되도록 구비되고, 제1 하강감지수단(27)은 승강관체(22)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제2 하강감지수단(28)은 승강관체(22)의 스토퍼(22b)에 근접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감지수단(26)과 제1 하강감지수단(27)의 상하방향 간격은 상기 승강부재(24)의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제1 및 제2 하강감지수단(27,28)의 상하방향간격은 상기 승강부재(24)의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전자식브레이크(29)는 상기 승강관체(22)의 둘레면에 내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22d)에 결합되어, 작동시 승강관체(22)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즉, 상기 전자식브레이크(29)는 상기 관통공(22d)에 결합된 마찰부재(29a)와, 상기 승강관체(22)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마찰부재(29a)에 연결되어 작동시 마찰부재(29a)가 승강관체(22)의 내측으로 출몰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29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2d)은 상기 스토퍼(22b)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부재(24)가 하강되었을 때, 승강부재(24)가 전자식브레이크(29)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29b)에 의해 마찰부재(29a)가 승강관체(22)의 내측으로 돌출되면, 마찰부재(29a)가 상기 가이드바(2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켜, 승강관체(22)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표시램프(32)는 상기 본체(11)의 지지바(11a) 하단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31)에 의해 4개의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되어 추락방지장치(A)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LED램프를 이용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추락방지장치(A)를 이용하여 본체(11)를 올라갈 때, 밑에서 대기하는 작업자가 상기 표시램프(32)의 점등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본체(11)를 올라가고 있는 작업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램프(32)는 제1 색인 파랑, 제2 색인 초록, 제3 색인 노랑, 제4 색은 빨강색으로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송전탑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초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관체(22)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승강부재(24)는 탄성부재(25)에 의해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되어 상기 상승감지수단(26)의 푸쉬버튼(26a)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승강부재(24)의 고리부재(24a)에 연결로프(15)를 연결한 후, 제어수단(31)을 on시키면, 제어수단(31)은 상기 상승감지수단(2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부재(24)가 상승된 것을 감지하고, 상기 윈치(23)를 구동시켜 와이어(23a)를 감아올림으로써 승강관체(22)가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램프(32)가 제1 색인 파랑색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본체(11)를 올라한다.
한편, 상기 윈치(23)가 승강관체(22)를 상승시키는 속도는 작업자가 본체(11)를 올라가는 속도에 비해 빠르게 설정됨으로, 작업자의 위치와 승강부재(24)의 거리가 상기 연결로프(15)의 길이만큼 벌어지면, 상기 연결로프(15)가 당겨지면서 상기 승강관체(22)만 상승되고 승강부재(24)는 상승되지 못하여, 승강관체(24)에 대해 승강부재(24)가 하강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4)가 상기 상승감지수단(26)과 제1 하강감지수단(27) 사이의 위치로 하강되면, 상기 제어수단(31)은 이를 확인하여 상기 윈치(23)를 정지시켜 승강관체(22)가 정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램프(32)가 제2 색인 초록색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업자가 계속 본체(11)를 따라 올라가서 승강부재(24)가 상승감지수단(26)의 위치로 상승되면, 윈치(23)가 다시 승강부재(24)를 상승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연결로프(15)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본체(11)를 내려갈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로프(15)에 의해 승강부재(24)가 상기 제1 하강감지수단(27)의 높이까지 당겨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31)은 상기 와이어(23a)가 풀려나오는 방향으로 윈치(23)를 구동시켜 승강관체(22)를 하강시키고, 상기 표시램프(32)를 제3 색인 노랑색으로 점등시킨다.
이때, 상기 승강관체(22)는 일반적인 작업자가 본체(11)를 내려오는 속도에 비해 빠른 속도로 하강됨으로, 상기 제어수단(31)은 상기 제1 하강감지수단(27)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윈치(23)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관체(22)가 작업자에 비해 높은 곳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작업자는 윈치(23)에 의해 승강관체(22)가 승강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낙하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로프(15)가 승강부재(24)를 하측으로 당겨, 승강부재(24)가 상기 제2 하강감지수단(28)의 위치까지 하강되어, 상기 스토퍼(22b)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24)가 가장 낮은 위치로 하강되면, 상기 제어수단(31)은 작업자가 추락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윈치(23)를 정지시키고, 전자식 브레이크(29)를 작동시켜 승강관체(22)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램프(32)가 제4 색인 빨강색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24)가 스토퍼(22b)에 걸린 상태에서 승강관체(22)가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됨으로, 작업자는 연결로프(15)를 통해 승강부재(24)에 매달리게 되어 추락하지 않게 되며, 본체(11)의 밑에서 대기하던 다른 작업자가 상기 표시램프(32)의 색을 확인하여 해당 작업자가 추락한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신속하게 구조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은 연결로프(15)에 의해 작업자가 연결되는 승강부재(24)가 지속적으로 작업자보다 높은 곳에 위치됨으로,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작업자가 낙하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밑에서 대기하는 작업자가 상기 표시램프(32)의 점등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본체(11)를 올라가고 있는 작업자의 상태, 즉, 작업자가 올라가는지, 정지되었는지, 내려오는지 아니면 추락하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작업자가 추락했을 경우, 신속하게 구조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본체 12. 연장부
15. 연결로프 A. 추락방지장치
21. 가이드바 22. 승강관체
23. 윈치 24. 승강부재
25. 탄성부재 26. 상승감지수단
27,28. 제 1 및 제2 하강감지수단 29. 전자식 브레이크
31. 제어수단 32. 표시램프

Claims (1)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연장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바(11a)와, 상기 지지바(11a)의 중간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수평바(11b)와, 상기 지지바(11a)의 중간부에 X자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바(11c)를 결합하여 구성된 송전탑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에 구비된 추락방지장치(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장치(A)는
    상기 본체(1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바(21)와,
    상기 가이드바(21)의 외측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관체(22)와,
    상기 본체(11)에 상기 가이드바(21)에 비해 높게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하측으로 연장된 와이어(23a)가 상기 승강관체(22)에 연결된 윈치(23)와,
    상기 승강관체(22)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로프(15)를 통해 작업자가 매고 있는 안전띠가 연결되는 승강부재(24)와,
    상기 승강부재(24)에 연결되어 승강부재(24)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5)와,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재(24)가 가장 상측으로 상승되면 이를 상승감지수단(26)과,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24)가 중간부로 하강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하강감지수단(27)과,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24)가 가장 하측으로 하강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하강감지수단(28)과,
    상기 승강관체(22)에 구비되어 작동시 승강관체(22)가 승강되지 않도록 제동하는 전자식브레이크(29)와,
    상기 상승감지수단(26)과 하강감지수단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윈치(23)와 전자식브레이크(29)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1)과,
    상기 본체(11)의 하단에 구비되며 제어수단(31)에 의해 4개의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되어 추락방지장치(A)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감지수단(26)과 제1 하강감지수단(27)의 상하방향 간격은 상기 승강부재(24)의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어수단(31)은 상기 상승감지수단(26)에 승강부재(24)가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윈치(23)를 제어하여 와이어(23a)를 감아올림으로써 상기 승강관체(22)가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램프(32)가 제1 색으로 점등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부재(24)가 상승감지수단(26)과 제1 하강감지수단(27)의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윈치(23)를 정지시키고 상기 표시램프(32)가 제2 색으로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제1 하강감지수단(27)에 승강부재(24)가 중간부로 하강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윈치(23)를 제어하여 와이어(23a)를 풀어냄으로써 승강관체(22)가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표시램프(32)가 제3 색으로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제2 하강감지수단(28)에 승강부재(24)가 가장 하측으로 하강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식브레이크(29)를 작동시켜 승강관체(22)가 승강되지 않도록 제동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램프(32)가 제4 색으로 점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KR1020220104423A 2022-08-20 2022-08-20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KR10265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423A KR102652543B1 (ko) 2022-08-20 2022-08-20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423A KR102652543B1 (ko) 2022-08-20 2022-08-20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417A KR20240026417A (ko) 2024-02-28
KR102652543B1 true KR102652543B1 (ko) 2024-04-02

Family

ID=9012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423A KR102652543B1 (ko) 2022-08-20 2022-08-20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5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562B1 (ko) 2019-05-01 2019-10-14 위재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377117B1 (ko) 2021-06-01 2022-03-23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KR102430238B1 (ko) 2021-10-18 2022-08-08 두원전력(주)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516B1 (ko) * 2013-10-18 2015-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추락방지장치
KR101960059B1 (ko) 2018-07-16 2019-03-19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156386B1 (ko) * 2018-11-13 2020-09-15 한국전력공사 고소 작업용 추락 방지 장치, 이의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324710B1 (ko) * 2019-10-02 2021-11-11 한국전력공사 추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562B1 (ko) 2019-05-01 2019-10-14 위재길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2377117B1 (ko) 2021-06-01 2022-03-23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안전구조를 포함하는 장력조절장치
KR102430238B1 (ko) 2021-10-18 2022-08-08 두원전력(주) 전주작업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417A (ko) 202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4121Y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장치
US4111281A (en) Building front rope lift
KR100972781B1 (ko)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CN116119517B (zh) 一种港口起重机吊具自动防扭装置
CN209324102U (zh) 一种防坠落电杆爬梯
US3080981A (en) Tower-crane cabin
CN105366524A (zh) 一种扶手电梯可升降的紧急停车连锁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652543B1 (ko)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US4128228A (en) Extension ladder hoist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6497B1 (ko)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WO2018177378A1 (zh) 自动升降救援设备
KR102652544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송전탑
JP2015231890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89647B1 (ko)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CN110217673B (zh) 塔机司机攀登驾驶室专用电梯
JPWO200602201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72203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KR102089008B1 (ko) 승강장치의 승강줄 점검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승강장치
KR100840375B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KR101006241B1 (ko) 리프트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장치
JP6651660B1 (ja) 乗りかごの突き上げ検知装置
JPH08143241A (ja) 油圧エレベータ非常停止装置の動作試験装置
JP6081559B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点検運転用安全装置
CN210064814U (zh) 一种施工升降机防冲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