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061B1 -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061B1
KR101874061B1 KR1020180023047A KR20180023047A KR101874061B1 KR 101874061 B1 KR101874061 B1 KR 101874061B1 KR 1020180023047 A KR1020180023047 A KR 1020180023047A KR 20180023047 A KR20180023047 A KR 20180023047A KR 101874061 B1 KR101874061 B1 KR 101874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frame
hanger
rotation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임태균
Original Assignee
(주)미동이엔씨
이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동이엔씨, 이병준 filed Critical (주)미동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02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력선(20)의 연선 작업을 위해 철탑(10)에 설치되는 활차(100)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력선을 걸어 올린 상태로 회전하는 풀리(110); 상기 풀리를 축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철탑에 매달아 설치하는 행거(120); 상기 행거의 연장된 타측 전후에 설치되는 고정 가드(130); 상기 행거 타측에 설치되는 자동 걸이(140); 상기 행거의 일측 상단에 축 결합되는 회전 휠(150); 상기 회전 휠과 함께 상기 행거의 일측 상단에 축 결합되는 회전 가이드 바(160); 및 상기 회전 휠과 회전 가이드 바가 설치된 축에 결합되면서 일단은 상기 회전 휠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 바에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170);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람에 의한 작업 없이 안전하고 원활한 연선 작업이 가능해지는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Pulley for auto-inserting Overrhea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력선을 철탑에 걸기 위한 자동전선삽입활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력선의 연선 작업을 위해 철탑에 설치한 상태에서 헬리콥터에 의해 인양되는 전력선이 자연스럽게 걸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걸린 전력선이 빠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잠기는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한 전선이나 와이어의 연선 작업을 위해 철탑에 설치되는 활차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4512호(2011.06.15. 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직상태의 가이드(1)와, 중심축(2)과, 중심축(2)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고 가장자리에 전력선(R)이 지나갈 수 있도록 홈(4)이 형성되어 있는 바퀴(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활차(9)는 가공송전선로 철탑건설공사시에 가이드(1) 상부에 형성된 구멍(6)에 앙카쇄클(미도시)의 일측을 끼운 다음, 이 앙카쇄클의 타측을 다시 철탑에 연결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전력선(R)을 걸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활차에 전력선이 지지되면 드럼장 연선차(7) 측에서 엔진장 연선차(8) 측으로 전력선을 끌어당기는 데, 이때 상기 활차의 바퀴(5)가 회전하면서 전력선이 원활하게 당겨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활차는 전력선을 거는 작업이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전력선을 걸기 위해서는 상기 활차가 설치된 각 철탑마다 사람이 올라가 있다가 헬리콥터가 전력선을 인양해주면 사람이 직접 전력선을 잡고 활차에 걸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위험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력선의 연선 작업을 위해 철탑에 설치한 상태에서 헬리콥터에 의해 인양되는 전력선이 자연스럽게 걸리도록 하는 한편, 상기 걸린 전력선이 빠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잠겨지는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력선(20)의 연선 작업을 위해 철탑(10)에 설치되는 활차(100)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20)을 걸어 올린 상태로 회전하도록 권선 홈(111)이 형성된 풀리(110); 상기 풀리(110)를 일측 프레임(120a)과 타측 프레임(120b) 사이에 축 설치하되,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은 상기 풀리(110)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타측 프레임(120b)은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높게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프레임(120a)과 타측 프레임(120b)은 상기 풀리(110)를 축 설치하기 위한 샤프트(121)와 하단의 연결구(122)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의 상단 전후에는 플렌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 플렌지(123)의 상단 외측을 통해 바 스토퍼(124)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 프레임(120b)의 상단에는 상기 철탑(10)에 매달기 위한 고리(125)가 형성된 행거(120); 상기 행거(120)의 연장된 타측 프레임(120b) 전후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20)이 아래로 미끄러지도록 안내하는 한편, 상기 플렌지(123) 상단과 사이에 상기 전력선(20)이 통과하도록 통로(131)를 형성하는 고정 가드(130); 상기 행거(120)의 연장된 타측 프레임(120b)에 설치되면서 삽입 홈(141a)이 형성된 고정쇠(141)와 상기 고정쇠(141)에 축 결합된 상태로 스프링(14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 홈의 전방을 개폐하는 걸쇠(142)로 이루어진 자동 걸이(140); 상기 행거(120)의 전후 플렌지(123) 사이에 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로(131)를 차단하도록 하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전력선(20)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통로(131)를 통과할 수 있도록 요입 홈(151)이 형성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일정각도 범위의 장공(152)이 형성된 회전 휠(150); 상기 회전 휠(150)과 함께 상기 행거(120)의 전후 플렌지(123) 사이에 축 결합하되, 상기 바 스토퍼(124)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한편, 연결 핀(161)을 통해 상기 장공(152)과 연결되고, 상기 자동 걸이(140)에 대응하여 잠기도록 걸림 핀(162)이 형성됨으로써 일측을 향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전력선(20)이 아래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회전 휠(150)의 요입 홈에 안착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회전 휠(150)이 장공(152)의 각도만큼 단독 회전하여 전력선(20)이 풀리(110) 위에 위치하는 과정에서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전력선(20)을 풀리(110) 위에 내려놓기 위해 회전 휠이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연동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자동 걸이(140)에 걸려 잠기도록 형성된 회전 가이드 바(160); 및 상기 회전 휠(150)과 회전 가이드 바(160)가 설치된 축에 결합되면서 일단은 상기 회전 휠(15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 휠(150)의 요입 홈(151)이 항상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를 향해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토션 스프링(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행거(120)는 일측 프레임(120a)과 타측 프레임(120b) 내면에 각각 형성되고, 경사면을 통해 유입된 전력선(20)이 상기 풀리(110)의 권선 홈(111)에 안착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휠(150)은 외면 타측에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전후 플렌지(123)의 외측 단부에 걸려 외측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한편,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의 외측 단부를 밀어 세우도록 하는 휠 스토퍼(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는 일측 방향을 향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단에 축 결합된 무게추(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에는 상기 무게추(163)가 타측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한 멈춤 핀(164)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163)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163)도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멈춤 핀(164)에 대응하는 인입 홈(163a)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에 의하면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력선의 연선 작업을 위해 철탑에 설치된 상태에서 헬리콥터에 의해 인양되는 전력선이 자연스럽게 걸린 후에 상기 걸린 전력선이 빠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잠김으로써, 사람에 의한 작업 없이 안전하고 원활한 연선 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의 사용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의 작동설명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의 요부 확대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력선을 걸어 올린 상태로 회전하는 풀리(110); 상기 풀리를 축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철탑에 매달아 설치하는 행거(120); 상기 행거의 일측 전후에 설치되는 고정 가드(130); 상기 행거의 타측에 설치되는 자동 걸이(140); 상기 행거의 일측 상단에 축 결합되는 회전 휠(150); 상기 회전 휠과 함께 상기 행거의 일측 상단에 축 결합되는 회전 가이드 바(160); 및 상기 회전 휠과 회전 가이드 바가 설치된 축에 결합되면서 일단은 상기 회전 휠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 바에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풀리(110)는 상기 전력선(20)을 걸어 올린 상태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력선이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게 걸어 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권선 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행거(120)는 상기 풀리(110)를 축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철탑(10)에 매달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풀리(110)를 일측 프레임(120a)과 타측 프레임(120b) 사이에 축 설치하되,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은 상기 풀리(110)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타측 프레임(120b)은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높게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프레임(120a)과 타측 프레임(120b)은 상기 풀리(110)를 축 설치하기 위한 샤프트(121)와 하단의 연결구(122)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의 상단 전후에는 플렌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 플렌지(123)의 상단 외측을 통해 바 스토퍼(124)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 프레임(120b)의 상단에는 상기 철탑(10)에 매달기 위한 고리(125)가 형성된다.
상기 행거(120)는 실시 예로서 일측 프레임(120a)과 타측 프레임(120b) 내면에 각각 형성되고, 경사면을 통해 유입된 전력선(20)이 상기 풀리(110)의 권선 홈(111)에 안착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턱(126)은 전력선(20)이 풀리(110)와 행거(120)의 일측 프레임(120a) 또는 타측 프레임(120b) 사이의 틈으로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 가드(130)는 상기 행거(120)의 연장된 타측 프레임(120b) 전후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20)이 아래로 미끄러지도록 안내하는 한편, 상기 플렌지(123) 상단과 사이에 상기 전력선(20)이 통과하도록 통로(131)를 형성한다. 즉, 상기 고정 가드(130)는 후술하는 회전 가이드 바(160)와 함께 그 사이로 유입되는 전력선(20)이 풀리(110)에 걸리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풀리(110)에 올려진 전력선(20)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자동 걸이(140)는 상기 행거(120)의 연장된 타측 프레임(120b)에 설치되면서 삽입 홈(141a)이 형성된 고정쇠(141)와 상기 고정쇠(141)에 축 결합된 상태로 스프링(14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 홈의 전방을 개폐하는 걸쇠(14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자동 걸이(140)는 상기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후술하는 회전 가이드 바(160)가 세워지면 걸림 핀(162)이 걸쇠(142)를 밀어올리면서 고정쇠(14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고, 회전 가이드 바(160)의 걸림 핀(162)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스프링(140)에 의해 걸쇠(142)가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림 핀(162)이 빠지지 않는 안정적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회전 휠(150)은 상기 행거(120)의 전후 플렌지(123) 사이에 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로(131)를 차단하도록 하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전력선(20)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통로(131)를 통과할 수 있도록 요입 홈(151)이 형성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일정각도 범위의 장공(1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 휠(150)은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의 상단에 형성된 전후 플렌지(123)와 고정 가드(130) 사이의 통로(131)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요입 홈(151)을 통해서만 전력선(20)이 출입하도록 하고, 상기 장공(152)의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와 별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휠(150)은 실시 예로서 외면 타측에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전후 플렌지(123)의 외측 단부에 걸려 외측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한편,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의 외측 단부를 밀어 세우도록 하는 휠 스토퍼(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휠 스토퍼(153)를 통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한편,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받쳐주는 것이다.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는 상기 회전 휠(150)과 함께 상기 행거(120)의 전후 플렌지(123) 사이에 축 결합하되, 상기 바 스토퍼(124)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한편, 연결 핀(161)을 통해 상기 장공(152)과 연결되고, 상기 자동 걸이(140)에 대응하여 잠기도록 걸림 핀(162)이 형성됨으로써 일측을 향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전력선(20)이 아래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회전 휠(150)의 요입 홈(151)에 안착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회전 휠(150)이 장공(152)의 각도만큼 단독 회전하여 전력선(20)이 풀리(110) 위에 위치하는 과정에서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전력선(20)을 풀리(110) 위에 내려놓기 위해 회전 휠이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연동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자동 걸이(140)에 걸려 잠기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는 일측 방향으로 벌어짐으로써 그 위에 전력선(20)을 용이하게 내려놓으면서 풀리(110)에 쉽게 걸도록 하고, 상기 풀리(110)에 전력선(20)이 걸린 후에는 세워지면서 상기 자동 걸이(140)에 의해 잠기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는 실시 예로서 일측 방향을 향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단에 축 결합된 무게추(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무게추(163)는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가 벌어진 상태에서 흔들림이나 바람 등의 영향에 의해 닫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는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무게추(163)가 타측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한 멈춤 핀(164)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163)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163)도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멈춤 핀(164)에 대응하는 인입 홈(163a)이 형성된다.
상기 토션 스프링(170)은 상기 회전 휠(150)과 회전 가이드 바(160)가 설치된 축에 결합되면서 일단은 상기 회전 휠(15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 휠(150)의 요입 홈(151)이 항상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를 향해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토션 스프링(170)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 바(160)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 휠(150)의 요입 홈(151)이 상측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전력선이 자연스럽게 요입 홈(151)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전력선(20)이 풀리(110)에 걸린 후에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작동을 도 4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행거(120)의 상단에 형성된 고리(125)를 이용하여 활차(100)를 철탑(10)에 걸어두는데, 이때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를 벌린 상태로 둔다. 이렇게 벌어진 회전 가이드 바(160)는 바 스토퍼(124)에 의해 일정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무게추(163)에 의해 닫히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가 벌어짐에 따라 토션 스프링(170)의 작용에 의해 회전 휠(150)의 요입 홈(151)이 상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헬리콥터가 전력선(20)을 인양하여 상기 고정 가드(130)와 회전 가이드 바(160) 사이에 내려놓으면 전력선(20)은 자체 무게에 의해 내려가면서 상기 회전 휠(150)의 요입 홈(151)에 끼워지게 되고, 이 경우 전력선(20)의 무게가 토션 스프링(170)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에 회전 휠(150)은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상기 통로(131)를 통해 전력선(20)이 유입된 후 풀리(110)의 권선 홈(111)에 걸리도록 내려놓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가드(130)와 일측 행거(120) 사이의 통로(131)를 통해 전력선(20)이 유입되는 과정까지는 회전 휠(150)의 장공(152)에 의해 회전 가이드 바(160)가 움직이지 않지만, 그 이후 전력선(20)이 요입 홈(151)으로부터 빠지면서 풀리(110)의 권선 홈(111)에 걸리도록 내려놓는 과정에서는 상기 회전 휠(150)과 함께 회전 가이드 바(160)가 회전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자동 걸이(140)에 회전 가이드 바(160)의 걸림 핀(162)이 끼워져 잠기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가 자동 걸이(140)에 잠긴 후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170)에 의해 회전 휠(150)이 회전하면서 요입 홈(151)이 은폐된다.
이와 같은 구성과 작용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력선의 연선 작업을 위해 철탑에 설치된 상태에서 헬리콥터에 의해 인양되는 전력선이 자연스럽게 걸린 후에 상기 걸린 전력선이 빠지지 않도록 자동으로 잠김으로써, 사람에 의한 작업 없이 안전하고 원활한 연선 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력선은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와이어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10: 철탑 20: 전력선
100: 활차
110: 풀리 111: 권선 홈
120: 행거 120a: 일측 프레임
120b: 타측 프레임 121: 샤프트
122: 연결구 123: 플렌지
124: 바 스토퍼 125: 고리
126: 이탈 방지턱
130: 고정 가드 131: 통로
140: 자동 걸이 141: 고정쇠
141a: 삽입 홈 142: 걸쇠
143: 스프링
150: 회전 휠 151: 요입 홈
152: 장공 153: 휠 스토퍼
160: 회전 가이드 바 161: 연결 핀
162: 걸림 핀 163: 무게추
163a: 인입 홈 164: 멈춤 핀
170: 토션 스프링

Claims (5)

  1. 가공송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적용되는 전력선(20)의 연선 작업을 위해 철탑(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력선(20)을 걸어 올린 상태로 회전하도록 권선 홈(111)이 형성된 풀리(110); 상기 풀리(110)를 일측 프레임(120a)과 타측 프레임(120b) 사이에 축 설치하되,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은 상기 풀리(110)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고, 타측 프레임(120b)은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높게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프레임(120a)과 타측 프레임(120b)은 상기 풀리(110)를 축 설치하기 위한 샤프트(121)와 하단의 연결구(122)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일측 프레임(120a)의 상단 전후에는 플렌지(123)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 플렌지(123)의 상단 외측을 통해 바 스토퍼(124)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 프레임(120b)의 상단에는 상기 철탑(10)에 매달기 위한 고리(125)가 형성된 행거(120); 상기 행거(120)의 연장된 타측 프레임(120b) 전후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선(20)이 아래로 미끄러지도록 안내하는 한편, 상기 플렌지(123) 상단과 사이에 상기 전력선(20)이 통과하도록 통로(131)를 형성하는 고정 가드(130); 상기 행거(120)의 연장된 타측 프레임(120b)에 설치되면서 삽입 홈(141a)이 형성된 고정쇠(141)와 상기 고정쇠(141)에 축 결합된 상태로 스프링(14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삽입 홈(141a)의 전방을 개폐하는 걸쇠(142)로 이루어진 자동 걸이(140); 상기 행거(120)의 전후 플렌지(123) 사이에 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통로(131)를 차단하도록 하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전력선(20)이 끼워진 상태로 상기 통로(131)를 통과할 수 있도록 요입 홈(151)이 형성되고, 내부를 관통하여 일정각도 범위의 장공(152)이 형성된 회전 휠(150); 상기 회전 휠(150)과 함께 상기 행거(120)의 전후 플렌지(123) 사이에 축 결합하되, 상기 바 스토퍼(124)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는 한편, 연결 핀(161)을 통해 상기 장공(152)과 연결되고, 상기 자동 걸이(140)에 대응하여 잠기도록 걸림 핀(162)이 형성됨으로써 일측을 향해 일정각도 벌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전력선(20)이 아래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회전 휠(150)의 요입 홈(151)에 안착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회전 휠(150)이 장공(152)의 각도만큼 단독 회전하여 전력선(20)이 풀리(110) 위에 위치하는 과정에서는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전력선(20)을 풀리(110) 위에 내려놓기 위해 회전 휠(15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는 연동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자동 걸이(140)에 걸려 잠기도록 형성된 회전 가이드 바(160); 및 상기 회전 휠(150)과 회전 가이드 바(160)가 설치된 축에 결합되면서 일단은 상기 회전 휠(15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 휠(150)의 요입 홈(151)이 항상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를 향해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토션 스프링(170);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 휠(150)은 외면 타측에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전후 플렌지(123)의 외측 단부에 걸려 외측 방향으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한편,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의 외측 단부를 밀어 세우도록 하는 휠 스토퍼(15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120)는,
    일측 프레임(120a)과 타측 프레임(120b) 내면에 각각 형성되고, 경사면을 통해 유입된 전력선(20)이 상기 풀리(110)의 권선 홈(111)에 안착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2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는,
    일측 방향을 향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단에 축 결합된 무게추(16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에는 상기 무게추(163)가 타측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막아주기 위한 멈춤 핀(164)이 형성되고,
    상기 무게추(163)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바(16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163)도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멈춤 핀(164)에 대응하는 인입 홈(16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KR1020180023047A 2018-02-26 2018-02-26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KR101874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47A KR101874061B1 (ko) 2018-02-26 2018-02-26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47A KR101874061B1 (ko) 2018-02-26 2018-02-26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61B1 true KR101874061B1 (ko) 2018-07-03

Family

ID=6291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047A KR101874061B1 (ko) 2018-02-26 2018-02-26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0798A (zh) * 2020-08-12 2021-11-23 张晓立 一种电缆滑车组件
WO2022061411A1 (en) * 2020-09-24 2022-03-31 Infravision Holdings Pty Ltd Power line stringing system and method
WO2023004475A1 (en) * 2021-07-30 2023-02-02 Infravision Holdings Pty Ltd Line attachment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88B1 (ko) * 2009-12-10 2010-04-19 지승건설(주)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 장치와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연선공법
JP5072571B2 (ja) * 2007-12-19 2012-11-14 中国電力株式会社 ケーブル弛み防止吊り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2571B2 (ja) * 2007-12-19 2012-11-14 中国電力株式会社 ケーブル弛み防止吊り車
KR100953688B1 (ko) * 2009-12-10 2010-04-19 지승건설(주)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 장치와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연선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0798A (zh) * 2020-08-12 2021-11-23 张晓立 一种电缆滑车组件
WO2022061411A1 (en) * 2020-09-24 2022-03-31 Infravision Holdings Pty Ltd Power line stringing system and method
WO2023004475A1 (en) * 2021-07-30 2023-02-02 Infravision Holdings Pty Ltd Line attachment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061B1 (ko)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KR102394686B1 (ko) 추락방지장치
KR100953688B1 (ko) 송전선로 설치를 위한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 장치와 전력선 연선용 와이어 안내장치를 이용한 전력선 연선공법
KR102389099B1 (ko) 잠금장치를 구비한 자동식 후크
KR20200004657A (ko)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
KR101894525B1 (ko) 가공송전선로용 자동전선삽입활차를 이용한 헬기 연선 공법
CN209742589U (zh) 一种提拉平衡器、提拉窗及上下折叠窗
CN208218205U (zh) 一种吊钩结构
CN104538896A (zh) 输电线路防脱落架空线滑轮
KR102330522B1 (ko) 지상 체결이 가능한 자동 착탈식 안전후크 및 이를 이용한 추락 방지방법
KR101712567B1 (ko) 샤클
KR100645161B1 (ko) 가이드 롤러장치
JP6605850B2 (ja) ガイド機構と巻き取り装置
CN106193974B (zh) 百叶窗的升降装置
JPH0242873Y2 (ko)
KR20180077922A (ko) 현수애자련 분해점검용 전력선 인상장치
JP4394606B2 (ja) 高所掛止用フック金具
JP4187628B2 (ja) 渦巻きバネ式バランサ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障子の建込み方法
JPH04222Y2 (ko)
CN219638738U (zh) 悬挂式安全珠链定位装置
KR100645162B1 (ko) 가이드 롤러장치
JP4394605B2 (ja) 高所掛止用フック金具
KR20190041269A (ko) 웨지소켓의 와이어 로프 결속장치
CN218909606U (zh) 一种管绞机上盘用自动锁闭吊钩
CN220325126U (zh) 一种带拉线环的放线滑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