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710B1 - 추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710B1
KR102324710B1 KR1020190122066A KR20190122066A KR102324710B1 KR 102324710 B1 KR102324710 B1 KR 102324710B1 KR 1020190122066 A KR1020190122066 A KR 1020190122066A KR 20190122066 A KR20190122066 A KR 20190122066A KR 102324710 B1 KR102324710 B1 KR 102324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it
winch
rope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623A (ko
Inventor
권연한
김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7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623A/ko
Priority to KR1020210150536A priority patent/KR102394686B1/ko
Priority to KR1020210150535A priority patent/KR102394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추락방지장치는: 철탑의 상부에 설치되는 활차부와, 철탑의 하부에 설치되는 윈치부와, 활차부와 윈치부에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윈치부의 작동에 회동되는 보조로프와, 보조로프와 연결되는 안전로프연결부와, 안전로프연결부와 연결되고, 보조로프와 함께 회전되는 안전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장치{FALL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쉽게 안전로프를 철탑에 설치가능함은 물론, 안전로프의 설치과정이 간단하여 안전로프의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철탑은 철골(鐵骨)이나 철주(鐵柱)를 소재로 한 탑으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로프를 설치해야 하나 안전로프 등을 설치하는 추락방지장치가 없어 송전철탑에 안전로프의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송전철탑에 안전로프의 설치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2971호(발명의 명칭: 송전철탑 승.하탑시 추락방지장치, 공개일:2005.12.0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쉽게 안전로프를 철탑에 설치가능함은 물론, 안전로프의 설치과정이 간단하여 안전로프의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추락방지장치는: 철탑의 상부에 설치되는 활차부; 상기 철탑의 하부에 설치되는 윈치부; 상기 활차부와 상기 윈치부에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윈치부의 작동에 회동되는 보조로프; 상기 보조로프와 연결되는 안전로프연결부; 및 상기 안전로프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조로프와 함께 회전되는 안전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로프는 상기 활차부와 상기 윈치부에 거쳐 궤도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로프는 벨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활차부는, 상기 철탑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보조로프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도르래; 및 상기 설치프레임와 상기 도르래를 연결하는 쇄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탑에 설치되며, 상기 활차부와 상기 윈치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보조로프와 상기 안전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철탑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 상기 가이드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가이드결합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결합부재에서 나선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로프와 상기 안전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과되는 제1가이드본체를 구비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가이드결합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가이드본체와 대칭되게 나선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로프와 상기 안전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과되는 제2가이드본체를 구비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본체는 상기 제1가이드결합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제2가이드본체는 상기 제2가이드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본체는 상기 제1가이드결합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제2가이드본체는 상기 제2가이드결합부재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본체는 상기 제1가이드결합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제2가이드본체는 상기 제2가이드결합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결합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와 연결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철탑의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바; 및 상기 결합프레임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결합프레임을 따라 이동되고, 한 쌍의 상기 가압바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밀착하여 고정하는 가이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치부는, 상기 철탑의 대각선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와 결합되고, 상기 보조로프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한 쌍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윈치설치부; 상기 윈치설치부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윈치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로프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윈치풀리부; 및 상기 윈치풀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윈치풀리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윈치풀리부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대각선프레임에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상원을 따라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대각선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 가상원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1체결홀부와 마주보는 한 쌍의 설치홀부를 구비하는 장착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설치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판과 상기 장착부본체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치부는 상기 장착부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전로프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로프연결부는, 상기 보조로프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안전로프가 배치되는 안전로프입망부; 및 상기 안전로프입망부와 상기 안전로프를 결합시키는 안전로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치부는, 상기 철탑의 대각선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로프가 감겨지는 권취부; 상기 설치부의 상측면을 개폐하고, 상기 보조로프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한 쌍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개폐부; 및 상기 설치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와 함께 회전가능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윈치부는,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는 기어부; 상기 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부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권취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권취회전방지부; 및 상기 권취부를 상기 설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로프는 일단부에 고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고리부가 걸리는 걸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대각선프레임에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상원을 따라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대각선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 가상원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1체결홀부와 마주보는 한 쌍의 설치홀부를 구비하는 장착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설치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판과 상기 장착부본체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본체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전로프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는 보조로프가 활차부와 윈치부에 거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윈치부의 작동에 의해 보조로프와 연결된 안전로프가 회동되면서 철탑에 설치될 수 있어, 작업자가 철탑에 승탑하지 않고 하부에서 쉽게 안전로프를 철탑에 설치가능함은 물론, 안전로프의 설치과정이 간단하여 안전로프의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를 통해 보조로프와 안전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정된 경로를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활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활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가 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로부터 안전로프와 연결된 로프부의 로프가 인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작동에 의해 궤도형으로 회전되는 보조로프를 따라 안전로프가 상승 및 하강되면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고정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과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로프를 따라 안전로프가 상승 및 하강되면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활차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활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가 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로부터 안전로프와 연결된 로프부의 로프가 인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가이드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작동에 의해 궤도형으로 회전되는 보조로프를 따라 안전로프가 상승 및 하강되면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1)는 활차부(100), 윈치부(200), 보조로프(300), 안전로프연결부(400), 안전로프(500) 및 가이드부(600)를 포함한다.
활차부(100)는 철탑(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활차부(100)는 철탑(10)의 지지프레임(11)의 상측 부분에 결합된다. 활차부(100)의 도르래(120)에 보조로프(30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윈치부(200)는 철탑(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윈치부(200)는 철탑(10)의 대각선프레임(12)에 결합된다. 윈치부(200)의 윈치풀리부(240)에 보조로프(30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윈치부(200)의 작동부(250)의 작동에 의해 윈치풀리부(240)가 회동되면서 보조로프(300)가 활차부(100)의 도르래(120)에 거쳐 상승되거나 하강되면서 회동된다.
보조로프(300)는 활차부(100)와 윈치부(200)에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윈치부(200)의 작동에 회동된다. 보조로프(300)는 활차부(100)와 윈치부(200)에 거쳐 궤도형으로 연결된다. 즉, 보조로프(300)는 활차부(100)의 도르래(120)와 윈치부(200)의 윈치풀리부(240)에 거쳐 궤도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조로프(300)는 벨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보조로프(300)가 활차부(100)의 도르래(120)와 윈치부(200)의 윈치풀리부(240)에 거쳐서 궤도형으로 회전될 때 보조로프(200)가 꼬이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안전로프연결부(400)는 보조로프(300)와 연결된다. 안전로프연결부(400)는 안전로프(500)를 보조로프(300)에 압착되며, 안전로프(500)가 보조로프(300)와 연결되도록 한다.
안전로프(500)는 안전로프연결부(400)와 연결되고, 보조로프(300)와 함께 회전된다. 안전로프(500)는 윈치부(200)의 작동부(25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윈치부(200)의 윈치풀리부(240)에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되면서 회동된다.
안전로프(500)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조끼(미도시)에 연결된 로프부(20)와 연결된다. 로프부(20)는 추락방지대(21)와 로프(22)를 포함한다. 추락방지대(21)는 안전로프(500)에 결합된다. 로프(22)는 추락방지대(21)와 연결되며, 안전조끼(미도시)에 연결된다(도 4, 도 5 참조). 작업자는 안전로프(500)와 연결된 로프부(20)를 연결한 안전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철탑(10)를 올라가 보수작업을 수행한다.
가이드부(600)는 철탑(10)에 설치되며, 활차부(100)와 윈치부(200)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를 통과하는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 예로, 가이드부(600)는 철탑(10)의 변곡점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보조로프(300)가 배치될 수 있다(도 4, 도 5 참조). 윈치부(200)의 작동에 의해 보조로프(300)가 궤도형으로 회동되면서 상승되거나 하강되면, 가이드부(600)는 보조로프(300)의 상승되거나 하강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더불어, 보조로프(300)와 연결된 안전로프(500)가 보조로프(300)와 같이 상승되거나 하강되면서 가이드부(600)를 통과하고, 가이드부(6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600)는 보조로프(300)와 함께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안전로프(500)도 가이드할 수 있다(도 15 내지 도 17 참조). 이에 따라,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이드부(600)를 통해 설정된 경로를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활차부(100)는 설치프레임(110), 도르래(120) 및 쇄클부(130)를 포함한다. 설치프레임(110)는 철탑(10)에 설치된다. 설치프레임(110)은 제1설치프레임(111), 제2설치프레임(112), 제3설치프레임(113), 제4설치프레임(114), 제5설치프레임(115) 및 결속부(116)를 포함한다. 제1설치프레임(111)은 철탑(10)의 지지프레임(11)과 마주보며, 지지프레임(11)과 마주보는 면에 제1결속홀부(111a)와 제2결속홀부(111b)가 형성된다. 제2결속홀부(111b)는 제1설치프레임(111) 상에서 제1결속홀부(111a)의 하측에(도 2, 도 3 기준) 배치되며, 제1설치프레임(111) 상에서 상하방향으로(도 2, 도 3 기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철탑(10)의 지지프레임(11)에는 결속홀부(미도시)가 제1결속홀부(111a)와 제2결속홀부(111b)에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결속홀부(111b)는 제1설치프레임(111) 상에서 상하방향으로(도 2, 도 3 기준) 길게 형성되므로, 철탑(10)의 지지프레임(11)에 형성되는 결속홀부(미도시)에 대응하여 결속부(116)를 위치를 조정하여 제2결속홀부(111b)와 결속홀부를 관통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설치프레임(110)를 철탑(10)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제2설치프레임(112)은 제1설치프레임(11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쇄클부(130)이 결합된다. 제2설치프레임(112)은 제1설치프레임(11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3설치프레임(113)은 제2설치프레임(112)과 이격되며, 제1설치프레임(111)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제3설치프레임(113)은 제1설치프레임(111)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4설치프레임(114)은 제1설치프레임(111)과 마주보며, 제2설치프레임(112)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제5설치프레임(115)은 제3설치프레임(113)과 제4설치프레임(114)를 연결한다.
결속부(116)는 제1결속홀부(111a)와 제2결속홀부(111b)를 각각 관통하고, 철탑(1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속홀부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프레임(110)을 철탑(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르래(120)는 보조로프(30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르래(120)는 설치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보조로프(30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쇄클부(130)는 설치프레임(110)와 도르래(120)를 연결한다. 즉, 쇄클부(130)는 일단부가 도르래(120)와 결합되며, 타단부가 설치프레임(110)의 제2설치프레임(112)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600)는 가이드결합부(610), 제1가이드부(620) 및 제2가이드부(630)를 포함한다. 가이드결합부(610)는 철탑(10)에 결합된다. 가이드결합부(610)는 철탑(10)의 지지프레임(11)에 결합된다(도 4 참조).
제1가이드부(620)는 제1가이드결합부재(621)와 제1가이드본체(622)를 구비한다. 제1가이드결합부재(621)는 가이드결합부(610)와 연결된다. 제1가이드결합부재(621)는 가이드결합부(610)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
제1가이드본체(622)는 제1가이드결합부재(622)에서 나선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과된다. 즉, 제1가이드본체(622)는 제1가이드결합부재(622)에서 나선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어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과되는 공간부(650)를 형성한다.
제2가이드부(630)는 제2가이드결합부재(631)와 제2가이드본체(632)를 구비한다. 제2가이드결합부재(631)는 가이드결합부(610)와 연결된다. 제2가이드결합부재(631)는 가이드결합부(610)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
제2가이드본체(632)는 제2가이드결합부재(431)에서 제1가이드본체(622)와 대칭되게 나선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과된다. 즉, 제2가이드본체(632)는 제2가이드결합부재(431)에서 제1가이드본체(622)와 대칭되게 나선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어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과되는 공간부(650)를 형성한다.
일 예로, 제1가이드본체(622)는 제1가이드결합부재(621)와 이격되고, 제2가이드본체(632)는 제2가이드결합부재(631)와 결합된다(도 4 내지 도 6 참조). 도 6과 같이, 제1가이드본체(622)는 제1가이드결합부재(621)와 이격되어 제1가이드본체(622)와 제1가이드결합부재(621) 사이에 공간부(650)와 연결되는 개방구(660)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620)는 철탑(10)의 지지프레임(11)에 근접한 위치되며, 작업자는 지지프레임(11)를 따라 설치되는 발판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철탑(10)를 올라갈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안전로프(500)와 연결된 로프부(20)를 연결한 안전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철탑(10)를 올라간다. 제1가이드부(620)의 공간부(650)에 안전로프(500)와 연결된 로프부(20)의 추락방지대(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620)의 제1가이드본체(622) 및 제1가이드결합부재(621)가 이격되어 형성된 개방구(660)를 통해 작업자는 상황에 따라 로프부(20)의 로프(22)가 인출하거나 인입하면서 철탑(10)를 오르거나 내려갈 수 있다.
제2가이드부(630)는 제1가이드부(620)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가이드부(630)의 공간부(650)에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과된다. 이때, 로프부(20)는 제2가이드부(630)를 통과하지 않는다. 제2가이드본체(632)와 제2가이드결합부재(631)는 용접(640)으로 결합된다. 즉, 제2가이드본체(632)와 제2가이드결합부재(431)가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2가이드부(6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가이드본체(622)는 제1가이드결합부재(621)와 이격되고, 제2가이드본체(632)는 제2가이드결합부재(431)와 접촉된다. 도 7(a)과 같이, 제1가이드본체(622)는 제1가이드결합부재(621)와 이격되어 제1가이드본체(622)와 제1가이드결합부재(621) 사이에는 공간부(650)와 연결되는 개방구(660)가 형성된다. 개방구(660)를 통해 작업자는 상황에 따라 로프부(20)의 로프(22)가 쉽게 인출하거나 인입하면서 철탑(10)를 오르거나 내려갈 수 있다.
도 7(b)와 같이, 제2가이드본체(632)는 제2가이드결합부재(431)와 접촉되며, 필요에 따라 제2가이드본체(632)를 탄성변형하여 제2가이드결합부재(431)와 이격시켜 개방구(6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가이드부(630)의 공간부(650)를 통과하는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2가이드부(6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제2가이드부(630)로부터 제2가이드부(630)의 공간부(650)를 통과하는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가이드본체(622)는 제1가이드결합부재(621)와 이격되고, 제2가이드본체(632)는 제2가이드결합부재(431)와 이격된다(도 8 참조). 도 8과 같이, 제1가이드본체(622)는 제1가이드결합부재(621)와 이격되어 제1가이드본체(622)와 제1가이드결합부재(621) 사이에는 공간부(650)와 연결되는 개방구(660)가 형성된다. 개방구(660)를 통해 작업자는 상황에 따라 로프부(20)의 로프(22)가 쉽게 인출하거나 인입하면서 철탑(10)를 오르거나 내려갈 수 있다.
제2가이드본체(632)는 제2가이드결합부재(431)와 이격되어 제2가이드본체(632)와 제2가이드결합부재(431) 사이에는 공간부(650)와 연결되는 개방구(660)가 형성된다. 개방구(660)를 통해 작업자는 제2가이드부(630)의 공간부(650)를 통과하는 보조로프(300)와 안전로프(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요에 따라 제2가이드부(630)로부터 쉽게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다.
가이드결합부(610)는 결합프레임(611), 한 쌍의 가압바(612) 및 가이드고정부(613)를 포함한다. 결합프레임(611)은 제1가이드부(620)와 제2가이드부(630) 사이에 배치되며, 제1가이드부(620) 및 제2가이드부(630)와 연결된다. 결합프레임(611)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한 쌍의 가압바(612)는 결합프레임(61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철탑(10)의 지지프레임(11)의 양측에 배치된다. 한 쌍의 가압바(612)는 결합프레임(611)을 따라 각각 이동된다.
가이드고정부(613)는 결합프레임(611)과 나사결합되며, 결합프레임(611)을 따라 이동되고, 한 쌍의 가압바(612)를 지지프레임(11)에 각각 밀착하여 고정한다. 가이드고정부(613)는 너트 형상으로 결합프레임(611)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가능하며, 지지프레임(11)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바(612)를 각각 가압하여 지지프레임(11)에 각각 밀착시켜 고정한다.
윈치부(200)는 장착부(210), 윈치설치부(220), 개폐부(230), 윈치풀리부(240) 및 작동부(250)를 포함한다. 장착부(210)는 철탑(10)의 대각선프레임(12)에 설치된다.
윈치설치부(220)는 장착부(210)와 결합되고, 보조로프(300)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한 쌍의 출입구(221, 222)가 형성된다. 윈치설치부(220)의 상측면(도 9 기준)가 한 쌍의 출입구(221, 222)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개폐부(230)는 윈치설치부(220)의 일측면을 개폐한다. 개폐부(230)는 윈치설치부(2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윈치설치부(220)의 정면(도 9 기준)를 개폐한다.
윈치풀리부(240)는 윈치설치부(2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조로프(30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윈치풀리부(240)는 윈치풀리본체(241)와 윈치풀리결합부(242)를 포함한다. 윈치풀리본체(241)는 원판 형상으로 외측둘레를 따라 보조로프(300)가 안착되는 안전로프 안착홈부(241a)가 형성된다. 윈치풀리결합부(242)는 장착부(210)의 장착부본체(212)와 결합된다. 윈치풀리결합부(242)에는 윈치풀리본체(24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작동부(250)는 윈치풀리부(240)와 연결되고, 윈치풀리부(240)를 회전시킨다. 작동부(250)는 손잡이로 윈치풀리부(240)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된다.
장착부(210)는 장착판(211), 장착부본체(212) 및 체결부재(800)를 포함한다. 장착판(211)은 대각선프레임(12)에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상원(C)을 따라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211a)가 형성된다.
장착부본체(212)는 장착판(21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대각선프레임(12)과 마주보는 면에 가상원(C')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211a)와 마주보는 한 쌍의 설치홀부(212a, 212b)를 구비된다. 도 12와 같이, 장착부본체(212)의 장착판(211)의 마주보는 면에는 한 쌍의 설치홀부(212a, 212b)가 형성된다.
추락방지장치(1)는 제1체결부(810), 제2체결부(820) 및 제3체결부(830)를 더 포함한다. 제1체결부(810)는 체결홀부(211a)와 설치홀부(212a, 212b)를 관통하여 장착판(211)과 장착부본체(212)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장착부본체(212)에는 곡선 형상의 한 쌍의 설치홀부(212a, 212b)가 형성되므로, 장착부본체(212)가 장착판(21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장착판(211)은 모서리 부분에 제2체결홀부(211b)가 형성된다. 제2체결부(820)는 제2체결홀부(211b)를 관통하여 대각선프레임(12)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장착판(211)이 대각선프레임(12)에 결합된다.
장착부본체(212)의 윈치설치부(220)와 마주보는 면에는 한 쌍의 제1윈치설치홀부(212c, 212d)가 형성되며, 한 쌍의 제1윈치설치홀부(212c, 212d) 사이에 제1윈치풀리설치홀부(212e)가 형성된다.
윈치설치부(220)는 장착부본체(212)와 마주보는 면에 한 쌍의 제1윈치설치홀부(212c, 212d)와 마주보는 한 쌍의 제2윈치설치홀부(223, 224)가 형성되며, 한 쌍의 제2윈치설치홀부(223, 224) 사이에 제2윈치풀리설치홀부(225)가 형성된다. 윈치풀리부(240)의 윈치풀리결합부(242)는 제2윈치풀리설치홀부(225) 및 제1윈치풀리설치홀부(212e)에 결합된다.
제3체결부(830)는 한 쌍의 제1윈치설치홀부(212c, 212d)와 한 쌍의 제2윈치설치홀부(223, 224)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윈치설치부(220)와 장착부본체(212)를 결합한다.
장착부본체(212)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윈치설치홀부(212c, 212d)와 제1윈치풀리설치홀부(212e)는 길이향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제3체결부(830)를 통해 윈치설치부(220)를 장착부본체(212)에 결합할 때 윈치설치부(2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장착부본체(212)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윈치부(200)는 고정고리부(260)를 더 포함한다. 고정고리부(260)는 장착부(210)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안전로프(500)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도 15 내지 도 17과 같이, 윈치부(200)의 작동부(250)를 통해 윈치풀리부(240)가 회전되면서 보조로프(300)가 궤도형으로 회전되면, 보조로프(300)와 연결된 안전로프(500)가 보조로프(300)를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되면서 철탑(10)에 설치된다. 보조로프(300)의 양단부가 장착부본체(212)의 양측부에 배치되면, 보조로프(300)를 고정고리부(260)에 묶어 보조로프(300)를 고정할 수 있다(도 17 참조).
안전로프연결부(400)는 안전로프입망부(410)와 안전로프고정부(420)를 포함한다. 안전로프입망부(410)는 보조로프(300)와 연결되고, 내부에 안전로프(500)가 배치된다. 안전로프입망부(410)는 안전로프입망연결부재(411)와 안전로프입망(412)를 포함한다. 안전로프입망연결부재(411)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보조로프(300)에 압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안전로프입망(412)의 내부에는 안전로프(500)가 배치된다.
안전로프고정부(420)는 안전로프입망부(410)와 안전로프(500)를 결합시킨다. 일 예로, 안전로프고정부(420)는 테이프 형태로 안전로프입망부(410)의 내부에 배치된 안전로프(500)를 안전로프입망부(410)와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고정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측면도이고,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3과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윈치부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보조로프를 따라 안전로프가 상승 및 하강되면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다른 실시예의 내용 중 일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장치(1)는 활차부(100), 보조로프(300), 안전로프연결부(400), 안전로프(500), 가이드부(600) 및 윈치부(700)를 포함한다. 보조로프(300)는 와이어형일 수 있다.
윈치부(700)는 장착부(710), 설치부(720), 권취부(730), 개폐부(740), 작동부(750), 기어부(760), 권취회전방지부(770), 권취회전방지고정부(780) 및 고리부(790)를 포함한다. 장착부(710)는 철탑(10)의 대각선프레임(12)에 설치된다.
설치부(720)는 장착부(710)에 결합된다. 설치부(720)은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권취부(730)는 설치부(7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보조로프(300)가 감겨진다. 권취부(730)는 설치부(7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양단부가 설치부(7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부(740)는 설치부(720)의 상측면을 개폐하고, 보조로프(300)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한 쌍의 출입구(741, 742)가 형성된다. 한 쌍의 출입구(741, 742)는 개폐부(740) 상에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나란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작동부(750)는 설치부(720)의 외측에 배치되고, 권취부(730)와 연결되며, 권취부(730)를 회전시킨다. 작동부(750)는 회전부(751)와 손잡이부(752)를 포함한다. 회전부(751)는 권취부(730)와 연결되며, 권취부(730)와 함께 회전가능하다. 회전부(751)는 권취부(730)와 연결되되, 설치부(7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손잡이부(752)는 회전부(751)와 연결되며, 회전부(751)를 회전시킨다.
기어부(760)는 권취부(730)와 연결되며, 설치부(720)의 내부에 배치된다. 기어부(760)는 권취부(730)가 회동되면 권취부(730)와 함께 회동된다.
권취회전방지부(770)는 설치부(7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어부(760) 측으로 회동되어 기어부(760)와 맞물려 권취부(730)의 회전을 방지한다. 권취회전방지부(770)는 권취회전방지바디(771)와 권치회전방지거치부(772)를 포함한다. 권취회전방지바디(771)는 설치부(7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어부(760)와 맞물려 권취부(730)의 회전을 방지한다. 권취회전방지바디(771)는 기어부(760)와 맞물리는 기어회전방지부(771a)를 구비한다.
권취회전방지바디(771)는 권취부(730) 측으로 회동되어 기어부(760)와 맞물려 기어부(760)의 회동을 방지한다. 반대로, 권취회전방지바디(771)가 권취부(730)의 반대측으로 회동되면 기어부(760)와 이격된다. 기어부(760)는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권취회전방지바디(771)는 권취부(730)의 반대측으로 회동되면, 설치부(72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21(a), 도 21(b) 참조).
권치회전방지손잡이부(772)는 권취회전방지바디(771)에 연결되며, 권취회전방지바디(771)를 회동시킨다. 권치회전방지손잡이부(772)는 권취회전방지바디(771)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권취회전방지고정부(780)는 권취부(730)를 설치부(720)에 고정시킨다. 권취회전방지고정부(780)는 볼트형상으로 설치부(720)를 관통하여 권취부(730)의 고정홀부(731)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권취부(730)가 불필요하게 회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고리부(790)는 한 쌍으로 설치부(720)와 개폐부(740)에 각각 결합된다. 고리부(720)는 제1고리(791)와 제2고리(792)를 포함한다. 제1고리(721)는 개폐부(740)에 결합된다. 제2고리(792)는 설치부(72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자물쇠 등 고정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설치부(720)에 개폐부(74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보조로프(300)는 일단부에 고리부(310)가 구비되고, 설치부(720)는 고리부(310)가 걸리는 걸이부(721)를 구비한다. 걸이부(721)는 한 쌍으로 설치부(720)의 장착부(710)와 마주하는 면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조로프(300)를 필요에 따라 설치부(720)에 고정할 수 있다.
안전로프연결부(400)는 안전로프입망부(410)와 안전로프고정부(420)를 포함한다. 안전로프입망부(410)는 보조로프(300)와 연결되고, 내부에 안전로프(500)가 배치된다. 안전로프입망부(410)는 안전로프입망연결부재(411)와 안전로프입망(412)를 포함한다. 안전로프입망연결부재(411)는 고리형상으로 보조로프(300)의 고리부(310)와 연결된다. 안전로프입망(412)의 내부에는 안전로프(500)가 배치된다. 안전로프입망부(410)와 안전로프(500)를 결합시킨다. 일 예로, 안전로프고정부(420)는 테이프 형태로 안전로프입망부(410)의 내부에 배치된 안전로프(500)를 안전로프입망부(410)와 결합시킨다 (도 23, 도 24 참조).
장착부(710)는 장착판(711), 장착부본체(712) 및 고정부(713)를 포함한다(도 22 내지 도 24). 장착판(711)은 대각선프레임(12)에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상원(O)을 따라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711a)가 형성된다.
장착부본체(712)는 장착판(71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대각선프레임(12)과 마주보는 면에 가상원(O')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711a)와 마주보는 한 쌍의 설치홀부(712a, 712b)를 구비한다. 도 22와 같이, 장착부본체(712)의 장착판(711)의 마주보는 면에는 한 쌍의 설치홀부(712a, 712b)가 형성된다.
추락방지장치(1)는 제1체결부(810), 제2체결부(820) 및 제3체결부(830)를 더 포함한다. 제1체결부(810)는 체결홀부(711a)와 설치홀부(712a, 712b)를 관통하여 장착판(711)과 장착부본체(712)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장착부본체(712)에는 곡선 형상의 한 쌍의 설치홀부(712a, 712b)가 형성되므로, 장착부본체(712)가 장착판(71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장착판(711)은 모서리 부분에 제2체결홀부(711b)가 형성된다. 제2체결부(820)는 제2체결홀부(711b)를 관통하여 대각선프레임(12)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장착판(711)이 대각선프레임(12)에 결합된다.
장착부본체(712)의 설치부(720)와 마주보는 면에는 한 쌍의 설치홀부(712c, 712d)가 형성된다. 제3체결부(830)는 설치부(720) 및 한 쌍의 설치홀부(712c, 712d)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윈치설치부(220)와 장착부본체(212)가 결합될 수 있다.
장착부본체(712)에 형성된 한 쌍의 설치홀부(712c, 712d)가 길이향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제3체결부(830)를 통해 설치부(720)를 장착부본체(712)에 결합할 때 설치부(720)의 위치를 조정하여 장착부본체(712)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고정고리부(713)는 장착부본체(712)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안전로프(500)의 양단부가 고정된다. 도 25 내지 도 27과 같이, 윈치부(700)의 작동부(750)를 통해 권취부(730)가 회전되면서 보조로프(300)가 회전되면, 보조로프(300)와 연결된 안전로프(500)가 보조로프(300)를 따라 상승되거나 하강되면서 철탑(10)에 설치된다. 보조로프(300)의 양단부가 장착부본체(712)의 양측부에 배치되면, 보조로프(300)를 고정고리부(713)에 묶어 보조로프(300)를 고정할 수 있다(도 27 참조). 이때, 철탑(10)에 안전로프(500)가 설치되면, 보조로프(300)는 권취부(730)에 거의 감겨진 상태로, 안전로프(500)만 가이드부(600)를 통과하여 활차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보조로프(300)와 더불어, 안전로프(500)가 꼬이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1)는 보조로프(300)가 활차부(100)와 윈치부(200, 700)에 거쳐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윈치부(200, 700)의 작동에 의해 보조로프(300)와 연결된 안전로프(700)가 회동되면서 철탑(10)에 설치될 수 있어, 작업자가 철탑에 승탑하지 않고 하부에서 쉽게 안전로프(700)를 철탑(10)에 설치가능함은 물론, 안전로프(700)의 설치과정이 간단하여 안전로프(700)의 설치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추락방지장치 10 : 철탑
11 : 지지프레임 12 : 대각선프레임
20 : 로프부 21 : 추락방지대
22 : 로프 100 : 활차부
110 : 설치프레임 111 : 제1설치프레임
111a : 제1결속홀부 111b : 제2결속홀부
112 : 제2설치프레임 113 : 제3설치프레임
114 : 제4설치프레임 115 : 제5설치프레임
116 : 결속부 120 : 도르래
130 : 쇄클부 200 : 윈치부
210 : 장착부 211 : 장착판
211a : 제1체결홀부 211b : 제2체결홀부
212 : 장착부본체 212a, 212b : 설치홀부
212c, 212d : 제1윈치설치홀부 212e : 제1윈치풀리설치홀부
220 : 윈치설치부 221, 222 : 출입구
223, 224 : 제2윈치설치홀부 225 : 제2윈치풀리설치홀부
230 : 개폐부 240: 윈치풀리부
241 : 윈치풀리본체 241a : 안전로프 안착홈부
242 : 윈치풀리결합부 250 : 작동부
260 : 고정부 300 : 보조로프
310 : 고리부 400 : 안전로프연결부
410 : 안전로프입망부 411 : 안전로프입망연결부재
412 : 안전로프입망 420 : 안전로프고정부
500 : 안전로프 600 : 가이드부
610 : 가이드결합부 611 : 결합프레임
612 : 가압바 614 : 가이드고정부
620 : 제1가이드부 621 : 제1가이드결합부재
622 : 제1가이드본체 630 : 제2가이드부
631 : 제2가이드결합부재 632 : 제2가이드본체
650 : 공간부 660 : 개방구
700 : 윈치부 710 : 장착부
711 : 장착판 711a, 711b : 제1체결홀부
711c : 제2체결홀부 712 : 장착부본체
712a, 712b : 설치홀부 713 : 고정고리부
720 : 설치부 721 : 걸이부
722 : 결합부 730 : 권취부
731 : 고정홀부 740 : 개폐부
741, 742 : 출입구 750 : 작동부
751 : 회전부 752 : 손잡이부
760 : 기어부 770 : 권취회전방지부
771 : 권취회전방지바디 771a : 기어회전방지부
772 : 권치회전방지손잡이부 780 : 권취회전방지고정부
790 : 고리부 791 : 제1고리
792 : 제2고리 810 : 제1체결부
820 : 제2체결부 830 : 제3체결부

Claims (21)

  1. 철탑의 상부에 설치되는 활차부;
    상기 철탑의 하부에 설치되는 윈치부;
    상기 활차부와 상기 윈치부에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윈치부의 작동에 회동되는 보조로프;
    상기 보조로프와 연결되는 안전로프연결부; 및
    상기 안전로프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보조로프와 함께 회전되는 안전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철탑에 설치되며, 상기 활차부와 상기 윈치부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보조로프와 상기 안전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철탑에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
    상기 가이드결합부와 연결되는 제1가이드결합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결합부재에서 나선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로프와 상기 안전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과되는 제1가이드본체를 구비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가이드결합부재와, 상기 제2가이드결합부재에서 상기 제1가이드본체와 대칭되게 나선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로프와 상기 안전로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통과되는 제2가이드본체를 구비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로프는 상기 활차부와 상기 윈치부에 거쳐 궤도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로프는 벨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추락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부는,
    상기 철탑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
    상기 보조로프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도르래; 및
    상기 설치프레임와 상기 도르래를 연결하는 쇄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본체는 상기 제1가이드결합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제2가이드본체는 상기 제2가이드결합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본체는 상기 제1가이드결합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제2가이드본체는 상기 제2가이드결합부재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본체는 상기 제1가이드결합부재와 이격되고,
    상기 제2가이드본체는 상기 제2가이드결합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결합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와 연결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철탑의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바; 및
    상기 결합프레임과 나사결합되며, 상기 결합프레임을 따라 이동되고, 한 쌍의 상기 가압바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밀착하여 고정하는 가이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는,
    상기 철탑의 대각선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와 결합되고, 상기 보조로프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한 쌍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윈치설치부;
    상기 윈치설치부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윈치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로프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윈치풀리부; 및
    상기 윈치풀리부와 연결되고, 상기 윈치풀리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윈치풀리부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대각선프레임에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상원을 따라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대각선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 가상원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1체결홀부와 마주보는 한 쌍의 설치홀부를 구비하는 장착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홀부와 상기 설치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판과 상기 장착부본체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는 상기 장착부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전로프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로프연결부는,
    상기 보조로프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안전로프가 배치되는 안전로프입망부; 및
    상기 안전로프입망부와 상기 안전로프를 결합시키는 안전로프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는,
    상기 철탑의 대각선프레임에 설치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로프가 감겨지는 권취부;
    상기 설치부의 상측면을 개폐하고, 상기 보조로프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한 쌍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개폐부; 및
    상기 설치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부와 함께 회전가능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는,
    상기 권취부와 연결되는 기어부;
    상기 설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부 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권취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권취회전방지부; 및
    상기 권취부를 상기 설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로프는 일단부에 고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고리부가 걸리는 걸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대각선프레임에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며, 가상원을 따라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장착판; 및
    상기 장착판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대각선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 가상원을 따라 서로 대칭되게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제1체결홀부와 마주보는 한 쌍의 설치홀부를 구비하는 장착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홀부와 상기 설치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장착판과 상기 장착부본체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본체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안전로프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장치.
KR1020190122066A 2019-10-02 2019-10-02 추락방지장치 KR102324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066A KR102324710B1 (ko) 2019-10-02 2019-10-02 추락방지장치
KR1020210150536A KR102394686B1 (ko) 2019-10-02 2021-11-04 추락방지장치
KR1020210150535A KR102394685B1 (ko) 2019-10-02 2021-11-04 추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066A KR102324710B1 (ko) 2019-10-02 2019-10-02 추락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536A Division KR102394686B1 (ko) 2019-10-02 2021-11-04 추락방지장치
KR1020210150535A Division KR102394685B1 (ko) 2019-10-02 2021-11-04 추락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623A KR20210039623A (ko) 2021-04-12
KR102324710B1 true KR102324710B1 (ko) 2021-11-11

Family

ID=7544007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066A KR102324710B1 (ko) 2019-10-02 2019-10-02 추락방지장치
KR1020210150535A KR102394685B1 (ko) 2019-10-02 2021-11-04 추락방지장치
KR1020210150536A KR102394686B1 (ko) 2019-10-02 2021-11-04 추락방지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535A KR102394685B1 (ko) 2019-10-02 2021-11-04 추락방지장치
KR1020210150536A KR102394686B1 (ko) 2019-10-02 2021-11-04 추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24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52B1 (ko) 2023-01-18 2024-03-07 제룡산업 주식회사 양방향 연결형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0007B (zh) * 2021-10-27 2022-07-22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四川省分公司 通信铁塔施工安全防坠组合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61818B1 (ko) 2021-12-17 2022-11-01 주식회사 엘리온스틸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20230098933A (ko)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파인콤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20230098935A (ko) 2021-12-27 2023-07-04 (주)빈이피씨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20230098934A (ko) 2021-12-27 2023-07-04 주식회사 파인콤 구조물에서 안전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하는 장치
KR102652543B1 (ko) * 2022-08-20 2024-04-02 주식회사 케그앤엠 표시램프가 구비된 송전탑
KR102652544B1 (ko) * 2022-08-20 2024-04-02 주식회사 케그앤엠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송전탑
KR102598341B1 (ko) 2023-02-28 2023-11-06 주식회사 더이로운 안전 와이어 로프의 가이드 장치
KR102656731B1 (ko) * 2023-12-21 2024-04-12 (주)미래기술 이엔지 송전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6059A (ja) * 2013-07-10 2015-01-2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安全帯用支持部材
KR101940630B1 (ko) *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6149B2 (ja) * 2001-03-27 2007-06-27 株式会社ライトボーイ 投光機
KR20140006173U (ko) * 2013-05-29 2014-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추락방지용 안전 로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6059A (ja) * 2013-07-10 2015-01-2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安全帯用支持部材
KR101940630B1 (ko) *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52B1 (ko) 2023-01-18 2024-03-07 제룡산업 주식회사 양방향 연결형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882A (ko) 2021-11-11
KR20210039623A (ko) 2021-04-12
KR20210134883A (ko) 2021-11-11
KR102394686B1 (ko) 2022-05-09
KR102394685B1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710B1 (ko) 추락방지장치
JP2008045363A (ja) 吊下げ装置
KR10221206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20210042673A (ko) 철탑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JPH0597357A (ja)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KR101874061B1 (ko)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KR102098481B1 (ko)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JP3170559B2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固定装置
CN109704008A (zh) 联动式皮带机断带保护装置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US20040035647A1 (en) Elevator car frame with integral controller
KR102667452B1 (ko) 엘리베이터 난간조립체
KR100645161B1 (ko) 가이드 롤러장치
KR102545487B1 (ko) 지하 구조물용 안전장치
JP5966996B2 (ja) 主ロープ取り替え用補助具
KR102528585B1 (ko) 낙하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주상안전대
KR20210004094A (ko) 고소작업자 추락 방지용 로프홀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소작업자 추락 방지 공법
KR101781395B1 (ko) 개구부 추락방지장치
KR102637293B1 (ko)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CN214007043U (zh) 一种带配重的底坑伸缩爬梯
KR102630216B1 (ko) 추락 방지용 와이어로프 그립머신
KR200496479Y1 (ko) 무대의 머리막 커튼 이송장치
KR101176185B1 (ko) 캔버스 도어
KR960008866Y1 (ko) 추락방지용 자동입식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